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700A - Gip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Gip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700A
KR20210005700A KR1020207034171A KR20207034171A KR20210005700A KR 20210005700 A KR20210005700 A KR 20210005700A KR 1020207034171 A KR1020207034171 A KR 1020207034171A KR 20207034171 A KR20207034171 A KR 20207034171A KR 20210005700 A KR20210005700 A KR 20210005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carboxy
butanoyl
hgip
eth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958B1 (ko
Inventor
우터 프레드릭 조한 호겐도르프
헨닝 토게르센
니콜라스 래이몬드 콕스
패트릭 제이. 니르
리차드 디마르치
브라이언 피난
제스퍼 에프. 라우
스테판 리드츠-런지
파 리우
Original Assignee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1000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05Glucag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45Secret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235Secret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Abstract

본 발명은 용액에서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 및 연장된 작용 프로파일을 갖는 포도당-의존적 인슐린 분비성 폴리펩티드(GIP) 유사체의 유도체인 신규한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GIP 수용체에서 작용제인 이러한 펩티드, 및 체중 조절에 있어서 이의 용도 또는 비만, 당뇨병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과 같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IP 유도체 및 이의 용도
기술분야
본 출원은 용액에서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을 갖고 연장된 작용 프로파일을 갖는 포도당-의존적 인슐린 분비성 폴리펩티드(GIP) 유사체의 유도체인 신규한 펩티드, 및 GIP 유도체의 약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참조에 의한 서열 목록의 통합
"180016 sequence listing_ST25"이라는 명칭의 서열 목록은 58.669바이트이고, 2019년 4월 9일에 생성되었으며,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다.
포도당-의존적 인슐린 분비성 폴리펩티드(위운동 억제 펩티드, 즉 GIP로도 알려짐)는 2개의 내인성 인크레틴(incretin) 중 하나이며, 음식 섭취 후 장내 K-세포에서 방출되는 42개의 아미노산 펩티드 호르몬이다. GIP와 다른 인크레틴, 즉 글루카곤-유사 펩티드-1(GLP-1)은 인크레틴 효과를 설명하는 장의 장내분비 세포-유래의 호르몬으로서, 경구 포도당 접종에 대한 총 인슐린 반응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크레틴 효과로 인해, GIP 수용체는 비만 및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의 치료에서 매력적인 약물 표적이 되어 왔으며, GIP 수용체 작용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GLP-1 수용체 작용제와 조합으로 사용되거나,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 작용제와 조합으로 사용된다. GIP 자체는 디펩티딜 펩티다아제-4(DPP-IV) 매개 불활성화로 인해 혈장 반감기가 짧으며, 용액에서 소섬유(fibrils)를 형성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물리적 안정성이 낮다.
예를 들어 WO 2016/066744, WO 2016/034186, WO 2012/055770, 및 WO 2012/16774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이한 GIP 수용체 작용제 또는 이들의 잠재적인 의료적 용도를 개시하는 특허 출원이 기술된다. GIP/GLP-1 수용체 공동 작용제 및 이의 의료적 용도는 예를 들어 WO 2013/164483 및 WO 2014/192284에서도 연구되었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연장된 작용 프로파일을 갖는 신규한 변형된 GIP 유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hGIP(1-31)(서열번호 3)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을 갖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도체는 hGIP(1-31)(서열번호 3)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을 갖는 GIP 유사체 및 상기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에 부착된 음으로 하전된 변형기(modifying group)를 갖는 GIP 유사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도체는 hGIP(1-31)(서열번호 3)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 및 상기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에 부착된 음으로 하전된 변형기를 갖는 GIP 유사체를 포함하고, 최대 7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즉, hGIP(1-31)와 비교해 최대 8개의 치환을 갖는 것으로 기술될 수도 있음).
일부 구현예에서, 유도체는 hGIP(1-31)(서열번호 3)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 및 상기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에 부착된 음으로 하전된 변형기를 갖는 GIP 유사체를 포함하고, 최대 7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치환은 식 I의 위치 1, 2, 14, 16, 18, 20 및/또는 31에 상응하는 위치 중 하나 이상에 존재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GIP 유사체의 이러한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체의 의료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GIP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GIP 유사체의 유도체는 인간 GLP-1 수용체 및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인간 GIP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데 선택적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GLP-1 수용체 작용제와 조합되어 생체 내에서 활성인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을 갖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5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hGIP(1-31)(서열번호 3)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을 갖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hGIP(1-31)(식 I; 서열번호 3)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 및 상기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에 부착된 음으로 하전된 변형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hGIP(1-31)(식 I; 서열번호 3)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 및 상기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에 부착된 음으로 하전된 변형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식 I은 최대 7개의 아미노산 치환(hGIP(1-31)와 비교해 최대 8개의 치환을 갖는 것으로도 기술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hGIP(1-31)(서열번호 3)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 및 상기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에 부착된 음으로 하전된 변형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식 I은 최대 7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치환은 식 I의 위치 1, 2, 14, 16, 18, 20 및/또는 31에 상응하는 위치 중 하나 이상에 존재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GIP 유사체의 이러한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체의 의료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GIP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GIP 유사체의 유도체는 인간 GLP-1 수용체 및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인간 GIP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데 선택적이다. GLP-1 수용체 및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GIP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selective)"이란 용어는, 시험관 내에서 CRE 루시퍼라아제 기능적 효능 검정과 같은, 수용체 기능에 대한 효능 검정에 의해 측정했을 때 및 EC50 값에 의해 비교했을 때, GLP-1 수용체 및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GKP 수용체에 대해 적어도 10배, 예컨대 적어도 50배, 적어도 500배 또는 적어도 1000배 높은 효능을 나타내는 유도체를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GLP-1 수용체 작용제와 조합되어 생체 내에서 활성인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을 갖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그리스 문자는 기호 또는 상응하는 명칭으로 표시될 수 있다(예: α = 알파; β = 베타; ε = 엡실론; γ = 감마; ω = 오메가 등). 또한, 그리스 문자 μ는 "u"로 표시할 수 있다(예: μl=ul, 또는 μM=uM).
본 명세서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로 제시된 용어는 일반적으로 복수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유도체, GIP 유사체의 유도체, 약학적 조성물 및 이들의 용도가 본원에 기술되며, 여기서 "포함하는(comprises 및 comprising)"과 같은 개방 단부형 용어는 "이루어지는(consists of, consisting of, 등)"과 폐쇄형 용어로 대체된다.
화합물/생성물
GIP 수용체 작용제
수용체 작용제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천연 리간드의 전형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화합물로서 정의될 수 있다(예를 들어, "Principles of Biochemistry ", AL Lehninger, DL Nelson, MM Cox, Second Edition, Worth Publishers, 1993, 763쪽 참조).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GIP 수용체 작용제"는 GIP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정의될 수 있다.
GIP 유사체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hGIP(1-42)"는 인간 글루코오스 의존적 인슐린 방출성 폴리펩티드를 지칭하며, 그 서열은 서열번호 1로서 서열 목록에 포함된다. 1.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펩티드는 천연 hGIP 또는 hGIP로 지정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hGIP(1-31)"는 hGIP(1-42)의 아미노산 1-31을 포함하는, hGIP(1-42)의 절단된 버전을 지칭하며, hGIP(1-31)의 서열은 서열 번호 2로서 서열 목록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GIP 유사체"는 hGIP(1-31)의 변이체인 펩티드 또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용어 "변이체(variant)"는 hGIP(1-31)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펩티드에 사용되며, GIP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환(substitution)"은 펩티드의 백본에서 하나의 아미노산이 다른 것으로 대체되는 것을 지칭한다. 일 양태에서, 아미노산은 보존적 치환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보존적 치환(conservative substitution)"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다른 생물학적으로 유사한 잔기로 대체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로는 유사한 특성을 갖는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작은 아미노산, 산성 아미노산, 극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 소수성 아미노산 및 방향성 아미노산).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는 하나 이상의 비정상적인 아미노산 및/또는 비-아미노산(예컨대 아미노산 모방체)을 GIP 유사체의 서열 내로 치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는 i) 변하는 아미노산 잔기에 상응하는 hGIP(1-31) 또는 hGIP(1-42) 내의 아미노산 잔기(즉, hGIP(1-31) 또는 hGIP(1-42) 내의 상응하는 위치)의 수, 및 ii) 실제 변화를 참조하여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ys24]-hGIP(1-31)는 hGIP(1-31)의 위치 24가 리신으로 치환된 GIP 유사체를 지칭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는 식 I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은 hGIP(1-31)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 잔기를 포함한다: Tyr-Ala-Glu-Gly-Thr-Phe-Ile-Ser-Asp-Tyr-Ser-Ile-Ala-Met-Asp-Lys-Ile-His-Gln-Gln-Asp-Phe-Val-Lys-Trp-Leu-Leu-Ala-Gln-Lys-Gly. 식 I은 서열 번호 3으로 서열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Lys24]-hGIP(1-31)로서 지정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는 hGIP(1-31)와 비교해 최대 8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며, 여기서 위치 24는 항상 1개의 치환을 설명하는 리신이고, 최대 7개의 다른 치환은 위치 24 이외의 위치에 존재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는 hGIP(1-31)와 비교해 최대 7개, 6개, 5개, 4개, 3개, 2개 또는 1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치환은 식 II에 의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식 I의 위치 1, 2, 14, 16, 18, 20, 및 31에 상응하는 위치 중 하나 이상에서 존재한다: X1-X2-Glu-Gly-Thr-Phe-Ile-Ser-Asp-Tyr-Ser-Ile-Ala-X14-Asp-X16-Ile-X18-Gln-X20-Asp-Phe-Val-Lys-Trp-Leu-Leu-Ala-Gln-Lys-X31. 식 II는 서열 번호 48로서 서열 목록에 포함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는 C-말단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드의 형태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는 식 I 또는 식 II에 대한 C-말단 연장부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는 식 III에 의해 기술된 C-말단 연장부를 포함한다: Lys-X33-X34-Asp-Trp-Lys-His-Asn-Ile-Thr-Gln, 여기서, X33은 Lys 또는 Glu이고; X34는 Asn, Glu, 또는 Asp임. C-말단 연장부는 식 I 또는 식 II의 C-말단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식 III의 N-말단 아미노기까지의 아미드 결합을 통해 식 I 또는 식 II에 부착된다. 식 III은 서열 번호 51로서 서열 목록에 포함된다.  
다음은 적절한 유사체 명명법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예로서, [Aib2,Nle14,Arg18,Lys24]-hGIP(1-31)는 hGIP(1-31)와 비교해 4개의 치환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로서, [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는 hGIP(1-31)와 비교해 6개의 치환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치환의 개수가 백본을 지칭하므로, [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는 hGIP(1-31)와 비교해 6개의 치환을 포함한다.
특정 명시된 변화를 "포함하는(comprising)" 유사체는, 각각의 식과 비교했을 때 추가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유사체는 명시된 변화를 "갖는다(has)".
상기 예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아미노산 잔기는 이들의 전체 명칭, 1글자 코드, 및/또는 3글자 코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들 세 가지 방법은 완전히 동등하다.
"동등한 위치(a position equivalent to)" 또는 "상응하는 위치(a position corresponding to)"라는 표현은 hGIP(1-31) 또는 hGIP(1-42)와 같은 주어진 서열을 참조하여 변이체 GIP 서열의 변화 부위를 특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의 맥락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용어 "펩티드(peptide)"는 아미드(또는 펩티드) 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된 일련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아미노산은 아미노기 및 카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분자이며, 종종 측쇄로서 지칭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기를 임의로 함유한다.
"아미노산(amino acid)"이라는 용어는 (20개의 표준 아미노산 중에서) 단백질원성 (또는 코딩된 또는 천연) 아미노산 뿐만 아니라 비-단백질원성 (또는 코딩되지 않은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도 포함한다. 단백질원성 아미노산은 자연적으로 단백질에 통합되는 것들이다. 표준 아미노산은 유전자 코드에 의해 암호화된 것들이다. 비단백질생성 아미노산은 단백질에서는 발견되지 않거나, 표준 세포 기구에 의해 생성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번역 후 변형의 대상이 될 수 있음). 비-단백질원성 아미노산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Aib(알파-아미노이소부티르산), Nle(노르류신)뿐만 아니라 단백질원성 아미노산의 D-이성질체도 있다. 단백질원성 아미노산의 D-이성질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티로신 또는 알라닌의 D-이성질체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D-Tyr 또는 D-Ala로서 기재될 수 있다.
다음에서, 광학 이성질체가 언급되지 않는,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의 모든 아미노산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L-이성질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GIP 유도체
GIP 유사체의 맥락에서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도체(derivative)"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가 펩티드 백본에 공유 부착된, 화학적으로 변형된 GIP 유사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치환기는 N-말단 치환기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양태에서, 치환기는 변환기이거나, 대안적으로 연장 모이어티(protracting moiety) 또는 알부민 결합 모이어티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말단 치환기" 또는 "변형기"는 수소 원자를 치환하는 화학적 모이어티 또는 기를 의미한다.
일 양태에서, GIP 유사체의 유도체는 유사체의 N-말단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알파-아미노기에 공유 부착된 치환기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N-말단 치환기는 알칸오일 또는 아실기이다. 특정 양태에서, N-말단 치환기는 아세틸기이다. N-말단 치환된 아미노산의 일례는 위치 1에서의 Ac-Tyr이다. 이러한 아세틸화는 hGIP(1-31)와 비교해 펩티드 백본에서의 치환으로서 간주되지 않는데, 이는 GIP 유사체의 아미노산이 천연 Tyr이고이고, 예를 들어 N{1}-아세틸-[Aib2,Nle14,Arg18,Lys24]-hGIP(1-31)가 hGIP(1-31)에 비교해 4개의 치환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양태에서, GIP 유사체는 hGIP(1-31) 또는 hGIP(1-42)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아미노산 잔기에 공유 부착된 변형기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변형기는 단백질(예: 알부민)과 비공유 접합체를 형성하여 혈류와 함께 유도체의 순환을 촉진할 수 있으며, GIP 유도체와 알부민의 응집체가 활성 약학적 성분을 방출하기 위해 오로지 천천히 분해된다는 사실로 인해, 유도체의 작용 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변형기는, 아실화에 의해, 즉 변형기의 카르복실산기와 리신기의 엡실론 아미노기 사이에 형성된 아미드 결합을 통해 GIP 유사체의 리신 잔기에 공유 부착될 수 있다. 리신의 아미노기는 환원성 아미노화에 의해 변형기의 알데히드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변형기는 아실화에 의해, 즉 변형기의 카르복실산기와 리신 잔기의 엡실론 아미노기 사이에 형성된 아미드 결합을 통해, hGIP(1-31) 또는 hGIP(1-42)의 위치 24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리신 잔기에 공유 부착된다.
일 구현예에서, 변형기는 A-B-C-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A-는 원위 단부에서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갖는 친유성 모이어티이고 B-C-는 링커이다. 일 구현예에서, 변형기는 A-B-C-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A-는 원위 단부에서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갖는 친유성 모이어티이고 B-C-는 적어도 하나의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링커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친유성 모이어티(lipophilic moiety)"는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8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16 또는 18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방향족 탄화수소 사슬을 의미하며, 상기 탄화 수소는 추가의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는 생리학적 pH(7.4)에서 음으로 하전되는, 음으로 하전 가능한 화학적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의 예는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등배전자체(isostere), 예컨대 설폰산 또는 테트라졸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는 카르복실산 모이어티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원위(distal)"는 부착점 A-에서 B- 방향으로 가장 원격(말단)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동일한 분자식과 결합된 원자의 서열을 갖는 상이한 입체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지만, 공간에서 이들 원자의 3차원 배향만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예시된 유도체의 입체 이성질 현상은 표준 명명법을 사용하여, 명칭 및 구조로 실험 섹션에 나타나 있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된 유도체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GIP 활성을 갖는다. 이 용어는 GIP 수용체에 결합하고 신호 전달 경로를 개시하여 인슐린 분비 작용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생리학적 효과를 일으키는 능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도체는 본원의 실시예 1 내지 6에 기재된 검정을 사용해 GIP 활성 또는 안정성에 대해 시험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본 발명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아미드의 형태일 수 있다.
염은 예를 들어, 염기와 산 사이의 화학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예: 2NH3 + H2SO4 → (NH4)2SO4).
염은 염기성 염 또는 산성 염이거나, 둘 다 아닐 수도 있다(즉, 중성 염). 염기성 염은 물에서 수산화물 이온과 산성 염 하이드로늄 이온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염은 각각 음이온성 기 또는 양이온성 기 사이의 부가 양이온 또는 음이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기는 본 발명의 유도체의 펩티드 모이어티 내 및/또는 변형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음이온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존재 하는 경우) 측쇄에서 뿐만 아니라 펩티드 모이어티에서의 유리 카르복실기를 포함한다. 펩티드 모이어티는 종종 C-말단에서 유리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며, Asp 및 Glu와 같은 내부 산성 아미노산 잔기에서도 유리 카르복실기를 포함할 수 있다.
펩티드 모이어티 내의 양이온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존재하는 경우) N-말단에서의 유리 아미노기뿐만 아니라, His, Arg 및 Lys와 같은 내부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의 임의의 유리 아미노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아미드는 예를 들어, 유리 카르복실산기와 아민 또는 치환된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거나, 유리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와 카르복실산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미드 형성은 펩티드의 C-말단에서 유리 카르복실기, 측쇄에서 임의의 유리 카르복실기, 펩티드의 N-말단에서 유리 아미노기, 및/또는 펩티드 및/또는 측쇄에서 펩티드의 임의의 유리 아미노기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염의 형태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아미드의 형태이고, 바람직하게는 펩티드의 C-말단에서 아미드기를 갖는다.
기능적 특성
제1 기능적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GIP 수용체에서 우수한 효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GIP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능력에 의해 반영되는 바와 같이, 강력한 GIP 수용체 작용제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기능적 양태에서, 이들 둘 다는 단독으로 또는 GLP-1 수용체 작용제와 조합되어 생체 내에서 체중, 음식 섭취 및 포도당 내성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3 기능적 양태에서, 이들은 개선된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4 기능적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물리적으로 안정적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5 기능적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다.
생물학적 활성 - 시험관 내 효능
제1 기능적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도체뿐만 아니라 [Lys24]-hGIP(1-31) 또는 이의 유사체와 같은 구성성분 GIP 유사체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이거나 인간 GIP 수용체에서 강력하다.
일 구현예에서, 효능 및/또는 활성은 시험관 내 효능, 즉 기능적 GIP 수용체 검정에서의 성능을 지칭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GIP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을 지칭한다.
시험관 내 효능은, 예를 들어, 인간 GIP 수용체를 발현하는 막을 함유하는 매질에서 및/또는 인간 GIP 수용체를 발현하는 전체 세포를 이용한 검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GIP 수용체의 반응은 리포터 유전자 검정에서, 예를 들어, 안정하게 형질감염된 BHK 세포주에서 측정되며, 상기 세포주는 인간 GIP 수용체를 발현하고, 프로모터에 결합된 cAMP 반응 요소(CRE)에 대한 DNA 및 반딧불이 루시페라아제(CRE 루시페라아제)에 대한 유전자를 함유한다. GIP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cAMP가 생성되는 경우, 이는 결과적으로 루시페라제의 발현으로 이어진다. 루시페라아제는, 효소에 의해 옥시루시페린(oxyluciferin)으로 전환되고 생체 발광을 생성하는 루시페린(luciferin)을 첨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는데, 생체 발광이 측정되고 시험관 내 효능의 척도이다. 이러한 검정의 한 가지 비제한적인 예는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2에서 기술된다.
