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41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412A
KR20210005412A KR1020190080852A KR20190080852A KR20210005412A KR 20210005412 A KR20210005412 A KR 20210005412A KR 1020190080852 A KR1020190080852 A KR 1020190080852A KR 20190080852 A KR20190080852 A KR 20190080852A KR 20210005412 A KR20210005412 A KR 2021000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area
disposed
metal
display devic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승화
구자승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5412A/ko
Priority to US16/858,076 priority patent/US11073864B2/en
Priority to EP20182807.6A priority patent/EP3761151B1/en
Priority to CN202010611127.2A priority patent/CN112185250B/zh
Publication of KR2021000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412A/ko
Priority to US17/385,343 priority patent/US1143685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완충 부재;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된 메탈층; 및 상기 메탈층 상에 배치된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며, 상기 메탈층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1 메탈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2 메탈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3 메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3 메탈부에 부착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혀진 상태(folded state)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간의 상태 전환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이동형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부피 또는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큰 표시 화면을 가진 이동형 전자 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폴딩 영역에서 지문 센서를 누르는 압력에 의한 변형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명세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완충 부재;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된 메탈층; 및 상기 메탈층 상에 배치된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며, 상기 메탈층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1 메탈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2 메탈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3 메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3 메탈부에 부착된다.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의,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3 메탈부는 상기 제1 메탈부, 및 상기 제2 메탈부보다 상기 표시 패널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메탈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불투명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탈층은 상기 제3 메탈부와 상기 제1 메탈부를 연결하는 제4 메탈부, 및 상기 제3 메탈부와 상기 제2 메탈부를 연결하는 제5 메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메탈부는 노출된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측면과 각각 접하고, 상기 제5 메탈부는 노출된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측면과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제3 메탈부는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경계,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경계에까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3 메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광 패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과 상기 제3 메탈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접착 부재보다 강도가 클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3 메탈부와 상기 차광 패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제3 메탈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메탈부는 상기 차광 패턴의 개구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이 폴딩되면,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은 상호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상부 기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능 부재는 편광 기능층, 터치 센싱 기능층, 또는 반사 방지 기능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초음파 지문 센서, 또는 광학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완충 부재;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된 제1 메탈층과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2 완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된 제2 메탈층;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1 메탈 시트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2 메탈 시트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3 메탈 시트부를 포함하는 메탈 시트;및 상기 메탈 시트의 상기 제3 메탈 시트부에 부착된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며, 상기 제1 메탈층, 및 상기 제2 메탈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다.
