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350A -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350A
KR20160065350A KR1020140168849A KR20140168849A KR20160065350A KR 20160065350 A KR20160065350 A KR 20160065350A KR 1020140168849 A KR1020140168849 A KR 1020140168849A KR 20140168849 A KR20140168849 A KR 20140168849A KR 20160065350 A KR20160065350 A KR 2016006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content
mobile terminal
smart mobile
dimensional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826B1 (ko
Inventor
신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팩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팩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팩시스
Priority to KR102014016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8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Abstract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스마트 이동단말에 제공하고, 스마트 이동단말에서 3차원 콘텐츠의 입체물이 선택되고 상기 입체물의 제작 서비스가 구매되면,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상기 입체물을 제작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3차원 프린터; 상기 3차원 프린터에 인쇄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인쇄코드에 의해 입체물을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에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이 선택한 3차원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인쇄코드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입체물을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3차원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랜더링하는 고부하 작업을 서버에서 처리하게 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에 직접 연결되는 제어장치에 인쇄코드 수신 및 인쇄코드 입력 등 최소 기능만을 구비하여 경량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 A system of manufacturing and trading 3D objects based on 3D printer using the smart mobile device }
본 발명은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스마트 이동단말에 제공하고, 스마트 이동단말에서 3차원 콘텐츠의 입체물이 선택되고 상기 입체물의 제작 서비스가 구매되면,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상기 입체물을 제작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3D) 인쇄는 연속적인 계층의 물질을 뿌리면서 3차원 물체를 만들어내는 기술의 일종이며, 3차원 프린터는 컴퓨터 등의 신호를 입체물로 제작하는 장치를 말한다. 현재 3차원 프린트 기술은 선박, 자동차, 건축 등에 쓰이며 제품 도면을 통한 시제품 생산 등에 사용되어 산업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프린터는 모니터에 나타난 글자와 그림을 종이에 그리는 기계였으나, 3차원 프린터는 특정 소프트웨어로 그린 3차원 설계도에 의해서 입체적인 물건을 만들어내는 기계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3차원 프린터는 파우더 또는 액체를 뿌리고 굳혀서 만든 얇은 막들을 층층이 쌓아올려 입체적 형상의 물건을 제작하는 기계로서, 주로 플라스틱 소재를 파우더나 액체의 원료로 사용하는데, 잉크젯 프린터와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원료를 분사하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었다.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물건을 제작하는 기술을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만들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물건을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스캔해서 컴퓨터에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한 다음, 그 입체적으로 그려진 물건을 마치 미분하듯이 가로로 1만개 이상 잘라 분석한다. 그리고 아주 얇은 막(레이어)을 한 층씩 쌓아 물건의 바닥부터 꼭대기까지 완성한다(쾌속조형 방식).
3차원 프린터는 물건의 3차원 설계도 또는 3차원 형상만 있다면 물건을 최종적인 형태로 직접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똑같은 물건을 대량 생산해내는 방식이 아닌 소비자가 자기만의 스타일과 디자인으로 물건을 하나만 생산하여 소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3차원 프린터로 입체물을 제작하기 위한 3차원 입체 설계도를 거래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판매 단말기가 입체물을 제작할 수 있는 컴퓨터 신호(또는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구매 단말기에서 상기 컴퓨터 신호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판매 단말기는 그 반대급부를 얻는다.
