KR20210006427A -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임플란트 지대주 - Google Patents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임플란트 지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427A
KR20210006427A KR1020207034985A KR20207034985A KR20210006427A KR 20210006427 A KR20210006427 A KR 20210006427A KR 1020207034985 A KR1020207034985 A KR 1020207034985A KR 20207034985 A KR20207034985 A KR 20207034985A KR 20210006427 A KR20210006427 A KR 20210006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ball head
base body
bas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악셀 키르슈
우웨 에른스트 크라트
Original Assignee
에피파노스틱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피파노스틱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피파노스틱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0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로서 악골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지대주와, 상기 지대주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임플란트 지대주
본 발명은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와, 몸체와 본 발명에 따른 지대주를 구비하여 악골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으로 통상 제조되는 이러한 치과 임플란트는 나선 형상, 원통 형상 또는 단차 원통 형상(stepped cylinder)과 같이 천연 치근(tooth root)에 근접한 형상을 통상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임플란트 지대주(abutment)는 실제 임플란트(actual implants) 상에 배치되는데, 이른바 베이스 몸체(base bodies)는,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longitudinal axis)을 따라 임플란트 몸체 내부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에 의해 임플란트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상부의 보철 구조(prosthetic construction) 사이에 연결이 확립된다. 탈착 가능한(removable) 구성과 고정된 구성 사이에 구별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사용하면, 지대주의 의도하였던 종방향 축이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흔히 발생한다. 가능한 한 가장 평행한(parallel) 지대주가 평행하지 않은 축 방향을 구비한 다수의 임플란트 상에서 의도하였을 경우에 이러한 문제가 특히 발생한다.
하지만, 일부 응용 제품에서, 예를 들어, 국소 골 위축(local bone atrophy)에 기인하여, 베이스 몸체가 악골(jawbones) 내부에서 비스듬하게(at an angle) 종종 이식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대주/고정 헤드(fixing head)를 베이스 몸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면서도, 의치(denture)를 최적으로 부착하고, 고정 헤드가 흡수하는 저작력(chewing force)이 유입될 수 있도록, 고정 헤드는 다른 각도 배향(angular orientation)을 가져야 할 필요가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과 관련해서, 베이스 몸체의 관상 단부(coronal end)에 볼 헤드(ball head)를 제공하는 것이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그 상부의 대응 구조(counterpart)는 볼 헤드의 표면에서 작용하는 고정 나사(locking screw)에 의한 회전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대응 구조가 베이스 몸체에 대하여 견고하고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다수의 제안이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US4,832,601호에 따른 보철 치아(prosthetic tooth)용 조절 가능한 지지체(adjustable support)는, 너트 요소와 체결되는(engages with) 볼트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opening)를 구비한 지대주 요소를 포함한다. 스톱 요소(stop element)는, 볼트 요소의 헤드부(head portion)와 너트 요소의 확장된 칼라부(enlarged collar portion) 사이에 끼워져 있다(sandwiched). 이 정지 요소(stop element)는 원하는 위치로 선회될 수 있고(swiveled), 볼트 요소와 너트 요소는 밀착되어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 요소를 잠근다. 정지 요소의 정지 요소의 소정 각도 배향(angular orientation)을 취할 수 있도록, 정지 요소에 대하여 상보적 형상인 개구를 가지는 보철 치아가 정지 요소에 체결된다.
아울러, US5,194,000호는 구강 수술 및 치과 수술, 특히 하악(mandibular) 수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로서, 임플란트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원뿔대 형태인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임플란트의 관상 단부에 구체(spherical) 요소가 제공되어 있으며, 임플란트와 관련해서 보형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체 요소는 보형물 내에 제공되는 상응하는 캐비티(cavity)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임플란트를 개시한다.
다른 해결책은 US5,195,891호에서 제안된다. 이 특허는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존 디바이스(restorative devices), 특히 환자-탈착 가능형(patient-removable) 보존 디바이스인 경우, 보존 디바이스의 삽입 경로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1개 이상의 보철 치아 또는 보철 디바이스(prosthetic devices)를 조절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특히 앵커링 디바이스(anchor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US5,302,125호는 비스듬한(angular) 회전 성능과, 임플란트 홀더(holder)와 지대주 보철물 사이에 향상된 체결(locking)을 가지고 있는 치과 보철물 임플란트를 기술하고 있다.
임플란트 베이스 몸체의 종방향 축이 상호간에 최대 45도의 각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베이스 몸체에 장착되는 지대주를 배열하기 위한 또 다른 해결책은, 예를 들어, DE-OS-1995366호에서 제안되어 있다. 이 공개 특허에서, 임플란트 지대주가 나사에 의해 임플란트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임플란트 지대주는 지대주와 임플란트의 기저부(basal)에서 임플란트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연결부(connecting part)로 이루어지고, 지대주는 결합 과정(joining process)에서, 바람직하게는 용접(welding)이나 접착(gluing)에 의하여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종방향 축은 최대 나사의 종방향 축의 한계 각도를 가지면서 임의의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는, 임플란트 지대주가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실시형태는, 용접이나 접착에 의해 결합된 후에, 상기 컴포넌트들이 구조 내에서 상호간에 고정되고, 상호간의 위치가 더 이상 교정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에 대한 또 다른 개발은 EP1,547,543호에 기술되어 있다. 치과 보철물을 치과 임플란트에 앵커링(anchoring)하기 위하여 이 특허에 기술된 지대주에는 포스트 배치(post arrangement)와, 치과 임플란트 내부로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치과 임플란트로 연결되는 나사체결(screw-in) 구조로서, 포스트 배치와 나사체결 구조 사이에 볼 조인트(ball joint)를 가지는 나사체결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나사체결 구조와 상기 포스트 배치는, 상기 볼 조인트를 임플란트에, 포스트 조립체를 볼 조인트에, 볼 조인트를 나사산 구조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기계적 힘과 다수의 개별 부품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WO2008/019774호에 따르면, 치과 임플란트는 2개의 부품, 1차 크라운과 2차 크라운을 포함하는데, 2차 크라운은 보철물을 위한 지지체이거나, 2차 지지체의 외곽 쉘(outer shell)에 배치될 수 있는 브릿지(bridge)이다. 외곽 쉘은 적어도 하나의 면에서 적어도 대략 환상(circular) 또는 반-환상이며, 보철물 또는 베니어판(veneer)인 베어링(bearing)m에 수용되면서, 선회-장착(swivel-mounted)될 수 있다.
소정 각도에서 지대주를 치과 임플란트로 연결하기 위하여 조립된 각도 연결(assembled angle connection)은 WO2010/150188호에 기술되어 있다. 조립된 각도 연결은 치과 임플란트로 연결될 수 있는 기저 요소(basal end)와, 지대주에 연결될 수 있는 근첨 요소(apical end)를 포함한다. 근첨 요소는 기저 요소에 연결되어, 소정 각도를 형성한다. 이들 2개 요소의 복합 각도 조인트(compound angle joint)를 조립하여, 기저 요소와 치과 임플란트 사이, 근첨 요소와 지대주 사이 및 기저 요소와 근첨 요소 사이에 강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악골 구조를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철물 내에 연결 각도 조인트(connection angle joint)가 사용될 수 있다.
EP2,647,347호는 치과 임플란트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체 피스(piece)와, 보철 구조에 연결될 수 있는 패스닝(fastening) 조립체를 구비하는 보철 고정화에 관한 것이다. 패스닝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구체인 캐비티를 가지는 1차 요소를 포함하고, 그 내부로 구형 헤드를 구비한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산 관통-보어가 제공된다. 따라서, 구형 헤드는 지지체의 연결 섹션의 내부 영역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지지체의 연결 섹션을 부분적으로 외측에서 에워쌀 수 있도록 1차 요소의 실질적으로 구형 캐비티를 형성하는 벽(wall)이 조절될 수 있어서, 장착 조립체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EP2,648,539호에 따르면, 치과 상부구조(dental superstructure)용 나사 채널-보정 디바이스(screw channel-straightening device)는 나사 채널부와, 임플란트와 상호작용하는 부분을 갖는다. 나사 채널부의 근위단(proximal end)은 컵-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그 내부 저면(bottom surface)는 오목(concave) 형상이고, 그 외부 저면은 볼록(convex) 형상이다. 나사 요소 시트(seat)의 나사 보어는 장방형(oblong) 보어이고, 임플란트와 협동하는 부분은 치과 임플란트에 연결하기 위한 하부 임플란트 협동부와, 상부 임플란트 협동부를 포함한다. 하부 임플란트 협동부는 원위(distal) 오목 시트를 포함하고, 상부 임플란트 협동부는 하부 임플란트 협동부의 오목 시트의 반경에 상응하는 반경을 가지는 근위(proximal) 볼록 저면을 가지고 있어서, 제 1 볼 조인트(ball joint)를 형성한다. 상부 임플란트 협동부는 나사 채널부의 외곽 저면의 반경에 상응하는 반경을 가지는 원위 오목 시트를 가지고 있어서 제 2 볼 조인트를 형성한다.