상기 제3 메탈 시트부는 상기 제1 메탈 시트부, 및 상기 제2 메탈 시트부보다 상기 표시 패널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메탈 시트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불투명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탈 시트는 상기 제3 메탈 시트부와 상기 제1 메탈 시트부를 연결하는 제4 메탈 시트부, 및 상기 제3 메탈 시트부와 상기 제2 메탈 시트부를 연결하는 제5 메탈 시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탈 시트부는 상기 제1 메탈층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메탈 시트부는 상기 제2 메탈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3 메탈 시트부는 상기 차광 패턴에 부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폴딩 영역에서 지문 센서를 누르는 압력에 의한 변형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의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접혀진 상태의 표시 장치에서 지문 센서를 누르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표시장치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의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이란, 플렉시블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벤더블(badable), 롤러블(rollable) 등을 포함하여 지칭되는 용어이다. 나아가, 폴더블(foldable)은 "부분" 폴더블, "전체" 폴더블, "인" 폴더블, "아웃" 폴더블을 모두 포함하여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표시 장치(1)는 평면 시점에서 표시 장치의 상하측으로 가로 지르는 폴딩축(AXIS_F)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4개의 엣지(LS1, LS2, SS1, SS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장변 엣지(LS1, LS2)과 단변 엣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장변 엣지(LS1, LS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각 단변 엣지(SS1, SS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축(AXIS_F)은 각 장변(LS1, LS2)을 가로지르는 방향, 예컨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의 각 장변 엣지(LS1, LS2)가 접힐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폴딩축(AXIS_F)은 각 단변(SS1, SS2)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1)의 각 단변 엣지(SS1, SS2)가 접힐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딩축(AXIS_F)이 각 장변 엣지(LS1, LS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폴딩축(AXIS_F)은 각 장변 엣지(LS1, LS2)의 중심 부위를 가로지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 기준 "상부", "상면"은 표시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은 표시 방향의 반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평면 시점에서의 "상(위)", "하(아래)", "좌(왼)", "우(오른)"는 표시면을 정위치에 두고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과 그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접혀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구분된 영역들이 서로 포개질 수 있으며, 다시 펴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상기 각 영역들이 펼쳐진 상태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폴딩축(AXIS_F)과 만나는 표시 장치(1)의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과 인접한 영역에는 평면 상에서 각각 하측/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예를 들어, 노치(notch))가 형성되고, 오목부에는 상태 전환을 위한 힌지 부재(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는,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폴딩축(AXIS_F)을 포함하는 폴딩 영역(FR),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비폴딩 영역(NFR1, NFR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R)은 표시 장치(1)가 폴딩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혀지거나 휘어지는 영역이고, 비폴딩 영역(NFR1, NFR2)은 폴딩 영역(FR)과 달리 접히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R1, NFR2)은 각각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평탄면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 휘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층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기능 부재(300), 및 상부 기능 부재(300)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 상부 기능 부재(300), 및 윈도우(400)는 제1 비폴딩 영역(NFR1), 제2 비폴딩 영역(NFR2), 및 폴딩 영역(FR)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110, 120), 지지 부재(110, 120)의 하부에 배치된 완충 부재(140, 150), 완충 부재(140, 150)의 하부에 배치된 메탈층(170), 및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 사이에 배치된 차광 패턴(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140, 150)는 각각 지지 부재(110, 120)를 사이에 두고 표시 패널(20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메탈층(170) 상에 배치된 지문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500)는 폴딩 영역(FR)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메탈층(170)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10)는 제1 비폴딩 영역(NFR1)에 배치되고, 제2 지지 부재(120)는 제2 비폴딩 영역(NFR2)에 배치되고, 지지 부재(110, 120)들은 폴딩 영역(FR)에는 비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는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10, 120)들의 내측면은 각각 제1 비폴딩 영역(NFR1)과 폴딩 영역(FR)의 경계, 및 제2 비폴딩 영역(NFR2)과 폴딩 영역(FR)의 경계에 정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그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140)는 제1 비폴딩 영역(NFR1)에 배치되고, 제2 완충 부재(150)는 제2 비폴딩 영역(NFR2)에 배치되고, 완충 부재(140, 150)들은 폴딩 영역(FR)에는 비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완충 부재(140)와 제2 완충 부재(150)는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140, 150)들의 내측면은 각각 제1 비폴딩 영역(NFR1)과 폴딩 영역(FR)의 경계, 및 제2 비폴딩 영역(NFR2)과 폴딩 영역(FR)의 경계에 정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그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140, 150)의 내측면들은 각각 지지 부재(110, 120)의 내측면들과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광 패턴(130)은 지지 부재(110, 120)들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 패턴(130)은 폴딩 영역(FR)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200)의 저면(또는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 패턴(130)은 제1 방향(DR1)을 따라 폴딩 영역(FR)과 완전히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차광 패턴(130)의 제1 방향(DR1) 폭은 폴딩 영역(FR)의 제1 방향(DR1)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차광 패턴(130)은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과의 경계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표시 패널(200)의 저면(또는 일면)의 폴딩 영역(FR)의 비폴딩 영역(NFR1, NFR2)과 인접한 부분을 노출할 수 있다.