반치 유효 농도(EC50)는, 투여량 반응 곡선을 참조하여 베이스라인과 최대 값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응을 유도하는 농도를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EC50은 화합물의 효능의 척도로서 사용되며, 화합물의 최대 효과의 50%가 관찰되는 농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시험관 내 효능을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하여, 문제의 유도체의 EC50을 결정할 수 있다. EC50 값이 낮을수록 효능이 더 좋다.
추가적인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실시예 2의 방법을 사용해 결정된 시험관 내 효능을 가지며, 이는 5000 pM, 더 바람직하게는 900 pM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0 pM 미만,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pM 미만의 EC50에 상응한다.
추가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인간 GLP-1 수용체 및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선택적으로 GIP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다. GIP 수용체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사용된, GLP-1 수용체 및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선택적으로"라는 용어는, 수용체 기능에 대한 시험관 내 검정(예: CRE 루시페라아제 기능적 효능 검정)에서 측정했을 때 및 EC50 값으로 비교했을 때, GLP-1 수용체 및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GIP 수용체에 대해 적어도 10배, 예컨대 적어도 50배, 적어도 500배, 또는 적어도 1000배 더 양호한 효능을 나타내는 유도체를 지칭한다. GLP-1 수용체 및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GIP 수용체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더 양호한 효능"이란 용어는 GLP-1 수용체 대 GIP 수용체의 EC50 값의 비율 또는 글루카곤 수용체 대 GIP 수용체의 EC50 값의 비율에 의해 각각 결정된다.
생물학적 활성 - 생체 내 약리학
제2 기능적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GIP 유도체뿐만 아니라 [Lys24]-hGIP(1-31) 또는 이의 유사체와 같은 구성성분 GIP 유사체는 생체 내에서 강하며, 이는 임의의 적절한 동물 모델에서 뿐만 아니라 임상 시험에서도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식단 유도형 비만(DIO) 마우스는 적절한 동물 모델의 일례이고, 체중, 음식 섭취 및 포도당 내성에 미치는 효과는 이 모델에서 아만성 투여(sub-chronic dosing) 동안에 평가될 수 있다. 체중, 음식 섭취 및 포도당 내성에 대해 본 발명의 GIP 유도체가 미치는 효과는 이러한 마우스의 생체 내에서, 예를 들어, 본원의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음식 섭취는 동물을 한 곳에 수용해서 이들이 매일 소모하는 음식을 계량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은, 경구 또는 복강내(i.p.) 포도당 내성 시험(OGTT 또는 IPGTT)를 수행함으로써 포도당 내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시험은 반공복 상태의 동물에게 포도당 부하(glucose load)를 경구 투여하거나 i.p. 투여하고, 이어서 최대 3시간 동안 혈당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약동학 프로파일
제3 기능적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도체는 개선된 약동학적 특성, 예컨대 증가된 말단 반감기를 갖는다.
말단 반감기의 증가는, 문제의 화합물이 신체로부터 더 느리게 제거됨을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경우, 이는 약리학적 효과의 지속기간의 연장을 수반한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약동학적 특성은 약동학(PK) 연구를 통해 생체 내에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약학적 화합물이 어떻게 신체에 흡수되고, 분포되고, 제거되는지 및 이러한 프로세스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신체 내 화합물의 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약학적 약물의 발견 및 약학적 약물 개발의 전임상 단계에서는 마우스, 랫트, 원숭이, 개 또는 돼지와 같은 동물 모델을 사용해 이러한 특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모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 본 발명의 유도체의 약동학적 특성을 시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동물에게는 일반적으로 약물의 1회 투여량이 연관된 제형으로 정맥내(i.v.), 피하(s.c.) 또는 경구(p.o.) 투여된다. 투여 후 미리 정의된 시점에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관련된 정량 검정을 사용해 약물 농도에 대해 샘플을 분석한다. 이러한 측정에 기초하여, 연구 화합물에 대한 시간-혈장 농도 프로파일을 도표화하고, 데이터에 대한 소위 비구획 약동학 분석(non-compartmental pharmacokinetic analysis)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화합물의 경우, 반대수 그래프로 그렸을 때 혈장-농도 프로파일의 말단 부분이 선형이 되는데, 이는 약물이 초기 흡수 및 분포 후에 일정한 분획 속도(fractional rate)로 신체로부터 제거됨을 반영하는 것이다. 속도(람다 Z 또는 λz)는 그래프의 말단 부분 기울기의 음수와 같다. 이 속도로부터, 말단 반감기를 t½= ln(2) / λz로서 계산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Johan Gabrielsson 및 Daniel Weiner의 문헌[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 Data Analysis. Concepts & Applications, 3rd Ed., Swedish Pharmaceutical Press, Stockholm (2000)] 참조).
제거는 i.v. 투여 후 결정될 수 있으며, 시간에 대한 혈장 농도 프로파일의 곡선 아래 면적(AUC)으로 나눈 투여량(D)으로서 정의된다(Rowland, M 및 Tozer TN의 문헌[Clinical Pharmacokinetics: Concepts and Applications, 3rd edition, 1995 Williams Wilkins] 참조).
신약 화합물의 평가에 있어서, 말단 반감기 및/또는 제거의 추정치는 투약 요법의 평가와 관련이 있으며, 약물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약동학 프로파일 - 미니피그에서의 생체 내 반감기
제3 기능적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도체는 개선된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약동학적 특성은 본원의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i.v. 투여 후 미니피그에서의 생체내 말단 반감기(t½)로서 결정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미니피그의 말단 반감기는 적어도 24시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시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시간이다.
물성
제4 기능적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도체는 용액에서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을 갖는다. 용어 "물리적 안정성"은 폴리펩티드가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이고/이거나 불용성인 응집체, 예를 들어 아밀로이드 소섬유 또는 겔을 형성하는 경향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은, 예를 들어 본원의 실시예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티오플라빈 T(ThT) 소섬유화 검정에서 지연-시간 및/또는 회수율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ThT 소섬유화 검정에서 70%를 초과하거나, 바람직하게는 90%를 초과하거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5%를 초과하거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98%를 초과의 회수율을 갖는다.
추가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ThT 소섬유화 검정에서 10시간을 초과하거나, 바람직하게는 20시간을 초과하거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5시간을 초과하는 지연-시간을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은, 예를 들어 본원의 실시예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적 광 산란 안정성 지수(DLS-SI) 검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추가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본원의 실시예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DLS-SI 분석에서 낮은 DLS-SI 값, 바람직하게는 7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의 DLS-SI 값을 갖는다.
추가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본원의 실시예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DLS-SI 검정에서 침전을 나타내지 않거나 거의 나타내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침전을 나타내지 않는다.
화학적 특성
제5 기능적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도체는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 "화학적 안정성(chemical stability)"이라는 용어는, 온전한 폴리펩티드와 비교해 감소된 생물학적 효능 및/또는 증가된 면역원성 효과를 잠재적으로 갖는 고분자량 단백질(HMWP), 탈아미드화, 이성질체화 및 가수분해 산물과 같은 화학적 분해 산물의 형성을 초래하는 폴리펩티드 구조의 화학적 (특히, 공유 결합의) 변화를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은, 예를 들어, 본원의 실시예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환경 조건에 노출시킨 후 다양한 시점에 예를 들어 SEC-HPLC에 의해 화학적 분해 산물의 양을 측정하여 HMWP의 함량 및/또는 순도 손실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추가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월 35%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7% 미만의 순도 손실을 갖는다.
추가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월 4%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의 HMWP의 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추가적인 특정 구현예는 "특정 구현예"라는 제하의 섹션에서 기술된다.
생성 과정
hGIP(1-31) 및 hGIP 유사체들과 같은 펩티드의 생성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Lys24]-hGIP(1-31) 또는 이의 유사체 또는 단편과 같은 본 발명의 유도체의 GIP 유사체(또는 이의 단편)는, 예를 들어, 고전적인 펩티드 합성, 예를 들어, t-Boc 또는 Fmoc 화학 또는 잘 확립된 기타 기술을 사용해 고상 펩티드 합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Greene 및 Wuts의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1999], Florencio Zaragoza Dφrwald의 문헌["Organic Synthesis on solid Phase", Wiley-VCH Verlag GmbH, 2000], 및 W.C. Chan 및 P.D. White의 편집 문헌["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을 참조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들은 재조합 방법에 의해서, 즉, 유사체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을 함유하고 펩티드의 발현이 가능한 조건 하에 적절한 영양 배지에서 펩티드를 발현할 수 있는 숙주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들 펩티드의 발현에 적합한 숙주 세포의 비제한적인 예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세포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세포주를 비롯하여 포유류 BHK 또는 CHO 세포주이다.
비-천연 아미노산 및/또는 공유 부착된 N-말단 모노펩티드 또는 디펩티드 모방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유도체들은 예를 들어 실험 부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Hodgson 등의 문헌 ["The synthesis of peptides and proteins containing non-natural amino acids", Chemical Society Reviews, vol. 33, no. 7 (2004), p. 422-430]을 참조한다.
다수의 본 발명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는 실험 부분에 포함되어 있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주사 가능한 조성물은 제약 산업의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원하는 최종 생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성분을 적절히 용해시키고 혼합하는 것이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절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도체는 적절한 pH의 적절한 완충액에 용해되어 침전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주사 가능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무균 여과에 의해 멸균된다.
본 발명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아미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들이 당업계에 열려진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부형제"라는 용어는 활성 치료 성분 이외의 임의의 성분을 광범위하게 가리킨다. 부형제는 불활성 물질, 비활성 물질, 및/또는 의약적 비활성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부형제를 갖는 약학적 활성 성분의 제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Remington의 문헌[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예를 들어, 19판(1995), 및 이후 버전)] 참조).
조성물은 안정화된 제형일 수 있다. 용어 "안정화된 제형"은 증가된 물리적 안정성 및/또는 화학적 안정성, 바람직하게는 둘 다를 갖는 제형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가용 기간이 만료되기 전까지 (권장 사용 및 저장 조건을 준수하여) 사용하고 저장하는 도중에 반드시 안정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를 이용하는 치료는, 예를 들어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약리학적 활성 물질과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GLP-1 수용체 작용제와 조합된다. 화합물은, 두 가지 화합물 모두가 포함된 단일 투여 형태로 공급되거나, 본 발명의 유도체의 제제를 제1 단위 투여 형태로서 포함하고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제제를 제2 단위 투여 형태로서 포함하는 성분 키트(kit-of-parts)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와 조합될 GLP-1 수용체 작용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세마글루티드(liraglutide), 엑세나티드(exenatide), 둘라글루티드(dulaglutide), 릭시세나티드(lixisenatide), 타스포글루티드(taspoglutide), 및 알비글루티드(albiglutide)이다. 세마글루티드는 WO2006/097537, 실시예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는 GLP-1 수용체 작용제이며, N6,26-{18-[N-(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L-γ-글루타밀]-10-옥소-3,6,12,15-테트라옥사-9,18-디아자옥타데칸오일}-[8-(2-아미노-2-프로판산), 34-L-아르기닌]인간 글루칸-유사 펩티드 1(7-37)(서열번호 57)로서도 알려져 있다(WHO Drug Information Vol. 24, No. 1, 2010 참조).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WO 2014/170496에 기술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본 서열번호 52, 53, 54, 55, 또는 56을 참조한다.
약학적 징후
본 발명은 또한 위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GIP 유사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는 하기의 의료적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i) 고혈당증, 제2형 당뇨병, 내당능 장애, 제1형 당뇨병,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MODY(연소자의 성인발증형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및/또는 HbA1C의 감소와 같은 모든 형태의 당뇨병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
(ii) 제2형 당뇨병의 진전과 같은 당뇨성 질병 진전의 지연 또는 예방, 내당능 장애(IGT)의 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으로의 진전의 지연, 인슐린 내성의 지연 또는 예방, 및/또는 비-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의 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으로의 진전의 지연;
(iii) 예를 들어 음식 섭취량 감소, 체중 감소, 식욕 억제, 포만감 유발에 의한 섭식 장애(예: 비만)의 예방 및/또는 치료; 향정신 약물 또는 스테로이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폭식 장애, 신경성 폭식증 및/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위 운동의 감소; 위 공복의 지연; 신체 운동성의 증가; 및/또는 골관절염 및/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만 동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iv) (약물 유도성 또는 식단 조절과 운동에 의한)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의 체중 유지 - 즉,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 체중 증가의 예방;
(v) 간 지방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염증 또는 지방 간 등과 같은 간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특정 구현예에서, 징후는 2형 당뇨병 및/또는 비만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체중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식욕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음식 섭취량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만으로 고통받는 모든 대상체는 또한 과체중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본 발명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만으로 고통받는 대상체는 성인 인간 또는 (영아, 어린이, 및 청소년을 포함하는) 소아 인간과 같은 인간이다. 체질량 지수(BMI)는 키와 체중을 기준으로 한 체지방의 척도이다. 산출 공식은 BMI = 체중(kg)/신장(m)2이다. 비만으로 고통받는 인간 대상체는 30 이상의 BMI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대상체는 비만으로도 언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만으로 고통받는 인간 대상체는 35 이상의 BMI 또는 30 이상 내지 40 미만 범위의 BMI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만은 중증 비만 또는 병적 비만이며, 인간 대상체는 40 이상의 BMI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체중 관련 동반 질병의 존재 하에, 과체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체중 관련 동반 질병의 존재 하에, 과체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GIP 유사체의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과체중으로 고통받는 대상체는 성인 인간 또는 (영아, 어린이, 및 청소년을 포함하는) 소아 인간과 같은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과체중으로 고통받는 인간 대상체는 25 이상의 BMI, 예컨대 27 이상의 BMI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과체중으로 고통받는 인간 대상체는 25 이상 내지 30 미만의 범위 또는 27 이상 내지 30 미만의 범위의 BMI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체중-관련 동반 질병은 고혈압,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당뇨병, 이상지혈증, 고콜레스테롤, 및 폐색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체중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체중 감소를 위한 GIP 유사체의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체중 감소의 대상이 되는 인간은 25 이상의 BMI, 예컨대 27 이상의 BMI 또는 30 이상의 BMI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체중 감소의 대상이 되는 인간은 35 이상의 BMI 또는 40 이상의 BMI를 가질 수 있다. 용어 "체중 감소"는 비만 및/또는 과체중의 치료 또는 예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 구현예에 의해 추가로 기술될 수 있다:
1. GIP 유사체의 유도체로서, 다음의 식 I(서열번호 3)을 포함하되:
Tyr-Ala-Glu-Gly-Thr-Phe-Ile-Ser-Asp-Tyr-Ser-Ile-Ala-Met-Asp-Lys-Ile-His-Gln-Gln-Asp-Phe-Val-Lys-Trp-Leu-Leu-Ala-Gln-Lys-Gly (식 I),
위치 24에서,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의 측쇄에 변형기가 공유 부착되고, 변형기는 A-B-C-에 의해 정의되고, A-는 원위 단부에서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갖는 친유성 모이어티이고 B-C-는 링커이며;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와 비교해 최대 8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아미드.
2. 구현예 1에 있어서, 다음의 식 II(서열번호 48)를 포함하되:
X1-X2-Glu-Gly-Thr-Phe-Ile-Ser-Asp-Tyr-Ser-Ile-Ala-X14-Asp-X16-Ile-X18-Gln-X20-Asp-Phe-Val-Lys-Trp-Leu-Leu-Ala-Gln-Lys-X31 (식 II),
식 II는 위치 X1, X2, X14, X16, X18, X20, 및/또는 X31에서 임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와 비교해 최대 8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3. 구현예 1 내지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 II를 포함하되, 위치 X1, X2, X14, X16, X18, X20, 및/또는 X31에서의 아미노산은 (서열번호 49)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X1은 Tyr 또는 D-Tyr이고;
X2는 Aib, Ala, 또는 D-Ala이고;
X14는 Leu, Nle, Asp 또는 Met이고;
X16은 Lys 또는 Ala이고;
X18은 Arg 또는 His이고;
X20은 Gln, Glu 또는 Aib이며;
X31은 Gly 또는 Pro임.
4. 구현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 II를 포함하되, 위치 X1, X2, X14, X16, X18, X20, 및/또는 X31에서의 아미노산은 (서열번호 64)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X1은 Tyr 또는 D-Tyr이고;
X2는 Aib, Ala, 또는 D-Ala이고;
X14는 Leu, Nle, 또는 Met이고;
X16은 Lys 또는 Ala이고;
X18은 Arg 또는 His이고;
X20은 Gln, Glu 또는 Aib이며;
X31은 Gly 또는 Pro임.
5. 구현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 II를 포함하되, 위치 X1, X2, X14, X16, X18, X20, 및/또는 X31에서의 아미노산은 (서열번호 63)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X1은 Tyr 또는 D-Tyr이고;
X2는 Aib 또는 Ala이고;
X14는 Nle, Asp 또는 Leu이고;
X16은 Lys 또는 Ala이고;
X18은 Arg 또는 His이고;
X20은 Gln, Glu 또는 Aib이며;
X31은 Gly 또는 Pro임.
6. 구현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식 II를 포함하되, 위치 X1, X2, X14, X16, X18, X20, 및/또는 X31에서의 아미노산은 (서열번호 50)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X1은 Tyr 또는 D-Tyr이고;
X2는 Aib 또는 Ala이고;
X14는 Nle이고;
X16은 Lys 또는 Ala이고;
X18은 Arg 또는 His이고;
X20은 Gln, Glu 또는 Aib이며;
X31은 Gly 또는 Pro임.
7.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체는 식 II로 표시되고, 위치 X1, X2, X14, X16, X18, X20, 및/또는 X31에서의 아미노산은 다음의 (서열번호 65)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아미드:
X1은 Tyr, Ac-Tyr, D-Tyr 또는 Ac-D-Tyr이고;
X2는 Aib, Ala, 또는 D-Ala이고;
X14는 Leu, Nle, Asp 또는 Met이고;
X16은 Lys 또는 Ala이고;
X18은 Arg 또는 His이고;
X20은 Gln, Glu 또는 Aib이며;
X31은 Gly 또는 Pro임. 
8. 구현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에 비해 최대 7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9. 구현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에 비해 최대 6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10인, 약학적 조성물. 구현예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에 비해 최대 5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11. 구현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에 비해 최대 4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12. 구현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에 비해 최대 3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13. 구현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에 비해 최대 2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14. 구현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에 비해 최대 1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15. 구현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에 비해 3 내지 6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16. 구현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변형기는 A-B-C-이고, A-는 원위 단부에서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갖는 친유성 모이어티이고 B-C-는 적어도 하나의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링커인, 유도체.
17. 구현예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링커 B-C-는 1 내지 6개의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유도체.
18. 구현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링커 B-C-는 1 내지 4개의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유도체.
19.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링커 B-C-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는 감마-Glu, Glu 및/또는 Asp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20. 구현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링커 B-C-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는 감마-Glu인, 유도체.
21.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는 화학식 1이고
화학식 1:
Figure pct00001
p는 14~20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A-B-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도체.
22.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는 화학식 2이고
화학식 2:
Figure pct00002
q는 0~1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r은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A-B-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는 B-C--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도체.
23.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는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부터 선택되고
화학식 3:
Figure pct00003
화학식 4:
Figure pct00004
s는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t는 1~4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u는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B-C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는 C-와 위치 24에서의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도체.