EP2,835,110호는 각도 및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볼 조인트와 볼 조인트 각도 제한 커버를 가지는 보철물-장착 브라켓을 기술하고 있다.
US9,320,577호는 치과 임플란트 지대주 연결 조립체로서, 치과 임플란트에 고정하도록 개조된 시팅부(seating portion)와, 소켓(socket)에서 사용자-선택할 수 있는 나사산 보어 내에 볼 조인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산 포스트(threaded post)가 구비되어, 치과 보철물을 조인트 조립체로 고정하기 위한 볼 헤드에 부착된 통합 위치조정 부착 캡을 적절하게 배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형 헤드를 가지는 볼부(ball portion)를 포함하고 있다.
구형 부분을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다른 고정 시스템으로서, 캐비티를 형성하는 시트(seat)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은 WO2015/152815호에 기술되어 있다. 고정 시스템(fixing system)은, 몸체가 적어도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이들 부품은 함께 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가 치과 임플란트의 구형 부분을 에워쌀 수 있도록, 부품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제 1 위치와, 부품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이 방지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시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부품들이 배치된다.
WO2016/170376호는 또한 임플란트에서 단일 치과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각도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기술하고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시스템의 단점은, 다수의 개별 부품들로 이루어진 구성은 물론이고, 힘이 감소하는 기계적 안정성 및 위치 조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대주 구조의 견고한 배치, 지대주 구조의 컴포넌트의 고정 및 서로에 대하여 추가적인 치과 컴포넌트가 단순한 수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임플란트 지대주의 전체 구조를 더욱 개발하기 위한 작업에 근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작업은 치과 보철물과 같은 치과 컴포넌트용 지대주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데, 지대주는 악골(jaw) 내 배치에 대하여 관상 단부(coronal end)에 위치하는 볼 헤드 리셉터클(ball head receptacle)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인 지대주 베이스; 및 치과 보철용의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인 고정 헤드(fixing head)로서, 상기 고정 헤드는 상기 고정 헤드의 종축(longitudinal axis)과 동축인 관통-보어(thorough-bore)와, 악골 내 배치에 대하여 근첨 단부(apical end)에 배치되는 볼 헤드를 포함하는 고정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볼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볼 헤드의 적어도 절반이,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로 에워싸여 있고,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수단(clamping means)에 의하여,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에 의하여 클램핑 가능하게(clampedably)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악골 내 배치와 관련하여, 치과 보철물, 원추 캡(conical cap)과 같은 치과 컴포넌트의 추후 고정(later fixation)을 위하여, 고정 헤드의 섹션 아래의 근첨 단부에 배열되는 볼 헤드인, 상기 제한 수단(definition means)이라는 의미에서, 반절-볼 헤드(Half-ball head)는 볼 헤드 리셉터클에 의해 에워싸인 적어도 반절-볼(half-ball)이다. 볼 헤드가 볼 헤드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될 때, 볼 헤드는 볼 헤드 리셉터클 내의 선회 개구(swivel opening)에 대하여 가압되어(pressed), 해당 소재의 탄성에 기인하여 볼 헤드 리셉터클 내부로 슬라이딩한다. 이 위치에서, 선회 개구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인하여, 볼 헤드는 재밍(jamming) 없이 이탈(falling out)에 대항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아이스 혹은 액체 질소를 이용하는 이른바 냉각 수축(cold shrinking)에 의하여 볼 헤드를 열로 수축시킴으로써, 리셉터클 내부로의 볼 헤드의 삽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볼 헤드는 냉각 상태에서 볼 헤드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되고, 상온에 노출시키면, 볼 헤드의 적어도 절반은 볼 헤드 리셉터클 내부에 에워싸이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 지대주 베이스와 고정 헤드로 이루어진 지대주는 임플란트 내부로 삽입되고, 고정 헤드 내의 관통 보어를 통과하여 삽입된 고정 나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다.
관통-보어를 관통하는 브레이싱 수단(bracing means)를 도입하여, 고정 헤드는 볼 헤드 리셉터클 내에 지지될(braced)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 헤드의 볼 헤드가 볼 헤드 리셉터클 내로 밀어 넣어진다(jam). 클램핑 수단의 예는 분할 핀(split pin), 만드렐(mandrel) 혹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나사(clamping screw)이고, 클램핑 나사는 고정 헤드의 관통-보어 내에 위치하는 암나사산(internal thread)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어서, 직접적으로 볼 헤드 리셉터클과 접촉을 통하여 재밍(jamming)을 야기하거나, 혹은 볼 헤드의 근첨 단부가 이격되도록 가압함으로써, 볼 헤드 리셉터클에 대항하여 볼 헤드를 간접적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도록(jam) 유도한다.
다른 향상된 실시형태에서, 볼 헤드는, 볼 헤드를 관통하여 관통-보어까지 절삭(cutting thorough)하여 볼 헤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적어도 1개의 슬롯, 특히 적어도 2개의 슬롯(slots)을 가지고, 각각의 슬롯은 관통-보어(84)의 종축(longitudinal axis) 대하여 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axially, 0°)의 각도로 배치된다.
특히, 볼 헤드는, 관통-보어의 양측에서 볼 헤드를 관통/절삭하는 적어도 3개, 4개, 5개, 6개, 8개 또는 10개, 바람직하게는 2의 배수인 슬롯을 가지고 있어서, 예를 들어, 쐐기-모양 볼 헤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각각의 슬롯은 관통-보어의 종축에 대하여 0°의 각도로 배치되어, 슬롯 각각에 대하여 슬롯의 개수로 나뉜 360°의 각도를 가지는,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가로질러진(spanned) 평면(planes)이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면 내에 관통-보어의 축이 항상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롯은 볼 헤드의 외측에서부터 관통-보어까지 연장된다. 짝수 개수의 슬롯이 존재한다면, 슬롯들은 바람직하게는 한 평명에서 상호 대향 배치되어(arranged opposite), 볼 헤드를 슬롯 개수에 상응하는 볼 헤드 세그먼트의 개수로 분리시킨다. 4개, 6개, 8개 혹은 그 이상의 슬롯이 존재한다면, 해당 세그먼트는 4개, 6개, 8개 혹은 그 이상 개수의 쐐기-형상 볼 헤드 세그먼트의 형상을 갖는다.
볼 헤드를 관통하여 관통-보어까지 절삭한 적어도 1개의 슬롯의 축 방향 길이는 볼 헤드의 축 방향 직경(axial diameter)의 적어도 절반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볼 헤드 내의 슬롯들은 중공 원통형상 고정 헤드로의 전이 영역(transition area)까지, 클램핑 나사에 대한 나사산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롯(들)이 축 방향 길이는 볼 헤드의 직경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볼 헤드를 관통하여 관통-보어까지 절삭한 적어도 1개의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볼 헤드의 근첨 단부(apical end)를 향해 개방도어 있어서, 볼 헤드 리셉터클 내에서 볼 헤드 세그먼트 상부에서 볼 헤드의 밀어 넣어짐(jamming)이 용이해진다. 볼 헤드는, 볼 세그먼트 쐐기 방식으로, 슬롯에 의하여 4개, 6개 혹은 8개의 볼 헤드 세그먼트로 분리되다. 볼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구형 캐비지(spherical cavity)를 가지며, 따라서 볼 헤드 세그먼트는 각각 컵-형상 형태를 갖는다.
특히, 고정 헤드를 관통하는 관통-보어는 가이드 섹션과, 클램핑 섹션과, 가이드 섹션과 마주하는 클램핑 섹션의 단부에 배치되는 암나사산(internal thread)을 포함하고, 가이드 섹션 내부로 클램핑 나사가 나사체결 된다. 나사체결 위치에서 클램핑 나사가 볼 헤드 세그먼트를 볼 헤드 리셉터클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clamp), 클램핑 나사는 그 길이와 직경이 치수 결정된다(dimensioned).
