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098A - 호흡 보조 구강 장치 - Google Patents

호흡 보조 구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098A
KR20210005098A KR1020207033296A KR20207033296A KR20210005098A KR 20210005098 A KR20210005098 A KR 20210005098A KR 1020207033296 A KR1020207033296 A KR 1020207033296A KR 20207033296 A KR20207033296 A KR 20207033296A KR 20210005098 A KR20210005098 A KR 20210005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cclusal
airway
occlusal por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패트릭 하트
네일 앤더슨
마이클 레이 슬레이터
벤자민 로우
데이비드 오글레
뷔 쑤아 응옌
Original Assignee
오벤투스 메디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8901485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8901485A0/en
Application filed by 오벤투스 메디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벤투스 메디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5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구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성형된 본체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로서, 상기 본체는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합부; 상기 사용자의 입술 사이로 연장되는 구강 외 개구; 상기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 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된 구강 내 개구; 및 상기 교합부와 조합하여, 상기 구강 외 개구와 구강 내 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포위된 기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호흡 보조 구강 장치
본 발명은 호흡 보조 구강 장치, 특히 수면 중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구강 장치뿐만 아니라, 호흡 보조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종래 공보(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정보) 또는 알려진 임의의 사항에 대한 지칭은, 상기 종래 공보(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정보) 또는 알려진 사항이 본 명세서와 관련된 노력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일반 지식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정이나 승인 또는 임의의 형태의 제안이 아니며, 또한 이로서 간주되어서도 안 된다.
품질이 나쁘거나 비효율적인 호흡이 문제가 되며, 이는 사람들이 깨어 있을 동안 및/또는 사람들이 잠들어 있을 때, 그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의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깨어 있을 동안에는, 이는 스포츠와 같은 활동이나 심지어 일상적인 과업을 수행할 동안에도 최적의 능력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잠들어 있을 동안에는, 호흡 장애(breathing disorder)가 코골이(snoring) 및/또는 수면 무호흡증(sleep apnoea)으로 이어질 수 있다.
코골이는 개인의 호흡 경로 내에서 연조직(soft tissue)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전형적으로는 잠들어 있을 동안 호흡 중 공기 이동이 방해되어 발생한다. 코골이는 막혀진 부비강(sinuses)과 같은 여러 가지 물리적 원인의 범위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수면 중 상부 목구멍(throat)의 근육이 이완될 때 발생한다.
코골이는, 상부 기도(upper airway)의 막힘에 의해 유발되어 정상적인 수면 중 반복적인 호흡 정지로 나타나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oea)(OSA)과 관련될 수도 있다. OSA 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심각한 수준의 수면 장애와 관련된 주간 졸림증(daytime sleepiness) 및 피로로 자주 고통을 받으며, 관련의 코골이에 의해 파트너의 수면 패턴이 종종 방해될 수도 있다.
OSA 의 치료를 위한 현재의 요법으로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기도를 증가시키는 구강 또는 비강 장치와 같은 기계적 장치의 사용, 수면 중 기도를 확장시키고 안정화시키기 위한 외과적 수술, 및 지속적이거나 가변적인 양성 기도 압력(PAP)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은 심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다면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PAP 장치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갖지만, 이들은 장시간 착용하기가 불편하고, 고가이며, 또한 종종 시끄러울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추가적인 수면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술 및 PAP 치료는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 시 제한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코골이에 적절한 치료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연속적인 가변 양성 기도(continuous variable positive airway)(CPAP) 장치의 사용자의 약 30-50%는, 그 치료 시작 후 2년 동안에는 순응적이지 않은 사용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CPAP 시스템은, 사용자가 전형적으로 입 및 코 위에 착용하는 마스크에 공기 흐름을 전달한다. CPAP 마스크는 누출 및 불쾌감을 포함하여 몇 가지의 단점으로 인해 고통을 받으며, 또한 마스크를 착용할 동안에 사용자는 종종 폐쇄공포증(claustrophobia)을 경험한다.