24. 구현예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변형기는 A-B-C-에 의해 정의되고, 여기서
A-는 화학식 1이고
화학식 1:
Figure pct00005
p는 14~20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A-B-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B-는 화학식 2이고
화학식 2:
Figure pct00006
q는 0~1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r은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A-B-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는 B-C--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C-는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부터 선택되고  
화학식 3:
Figure pct00007
화학식 4:
Figure pct00008
s는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t는 1~4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u는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B-C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는 C-와 위치 24에서의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도체.
25.구현예 21 또는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는 화학식 1이고, p는 16~18인 유도체.
26. 구현예 22 또는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B-는 화학식 2이고, q는 0~1이고, r은 2인 유도체.
27. 구현예 23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는 화학식 3인 유도체.
28. 구현예 27에 있어서, C-는 화학식 3이고, s는 2인 유도체.
29. 구현예 27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는 화학식 3이고, t는 2~3인 유도체.
30. 구현예 23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는 화학식 4인 유도체.
31. 구현예 30에 있어서, C-는 화학식 4이고, u는 2인 유도체.
32. 구현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변형기 A-B-C-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화학식 5:
Figure pct00009
;
화학식 6:
Figure pct00010
;
화학식 7:
Figure pct00011
;
화학식 8:
Figure pct00012
;
화학식 9:
Figure pct00013
;
화학식 10:
Figure pct00014
;
화학식 11:
Figure pct00015
;
화학식 12:
Figure pct00016
;
화학식 13:
Figure pct00017
;
화학식 14:
Figure pct00018
;
화학식 15:
Figure pct00019
;
화학식 16:
Figure pct00020
;
화학식 17:
Figure pct00021
; 및
화학식 18:
Figure pct00022
.
33. 구현예 2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은 Tyr인, 유도체.
34. 구현예 2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은 D-Tyr인, 유도체.
35. 구현예 2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2는 Aib인, 유도체.
36. 구현예 2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2는 Ala인, 유도체.
37. 구현예 2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2는 D-Ala인, 유도체.
38. 구현예 2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4는 Leu인, 유도체.
39. 구현예 2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4는 Nle인, 유도체.
40. 구현예 2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4는 Asp인, 유도체.
41. 구현예 2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4는 Met인, 유도체.
42. 구현예 2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6은 Lys인, 유도체.
43. 구현예 2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6은 Ala인, 유도체.
44. 구현예 2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8은 Arg인, 유도체.
45. 구현예 2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8은 His인, 유도체.
46. 구현예 2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20은 Gln인, 유도체.
47. 구현예 2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20은 Glu인, 유도체.
48. 구현예 2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20은 Aib인, 유도체.
49. 구현예 2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1은 Gly인, 유도체.
50. 구현예 2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1은 Pro인, 유도체.
51. 구현예 1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기 식 III (서열번호 51)에 의해 정의된 펩티드가 식 I 또는 식 II의 C-말단 카르복실산 기에서 식 III의 N-말단 아미노 기까지의 아미드 결합을 통해 식 I 또는 식 II의 C-말단에 부착되되:
Lys-X33-X34-Asp-Trp-Lys-His-Asn-Ile-Thr-Gln (식 III),
여기서,
X33은 Lys, Glu이고;
X34는 Asn, Glu 또는 Asp인, 유도체.
52. 구현예 51에 있어서, X33은 Lys인, 유도체.
53. 구현예 51에 있어서, X33은 Glu인, 유도체.
54. 구현예 51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4는 Asn인, 유도체.
55. 구현예 51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4는 Glu인, 유도체.
56. 구현예 51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4는 Asp인, 유도체.
57. 구현예 1 내지 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N-말단 아미노산은 아실화되는, 유도체.
58. 구현예 1 내지 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N-말단 아미노산은 아세틸화되는, 유도체.
59. 구현예 2 내지 33, 35 내지 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은 Ac-Tyr인, 유도체.
60. 구현예 2 내지 32, 34 내지 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1은 Ac-D-Tyr인, 유도체.
61. 구현예 1 내지 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C-말단 카르복실산 또는 C-말단 아미드인, 유도체.
62. 구현예 1 내지 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C-말단 카르복실산인, 유도체.
63. 구현예 2 내지 49, 57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1은 Gly-OH인, 유도체.
64. 구현예 2 내지 48, 50, 57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1은 Pro-OH인, 유도체.
65. 구현예 1 내지 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GIP 유사체는 C-말단 아미드인, 유도체.
66. 구현예 2 내지 49, 57 내지 61, 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1은 Gly-NH2인, 유도체.
67. 구현예 2 내지 48, 50, 57 내지 61, 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X31은 Pro-NH2인, 유도체.
68. 구현예 1 내지 6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1, 서열번호 6)
Figure pct00023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hGIP(1-31) (화합물 2; 서열번호 7)
Figure pct00024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3; 서열번호 8)
Figure pct00025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4; 서열번호 9)
Figure pct00026
;
N{1}-아세틸,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5; 서열번호 10)
Figure pct00027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6; 서열번호 11)
Figure pct00028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7; 서열번호 12)
Figure pct00029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8; 서열번호 13)
Figure pct00030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9; 서열번호 14)
Figure pct00031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10; 서열번호 15)
Figure pct00032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11; 서열번호 16)
Figure pct00033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12; 서열번호 17)
Figure pct00034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la16,Arg18,Lys24]-hGIP(1-31) (화합물 13; 서열번호 18)
Figure pct00035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la16,Arg18,Lys24]-hGIP(1-31) (화합물 14; 서열번호 19)
Figure pct00036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15; 서열번호 20)
Figure pct00037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16; 서열번호 21)
Figure pct00038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17; 서열번호 22)
Figure pct00039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18; 서열번호 23)
Figure pct00040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Asp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19; 서열번호 24)
Figure pct00041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Glu20,Lys24]-hGIP(1-31) (화합물 20; 서열번호 25)
Figure pct00042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Glu20,Lys24]-hGIP(1-31) (화합물 21; 서열번호 26)
Figure pct00043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Glu20,Lys24]-hGIP(1-31) (화합물 22; 서열번호 27)
Figure pct00044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23; 서열번호 28)
Figure pct00045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ib20,Lys24]-hGIP(1-31) (화합물 24; 서열번호 29)
Figure pct00046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25; 서열번호 30)
Figure pct00047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26; 서열번호 31)
Figure pct00048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27; 서열번호 32)
Figure pct00049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28; 서열번호 33)
Figure pct00050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29; 서열번호 34)
Figure pct00051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30; 서열번호 35)
Figure pct00052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31; 서열번호 36)
Figure pct00053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32; 서열번호 37)
Figure pct00054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hGIP (화합물 33; 서열번호 38)
Figure pct00055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Glu33]-hGIP (화합물 34; 서열번호 39)
Figure pct00056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35; 서열번호 40)
Figure pct00057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Lys24,Glu33,Asp34]-hGIP (화합물 36, 서열번호 41)
Figure pct00058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37; 서열번호 42)
Figure pct00059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38; 서열번호 43)
Figure pct00060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Asp34]-hGIP (화합물 39; 서열번호 44)
Figure pct00061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40; 서열번호 45)
Figure pct00062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41; 서열번호 46)
Figure pct00063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42; 서열번호 47)
Figure pct00064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43; 서열번호 59)
Figure pct00065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44; 서열번호 60)
Figure pct00066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Leu14,Lys24]-hGIP (화합물 45; 서열번호 61)
Figure pct00067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46; 서열번호 62)
Figure pct00068
.
69. 구현예 68에 있어서, 화합물 번호 1~32, 43~44, 46으로부터 선택된, 유도체.
70. 구현예 68 내지 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합물 번호 1~25, 30, 43으로부터 선택된, 유도체.
71. 구현예 68 내지 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합물 번호 5인 유도체.
72. 구현예 68 내지 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합물 번호 25인 유도체.
73. 구현예 68 내지 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합물 번호 26~29, 31~32, 44, 46으로부터 선택된 유도체.
74. 구현예 68 내지 69, 7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합물 번호 31인 유도체.
75. 구현예 68에 있어서, 화합물 번호 33-42, 45로부터 선택된 유도체.
76. 구현예 1 내지 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간 GIP 수용체에서의 작용제인 유도체.
77. 구현예 1 내지 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간 GIP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유도체.
78. 구현예 1 내지 7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간 GIP 수용체를 발현하는 전체 세포를 사용하는 검정에서 인간 GIP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유도체.
79. 구현예 1 내지 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RE 루시페라아제 검정에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2와 같이 인간 GIP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유도체.
80. 구현예 1 내지 7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간 GIP 수용체에서 작용제이고,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2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900 pM 이하의 EC50을 갖는, 유도체.
81. 구현예 1 내지 8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간 GIP 수용체에서 작용제이고,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2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500 pM 이하의 EC50을 갖는, 유도체.
82. 구현예 1 내지 8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간 GIP 수용체에서 작용제이고,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2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200 pM 이하의 EC50을 갖는, 유도체.
83. 구현예 1 내지 8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간 GLP-1 수용체 및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에 비해 인간 GIP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인, 유도체.
84. 구현예 1 내지 8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인간 GLP-1 수용체 및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에서 보다 인간 GIP 수용체에서 더 낮은 EC50를 갖는, 유도체.
85. 구현예 1 내지 8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RE 루시페라아제 검정에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2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100000 pM 이하의 인간 GLP-1 수용체에서의 EC50을 갖는, 유도체.
86. 구현예 1 내지 8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RE 루시페라아제 검정에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2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10000 pM 이하의 인간 GLP-1 수용체에서의 EC50을 갖는, 유도체.
87. 구현예 1 내지 8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RE 루시페라아제 검정에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2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100000 pM을 초과하는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에서의 EC50을 갖는, 유도체.
88. 구현예 1 내지 8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개선된 약동학적 특성을 갖는 유도체.
89.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8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증가된 반감기를 갖는 유도체.
90.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8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미니피그에서 결정했을 때 증가된 반감기를 갖는 유도체.
91. 구현예 1 내지 9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개선된 물리적 안정성을 갖는 유도체.
92. 구현예 1 내지 9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ThT 소섬유화 검정(ThT fibrillation assay)에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4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95%를 초과하는 회수율을 갖는 유도체.
93. 구현예 1 내지 9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ThT 소섬유화 검정에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4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45시간을 초과하는 지연 시간을 갖는 유도체.
94. 구현예 1 내지 9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낮은 DLS-SI 값을 갖는 유도체.
95. 구현예 1 내지 9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4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7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의 DLS-SI 값을 갖는 유도체.
96. 구현예 1 내지 9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DLS-SI 검정에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4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침전물을 갖지 않는 유도체.
97. 구현예 1 내지 9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유도체.
98. 구현예 1 내지 9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5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HMWP가 매월 2% 이하로 형성되는, 유도체.
99. 구현예 1 내지 9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5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순도 손실이 매월 35% 이하인, 유도체.
100. 구현예 1 내지 9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5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순도 손실이 매월 6% 이하인, 유도체.
101. 구현예 1 내지 10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6과 같이, DIO 마우스에서의 아만성 연구에서 결정했을 때 생체 내에서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유도체.
102. 구현예 1 내지 10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6과 같이, DIO 마우스에서의 아만성 연구에서 결정했을 때 생체 내에서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유도체.
103. 구현예 1 내지 10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6과 같이, DIO 마우스에서의 아만성 연구에서 결정했을 때 생체 내에서 포도당 내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유도체.
104.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05.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도체, GLP-1 수용체 작용제, 및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06.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도체,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 및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07. 구현예 105에 있어서, GLP-1 수용체 작용제는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인, 약학적 조성물.
108. 구현예 105에 있어서,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세마글루티드(semaglutide)(서열번호 57)인, 약학적 조성물.
109. 구현예 106에 있어서,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는 N{엡실론-28}-[(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2-[2-[2-[[2-[2-[2-[[(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cb2,Leu10,Leu16,Arg20,Leu27,Lys28]-글루카곤 아미드 (서열번호 52)인, 약학적 조성물:
Figure pct00069
.
110. 구현예 106에 있어서,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는 N{엡실론-28}-[(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2S)-2-[[(2S)-4-카르복시-2-[[(2S)-2-[[(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판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Leu10,Glu15,Lys17,Arg20,Glu21,Leu27,Lys28]-글루카곤 아미드 (서열번호 53)인, 약학적 조성물:
Figure pct00070
.
111. 구현예 106에 있어서,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는 N{엡실론-28}-[(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 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cb2,Leu10,Glu15,Arg20,Glu21,Leu27,Lys28]-글루카곤 아미드 (서열번호 54)인, 약학적 조성물:
Figure pct00071
.
112. 구현예 106에 있어서,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는 N{엡실론-28}-[(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2-[2-[2-[[2-[2-[2-[[(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cb2,Leu10,Leu16,Lys17,Arg20,Glu21,Leu27,Lys28]-글루카곤 아미드 (서열번호 55)인, 약학적 조성물:
Figure pct00072
.
113. 구현예 106에 있어서,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는 N{엡실론-28}-[2-[2-[2-[[2-[2-[2-[[(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 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Leu10,Ala16,Arg20,Leu27,Lys28]-글루카곤 아미드 (서열번호 56)인, 약학적 조성물:
Figure pct00073
.
114. 구현예 104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체는 서열번호 10인, 약학적 조성물.
115. 구현예 104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체는 서열번호 30인, 약학적 조성물.
116. 구현예 104 내지 1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체는 서열번호 36인, 약학적 조성물.
117. 구현예 104 내지 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118.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19.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i) 고혈당증, 제2형 당뇨병, 내당능 장애, 제1형 당뇨병,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MODY(연소자의 성인발증형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및/또는 HbA1C의 감소와 같은 모든 형태의 당뇨병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
(ii) 제2형 당뇨병의 진전과 같은 당뇨성 질병 진전의 지연 또는 예방, 내당능 장애(IGT)의 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으로의 진전의 지연, 인슐린 내성의 지연 또는 예방, 및/또는 비-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의 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으로의 진전의 지연;
(iii) 예를 들어 음식 섭취량 감소, 체중 감소, 식욕 억제, 포만감 유발에 의한 섭식 장애(예: 비만)의 예방 및/또는 치료; 향정신 약물 또는 스테로이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폭식 장애, 신경성 폭식증 및/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위 운동의 감소; 위 공복의 지연; 신체 운동성의 증가; 및/또는 골관절염 및/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만 동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iv) (약물 유도형 또는 식단 조절과 운동에 의한)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의 체중 유지 - 즉,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 체중 증가 예방;
(v) 간 지방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염증 또는 지방 간 등과 같은 간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120.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혈당증, 2형 당뇨병, 내당능 장애, 1형 당뇨병,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MODY(청소년의 성숙기 발병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및/또는 HbA1C의 감소와 같은 모든 형태의 당뇨병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21.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당뇨성 질환 진행(예: 2형 당뇨병으로서 진행)의 지연 또는 예방, 내당능 장애(IGT)가 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것의 지연, 인슐린 내성의 지연 또는 예방, 및/또는 비-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이 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으로의 진행하는 것의 지연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22.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음식 섭취량 감소, 체중 감소, 식욕 억제, 포만감 유발에 의한 섭식 장애(예: 비만)의 예방 및/또는 치료; 향정신 약물 또는 스테로이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폭식 장애, 신경성 폭식증 및/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위 운동의 감소; 위 공복의 지연; 신체 운동성의 증가; 및/또는 골관절염 및/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만 동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23.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약물 유도형 또는 식단 조절과 운동에 의한)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의 체중 유지 - 즉,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 체중 증가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24.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간 지방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염증 또는 지방 간 등과 같은 간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25.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체중 관리, 비만 및 비만 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26.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모든 형태의 당뇨병(예를 들어, 2형 당뇨병, 및 당뇨병 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27.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음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유도체의 용도:
(i) 고혈당증, 제2형 당뇨병, 내당능 장애, 제1형 당뇨병,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MODY(연소자의 성인발증형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및/또는 HbA1C의 감소와 같은 모든 형태의 당뇨병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
(ii) 제2형 당뇨병의 진전과 같은 당뇨성 질병 진전의 지연 또는 예방, 내당능 장애(IGT)의 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으로의 진전의 지연, 인슐린 내성의 지연 또는 예방, 및/또는 비-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의 인슐린 요구성 제2형 당뇨병으로의 진전의 지연;
(iii) 예를 들어 음식 섭취량 감소, 체중 감소, 식욕 억제, 포만감 유발에 의한 섭식 장애(예: 비만)의 예방 및/또는 치료; 향정신 약물 또는 스테로이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폭식 장애, 신경성 폭식증 및/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위 운동의 감소; 위 공복의 지연; 신체 운동성의 증가; 및/또는 골관절염 및/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만 동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iv) (약물 유도형 또는 식단 조절과 운동에 의한)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의 체중 유지 - 즉,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 체중 증가 예방;
(v) 간 지방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염증 또는 지방 간 등과 같은 간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128.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혈당증, 2형 당뇨병, 내당능 장애, 1형 당뇨병,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MODY(청소년의 성숙기 발병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및/또는 HbA1C의 감소와 같은 모든 형태의 당뇨병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유도체의 용도.
129.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당뇨성 질환 진행(예: 2형 당뇨병으로서 진행)의 지연 또는 예방, 내당능 장애(IGT)가 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것의 지연, 인슐린 내성의 지연 또는 예방, 및/또는 비-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이 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으로의 진행하는 것의 지연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유도체의 용도.
130.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음식 섭취량 감소, 체중 감소, 식욕 억제, 포만감 유발에 의한 섭식 장애(예: 비만)의 예방 및/또는 치료; 향정신 약물 또는 스테로이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폭식 장애, 신경성 폭식증 및/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위 운동의 감소; 위 공복의 지연; 신체 운동성의 증가; 및/또는 골관절염 및/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만 동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유도체의 용도.
131.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약물 유도형 또는 식단 조절과 운동에 의한)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의 체중 유지 - 즉,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 체중 증가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유도체의 용도.
132.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간 지방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염증 또는 지방 간 등과 같은 간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유도체의 용도.
133.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체중 관리, 비만 및 비만 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유도체의 용도.
134.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모든 형태의 당뇨병(예를 들어, 2형 당뇨병, 및 당뇨병 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유도체의 용도.
135. 고혈당증, 제2형 당뇨병, 내당능 장애, 제1형 당뇨병,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MODY(연소자의 성인발증형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및/또는 HbA1C의 감소와 같은 모든 형태의 당뇨병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구현예 1 내지 10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도체의 약학적 활성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6. 당뇨성 질환 진행(예: 2형 당뇨병으로서 진행)을 지연 또는 예방, 내당능 장애(IGT)가 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것을 지연, 인슐린 내성을 지연 또는 예방, 및/또는 비-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이 인슐린 요구성 2형 당뇨병으로의 진행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방법으로서, 구현예 1 내지 103에 따른 유도체의 약학적 활성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7. 예를 들어 음식 섭취량 감소, 체중 감소, 식욕 억제, 포만감 유발에 의한 섭식 장애(예: 비만)의 예방 및/또는 치료; 향정신 약물 또는 스테로이드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폭식 장애, 신경성 폭식증 및/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위 운동의 감소; 위 공복의 지연; 신체 운동성의 증가; 및/또는 골관절염 및/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만 동반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으로서, 구현예 1 내지 103에 따른 유도체의 약학적 활성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8. (약물 유도형 또는 식단 조절과 운동에 의한)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의 체중 유지 방법 - 즉, 성공적인 체중 감량 후 체중 증가를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구현예 1 내지 103에 따른 유도체의 약학적 활성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9. 간 지방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염증 또는 지방 간 등과 같은 간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으로서, 구현예 1 내지 103에 따른 유도체의 약학적 활성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0. 체중 조절, 비만 및 비만 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으로서, 구현예 1 내지 103에 따른 유도체의 약학적 활성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1. 모든 형태의 당뇨병(예: 2형 당뇨병) 및 당뇨병 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으로서, 구현예 1 내지 103에 따른 유도체의 약학적 활성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본 실험 부분은 약어 목록으로 시작하며, 본 발명의 유사체 및 유도체를 합성하고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을 포함하는 섹션이 이어진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특정 유도체의 제조와 관련된 다수의 실시예가 이어지며, 이들 유사체 및 유도체의 활성 및 특성과 관련된 다수의 실시예가 마지막에 (약리학적 방법으로 표제된 섹션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역할을 한다.