볼 헤드를 관통하며, 바람직하게는 볼 헤드 내에서 확장되어(widened) 중공 볼을 형성하는 관통-보어는 슬롯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최대 직경 범위의 하부에, 통상적으로 슬롯의 축 방향 길의 중앙이나 그 아래에, 클램핑 섹션 내에 내측 칼라(inner collar) 혹은 테이퍼 형상 에지(tapered edge)를 가질 수 있으며, 나사체결 될 때 클램핑 나사는 내측 칼라 혹은 테이퍼 형상 에지에 안착하여(rests), 볼 헤드 세그먼트가 이격되도록 가압하고(pressing apart), 나사체결 위치에서 이들 세그먼트를 볼 헤드 리셉터클 내의 정렬된 위치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특히 취약 소재(brittle materials)의 경우, 볼 헤드 리셉터클 내부로 볼 헤드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지대주 베이스는 고정 헤드와 마주하는 선회 개구(swivel opening)에 나사산, 바람직하게는 단지 1개의 나사산을 가질 수 있고, 고정 헤드가 볼 헤드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될 때, 이 나사산은 고정 헤드의 볼 헤드, 바람직하게는 볼 헤드의 최대 직경 영역 내에 배치되는 대응하는 나사산, 바람직하게는 단지 1개의 대응하는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다(engaged with). 이에 따라, 나사산이 구비된 볼 헤드는 볼 헤드 리셉터클의 선회 개구에서 나사산 내부로 나사결합 될 수 있고, 1회 이상의 회전 후, 볼 헤드는 볼 헤드 리셉터클에 의해 에워싸이고, 선회 개구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 안에서 볼 헤드 리셉터클 내에서 선회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지대주 베이스는 고정 헤드와 마주하는 선회 개구(swivel opening) 상에 적어도 1개의 그루브 혹은 돌출부(projection)을 가질 수 있는데, 고정 헤드가 볼 헤드 리셉터클 내부에 삽입될 때, 그루브 혹은 돌출부는, 각각의 경우에 설상돌기-그루브 연결 방식으로, 고정 헤드의 볼 헤드 상부에 배치되는, 바람직하게는 볼 헤드의 최대 직경 영역에서, 대응하는 돌출부 혹은 그루브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루브 혹은 설상돌기가 구비되는 볼 헤드는 볼 헤드 리셉터클의 선회 개구에서 대응하는 설상돌기 혹은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으며, 짧은 삽입 후에 볼 헤드는 볼 헤드 리셉터클로 에워싸여서, 선회 개구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 안에서 볼 헤드 리셉터클에서 선회될 수 있다.
이동성(mo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대주 베이스의 전면 에지(front edge)에 선회 개구에 대한 챔퍼(chamfer)가 또한 제공될 수 있어서, 이로 인하여 선회 각도(swivel angle)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바디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지대주가 구비된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상 요부가 구비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인 베이스 바디와 환상 요부(annular recess)와 동축인 보어(bore)가 구비되며, 악골 내부에 도입된 보어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 나사를 고정하기 위하여 근첨 방향에 배치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베이스 바디와, 베이스 바디의 환상 요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지대주 베이스와 고정 헤드로 구성되는 지대주가 구비된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지대주는 환상 요부와 동축 방향으로 지대주 베이스를 관통하는 보어를 가지고 있어 근첨 수나사산(apical external thread)와 관상 나사 헤드(coronal screw head)가 구비되는 고정 나사(retaining screw)를 수용할 수 있고, 혹은 지대주 베이스의 근첨 단부에 수나사산이 제공될 수도 있다.
지대주는, 지대주 베이스의 보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나사에 의하여 베이스 바디에 고정되거나, 지대주 베이스 상의 근첨 수나사산에 의해 베이스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과 관련하여, 고정 나사는 알렌 키(Allen key, 6각 렌치)에 의해 베이스 바디의 근첨 단부에 위치하는 나사산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는데, 고정 나사는 나사 헤드 내에 위치하는 알렌 키를 체결하면서, 고정 헤드의 축 방향 보어를 관통하여 지대주 베이스의 보어 내부로 삽입되어, 알렌 키 나사 헤드(Allen key screw head)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지대주가 근첨 단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계되면, 예를 들어 스패너와 같은 도구에 의하여, 볼 헤드 리셉터클의 외측에 제공되는 플랫 스패너(spanner flats)을 사용하여, 지대주는 베이스 바디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와 지대주 상의 대응하는 섹션들은 튜브-인-튜브 섹션들(tube-in-tube sections)로 설계될 수 있어서, 또한 색인 요소(indexing elements)로도 알려져 있는 형상-맞춤 요소 없이도, 지대주가 베이스 바디에서 안내되고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설계에서, 지대주 베이스와 고정 헤드로 이루어진 지대주는 지대주 베이스를 경유하여 베이스 바디 내부로 삽입된다. 지대주 베이스는 고정 나사에 의하여 혹은 근첨 단부에 위치하는 나사산에 의해 베이스 바디 내에 고정되며, 고정 헤드는 원하는 위치 내부로 선회하여, 클램핑 나사에 의하여 지대주 베이스 내에 고정된다. 고정 헤드 상에, 고정 헤드 상의 암나사산 또는 수나사산을 경유하여, 치과 보철물, 치과 원추(dental core) 또는 치과 보철물용 캐리어(carrier)와 같은 치과 컴포넌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치과 보철물 또는 캐리어는 클램핑 나사의 나사 헤드 내의 나사산을 경유하거나 또는 치과 접착제(dental cement)를 통하여 패스닝 헤드(fastening head)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나사가 구비된 지대주 베이스의 실시형태 또는 근첨 단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지대주 베이스의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바디와 지대주의 대응하는 섹션들은, 대응하는 직경이 구비된 튜브-인-튜브 베어링(들)로 설계되거나, 또는 가능하게는 다른 대응하는 단차형 원통형상 섹션(stepped cylindrical sections)dl 구비된 대응하는 형상-맞춤 섹션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바디와 지대주는 서로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맞춤 섹션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 바디의 형상-맞춤 섹션과 지대주의 지대주 베이스 상의 형상-맞춤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바디의 종축과 동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바디 상의 방사상 내측으로 향하는(radially inwardly directed) 설상돌기와, 지대주 상의 대응하는 그루브가 설상돌기-그루브 연결 방식으로서의 형태를 가지면서, 형상이 서로 상보적인 2개 내지 6쌍의 형상-맞춤 요소들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다각형(inner polygons; 바람직하게는 2각, 삼각, 4각, 5각, 6각), 캠(cams), 압입(indentations), 모르스 테이퍼(Morse taper) 및 모르스 원추(Morse cone)에서 선택되는,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6개의, 나사체결 요소들이 베이스 바디에 제공되는데, 나사체결 요소들은, 나사체결 도구 상의 외측 다각형(바람직하게는 2각, 3각, 4각, 5각, 6각), 압입, 모르스 테이퍼 또는 모르스 원추와 같이 각각 상보적인 나사체결 요소가 구비된 나사체결 도구에 의하여, 베이스 바디를 악골 내부로 나사체결 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바디 상의 나사체결 요소에 상보적인 나사체결 요소들은 지대주 베이스 상에 배치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색인 요소로 또한 알려진 형상-맞춤 요소들이 베이스 바디 상의 나사체결 요소들과 접촉하지 않으며, 이들 나사체결 요소들로부터 별도로 설계되는 방식으로, 형상-맞춤 요소들이 지대주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나사체결 도구의 도움을 받아 베이스 바디가 악골 내부로 나사체결 되었을 때, 상기 나사체결 요소를 통해, 소망된다면 추가적으로 나사체결 요소와, 나사체결(screw-in) 방향 혹은 나사해제(screw-out) 방향으로 배치된 설상돌기의 외측면(lateral surface) 및/또는 루트(root) 사이의 접촉을 통해서만 힘의 인가가 발생할 수 있도록, 이 실시형태가 설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상돌기-그루브 연결의 형상-맞춤 요소는 베이스 바디 상의 2개의 인접한 나사체결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바디의 종축과 동축인 방사상 내측으로 향하는 설상돌기 형태를 가지는 2개 내지 6개의 상보적인 형상-맞춤 요소를 사용하여, 나사체결 요소는 2개의 인접한 형상-맞춤 요소 사이에서 베이스 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지대주/고정 헤드 상의 키 표면(key surfaces)을 체결하는 나사체결 도구의 도움을 받아 지대주를 경유하는 힘의 적용에 의하여 베이스 바디가 악골 내부로 나사체결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바디의 형상-맞춤 섹션과 치과 임플란트의 지대주 베이스의 형상-맞춤 섹션은, 지대주 베이스가 베이스 바디 내부로 삽입될 때 상호간에 체결되는 상보적인 나사체결 요소에 의하여 악골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는데, 상호 상보적인 나사체결 요소들의 체결 위치(engagement position)에서 베이스 바디와 지대주 베이스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non-rotatably) 고정되며, 베이스 바디와 지대주 베이스 상의 상호 상보적인 나사체결 요소들은 상보적인 형상의 독립적인 쌍의 나사체결 요소들respective pairs of screw-in elements)로서 설계되는데, 이러한 독립적인 쌍은 (바람직하게는) 내측 에지-외측 에지, 캠-압입 및 모르스 테이퍼-모르스 테이퍼의 쌍들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에 있어서, 베이스 바디의 환상 요부는 근첨 가이드 섹션과, 근첨 가이드 섹션에 관상 방향에 배치되는 형상-맞춤 섹션과, 형상-맞춤 섹션에 대하여 관상 방향에 배치되는 관상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 이어서 지대주 베이스는 베이스 바디 각각의 섹션들에 대응하는 근첨 가이드 섹션과, 형상-맞춤 섹션과 관상 단부 섹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고정 나사가 사용되는 경우, 지대주 베이스의 선회 개구 내에 배치되는 고정 헤드가 손상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 위치에 있는 고정 나사의 나사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지대주 베이스 내에 함몰되어 있다(recessed).