메탈층(170)은 비폴딩 영역(NFR1, NFR2), 및 폴딩 영역(FR)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상술한 각 부재 사이에서 이들을 결합하는 복수의 접착막(AM1~AM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막(AM1)은 메탈층(170)과 제1 완충 부재(140) 사이에 배치되어, 메탈층(170)과 제1 완충 부재(14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2 접착막(AM2)은 메탈층(170)과 제2 완충 부재(150) 사이에 배치되어, 메탈층(170)과 제2 완충 부재(15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3 접착막(AM3)은 제1 완충 부재(140)와 제1 지지 부재(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완충 부재(140)와 제1 지지 부재(11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4 접착막(AM4)은 제2 완충 부재(150)와 제2 지지 부재(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완충 부재(150)와 제2 지지 부재(12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5 접착막(AM5)은 제1 지지 부재(110)와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 부재(110)와 표시 패널(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6 접착막(AM6)은 제2 지지 부재(120)와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지지 부재(120)와 표시 패널(200)을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7 접착막(AM7)은 표시 패널(200)과 상부 기능 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200)과 상부 기능 부재(30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8 접착막(AM8)은 상부 기능 부재(300)와 윈도우(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기능 부재(300)와 윈도우(40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9 접착막(AM9)은 메탈층(170)과 차광 패턴(130) 사이에 배치되고, 메탈층(170)과 차광 패턴(130)을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복수의 접착막(AM1~AM8)은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착 특성을 가지는 막으로, 예를 들어, 감압 점착제(press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광학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 일 수 있다. 접착막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막은 100% 내지 1,000%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습윤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등이 표시 패널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20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되어 있다.
표시 패널(200)은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200)은 휘어지거나, 꺾이건,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대체로 표시 장치(1)의 평면상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A)에는 각 화소(PX)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NA)에는 평면상 사각틀 형상의 블랙 매트릭스가 배치될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층과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회로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은 복수의 배선, 복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일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봉지막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봉지막은 발광층을 밀봉하여, 외부에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막은 무기막의 단일 또는 다층막이나, 무기막과 유기막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200) 상에는 상부 기능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기능 부재(300)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터치 센싱 기능, 컬러 필터링 기능, 컬러 변환 기능, 편광 기능, 반사 방지 기능, 생체 정보 인식 기능(예를 들어, 지문 인식 기능) 등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상부 기능 부재(300)는 예를 들어, 반사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필름층, 박막층, 코팅층, 패널,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상부 기능 부재(300)는 하나의 기능층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기능층들이 적층될 수도 있다.
상부 기능 부재(300)의 상에는 윈도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400)는 하부에 배치된 부재(100, 200, 300)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400)는 유리, 석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400)의 두께는 100㎛ 미만일 수 있다. 윈도우(400)의 두께가 얇으면, 접힘(folding) 시에 응력이 작아지고, 접힌 상태(folded state)와 펴진 상태(unfolded state)가 반복되어도 구조가 변형되는 정도가 미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400)는 초박형 화학 강화된 유리(Ultra Thin Glass, UTG)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10, 120)들은 표시 패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 부재(110, 120)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은 금속 물질 또는 폴리메닐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ir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imide, PI)와 같은 고분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10, 12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 부재(140, 150)는 외부(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하부 방향) 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표시 패널(2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140, 150)는 폼(foam)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상기한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가 폴딩 영역(FR)을 기준으로 접혀질 때, 더욱 잘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벤딩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윈도우(400)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고, 지문 센서(500)가 작동될 때 지문 센서(500)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구성으로 인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일 실시예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이 구성물에 의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광 패턴(130)은 메탈층(170)과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술한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의 상기 이격 공간(폴딩 영역(FR))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광 패턴(130)은 불투명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투명 계열의 물질은 블랙 계열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 물질, 또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패턴(130)은 블랙 계열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탈층(170)은 강성을 가진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표시 장치(1)의 하부에서 표시 장치(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메탈층(170)은 스테인레스 스틸(SUS), 또는 알루미늄(aluminu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탈층(170)은 제1 비폴딩 영역(NFR1)에 배치된 제1 메탈부(171), 제2 비폴딩 영역(NFR2)에 배치된 제2 메탈부(172), 및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제3 메탈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탈부(171)는 제1 비폴딩 영역(NFR1)에 중첩 배치되고, 그 일부가 폴딩 영역(FR)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메탈부(172)는 제2 비폴딩 영역(NFR2)에 중첩 배치되고, 그 일부가 폴딩 영역(FR)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메탈부(173)는 폴딩 영역(FR)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그 폭이 폴딩 영역(FR)의 폭보다는 작을 수 있다.