또한, CPAP 시스템은 공기를, 기도를 유지하고 또한 공압 부목(pneumatic splint)으로서 동작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공급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비교적 높은 압력이 요구된다. 또한, 마스크는 흡기(inhalation) 중에는 사용자에게 모든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높은 유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높은 압력 및 흐름을 달성하기 위해, 송풍기와 같은 비교적 크고 시끄러운 펌프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른 기계적인 장치의 관점에서, 비강 장치는 견인(traction) 또는 부목고정(splinting)을 사용하여 비강 기도를 확장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전형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고,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US 2004/194787호는 코골이 방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런 코골이 방지 장치는 사용자의 입에 삽입하기 위한 가요성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또한 근위 및 원위 단부와 그리고 외주를 갖고 있다. 상기 튜브는 그 근위 단부에 구강 외 세그먼트(extra oral segment), 및 그 원위 단부에 구강 내 세그먼트(intraoral segment), 및 그 사이로 연장되는 중간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강 외 세그먼트 및 구강 내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구강 외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외측 입술(lip)을 지나 연장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중간 세그먼트는 사용자 입의 볼인두근막(buccopharyngeal) 경로를 따라 확장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구강 내 세그먼트는 사용자 입의 후구치 공간(retromolar space)을 지나 인두 중앙부(oropharynx) 내로 연장되어 후방 혀와 연구개(soft palate) 사이에서 종료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코골이 방지 장치는 또한 사용자의 인두 중앙부 내에 상기 구강 내 세그먼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구강 내 세그먼트 상의 튜브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정지부(stop)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런 배열은 추가적인 기도를 제공하고 따라서 코골이 및 무호흡 현상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반면에, 착용하기가 불편할 수 있고 또한 사용 중 입 안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효율성을 감소시키며, 이는 다시 추가적인 호흡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US 2005/150504호는 수면 중 호흡을 촉진시키기 위해 입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하악(mandible)의 돌출 포지셔닝 및/또는 압축 공기의 입 후방으로의 전달에 의해 막히지 않은 깨끗한 기도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치아-접촉 부재, 및 그 사이에 정의된 기도를 가지며, 또한 CPAP 기계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런 장치는 CPAP 기계를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상황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오직 수면 무호흡 치료에만 사용된다.
WO 2012/155214호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런 장치는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고 이에 의해 본체를 사용자의 구강 내에 본체를 위치시키기 위한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는 본체, 공기가 구강의 외측으로부터 개구를 통해 드로잉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연장되는 제1 개구, 공기가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지향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제2 개구, 및 상기 제1 및 제2 개구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볼 고랑(buccal sulcus)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한다.
WO 2017/020079호는 호흡 보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런 장치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위치되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입술 사이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 구강의 후방 영역의 내외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2개의 제2 개구, 2개의 채널을 정의하며,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제2 개구를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에 연결하며, 각각의 채널은 구강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치아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기도(airway)를 제공하며, 상기 기도는 비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우회하고 이에 의해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pharyngeal space)을 복제(replicate)하며, 혀 유지 부분(tongue retaining portion)은 사용 시 사용자의 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혀 유지 부분은 사용자의 치아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기 위해 혀를 연장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종래기술에 대한 참조는, 이런 종래 기술이 임의의 관할권에서 통상적인 일반 지식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이런 종래 기술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종래 기술의 다른 부재와 관련이 있고 및/또는 종래 기술의 다른 부재와 조합되는 것으로 간주되고 이해될 것으로 합리적으로 기대될 수 있다는 인식 또는 다른 형태의 제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제안하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광의의 일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태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성형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추구하며, 상기 본체는 사용 시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합부(bite); 사용자의 입술 사이로 연장되는 구강 외 개구; 상기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 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구강 내 개구; 및 상기 교합부와 조합하여, 상기 구강 외 개구와 구강 내 개구 사이로 연장되는 포위된 기도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airway wall)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도는, 아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즉 사용 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치아 사이; 및 사용 시 오직 사용자의 치아 사이에서만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은 기도 베이스벽(airway base wall)으로부터 상기 교합부까지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기도 