볼 헤드 리셉터클이 구비된 지대주 베이스와, 근첨 볼 헤드가 구비된 볼 헤드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지대주를 사용할 때, 지대주 베이스가 정렬된 위치로 고정된 후에, 선회 개구 내부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고정 헤드의 의도하였던, 대부분은 수직 위치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헤드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베이스 바디와 지대주 사이에 색인을 사용하는 것은 전혀 필요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 및 지대주가 포함되는데, 이는 도 7 내지 10에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베이스 바디의 대응하는 섹션과 거의 동일 직경을 가지는(equiradial), 적어도 2개의 섹션이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튜브-인-튜브 장착(tube-in-tube mounting) 방식으로 베이스 바디의 환상 요부에 지대주 베이스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rotatably mounted) 치과 임플란트와, 베이스 바디와 지대주 베이스가 일체로(in one piece) 형성된 이러한 치과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대주 또는 베이스 바디의 컴포넌트들은 CNC 공정 혹은 레이저 공정을 사용하여 블랭크(blanks)로부터 기계적 가공(mechanical process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들 공정은 구조-구축(structure-building) 공정과 구조-제거(structure-removing) 공정을 포함하며, 블랭크 또는 파우더(powder)에 대한 고-에너지 방사의 적용을 이용한다.
구조-제거 공정으로서, 아래쪽(underlying) 레이저 혹은 기판(substrate)을 크게 손상하지 않으면서, 블랭크/기판으로부터 개별 레이어(layers)를 매우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레이저 절제술(laser ablation)이 사용될 수 있다. 절제된 구조는 스폿-형상(spot-shaped), 선형(linear) 또는 평평할(flat)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와 같은 3차원 객체(objects)를 제조하기 위한 구조적 혹은 레이어 구축 공정으로 다음 공정이 언급된다: 신속 조형(Rapid Prototyping), 신속 금형(Rapid Tooling), 신속 제조(Rapid Manufacturing), 레이저 소결(Laser Sintering) 및 EBM.
아울러, 임플란트 표면에 미세구조(microstructure)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레이저 마이크로소결(laser macrosintering) 공정이나 레이저 절제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품질의 세라믹 파우더의 처리가 가능하다.
이들 처리에서 기본적인 필요조건은 통상적으로 제품의 기하학적 데이터가 3차원으로 얻을 수 있고, 레이어 데이터로서 가공되는 것이다. 컴포넌트에 대한 입수 가능한 CDA 데이터로부터, 해당 데이터는 데이터 포맷, 예를 들어 STL 포맷으로 변환되어, 전술한 공정에 의하여 특히 블랭크의 표면을 구조화(structure)할 수 있게 되거나 혹은 파우더로부터 구조화된 방식으로 블랭크를 구축한다(build up).
신속 조형 공정과 관련해서 또한 공지된 디바이스(devices)는 각각 이러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3차원 데이터 모델로부터 기하학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STL 데이터 세트로 변환된 주기함수(periodic function)로 표현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패턴으로 블랭크의 표면을 고-에너지 방사에 노출시킴으로써, 규칙적인/주기적으로 반복되는(regular/periodically repeating) 마이크로구조가 구비된 표면이 제조될 수 있는 공정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이에 따라 구조-제거 공정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구조-구축 공정을 사용하여 규칙적인/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마이크로구조가 제공되는 블랭크가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구축 공정에 있어서, 캐리어(carrier)로서 블랭크 상에 존재하는 파우더의 양은, STL 데이터 세트로 변환된 주기함수로부터 표현될 수 있는 1개 혹은 수개의 패턴에서, 1단계 혹은 통상적으로는 다수의 단계에서 고-에너지 방사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이 구비된 구조는 블랭크 상에 생성된다.
덜 복잡한 대안은, 표면 소재를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구조가 생성되는 구조-제거 공정이다.
구축 공정이나 절제 공정에 의하여, 규칙적인 마이크로구조 표면이 제공되는 수득된 블랭크는 또한, STL 데이터 세트로 변환된 주기함수로부터 유래된 주기함수를 사용하여 제 2의 마이크로구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처리되고/처리되거나, 나노구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습식(wet) 화학적 처리될 수 있다.
지대주 또는 임플란트의 소재는 금속, 금속 합금, 세라믹 소재(예, 지르코늄 옥사이드), 글라스, 고분자(예, PEEK, polyetherehterketones)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대주 및/또는 임플란트는 금속, 금속 합금 및 세라믹 소재가 구비된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임플란트 소재는 순수 티타늄 또는 금속 티타늄 합금, 크롬/니켈/알루미늄/바나듐/코발트 합금(예, TiAlV4, TiAlFe2.5), 스테인리스스틸(예, V2A, V4A, 크롬-니켈 316L)과 같은 금속 소재, 또는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지르코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와 같이 세라믹 소재가 구비된 이들 금속 소재의 조합인데, 금속 소재는 세라믹 소재와 복합 소재(composite material)로 존재한다. PEEK와 같은 고분자를 포함하는 비-금속 소재가 또한 다른 소재와 조합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대주 베이스가 금속, 금속 합금 및 세라믹 소재가 구비된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소재로 제조되고, 고정 헤드는 PEEK와 같은 고분자 소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다면 특히 유익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고정 헤드를 지대주 베이스 내부로 삽입할 때와, 지대주 베이스의 볼 헤드 리셉터클 내로 고정 헤드를 클램핑/체결(clamping/tightening)할 때 모두, 해당 소재의 유연성, 특히 고정 헤드의 고분자 소재의 유연성은 유익하다. 한편으로, 볼 헤드를 지대주 베이스의 볼 헤드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다른 한편으로, 클램핑 나사를 사용하여 정렬된 위치로 볼 헤드를 죄는(clamp) 것이 더욱 용이하다. 임플란트가 악골 내부로 삽입된 뒤, 임플란트 내부로 삽입된 지대주는 통상 수직 정렬되는데, 예를 들어, 치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 헤드 상부에 배치될 치과 컴포넌트가 지대주 베이스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대주를 경유하여 베이스 바디로 하중을 견딜 수 있고(load-bearing), 견고한 연결이 생성된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치과 임플란트와, 지대주 및 그 컴포넌트 설계의 실시예로서, 개략적인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지대주가 구비된 단일 치아 임플란트의 일례로서, 단일 치아 임플란트의 종축 방향 단면도와 상부에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임플란트 베이스 바디 설계의 일례로서, 좌측에 우측 정면도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상부로부터의 지대주 베이스의 평면도와, 하부로부터의 지대주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지대주 베이스 바디 설계의 일례로서, 우측에 좌측 정면도에서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상부로부터의 지대주 베이스의 평면도와, 하부로부터의 지대주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고정 헤드 설계의 일례로서, 우측에 좌측 정면도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상부 및 하부로부터의 고정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인장 나사(tensioning screw) 설계의 일례로서, 우측에 좌측 정면도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상부로부터의 인장 나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고정 나사(retaining screw) 설계의 일례로서, 우측에 좌측 정면도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상부로부터의 고정 나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지대주 베이스의 다른 예로서, 우측에 좌측 정면도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상부로부터의 지대주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지대주 베이스의 다른 예로서, 우측에 좌측 정면도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상부로부터의 지대주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지대주 베이스의 다른 예로서, 우측에 좌측 정면도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상부로부터의 지대주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임플란트 베이스 바디와 지대주 베이스의 일체형(one-piece) 설계의 일례로서, 우측에 좌측 정면도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종축 단면도와, 베이스 바디의 상부와 하부로부터의 평면도이다.