제1 메탈부(171)는 제1 접착막(AM1)을 통해 제1 완충 부재(140)에 부착되고, 제2 메탈부(172)는 제2 접착막(AM2)을 통해 제2 완충 부재(150)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메탈부(173)는 제9 접착막(AM9)을 통해 차광 패턴(130)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메탈부(173)는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의 이격된 공간 내에 배치되므로 제3 메탈부(173)는 인접한 제1 메탈부(171), 및 제2 메탈부(172)보다 표시 패널(20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메탈층(170)은 제1 메탈부(171)와 제3 메탈부(173)를 연결하는 제4 메탈부(174), 및 제2 메탈부(172)와 제3 메탈부(173)를 연결하는 제5 메탈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메탈층(170)은 비폴딩 영역(NFR1, NFR2), 및 폴딩 영역(FR)에 이르기까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탈부(171) 내지 제3 메탈부(173)는 제1 방향(DR1)을 따라 단면 형상이 직선 형상을 갖지만, 제4 메탈부(174), 및 제5 메탈부(175)는 제1 방향(DR1)과 제3 방향(DR3) 사이의 방향을 따라 단면 형상이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메탈부(174)는 제1 메탈부(171)로부터 제3 메탈부(173)까지 우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5 메탈부(175)는 제2 메탈부(172)로부터 제3 메탈부(173)까지 좌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메탈부(174)와 제5 메탈부(175)는 각각 인접한 완충 부재(140, 150), 및 지지 부재(110, 120)의 내측면들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 메탈부(174), 및 제5 메탈부(175)는 각각 인접한 완충 부재(140, 150), 및 지지 부재(110, 120)의 내측면들과 소정의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문 센서(500)는 제3 메탈부(173)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500)는 제3 메탈부(173)의 차광 패턴(130)을 바라보는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500)는 초음파 방식의 지문 센서일 수 있다. 지문 센서(500)에서 송신된 제1 신호(SG1), 및 지문 센서(500)로 수신된 제2 신호(SG2)는 초음파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400)의 표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접촉한 채, 지문 센서(500)가 작동하면, 지문 센서(500)에서 상부 방향(제3 방향(DR3))으로 송신된 제1 신호(SG1)는 메탈층(170), 차광 패턴(130), 표시 패널(200), 상부 기능 부재(300), 및 윈도우(400)를 지나 사용자의 손가락의 표면에 형성된 지문에 제공된다.
사용자의 손자가의 표면에 형성된 지문은 윈도우(400)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이격된 골 영역(VP), 및 윈도우(400)의 표면과 접하는 융 영역(RP)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의 융 영역(RP)에 제공된 제1 신호(SG1)와 지문의 골 영역(VP)에 제공된 제1 신호(SG1)는 사용자 지문의 형상(융, 골 형상)으로부터 반사될 때, 각기 다른 위치 정보(예컨대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SG2)로 변환되어 다시 윈도우(400), 상부 기능 부재(300), 표시 패널(200), 차광 패턴(130), 및 메탈층(170)을 지나 지문 센서(500)에 수신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신호(SG1)와 제2 신호(SG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광학 신호일 수 있다. 즉, 지문 센서(500)는 광학 방식의 지문 센서일 수 있다.