물질 및 방법
약어 목록
알파벳 순서로 나열된 다음의 약어가 하기에서 사용된다:
Ac: 아세틸
Ado: 8-아미노-3,6-디옥사옥탄산
Aib: 알파-아미노이소부티르산
AUC: 곡선 아래 면적
BHK: 아기 햄스터 신장
Boc: t-부틸옥시카보닐
BW: 체중
DCC: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M: 디클로로메탄
DIC: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DIO: 식단-유도형 비만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후니그 염기(Hunig's base)
DLS-SI: 동적 광 산란 안정성 지수
DMEM: Dulbecco의 변형된 이글 배지(Dulbecco's Modied Eagle's Medium)
DMF: 디메틸 포름아미드
DODT: 3,6-디옥사-1,8-옥탄디티올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LISA: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FBS: 소 태아 혈청
Fmoc: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GIP: 포도당-의존적 인슐린 방출성 폴리펩티드
GLP-1: 글루카곤-유사 펩티드 1
HFIP: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또는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HMWP: 고분자량 단백질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SA: 인간 혈청 알부민
i.p.: 복강내
IPGTT: 복강내 포도당 내성 시험
i.v.: 정맥 내
kcal: 킬로칼로리
kg: 킬로그램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법
MeCN: 아세토니트릴
mM: 밀리몰
Mtt: 4-메틸트리틸
Nle: 노르류신
NMP: N-메틸 피롤리돈
Oxyma Pure®: 시아노-히드록시이미노-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PBS: 인산 완충 식염수
PK: 약동학
pM: 피코몰
QTof: 양적 비행 시간
Rh: 스토크 반경(Stoke radius)
s.c.: 피하
SD: 표준 편차
SEC-HPLC: 크기 배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SEC-MS: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광분석
SEM: 평균에 대한 표준 오차
tBu: t-부틸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T: 티오플라빈 T
TIS: 트리이소프로필실란
Trt: 트리페닐메틸(트리틸)
Trx: 트라넥사민산
UPLC: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일반적인 제조 방법
본 섹션은 고상 펩티드 합성 방법(아미노산의 탈보호 방법, 수지로부터 펩티드를 절단하고 정제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SPPS 방법)뿐만 아니라 생성된 펩티드를 검출하고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LCMS 방법)에 관한 것이다.
C-말단 펩티드 아미드의 제조에 사용된 수지는 PAL 아미드 AM 수지(예: 0.6 mmol/g으로 로딩) 또는 H-Rink 아미드-ChemMatrix 수지(예: 0.5 mmol/g으로 로딩) 또는 Rink 아미드 AM 폴리스티렌 수지(예: 0.3~0.7 mmol/g으로 로딩)이었다. C-말단 펩티드 글리콜산의 제조에 사용된 수지는 Fmoc-Gly-Wang 폴리스티렌 수지(예: 0.3~0.7 mmol/g으로 로딩)이었다.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사용된 Fmoc 보호된 아미노산 유도체는 표준 권고된: 예를 들어, AAPPTEC, Anaspec, Bachem, ChemImpex, Iris Biotech, Midwest Biotech, Gyros Protein Technologies 또는 Novabiochem으로부터 공급되는 Fmoc-Ala-OH, Fmoc-Arg(Pbf)-OH, Fmoc-Asn(Trt)-OH, Fmoc-Asp(OtBu)-OH, Fmoc-Cys(Trt)-OH, Fmoc-Gln(Trt)-OH, Fmoc-Glu(OtBu)-OH, Fmoc-Gly-OH, Fmoc-His(Trt)-OH, Fmoc-Ile-OH, Fmoc-Leu-OH, Fmoc-Lys(Boc)-OH, Fmoc-Met-OH, Fmoc-Phe-OH, Fmoc-Pro-OH, Fmoc-Ser(tBu)-OH, Fmoc-Thr(tBu)-OH, Fmoc-Trp(Boc)-OH (in case of method SPPS_A and SPPS_D) or Fmoc-Trp-OH (in case of methods SPPS_B and SPPS_C), Fmoc-Tyr(tBu)-OH, Fmoc-Val-OH, Fmoc-Lys(Mtt)-OH, Fmoc-Aib-OH, Fmoc-Nle-OH, Fmoc-D-Tyr-(tBu)-OH, 등이었다. 다른 것들이 지정되지 않는 경우, 아미노산의 천연 L-형태가 사용된다. N-말단 아미노산이 아세틸화되지 않은 경우, 미리 부착된 Boc 기(예를 들어, N-말단에서 Tyr을 갖는 펩티드의 경우 Boc-Tyr(tBu)-OH)를 갖는 시약을 사용하거나, 아미노산을 펩티드 N-말단에 부착한 후 Boc 보호기에 대한 N-말단 Fmoc 보호기를 교환함으로써 N-말단 아미노산을 알파 아미노기에서 Boc 보호하였다.
SPPS를 사용하는 모듈형 알부민 결합 모이어티의 경우, 이하의 적절하게 보호된 빌딩 블록(building block), 예컨대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 Fmoc-8-아미노-3,6-디옥사옥타논산 (Fmoc-Ado-OH), Fmoc-트라넥삼산 (Fmoc-Trx-OH), Fmoc-Glu-OtBu, 옥타데칸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 노나데칸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 에이코산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 테트라데칸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 또는 4-(9-카르복시노닐옥시)벤조산 삼차-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아래 언급된 모든 작업은 100~450 μmol 합성 규모 범위 내에서 수행하였다.
수지 결합된 보호된 백본의 합성
방법: SPPS_A
SPPS는 Protein Technologies(Tucson AZ 85714 U.S.A.)의 SymphonyX 고상 펩티드 합성기를 이용해 Fmoc 기반 화학물질을 사용해 수행하였다. Fmoc-탈보호는 0.1 M Oxyma Pure®가 포함된, DMF 중 20% 피페리딘을 사용해 달성하였다. 펩티드 결합은 DIC/Oxyma Pure®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아미노산/Oxyma Pure® 용액(4~8배 몰 과량의 DMF 중 0.3 M/0.3 M)에 이어서 동일한 몰 당량의 DIC(DMF 중 1.5 M)과 콜리딘(DMF 중 1.5 M)을 수지에 첨가하였다. 다음 단계들을 사용해 단계별 조립을 수행하였다: 1) DCM 및 DMF를 이용해 수지를 사전 팽윤시키는 단계; 2) 0.1 M Oxyma Pure®가 포함된 DMF 중 20% 피페리딘을 사용해 각각 10분씩 2회 처리하여 Fmoc-탈보호하는 단계; 3) DMF로 세척하여 피페리딘을 제거하는 단계; 4) 등몰 부피의 DIC 및 콜리딘과 혼합된 DMF 중 0.3M Oxyma Pure® 중 0.3 M 용액으로서 4~8 당량의 Fmoc-아미노산과 Fmoc-아미노산을 1~2시간 동안 결합시키는 단계; 5) DMF로 세척하여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는 단계; 6) 조립이 완료된 후 DCM으로 최종 세척하는 단계. N-말단 아세틸화를 갖는 펩티드의 경우, Fmoc-탈보호된 펩티딜 수지를 DMF 중 1 M 아세트산 무수물로 30~60분 동안 처리한 다음, DMF 및 DCM으로 세척하였다.
방법: SPPS_B
Applied Biosystems 431A 고상 펩티드 합성기 상에서 제조자가 공급한 일반 Fmoc 프로토콜을 사용해 Fmoc 전략에 따라 보호된 펩티딜 수지를 합성하였다. 와동(vortexing)과 함께 가끔씩 질소로 버블링하여 혼합을 수행하였다. 다음 단계들을 사용해 단계별 조립을 수행하였다: 1) NMP 중 20% 피페리딘을 사용해 3분 동안 1회 처리하고 이어서 15분 동안 1회 처리하여 Fmoc-탈보호하는 단계; 2) NMP로 세척하여 피페리딘을 제거하는 단계; 3) NMP 중 5~10 당량의 Fmoc-아미노산, DIC 및 HOBt와 Fmoc-아미노산을 45~90분 동안 결합시키는 단계; 4) NMP로 세척하여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는 단계; 5) 조립이 완료된 후 DCM으로 최종 세척하는 단계. 위에 열거된 표준 보호된 아미노산 유도체를 미리 칭량한 카트리지(예를 들어, Midwest Biotech 제품)에 공급하고, 비표준 유도체를 손으로 칭량하였다. 입체적으로 제약된 아미노산(예: Aib)에 이어지는 것들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일부 아미노산을 "이중 결합(double coupled)"시켜 반응이 완료되도록 하였는데, 이는 첫 번째 결합(예: 45분) 후에, 수지를 배출시키고, 더 많은 시약(Fmoc-아미노산, DIC, HOBt)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반응시켰음(예: 45분)을 의미한다. N-말단 아세틸화를 갖는 펩티드의 경우, Fmoc-탈보호된 펩티딜 수지를 합성기로부터 제거하여, DMF 중 10%(v/v) 아세트산 무수물/10%(v/v) 피리딘을 사용해 30~60분 동안 수동으로 처리한 다음, DMF 및 DCM으로 세척하였다.
방법: SPPS_C
Protein Technologies의 SymphonyX 고상 펩티드 합성기 상에서 제조자가 공급한 프로토콜을 약간 변경해 사용하여 Fmoc 전략에 따라 보호된 펩티딜 수지를 합성하였다. 다음의 단계들을 사용해 0.2 mmol 기준으로 단계별 조립을 수행하였다: 1) DMF 중에서 수지를 사전 팽윤시키는 단계(3x8 mL, 각각 15분); 2) DMF 중 20% (v/v) 피페리딘을 사용해 Fmoc-탈보호하는 단계(2x8 mL, 각각 10분); 3) DMF로 세척하여 피페리딘을 제거하는 단계(5x6 mL); 4) DMF 중 0.6 M 용액(4 mL)으로서 Fmoc-아미노산(12 당량, 2.4 mmol) 및 Oxyma Pure ® (12 당량, 2.4 mmol)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DMF 중 1.2 M 용액(2 mL)으로서 DIC(12 당량, 2.4 mmol)을 첨가하고, 추가의 DMF(2 mL)를 첨가한 다음, 0.5~4시간 동안 혼합하여 Fmoc-아미노산을 결합시키는 단계; 4) DMF로 세척하여 과량의 시약을 제거하는 단계(3x6 mL); 5) 조립이 완료된 후 DCM으로 최종 세척하는 단계. 입체적으로 제약된 아미노산(예: Aib)에 이어지는 것들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일부 아미노산을 연장된 반응 시간(예: 4시간)을 통해 결합시켜 반응이 완료되도록 하였다. N-말단 아세틸화를 갖는 펩티드의 경우, 또는 측쇄의 조립 전에 N-말단 보호기의 부착(예: Boc 보호기에 대한 Fmoc의 교환)이 요구되는 펩티드의 경우, 단계 2에 전술된 바와 같이 DMF 중 20%(v/v) 피페리딘으로 처리하여 N-말단 Fmoc 기를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펩티딜 수지를 합성기로부터 제거하여, DMF 중 10%(v/v) 아세트산 무수물/10%(v/v) DIPEA를 사용해 30~60분 동안 수동으로 처리한 다음, DMF 및 DCM으로 세척하였다.
방법: SPPS_D
Prelude 고상 펩티드 합성기(Protein Technologies, Tucson, USA) 상에서 제조자가 공급한 가공 프로토콜을 사용해 Fmoc 전략에 따라 보호된 펩티딜 수지를 합성하였다. DOC 및 Oxyma Pure®(Merck, Novabiochem, Switzerland) 매개 결합을 사용해 NMP 중에서 결합을 수행하였다. Fmoc-아미노산의 결합은, 레진 치환 대비 4~8배 과량의 아미노산(4~8 당량)을 사용해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결합 시간은 1~6시간 범위였다. Fmoc-Arg(pbf)-OH를 이중 결합 절차(1시간 + 1시간)를 사용해 결합시켰다. Prelude를 이용한 단계별 고상 조립은 다음의 단계들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1 단계) NMP 중 25% 피페리딘을 사용해 탈보호(Fmoc의 제거)하는 단계(2x4분); 2 단계) NMP 및 DCM으로 세척(피페리딘을 제거)하는 단계; 3 단계) NMP 중 1/10 부피의 3 M DCC 및 NMP 중 1/10 부피의 콜리딘을 첨가함으로써 개시되는, Fmoc-아미노산(NMP 중 0.3 M 0.3 M Oxyma Pure® 중의 0.3 M Fmoc-아미노산)과 4~8 당량의 과량과 1 내지 4시간 동안 결합시키는 단계; (혼합은 가끔씩 질소로 버블링하면서 수행함); 4 단계) 세척(NMP 및 DCM을 사용하여 과량의 아미노산 및 시약을 제거)하는 단계. 마지막 단계에는 DCM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시켰는데, 이를 통해 리신 측쇄에 변형기가 부착될 수 있도록 수지가 준비되었다.
수지 결합된 보호된 펩티드 백본에 대한 측쇄의 부착
방법: SC_A
HFIP/TIS/DCM (75:2.5:22.5, v/v/v)을 사용해 수지를 세척(1 x 5분 및 2 x 20분)한 후 피페리딘, DMF 및 DCM으로 세척하여 N-엡실론-리신 Mtt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방법 SPPS_A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Protein Technologies(Tucson, AZ 85714 U.S.A.)의 SymphonyX 고상 펩티드 합성기 상에서, Fmoc-8-아미노-3,6-디옥사옥타논산 (Fmoc-Ado-OH), Fmoc-Glu-OtBu, Fmoc-트라넥삼산 (Fmoc-Trx-OH)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빌딩 블록들을 단계별로 첨가하여 아실화를 수행하였다. 지방산 모이어티의 도입은 방법 SPPS_A 및 적절한 빌딩 블록, 예컨대 옥타데칸이산 모노-삼차-부틸-에스테르 또는 에이코산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을 사용해 달성하였다.
방법: SC_B
DCM 중 30% HFIP로 수지를 세척하고(2회, 각각 45분), 이어서 DCM 및 DMF로 세척하여 N-엡실론-리신 보호 Mtt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Applied Biosystems 431A 고상 펩티드 합성기 상에서 방법 SPPS_B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Fmoc-8-아미노-3,6-디옥사옥타논산, Fmoc-트라넥삼산, Fmoc-Glu-OtBu, 옥타데칸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 에이코산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와 같은,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빌딩 블록들을 단계적으로 첨가하여 아실화를 수행하였다.
방법: SC_C
DCM 중 30%(v/v) HFIP로 수지를 세척하고(2회, 각각 1시간), 이어서 DCM 및 DMF로 세척하여 N-엡실론-리신 Mtt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방법 SPPS_C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Protein Technologies(Tucson, AZ 85714 U.S.A.)의 SymphonyX 고상 펩티드 합성기 상에서, Fmoc-8-아미노-3,6-디옥사옥타논산 (Fmoc-Ado-OH), Fmoc-Glu-OtBu, Fmoc-트라넥삼산 (Fmoc-Trx-OH)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빌딩 블록들을 단계별로 첨가하여 4시간의 결합 시간에 걸쳐 아실화를 수행하였다. 지방산 모이어티의 도입은 방법 SPPS_C 및 적절한 빌딩 블록, 예컨대 옥타데칸이산 모노-삼차-부틸-에스테르 또는 에이코산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을 사용해 4시간의 결합 시간에 걸쳐 달성하였다. 빌딩 블록이 DMF 중 0.6 M(예를 들어, Fmoc-Trx-OH 및 에이코산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의 스톡 농도에서 용해되지 않는 특정 경우에, 0.3 M의 스톡 농도를 제조하고 첨가 부피를 2배로 늘였다.
방법: SC_D
DCM 중 70% HFIP + 3% TIS로 수지를 세척하고(2회, 각각 15분), 이어서 DCM 및 DMF로 세척하여 N-엡실론-리신 보호 Mtt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Prelude 고상 펩티드 합성기 상에서 방법 SPPS_D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Fmoc-8-아미노-3,6-디옥사옥타논산, Fmoc-트라넥삼산, Fmoc-Glu-OtBu, 옥타데칸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 에이코산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와 같은,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빌딩 블록들을 단계적으로 첨가하여 아실화를 수행하였다.
방법: SC_E
HFIP/TIS/DCM (75:5:20, v/v/v)을 사용해 수지를 세척(2 x 5분 및 2 x 30분)한 후 DMF 및 DCM으로 세척하여 N-엡실론-리신 Mtt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방법 SPPS_A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Protein Technologies(Tucson, AZ 85714 U.S.A.)의 SymphonyX 고상 펩티드 합성기 상에서, Fmoc-8-아미노-3,6-디옥사옥타논산 (Fmoc-Ado-OH), Fmoc-Glu-OtBu, Fmoc-트라넥삼산 (Fmoc-Trx-OH)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빌딩 블록들을 단계별로 첨가하여 아실화를 수행하였다. 지방산 모이어티의 도입은 방법 SPPS_A 및 적절한 빌딩 블록, 예컨대 옥타데칸이산 모노-삼차-부틸-에스테르 또는 에이코산이산 모노-삼차-부틸 에스테르(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을 사용해 달성하였다.
수지 결합된 펩티드의 절단 및 정제
방법: CP_A
합성 후, DCM으로 수지를 세척하고, TFA/TIS/물 (95:2.5:2.5, v/v/v)을 사용해 1.5~3시간 동안 펩티딜 수지를 처리하고, 이어서 디에틸에테르로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고, 물, 아세트산 및/또는 MeCN의 적절한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미정제 펩티드 용액을 C18-실리카 겔이 담긴 컬럼을 이용해 역상 분취 HPLC(Waters Deltaprep 4000)로 정제하였다. 0.1% TFA가 포함된 물 중 증가하는 MeCN의 구배를 이용해 용리를 수행하였다. 분석 UPLC에 의해 관련 분획을 확인하였다. 순수한 표적 펩티드를 함유하는 분획을 풀링하고 동결 건조시켰다.