도 1은 임플란트 베이스 바디(10)와, 베이스 바디(10)의 환형 요부 내부로 삽입되며, 고정 나사(retaining screw, 12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지대주(40)를 나타내고, 지대주(40)는 지대주 베이스(50)와 고정 헤드(fixing head, 80)을 구비하고, 지대주 베이스(50)와 고정 헤드(80)는 클램핑 나사(clamping screw, 100)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는 도 1의 아래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근첨 단부(apical end)가 폐쇄되어 있고, 도 1 상부의 관상 단부(coronal end)를 향해 개방된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 12)를 가지고 있는데, 블라인드 보어(12)의 근첨 단부에 암나사산(internal thread, 14)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지대주 베이스(50)를 위한 고정 나사(120)가 상기 암나사산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다. 보어(12)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중공 원통 형상 환형 요부(hollow cylindrical annular recess, 16)가 관상 방향에서 베이스 바디(10)의 암나사산(14)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 환형 요부(16)는 3개 영역(18, 20, 22)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따르면, 환형 요부(16)는 암나사산(14)에 관상 방향으로(coronally) 연결되는 가이드 섹션(guide section, 18)을 가지고 있다. 환형 요부(16)의 가이드 섹션(18)은 관상 방향으로 형상-맞춤 섹션(form-fitting section, 2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데, 형상-맞춤 섹션(20)은 가이드 섹션(18)과 비교하여 증가한 내경을 가지고 있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설계에서, 3개의 방사상 내측 방향의(radially inwardly directed) 설상돌기(tongues, 26)가 구비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 형상인(conical) 내벽(32)을 가질 수 있다. 설상돌기(26)는 설상돌기-그루브 연결 방식으로 도 3에 도시된 지대주 베이스(50)의 그루브(groove, 74)에 대응되도록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들 설상돌기와 그루부가 형상-맞춤 섹션(20)의 전체 축 방향 길이를 넘어 연장되는 방식으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설상돌기(26)는 기계적 또는 전기화학적 가공(machining)m에 의하여 베이스 몸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형상-맞춤 섹션(20) 내부에서 2개의 설상돌기 사이에 나사체결(screw-in) 요소로서, 내측 에지 면(inner edge surface, 30)이 제공될 수 있는데, 베이스 몸체(10)를 악골 내부로 나사 체결하는 동안에, 내측 에지 면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나사체결 도구의 대응하는 외측 에지 면 또는 그렇게 설계된다면,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대주(40)의 대응하는 외측 에지 면이 나사체결 요소로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에지 면(72)으로서 설계된 1개 이상의 나사체결 요소들이 지대주 베이스 상에 설계될 수 있는데, 또한 방사상 돌출되도록 설계될 수 있는 상기 외측 에지 면의 평탄 면(flat surface)이, 적어도 나사체결 방향에서, 끝단(tip)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설상돌기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나사체결 과정에서 설상돌기의 끝단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베이스 바디로 토크(torque)의 전달이 지지될 수 있다. 방사상 설상돌기/그루부가 2쌍의 나사체결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면, 회전 방향으로 토크의 전달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치과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각 쌍의 나사체결 요소에서 설상돌기의 루트(root)와 그루브의 에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상호작용/지지 또는 정지(stop)가 존재할 수 있다.
기계적 및 기하학적 이유로 인하여, 베이스 바디(10) 상에서 내측 에지 면과 같은 3개의 나사체결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내측 에지 면과 같은 2개 내지 6개의 나사체결 요소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지대주 베이스(50)를 삽입할 때, 베이스 바디(10) 상의 형상-맞춤 요소와 지대주 베이스(50)가 신뢰성 있게 체결(engages)되기만 한다면, 도시하지 않은 나사체결 도구의 외측 에지면 또는 지대주 베이스(50)의 외측 에지 면(72)에 대응되는 내측 에지 면에서 나사체결 요소로서 체결될 수 있다. 내측 에지 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설계 형태에서 설상돌기(26)와 같은 돌출부(projections)가 적절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힘 전달이나 색인(indexing)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유로서, 설상돌기와 내측 에지 면은 형상-맞춤 섹션의 전체 축 방향 길이를 초과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형상이 상보적인, 나사체결 도구의 외측 에지 면이나 또한 지대주 베이스의 외측 에지 면을 경유하여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가이드 섹션(54)이 구비된 관통-보어(52)와, 나사체결 되었을 때, 원추 칼라(cone collar, 58)와 접촉하는 클램핑 나사(100)를 위한 수용 섹션(56)이 구비된 본질적으로 원통 형상인 지대주 베이스(50)를 나타낸다. 관상 단부와 마주하는 상부 영역에서, 볼 헤드 리셉터클(60)은 선회 개구(62)의 직경을 가지면서 위치하고 있는데, 선회 개구의 직경은 볼 헤드 리셉터클의 최대 직경과 비교해서 감소한다. 관상 단부 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면(circumferentially abutting face, 64)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면은 볼 헤드 리셉터클(60)과 선회 개구(62)를 위한 원주 챔퍼(circumferential chamfer, 63)를 가지고 있어서,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에서 고정 헤드(80)의 선회가 용이해진다.
고정 나사(120)가 베이스 바디의 근첨 단부에 제공되는 나사산(14) 내부로 나사체결 될 때, 나사 헤드(126)는 원추 칼라(58)와 접촉한다. 나사 헤드가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에 위치하고 있는 볼 헤드(82)의 자유로운 선회를 허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나사 헤드가 치수 결정된다(dimensioned).