다만, 폴딩 영역(FR)에 지문 센서(500)가 배치되고,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폴딩 영역(FR)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가 비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 인가로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갈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되면 다시 원 상태 위치로 복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면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된 후에도 하부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이 인가되는 폴딩 영역(FR)에도 메탈층(170)이 배치됨으로써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할 때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은 폴딩 방향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즉, 윈도우(400), 상부 기능 부재(300), 표시 패널(200), 및 메탈층(170)의 제3 메탈부(173)는 폴딩 영역(FR)에서 외력에 의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히지만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접히지 않을 수 있다. 즉, 윈도우(400), 상부 기능 부재(300), 표시 패널(200), 및 메탈층(170)의 제1 메탈부(171)와 제2 메탈부(172)는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 각각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평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비폴딩 영역(NFR1, NFR2)에만 배치된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도 비폴딩 영역(NFR1, NFR2)에 위치한 윈도우(400), 상부 기능 부재(300), 표시 패널(200), 및 메탈층(170)의 제1 메탈부(171)와 제2 메탈부(172)와 마찬가지로 각각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평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일측, 예컨대 좌측에 폴딩 방향(도 2의 하부 방향)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폴딩 영역(FR)이 구부러지거나 접히게 되고, 제1 비폴딩 영역(NFR1)은 상기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제2 비폴딩 영역(NFR2)과 중첩하거나 대항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같이 표시 장치(1)가 접힌 상태에서 지문 센서(500)는 평면상 비폴딩 영역(NFR1, NFR2)에 인접한 폴딩 영역(FR)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지문 인식을 위해 평면상 비폴딩 영역(NFR1, NFR2)에 인접한 폴딩 영역(FR)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500)는 초음파 방식의 지문 센서일 수 있다. 지문 센서(500)에서 송신된 제1 신호(SG1), 및 지문 센서(500)로 수신된 제2 신호(SG2)는 초음파 신호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비폴딩 영역(NFR1, NFR2)에 인접한 폴딩 영역(FR)의 윈도우(400)의 표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접촉한 채, 지문 센서(500)가 작동하면, 지문 센서(500)에서 상부 방향(제3 방향(DR3))으로 송신된 제1 신호(SG1)는 메탈층(170), 차광 패턴(130), 표시 패널(200), 상부 기능 부재(300), 및 윈도우(400)를 지나 사용자의 손가락의 표면에 형성된 지문에 제공된다.
사용자의 손자가의 표면에 형성된 지문은 윈도우(400)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이격된 골 영역(VP), 및 윈도우(400)의 표면과 접하는 융 영역(RP)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의 융 영역(RP)에 제공된 제1 신호(SG1)와 지문의 골 영역(VP)에 제공된 제1 신호(SG1)는 사용자 지문의 형상(융, 골 형상)으로부터 반사될 때, 각기 다른 위치 정보(예컨대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SG2)로 변환되어 다시 윈도우(400), 상부 기능 부재(300), 표시 패널(200), 차광 패턴(130), 및 메탈층(170)을 지나 지문 센서(500)에 수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상기한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가 폴딩 영역(FR)을 기준으로 접혀질 때, 더욱 잘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벤딩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고, 지문 센서(500)가 작동될 때 지문 센서(500)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구성으로 인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일 실시예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이 구성물에 의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면 폴딩 영역(FR)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가 비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 인가로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갈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되면 다시 원 상태 위치로 복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면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된 후에도 하부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이 인가되는 폴딩 영역(FR)에도 메탈층(170)이 배치됨으로써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할 때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메탈층(170_1)의 제4 메탈부(174_1), 및 제5 메탈부(175_1)가 각각 완충 부재(140, 150)의 내측면에 접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메탈층(170_1)의 제4 메탈부(174_1), 및 제5 메탈부(175_1)가 각각 완충 부재(140, 15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3 메탈부(173_1)는 폴딩 영역(FR)의 제1 방향(DR1)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메탈부(173_1)는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및 제5 메탈부(174_1, 175_1)는 도 2에 따른 제4 및 제5 메탈부(174, 175)와 달리 두께 방향(제3 방향(DR3))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에 의하면, 제3 메탈부(173_1)가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할 때 표시 장치(2)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2)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제3 메탈부(173)와 인접한 제1 및 제2 메탈부(171, 17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제3 메탈부(173)와 인접한 제1 및 제2 메탈부(171, 17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상술한 제4 및 제5 메탈부(174, 175)가 생략됨으로써 메탈층(170_2)이 복수의 상호 이격된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의 경우에도 상기한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3)가 폴딩 영역(FR)을 기준으로 접혀질 때, 더욱 잘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벤딩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고, 지문 센서(500)가 작동될 때 지문 센서(500)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구성으로 인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이 구성물에 의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면 폴딩 영역(FR)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가 비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 인가로 표시 장치(3)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갈 수 있다. 