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272A -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이 있는 판유리 - Google Patents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이 있는 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272A
KR20210005272A KR1020207035149A KR20207035149A KR20210005272A KR 20210005272 A KR20210005272 A KR 20210005272A KR 1020207035149 A KR1020207035149 A KR 1020207035149A KR 20207035149 A KR20207035149 A KR 20207035149A KR 20210005272 A KR20210005272 A KR 20210005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cable
cable
area
pane
connec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206B1 (ko
Inventor
카차 베르너
베른하드 로일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1000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 요소(2) 및 연결 케이블(3)을 갖는 판유리(1)로서 적어도
· 기판(4),
· 기판(4) 영역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5)를 포함하며,
여기서
· 연결 케이블(3)은 기판(4)을 향하는 그 하부면 위에 접촉 영역(7)을 가지며, 거기에서 연결 케이블(3)의 전도체 트랙(3.1)이 전기 전도성 구조부(5)의 영역에 연결되며,
· 연결 요소(2)는 견고하며 연결 케이블(3)과 접촉하기 위한 제1 평면 영역(2.1)을 가지며,
· 기판(4)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연결 케이블(3)의 상부면 위에 연결 케이블(3)의 전도체 트랙(3.1)이 있는 연결요소(2)는 용접 영역을 통해 연결 케이블(3)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 연결 케이블(3)의 접촉 영역(7) 및 연결 요소(2)의 제1 평면 영역(2.1)은 연결 요소의 평면 영역(2.1)이 납땜 화합물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도록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이 있는 판유리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을 갖는 판유리,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도성 구조부를 갖는 차량 창문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특히 예를 들어, 전도성 구조부가 가열 전도체 또는 안테나 전도체로 구현되는 후면 창들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도성 구조부들은 일반적으로 납땜된 전기 연결 요소들을 통해 공급 전압 및 온보드(on-board) 전자 장치에 연결된다. 판유리들은 연결 요소들로 사전에 만들어질 수 있다. 차체에 설치할 때 연결 요소들은 특히 플러그 연결을 통해 연결 케이블들을 사용하여 공급 전압 및 온보드 전자 장치에 매우 간단하고 시간 절약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요소는 전류 연결 브리지의 형태로 전도성 구조부의 연결 표면에 납땜된 견고한 요소일 수 있다. 플러그 연결이 있는 견고한 연결 요소의 일 실시예는 EP 1488972 A2에 공지되어 있다. 견고한 연결 요소는 연결 케이블이 꽂힐 때 연결 요소와 판유리 사이의 납땜 연결을 변형시키는 전단력 또는 레버리지 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유연한 연결 요소들은 연결 케이블이 꽂힐 때 기계적 응력을 최소화하는데 사용된다. 유연한 연결 요소들은 한쪽 끝에 플러그 연결이 제공되므로 차량 측 연결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요소의 납땜은 소위 스탬프(stamp), 열극(thermode), 인덕션(induction), 저항 또는 열풍(hot-air) 납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열극 납땜의 경우 열극을 통해 전류가 전도된다. 열극은 작업 영역의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이 지점에서 높은 전기 저항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로 인해 이 영역에서 높은 열이 발생한다. 열 질량이 낮기 때문에 이 영역은 다시 빠르게 냉각될 수 있다. 열극은 납땜 조인트와 직접 접촉하며, 오염 및 마모를 초래할 수 있다. 유연한 연결 요소가 있는 판유리의 생산은 생산 프로세스의 주기 시간을 늘려야 하므로 작업을 표준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EP 0 593 940 A1은 열가소성 중간층에 금속 와이어가 내장된 복합 유리판, 플러그인(plug-in) 접촉 요소 및 플러그인 접촉 요소를 금속 와이어에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개시한다. 연결 케이블은 절연 피복이 있는 리본 케이블로 설계된다. 리본 케이블의 한쪽 끝 부분은 개별 유리판들 사이에서 금속 와이어에 연결되고 열가소성 중간층에 내장된다. 리본 케이블은 그와 접촉하는 유리판의 주변 표면 주위로 안내된다. 리본 케이블의 다른 쪽 끝 부분은 유리판의 바깥쪽에 있으며 여기에 접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이 있는 판유리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전술한 단점들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판유리는 산업 생산에서 쉽게 제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전기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이 있는 판유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나온다.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기판의 영역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연결 케이블은 기판을 향하는 하부면 위에 접촉 영역을 갖으며, 여기에서 연결 케이블의 전도체 트랙이 전기 전도성 구조부의 영역에 연결되고, 연결 요소는 견고하고 연결 케이블과 접촉하기 위한 제1 평면 영역을 가지며, 기판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연결 케이블의 상부면 위에 연결 케이블의 전도체 트랙이 있는 연결요소는 용접 영역을 통해 연결 케이블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연결 요소의 제1 평면 영역의 배열은 연결 케이블의 평면 영역 및 접촉 영역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되도록 선택된다. 