또한, 3차원 캐릭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캐릭터 모형을 3차원 프린터로 제작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상기 선행기술은 가상환경서버로부터 캐릭터의 3D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캐릭터 3D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캐릭터의 외곽면에 두께를 부여하는 단계와; 두께가 부여된 상기 캐릭터 3D 데이터를 3D 프린터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3차원 프린터를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요청자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면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 상기 선행기술은 3차원 프린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여, 이들 센서에 측정된 신호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에 대한 3차원 프린터의 가용성을 평가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3차원 프린터을 부분적으로만 활용하는 기술을 제시할 뿐, 최근 보편화된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3차원 프린터로 입체물을 제작하고 거래하는 기술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2339호(2013.04.01. 공개)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4649호(2013.05.03. 공개)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2240호(2014.08.2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스마트 이동단말에 제공하고, 스마트 이동단말에서 3차원 콘텐츠의 입체물이 선택되고 상기 입체물의 제작 서비스가 구매되면,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상기 입체물을 제작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이동단말이 선택한 3차원 콘텐츠의 표준 파일을 메인 서버에서 랜더링하여 3차원 프린터가 읽을 수 있는 인쇄 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3차원 프린터의 제어장치로 상기 인쇄 코드를 직접 전송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서버로부터 입체물의 인쇄 코드를 수신하고 3차원 프린터의 범용 연결단자와 연결하여 수신된 인쇄코드를 입력시켜 출력을 제어하는 등 최소 기능만을 탑재한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프린터에 의한 입체물의 인쇄 상황을 카메라로 촬상하여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단말과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콘텐츠를 3차원 프린터로 인쇄하여 입체물을 제작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3차원 프린터; 상기 3차원 프린터에 인쇄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인쇄코드에 의해 입체물을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에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이 선택한 3차원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인쇄코드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입체물을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3차원 프린터의 동작을 촬영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을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3차원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검색 또는 키워드 검색을 제공하는 콘텐츠 검색부;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선택에 따라 인쇄할 3차원 콘텐츠인 제1 콘텐츠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되, 상기 제1 콘텐츠에 대하여 제작할 입체물의 크기와 개수를 입력받는 주문요청부; 상기 제1 콘텐츠에 대한 인쇄시간 및 인쇄비용을 상기 제1 콘텐츠의 부피에 비례하여 산정하는 기간비용 산정부; 및, 상기 제1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변환하여 제1 코드를 생성하는 랜더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간비용 산정부는 상기 제1 콘텐츠의 표준 부피에 크기 및 개수에 비례하여 상기 제1 콘텐츠의 예상 인쇄시간 및 필라멘트의 예상 소요량을 산정하고, 상기 예상 인쇄시간 및 필라멘트의 예상 소요량을 이용하여 인쇄비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간비용 산정부는 상기 3차원 콘텐츠의 표준 부피 QF를 다음 [수식 1]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1
단, i는 각 레이어의 인덱스를 표시하고, N은 레이어의 개수이고, Si는 i번째 레이어의 영역이고, △d는 레이어의 두께 또는 높이임.
또,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쇄관리부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3차원 프린에서 진행중인 인쇄코드의 위치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코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인쇄되는 상기 제1 콘텐츠의 입체물의 인쇄 진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콘텐츠는 STL(STereoLithography) 형식의 파일이고, 상기 인쇄코드는 G-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 이동단말에서 3차원 콘텐츠를 선택하여 구매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3차원 프린터로 인쇄 작업을 바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이동단말에서도 손쉽게 3차원 콘텐츠를 선택하여 입체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의하면, 3차원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랜더링하는 고부하 작업을 서버에서 처리하게 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에 직접 연결되는 제어장치에 인쇄코드 수신 및 인쇄코드 입력 등 최소 기능만을 구비하여 경량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의하면, 3차원 프린터에 의한 인쇄 작업을 영상 또는 이미지로 촬영하여 그 작업 상태를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입체물의 형태나 정밀도에 따라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장시간 대기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다수의 세부 기능 서버로 구성하는 구성도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세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스마트 이동단말(10), 메인 서버(30), 제어장치(50), 및, 3차원 프린터(60)로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 이동단말(10)은 이동통신망(21), 유무선 인터넷망 등 네트워크(20)를 통해 메인 서버(30)에 연결된다. 또한, 메인 서버(30)와 제어장치(50)도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메인 서버(3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이동단말(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동단말로서,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컴퓨팅 기능을 가진 통상의 이동단말이다. 스마트 이동단말(1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망(21), 유무선 인터넷망 등을 통해 메인 서버(30)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스마트 이동단말(10)에는 메인 서버(30)에 접속하여 3차원 콘텐츠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3차원 콘텐츠를 제작 요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 시스템(또는 어플리케이션, 어플, 앱)인 클라이언트 앱(11)이 설치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앱(11)은 스마트 이동단말(10)에 설치되어, 스마트 이동단말(10)의 통신 기능, 입력 기능, 출력 기능 등을 이용하여 3차원 콘텐츠 검색이나 제작 요청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마트 이동단말(10)이 수행하는 작업은 클라이언트 앱(11)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 이동단말(10)이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콘텐츠는 3차원 물건 또는 물체 등 3차원 형상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다음으로, 3차원 프린터(60)는 통상의 3차원 프린터로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3차원 프린터이다. 3차원 프린터(60)는 3차원 콘텐츠(입체 형상)를 미분하듯이 가로로 세분하여, 아주 얇은 막(레이어)을 한 층씩 쌓아 물건의 바닥부터 꼭대기까지 완성한다. 즉, 3차원 프린터(60)는 플라스틱 분말 또는 액체 상태의 물질을 분사해서 접착제나 자외선 등으로 경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해 면 단위의 막들을 층층이 쌓아 올려서, 최종적인 입체물을 제작한다.