추가 정제가 필요할 때는, 위에서 단리한 동결 건조된 펩티드 TFA 염을 인산수소 나트륨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일반 염에 기초한 중성의 수성 완충액에 용해시키고, C18-실리카 겔이 담긴 컬럼을 이용해 역상 분취 HPLC(Waters Deltaprep 4000)로 정제하였다. 인산 나트륨 수용액(90 mM, pH 7.4) 중 증가하는 MeCN의 구배를 이용해 용리를 수행하였다. 분석 UPLC에 의해 관련 분획을 확인하였다. 순수한 표적 펩티드를 함유하는 분획을 풀링하고 물로 희석한 후, C18-실리카 겔이 담긴 컬럼을 이용해 두 번째 역상 분취 HPLC(Waters Deltaprep 4000)를 수행하였다. 0.1% TFA가 포함된 물 중 증가하는 MeCN의 구배를 이용해 용리를 수행하였다. 관련 분획을 풀링하고 동결 건조시켜 표적 펩티드의 TFA 염을 수득하였다.
방법: CP_B
측쇄 합성을 완료한 후, 펩티딜 수지를 DCM으로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TFA/물/TIS (92.5:5:2.5 v/v/v, 10 mL)로 2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디에틸에테르로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고 적절한 용매(예: 2:1의 물/MeCN 또는 4:1의 25 mM 수성 NH4HCO3/MeCN)에 용해시키되, 펩티드의 완전한 용해를 위해 필요한 경우 용액의 pH를 조절하였다. 정제는 Phenomenex Luna C8(2) 컬럼(10 μM 입자 크기, 100 Å 기공 크기, 250 x 21.2 mm 치수)을 이용해 역상 분취 HPLC(Waters 2545 이진 구배 모듈, Waters 2489 UV/가시광 검출기, Waters 분획 수집기 III)로 수행하였다. 불순물 분리 및 생성물의 용리는 0.1% TFA가 포함된 물 중의 증가하는 MeCN의 구배를 사용해 달성하였다. 분석 LCMS에 의해 관련 분획을 확인하였다. 순수한 표적 펩티드를 함유하는 분획을 풀링하고 동결 건조시켜 표적 펩티드의 TFA 염을 수득하였다.
방법: CP_C
합성 후, DCM으로 수지를 세척하고, TFA/TIS/물/아니솔/DODT (90:2.5:2.5:2.5:2.5, v/v/v/v)를 사용해 1.5~3시간 동안 펩티딜 수지를 처리하고, 이어서 디에틸에테르로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디에티에테르로 세척하고 중탄산 암모늄 용액(예를 들어, 50 mM 농도)에 용해시키고 와동시켰다. 여기에 MeCN을 첨가하여 맑은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0.22 um 스테리컵(Stericup)을 이용해 이 용액을 여과한 후, C18-실리카 겔이 담긴 컬럼을 이용해 역상 분취 HPLC(Waters: 2545 펌프, 2489 UV-vis, Fr.Collector III)로 정제하였다. 0.1% TFA가 포함된 물 중 증가하는 MeCN의 구배를 이용해 용리를 수행하였다. 분석 UPLC에 의해 관련 분획을 확인하였다. 순수한 표적 펩티드를 함유하는 분획을 풀링하고 동결 건조시켰다.
염 교환 - 나트륨염의 형성.
방법: SX_A:
방법 CP_A, CP_B 또는 CP_C를 통해 단리한 동결 건조된 펩티드를 완충액(예: 0.1~0.2 M 아세트산 나트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 완충액)이 포함된 중성 내지 약 염기성(pH 7~8.5)의 나트륨 용액에 용해시켰다. 펩티드가 포함된 완충액을 Sep-Pak C18 카트리지(1~5 g)를 사용해 염 교환하였다. 4 컬럼 부피의 이소프로판올 다음에 4 컬럼 부피의 MeCN 다음에 8 컬럼의 물을 사용해 카트리지를 먼저 평형화하였다. 펩티드 용액을 카트리지에 붓고, 흘러 넘친 것들을 다시 부어 펩티드가 완전히 보유되되록 하였다. 카트리지를 2~4 칼럼 부피의 물로 세척한 다음, 나트륨 염(예를 들어, NaHCO3, NaOAc, Na2HPO4, 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음)이 포함된 4~15 컬럼 부피의 완충액(예: pH 7.5)으로 세척하였다. 펩티드를 물 중 50~80% MeCN의 5~10 컬럼 부피로 용리시키고 동결 건조시켜 펩티드 나트륨 염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고, 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방법: SX_B:
NaOH를 사용해 H2O/MeCN/TFA 중의 펩티드 용액의 pH를 7~8로 조정하고, MeCN 함량은 최대 20%로 조정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C18-실리카 겔이 담긴 컬럼을 이용해 역상 분취 HPLC(Waters Deltaprep 4000)로 처리하였다. 먼저, 약 4컬럼 부피의 0.1 M NaOAc로 평형화를 수행하고, 이어서 2컬럼 부피의 물로 플러싱하였다. 물 중 증가하는 MeCN의 구배를 이용해 용리를 수행하고, 분석 UPLC에 의해 관련 분획을 확인하였다. 순수한 표적 펩티드 나트륨 염을 함유하는 분획을 풀링하고 동결 건조시켰다.
일반적인 검출 및 특징 분석 방법
LCMS 방법
방법: LCMS_34:
LCMS_34는 Waters Acquity UPLC H 클래스 시스템 및 Waters Xevo G2-XS QTof로 구성된 환경에서 수행하였다. 용리제: A: MQ 중 0.1% 포름산; B: MeCN 중 0.1% 포름산.
적절한 볼륨의 샘플을 실온에서(컬럼 온도 40℃) 컬럼 상에 주입하고 A와 B의 구배로 용리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UPLC 조건, 검출기 설정 및 질량 분석기 설정은 다음과 같다: 컬럼: Waters Acquity BEH, C-18, 1.7μm, 2.1mm x 50mm. 구배: 0.4 ml/분의 속도로 4.0분 동안 5%~95% B의 선형 구배. 검출: MS 해상도 모드, 이온화 방법: ES. 스캔: 50~4000 amu.
방법: LCMS_27:
LCMS_27은 Agilent 1290 infinity 시리즈 UPLC 시스템 및 Agilent Technologies LC/MSD TOF 6230 (G6230A)으로 구성된 환경에서 수행하였다. 용리제: A: 물 중 0.02% TFA: B: MecN 중 0.02% TFA.
적절한 볼륨의 샘플을 실온에서(컬럼 온도 40℃) 컬럼 상에 주입하고 A와 B의 구배로 용리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컬럼: Eclipse C18+, 1.8 μm, 2.1 mm x 50 mm. 구배 가동 시간: 4.5분에 걸쳐 5~95% B의 선형 구배, 이어서 0.5분 동안 95% B, 0.5분 동안 95~5% B, 0.5분 동안 0.40 mL/분의 유속으로 5% B. 검출: 선형 리플렉터 모드(양성); 이온화 방법: Agilent 제트 스트림 소스. 스캔: 100~3200 (m/z)
방법: LCMS_01
LCMS_01은 Waters Acquity UPLC 시스템 및 Micromass의 LCT Premier XE 질량 분석기로 구성된 환경에서 수행하였다. 용리제: A: MQ 수 중 0.1% 포름산; B: MeCN 중 0.1% 포름산. 적절한 볼륨의 샘플을 실온에서(컬럼 온도 40℃) 컬럼 상에 주입하고 A와 B의 구배로 용리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UPLC 조건, 검출기 설정 및 질량 분석기 설정은 다음과 같다: 컬럼: Waters Acquity UPLC BEH, C-18, 1.7 μm, 2.1 mm x 50 mm. 구배: 4.0분 동안 0.4 ml/분의 속도로 5%~95% B의 선형 구배, 검출: 214 nm(TUV(조정형 UV 검출기)로부터 아날로그 출력). MS 이온화 모드: API-ES. 스캔: 500~2000 amu.
실시예 1:
GIP 유도체의 합성
본 발명의 유도체를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 제조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hGIP(1-42); (서열번호 1):
Figure pct00074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D,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983.53 g/mol
LCMS01: (M + 4H)4+ 1246.17 확인됨
hGIP(1-31); (서열번호 2):
Figure pct00075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3589.98 g/mol
LCMS01: (M + 3H)3+ 1197.61 확인됨
화합물 1 (서열 번호 6):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76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302.87 g/mol
LCMS_34: (M + 4H)4+ 1076.82 확인됨
화합물 2 (서열 번호 7):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hGIP(1-31)
Figure pct00077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283.82 g/mol
LCMS_34: (M + 4H)4+ 1071.82 확인됨
화합물 3 (서열 번호 8):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 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 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78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502.20 g/mol
LCMS_27: (M + 3H)3+ 1501.50 확인됨
화합물 4 (서열 번호 9):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79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70.12 g/mol
LCMS_27: (M + 4H)4+ 1118.11 확인됨
화합물 5 (서열 번호 10):
N{1}-아세틸,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80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344.91 g/mol
LCMS_27: (M + 3H)3+ 1449.10 확인됨
화합물 6 (서열 번호 11):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 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81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B, SC_B, CP_B,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512.16 g/mol
LCMS_27: (M + 3H)3+ 1504.79 확인됨
화합물 7 (서열 번호 12):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82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B, SC_B, CP_B,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330.88 g/mol
LCMS_27: (M + 3H)3+ 1444.41 확인됨
화합물 8 (서열 번호 13):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83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B, SC_B, CP_B,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98.13 g/mol
LCMS_27: (M + 3H)3+ 1500.12 확인됨
화합물 9 (서열 번호 14):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Glu20,Lys24]-hGIP(1-31)
Figure pct00084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B, SC_B, CP_B
계산된 분자량(평균): 4303.86 g/mol
LCMS_27: (M + 3H)3+ 1435.08 확인됨
화합물 10 (서열 번호 15):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Glu20,Lys24]-hGIP(1-31)
Figure pct00085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B, SC_B, CP_B,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71.10 g/mol
LCMS_27: (M + 3H)3+ 1490.79 확인됨
화합물 11 (서열 번호 16):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Aib20,Lys24]-hGIP(1-31)
Figure pct00086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C, SC_C, CP_C,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259.85 g/mol
LCMS_27: (M + 3H)3+ 1420.74 확인됨
화합물 12 (서열 번호 17):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Aib20,Lys24]-hGIP(1-31)
Figure pct00087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C, SC_C, CP_C,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27.09 g/mol
LCMS_27: (M + 3H)3+1476.45 확인됨
화합물 13 (서열 번호 18):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la16,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88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C, SC_C, CP_C
계산된 분자량(평균): 4245.78 g/mol
LCMS_27: (M + 3H)3+ 1416.06 확인됨
화합물 14 (서열 번호 19):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la16,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89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C, SC_C, CP_C
계산된 분자량(평균): 4413.02 g/mol
LCMS_27: (M + 3H)3+ 1471.77 확인됨
화합물 15 (서열 번호 20):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90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B, SC_B, CP_B,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362.97 g/mol
LCMS_27: (M + 3H)3+ 1455.09 확인됨
화합물 16 (서열 번호 21):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Glu20,Lys24]-hGIP(1-31)
Figure pct00091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C, SC_C, CP_C
계산된 분자량(평균): 4363.95 g/mol
LCMS_27: (M + 3H)3+ 1455.42 확인됨
화합물 17 (서열 번호 22):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92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B, SC_B, CP_B,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621.19 g/mol
LCMS_27: (M + 3H)3+ 1541.12 확인됨
화합물 18 (서열 번호 23):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093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C, SC_C, CP_C
계산된 분자량(평균): 4330.88 g/mol
LCMS_27: (M + 3H)3+ 1444.40 확인됨
화합물 19 (서열 번호 24):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Asp14,Arg18,Glu20,Lys24]-hGIP(1-31)
Figure pct00094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C, SC_C, CP_C
계산된 분자량(평균): 4365.88 g/mol
LCMS_27: (M + 3H)3+1456.07 확인됨
화합물 20 (서열 번호 25):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Glu20,Lys24]-hGIP(1-31)
Figure pct00095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13.92 g/mol
LCMS_27: (M + 3H)3+ 1472.07 확인됨
화합물 21 (서열 번호 26):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Glu20,Lys24]-hGIP(1-31)
Figure pct00096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581.17 g/mol
LCMS_27: (M + 3H)3+ 1527.78 확인됨
화합물 22 (서열 번호 27):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Glu20,Lys24]-hGIP(1-31)
Figure pct00097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80.07 g/mol
LCMS_27: (M + 3H)3+ 1494.13 확인됨
화합물 23 (서열 번호 28):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Glu20,Lys24]-hGIP(1-31)
Figure pct00098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99.11 g/mol
LCMS_27: (M + 3H)3+ 1500.47 확인됨
화합물 24 (서열 번호 29):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ib20,Lys24]-hGIP(1-31)
Figure pct00099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36.06 g/mol
LCMS_27: (M + 3H)3+ 1479.46 확인됨
화합물 25 (서열 번호 30):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Aib20,Lys24]-hGIP(1-31)
Figure pct00100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55.10 g/mol
LCMS_27: (M + 3H)3+ 1485.81 확인됨
화합물 26 (서열 번호 31):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Figure pct00101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509.20 g/mol
LCMS_27: (M + 3H)3+ 1503.84 확인됨
화합물 27 (서열 번호 32):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Figure pct00102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90.15 g/mol
LCMS_27: (M + 3H)3+ 1497.49 확인됨
화합물 28 (서열 번호 33):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Figure pct00103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537.21 g/mol
LCMS_34: (M + 4H)4+ 1135.13 확인됨
화합물 29 (서열 번호 34):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Figure pct00104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518.16 g/mol
LCMS_34: (M + 4H)4+ 1130.37 확인됨
화합물 30 (서열 번호 35):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Figure pct00105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627.24 g/mol
LCMS_34: (M + 4H)4+ 1130.37 확인됨
화합물 31 (서열 번호 36):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Figure pct00106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551.23 g/mol
LCMS_27: (M + 3H)3+ 1517.81 확인됨
화합물 32 (서열 번호 37):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Figure pct00107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C, SC_C, CP_C,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532.19 g/mol
LCMS_27: (M + 3H)3+ 1511.44 확인됨
화합물 33 (서열 번호 38):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hGIP
Figure pct00108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678.32 g/mol
LCMS_27: (M + 4H)4+ 1420.54 확인됨
화합물 34 (서열 번호 39):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Glu33]-hGIP
Figure pct00109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697.36 g/mol
LCMS_27: (M + 4H)4+ 1425.29 확인됨
화합물 35 (서열 번호 40):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Lys24,Glu33,Glu34]-hGIP
Figure pct00110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725.41 g/mol
LCMS_27: (M + 4H)4+ 1432.25 확인됨
화합물 36 (서열 번호 41):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Lys24,Glu33,Asp34]-hGIP
Figure pct00111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711.39 g/mol
LCMS_27: (M + 4H)4+ 1428.75 확인됨
화합물 37 (서열 번호 42):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Figure pct00112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744.46 g/mol
LCMS_27: (M + 4H)4+ 1437.03 확인됨
화합물 38 (서열 번호 43):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Glu34]-hGIP
Figure pct00113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693.33 g/mol
LCMS_27: (M + 4H)4+ 1424.24 확인됨
화합물 39 (서열 번호 44):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Asp34]-hGIP
Figure pct00114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679.30 g/mol
LCMS_27: (M + 4H)4+ 1420.79 확인됨
화합물 40 (서열 번호 45):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Figure pct00115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712.37 g/mol
LCMS_27: (M + 4H)4+ 1429.00 확인됨
화합물 41 (서열 번호 46):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Figure pct00116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911.71 g/mol
LCMS_27: (M + 4H)4+ 1478.81 확인됨
화합물 42 (서열 번호 47):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Figure pct00117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879.62 g/mol
LCMS_27: (M + 4H)4+ 1470.81 확인됨
화합물 43 (서열 번호 59):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Aib20,Lys24]-hGIP(1-31)
Figure pct00118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E,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358.08 g/mol
LCMS_34: (M + 3H)3+ 1452.82 확인됨
화합물 44 (서열 번호 60):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Figure pct00119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E, CP_A, SX_A
계산된 분자량(평균): 4454.21 g/mol
LCMS_34: (M + 3H)3+ 1484.83 확인됨
화합물 45 (서열 번호 61):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Leu14,Lys24]-hGIP
Figure pct00120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D, SC_D, CP_A
계산된 분자량(평균): 5709.46 g/mol
LCMS_34: (M + 4H)4+ 1428.36 확인됨
화합물 46 (서열 번호 62):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Figure pct00121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 SPPS_A, SC_A, CP_A, SX_B
계산된 분자량(평균): 4383.99 g/mol
LCMS_34: (M + 3H)3+ 1461.99 확인됨
약리학적 방법
인간과 같은 포유류를 대상으로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고 비만을 치료함에 있어서의 약리학적 활성제로서, 및 당뇨병 및 NASH를 치료하기 위한 약리학적 활성제로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유용성은 종래 검정에서 및 아래에 기술된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검정에서 작용제의 활성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
이러한 검정은 본 발명의 유도체의 활성을 공지된 화합물의 활성과 비교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실시예 2:
시험관 내 효능 (CRE 루시페라아제; 전체 세포)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인간 GIP 수용체를 비롯하여 인간 GLP-1 수용체와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에서 유도체의 시험관 내 활성 또는 효능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시험관 내 효능은 전세포 분석에서 인간 GIP, GLP-1 또는 글루카곤 수용체 활성화 각각의 척도이다.
실시예 1의 유도체의 효능을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결정하였다. hGIP 및 C-말단 절단된 hGIP(1-31) 뿐만 아니라 hGLP-1(7-37)(서열번호 4) 및 인간 글루카곤(hGcg)(서열번호 5)을 비교를 위해 포함시켰다.
원리:
시험관 내 효능은 개별 세포주를 대상으로 한 리포터 유전자 검정에서 인간 GIP, GLP-1 또는 글루카곤 수용체의 반응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검정은 안정하게 형질감염된 BHK 세포주에서 수행하였는데, 상기 세포주는 인간 GIP 수용체, 인간 GLP-1 수용체 또는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를 발현하며, 이들 각각은 프로모터에 결합된 cAMP 반응 요소(CRE)에 대한 DNA 및 반딧불이 루시페라아제(CRE 루시페라아제)에 대한 유전자를 함유한다. 각각의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cAMP가 생성되며, 결과적으로는 루시페라아제 단백질이 발현된다. 분석 인큐베이션이 완료되면 루시페라아제 기질(루시페린)을 첨가하고, 효소는 루시페린을 옥실루시아린으로 전환시켜 생물발광을 생성한다. 발광은 분석에 대한 판독 값으로서 측정된다.
세포 배양 및 제조
본 검정에 사용된 세포(BHK CRE luc2P hGIPR 클론 #5, BHK CRE luc2P hGLP-1R 클론 #6, BHK CRE luc2P hGCGR 클론 #18)는 모세포주로서 BHKTS13을 갖는 BHK 세포였다. 세포는 CRE 루시페라아제 요소를 함유하는 클론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현재의 클론을 수득하기 위해 각각의 수용체를 이용한 추가 형질감염에 의해 확립하였다.
세포는 5% CO2 하에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들을 분취하여 액체 질소 중에 저장하였다. 세포를 계대 상태로 유지하고 각각의 검정 하루 전에 시딩하였다.
물질
다음의 화학 물질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플루로닉 F-68 (10%) (Gibco 2404), 인간 혈청 알부민 (HSA) (Sigma A9511), 10% FBS (소 태아 혈청; Invitrogen 16140-071), 태아 오브알부민 (Sigma A5503), 페놀 레드가 없는 DMEM (Gibco 11880-028), 1 M Hepes (Gibco 15630), Glutamax 100x (Gibco 35050), G418 (Invitrogen 10131-027), 히그로마이신 (Invitrogen 10687-010), 1% 펜/스트렙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Invitrogen 15140-122) 및 steadylite plus (PerkinElmer 6016757).