연결 요소의 평면 영역은 납땜 화합물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접촉 영역 위에 평면 영역을 배치한 결과, 연결 요소의 평면 영역은 납땜 장치에 의해 쉽게 가열될 수 있다. 인덕션, 저항 또는 열풍 납땜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납땜 장치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납땜 화합물을 녹이는 것이 아니라, 대신 연결 요소의 제1 평면 영역에서 납땜 화합물로의 열 전달에 의해 녹이는 것이다. 연결 요소의 제1 평면 영역은 납땜 장치와 납땜 화합물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영역에 배열된 납땜 화합물은 판유리 생산 중에 쉽게 가열될 수 있다.
땜납 접촉은 납땜 화합물을 녹여서 이루어지며, 이는 후속 냉각 또는 응고시 연결 케이블과 전기 전도성 구조부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생성한다. 연결 요소의 평면 영역에 열이 가해지는 한 연결 요소의 제1 평면 영역은 납땜 화합물을 가열한다. 사용되는 납땜 방법에 관계없이, 이러한 연결 요소의 배열로, 납땜 화합물이 액화되고 연결 요소와 전기 전도성 구조부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생성될 때까지 열 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창문 개구부에 제공되어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한다. "내부"라는 용어는 차량의 승객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은 전기적 접촉을 위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연결 케이블로 제공된다. 이 연결 케이블은 기판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를 연결 요소에 연결한다. 이를 위해, 연결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접힘부를 가지며,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은 접힘부가 연결 케이블의 길이 방향 연장을 가로 지르도록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된다. 이를 위해, 제1 섹션 및 섹션 섹션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이러한 연결 케이블은 "평면 전도체(flat conductors)", "호일 전도체(foil conductors)"또는 "리본 전도체(ribbon conductors)"라고도 한다. "호일 전도체"는 폭이 두께보다 훨씬 더 큰 전기 전도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주석 도금된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거나 그로 만들어진 스트립 또는 밴드이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폭이 2 mm 내지 16 mm이며 0.03 mm 내지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기반으로 한 절연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피복(polymer sheath)를 가질 수 있다. 판유리들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 또는 판유리 구조부와 접촉하는 데 적합한 호일 전도체들은 예를 들어 단지 0.3 mm의 총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얇은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내부면에 간단하고 심미적으로 배열되고 접착될 수 있다. 하나의 포일 전도체 밴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다중 전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은 또한 소위 "평면 유연 케이블"(FFC) 또는 FPC 커넥터일 수 있다. FPC 커넥터들은 전자 어셈블리들을 연결하기 위한 유연한 인쇄 회로 기판이다.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소다 석회 유리를 포함한다.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유리판, 특히 창문 유리판이다. 원칙적으로 기판은 또한 다른 유형의 유리, 예를 들어 석영 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기판은 중합체,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한다. 무게 감소를 위해 중합체 재료가 창문 판유리에 점점 더 관심을 받고 있다. 기판은 또한 다른 중합체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폴리니트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10 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5 m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구조부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15 ㎛, 특히 10 ㎛ 내지 12 ㎛의 층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구조부는 바람직하게는 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은 입자 및 유리 프릿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납땜 화합물은 무연이다. 이것은 전기적 연결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환경 호환성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무연 납땜 화합물"은 EC 지침 "2002/95/EC on the Restriction of the specific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에 따라 0.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납이 없는 함량을 포함하는 납땜 화합물을 의미한다.