측벽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은 사용자의 하악 및 상악 치아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는 교합부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교합부 측벽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는 사용자의 치열궁(dental arch)과 일치하도록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은, 포위된 기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교합부와 맞물리는 개방 채널을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은 용접; 접착제; 화학적 접합; 및 기계적 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교합부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 및 교합부는, 추가적인 제조 단계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 시 사용자의 상악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악 교합부; 및 사용 시 사용자의 하악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악 교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하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2 본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적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커플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제1 및 제2 본체에 각각 제공된 제1 및 제2 아암 장착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적 위치는 아암의 길이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악 교합부, 구강 외 개구, 구강 내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기도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하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외 개구는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관형 본체에 의해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구강 내 개구를 상기 구강 외 개구에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나일론; 열경화성 폴리머; 열가소성 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비닐실록산(polyvinylsiloxane); 폴리우레탄; 및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 및 교합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광의의 일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태는 사용자를 위한 호흡 보조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치열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구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성형된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사용 시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합부; 사용자의 입술 사이로 연장되는 구강 외 개구; 상기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 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구강 내에 제공된 구강 내 개구; 및 상기 교합부와 조합하여, 상기 구강 외 개구와 구강 내 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포위된 기도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교합부를 제조하는 단계; 개방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포위된 기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상기 교합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접; 접착제; 화학적 접합; 및 기계적 접합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상기 교합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가적인 제조 단계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 및 교합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형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교합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가적인 제조 단계를 사용하여 상기 교합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나일론; 열경화성 폴리머; 열가소성 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폴리비닐실록산; 폴리우레탄; 및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합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상악 치아와 일치하도록 성형된 상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사용자의 하악 치아와 일치하도록 성형된 하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2 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치과적 인상(dental impression); 사용자 치아의 일련의 사진; 사용자 구강의 적어도 일부의 스캔; 사용자 구강의 적어도 일부의 CT 스캔; 사용자 치아의 3D 스캔; 및 콘 비임 이미징(cone beam imaging)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형상 정보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폰으로 촬영한 환자의 입 또는 인상의 일련의 사진 및 사진들은, STL 파일을 포함하는 3D 이미지를 유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로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상 정보는, 사용자의 구강의 적어도 일부; 및, 사용자의 치열궁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교합부 디자인을 나타내는 템플릿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형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교합부 디자인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수정된 교합부 디자인을 사용하여, 수정된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템플릿 데이터를 사용하여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템플릿 데이터는 추가적인 제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프린트 파일(print file)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형태 및 그 각각의 특징은 함께, 호환 가능하게, 및/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광범위한 형태에 대한 참조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예 및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1a는 호흡 보조 장치의 예의 개략적인 상부측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호흡 장치의 개략적인 상부측 배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호흡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호흡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e는 도 1d의 A-A' 선을 따라 취한, 도 1a의 호흡 장치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f는 도 1a의 호흡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g는 도 1a의 호흡 장치의 개략적인 하부측 도면이다.
