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673A -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673A
KR20210004673A KR1020190081454A KR20190081454A KR20210004673A KR 20210004673 A KR20210004673 A KR 20210004673A KR 1020190081454 A KR1020190081454 A KR 1020190081454A KR 20190081454 A KR20190081454 A KR 20190081454A KR 20210004673 A KR20210004673 A KR 2021000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ing data
related information
dimensional article
processor
pri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태
박신혜
Original Assignee
박승태
박신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태, 박신혜 filed Critical 박승태
Priority to KR102019008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673A/ko
Publication of KR2021000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673A/ko
Priority to KR1020210099355A priority patent/KR20210096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는, 3D 프린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및 각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3D 프린터를 통해 입체 물품을 제작하고, 상기 입체 물품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정산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print Servic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3D 프린트 서비스 기술과 관련된다.
3D(dimensional) 프린터는 2D 프린터가 활자가 그림을 인쇄하듯이 입력된 3D 도면(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3차원 입체 물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2D 프린터는 앞뒤와 좌우로만 운동하지만, 3D 프린터는 앞뒤와 좌우 운동에 상하 운동을 더하여 입력된 3D 도면에 기반하여 입체 물품을 만들 수 있다.
종래의 제조 방식에 따른 제품은 CAD(computer-aided design) 도면을 작성한 후에 재료를 절삭, 용접, 펀칭(punching), 샌딩(sanding), 코팅(coating)과 같은 수많은 공정을 거쳐서 생산되었다. 종래의 제조 방식에서는 금형 제작, 지그 제작 및 생산설비 구축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대량 생산에는 유용하지만, 소량 생산에는 불리할 수 있다. 하지만, 3D 프린트에 따른 제품은 3D 도면(CAD 도면)을 작성 후 3D 프린트로 재료를 프린트(예: 적층)하여 제작되므로, 부가 공정이 필요 없어, 다품종 제품을 빠르고 저렴하게 소량 생산할 수 있다.
3D 프린터는 고가의 제품이므로, 개인이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하기엔 부담이 있다. 이에, 개인의 의뢰에 따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개별 입체 물품을 제작한 후 개인에게 배송해주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3D 프린터의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는, 3D 프린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및 각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3D 프린터를 통해 입체 물품을 제작하고, 상기 입체 물품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정산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에 의한 3D 프린트 서비스 방법은,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3D 프린터를 통해 입체 물품을 제작하는 동작; 및 상기 입체 물품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정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3D 프린터의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데이터의 편집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시스템(100)은 3D 프린터(110), 가맹점 단말(120), 저작권자 단말(130) 및 사업자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터(110)는 예를 들면, 각 가맹점들에 배치되어, 가맹점 단말(120)과 기능적으로 연결될(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각 가맹점은 예를 들면, 3D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제휴하고, 3D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점포일 수 있다. 3D 프린터(110)는 3D 모델링 데이터(또는, 3D 도면)에 기반하여 입체 물품을 제작(예: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터(110)는 고체 원료(예: 플라스틱)를 녹여서 3D 모델링 데이터(또는, 3D 도면)에 따른 x, y, z 축의 위치에 쌓아 올리면서 고체화함에 따라 입체 물품을 제작(예: 인쇄)할 수 있다.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는 들면, 가맹점 단말(120)이 사업자 단말(140)로부터 획득하여 3D 프린터(110)로 전달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단말(12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입력 회로(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사업자 단말(14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각 가맹점들에 배치된 컴퓨팅 단말일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사업자 단말(140)과 통신하여 사용자에게 3D 프린터(110)를 이용한 입체 물품 제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사업자 단말(140)과 통신하여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선택되면, 사업자 단말(140)에 요청하여, 사업자 단말(140)로부터 상기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공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기 위한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도중, 전(before) 또는 후(after)에, 사업자 단말(140)로부터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저작권료 정보(예: 저작권료 금액) 및 지급 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제작 비용)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맹점 단말(120)은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료,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료,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 및 예상 재료비에 기반하여 물품에 관련된 제작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작 비용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획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입체 물품의 제작을 3D 프린터(110)에 지시(command)하고, 3D 프린터(110)에 의한 입체 물품 제작 