납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주석 및 비스무트, 인듐, 아연, 구리, 은 또는 이들의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조성물의 주석 함량은 3 중량% 내지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95.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60 중량%이다. 인듐, 아연, 구리, 은 또는 이들 조성물의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조성물에서 0.5 중량% 내지 97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67 중량%이나, 인듐, 아연, 구리 또는 은의 함량은 0 중량%일 수 있다. 납땜 조성물은 0 중량% 내지 5 중량% 함량으로 니켈, 게르마늄, 알루미늄 또는 인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 조성물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In97Ag3, Sn95.5Ag3.8Cu0.7, Sn77.2In20Ag2.8, Sn95Ag4Cu1, Sn99Cu1, Sn96.5Ag3.5, Sn96.5Ag3Cu0.5, Sn97Ag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납땜 화합물은 주석 90 중량% 내지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내지 9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3 중량% 내지 98 중량%를 함유한다. 주석 이외에, 납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은 0.5 중량% 내지 5 중량% 및 구리 0 중량% 내지 5 중량%를 함유한다.
납땜 화합물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6.0 x 10-4 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x 10-4 m 미만이다.
연결 요소는 제1 평면 영역, 바람직하게는 전이 영역 및 연결 케이블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제2 평면 영역을 포함한다. 연결 요소는 견고하고 단단한 구성 요소이다. 연결 요소의 전이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 길이의 적어도 30%의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적어도 강철 또는 구리, 구리 함유 합금, 예를 들어 전해 구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요소는 유리하게는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일체로 구현된다. 이는 연결 요소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며, 특히 차량에 판유리를 최종 설치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다. 연결 요소의 재료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2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1.5 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mm 내지 1 mm, 예를 들어 0.8 mm이다. 그러나 연결 요소는 원칙적으로 여러 조각들을 가질 수 있는데, 즉, 서로 연결된 두 개 이상의 견고한 개별 부품들로 구성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연결 케이블에 대하여 전이 영역을 갖는 피치 각도(pitch angle)(α)를 형성한다. 피치 각도(α)는 30°내지 90°이다.
연결 요소의 치수는 개별 케이스의 요구 사항들에 따라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1 mm 내지 50 mm의 길이와 너비를 갖는다. 연결 요소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3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25 mm이다. 연결 요소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2 mm이다. 이러한 치수들의 연결 요소들은 특히 다루기 쉬우며 판유리에 연결 케이블이 있는 전도성 구조부들의 전기 접촉에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용접된 연결에 의해 연결 케이블에 부착된다. 이는 용접 연결이 빠르고 경제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산업 공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하다.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전압원에 접촉하기 위해 제2 평면 영역 위에 제공된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2 평면 섹션 위에 플러그 또는 케이블을 갖는다. 연결 요소의 길이는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 연결 요소는 연결 케이블의 상부면에서 용접 영역을 통해 연결 케이블에 연결되며,
· 납땜 화합물은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연결 케이블의 하부면 위의 접촉 영역에 도포되고,
· 납땜 화합물이 있는 연결 케이블은 판유리 기판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에 배열되고 접착제에 의해 기판 위에 고정되며,
· 연결 케이블은 열의 도입으로 납땜 화합물에 의해 전기 전도성 구조부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의 제1 평면 영역이 가열되고, 납땜 화합물이 용융되고 연결 케이블이 납땜된다.