크라운 혹은 보철물용 홀더(holder)의 형태로, 도시하지 않은 치과 컴포넌트가 전면(front face, 6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대주 베이스(50)가 베이스 바디(10) 내에 견고하게 끼워지는지(fits securely)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섹션(66), 형상-맞춤 섹션(68) 및 말단 섹션(70)은 지대주 베이스(50)의 외측에 제공된다. 지대주 베이스(50)를 베이스 바디(10) 내부로 삽입할 때, 안내를 위하여 가이드 섹션이 사용된다. 형상-맞춤 섹션 내에, 그루브와 같은 형상-맞춤 요소들이 배치되며, 색인(indexing)을 위하여 베이스 바디 상의 대응하는 설상돌기와 체결하는데 기능하며, 소망된다면, 바람직하게는 외측 다각 면(external polygonal surfaces)의 형태로, 나사체결 요소들이 또한 제공되는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형상-맞춤 요소들 사이에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예를 들어, 지대주 베이스의 근첨 단부 내의 그루브 혹은 설상돌기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볼 헤드 리셉터클의 외측에 색인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가 악골 내부로 나사체결 된 뒤에 지대주 베이스(50)는 베이스 바디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베이스 바디 및 지대주 내에 위치한 전술한 형상-맞춤 그루브에 의해, 만약 존재한다면 다각 면 쌍에 의하여 회전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4에 나타낸 고정 헤드(80)는 관통-보어(84), 치과 보철물용 고정 섹션(98), 고정 섹션(98)으로부터 근첨 방향으로 배치된 볼 헤드(82)를 포함하며, 볼 헤드는 지대주 베이스(50)의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에 삽입하기 위한 의도이다. 관통-보어는 관상 측면에 가이드 섹션(94)과, 근첨 측면에 클램핑 섹션(86)을 가지고 있어서, 고정 헤드(80)가 지대주 베이스(50) 내의 볼 헤드가 리셉터클(60) 내부로 삽입된 뒤에, 도 5에 나타낸 클램핑 나사(100)가 가이드 섹션 내부로 삽입되고, 클램핑 섹션의 나사산(90) 내부로 나사체결 된다. 나사 팁이, 또한 볼 헤드 섹션(82) 내에 비치되는 중공 볼 섹션으로 설계될 수 있는, 내측 칼라(82)와 접촉하는 경우, 인장 나사(tensioning screw, 100)가 더욱 나사체결 되고, 지대주 베이스(50)의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볼 헤드(82)를 조임에 따라(clamp), 도 4에서 하부로부터의 평면도로서 좌측 상단에 도시하고 있는 4개의 볼 헤드 세그먼트(ball head segment, 96)가 밀려 이격된다(pushed a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상의 이유로 인하여 2개, 4개, 6개 혹은 8개와 같은 2의 배수인 볼 헤드 세그먼트(96)가 유리하지만, 이보다 많거나 적은 개수의 볼 헤드 세그먼트(96)가 또한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나사(100)가 도 4에 따른 고정 헤드(80) 내의 나사체결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인장 나사(100)의 길이와 직경이 치수 결정되어, 바람직하게는 볼 헤드(82)의 축 중심(axial center)에서부터 볼 헤드(82)의 근첨 단부까지 형성되는 관통-보어(84)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내측 칼라(88)에 대하여 나사 팁(106)이 안착되고(rests), 슬롯(slot, 92)에 의하여 이격 형성된 볼 헤드 세그먼트(96)을 가압하고, 볼 헤드 리셉터클(60)의 벽에 대하여 이들 세그먼트를 가압하여, 이들 세그먼트를 밀어 넣는다.
관통-보어(84)의 종축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롯(92)이 볼 헤드 또는 고정 헤드의 근첨 단부까지(as far as) 끼워지지 않고(not slotted), 세그먼트(96) 사이에 근첨 방향에서 연결된 바(bars)가 존재할 수 있지만, 슬롯이 클램핑 섹션(86)의 근첨 단부까지 연장되어, 볼 헤드 세그먼트(96)가 방사상으로 탄성 이동(resilient radial movement)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또한 클램핑 나사(100)의 나사체결을 해제한 후(unscrewing) 고정 헤드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볼 헤드(82)는, “중공” 방식으로, 내측 칼라(88) 상부, 필요하다면 또한 내측 코어(88)의 하부에서 동축 관통-보어(84) 주변에서 감소된 벽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나사 팁(106)이 내측 칼라(88)와 접촉할 때 볼 헤드 세그먼트(96)가 확장될 수 있고, 인장 나사(100)가 제거될 때 볼 헤드 세그먼트(96)가 원래 형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spring back).
가장 단순한 실시형태에서, 1개의 직경 방향(diametral) 슬롯, 즉, 관통-보어의 축 방향 종축까지 연장되는 2개의 슬롯(부분 슬롯)이 클램핑을 위해 충분하지만,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슬롯, 특히 2의 배수인 슬롯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슬롯이 고정 헤드의 종축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볼 헤드를 향하는 근첨 단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에서, 슬롯에 의하여 상호 분리된 쐐기-형상 볼 헤드 세그먼트(96)가 형성되며, 개별적으로 대략 쐐기-형상 볼 헤드 세그먼트(96)를 연결하는 볼 헤드 베이스에 의하여 볼 헤드 세그먼트가 관상 단부에서 연결된다. 예를 들면, 볼 헤드 세그먼트의 영역에서, 관통-보어 내의 볼 헤드의 가능한 최대 직경 영역에서 원주방향 내측 칼라가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인장 나사가 고정 헤드의 암나사산(90) 내부로 나사체결 될 때, 인장 나사(100)의 나사 팁(106)이 접촉 가압(contact pressure) 하에서 안착하여, 나사체결 위치에서 볼 헤드 세그먼트를 가압하여 이격시킨다.
도 5는 수나사산(104)에 인접한 나사 헤드(102)와 고정 헤드(80)의 내측 칼라(88)와 접촉하기 위한 나사 팁(106)을 구비한 인장 나사(100)를 나타낸다. 인장 나사에서 나사체결 할 수 있도록 6각 소켓(hexagonal socket) 또는 6각 별형상 소켓(hexalobular socket, 108)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 내에 지대주 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낸 고정 나사는 나사 헤드(126)와, 고정 나사(120)의 근첨 단부에 위치하는 수나사산(122)이 구비된 원추 칼라(124)를 갖는다. 도 5에 나타낸 클램핑 나사와 마찬가지로, 고정 나사는 나사 헤드에 배치되는 6각 소켓(128)인 6각 별형상 소켓을 통해 나사체결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50)의 실시형태는, 도 3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50)에서 형상-맞춤 섹션(68) 내에 배치된 형상-맞춤 요소(72)가 없는, 도 3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50) 설계의 변형을 보여준다. 도 7 내지 9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50)에 대응하는 지대주 베이스의 섹션들에 상보적인 베이스 바디(10)의 환상 요부(16)들의 섹션 역시 임의의 형상-맞춤 요소(26)와 나사체결 요소(30)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나사체결 요소(30)를 대신하여 말단 섹션(32) 상에 도 7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50) 상의 플랫 스패너(spanner flat, 132)와 유사한 스패너 플랫을 갖는다.
따라서 도 7은 베이스 바디(10)의 근첨 방향에 배치되는 나사산 섹션(threaded section)이 구비된 지대주 베이스(50)를 보여주는데, 지대주 베이스는 베이스 바디(10)의 대응하는 나사산 섹션(14)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다.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 내지 9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베이스 바디(10)는 해당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으며, 도 7 내지 9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50)의 섹션들은 베이스 바디(10)의 대응하는 섹션들을 가지지만, 각각은 대응하는 형상-맞춤 섹션(68)은 가지지 않는다. 도 7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50)는 나사산 섹션(130), 가이드 섹션(66) 및 말단 섹션(end section, 70)을 가지며, 베이스 바디(10)에 대응하는 섹션들이 구비되어 있다. 섹션(60, 70)은 원통 형상 섹션이며, 플랫 스패너(132)를 체결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지대주 베이스(50)는 베이스 바디(10) 내부로 나사체결 되어, 링 칼라(ring collar, 76)가 베이스 바디(10)의 전면 에지(28)와 접촉한다. 지대주 베이스(50)가 베이스 바디(10) 내부로 나사체결 될 때, 플랫 스패너(132) 혹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볼 헤드 리셉터클(60) 아래쪽의 알렌 키(Allen key, 6각 렌치)를 통하여 그 내측에서 말단 면(28)과 링 칼라(76)가 실링 접촉(sealing contact)할 수 있도록, 섹션들(70, 66, 130)의 축 방향 길이가 치수 결정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볼 헤드 리셉터클(60) 아래쪽에 위치하는 알렌 키를 경유하여 지대주 베이스(50)를 나사체결 할 때의 장점은, 지대주 베이스(50)와 고정 헤드(80)가 나사체결 되기 전에 조립될 수 있어서, 고정 헤드를 통하여 삽입되는 알렌 키를 통하여 지대주 베이스(50)가 베이스 바디(10)의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양(specification)은, 도 3에 나타낸 버전에서 고정 나사(120)에 의한 지대주 베이스(50)의 사양에 대응한다. 도 7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50)가 플랫 스패너를 사용하여 베이스 바디(10) 내부로 나사체결 되고, 지대주 베이스(50)가 베이스 바디(10) 내부로 나사체결 된 뒤, 고정 헤드(80)가 베이스 바디(10) 내부로 체결된다면, 석회 수축(lime shrinkage)과 같은 열 처리 없이 고정 헤드(80)가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헤드는 수치 결정되고/되거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소재로 제조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버전의 지대주 베이스(50)를 나타내는데, 가이드 섹션(18), 형상-맞춤 섹션(20) 및 말단 섹션(22)이 구비된 도 3에 나타낸 지대주(50)를 대신하여, 단지 중공 원통형상 튜브 섹션(140)을 가지고 있으며, 튜브 섹션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 바디(10)의 대응하는 파이프 섹션에 삽입되고, 고정 나사(12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며, 고정 나사는 베이스 바디(10) 내부에서 근첨 방향으로 배치된 나사산 내부로 나사체결 되고, 중공 원통형상 가이드 섹션(140)에 의해 안내되어, 수용 섹션(142)에서 나사 헤드가 안착된다.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지대주 베이스950)의 실시형태는, 도 8에 140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나사산 섹션(150)에 관상 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상 섹션(152)을 구비하여, 도 7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대응된다. 도 7에 나타낸 설계와 마찬가지로, 도 9의 설계는 플랫 스패너(132) 상에 작용하는 도구 혹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볼 헤드 소켓(60)의 근첨 방향에 위치하는 알렌 키를 사용하여 베이스 바디(10) 내부로 나사체결 된다. 도 7 및 8에 나타낸 설계와 마찬가지로, 도 7 및 8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나타낸 지대주 베이스 내부로 고정 헤드(8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지대주 베이스(50)는 베이스 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대주 베이스의 볼 헤드 리셉터클(60) 외측에 위치하는 플랫 스패너를 사용하여, 베이스 바디(10)는 악골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다. 볼 헤드 리셉터클(60)이 구비된 임플란트를 악골 내부로 나사체결 한 뒤, 고정 헤드(80)는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부로 삽입되고, 클램핑 나사(100)에 의하여 정렬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색인 요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치과 컴포넌트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 헤드를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정렬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정 헤드(80)의 바람직한 설계는, 냉각 수축과 같은 열 처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 헤드가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PEEK와 같은 고분자 소재인 연성 소재(flexible material)이 바람직하게는 사용되어, PEEK으로 제조되는 볼 헤드(82)가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의 고정 헤드를 고정 헤드에 부착될 치과 컴포넌트의 원하는 위치로 정렬한 뒤, 클램핑 나사(100)를 조여서(tightening) 볼 헤드(82)는 정렬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치과 컴포넌트가 고정 헤드(80) 상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치과용 접착제(dental cement)를 사용하여, 치과 컴포넌트가 전면 에지(64)와 원추 고리(65)에서 지대주 베이스(50)에 결합된다. 지대주 베이스(50)와 고정 헤드(80)가 구비된 지대주(40)의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와 관련해서, 치과 컴포넌트의 이러한 배치가 사용될 수 있다.