도 1h는 도 1f의 B-B' 선을 따라 취한, 도 1a의 호흡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대안적인 호흡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제 도 1a 내지 1h를 참조하여, 호흡 장치의 예가 기재될 것이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호흡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성형된 본체를 갖는 구강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사용 시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합부를 포함한다. 단일의 교합부가 제공될 수 있더라도, 보다 전형적으로는 상악 및 하악 치아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교합부(112, 122)가 제공된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본체(110, 120)를 포함하며, 그 각각은 상부 및 하부 교합부(112, 122) 중 각각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들은, 이하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하악 전진(mandibular advancement)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본체의 상대적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단일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단일의 일체형 본체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본체는 또한 사용 시 사용자의 입술 사이로 연장되는 구강 외 개구(131), 및 구강의 후방 영역의 내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110)를 통해 상기 구강에 제공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강 내 개구(132)를 통과하는 기구 기도(133)를 포함한다. 이는 공기가 기구 기도를 통과하여 제2 개구(132)를 통해 입의 후방 영역 내로 지향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강을 우회하여, 건강한 비강 및 인두 공간을 복제하도록 작용한다. 사용자 구강의 후방 부분 내로 공기 흐름을 직접 제공하면 많은 이점이 있다. 특히 이는 코골이 및 무호흡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비강과 연구개 및 혀에 의해 유발되는 막힘을 피하게 하여, 공기 흐름의 건조 효과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며, 이는 다시 사용자의 불편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비강 막힘은 장치를 통한 공기 흐름에 의해 우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비강 기도를 우회하거나 또는 부분 막힘의 경우 비강 기도에 추가한다. 또한 상기 연구개의 아래 또는 양 측부 상으로 흐르는 공기는 연구개의 붕괴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다시 추가적인 막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기도(133)는 포위된 기도(133)를 형성하기 위해 교합부(112, 122)와 맞물려 제공되는 개방 채널로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111.1, 111.2, 111.3)으로 구성된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기도 벽(111.1, 111.2, 111.3)은 상부 교합부(112)와 맞물려 있지만,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상기 기도가 하부 교합부(122)와 맞물려 제공되는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배열에 있어서, 상기 기도는 기도 벽으로 형성된 개방 채널과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합부의 조합에 의해 정의되므로, 상기 기도는 교합부와 일체로 효과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교합부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교합부의 일부를 사용하여 기도 채널을 통합적으로 형성하면, 포위된 채널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며, 이는 다시 상기 기도 및 교합부를 제조하는 데 요구되는 재료의 체적을 최소화한다. 이는 다시 본체의 크기가 최소화 되는 것을 허용하여, 사용자를 통해 적절한 기류가 달성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도(133)의 횡단면적을 최대화하면서, 편안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배열은, 예를 들어 나일론의 레이저 소결(laser sintering)과 같은 추가적인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폴리머 재료를 사용하여 본체가 제조될 수 있게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하게 체적이 커져서 불편한 장치로 되지 않고서는 이를 달성할 수 없다.
이런 배열의 다른 이점은 벽을 둘러싸는 상부에 대한 필요성을 피함으로써 내부 기도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고, 이는 다시 기도가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사이에서만 수용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뺨과 잇몸 사이의 볼 고랑을 따라 통과하는 기도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서, 결국 사용자에게 더 많은 불편함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제 많은 추가적인 특징이 기재될 것이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기도 벽은 베이스벽(111.3)으로부터 교합부(112)를 향해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측벽(111.1, 111.2)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 및 베이스벽(111.1, 111.2, 111.3)은 용접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합되는, 별개의 분리 요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전형적으로, 상기 기도 벽은 내부 및 외부 측벽과 베이스벽을 정의하도록 성형된 실질적으로 연속한 부재이므로, 이들 특징부의 묘사는 주로 설명을 위한 것임을 의미한다.
일 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 및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및 외부 기도 측벽(111.1, 111.2)은 변형 가능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하악 및 상악 치아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수용한다. 특히, 사용자가 예를 들어 그 턱을 움켜쥠으로써 그 치아를 함께 이동시켰다면, 상기 기도 측벽(111.1, 111.2)은 외측으로 구부러져, 기도 높이를 압축하면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기도 횡단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치아를 움켜쥐는 힘을 흡수하면서 공기 흐름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유사하게, 하악 및 상악 치아의 상대적인 횡방향 움직임은, 상기 측벽의 굴곡(flexure)을 통해 수용될 수 있다. 이는 이갈이(bruxism)로 고통 받는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하며, 특히 구강 기구를 손상시키지 않고 횡방향 및 움켜쥐는 동작을 수용하면서 사용자의 치아에 대한 응력을 감소시킨다.