열 에너지는 저항성 또는 인덕티브 납땜 방법 또는 열풍을 통해 도입된다. 저항성 납땜 방식(저항 납땜 방식)에서는 두 개의 전극들과 연결 요소를 통해 전류가 공급되어 연결 요소를 가열한다. 전극들은 납땜 화합물이 녹을 때까지 연결 요소에 놓여 있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건물 또는 육상, 공중 또는 수상에서 여행하기 위한 운송 수단에서, 특히 자동차들 또는 철도 차량들에서, 바람직하게는 앞유리, 후면창, 측면창, 및/또는 루프 판유리, 특히 가열 가능한 판유리 또는 안테나 기능이 있는 판유리로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되고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특징들은 표시된 조합들 및 구성들로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조합들 및 구성들로 또는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들은 축척이 아닌 개략적 도시이다. 도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를 도시하며,
도 2는 저항 납땜에 의해 납땜하는 동안 도 1의 판유리의 단면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인덕션 납땜에 의해 납땜하는 동안 도 1의 판유리의 단면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열풍(hot-air) 납땜에 의해 납땜하는 동안 도 1의 판유리의 단면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은 전기적 연결 요소(2) 및 연결 케이블(3)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판유리(1)는 전기 전도성 구조부(5)가 있는 기판(4)을 포함한다. 기판(4)은 두꺼운 열 강화된 단일 판유리의 안전 유리 또는 소다 석회 유리의 얇은 적층 유리이다. 기판(4)는 예를 들어 폭 150 cm 및 높이 80 cm를 가지며 승용차의 창문으로 제공된다. 전기 전도성 구조부(5)는 기판(4)의 표면 위에 가열 필드(heating field)을 형성한다. 전기 전도성 구조부(5)는 은 입자들 및 유리 프릿(glass frits)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구조부는 판유리(1)의 에지 영역에서 약간 넓어지며 연결 표면을 형성한다. 판유리(1)는 연결 케이블(3) 및 연결 요소(2)를 더 포함한다.
연결 케이블(3)은 유연한 리본 케이블(ribbon cable)이다. 이 연결 케이블(3)은 기판(4)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5)를 연결 요소(2)에 연결한다.이를 위해, 연결 케이블(3)은 제1 섹션(3.3), 제2 섹션(3.4) 및 접힘부(3.5)를 가지며, 여기서 제1 섹션(3.3) 및 제2섹션(3.4)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된다. 제1 섹션(3.3) 및 제2 섹션(3.4)은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며 접착제(6)로 함께 접착된다. 접착제(6)는 제1 섹션(3.3)과 제2 섹션(3.4) 사이에 영구적인 접착 연결을 보장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추가 접착제들(6)은 연결 케이블(3)의 하부 표면에 위치한다. 연결 케이블(3)의 제1 섹션(3.3)의 하부 표면은 기판(4)을 향하고 접착제(6)에 의해 기판(4)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 케이블들(3)은 "평면 전도체(flat conductors)", "호일 전도체(foil conductors)"또는 "리본 전도체(ribbon conductors)"라고도 한다. "호일 전도체"는 너비가 두께보다 훨씬 큰 전기 전도체 트랙을 의미한다. 이러한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주석 도금된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거나 그로 만들어진 스트립 또는 밴드이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폭이 2 mm 내지 16 mm이며 0.03 mm 내지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기반으로 한 절연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피복(polymer sheath)를 가질 수 있다.
연결 케이블(3)은 절연 중합체 필름(3.2)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트랙(3.1)을 포함한다. 기판(1)을 향하는 하부면에서 연결 케이블(3)은 접촉 영역(7)을 갖는다. 중합체 필름(3.2)은 접촉 영역(7)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연결 케이블(3)의 전도체 트랙(3.1)이 전기 전도성 구조부(5)의 영역을 갖는 납땜 화합물(8)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납땜 화합물(8)은 연결 케이블(3)과 전기 전도성 구조부(5) 사이의 영구적인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에 영향을 미친다. 납땜 화합물(8)은 무연이며 96.5 중량% 주석, 3 중량% 은 및 0.5 중량% 구리로 구성된다. 납땜 화합물(8)은 150 ㎛의 두께를 갖는다.