이때, 3차원 콘텐츠를 미분하듯이 바닥부터 꼭대기까지 연속되는 얇은 레이어로 세분하여, 3차원 프린터(60)가 각 층별로 순차적으로 수행할 작업을 지시하는 모델링 데이터가 G-코드 등 인쇄 코드이다. 즉, 3차원 프린터(60)는 인쇄 코드에 의해서 이동하면서, 분사될 물질의 필라멘트(filament)를 익스트루더(extruder)로 순차적으로 분사한다.
통상의 3차원 프린터(60)는 인쇄 코드(또는 G-코드)를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등을 통해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USB 메모리에 G-코드 등 인쇄코드를 저장하여, USB 메모리를 3차원 프린터의 USB 입력 단자에 삽입하면 3차원 프린터(60)는 인쇄코드에 의해 필라멘트를 분사하여 입체물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50)는 3차원 프린터(60)에 연결되어, 인쇄코드를 입력시켜주고, 3차원 프린터(60)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장치(50)는 USB 단자로 3차원 프린터(60)와 연결되어, 메인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인쇄코드를 3차원 프린터(60)로 입력시켜준다.
또한, 제어장치(50)는 유무선 인터넷 등 네트워크(20)를 통해 메인 서버(30)와 연결되어, 메인 서버(30)로부터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인쇄코드를 다운로드 받는다. 또는 제어장치(50)는 3차원 프린터(60)의 인쇄 상태를 카메라 등 각종 센서로 수집하여, 메인 서버(30)에 전송한다.
한편, 제어장치(50)는 각 3차원 프린터(60)에 대응되도록 하나씩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제어장치(50)가 다수의 3차원 프린터(6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어장치(50)는 통신 기능과, USB 연결 기능, 및, 3차원 프린터의 구동 기능만 구현하는 최소한의 디바이스로 구현된다. 이것은 제어장치(50)가 각 프린터별로 별도로 구성해야 하므로, 전체 구축 비용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후자의 경우, 하나의 제어장치(50)가 다수의 프린터에 연결하여, G-코드를 전달하고 전달한 제어장치(5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50)의 기능이 컴퓨터 단말 기능과 같이, 전자에 비하여 고성능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는 3차원 프린터(60)로부터 3차원 프린터(60)에서 진행중인 인쇄코드의 위치를 수신하여, 서버(30)에 전송한다. 인쇄코드는 3차원 프린터가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코드이므로, 진행중인 인쇄코드의 위치를 통해 입체물의 인쇄의 진행률(완성된 정도)을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70)이 3차원 프린터(60)에 장착되어, 3차원 프린터(60)의 작동 상태를 동영상으로 촬영하거나, 정지영상 등 이미지로 촬상한다. 제어장치(50)는 카메라 시스템(70)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을 네트워크(20)를 통해 메인 서버(3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시스템(70)은 조도 센서 및 조명 장치를 구비하여,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 장치의 조명을 조절한다. 따라서 카메라 시스템(70)은 일정한 밝기에서 3차원 프린터(60)의 동작 상태를 명확하게 촬상할 수 있다.
메인 서버(30)는 다양한 3차원 콘텐츠를 제공하고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나 키워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 서버(30)는 스마트 이동단말(10)에 의해 선택된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또는 입체물 제작 요청)을 수신하여, 3차원 프린터(60)로 하여금 요청된 3차원 콘텐츠의 입체물을 제작하도록 요청한다.
특히, 메인 서버(30)는 3차원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변환하여, 인쇄코드를 제어장치(5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50)는 수신한 인쇄코드를 3차원 프린터(60)에 입력시키고, 3차원 프린터(60)를 작동시킨다.