완료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3D 프린터(110)에 의한 입체 물품의 제작 완료를 확인하면, 상기 제작 완료를 사업자 단말(140)에 안내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맹점 단말(120)은 물품 비용의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체 물품의 제작 비용을 결제 및 수령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단말(120)은 3D 프린터(110)에 의한 입체 물품을 제작할 때(3D 프린터(110)의 인쇄시)마다 상기 제작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단말(120)은 사용자가 정액권을 구매하도록 하고, 상기 구매된 정액권으로부터 상기 제작 비용을 차감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지정된 소모품의 잔여량을 모니터링하고, 각 소모품의 잔여량에 관한 소모품 정보를 사업자 단말(14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소모품은 예를 들면, 입체 물품의 제작에 이용되는 3D 프린터(110)의 재료(예: 플라스틱), 가맹점 단말(120)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입체 물품에 대한 재료 소모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재료 소모품들은 입체 물품을 꾸미기에 사용되는 재료들로서, 예를 들면, 입체 물품에 부착, 장착 또는 채색되는 것들(예: 의상, 액세서리)일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복수의 재료 소모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 소모품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120)은 복수의 재료 소모품들을 보관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재료 소모품이 선택되면, 보관함으로부터 선택된 재료 소모품을 배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맹점 단말(120)은 선택된 재료 소모품들에 대한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권자 단말(130)은 3D 프린터(110)에 의한 입체 물품 제작에 사용되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또는, 작성)하는 사용자(이하, "저작권자"라 함)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는 예를 들면, 3D 모델링 데이터의 개발, 판매 또는 유통을 담당하는 사업자 또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작성한 개인일 수 있다. 저작권자 단말(130)은 저작권자 단말(130)에 저장된 3D 모델링 데이터 및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자 관련 정보를 사업자 단말(140)에 등록 및 업로드(upload)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 단말(140)은 3D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컴퓨팅 장치(예: 서버)일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들(예: 가맹점 단말(120))과 통신하여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3D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및 각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를 상호 관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저작권자 단말(130)로부터 업로드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 및 저장하고,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저작권자 정보와 관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상기 업로드된 3D 모델링 데이터 이외에 사업자 단말(140)의 이용자(예: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가맹점 단말(120)의 요청에 응답하여 가맹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하면,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가맹점 단말(12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기송신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물품 제작 완료 관련 메시지(예: 3D 프린터(110)에 의한 물품 제작 완료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물품 제작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송신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료를 정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송신된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업자 단말(140)은 제1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입체 물품에 이용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제2 저작권 관련 정보, 입체 물품에 이용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로부터 수령된 입체 물품의 제작 비용 중에서 제1 저작권자에 지급할 저작권료 및 제2 저작권자에게 지급할 저작권료를 결정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140)은 각기 결정된 저작권료를 제1 저작권자 및 제2 저작권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 단말(14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가맹점 단말(12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단말(120)은 사업자 단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가맹점 단말(120)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사업자 단말(14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단말(140)은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용을 가맹점 단말(120)에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트 서비스 시스템(100)은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는 물론,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일부 조합에 기반한 물품 제작을 지원할 수 있어, 3D 프린터(110)에 의한 물품 제작의 자율성 및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예: 도 1의 사업자 단말(14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 회로(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입출력 회로(240)(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통신 회로(210)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와 다른 전자 장치(예: 3D 프린터(110), 저작권자 단말(130) 또는 가맹점 단말(120)) 간의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회로(21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cellular)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3D 프린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및 각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는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입체 물품이 