연결 요소(2)는 견고하며 제1 평면 영역(2.1)을 갖는다. 연결 요소(2)는 납땜 화합물(8)을 통해 전기 전도성 구조부(5)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제1 평면 영역(2.1)은 연결 케이블(3)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연결 요소(2)는 전이 영역(2.2) 및 제2 평면 영역(2.3)을 포함한다. 전이 영역(2.2)은 제1 평면 영역(2.1)을 제2 평면 영역(2.3)에 연결한다. 전이 영역은 연결 케이블(3) 또는 기판 표면에 대해 피치 각도(α)를 형성한다. 피치 각도(α)는 예를 들어 약 35°이다.
제2 평면 영역(2.3)은 연결 케이블(3)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연결 요소(2)의 단부에 위치한다. 제2 평면 영역(2.3)은 전압원에 접촉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연결 요소(2)는 제2 평면 영역(2.3) 위에 표준화된 자동차 평면 플러그로서 구현되는 플러그를 갖는다. 연결 요소(2)는 예를 들어 길이 11 cm, 폭 1 cm 및 재료 두께 1.8 mm를 갖는다. 연결 요소(2)는 용접 연결을 통해 연결 케이블(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케이블(3) 및 연결 요소(2)를 갖는 조립식 판유리(1)를 차체에 설치한 후, 전기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케이블이 연결 요소(2)의 플러그에 꽂힌다.
도 2는 저항 납땜에 의한 납땜 동안 연결 케이블(3)의 영역에서 도 1의 판유리를 통한 단면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기판(4), 전기 전도성 구조부(5), 연결 요소(2), 연결 케이블(3) 및 납땜 화합물(8)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설계된다.
조립식 판유리(1)를 설치하기 전에, 납땜 화합물(8)이 있는 연결 케이블(3)은 판유리(1)의 기판(4)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5)에 배열되고 접착제(6)에 의해 기판(4)에 고정된다. 기판(4) 위에 케이블(3) 및 연결 요소(2)을 고정한 후, 전기적 접촉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전극들(9, 10)은 전극 단부들이 있는 연결 요소(2)의 제1 평면 영역(2.1)에 접촉한다. 각각의 경우, 하나의 전극(9,10)은 제1 평면 영역(2.1)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전극들(9, 10)은 본질적으로 제1 평면 영역(2.1)의 길이만큼 이격되고 두 개의 대향 에지 영역들 위에 배열된다. 따라서, 전기 납땜 전류는 제1 평면 영역(2.1)을 통해 흐른다. 이것은 제1 평면 영역(2.1)에서 저항 가열을 일으킨다. 제1 평면 영역(2.1)에서 생성된 열은 납땜 화합물(8)로 전달된다. 이 열 전달은 납땜 화합물(8)의 용융을 일으켜 연결 케이블(3)과 전기 전도성 구조부(5) 사이에 납땜 접촉을 생성한다.
연결 케이블(3)과 전기 전도성 구조부(5) 사이의 납땜 접촉은 납땜 화합물(8)을 용융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납땜 화합물(8)의 후속 응고 동안, 연결 케이블(3)과 전기 전도성 구조부(5)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이 생성된다.
도 3은 인덕션 납땜에 의한 납땜 동안 연결 케이블(3)의 영역에서 도 1의 판유리를 통한 단면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기판(4) 위의 연결 케이블(3)과 연결 요소(2)의 전기적 접촉은 저항 납땜의 대안으로서 인덕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덕션 납땜 방법은 전류 운반 코일(11)이 자기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일(11)은 연결 요소(2)의 바로 근처에서 제1 평면 영역(2.1)으로부터 작은 거리에 배열된다.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연결 요소(2)의 제1 평면 영역(2.1)을 관통한다. 연결 요소(2)의 제1 평면 영역(2.1)은 유도 전류에 의해 가열된다. 제1 평면 영역(2.1)에서 생성된 열은 납땜 화합물(8)로 전달된다. 이 열 전달은 납땜 화합물(8)의 용융을 일으켜 연결 케이블(3)과 전기 전도성 구조(5) 사이에 납땜 접촉을 생성한다.