이때, 메인 서버(30)는 선택한 3차원 콘텐츠의 3차원 프린팅 작업에 대한 결제를 스마트 이동단말(10)에 요청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메인 서버(30)는 3차원 프린터(60)의 동작 상태를 촬상한 영상(또는 이미지)를 제어장치(5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송한다.
한편, 메인 서버(30)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와 같이, 세부적인 기능을 전담하는 다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서버(30)는 웹 상에서 3차원 콘텐츠의 제작 서비스와 관련된 메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DB서버, 웹 서버의 인터페이스에서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WAS 서버, 3차원 콘텐츠를 G-코드 등 인쇄코드로 변환하는 랜더링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예는 하나의 일례일 뿐, 서버의 안정성이나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서버 구축 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는 3차원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DB(41), 3차원 콘텐츠의 입체물 제작 서비스에 대한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트랜잭션DB(42), 및,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3차원 프린터의 작동 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DB(43) 등으로 구성된다. 그외에도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DB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30)의 세부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서버(30)는 사용자 등록 및 인증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31), 3차원 콘텐츠를 검색하는 콘텐츠 검색부(32),검색된 3차원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주문 요청을 처리하는 주문요청부(33), 주문된 3차원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변환하는 랜더링부(35), 및, 인쇄코드를 3차원 프린터로 전송하여 프린팅을 요청하고 인쇄과정을 관리하는 인쇄관리부(36)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완성시까지의 기간 및 비용을 산정하는 기간비용 산정부(34) 및, 주문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1)는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입력받아 사용자를 등록하고, 등록된 사용자의 서버(30) 로그인을 인증한다. 사용자 인증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 또는 공인인증서 등 통상의 인증 방식으로 인증한다.
콘텐츠 검색부(32)는 다양한 3차원 콘텐츠를 제공하고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카테고리나 키워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콘텐츠 검색부(32)는 다른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콘텐츠 검색부(32)는 일반 웹 또는 모바일 웹 서비스를 제공하여, 웹 또는 모바일 웹 상에서 3차원 콘텐츠 검색 서비스나 입체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콘텐츠 검색부(32)는 스마트 이동단말(10)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인 클라이언트 앱(11)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3차원 콘텐츠 검색 서비스나 입체물 제작 서비스를 제공한다.
콘텐츠 검색부(32)는 다수의 3차원 콘텐츠 또는 3차원 콘텐츠 파일을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또는 콘텐츠 검색부(32)는 다른 외부 서버에서 제공하는 3차원 콘텐츠를 검색하여 이들을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거나, 다른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3차원 콘텐츠 또는 3차원 콘텐츠 파일은 STL(STereoLithography) 등 3차원 프린터의 표준 파일 형식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STL 형식의 3차원 콘텐츠 파일은 다수의 삼각형이 솔리드 모델의 외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파일이다. 즉, STL 파일 형식은 삼각형을 이루는 세 개의 꼭지점과 벡터(크기와 방향 중 방향만)를 기본 형식으로 하는 3차원 데이터의 저장 형식이다.
또한, 그 외에도 카티아(catia), 3D맥스, 인베터, 캐드, 라이노, Maya, SoftImage 등의 3차원 그래픽 형식(포맷)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3차원 그래픽 포맷 데이터를 특정 포맷(예를 들어, STL 포맷) 등으로 변환하여 저장될 수 있다.
주문요청부(33)는 사용자 또는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선택에 따라 특정 3차원 콘텐츠의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이때, 주문요청부(33)는 선택된 3차원 콘텐츠에 대하여 제작할 입체물의 크기와 개수를 입력받는다.
콘텐츠 검색부(32)에서 제공되는 3차원 콘텐츠는 3차원 형상만을 제공하고 그 크기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3차원 콘텐츠의 크기가 결정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기간비용 산정부(34)는 주문된 3차원 콘텐츠를 입체물로 모두 제작할 때까지의 기간(또는 시간)을 산정한다. 3차원 콘텐츠를 3차원 프린터(60)로 인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3차원 형상의 복잡도나 크기 등에 좌우된다. 즉, 3차원 콘텐츠의 3차원 형상이 복잡하거나 필라멘트로 구성할 부분이 많으면, 그만큼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기간비용 산정부(34)는 표준크기의 3차원 콘텐츠를 입체물로 인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사전에 구해둔다. 또는 앞서 데이터베이스(40)에서 각 3차원 콘텐츠가 표준 크기일 때, 제작하는 시간을 사전에 정해놓을 수 있다. 또는 기간비용 산정부(34)는 3차원 콘텐츠의 형상의 복잡성이나 필라멘트로 구성할 부분을 계산하여, 인쇄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또는, 각 3차원 콘텐츠의 복잡도에 대하여 등급으로 구분하고, 각 등급에서 소요되는 평균적인 인쇄시간을 정해놓을 수 있다.