속하는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각 3D 모델링 데이터는 예를 들면, 3D 프린터(110)에 의한 입체 물품 제작에 사용되는 CAD 도면일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저작권료 정보(예: 저작권료 금액) 및 저작권료 지급 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지정된 모형, 지정된 피큐어(pikyueo) 및 지정된 부속품(예: 레고(lego) 부속품) 중 적어도 하나의 입체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큐어는 캐릭터(예: 기업 캐릭터, 행사 캐릭터, 애니메이션 캐릭터) 피큐어 및 유명인(예: 연예인, 운동선수) 피큐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통신 회로(210)를 통한 가맹점 단말(120)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가맹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3D 프린터(110)를 이용하여 제작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체 물체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입체 물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 하나의 입체 물체에 대응하는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제공하고, 복수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선택된 하나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한 선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다른 예를 들면, 복수의 입체 물체들 중 2개 이상의 입체 물체들을 조합하기 위한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에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사람 피큐어를 제작하기 위한 제1 3D 모델링 데이터 및 제2 사람 피큐어를 제작하기 위한 제2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제1 신체 일부(예: 얼굴, 몸통, 팔 및 다리)를 선택하고, 제2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제2 신체 일부를 선택하고 제1 신체 일부 및 제2 신체 일부를 조합한 커스터마이징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는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또 다른 예로,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캐릭터 또는 모형의 파라미터(예: 사이즈)를 조정 가능한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선택된 것을 확인하면,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통신 회로(210)를 통해 가맹점 단말(1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캐릭터가 선택된 것을 확인하면, 제1 캐릭터에 대응하는 입체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가맹점 단말(12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상기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사람 피큐어의 제1 신체 일부와 제2 사람 피큐어의 제2 신체 일부가 조합된 커스터마이징 캐릭터(customizing chractor)가 선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세서(230)는 제1 사람 피큐어에 대응하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제1 신체 일부에 대응하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고, 제2 사람 피큐어에 대응하는 제2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제2 신체 일부에 대응하는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추출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일부와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일부를 조합함에 따라 커스터마이징 캐릭터에 대응하는 제3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캐릭터 또는 모형의 파라미터(예: 높이, 폭)가 조정된 것을 확인하면,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조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도록 수정함에 따라 조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생성된 제3 3D 모델링 데이터를 통신 회로(210)를 통해 가맹점 단말(120)에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를 메모리(220)로부터 확인하고,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예: 제작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캐릭터 피규어에 대응하는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제1 캐릭터 피큐어에 대응하는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저작권료 금액 및 제작 비용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어, 확인된 저작권료 금액과 제작 비용을 합산하여 제작 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료,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료, 입체 물품에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 및 예상 재료비에 기반하여 물품에 관련된 제작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이 결정되면, 결정된 입체 물품의 제작 비용을 가맹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3D 모델링 데이터가 선택된 때에 입체 물품의 제작 비용을 안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가맹점 단말(120)에 송신한 후 물품 제작 완료 관련 메시지(예: 3D 프린터(110)에 의한 물품 제작 완료 안내 메시지)를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맹점 단말(120)은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3D 프린터(예: 도 1의 3D 프린터(110))를 이용하여 입체 물품을 제작하고, 입체 물품이 제작 완료되면 물품 제작 완료 관련 메시지를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물품 제작 완료 관련 메시지를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료를 정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캐릭터 피큐어에 대응하는(또는, 제1 캐릭터 피큐어를 제작하기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제1 캐릭터 피큐어에 대응하는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 관련 정보를 메모리(220)로부터 확인하고, 저작권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료 금액 및 저작권료 지급 계좌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확인된 저작권료 금액을 확인된 저작권료 지급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제2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입체 물품에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제2 저작권 관련 정보, 입체 물품에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저작권자에 지급한 저작권료 및 제2 저작권자에게 지급할 