10: 베이스 몸체 12: 보어
14: 암나사산 16: 환형 요부
18: 가이드 섹션 20: 형상-맞춤 섹션
22: 말단 섹션 26: 설상돌기
28: 전면 에지
30: 단일 나사체결 요소/내부 다각 면
32: 내벽 34: 클램핑 홈
36: 설상돌기 루트 38: 설상돌기 측면
40: 지대주 50: 지대주 베이스
52: 관통-보어 54: 가이드 섹션
56: 수용 섹션 58: 원추 칼라
60: 볼 헤드 리셉터클 62: 선회 개구
63: 챔퍼 64: 전면
65: 원추 고리 66: 가이드 섹션
68: 형상-맞춤 섹션 70: 단부
72: 외측 다각 면 74: 홈(Groove)
76: 고리 칼라 80: 고정 헤드
82: 볼 헤드 84: 관통-보어
86: 클램핑 섹션 88: 내측 칼라
90: 암나사산 92: 슬롯
94: 클램핑 나사용 가이드 섹션 96: 볼 헤드 세그먼트
98: 고정 섹션 100: 클램핑 나사
102: 나사 헤드 106: 수나사산
106: 나사 팁 108: 6각 별형상 소켓
130: 나사산 섹션 132: 플랫 스패너(spanner flat)
140: 튜브 섹션 142: 수용 섹션
144: 가이드 섹션 150: 나사산 섹션
152: 실린더 섹션
160: 볼 헤드 리셉터클이 구비된 임플란트

Claims (16)

  1.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40)로서,
    악골(jaw) 내 배치에 대하여 관상 단부(coronal end)에 위치하는 볼 헤드 리셉터클(ball head receptacle, 60)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인 지대주 베이스(50); 및
    치과 보철용의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인 고정 헤드(fixing head, 80)로서, 상기 고정 헤드(80)는 상기 고정 헤드의 종축(longitudinal axis)과 동축인 관통-보어(thorough-bore, 84)와, 말단에서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50)과 마주하는 볼 헤드(82)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헤드의 적어도 절반이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50)로 에워싸인 상기 볼 헤드(82)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수단(clamping means, 100)에 의하여,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60)에 의해 클램핑 가능하게(clampably) 고정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4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 헤드(82)는, 상기 볼 헤드(82)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보어(84)까지 절삭(cutting thorough)하여 볼 헤드 세그먼트(96)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슬롯(slots, 92)을 가지고, 적어도 1개의 슬롯(92)은 상기 관통-보어(84)의 종축(longitudinal axis)에 대하여 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0°의 각도로 배치된 지대주(4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 헤드(82)는, 상기 볼 헤드(82)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보어(84)까지 절삭한 적어도 3개, 4개, 5개, 6개, 8개 또는 10개, 바람직하게는 2의 배수인 슬롯(92)을 가지는 지대주(40).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 헤드(82)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보어까지 절삭한 적어도 1개의 슬롯(92)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볼 헤드(82) 직경의 적어도 절반인 지대주(40).
  5.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 헤드(82)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보어(84)까지 절삭한 적어도 1개의 슬롯(92)은 상기 볼 헤드(82)의 근첨 단부(apical end)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지대주(40).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볼 헤드(82)를 관통하는 상기 관통-보어(84)는 가이드 섹션(94)과, 클램핑 섹션(86)과, 상기 가이드 섹션(94)과 마주하는 상기 클램핑 섹션(86)의 단부에 배치되는 암나사산(90)을 포함하고, 관통 보어 내부로 클램핑 나사(100)가 브레이싱 수단(bracing means)으로서 나사 체결될 수 있으며, 볼 헤드 세그먼트(96)에 의하여 지지되는 방식(braced manner)으로, 나사체결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나사가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에 상기 볼 헤드(82)를 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와 직경을 가지도록 치수 결정된(dimensioned) 지대주(40).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볼 헤드(82)를 관통하는 상기 관통-보어(84)는 상기 슬롯(92) 영역에서 상기 클램핑 섹션(96) 내에 내측 칼라(inner collar, 88)을 가지고 있고, 상기 관통-보어(84)에 대하여 상기 클램핑 나사(100)가 나사체결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어서, 위치 고정 방식(positionally secure manner)으로 상기 볼 헤드 세그먼트를 상기 나사체결 위치 내에 있는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에 고정시키는(secure) 지대주(40).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 베이스(50)는 상기 고정 헤드(80)과 마주하는 상기 선회 개구(62)에 나사산, 바람직하게는 단지 1개의 나사산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 헤드(62)가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헤드(820)의 최대 직경을 가지는 영역 내에서, 상기 고정 헤드는 상기 상기 고정 헤드(80)의 상기 볼 헤드(82) 상에서 대응하는 나사산, 바람직하게는 단지 1개의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는 지대주(40).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 베이스(50)는 상기 고정 헤드(80)와 마주하는 상기 선회 개구(62) 상에 적어도 1개의 그루브 또는 돌출부(protrusion)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 헤드(80)가 상기 볼 헤드 리셉터클(60) 내에 삽입될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헤드(82)의 최대 직경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또는 돌출부는, 설상돌기-그루브 연결 방식으로, 상기 고정 헤드(80)의 상기 볼 헤드(82)의 대응하는 돌출부 또는 그루브에 체결될 수 있는 지대주(40).
  10. 베이스 바디(10)와,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지대주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11. 베이스 바디(10)와,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지대주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로서,
    상기 베이스 몸체(10)와 상기 지대주 베이스(50)는 일체로(in one piece) 형성되는 치과 임플란트.