완충액
세포 배양 배지는 10% FBS, 1 mg/ml G418, 1 mg/ml 히그로마이신 및 1% 펜/스트렙(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Invitrogen 15140-122)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구성하였다.
검정 매질은 페놀 레드가 없는 DMEM, 10 mM Hepes 및 1x Glutamax로 구성하였다. 검정 완충액은 검정 배지 중 1% 오브알부민 및 0.1% Pluronic F-68로 구성하고, 여기에 인간 혈청 알부민을 표시된 농도의 2배로 첨가하였다. 검정 배지를 분석 완충액 중에서 동일한 부피의 시험 화합물과 1:1로 혼합하여 혈청 알부민의 최종 검정 농도를 얻었다.
절차
1) 세포를 5000세포/웰로 플레이팅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2) 세포를 PBS에서 3회 세척하였다.
3) 혈청 알부민의 유무와 상관없이 검정 배지(50 μl 분취액)를 분석 플레이트 내 각 웰에 첨가하였다.
4) 검정 완충액 중에서 시험 화합물 및 기준 화합물의 모액을 0.2 μM의 농도로 희석시켰다. 화합물을 10배로 희석하여 다음의 농도를 얻었다: 2x10-7 M, 2x10-8 M; 2x10-9 M, 2x10-10 M, 2x10-11 M, 2x10-12 M, 2x10-13 M, 및 2x10-14 M.
5) 50 μl의 화합물 분취액 또는 블랭크를 희석 플레이트에서 검정 플레이트로 옮겼다. 다음의 최종 농도에서 화합물을 시험하였다: 1x10-7 M, 1x10-8 M; 1x10-9 M, 1x10-10 M, 1x10-11 M, 1x10-12 M, 1x10-13 M, 및 1x10-14 M.
6) 분석 플레이트를 5% CO2하에 37℃의 인큐베이터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7) 분석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로부터 꺼내고, 15분 동안 실온에 방치하였다.
8) 세포를 PBS + 각 웰의 약간의 액체로 3회 세척하였다.
9) 100 μl의 Steadylite Plus 시약의 분취액을 검정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시약은 빛에 민감함).
10) 각 검정 플레이트를 알루미늄 호일로 덮어 빛을 차단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진탕하였다.
11) 각 검정 플레이트를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로 판독하였다.
계산 및 결과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의 데이터를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로 옮겼다. 소프트웨어는 비선형 회귀(로그(작용제) 대 반응)를 수행한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계산되어 pM 단위로 보고된 EC50 값은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각 샘플에 대해 최소 2회 반복 측정하였다. 보고된 값은 반복 값의 평균이다.
효능, EC50
화합물
번호
hGIP-R, CRE Luc 0.2% HSA
EC 50 (pM)
hGLP-1-R, CRE Luc 0.2% HSA
EC 50 (pM)
hGcg-R CRE Luc 0.2% HSA
EC 50 (pM)
hGIP(1-42) 4.98 >100000 >100000
hGIP(1-31) 2.24 nd nd
hGLP-1(7-37) >100000 3.9* >100000*
hGcg >100000 1094 14.3
1 40.49 >100000* >100000*
2 49.89 >100000* >100000*
3 44.74 nd nd
4 72.12 nd nd
5 20.90 >10000* nd
6 134.67 nd nd
7 48.93 nd nd
8 179.57 nd nd
9 62.94 nd nd
10 252.27 nd nd
11 9.40 nd nd
12 71.17 nd nd
13 72.47 nd nd
14 265.53 nd nd
15 30.44 nd nd
16 25.03 nd nd
17 43.10 nd nd
18 545.53 nd nd
19 91.53 nd nd
20 158.46 nd nd
21 810.27 nd nd
22 547.20 nd nd
23 135.62 nd nd
24 152.88 nd nd
25 123.86 >10000* nd
26 61.50 nd nd
27 67.47 nd nd
28 76.23 nd nd
29 71.19 nd nd
30 84.20 nd nd
31 26.05 >10000* >100000*
32 38.35 nd nd
33 21.29 >100000* >100000*
34 20.15 >100000* >100000*
35 5.45 >100000 >100000
36 5.97 >100000 >100000
37 4.12 >100000 >100000
38 9.00 >100000 >100000
39 5.90 >100000 >100000
40 4.47 >100000 >100000
41 14.00 nd nd
42 22.00 nd nd
45 56.00 >100000* >100000*
46 21.2 >100000 nd
* 검정이 1% HSA의 존재 하에 수행됨; nd=미결정.
본 발명의 유도체 모두는 주어진 조건 하에 인간 GLP-1 수용체 및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에서 양호한 GIP 효능을 나타내며, 실질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거나 측정 가능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실시예 3:
미니피그에서의 약동학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미니피그에게 본 발명의 유도체를 정맥 내(i.v.) 투여한 후 이 유도체의 생체 내 반감기, 즉 신체 내에서 이들의 잔류 시간 연장 및 이에 의한 이들의 작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약동학(PK) 연구에서 수행되며, 여기서 해당 유도체의 최종 반감기가 결정된다. 최종 반감기란, 특정 혈장 농도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데 걸리는 시간을 일반적으로 의미하며, 초기 분포 단계로부터 측정한다.
연구:
대략 7 내지 14월령의 암컷 쾨팅겐 미니피그를 Ellegaard Gφttingen Minipigs(Dalmose, Denmark)로부터 입수였고, 체중이 대략 16~35 kg인 것들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미니피그를 각각 수용하고 SDS 미니피그 식단(Special Diets Services, Essex, UK)으로 매일 1회 제한적으로 먹이를 주었다.
순응 3주 후, 각 동물에게 2개의 영구 중심 정맥 카테터를 대정맥 뒷면에 이식하였다. 수술 후 1주일 동안 동물을 회복시킨 다음, 반복적인 약동학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연속적으로 유도체를 투여하는 중간에 적절한 약효 세척 기간(wash-out period)을 두었다.
동물에게는 투여 전 약 18시간 동안 및 투여 후 0 내지 4시간 동안 먹이를 주지 않았지만, 전체 기간 동안 물은 자유롭게 마시게 하였다.
실시예 1의 GIP 유도체를, 236 mM 프로필렌 글리콜이 포함된 pH 7.8의 8 mM 인산 나트륨 완충액에 50 nmol/ml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하나의 카테터를 통해 화합물을 정맥 내 주사(일반적으로 5 nmol/kg에 상응하는 부피, 예를 들어 0.1 ml/kg)하고, 투여 후 13일차까지 미리 정의된 시점에 (바람직하게는 다른 하나의 카테터를 통해) 혈액을 샘플링하였다. 혈액 샘플(예: 0.8 mL)을 EDTA 완충액(8 mM)에 모은 다음 4℃에서 10분 동안 1942 G로 원심 분리하였다.
샘플링 및 분석:
혈장을 드라이아이스 상의 마이크로닉 튜브에 피펫팅하고, ELISA 또는 유사한 항체 기반 검정 또는 LCMS를 사용하여 각각의 GIP 펩티드 유도체의 혈장 농도를 분석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개별 혈장 농도-시간 프로파일들을 Phoenix WinNonLin ver. 6.4(Pharsight Inc., Mountain View, CA, USA)에서 비구획 모델에 의해 분석하고, 이로부터 최종 반감기(조화 평균)을 결정하였다.
결과:
반감기 (t½)
화합물 번호 n t ½ (시간)
조화 평균 (최소-최대)
3 3 96 (93~98)
4 3 124 (116~132)
5 2 79 (73~79)
6 3 125 (121~130)
7 2 84 (82~87)
8 3 106 (92~118)
11 2 89 (86~91)
12 3 132 (120~141)
15 2 81 (80~82)
17 3 88 (86~91)
23 3 119 (112~126)
24 3 125 (122~127)
25 2 125 (119~134)
26 3 109 (101~118)
27 3 147 (145~151)
28 3 104 (91~116)
29 3 119 (103~138)
30 3 99 (88~107)
31 2 128 (125~130)
32 3 121 (100~137)
시험된 GIP 유도체는 인간에서 측정된 hGIP(1-42)의 반감기가 약 5분[Meier 등의 Diabetes, Vol. 59, 2004, 654-662] 또는 7분[Deacon 등의 J. Clin. Endocrinol. & Metab., Vol. 85, No. 10, 2000, 3575-3581]인 것과 비교해 매우 긴 반감기를 갖는다.
실시예 4:
펩티드 조성물의 물리적 안정성(ThT 소섬유화 검정 및 DLS_SI)
본 연구의 목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ThT 검정 DLS-SI 검정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의 물리적 안정성을 수용액 중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ThT 검정:
티이플라빈 T 검정은 Schlein(2017), AAPS J, 19(2), 397-408에서 약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펩티드의 낮은 물리적 안정성은 아밀로이드 소섬유 형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샘플에서 잘 정렬된 나사 모양의 거대분자 구조로서 관찰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겔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샘플의 육안 검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은 매우 번거롭고 관찰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소분자 표시자 프로브를 적용하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하다. 티오플루빈 T(ThT)가 이러한 프로브이고 소섬유에 결합할 때 구별되는 형광 시그니처를 나타낸다[Naiki 등의 문헌[(1989) Anal. Biochem. 177, 244-249; LeVine (1999) Methods. Enzymol. 309, 274-284 참조].
섬유 형성에 대한 시간 과정은 다음의 표현과 함께 S자 곡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Nielsen 등의 (2001) Biochemistry 40, 6036-6046]:
Figure pct00122
식 중, F는 시간(t)에서의 ThT 형광이다. 상수 t0은 최대 형광의 50%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다. 소섬유 형성을 설명하는 두 가지 중요한 파라미터는 t0-2τ에 의해 계산되는 지연-시간 및 겉보기 속도 상수 kapp 1/τ이다.
부분적으로 접힌 펩티드 중간체의 형성은 일반적으로 소섬유화 메커니즘이 개시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들 중간체 중 핵을 형성해, 추가의 중간체가 조립될 수 있고 소섬유화가 진행될 수 있는 템플릿을 형성하는 것은 거의 없다. 지연 시간은 임계 질량의 핵이 생성되는 간격에 상응하며, 겉보기 속도 상수는 소섬유 자체가 형성되는 속도이다.
샘플은 각 검정 전에 새롭게 제조한다. 약물 물질을 8 mM 인산염, 14 mg/mL 프로필렌 글리콜, 58 mM 페놀(pH 7.4)에 250 μM의 GIP 유도체와 함께 용해시켰다. 적절한 양의 농축된 NaOH 및 HCl을 사용해 샘플의 pH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티오플라빈 T를 H2O 중 모액 유래의 샘플에 1 μM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200 μl의 샘플 분취액을 96 웰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Packard OptiPlate™-96, 백색 폴리스티렌)의 각 웰에 넣었다. (한 가지 시험 조건에 상응하는) 각 샘플의 4개의 복제물을 웰 중 하나의 컬럼에 넣었다. 플레이트를 스카치 패드(Qiagen)로 밀봉하였다.
인큐베이션, 진탕 및 ThT 형광 방출의 측정을 Fluoroskan Ascent FL 형광 플레이트 판독기(Thermo Labsystems)에서 수행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1 mm의 진폭 및 960 rpm으로 조정하여 궤도 진탕하면서 인큐베이션하였다. 형광 측정은 444 nm 필터를 통해 여자(excitation)를 사용해 수행하고, 방출은 485 nm 필터를 통해 측정하였다. 45시간 인큐베이션 후 검정을 완료하였다.
각각의 검정은 검정 온도에서 플레이트를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개시하였다. 플레이트를 원하는 기간 동안 20분마다 측정하였다. 각 측정 사이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를 진탕하고 가열하였다.
ThT 검정을 완료한 후, 각 샘플의 복제본을 풀링하고 20000 rpm으로 30분 동안 18℃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0.22 μm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분취액을 HPLC 바이알에 옮겼다. 초기 샘플 대비 여과된 샘플의 농도(백분율)를 회수(recovery)로서 보고하였다.
측정 지점을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Microsoft Excel 포맷으로 저장하고, GraphPad Prism을 사용해 곡선을 그리고 피팅을 수행하였다. 소섬유 부재 시 ThT에서의 배경 방출은 무시할 만한 수준이었다. 데이터 포인트는 4개의 복제물의 평균이며 표준 편차 오차 막대와 함께 도시하였다. 동일한 실험(즉 동일한 플레이트 상의 샘플)에서 수득된 데이터만을 동일한 그래프에 제시하여 실험 간의 소섬유화에 대한 비교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데이터 세트는 등식 (1)에 피팅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 보고된 소섬유화 전의 지연 시간은 ThT 형광이 배경 수준보다 상당히 증가하는 시점을 식별하는 곡선의 육안 검사로 결정하였다. 검정이 진행되는 동안 ThT 형광이 증가하지 않았음이 45시간의 지연 시간으로 보고되었다.
용액 중 펩티드의 물리적 안정성 평가를 위한 동적 광 산란 안정성 지수(Dynamic Light Scattering stability index; DLS-SI):
용액 중 펩티드의 유체역학적 반경(Rh, 동의어: 스토크스 반경(Stokes radius))은 용액 중 생체 분자(biomolecule)의 크기 및 올리고머 상태의 표시자이며, 동적 광 산란(DLS)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른 유체역학적 반경(Rh)의 변화는 크기 및 올리고머 상태의 변화에 대한 표시자일 수 있고, 따라서 용액 중 펩티드의 물리적 불안정성에 대한 표시자일 수 있다.
샘플은 각 검정 전에 새롭게 제조하였다. 약물 물질을 8 mM 인산염, 14 mg/mL 프로필렌 글리콜, 58 mM 페놀(pH 7.4)에 250 μM의 GIP 유도체와 함께 용해시켰다. 적절한 양의 농축된 NaOH 및 HCl을 사용해 샘플의 pH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새롭게 제조한 400 μl의 각 샘플을 0.02 μm 기공 크기를 갖는 비-멸균 Whatman® Anotop® 10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첫 두 방울은 버렸다. 384 웰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Corning® 3540 폴리스티렌, 검정색, 바닥이 편평하고 투명함)에 웰 당 25 μl 여과된 샘플을 넣고, 각각의 샘플을 3회 반복하여 분석하였다. 각 웰 내의 샘플을 15 μL 실리콘 오일(Sigma-Aldrich, 25℃에서 점도 20 cSt)로 덮었다. 플레이트를 1200 rpm(Eppendorf® 원심분리기 5430, 회전자 A 2 MTP)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Wyatt DynaPro 플레이트 판독기 II에 30분 동안 넣은 후, 25℃까지 샘플의 온도 평형화에 대한 측정을 시작하였다. Wyatt DynaPro 플레이트 판독기 II에는 830 nm 레이저 및 소프트웨어 Dynamics v7.5가 구비되어 있었다. 각 웰 내의 각 샘플의 데이터를, 5초의 데이터 획득 간격을 두고 샘플 당 40번 획득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후, 플레이트를 마이크로플레이트용 접착 필름(VWR 폴리프로필렌 내열성 필름)으로 덮고 25℃에서 4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 2 및 4주 후에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해 DLS로 샘플을 다시 측정하였다.
측정 후, 각각의 샘플의 데이터를 다음 조건 하에 Dynamics 소프트웨어 v7.5에 의해 먼저 필터링하였다: 최소 진폭: 0.03, 최대 진폭: 1, 베이스라인 한계(1+/-): 0.005 및 최대 SOS: 100. 그 후, 측정된 각 샘플의 시간-자기 상관 함수를 동료 검증(peer review)한 후, 등식 (2)에 따라 DLS-SI를 계산하였다.  
DLS-SI 검정에서 누적 Rh의 변화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안정성 지수로서 다음에 의해 정의되고
Figure pct00123
시간(t)에 따라 달라지는 안정성 지수로서의 DLS-SI의 경우, 안정성 조사의 시작(t0)과 끝(t)에서 누적 유체역학적 반경(Rh) 간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 변동성 2σ에 의해 정규화하였다. 이러한 조건 하에, Rh-측정 값의 분석적 변동성을 광범위하게 조사하여 σ = 0.3 nm을 도출하였다. 1보다 큰 DLS-SI 값은 Rh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함을 나타낸다. DLS-SI 값이 클수록 시간의 경과에 따라 Rh가 더 많이 변화한다.
결과:
Ph 7.4에서의 ThT 검정의 지연 시간과 회수율, 및 DLS-SI
화합물 번호 ThT 검정
지연 시간 (시간)
ThT 검정
회수 (%)
DLS-SI
무차원
DLS-SI
침전물
hGIP(1-42) 0.33 0 1# 없음#
hGIP(1-31) 0 49 1000## 있음##
1 >45 104.5 1.7 없음
2 >45 111.5 0 없음
3 >45 100 0 없음
4 >45 100 0.6 없음
5 >45 101 1.1 없음
6 >45 100 1.7 없음
7 >45 100 1.7 없음
8 >45 100 0.6 없음
10 >45 95 1.7 없음
11 >45 100 0 없음
12 >45 115 0.6 없음
15 >45 101 1.7 없음
17 >45 105 0.6 없음
21 >45 104 0 없음
22 >45 100 1.7 없음
23 >45 100 1.7 없음
24 >45 100 1.7 없음
25 >45 104 1.7 없음
26 >45 104 0 없음
27 >45 102 1.7 없음
28 >45 100 0 없음
29 >45 102 0 없음
30 >45 100 1.1 없음
31 >45 101 0.6 없음
32 >45 100 1.7 없음
33 >45 88 nd nd
34 >45 88 nd nd
43* >45 100 0 없음
44** nd nd nd nd
45 >45 93 6.7 없음
46 >45 103 1.5 없음
nd=미결정; # DLS-SI에서 hGIP(1-42)의 농도가 샘플 제조 시 기술된 250 μM 대신 단지 156 μM이었음. ## DLS-SI에서 hGIP(1-31)의 농도가 샘플 제조 시 기술된 250 μM 대신 단지 5 μM이었음. * 농도가 샘플 제조 시 기술된 250 μM 대신 단지 162 μM이었음. ** 주어진 pH에서 화합물이 용해되지 않음.
ThT 검정에서 시험한 GIP 유도체는 45시간(지연 시간) 후 소섬유를 형성하지 않고 매우 높은 회복률을 나타내는데, 다시 말해, hGIP(1-42) 및 hGIP(1-31)와 비교했을 때, 검정 후 초기 농도에 대해 상대적인 GIP 유도체의 농도가 회복된다. 또한, hGIP(1-42) 및 hGIP(1-31)가 용액 중에서 소섬유를 형성하는 경향도 도시되어 있다.
DLS-SI 데이터는 본 발명의 GIP 유도체 및 hGIP(1-42)에 대한 유체 역학적 반경이 증가하지 않았거나 거의 증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침전물이 보이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Rh의 변화는 hGIP(1-31)의 경우 상당하였고, 큰 응집체의 형성이 DLS 기기 내 침전물로서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GIP 유도체는 hGIP(1-42) 및 hGIP(1-31)에 비해 높은 물리적 안정성을 갖는다.
실시예 5:
GIP 유도체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
본 연구의 목적은 GIP 유도체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GIP 유도체 조성물의 안정성의 척도로서, 시간의 함수로서 고분자량 펩티드의 형성(%HMWP)을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추가로, GIP 유도체 조성물의 순도 손실을 LCMS에 의해 측정하였다.