저작권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이 50%,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이 80%이면, 프로세서(230)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료 중 50%를 제1 저작권자에게 지급할 저작권료로 결정하고, 제2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료 중 80%를 제2 저작권자에게 지급할 저작권료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상기 결정된 저작권료를 제1 저작권자 및 제2 저작권자에게 각기 지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료를 지급할 때 현금, 포인트 및 가상 화폐와 같은 다양한 화폐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료 지급에 이용되는 화폐는 예를 들면, 저작권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230)는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저작권료를 지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30)는 블록체인(block chain)과 연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가맹점 단말(120)과 통신하여 가맹점 단말(1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소모품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소모품 정보는 예를 들면, 입체 물품의 제작에 이용되는 3D 프린터(110)의 재료(예: 플라스틱), 가맹점 단말(120)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입체 물품에 대한 재료 소모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재료 소모품들은 입체 물품을 꾸미기에 사용되는 재료들로서, 예를 들면, 입체 물품에 부착, 장착 또는 채색되는 것들(예: 의상, 액세서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가맹점 단말(120)로부터 소모품 정보를 획득(예: 수신)하고, 획득된 소모품 정보에 기반하여 소모품의 재고 부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소모품의 잔여량이 지정된 잔여량 이하임을 확인하면, 예컨대, 입출력 회로(250)를 통해 소모품 재고 부족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통신 회로(210)를 통해 저작권자 단말(130)로부터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할 때,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저작권자 단말(130)에 제공하고,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를 선택된 카테고리에 관련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도중 또는 전후에, 저작권자 단말(130)에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저작권자 단말(130)로부터 저작권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획득된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 및 다른 저작권 관련 정보를 상호 관련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다른 장치(예: 사용자 단말, 다른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가맹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입체 물품 제작은 물론,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간의 조합에 기반한 입체 물품 제작을 지원할 수 있어, 3D 프린터(110)에 의한 입체 물품 제작의 자율성 및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사업자 또는 개인에 의해 제작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입체 물품을 제작할 수 있어, 3D 모델링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3D 프린터(110)에 기반한 입체 물품 제작에 이용되는 3D 모델링 데이터 유통을 위한 새로운 판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가 사업자 단말(14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3D 프린터(11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가맹점 단말(120)일 수 있다. 이 경우,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입출력 회로(240)(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입력(예: 3D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 또는 조합)을 수신하고, 출력 회로를 통해 3D 프린트 서비스를 안내(예: 2개 이상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조합 캐릭터 이미지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3D 모델링 데이터를 선택 또는 조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조합된 경우,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조합된 커스터마이징 캐릭터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는 각종 모형(221), 애니메이션 캐릭터 피큐어(223, 227) 및 유명인(예: 연예인, 운동선수) 피큐어(2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체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CAD 도면일 수 있다.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는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입체 물품이 속하는 카테고리(예: 카테고리1, 2, 3)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링 데이터의 편집 예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편집용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서, 입체 물품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가 제1 사람 피규어를 제작하기 위한 것일 때,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제1 사람 피큐어의 높이 또는 폭과 같은 파라미터를 조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높이 또는 폭이 조정되면, 선택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조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도록 수정함에 따라 조정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사람 피큐어(410)를 제작하기 위한 제1 3D 모델링 데이터 및 제2 사람 피큐어(420)를 제작하기 위한 제2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제공된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사람 피규어의 얼굴(411)를 선택하고, 제2 사람 피규어의 몸통(422)과 다리(423)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제1 사람 피규어의 얼굴(411), 제2 사람 피규어의 몸통(422)과 제2 사람 피규어의 다리(423)을 조합한 커스터마이징 캐릭터를 제작하기 위한 새로운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트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예: 도 1의 사업자 단말(140))는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 3D 모델링 데이터는 예를 들면, 3D 프린터(110)에 의한 입체 물품(예: 피큐어, 모형) 제작에 사용되는 CAD 도면일 수 있다.