코일에 적용되는 AC 전압의 주파수는 5 내지 50 kHz이며 제1 평면 영역(2.1) 또는 납땜 화합물(8)의 모양, 부피 및 재료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인덕션 납땜은 열이 접촉없이 직접 생성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4는 열풍 납땜 방법에 의한 납땜 동안 연결 케이블(3)의 영역에서 도 1의 판유리를 통한 단면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기판(4) 위의 연결 케이블(3)과 연결 요소(2)의 전기적 접촉은 저항 납땜의 대안으로서 열풍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요소(2)의 제1 평면 영역(2.1)은 제1 평면 영역(2.1) 위에 배열된 열풍 노즐(12)에 의해 가열된다. 제1 평면 영역(2.1)에서 생성된 열은 납땜 화합물(8)로 전달된다.이 열 전달은 납땜 화합물(8)의 용융을 일으켜 연결 케이블(3)과 전기 전도성 구조부(5) 사이에 납땜 접촉을 생성한다.
도 5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전기 연결 요소(2) 및 연결 케이블(3)을 갖는 판유리(1)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
· 연결 요소(2)는 연결 케이블(3)의 상부면에서 용접 영역을 통해 연결 케이블(3)에 연결되며,
· 납땜 화합물(8)은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연결 케이블(3)의 하부면 위의 접촉 영역(7)에 도포되고,
· 연결 케이블(3)은 판유리(1)의 기판(4)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5) 위에 납땜 화합물(8)과 함께 배열되고 접착제(6)에 의해 기판(4) 위에 고정되며,
· 연결 케이블(3)은 열의 도입으로 납땜 화합물(8)에 의해 전기 전도성 구조부(5)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1 판유리
2 연결 요소
2.1 연결 요소의 제1 평면 영역
2.2 연결 요소의 전이 영역(transition region)
2.3 연결 요소의 제2 평면 영역
3 연결 케이블
3.1 연결 케이블의 전도체 트랙
3.2 연결 케이블의 중합체 필름
3.3 연결 케이블의 제1 섹션
3.4 연결 케이블의 제2 섹션
3.5 연결 케이블의 접힘부
4 기판
5 전기 전도성 구조부
6 접착제
7 접촉 영역
8 납땜 화합물(soldering compound)
9 전극
10 전극
11 코일
12 열풍 노즐(hot air nozzle)
A-A' 단면선(section line)

Claims (14)

  1. 전기적 연결 요소(2) 및 연결 케이블(3)을 갖는 판유리(1)로서 적어도
    · 기판(4),
    · 기판(4) 영역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5)를 포함하며,
    여기서
    · 연결 케이블(3)은 기판(4)을 향하는 그 하부면 위에 접촉 영역(7)을 가지며, 거기에서 연결 케이블(3)의 전도체 트랙(3.1)이 전기 전도성 구조부(5)의 영역에 연결되며,
    · 연결 요소(2)는 견고하며 연결 케이블(3)과 접촉하기 위한 제1 평면 영역(2.1)을 가지며,
    · 기판(4)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연결 케이블(3)의 상부면 위에 연결 케이블(3)의 전도체 트랙(3.1)이 있는 연결요소(2)는 용접 영역을 통해 연결 케이블(3)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 연결 케이블(3)의 접촉 영역(7) 및 연결 요소(2)의 제1 평면 영역(2.1)은 연결 요소의 평면 영역(2.1)이 납땜 화합물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도록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열되는, 판유리(1).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케이블(3)은 제1 섹션(3.3), 제2 섹션(3.4) 및 접힘부(3.5)을 가지며, 여기서 제1 섹션(3.3) 및 제2 섹션(3.4)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배치되는, 판유리(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2)는
    · 전이 영역(2.2) 및
    · 연결 케이블(3)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단부에 제2 평면 영역(2.3)을 가지는, 판유리(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케이블(3)은 편평하고 유연하며 전도체 트랙(3.1)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호일을 포함하는, 판유리(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2)의 전이 영역(2.2)은 연결 요소(2) 길이의 적어도 30%의 길이를 갖는, 판유리(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2)는 적어도 구리, 구리 함유 합금 또는 강철을 포함하는, 판유리(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2)는 일체로 형성되는, 판유리(1).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이 영역(2.2)을 갖는 연결 요소(2)는 연결 케이블(3)에 대해 30°내지 90° 범위의 피치 각도(α)를 갖는, 판유리(1).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2)가 전압원과 접촉하기 위해 제2 평면 섹션(2.3) 위에 제공되는, 판유리(1).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평면 섹션(2.3) 위의 연결 요소(2)는 플러그 또는 케이블을 갖는, 판유리(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판유리(1) 제조 방법으로서,