이는 예를 들어 나일론 재료의 레이저 소결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또는 열경화성 폴리머, 열가소성 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비닐실록산, 폴리우레탄, 에틸비닐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이들 물질의 조합과 같은 폴리머의 사출 성형에 의해 폴리머와 같은 적절한 재료로 기도를 제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대안적으로 상기 본체는 바람직한 구현에 따라 티타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기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는 교합부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교합부 측벽을 포함한다. 이런 특별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교합부 베이스(112.3)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및 내측 벽(112.1, 112.2)을 포함하는 제1 상악 교합부(112)뿐만 아니라, 교합부 베이스(112.3)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및 내부 측벽(122.1, 122.2)을 포함하는 제2 하악 교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교합부는 사용자의 치아가 위치될 수 있는 개방 채널을 효과적으로 정의하며, 이에 의해 구강 기구를 구강 내의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아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이들은 전형적으로 특정 사용자를 위해 맞춤화되었으며, 이에 의해 적절한 착용감을 보장하고 또한 사용 시 편안함을 유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는 단일의 일체형 본체일 수 있지만, 보다 전형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악 및 하악과 별도로 맞물리는, 별도의 상부 및 하부 본체(110, 120)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크기의 본체를 사용되는 것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 본체의 상대적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허용하며, 이에 의해 하악의 전진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하악 전진은 사용자의 기도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코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두 하악 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TMD)는 상악과 하악이 오정렬되었을 때 발생한다. 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부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턱 오정렬은 상부 기도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그리고 혀를 구강의 후방 영역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기도 막힘에 기여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다시 OSA 및 코골이와 관련된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적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이는 사용자의 턱이 정렬되는 것을 허용하며, 이에 의해 TMD 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코골이 및 OSA 의 가능성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 120)는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적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커플링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배열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예에서 이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110, 12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 장착부(114, 124)를 사용하여 달성되며, 이들 장착부는 각각의 아암(115)(도 1a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b 내지 1h에서는 생략되어 있음)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적 위치는 아암의 길이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고, 상기 아암은 연장 가능하거나 또는 교환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원하는 정도의 하악 전진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의 아암이 제공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110)는 상악 교합부(112), 구강 외 개구 및 구강 내 개구(131, 132), 및 기도(133)를 포함하는 반면에, 상기 제2 본체는 오직 하악 교합부(122)만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전술한 배열에 있어서, 상기 구강 외 개구는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관형 본체에 의해 정의된다. 이는 상기 관형 본체가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 확장되는 것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양성 기도 압력(PAP) 기계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이를 결합하거나, 또는 밸브, 습도 교환기(humidity exchanger), 필터 등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본체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2개의 채널을 포함하며,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구강 내 개구를 상기 구강 외 개구에 연결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다른 배열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장치가 사용하기에 편안한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교합부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사용자의 치열궁과 일치하도록 성형된다. 이런 예에 있어서, 호흡 보조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적어도 사용자의 치열궁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그 후 교합부, 구강 외 개구, 구강 내 개구, 그리고 기도 벽을 포함하는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들)는 예를 들어 적어도 사용자의 치열궁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 정보를 활용하는 추가적인 제조 프로세스를 통해 교합부(들)를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다. 교합부가 제조되었다면, 이는 예를 들어 용접, 접착제, 화학적 접합, 또는 기계적 접합 등을 사용하여 상기 기도 벽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상기 포위된 기도를 형성한다.