동작 520에서,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예: 제1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선택된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3D 프린터(예: 도 1의 3D 프린터)를 통해 입체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3D 프린터(110)에 3D 모델링 데이터를 송신하고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입체 물품 제작을 지시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입체 물품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저작권료 정보(예: 저작권료 금액) 및 저작권료 지급 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저작권료 다른 예를 들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입체 물품에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제2 저작권 관련 정보, 입체 물품에 이용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이용 비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로부터 수령된 입체 물품의 제작 비용 중에서 제1 저작권자에 지급할 저작권료 및 제2 저작권자에게 지급할 저작권료를 결정할 수 있다.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각기 결정된 저작권료를 제1 저작권자의 저작권료 지급 계좌로 송금하고 및 제2 저작권자의 저작권료 지급 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한 입체 물품 제작은 물론,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간의 조합에 기반한 입체 물품 제작을 지원할 수 있어, 3D 프린터(110)에 의한 입체 물품 제작의 자율성 및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220))(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2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3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8)

  1.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3D 프린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및 각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3D 프린터를 통해 입체 물품을 제작하고,
    상기 입체 물품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정산하도록 하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의 제작 비용을 결정하도록 하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에서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기 위한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편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을 제작하도록 하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는,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저작권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입체 물품의 제작 완료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저작권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관련된 비용을 정산하도록 하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입체 물품에 상기 제1 3D 모델링 데이터와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가 포함되는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료와 상기 제2 3D 모델링 데이터의 저작권료를 분할 정산하도록 하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저작권자 단말로부터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 및 다른 저작권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다른 3D 모델링 데이터 및 상기 획득된 다른 저작권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는,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7.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에 의한 3D 프린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3D 모델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3D 프린터를 통해 입체 물품을 제작하는 동작; 및
    상기 입체 물품의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에 관련된 비용을 정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3D 프린트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체 물품의 제작 비용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3D 프린트 서비스 방법.
KR1020190081454A 2019-07-05 2019-07-05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10004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54A KR20210004673A (ko) 2019-07-05 2019-07-05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0210099355A KR20210096049A (ko) 2019-07-05 2021-07-28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54A KR20210004673A (ko) 2019-07-05 2019-07-05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355A Division KR20210096049A (ko) 2019-07-05 2021-07-28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73A true KR20210004673A (ko) 2021-01-13

Family

ID=741423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54A KR20210004673A (ko) 2019-07-05 2019-07-05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0210099355A KR20210096049A (ko) 2019-07-05 2021-07-28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355A KR20210096049A (ko) 2019-07-05 2021-07-28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467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049A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164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ustomized Webpage Interface
US7006952B1 (en) 3-D model providing device
US201403165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Additive Manufacturing From An Advertisement
US20150277155A1 (en) Customized eyewear
CN108806070A (zh) 自助售货机及自助售货系统
US20150026016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model figure of person with associated clothing
KR2013005215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 피팅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727097A (zh) 一种配镜方法、装置与系统
WO2019222065A1 (en) Optimizing viewing assets
CN111415220A (zh) 一种模具和产品的报价方法及装置
KR20210004673A (ko) 3d 프린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65350A (ko)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WO2022006683A1 (en) Tension-map based virtual fitting room systems and methods
CN109840936A (zh) 使用遗传编程生成3d结构以满足功能和几何结构约束
KR20080028643A (ko) 아바타를 이용하여 3디공간에서 물품구매가 가능한 온라인전자상거래 시스템
CN1892713B (zh) 制作个性化三维实体的装置和方法
JP7371212B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7443751A (zh) 基于3d打印技术的定制系统及其商业模式
CN107292552A (zh) 一种参数信息设置、选择方法及装置
KR20150056731A (ko) 사용자의 인체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84901A (ko) 코디네이션 운영시스템 장치
KR101707850B1 (ko) 3d 프린터 상품 판매 시스템 및 정보처리장치
KR20010088701A (ko) 3차원 신체모형을 이용한 온라인쇼핑몰 시스템 제공방법및 장치
TWI510946B (zh) 將抽籤結果和客制化資訊一起顯示之方法
US20060085288A1 (en) Product specifications modifying method and product specifications modify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