    · 연결 요소(2)는 연결 케이블(3)의 상부면에서 용접 영역을 통해 연결 케이블(3)에 연결되며,
    · 납땜 화합물(8)은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연결 케이블(3)의 하부면 위의 접촉 영역(7)에 도포되고,
    · 납땜 화합물(8)이 있는 연결 케이블(3)은 판유리(1)의 기판(4) 위의 전기 전도성 구조부(5) 위에 배열되고 접착제(6)에 의해 기판(4) 위에 고정되며,
    · 연결 케이블(3)은 열의 도입으로 납땜 화합물(8)에 의해 전기 전도성 구조부(5)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판유리(1)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2)의 제1 평면 섹션(2.1)이 가열되어 납땜 화합물(8)이 용융되고 연결 케이블(3)이 납땜되는, 판유리 제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저항성 또는 인덕티브 납땜 방법 또는 열풍이 사용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판유리의, 건물들에서 또는 육상, 공중 또는 수상에서 여행용 운송 수단에서, 특히 자동차들 또는 철도 차량들에서, 바람직하게는 앞유리, 후면창, 측면창 및/또는 루프 판유리로서, 특히 가열 가능한 판유리 또는 안테나 기능이 있는 판유리로서의 용도.
KR1020207035149A 2018-06-26 2019-06-12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이 있는 판유리 KR102368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79698 2018-06-26
EP18179698.8 2018-06-26
PCT/EP2019/065281 WO2020001977A1 (de) 2018-06-26 2019-06-12 Scheibe mit einem elektrischen anschlusselement und anschlusskab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272A true KR20210005272A (ko) 2021-01-13
KR102368206B1 KR102368206B1 (ko) 2022-02-28

Family

ID=6278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149A KR102368206B1 (ko) 2018-06-26 2019-06-12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이 있는 판유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910498B2 (ko)
EP (1) EP3815462B1 (ko)
JP (1) JP7041283B2 (ko)
KR (1) KR102368206B1 (ko)
CN (1) CN110999534B (ko)
BR (1) BR112020011669A2 (ko)
MA (1) MA53000A (ko)
MX (1) MX2020013462A (ko)
PE (1) PE20201084A1 (ko)
PL (1) PL3815462T3 (ko)
RU (1) RU2756295C1 (ko)
WO (1) WO2020001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9534B (zh) 2018-06-26 2022-11-25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电连接元件和连接电线的玻璃板
EP4298306A1 (de) 2021-02-26 2024-01-03 Saint-Gobain Glass France Anschlusselement für isolierverglasungen mit elektrisch leitfähiger beschichtung und/oder elektrisch steuerbarem funktionselement
US11879578B2 (en) 2021-12-28 2024-01-23 Lear Corporation Adjustable cable guide for a flat cable
US11728636B2 (en) 2021-12-31 2023-08-15 Lear Corporation Flat flexible electrical conductor and supporting device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3940A1 (de) * 1992-10-17 1994-04-27 Saint-Gobain Vitrage International S.A. Autoglasscheibe aus Verbundglas mit in der Zwischenschicht eingebetteten Drähten und einem Anschlusskab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6122A (en) * 1969-06-30 1971-10-26 Ppg Industries Inc Laminated window panels
FR2618264B1 (fr) * 1987-07-15 1989-12-01 Saint Gobain Vitrage Borne d'alimentation electrique pour vitrage encapsule.