이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상기 기도 벽은 맞춤화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교합부와의 최적의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선택된 다수의 표준 템플릿 크기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3D 프린팅 또는 다른 유사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기도 및 교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형상 정보는 전형적으로 사용자의 구강 또는 사용자의 치열궁의 적어도 일부의 치수를 포함하며, 그리고 치과적 인상, 사용자 치아의 일련의 사진, 사용자 구강의 스캔된 부분, 사용자 구강의 일부에 대한 CT 스캔, 사용자의 치아에 대한 3D 스캔 및/또는 콘 비임 이미징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특별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형상 정보는 환자의 입의 일련의 사진 또는 스마트 폰으로 촬영한 인상으로부터 유도되며, 상기 사진은 추가적인 제조 단계를 통해 교합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STL 파일을 포함하는 3D 이미지를 유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로딩된다. 일 예에 있어서, 이는 교합부 디자인을 나타내는 템플릿 데이터를 획득하고, 형상 정보를 사용하여 교합부 디자인을 수정하고, 그 후 상기 교합부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수정된 교합부 디자인을 사용하여 수정된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본체는 고강도 폴리머, 플라스틱, VeroGlaze(MED620) 치과 재료 등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인 프린팅, 사출 성형, 또는 기타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10)는 나일론 재료의 레이저 소결이나, 또는 열경화성 폴리머, 열가소성 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비닐실록산, 폴리우레탄, 에틸비닐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과 같은 폴리머의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예에 있어서, 교합부(들) 및 기도 벽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도의 충분한 횡단면적이 유지되도록, 기도 벽은 나일론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재료와 같은 경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교합부(들)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치아와 접촉하였을 때 보다 큰 편안함을 위해 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엘라스토머의 연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의료 등급(medical grade)의 폴리머로 코팅될 수 있으며, 일 예에서는 생체적합성(biocompatability)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개선된 편안함을 위해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또는 파릴렌(parylene)과 같은 의료 등급의 엘라스토머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상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3차원 복합 수지이며 또한 사용자의 치아에 대해 본체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보장하기 위해 본체에 접합될 수 있는 상기 코팅은, 활성 복합 지침(Active Composite Guidance)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본체의 딥 코팅(dip coating), 증기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과 같은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의해 채널의 내면을 포함하여 모든 노출면이 코팅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본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런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코팅 전에 프라이머(primer)를 본체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코팅이 본체에 부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상기 코팅에 추가하여,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기계적 및 전기화학적 폴리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폴리싱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교합부는 실리콘과 같은 성형 가능한 폴리머의 코팅층이 도포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맞춤화되어, 교합부 형태의 최종 마무리를 허용한다. 특히 이는 재료가 고화되기 전에 재료가 사용자의 치아 형상에 맞게 성형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기기를 착용하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열경화성 재료, 열경화성 폴리머, 열가소성 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비닐실록산, 폴리우레탄, 에틸비닐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이들 재료의 조합을 사용하는 UV 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배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전술한 바와 대체로 유사하며, 또한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본체(212, 222)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상부 및 하부 교합부(212, 222)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한다. 그러나 이런 예에 있어서, 상부 교합부(212)는 상부 교합부에서 재료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절결 부분(212.5)을 포함한다. 이런 예에 있어서, 상기 절결 부분은 사용 시 사용자의 앞니와 입술 사이에 위치되는 영역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의 영역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는 다시 추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결은 예를 들어 사용되는 재료의 전체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및/또는 사용자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 시 다른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이하의 청구범위 전체를 통해, 문맥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포함하다(comprise)"라는 단어 및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파생어는, 명시된 정수(integer) 또는 정수 그룹 또는 단계의 포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지만, 그러나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대략"이라는 용어는 ±20%를 의미한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그리고 정관사("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는 점을 인식해야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지지(support)"라는 용어에 대한 언급은 다수의 지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이하의 청구범위에 있어서, 반대의 의도가 명백하지 않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는 다수의 용어가 참조될 것이다.
물론, 전술한 바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예로서 주어졌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이에 대한 모든 그러한 그리고 다른 수정 및 변경은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넓은 범위 및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laims (32)

  1. 사용자의 구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성형된 본체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로서, 상기 본체는
    a)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합부;
    b) 상기 사용자의 입술 사이로 연장되는 구강 외 개구;
    c) 상기 구강의 후방 영역 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 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구강 내 개구; 및
    d) 상기 교합부와 조합하여, 상기 구강 외 개구와 상기 구강 내 개구 사이로 연장되는 포위된 기도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도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호흡 보조 장치.
    a) 사용 시 실질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치아 사이; 및
    b)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치아 사이에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은, 기도 베이스벽으로부터 상기 교합부까지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기도 측벽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은, 사용자의 하악 및 상악 치아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한, 호흡 보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는 교합부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및 외부 교합부 측벽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는 상기 사용자의 치열궁과 일치하도록 성형되는, 호흡 보조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은 상기 포위된 기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교합부와 맞물리는 개방 채널을 정의하는, 호흡 보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은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교합부에 결합되는, 호흡 보조 장치.