제형:
화학적 안정성 검정용 샘플은 각 검정 전에 새롭게 제조하였다. 약물 물질을 8 mM 인산염, 14 mg/mL 프로필렌 글리콜, 58 mM 페놀(pH 7.4)에 250 μM의 GIP 유도체와 함께 용해시켰다. 적절한 양의 농축된 NaOH 및 HCl을 사용해 샘플의 pH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인큐베이션:
각 GIP 유도체의 제형을 37℃의 인큐베이터에 4주 동안 보관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HMWP 형성 및 순도 손실에 대해 시험하였다.
HMWP 형성 분석:
공유 올리고머(HMWP)의 형성을 SEC-MS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식별하였다. Acquity BEH200 SEC 컬럼(4.6 mm x 150 mm, 1.7 μm 입자 크기 및 200Å 기공 크기)이 구비된 Waters Acquity i-class UPLC. 45℃의 컬럼 온도 및 0.2 ml/분의 유속에서 55% MeCN 중 0.05% TFA를 이용해 등용매 용리를 수행하였다. LC 시스템을, 215 nm, 10 Hz로 작동하는 TUV 검출기; 및 양이온 모드로 작동하고 정상 해상도 설정에서 100 내지 4000의 m/z 범위를 갖는 Waters의 고해상도 QToF 질량 분석기(Synapt G2S) 둘 다에 결합시켰다. 루 엔케팔린(Leu-Enkephalin)에 대한 고정 질량 보정(lock mass correction)은 31초마다 수행하였다. 스펙트럼은 MassLynx 버전 4.1에서 처리하고 MaxEnt로 디콘볼루션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나 있다.
LCMS에 의한 순도 분석:
가속화된 화학적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Waters Synapt G2S 고해상도 QToF 질량 분석 시스템과 결합된 Waters Acquity I-class UPLC 시스템을 이용해 관련 샘플들을 분석하여 순도와 불순물을 식별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UPLC 시스템에 Waters Acquity CSH C18 컬럼(1.7 μm의 입자 크기, 1 mm의 내경, 및 150 mm의 길이)을 장착하였다. 컬럼 오븐을 55℃로 유지하였다. 사용된 용매는 Thermo의 미리 혼합된 물 중 0.1% 포름산(용리액 A, Optima LS118-1)이었고, 용리액 B 또한 Thermo의 미리 혼합된 MeCN 중 0.1% 포름산(Optima LS120-1)이었다. 용매를 이진 용매 관리자 시스템으로부터 펌핑하고, 고압 측에서 50 μl의 부피와 혼합하였다. 구배 및 흐름은 표 4에서 알 수 있다:
Figure pct00124
8℃의 플로우-쓰루-니들 자동 샘플러를 사용해 1 μl의 각 샘플을 주사하였다. 방출물(effluent)을 215 nm로 조정된 조정식 UV 검출기(TUV)를 통과시켰다. UV 검출기의 유출물을 질량 분석기의 전기분무 공급원에 전달하였다. 모세관을 3 kV로 유지하고 건조 질소 가스를 750 l/시간의 유속으로 250℃의 온도에서 퍼징하였다. 소스 블록을 120℃로 유지하고, 기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표준 전극 전위차를 유지하면서 50 l/시간의 질소로 대구경 콘(large bore cone)을 플러싱하였다. MS를 35000의 공칭 해상도를 갖는 고해상도 모드로 작동시켰다. ToF 분석기는 m/z 윈도우가 100~2000인 ADC 모드로 작동시켰다. 트랩 T 파형 영역에서 더 높은 충돌 에너지를 갖는 두 번째 함수를, 32 내지 52 V의 전압을 갖는 고 에너지 램프를 사용하는 MSE 유형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결과:
37℃에서 HMWP 형성 및 순도 손실
화합물 번호 HMWP 형성(%/월) 순도 손실
(%/월)
hGIP(1-42) 2.0 73.1
hGIP(1-31) 0.15 86.9
1 0.30 5.60
2 0.25 3.47
3 0.90 2.80
4 0.50 2.00
5 0.15 2.89
6 0.50 5.20
7 0.00 1.70
8 0.80 6.00
10 1.50 4.80
11 -0.44 2.64
12 0.70 4.40
15 0.24 0.74
17 -0.30 4.00
21 0.40 3.20
22 0.10 4.80
23 0.40 1.60
24 0.70 3.60
25 0.40 2.00
26 1.30 4.40
27 0.85 1.09
28 0.08 1.49
29 0.31 2.10
30 0.10 1.14
31 -0.24 0.49
32 0.66 2.80
33 0.32 34.50
45 8.17 47.22
46 -0.09 2.96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GIP 유도체는 HMWP의 형성이 적으며 매월 낮은 순도 손실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은 용액 중에서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실시예 6:
비만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는 아만성 생체 내 연구
본 실시예의 목적은 본 발명의 GIP 유도체가 단독으로, 및 GLP-1 수용체 작용제와 조합되어 식단 유도형 비만(DIO) 마우스의 음식 섭취, 체중 및 포도당 내성에 미치는 생체 내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세마글루티드-유사 분자로서 세마글루티드와 동일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지지만 구조는 약간 상이하다. 화합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사용해, 예를 들어, 본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또는 WO 2006/097537, 실시예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합성할 수 있다.
세마글루티드-유사 분자(화합물 번호 47; 서열번호 58):
N6,26-{18-[N-(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D-γ-글루타밀]-10-옥소-3,6,12,15-테트라옥사-9,18-디아자옥타데칸오일}-[8-(2-아미노-2-프로판산), 34-L-아르기닌]인간 글루카곤-유사 펩티드 1(7-37)
Figure pct00125
GLP-1 수용체 작용제(화합물 47) 및/또는 화합물 번호 5, 25 및 31에 의해 예시된 본 발명의 GIP 유도체를 사용해 매일 1회 동물을 치료하여 체중 손실, 효능 및 포도당 내성을 평가하였다.
동물 및 식단
모든 동물 프로토콜은 동물 실험 윤리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및 Novo Nordisk의 윤리 평가 위원회(Ethical Review Committee)에 의해 승인되었다. Novo Nordisk의 설치류 수용 표준에 따라 동물을 수용하고, 조절된 조명(12시간:12시간 명/암 사이클; 18:00~06:00 소등), 온도(23±2℃) 및 상대 습도(50±20%) 조건 하에 먹이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 22주 동안 고지방 식단(45% kcal 지방, RD12451, Research Diets, New Brunswick, NJ, USA)을 유지시킨 DIO 수컷 C57BL/6J 마우스를 Charles River(France)로부터 입수하였다. 도착 후, 마우스를 한 마리씩 수용하여(케이지 당 마우스 한 마리), 치료를 시작하기 전 2주 동안 새로운 환경에 순응할 수 있게 하였다.
그룹 할당 및 투여
연구를 개시하기 전에, 동물을 한 마리씩 수용하고 7일 동안 핸들링에 순응시켰다. DIO 마우스를 여러 개의 그룹(n=8/그룹)으로 배분하되, 지방 질량과 체중의 평균 및 표준 편차에 있어서의 통계적 편차가 그룹 간에 최소화되도록 배분하였다. 동물에게 비히클 또는 시험 화합물을 매일 1회 피하 투여하였다.
제형 완충액
연구에서의 모든 화합물은 다음 완충액 중에서 제형화하였다: 50 mM 인산염; 70 mM 염화 나트륨; 0.05% 폴리소르베이트 80, pH 7.4. 투여 용액은 유리 바이알에서 제형화하여 2~8℃에서 보관하였다. 투여 용액은 투여 전에 실온으로 만들고 투여 후에는 2~8℃로 복귀시켰다.
체중 및 음식 섭취
체중(BW) 및 음식 섭취는 매일 투여 직전에 측정하였다. 치료를 시작하기 전의 마우스의 평균 시작 체중은 45.2 ± 0.2 g이었다. 결과를 표 6~8에 나타냈다.
IPGTT(복강내 포도당 내성 시험)
포도당 내성 시험(15일차) 당일에, 동물을 4시간 동안 굶겼다. 음식물을 치우고 동물을 새로운 케이지로 옮겼다. 동물에게 물은 주되 음식을 주지 않았다. 꼬리 혈당 수준을 측정하고, 2 g/kg의 포도당 로드(200 mg/ml 포도당 용액, 투여 부피 10 ml/kg)를 마우스에게 복강내(i.p.) 주입하였다(t=0). 포도당 로드의 i.p. 이후 0, 15, 30, 60, 90, 120분차에 꼬리 혈당 수준을 측정하였다. IPGTT 도중 동물의 계층화는, 예를 들어 그룹 1의 마우스 2마리에게 투여가 이루어지고, 그룹 1, 2, 3의 그 다음 2마리의 마우스에게 투여가 이루어지기 전에 그룹 2, 3, 4의 2마리 마우스에게 투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는 모든 그룹 전반에 걸쳐 "하루 중 시간"의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것이었다.
결과:
Figure pct00126
a-d p<0.05, 일원 ANOVA 및 투키의 일일 다중 비교 검정; (각 열에서) 동일한 글자로 연결되지 않은 그룹은 서로 상당히 상이하다. 결과는 평균 ± SEM으로 표현된다(n=6~8). iAUC = 베이스라인을 차감한 곡선 아래 면적
Figure pct00127
a-d p<0.05, 일원 ANOVA 및 투키의 일일 다중 비교 검정; (각 열에서) 동일한 글자로 연결되지 않은 그룹은 서로 상당히 상이하다. 결과는 평균 ± SEM으로 표현된다(n=8). iAUC = 베이스라인을 차감한 곡선 아래 면적
Figure pct00128
a-d p<0.05, 일원 ANOVA 및 투키의 일일 다중 비교 검정; (각 열에서) 동일한 글자로 연결되지 않은 그룹은 서로 상당히 상이하다. 결과는 평균 ± SEM으로 표현된다(n=8). iAUC = 베이스라인을 차감한 곡선 아래 면적
표 6-8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 화합물 47(2 nmol/kg)을 이용한 단일요법이 음식 섭취의 감소를 유도하여 체중 감소 및 포도당 내성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GIP 유도체(화합물 5, 25, 31; 30 nmol/kg)를 이용한 단일요법은 음식 섭취에 미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결과적으로 화합물 47에 비해 체중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GIP 유도체 5, 25, 31을 이용한 단일요법은 모두 포도당 내성을 개선하였다. 화합물 47(2 nmol/kg)과 각각의 GIP 유도체 5, 25, 31(30 nmol/kg)을 이용한 병용 치료는 단일 요법에 비해 첨가제보다 더 큰 효과로 음식 섭취의 감소 및 체중 감소를 강화하였다. 병용 요법에 의한 포도당 내성은 GIP 유도체 단일 요법으로 달성된 것 이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표 6~8).
본 발명의 특정 특징들이 본원에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많은 변형, 치환, 변경 및 균등물이 이제 당업자에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 속하는 모든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SEQUENCE LISTING <110> Novo Nordisk A/S <120> GIP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130> 180016WO01 <150> US 62/666916 <151> 2018-05-04 <150> EP 18172827.0 <151> 2018-05-17 <160> 65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4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hGIP(1-42) <400> 1 Tyr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Lys Asn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Truncated human GIP(1-31) <400> 2 Tyr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Asn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3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Formula I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Modifying group attached to epsilon amino group of lysine <400> 3 Tyr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Met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4 <211> 31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human GLP-1(7-37) <400> 4 His Al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Gly 20 25 30 <210> 5 <211> 29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human glucagon <400> 5 His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Arg Arg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6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6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7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7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8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Epsilon amino group of Lys: [2-[2-[2-[[2-[2-[2-[[(4S)-4-carboxy-4-[[4-[(19-carboxynonadecanoy 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l]amino]ethoxy]eth oxy]acetyl]amino]ethoxy] ethoxy]acetyl]- <400> 8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9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4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9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0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5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0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1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6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 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1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7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2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3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8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 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3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4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9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4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u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5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0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5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u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6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1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6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7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2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7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8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3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8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Ala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19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4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19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Ala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0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5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S)-4-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i 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l ]- <400> 20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1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6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S)-4-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 i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 l]- <400> 21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u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7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Epsilon NH2 group of Lys has:[2-[2-[2-[[2-[2-[2-[[(4S)- 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xyhept 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etho 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l]- <400> 22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3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8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N-terminal Acetyl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23 Tyr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4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19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S)-4-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i 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l ]- <400> 24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Asp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u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5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0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S)-4- 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 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25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u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6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1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4S)-4-carboxy-4-[[(4S)- 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carbox 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l]-am 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26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u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7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2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27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u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8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3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28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u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29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4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29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30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5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30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31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6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1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Pro 20 25 30 <210> 3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7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2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Pro 20 25 30 <210> 33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8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3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Pro 20 25 30 <210> 34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29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4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Pro 20 25 30 <210> 35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0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4S)-4-carboxy-4-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 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35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36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1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4S)-4-carboxy-4-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 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6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Pro 20 25 30 <210> 37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2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37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Pro 20 25 30 <210> 38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3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38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Asn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39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4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39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Asn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0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5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S)-4-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i 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l ]- <400> 40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Glu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1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6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S)-4-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i 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l ]- <400> 41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Asp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2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7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S)-4-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i 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l ]- <400> 42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Glu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3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8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43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Glu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4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39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44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Asp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5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40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arbo 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45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Glu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6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41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S)-4-carboxy-4-[[4-[(19-carboxynonadecanoy 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l]amino]ethoxy]et 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l]- <400> 46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Glu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7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42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4-[(19- 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butanoy l]amino]butanoyl]amino]butanoyl]- <400> 47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Glu Glu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48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Formula II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any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ny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any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6)..(16) <223> Xaa is any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8)..(18) <223> Xaa is any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any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Modifying group attached to epsilon amino group of 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ny amino acid <400> 48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Xaa 1 5 10 15 Ile Xaa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Xaa 20 25 30 <210> 49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Tyr or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la, d-Ala,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Leu, Met, Asp or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6)..(16) <223> Xaa is Lys or Ala <220> <221> misc_feature <222> (18)..(18) <223> Xaa is Arg or His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Gln, Glu,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Modifying group attached to epsilon amino group of 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Gly or Pro <400> 49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Xaa 1 5 10 15 Ile Xaa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Xaa 20 25 30 <210> 50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Tyr or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la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6)..(16) <223> Xaa is Lys or Ala <220> <221> misc_feature <222> (18)..(18) <223> Xaa is His or Arg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Gln, Glu,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Modifying group attached to epsilon amino group of 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Gly or Pro <400> 50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Xaa 1 5 10 15 Ile Xaa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Xaa 20 25 30 <210> 5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Formula III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Lys or Glu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aa is Asn, Glu, or Asp <400> 51 Lys Xaa Xaa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1 5 10 <210> 52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Embodiment 109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cb (1-aminocyclobutanecarboxyl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Epsilon Lys:[(4S)-4-carboxy-4-[[(4S)-4-carboxy-4-[[2-[2-[2-[[2- [2-[2-[[(4S)-4-carboxy-4-[[(4S)-4-carboxy-4-(17-carboxy 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ethoxy]ethoxy] acet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2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Tyr Leu Asp Leu 1 5 10 15 Arg Arg Ala Arg Asp Phe Val Gln Trp Leu Leu Lys Thr 20 25 <210> 53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Embodiment 110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Epsilon amino Lys: [(4S)-4-carboxy-4-[[(4S)-4-carboxy-4-[[(2S)-2-[[(2S)-4-carboxy-2- [[(2S)-2-[[(4S)-4-carboxy-4-[[(4S)-4-carboxy-4-(17-carboxyheptade 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3-hydroxypropanoyl]amino]butanoyl]amino]-3-hydroxypropanoyl]amin 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3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Tyr Leu Glu Ser 1 5 10 15 Lys Arg Ala Arg Glu Phe Val Gln Trp Leu Leu Lys Thr 20 25 <210> 54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Embodiment 111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cb (1-aminocyclobutanecarboxyl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Epsilon amino of Lys: [(4S)-4-carboxy-4-[[(4S)-4- carboxy-4-[[2-[2-[2-[[2-[2-[2-[[(4S)-4-carboxy-4-(17-carboxyhepta decanoylami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 hoxy]acety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4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Tyr Leu Glu Ser 1 5 10 15 Arg Arg Ala Arg Glu Phe Val Gln Trp Leu Leu Lys Thr 20 25 <210> 55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Embodiment 112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cb (1-aminocyclobutanecarboxyl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4S)-4-carboxy-4-[[(4S)-4-carboxy-4-[[2-[2-[2-[[2-[2-[2-[[(4S)-4 -carboxy-4-[[(4S)-4-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ino)butan oyl]ami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 ]acety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5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Tyr Leu Asp Leu 1 5 10 15 Lys Arg Ala Arg Glu Phe Val Gln Trp Leu Leu Lys Thr 20 25 <210> 56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Embodiment 113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2-[2-[2-[[2-[2-[2-[[(4S)-4-carboxy-4-[[(4S)-4-carboxy-4-[[(4S)-4 -carboxy-4-(17-carbo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ami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 tyl]-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C-terminal amidation <400> 56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Tyr Leu Asp Ala 1 5 10 15 Arg Arg Ala Arg Asp Phe Val Gln Trp Leu Leu Lys Thr 20 25 <210> 57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Semaglu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2-(2-[2-(2-[2-(2-[4-(17-Carboxyheptadecanoylamino)-4 (S)-carboxybutyr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 cetyl]- <400> 57 His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Arg Gly Arg Gly 20 25 30 <210> 58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Semaglutide-like molecule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17-Carboxyheptadecanoylamino)-4(R)-carboxyb utyr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tyl]- <400> 58 His Xa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Arg Gly Arg Gly 20 25 30 <210> 59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43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19-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 hexanecarbon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 tyl]- <400> 59 Xaa Al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20 25 30 <210> 60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44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 [2-[2-[2-[[2-[2-[2-[[4-[(19-carboxynonadecanoylamino)methyl]cyclo hexanecarbon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thoxy]ace tyl]-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0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Pro 20 25 30 <210> 61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45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 the following substituent:[2-[2-[2-[[2-[2-[2-[[(4S)-4-carboxy-4-(17-carboxyhept adecanoylamino)butanoyl]amino]ethoxy]ethoxy]acetyl]amino]ethoxy]e thoxy]acetyl]- <400> 61 Tyr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Leu Asp Lys 1 5 10 15 Ile His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Gly Lys 20 25 30 Lys Asn Asp Trp Lys His Asn Ile Thr Gln 35 40 <210> 6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3> Compound 46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N-acetyl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The epsilon amino group of Lys has:[(4S)-4-carboxy-4-[[(4S)-4-carboxy-4-[[(4S)-4-carboxy-4-(17-c arboxyheptadec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amino]butanoyl]-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C-terminal amidation <400> 62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Lys 1 5 10 15 Ile Arg Gln Gln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Pro 20 25 30 <210> 63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Tyr or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la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Asp, Leu, or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6)..(16) <223> Xaa is Lys or Ala <220> <221> MISC_FEATURE <222> (18)..(18) <223> Xaa is His or Arg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Gln, Glu,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Modifying group attached to epsilon amino group of 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Gly or Pro <400> 63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Xaa 1 5 10 15 Ile Xaa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Xaa 20 25 30 <210> 64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Tyr or 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la, d-Ala,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Leu, Met, or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6)..(16) <223> Xaa is Lys or Ala <220> <221> MISC_FEATURE <222> (18)..(18) <223> Xaa is Arg or His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Gln, Glu,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Modifying group attached to epsilon amino group of 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Gly or Pro <400> 64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Xaa 1 5 10 15 Ile Xaa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Xaa 20 25 30 <210> 65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Tyr, Ac-Tyr, d-Tyr or Ac-d-Tyr <220> <221> MISC_FEATURE <222> (2)..(2) <223> Xaa is Ala, d-Ala,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Leu, Met, Asp or Nle (norleucine) <220> <221> MISC_FEATURE <222> (16)..(16) <223> Xaa is Lys or Ala <220> <221> MISC_FEATURE <222> (18)..(18) <223> Xaa is Arg or His <220> <221> MISC_FEATURE <222> (20)..(20) <223> Xaa is Gln, Glu, or Aib (alpha-aminoisobutyr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Modifying group attached to epsilon amino group of lys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Gly or Pro <400> 65 Xaa Xaa Glu Gly Thr Phe Ile Ser Asp Tyr Ser Ile Ala Xaa Asp Xaa 1 5 10 15 Ile Xaa Gln Xaa Asp Phe Val Lys Trp Leu Leu Ala Gln Lys Xaa 20 25 30

Claims (15)

  1. GIP 유사체의 유도체로서, 다음의 식 I(서열번호 3)을 포함하되:
    Tyr-Ala-Glu-Gly-Thr-Phe-Ile-Ser-Asp-Tyr-Ser-Ile-Ala-Met-Asp-Lys-Ile-His-Gln-Gln-Asp-Phe-Val-Lys-Trp-Leu-Leu-Ala-Gln-Lys-Gly (식 I),
    위치 24에서,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의 측쇄에 변형기가 공유 부착되고, 변형기는 A-B-C-에 의해 정의되고, A-는 원위 단부에서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를 갖는 친유성 모이어티이고 B-C-는 링커이며;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와 비교해 최대 8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아미드.