DE9016664U1 (ko) * 1990-12-08 1991-02-28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De
JPH07329724A (ja) * 1994-06-15 1995-12-19 Asahi Glass Co Ltd 自動車用防曇ガラスに用いる端子
JP3957302B2 (ja) 2002-03-11 2007-08-1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金具が接合されたガラス物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
JP4470022B2 (ja) * 2004-07-14 2010-06-02 株式会社村上開明堂 発熱素子
US20070105412A1 (en) * 2004-11-12 2007-05-10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 Window Pane Of A Vehicle
DE102004057630B3 (de) * 2004-11-30 2006-03-30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öten von Anschlüssen mit Induktionswärme
DE102007059818B3 (de) * 2007-12-11 2009-04-0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Fensterscheibe mit einem elektrischen Flachanschlusselement
EP2405708A1 (de) * 2010-07-07 2012-01-11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e Scheibe mit heizbarer Beschichtung
US9171658B2 (en) * 2011-04-06 2015-10-27 Saint-Gobain Glass France Flat-conductor connection element for an antenna structure
BR112013028110A2 (pt) * 2011-05-10 2017-09-19 Saint Gobain painel com um elemento de conexão elétrica
AU2013314647B2 (en) * 2012-09-14 2016-12-15 Saint-Gobain Glass France Pan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EA029086B1 (ru) 2012-11-21 2018-02-28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Оконное стекло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и компенсационными пластинками
GB2511552A (en) 2013-03-07 2014-09-10 Ford Global Tech Llc A heated window
GB201316779D0 (en) * 2013-09-20 2013-11-06 Dehns Electrical connector
PL3292737T3 (pl) * 2015-05-05 2021-08-02 Saint-Gobain Glass France Szyba z elektrycznym elementem łączącym i przymocowanym do niego elementem połączeniowym
CN110999534B (zh) 2018-06-26 2022-11-25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电连接元件和连接电线的玻璃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3940A1 (de) * 1992-10-17 1994-04-27 Saint-Gobain Vitrage International S.A. Autoglasscheibe aus Verbundglas mit in der Zwischenschicht eingebetteten Drähten und einem Anschlusskab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99534A (zh) 2020-04-10
PE20201084A1 (es) 2020-10-22
KR102368206B1 (ko) 2022-02-28
CN110999534B (zh) 2022-11-25
MX2020013462A (es) 2021-02-26
EP3815462A1 (de) 2021-05-05
RU2756295C1 (ru) 2021-09-29
PL3815462T3 (pl) 2023-04-11
EP3815462B1 (de) 2023-03-08
WO2020001977A1 (de) 2020-01-02
BR112020011669A2 (pt) 2020-11-17
US11910498B2 (en) 2024-02-20
JP7041283B2 (ja) 2022-03-23
MA53000A (fr) 2021-05-05
JP2021516440A (ja) 2021-07-01
US20210045197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206B1 (ko) 전기적 연결 요소 및 연결 케이블이 있는 판유리
JP6104389B2 (ja) 電気的な接続要素を備えるパネル
KR101285245B1 (ko) 전기적 플랫 연결 요소를 갖는 창유리
KR100741196B1 (ko) 납땜 방법 및 땜납 조성물
CN106463845B (zh) 具有电连接元件和安装在其上的接合元件的玻璃板
US8373067B2 (en) Electrical connector
CA2969026C (en) Pane with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and a flexible connection cable
KR20150036256A (ko) 전기 접촉 수단을 갖는 복합 판유리
KR20090039671A (ko) 납땜된 전기 단자 접속부를 갖는 창유리
JP2016182953A (ja) 接続エレメント
EA030934B1 (ru) Стекло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с двумя электрическими присоединя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м проводником
JP2023512569A (ja) 平坦伝導体接続要素
JP2023527066A (ja) 合わせガラスではんだ付けするためのフラットコネクタ
CN110859038A (zh) 用于制造具有至少一个电连接元件的玻璃板的方法
JP2020075853A (ja) 車両用窓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