    a) 용접;
    b) 접착제;
    c) 화학적 접합; 및
    d) 기계적 접합.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 및 상기 교합부는, 추가적인 제조 단계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호흡 보조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a)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상악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상악 교합부; 및,
    b)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하악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악 교합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a) 상기 상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b) 상기 하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2 본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적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커플링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 각각 제공되는 제1 및 제2 아암 장착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아암의 길이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호흡 보조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a) 이하에 기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본체;
    i) 상악 교합부;
    ⅱ) 상기 구강 외 개구;
    ⅲ) 상기 구강 내 개구; 및
    ⅳ)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및
    b) 상기 하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2 본체
    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외 개구는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관형 본체에 의해 정의되는, 호흡 보조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은 각각의 구강 내 개구를 상기 구강 외 개구에 연결하는, 호흡 보조 장치.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되는, 호흡 보조 장치.
    a) 나일론;
    b) 열경화성 폴리머;
    c) 열가소성 폴리머;
    d) 실리콘;
    e) 엘라스토머;
    f) 폴리카보네이트;
    g)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h) 폴리비닐실록산;
    i) 폴리우레탄; 및
    j) 에틸비닐아세테이트.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 및 상기 교합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호흡 보조 장치.
  19. 사용자를 위한 호흡 보조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치열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사용자의 구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성형된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i) 사용 시 상기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교합부;
    ⅱ) 상기 사용자의 입술 사이로 연장되는 구강 외 개구;
    ⅲ) 상기 구강의 후방 영역내로 및/또는 후방 영역 외로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구강에 제공되는 구강 내 개구; 및
    ⅳ) 상기 교합부와 조합하여, 상기 구강 외 개구와 상기 구강 내 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포위된 기도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
    을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교합부를 제조하는 단계;
    b) 개방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포위된 기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상기 교합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상기 교합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a) 용접;
    b) 접착제;
    c) 화학적 접합; 및
    d) 기계적 접합.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가적인 제조 단계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 및 상기 교합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23.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형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교합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24.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가적인 제조 단계를 사용하여 상기 교합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25.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a) 나일론;
    b) 열경화성 폴리머;
    c) 열가소성 폴리머;
    d) 실리콘;
    e) 엘라스토머;
    f) 폴리카보네이트;
    g)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h) 폴리비닐실록산;
    i) 폴리우레탄; 및
    j) 에틸비닐아세테이트.
  26.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도 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합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27.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a) 상기 사용자의 상악 치아와 일치하도록 성형된 상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b) 상기 사용자의 하악 치아와 일치하도록 성형된 하악 교합부를 포함하는 제2 본체.
  28.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형상 정보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a) 치과적 인상;
    b) 상기 사용자 치아의 일련의 사진;
    c) 상기 사용자 구강의 적어도 일부의 스캔;
    d) 상기 사용자 구강의 적어도 일부의 CT 스캔;
    e) 상기 사용자 치아의 3D 스캔; 및
    f) 콘 비임 이미징.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스마트 폰으로 촬영한 환자 입 또는 인상의 일련의 사진 및 사진들은, STL 파일을 포함하는 3D 이미지를 유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로딩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30.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정보는 이하에 기재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a) 상기 사용자의 상기 구강의 적어도 일부; 및
    b) 상기 사용자의 치열궁의 적어도 일부.
  31.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하에 기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a) 교합부 디자인을 나타내는 템플릿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형상 정보를 사용하여 교합부 디자인을 수정하는 단계;
    c) 상기 수정된 교합부 디자인을 사용하여 수정된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정된 템플릿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템플릿 데이터는 추가적인 제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프린트 파일의 형태인, 호흡 보조 장치 제조 방법.