표시 장치(3)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되면 다시 원 상태 위치로 복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면 표시 장치(3)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된 후에도 하부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3)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이 인가되는 폴딩 영역(FR)에도 메탈층(170_2)이 배치됨으로써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할 때 표시 장치(3)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3)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는 도 8과 같이, 제3 메탈부(173_2)가 인접한 제1 및 제2 메탈부(171, 172)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도 7과 같이 제3 메탈부(173_2)가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3 메탈부(173_2)가 인접한 제1 및 제2 메탈부(171, 172)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제3 메탈부(173_2)가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7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는 지문 센서(500)가 메탈층(170_4)과 차광 패턴(130)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는 지문 센서(500)가 메탈층(170_4)과 차광 패턴(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문 센서(500)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탈층(170_4)의 제3 메탈부(173_3)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문 센서(500)는 차광 패턴(130)의 하면에 접착막을 개재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막은 상술한 제1 접착막(AM1)의 구성 물질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의 경우에도 상기한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5)가 폴딩 영역(FR)을 기준으로 접혀질 때, 더욱 잘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벤딩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고, 지문 센서(500)가 작동될 때 지문 센서(500)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구성으로 인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이 구성물에 의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면 폴딩 영역(FR)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가 비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 인가로 표시 장치(5)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갈 수 있다. 표시 장치(5)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되면 다시 원 상태 위치로 복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면 표시 장치(5)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된 후에도 하부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5)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이 인가되는 폴딩 영역(FR)에도 메탈층(170_4)이 배치되고 더욱 구체적으로 지문 센서(500)의 하부에서 지문 센서(500), 및 상부 구성들을 지지함으로써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할 때 표시 장치(5)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5)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메탈층(170_5)이 도 7에서와 같이, 제4 메탈부(174_1), 및 제5 메탈부(175_1)가 각각 완충 부재(140, 150)의 내측면에 접한다는 점에서 도 10에 따른 표시 장치(5)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지문 센서(500)가 메탈층(170_5)과 차광 패턴(130) 사이에 배치되고, 제4 메탈부(174_1), 및 제5 메탈부(175_1)가 각각 완충 부재(140, 15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3 메탈부(173_3)는 폴딩 영역(FR)의 제1 방향(DR1)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메탈부(173_3)는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및 제5 메탈부(174_1, 175_1)는 도 2에 따른 제4 및 제5 메탈부(174, 175)와 달리 두께 방향(제3 방향(DR3))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에 의하면, 제3 메탈부(173_3)가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할 때 표시 장치(5)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2)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는 제3 메탈부(173_4)와 인접한 제1 및 제2 메탈부(171, 17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0에 따른 표시 장치(5)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는 제3 메탈부(173_4)와 인접한 제1 및 제2 메탈부(171, 17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0에서 상술한 제4 및 제5 메탈부(174, 175)가 생략됨으로써 메탈층(170_6)이 복수의 상호 이격된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의 경우에도 상기한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7)가 폴딩 영역(FR)을 기준으로 접혀질 때, 더욱 잘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벤딩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고, 지문 센서(500)가 작동될 때 지문 센서(500)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구성으로 인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이 구성물에 의해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들이 각각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면 폴딩 영역(FR)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가 비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 인가로 표시 장치(7)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갈 수 있다. 표시 장치(7)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되면 다시 원 상태 위치로 복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면 표시 장치(7)의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상부 구성들은 사용자의 압력 인가가 종료된 후에도 하부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7)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는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압력이 인가되는 폴딩 영역(FR)에도 메탈층(170_6)이 배치됨으로써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할 때 표시 장치(7)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7)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는 도 12와 같이, 제4 및 제5 메탈부가 생략되고 도 11과 같이 제3 메탈부(173_5)가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10에 따른 표시 장치(5)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는 제3 메탈부(173_5)가 인접한 제1 및 제2 메탈부(171, 172)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제3 메탈부(173_5)가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까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메탈부(173_5)와 인접한 제1 및 제2 메탈부(171, 172)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도 10, 11, 및 도 12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는 제9 접착막(AM9)이 생략되고, 제9 접착막(AM9)이 배치된 영역에 제10 접착막(AM10)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0 접착막(AM10)은 폴딩 영역(FR)에 배치되고, 메탈층(170)과 차광 패턴(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0 접착막(AM10)은 인접한 제3 및 제4 접착막(AM3, AM4)과 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0 접착막(AM10)은 인접한 제3 및 제4 접착막(AM3, AM4)보다 각각 강도가 클 수 있다. 제10 접착막(AM10)은 상술한 제1 내지 제8 접착막(AM1~AM8)과 동일할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자외선 경화 공정을 통해 더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폴딩 영역(FR)에 위치한 윈도우(400)의 표면에 지문 인식을 위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할 때 표시 장치(9)의 폴딩 영역(FR)이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9)의 외관 불량이나 지문 센서(500)의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도 7에 따른 메탈층(170_1)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14에 따른 표시 장치(9)와 상이하다.