  12. 제 10항에 있어서,
    악골 내에 제공되는 보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인 베이스 바디(10)로서, 환상 요부(16)와, 상기 환상 요부(16)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고정 나사(retaining screw)를 고정하기 위하여 근첨 방향으로(apically) 배치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보어(12)를 포함하는 베이스 바디(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라 상기 베이스 바디(10)의 상기 환상 요부(16)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지대주(40)로서, 상기 지대주(40)는 고정 나사(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환상 요부(16)까지 상기 지대주 베이스(50)를 동축으로 관통하는 보어(52)를 포함하는 지대주(40); 및
    근첨 수나사산(external thread, 122)와 관상 나사 헤드(screw head, 126)을 가지는 고정 나사(120)로서, 상기 고정 나사(120)는 상기 지대주 베이스(50)의 상기 보어(50)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바디(10)의 상기 나사산(14) 내부로 나사체결 될 수 있는 고정 나사(120)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0)와 상기 지대주 베이스(50)는 상보적인 형상-맞춤 섹션(20; 68)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바디(10)의 상기 형상-맞춤 섹션(20)과 상기 지대주 베이스(50)의 상기 형상-맞춤 섹션(68)은 2쌍 내지 6쌍의 형상-맞춤 요소(26; 74)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형상-맞춤 요소는 형상이 상호간에 상보적이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종축에 평행하며, 상기 베이스 바디(10) 상에 형성되는 방사상 내부 방향의 설상돌기(26)와, 설상돌기-그루브 연결 방식으로, 상기 지대주 베이스(50) 상에 위치하는 대응하는 그루브(74) 형태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
  14. 제 1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0)의 상기 환상 요부(16), 바람직하게는 상기 형상-맞춤 섹션(20)에 나사체결 요소(3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체결 요소는 상기 베이스 바디(10)를 나사체결하기 위한 형상-상보적 나사체결 도구를 악골 내부로 체결하기 위하여 설계된 치과 임플란트.
  15. 제 10항,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0)의 상기 환상 요부(16)는,
    근첨(apical) 가이드 섹션(18)과, 상기 근첨 가이드 섹션(18)에 대하여 관상 방향으로(coronally) 배치된 형상-맞춤 섹션(20)과, 상기 형상-맞춤 섹션(20)에 대하여 관상 방향으로 배치된 관상 단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지대주 베이스(50)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대응하는 섹션들에 각각 대응하는, 근첨 가이드 섹션(66)과, 형상-맞춤 섹션(68) 및 관상 단부(70)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16. 제 12항에 있어서,
    튜브-내-튜브 베어링(tube-in-tube bearing) 방식으로, 상기 지대주 베이스(50)는 상기 베이스 바디(10)의 상기 환상 요부(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지대주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바디(10)의 섹션들에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대응하는(almost equiradially corresponding) 적어도 2개의 섹션을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
KR1020207034985A 2018-05-07 2019-05-05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임플란트 지대주 KR202100064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0946 2018-05-07
DE102018110946.6DE 2018-05-07
DE102019203222.2A DE102019203222A1 (de) 2018-05-07 2019-03-10 Implantataufbau für ein enossales Zahnimplantat
DE102019203222.2DE 2019-03-10
PCT/DE2019/100402 WO2019214773A1 (de) 2018-05-07 2019-05-05 Implantataufbau für ein enossales zahnimplant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427A true KR20210006427A (ko) 2021-01-18

Family

ID=6827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985A KR20210006427A (ko) 2018-05-07 2019-05-05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임플란트 지대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137649A1 (ko)
EP (1) EP3790497B1 (ko)
JP (1) JP2021521968A (ko)
KR (1) KR20210006427A (ko)
CN (1) CN112105314A (ko)
AU (1) AU2019265430A1 (ko)
BR (1) BR112020019996A2 (ko)
CA (1) CA3096457A1 (ko)
DE (1) DE102019203222A1 (ko)
ES (1) ES2943470T3 (ko)
WO (1) WO2019214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44461A (en) * 2016-03-06 2017-06-29 Jacobsen Hagay Adjustable adapter for biological structure installation
IT201700123725A1 (it) * 2017-10-31 2019-05-01 Francesco Rueca Moncone per impianti o “abutment”, in particolare per operazioni odontoiatriche in chirurgia assistita
KR20210112302A (ko) * 2018-11-15 2021-09-14 우고 가스파론 치아 임플란트
ES2952731T3 (es) * 2019-12-02 2023-11-03 Terrats Medical S L Un conjunto de implantología dental
CA3180844A1 (en) * 2020-04-22 2021-10-28 Khoury Dent Ltd. Abutment for implant connector
DE102020002480A1 (de) * 2020-04-24 2021-10-28 Johannes Scherer Dentales Verankerungssystem zur Verankerung eines Trägerelements an einem Verankerungs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2601A (en) 1987-12-04 1989-05-23 Hall Surgical Adjustable support for a prosthetic tooth and method
BE1002350A3 (fr) 1988-08-02 1991-01-08 Dury Georges Emile Ladislas Implant.
US5195891A (en) 1990-12-06 1993-03-23 Sulc Josef M Adjustable dental implant system
US5302125A (en) 1992-10-22 1994-04-12 Kownacki Charles D Dental prosthetic implant
DE19959366A1 (de) 1999-12-09 2001-06-13 Stefan Wintermantel Implantataufbau für ein enossales Zahnimplantat
AU6568601A (en) * 2000-06-16 2001-12-24 Gianni Nichinonni Dental implant abutment
EP1547543A1 (de) 2003-12-23 2005-06-29 Steffen Dr. Heitland Abutment für Dentalimplantate
DE102006038395B4 (de) 2006-08-15 2009-01-29 Robert Laux Zahnimplantat mit Primärkrone und Sekundärkrone
DE202008004960U1 (de) * 2008-04-09 2009-08-13 Bego Implant Systems Gmbh & Co. Kg Temporäres Zahnimplantat
US8142193B2 (en) 2009-06-25 2012-03-27 Bar Shalom Eliezer Compound angular joint for connecting an abutment to a dental implant in a predefined angle
ES2386589B2 (es) 2012-04-02 2013-03-25 Terrats Mecanizados, S.L. Aditamento protésico
KR200471489Y1 (ko) 2012-04-04 2014-02-28 왕제원 각도조절과 위치조절이 자유로운 틀니 고정용 어태치먼트
SE538150C2 (sv) 2012-07-11 2016-03-22 Heraeus Kulzer Nordic Ab En skruvkanalsriktande anordning för en dental superstrukturoch metoder för att tillverka en dental superstruktur
US9452029B2 (en) * 2012-12-11 2016-09-27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6456288B (zh) 2014-04-04 2019-09-27 斯姆普莱牙科股份公司 用于牙种植体的紧固系统
US9320577B1 (en) 2015-03-27 2016-04-26 King Saud University Joint assembly for dental implant abutment
HU231077B1 (hu) 2015-04-21 2020-06-29 Elsner Global Llc Szerelvény fogműnek egy fogászati implantátumhoz való rögzítésé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19996A2 (pt) 2021-01-26
JP2021521968A (ja) 2021-08-30
CA3096457A1 (en) 2019-11-14
WO2019214773A1 (de) 2019-11-14
CN112105314A (zh) 2020-12-18
US20210137649A1 (en) 2021-05-13
EP3790497B1 (de) 2022-12-28
ES2943470T3 (es) 2023-06-13
EP3790497A1 (de) 2021-03-17
AU2019265430A1 (en) 2020-11-26
DE102019203222A1 (de)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6427A (ko)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임플란트 지대주
EP2276415B1 (en) Spacer element for use in a dental implant assembly
US4995810A (en) Tool for a prosthetic part
KR10198905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용 임플란트 이식 방법
US8469710B2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JP7550514B2 (ja) 改善された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101238596B1 (ko) 덴탈 임플란트
ES2939947T3 (es) Pieza en bruto de pilar dental y método para fabricar una prótesis dental a partir de dicha pieza en bruto
KR10109158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US20050042573A1 (en) Dental implant and tool and method for effecting a dental restoration using the same
CA2649611C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090298015A1 (en) Digital Abutment For Dental Implant System
CN104602642A (zh) 副件、套件、牙种植体、牙龈成形器、制模件、牙种植体系统和种植体的制造方法
KR20190124283A (ko) 임플란트 시스템
JP6475904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TWI826521B (zh) 用於形成義齒之坯料及製造義齒之方法
KR20200087822A (ko) 보철물이 적절하게 나사조임되거나 클립 유지되는 것을 허용하는 치과 임플란트 상의 보철물을 위한 듀얼 고정 시스템
US20220233280A1 (en) Dental implant system
WO2024170966A1 (en) Modular dental implant
JP2018110885A (ja) 二次部品、セット、歯科インプラント、歯茎型、歯型部品、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インプラン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