  2. 제1항에 있어서, 식 II (서열번호 48)를 포함하되:
    X1-X2-Glu-Gly-Thr-Phe-Ile-Ser-Asp-Tyr-Ser-Ile-Ala-X14-Asp-X16-Ile-X18-Gln-X20-Asp-Phe-Val-Lys-Trp-Leu-Leu-Ala-Gln-Lys-X31 (식 II),
    식 II는 위치 X1, X2, X14, X16, X18, X20, 및/또는 X31에서 임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GIP 유사체는 hGIP(1-31)(서열번호 2)와 비교해 최대 8개의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유도체.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X1, X2, X14, X16, X18, X20, 및/또는 X31의 위치에서의 아미노산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X1은 Tyr 또는 D-Tyr이고;
    X2는 Aib, Ala, 또는 D-Ala이고;
    X14는 Leu, Nle, Asp 또는 Met이고;
    X16은 Lys 또는 Ala이고;
    X18은 Arg 또는 His이고;
    X20은 Gln, Glu 또는 Aib이며;
    X31은 Gly 또는 Pro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는 화학식 1이고
    화학식 1:
    Figure pct00129

    p는 14~20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A-B-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도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는 화학식 2이고
    화학식 2:
    Figure pct00130

    q는 0~1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r은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A-B-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는 B-C--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도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는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부터 선택되고 4
    화학식 3:
    Figure pct00131

    화학식 4:
    Figure pct00132

    s는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t는 1~4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u는 1~3의 범위 내에 있는 정수이고,
    **는 B-C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는 C-와 위치 24에서의 리신의 엡실론 아미노기를 연결하는 아미드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도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도체: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1; 서열번호 6)
    Figure pct00133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hGIP(1-31) (화합물 2; 서열번호 7)
    Figure pct00134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 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3; 서열번호 8)
    Figure pct00135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4; 서열번호 9)
    Figure pct00136

    N{1}-아세틸,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5; 서열번호 10)
    Figure pct00137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6; 서열번호 11)
    Figure pct00138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7; 서열번호 12)
    Figure pct00139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8; 서열번호 13)
    Figure pct00140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9; 서열번호 14)
    Figure pct00141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10; 서열번호 15)
    Figure pct00142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11; 서열번호 16)
    Figure pct00143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12; 서열번호 17)
    Figure pct00144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la16,Arg18,Lys24]-hGIP(1-31) (화합물 13; 서열번호 18)
    Figure pct00145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la16,Arg18,Lys24]-hGIP(1-31) (화합물 14; 서열번호 19)
    Figure pct00146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15; 서열번호 20)
    Figure pct00147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타데칸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16; 서열번호 21)
    Figure pct00148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17; 서열번호 22)
    Figure pct00149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18; 서열번호 23)
    Figure pct00150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Asp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19; 서열번호 24)
    Figure pct00151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Glu20,Lys24]-hGIP(1-31) (화합물 20; 서열번호 25)
    Figure pct00152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Glu20,Lys24]-hGIP(1-31) (화합물 21; 서열번호 26)
    Figure pct00153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Glu20,Lys24]-hGIP(1-31) (화합물 22; 서열번호 27)
    Figure pct00154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Glu20,Lys24]-hGIP(1-31) (화합물 23; 서열번호 28)
    Figure pct00155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ib20,Lys24]-hGIP(1-31) (화합물 24; 서열번호 29)
    Figure pct00156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25; 서열번호 30)
    Figure pct00157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26; 서열번호 31)
    Figure pct00158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27; 서열번호 32)
    Figure pct00159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28; 서열번호 33)
    Figure pct00160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29; 서열번호 34)
    Figure pct00161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30; 서열번호 35)
    Figure pct00162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31; 서열번호 36)
    Figure pct00163
    ;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32; 서열번호 37)
    Figure pct00164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hGIP (화합물 33; 서열번호 38)
    Figure pct00165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35; 서열번호 40)
    Figure pct00166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Lys24,Glu33,Asp34]-hGIP (화합물 36, 서열번호 41)
    Figure pct00167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37; 서열번호 42)
    Figure pct00168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38; 서열번호 43)
    Figure pct00169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Lys24,Glu33,Asp34]-hGIP (화합물 39; 서열번호 44)
    Figure pct00170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40; 서열번호 45)
    Figure pct00171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41; 서열번호 46)
    Figure pct00172
    ;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Aib2,Nle14,Arg18,Lys24,Glu33,Glu34]-hGIP (화합물 42; 서열번호 47)
    Figure pct00173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43; 서열번호 59)
    Figure pct00174
    ;
    N{1}-아세틸,N{엡실론-24}-[2-[2-[2-[[2-[2-[2-[[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44; 서열번호 60)
    Figure pct00175
    ;
    N{엡실론-24}-[2-[2-[2-[[2-[2-[2-[[(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ib2,Leu14,Lys24]-hGIP (화합물 45; 서열번호 61)
    Figure pct00176
    .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체는
    N{1}-아세틸, 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17-카르복시헵탄데칸오일)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hGIP(1-31) (화합물 5; 서열번호 10)인, 유도체:
    Figure pct00177
    .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체는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Nle14,Arg18,Aib20,Lys24]-hGIP(1-31) (화합물 25; 서열번호 30)인, 유도체:
    Figure pct00178
    .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체는
    N{1}-아세틸,N{엡실론-2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S)-4-카르복시-4-[[4-[(19-카르복시노나데칸오일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카르보닐]-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아미노]부탄오일]-[D-Tyr1,Aib2,Nle14,Arg18,Lys24,Pro31]-hGIP(1-31) 아미드 (화합물 31; 서열번호 36)인, 유도체:
    Figure pct00179
    .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GLP-1 수용체 작용제 또는 GLP-1/글루카곤 수용체 공동-작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도체.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중 조절, 비만 및 비만 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형태의 당뇨병(예를 들어, 2형 당뇨병, 및 당뇨병 관련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유도체.
KR1020207034171A 2018-05-04 2019-05-03 Gip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379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6916P 2018-05-04 2018-05-04
US62/666,916 2018-05-04
EP18172827 2018-05-17
EP18172827.0 2018-05-17
PCT/EP2019/061413 WO2019211451A1 (en) 2018-05-04 2019-05-03 Gip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700A true KR20210005700A (ko) 2021-01-14
KR102379958B1 KR102379958B1 (ko) 2022-04-01

Family

ID=6644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171A KR102379958B1 (ko) 2018-05-04 2019-05-03 Gip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11633459B2 (ko)
EP (1) EP3788063B1 (ko)
JP (2) JP6818940B2 (ko)
KR (1) KR102379958B1 (ko)
CN (1) CN112074531A (ko)
AU (1) AU2019263674B2 (ko)
BR (1) BR112020022027A2 (ko)
CA (1) CA3097939A1 (ko)
CL (1) CL2020002796A1 (ko)
CO (1) CO2020014180A2 (ko)
ES (1) ES2961384T3 (ko)
IL (1) IL278171A (ko)
MA (1) MA52483A (ko)
MX (1) MX2020011427A (ko)
PE (1) PE20210473A1 (ko)
PH (1) PH12020551742A1 (ko)
RU (1) RU2020136305A (ko)
SG (1) SG11202010297UA (ko)
TW (1) TWI707865B (ko)
WO (1) WO20192114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782A (ko)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펩트론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9214A1 (en) 2016-09-09 2018-03-15 Incyte Corporation Pyrazolopyridine derivatives as hpk1 modulators and use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10266530B2 (en) 2016-09-09 2019-04-23 Incyte Corporation Pyrazolopyrid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TW201811799A (zh) 2016-09-09 2018-04-01 美商英塞特公司 吡唑并嘧啶化合物及其用途
US10752635B2 (en) 2018-02-20 2020-08-25 Incyte Corporation Indazole compounds and uses thereof
LT3755703T (lt) 2018-02-20 2022-10-10 Incyte Corporation N-(fenil)-2-(fenil)pirimidin-4-karboksamido dariniai ir susiję junginiai, kaip hpk1 inhibitoriai, skirti vėžio gydymui
TWI707865B (zh) * 2018-05-04 2020-10-21 丹麥商諾佛 儂迪克股份有限公司 Gip衍生物及其用途
US10899755B2 (en) 2018-08-08 2021-01-26 Incyte Corporation Benzothiazole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11066394B2 (en) 2019-08-06 2021-07-20 Incyte Corporation Solid forms of an HPK1 inhibitor
KR20220145888A (ko) 2020-03-06 2022-10-31 사노피 선택적 gip 수용체 작용제로서의 펩티드
US20230127047A1 (en) 2020-03-31 2023-04-27 Antaros Medical Ab Selective gip receptor agonists comprising a chelating moiety for imaging and therapy purposes
US11478533B2 (en) 2020-04-27 2022-10-25 Novo Nordisk A/S Semaglutide for use in medicine
TWI801942B (zh) 2020-07-22 2023-05-11 丹麥商諾佛 儂迪克股份有限公司 適用於口服的glp-1及gip受體共促效劑
MX2023005408A (es) * 2020-11-09 2023-07-25 Embark Biotech Aps Compuestos y su uso en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mediados por el receptor de taquiquinina.
WO2023031455A1 (en) 2021-09-06 2023-03-09 Sanofi Sa New peptides as potent and selective gip receptor agonists
WO2023118263A1 (en) * 2021-12-21 2023-06-29 Embark Biotech Aps Agonists for treatment of eating disorder
TW202330584A (zh) 2022-01-20 2023-08-01 丹麥商諾佛 儂迪克股份有限公司 前藥及其用途
WO2023151594A1 (en) * 2022-02-11 2023-08-17 Hangzhou Sciwind Biosciences Co., Ltd. A composition comprising gip receptor agonists and glp-1 receptor agonists and us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4483A1 (en) * 2012-05-03 2013-11-07 Zealand Pharma A/S Gip-glp-1 dual agonist compound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1465B1 (en) 1999-03-29 2004-08-04 Uutech Limited Analogs of gastric inhibitory peptide and their use for treatment of diabetes
GB0404124D0 (en) 2004-02-25 2004-03-31 Univ Ulster Antagonists of GIP
TWI362392B (en) 2005-03-18 2012-04-21 Novo Nordisk As Acylated glp-1 compounds
CA2729296A1 (en) 2008-06-17 2010-01-28 Richard D. Dimarchi Gip-based mixed agonists for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and obesity
JP2011530508A (ja) 2008-08-07 2011-12-22 イプセン ファルマ ソシエテ パール アクシオン サンプリフィエ グルコース依存性インスリン分泌刺激ポリペプチドのアナログ
JP2011530507A (ja) 2008-08-07 2011-12-22 イプセン ファルマ ソシエテ パール アクシオン サンプリフィエ グルコース依存性インスリン分泌刺激ポリペプチドアナログ
BRPI0917001A2 (pt) 2008-08-07 2016-02-16 Ipsen Pharma Sas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 de um composto ou uma composição farmacêutica
EA020091B1 (ru) * 2008-08-07 2014-08-29 Ипсен Фарма С.А.С. Аналоги глюкозозависимого инсулинотропного полипептида (gip),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е по n-концу
TWI484974B (zh) * 2009-12-16 2015-05-21 Novo Nordisk As 雙重醯化glp-1衍生物
BR112012018585A2 (pt) 2010-01-27 2017-01-10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njungados e composições de glucagon antagonista-gip agonista para o tratamento de distúrbios metabólicos e de obesidade
BR112012028707A2 (pt) 2010-05-13 2019-09-24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mposto de glucagon da superfamília de peptídeos exibindo atividade do receptor g com proteína acoplada, pró farmaco, dímero ou multímro, composição farmacêutica que o compreendem e método de administração do mesmo.
US9127088B2 (en) 2010-05-13 2015-09-08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Glucagon superfamily peptides exhibiting nuclear hormone receptor activity
WO2012036962A2 (en) * 2010-09-13 2012-03-22 Amylin Pharmaceuticals, Inc. C-terminal amidation of polypeptides
US9023986B2 (en) * 2010-10-25 2015-05-05 Hoffmann-La Roche Inc.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eptide analogs
BR112013015861A2 (pt) 2010-12-22 2018-06-05 Marcadia Biotech Inc métodos para reduzir ganho de peso ou induzir perda de peso, e para tratar hiperglicemia, reduzir níveis de glicose no sangue, ou normalizar níveis de glicose no sangue.
EP2718317B1 (en) * 2011-06-10 2018-11-14 Beijing Hanmi Pharmaceutical Co., Ltd. Glucose 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analog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US20130090285A1 (en) 2011-06-27 2013-04-11 Phasebio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ment with glp-1 receptor agonists
PL2864350T3 (pl) 2012-06-21 2019-01-31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Analogi glukagonu wykazujące aktywność wobec receptora GIP
CA2904332A1 (en) 2013-03-14 2014-10-02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Insulin-incretin conjugates
CN105307672B (zh) 2013-04-18 2021-01-05 诺和诺德股份有限公司 用于医学用途的稳定、延长的glp-1/胰高血糖素受体共激动剂
PE20151770A1 (es) * 2013-05-28 2015-12-11 Takeda Pharmaceutical Compuesto peptidico
US10266577B2 (en) 2013-08-15 2019-04-23 Novo Nordisk A/S GLP-1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EP3033355A1 (en) 2013-08-16 2016-06-22 Medimmune Limited Gip and glp-1 receptor dual-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KR102310389B1 (ko) 2013-11-06 2021-10-13 질랜드 파마 에이/에스 Gip-glp-1 이원 효능제 화합물 및 방법
TR201902516T4 (tr) 2013-11-06 2019-03-21 Zealand Pharma As Glukagon-glp-1-gıp üçlü agonist bileşikleri.
CN106536547A (zh) * 2014-06-04 2017-03-22 诺和诺德股份有限公司 用于医疗用途的glp‑1/胰高血糖素受体共激动剂
EP3530671A3 (en) 2014-09-05 2019-11-13 University of Copenhagen Gip peptide analogues
DK3212218T3 (da) * 2014-10-29 2021-08-30 Zealand Pharma As GIP-agonistforbindelser og fremgangsmåder
EP3226906B1 (en) * 2014-11-27 2019-06-12 Novo Nordisk A/S Glp-1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JOP20200119A1 (ar) * 2015-01-09 2017-06-16 Lilly Co Eli مركبات مساعد مشترك من gip وglp-1
US10112935B2 (en) 2015-02-27 2018-10-30 Lycera Corporation Indazolyl thiadiazolamines and related compounds for inhibition of Rho-associated protein kinase and the treatment of disease
EP3310376A4 (en) 2015-06-17 2019-01-23 The California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MODIFIED THERAPEUTIC AGENTS AND COMPOSITIONS THEREOF
US20190175744A1 (en) 2016-03-18 2019-06-13 Merck Sharp & Dohme Corp. Insulin-incretin conjugates
WO2017210168A1 (en) 2016-06-02 2017-12-07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Aqueously soluble and chemically stable depsi glucagon agonists
AU2018276434B2 (en) * 2017-05-31 2021-12-16 University Of Copenhagen Long-acting GIP peptide analogues
TWI707865B (zh) * 2018-05-04 2020-10-21 丹麥商諾佛 儂迪克股份有限公司 Gip衍生物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4483A1 (en) * 2012-05-03 2013-11-07 Zealand Pharma A/S Gip-glp-1 dual agonist compounds an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782A (ko) 2021-06-23 2022-12-30 주식회사 펩트론 세마글루타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제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78171A (en) 2020-11-30
CA3097939A1 (en) 2019-11-07
CN112074531A (zh) 2020-12-11
CL2020002796A1 (es) 2021-02-19
TWI707865B (zh) 2020-10-21
MX2020011427A (es) 2020-12-07
EP3788063C0 (en) 2023-08-09
JP6818940B2 (ja) 2021-01-27
BR112020022027A2 (pt) 2021-02-02
WO2019211451A1 (en) 2019-11-07
US10604555B2 (en) 2020-03-31
US11633459B2 (en) 2023-04-25
TW202003550A (zh) 2020-01-16
MA52483A (fr) 2021-03-10
KR102379958B1 (ko) 2022-04-01
PH12020551742A1 (en) 2021-06-28
US20190367578A1 (en) 2019-12-05
JP2020528925A (ja) 2020-10-01
AU2019263674B2 (en) 2023-03-02
AU2019263674A1 (en) 2020-11-26
JP2020125311A (ja) 2020-08-20
RU2020136305A (ru) 2022-05-05
ES2961384T3 (es) 2024-03-11
EP3788063B1 (en) 2023-08-09
EP3788063A1 (en) 2021-03-10
PE20210473A1 (es) 2021-03-08
SG11202010297UA (en) 2020-11-27
CO2020014180A2 (es) 2021-01-29
US20220000982A1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958B1 (ko) Gip 유도체 및 이의 용도
JP6352806B2 (ja) 新規のグルカゴン類似体
TWI694082B (zh) 選擇性pyy化合物及其用途
US9040660B2 (en) Long-acting gastrin derivatives
KR102446310B1 (ko) 경구 전달에 적합한 glp-1 및 gip 수용체에서의 공-작용제
KR20200037186A (ko) 아실화 옥신토모듈린 펩타이드 유사체
WO2016124687A1 (en) Selective pyy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20230042019A (ko) Glp-1 및 gip 수용체 공동-작용제
KR20230104118A (ko) Glp-1 전구약물 및 이의 용도
US20230233650A1 (en) Novel fatty acid modified urocortin 2 derivatives and the uses thereof
KR20230159805A (ko) 프로드러그 및 이의 용도
EA043950B1 (ru) Аналоги инкрети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