이외 설명은 도 7, 및 도 14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는 도 8에 따른 메탈층(170_2)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14에 따른 표시 장치(9)와 상이하다.
이외 설명은 도 8, 및 도 14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2)는 도 9에 따른 메탈층(170_3)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14에 따른 표시 장치(9)와 상이하다.
이외 설명은 도 9, 및 도 14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는 폴딩 영역(FR)의 차광 패턴(130_1)의 중앙부에 개구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차광 패턴(130_1)의 상기 개구는 제3 메탈부(173), 및 지문 센서(50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는 메탈층(170)이 차광 패턴(130_1)의 상기 개구 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제3 메탈부(173)는 제9 접착막(AM9_1)을 통해 표시 패널(200)의 저면(또는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및 제5 메탈부(174, 175)의 외측면은 인접한 차광 패턴(130_1)과 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에 의하면, 지문 센서(500)와 중첩 배치된 영역의 차광 패턴(130_1)을 제거함으로써 지문 센서(500)의 감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4)는 메탈층(170_8)의 제3 내지 제5 메탈부(173~175)가 생략되어, 폴딩 영역(FR)의 차광 패턴(130)의 하면을 노출하고,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의 사이 이격 공간에 메탈 시트(180)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4)는 메탈층(170_8)의 제3 내지 제5 메탈부(173~175)가 생략되어, 폴딩 영역(FR)의 차광 패턴(130)의 하면을 노출하고, 지지 부재(110, 120), 및 완충 부재(140, 150)의 사이 이격 공간에 메탈 시트(180)가 배치될 수 있다.
메탈 시트(180)는 제1 비폴딩 영역(NFR1) 상에 배치된 제1 메탈 시트부(181), 제2 비폴딩 영역(NFR2) 상에 배치된 제2 메탈 시트부(182), 폴딩 영역(FR)에 배치된 제3 메탈 시트부(183), 제1 메탈 시트부(181)와 제3 메탈 시트부(183)를 연결하는 제4 메탈 시트부(184), 및 제2 메탈 시트부(182)와 제3 메탈 시트부(183)를 연결하는 제5 메탈 시트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탈 시트부(181), 제2 메탈 시트부(182), 및 제3 메탈 시트부(183)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및 제5 메탈 시트부(184, 18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제3 방향(DR3))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2에서 상술한 제4 및 제5 메탈부(174, 175)와 같은 형상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제3 메탈 시트부(183)는 제11 접착막(AM11)을 통해 차광 패턴(130)에 부착되고, 제1 메탈 시트부(181)는 제12 접착막(AM12)을 통해 제1 메탈부(171)에 부착되고, 제2 메탈 시트부(182)는 제13 접착막(AM13)을 통해 제2 메탈부(172)에 부착될 수 있다.