KR1020207033296A 2018-05-02 2019-05-02 호흡 보조 구강 장치 KR20210005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8901485A AU2018901485A0 (en) 2018-05-02 Oral Appliance and Valve Arrangement
AU2018901485 2018-05-02
PCT/AU2019/050402 WO2019210366A1 (en) 2018-05-02 2019-05-02 Breathing assistance oral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098A true KR20210005098A (ko) 2021-01-13

Family

ID=6838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296A KR20210005098A (ko) 2018-05-02 2019-05-02 호흡 보조 구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86747A1 (ko)
EP (1) EP3787574A4 (ko)
JP (1) JP2021522002A (ko)
KR (1) KR20210005098A (ko)
CN (1) CN112351754B (ko)
AU (1) AU2019262095B2 (ko)
CA (1) CA3098724A1 (ko)
WO (1) WO2019210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62095B2 (en) * 2018-05-02 2024-05-16 Open Airway Dental Solutions Ltd Breathing assistance oral apparatus
KR101997238B1 (ko) * 2019-01-14 2019-07-05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346A (en) * 1987-10-13 1992-03-03 Hays & Meade, Inc. Dental orthosis for alleviation of snoring
US4955393A (en) * 1988-03-30 1990-09-11 Trident Laboratories, Inc. Mouthguard with conformable arch liners
US5117816A (en) * 1991-01-03 1992-06-02 Shapiro Norman A Anti-snore device
US20050150504A1 (en) * 2004-01-14 2005-07-14 Heeke David W.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ing sleep apnea and related breathing disorders
US20100311003A1 (en) * 2009-06-04 2010-12-09 Aleksey Yuriy Kozlov Oral respiration interface and a digital container
US20110186054A1 (en) * 2010-02-01 2011-08-04 Bryan Boy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spiration During Nasal Congestion, and Related Methods
EP2709572B1 (en) * 2011-05-19 2018-07-25 Oventus Medical Limited Breathing assist device
US8931488B2 (en) * 2011-11-01 2015-01-13 Battle Sports Science, Llc Mouth guard with breathing and drinking aperture
EP3113734B1 (en) * 2014-03-03 2019-01-30 Sleep Innovations Pty Ltd Device for sleep apnoea treatment
US10632010B2 (en) * 2014-04-01 2020-04-28 Oventus Medical Limited Breathing assist device
US20160067081A1 (en) * 2014-09-10 2016-03-10 Dennis Peter Sorresso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positive air pressure
US20170319129A1 (en) * 2015-12-18 2017-11-09 Real 3D Polymers Group Llc Sleep apnea and anti-snoring monitor
CN206880919U (zh) * 2016-03-30 2018-01-16 奥温特斯医疗有限公司 用于提供呼吸辅助的设备
WO2017165918A1 (en) * 2016-03-30 2017-10-05 Oventus Medical Limited Adjustable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DE102017217558A1 (de) * 2017-10-02 2019-04-04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führten Aufbissschiene und eine geführte Aufbissschiene
AU2019262095B2 (en) * 2018-05-02 2024-05-16 Open Airway Dental Solutions Ltd Breathing assistance or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62095A1 (en) 2020-11-26
CN112351754B (zh) 2023-09-01
EP3787574A1 (en) 2021-03-10
WO2019210366A1 (en) 2019-11-07
AU2019262095B2 (en) 2024-05-16
CN112351754A (zh) 2021-02-09
CA3098724A1 (en) 2019-11-07
US20210186747A1 (en) 2021-06-24
JP2021522002A (ja) 2021-08-30
EP3787574A4 (en)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3808B2 (ja) 呼吸補助装置
US11844719B2 (en) Breathing assist device
US20230277366A1 (en) Breathing assist device
US7861721B2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US20190125574A1 (en) Adjustable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US10632274B2 (en) CPAP mask attachment system
WO2017165918A1 (en) Adjustable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AU2019262095B2 (en) Breathing assistance oral apparatus
JP2021516563A (ja) 口腔用器具および弁装置
JP2024073406A (ja) 口腔用呼吸補助装置
US20180338856A1 (en) Systems, methods and oral applianc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