제11 내지 제13 접착막(AM11~AM13)은 상술한 제1 접착막(AM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탈 시트(180)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200: 표시 패널
300: 상부 기능 부재
400: 윈도우

Claims (20)

  1.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완충 부재;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된 메탈층; 및
    상기 메탈층 상에 배치된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며,
    상기 메탈층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1 메탈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2 메탈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3 메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3 메탈부에 부착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의,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탈부는 상기 제1 메탈부, 및 상기 제2 메탈부보다 상기 표시 패널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탈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불투명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층은 상기 제3 메탈부와 상기 제1 메탈부를 연결하는 제4 메탈부, 및 상기 제3 메탈부와 상기 제2 메탈부를 연결하는 제5 메탈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메탈부는 노출된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측면과 각각 접하고, 상기 제5 메탈부는 노출된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측면과 각각 접하는 표시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탈부는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경계,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경계에까지 확장된 표시 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3 메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차광 패턴과 이격된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과 상기 제3 메탈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접착 부재보다 강도가 큰 표시 장치.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제3 메탈부와 상기 차광 패턴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제3 메탈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메탈부는 상기 차광 패턴의 개구 안에 배치된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이 폴딩되면,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은 상호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상부 기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능 부재는 편광 기능층, 터치 센싱 기능층, 또는 반사 방지 기능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는 초음파 지문 센서, 또는 광학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한 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된 제2 완충 부재;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된 제1 메탈층과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제2 완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된 제2 메탈층;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1 메탈 시트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2 메탈 시트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한 제3 메탈 시트부를 포함하는 메탈 시트; 및
    상기 메탈 시트의 상기 제3 메탈 시트부에 부착된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며,
    상기 제1 메탈층, 및 상기 제2 메탈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탈 시트부는 상기 제1 메탈 시트부, 및 상기 제2 메탈 시트부보다 상기 표시 패널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탈 시트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불투명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시트는 상기 제3 메탈 시트부와 상기 제1 메탈 시트부를 연결하는 제4 메탈 시트부, 및 상기 제3 메탈 시트부와 상기 제2 메탈 시트부를 연결하는 제5 메탈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탈 시트부는 상기 제1 메탈층에 부착되고, 상기 제2 메탈 시트부는 상기 제2 메탈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3 메탈 시트부는 상기 차광 패턴에 부착된 표시 장치.
KR1020190080852A 2019-07-04 2019-07-04 표시 장치 KR20210005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52A KR20210005412A (ko) 2019-07-04 2019-07-04 표시 장치
US16/858,076 US11073864B2 (en) 2019-07-04 2020-04-24 Display device
EP20182807.6A EP3761151B1 (en) 2019-07-04 2020-06-29 Display device
CN202010611127.2A CN112185250B (zh) 2019-07-04 2020-06-30 显示装置
US17/385,343 US11436854B2 (en) 2019-07-04 2021-07-2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52A KR20210005412A (ko) 2019-07-04 2019-07-0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12A true KR20210005412A (ko) 2021-01-14

Family

ID=7126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852A KR20210005412A (ko) 2019-07-04 2019-07-0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073864B2 (ko)
EP (1) EP3761151B1 (ko)
KR (1) KR20210005412A (ko)
CN (1) CN112185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1660B2 (en) * 2018-05-03 2021-08-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KR20210005412A (ko) 2019-07-04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20225523A1 (en) * 2021-01-13 2022-07-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urable Folding Displays
KR20220108846A (ko) * 2021-01-27 2022-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62234A (ko) * 2021-05-31 2022-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0534B2 (en) 2015-09-26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Ultrasonic imaging devices and methods
KR102637068B1 (ko) * 2016-06-01 2024-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9729B1 (ko) 2016-11-02 2024-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83072B1 (ko) 2016-11-25 2023-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10542B1 (ko) * 2017-05-29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함몰 영역이 형성된 레이어에 실장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479754B (zh) * 2017-08-22 2020-07-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触摸传感器和柔性触摸显示面板
CN116546859A (zh) 2017-09-05 2023-08-04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295557B1 (ko) * 2017-09-15 2021-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23085B2 (en) * 2019-03-07 2021-06-0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210005412A (ko) 2019-07-04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85250B (zh) 2024-04-09
EP3761151A1 (en) 2021-01-06
US11073864B2 (en) 2021-07-27
US20210349497A1 (en) 2021-11-11
EP3761151B1 (en) 2023-04-26
CN112185250A (zh) 2021-01-05
US20210004048A1 (en) 2021-01-07
US11436854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531B2 (en) Display device
KR102643282B1 (ko) 표시 장치
KR20210005412A (ko) 표시 장치
TWI742471B (zh) 驅動可攜式資料處理裝置的方法
US10510980B2 (en) Display module
US10651130B2 (en) Display device
KR20190112223A (ko) 표시 장치
CN104347000A (zh) 用于显示装置的窗口面板及其制造方法
EP3671703B1 (en) Foldable cover plate, foldable display module,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US11758663B2 (en) Display device
KR20180030276A (ko) 표시장치
KR2021004802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1001344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726328B (zh) 蓋板結構及顯示裝置
KR20210019637A (ko) 표시 장치
KR20160083310A (ko) 휴대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EP3965179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