기간비용 산정부(34)는 선택된 3차원 콘텐츠에 대한 표준 크기에서의 인쇄시간을 가져와서(또는 산출하여), 해당 인쇄시간(이하 표준 인쇄시간)에 크기 및 개수에 비례시켜서 예상 인쇄시간을 산정한다.
또한, 기간비용 산정부(34)는 3차원 콘텐츠의 표준 부피 또는 무게를 산출한다. 이를 통해, 인쇄될 입체물에 소요되는 필라멘트의 양을 산정한다. 기간비용 산정부(34)는 표준 크기의 3차원 콘텐츠를 여러 개의 레이어로 구분하되, 이때의 레이어의 높이는 3차원 프린터에서 각 레이어의 높이와 같게 한다. 각 레이어에서 채워야하는 영역의 범위를 계산하고 각 레이어의 영역에 높이를 곱하여, 각 레이어의 부피를 구한다. 각 레이어의 부피를 합하여 3차원 콘텐츠의 전체 부피를 구한다. 구한 부피가 곧 필라멘트의 소요량으로 볼 수 있다.
즉, 다음 [수학식 1]을 이용하여, 3차원 콘텐츠의 표준 부피 또는 필라멘트의 표준 소요량 QF을 계산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i는 각 레이어의 인덱스를 표시하고, N은 레이어의 개수이고, Si는 i번째 레이어의 영역이고, △d는 레이어의 두께 또는 높이이다.
기간비용 산정부(34)는 표준 크기(표준 부피 또는 필라멘트의 표준 소요량)에, 선택된 크기와의 배율과, 개수를 곱하여 최종적인 입체물의 예상 부피 또는 필라멘트의 전체 소요량을 계산한다.
기간비용 산정부(34)는 앞서 구한 기간 및 필라멘트의 전체 소요량에 따라 입체물 제작 비용을 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쇄 기간 또는 전체 소요량에 비례하도록 인쇄 비용을 산정한다. 일정한 단계(또는 등급)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 내에 속하는 경우 동일한 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랜더링부(35)는 선택된 3차원 콘텐츠 파일(또는 STL 형식의 파일)을 3차원 프린터(60)가 읽을 수 있는 인쇄 코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3차원 콘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코드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변환 대상인 3차원 콘텐츠는 선택된 크기에 해당하는 콘텐츠이다. 인쇄코드는 G-코드 등 3차원 프린터(30)가 즉시 읽어서 익스트루더로 필라멘트를 분사하여 인쇄하는 것을 지시하는 코드이다. 즉, 랜더링부(35)는 3차원 콘텐츠 파일(또는 STL 형식의 파일)을 3차원 프린터(60)가 읽을 수 있는 인쇄 코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3차원 콘텐츠에 대응하는 인쇄 코드 파일을 생성한다.
3차원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변환하는 랜더링 작업은 3차원 그래픽을 처리하는 기술로서,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랜더링부(35)는 고성능의 컴퓨터 프로세서를 장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랜더링부(35)는 3차원 콘텐츠를 각 레이어로 구분하여 랜더링 작업을 수행한다. 그래서 랜더링부(35)는 앞서 기간비용 산정부(34)와 유사한 레이어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랜더링부(35)의 작업과, 상기 기간비용 산정부(34)와 동시에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쇄관리부(35)는 랜더링된 G-코드를 3차원 프린터(60)의 제어장치(50)로 전송하고, 3차원 프린터(60)가 전송된 인쇄코드로 인쇄하도록 제어한다. 즉, 인쇄관리부(35)는 생성된(또는 변환된) 인쇄 코드를 3차원 프린터(60)의 제어장치(50)로 전송하고, 제어장치(50)로 하여금 전송한 인쇄 코드에 대응되는 입체물을 제작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인쇄관리부(35)는 제어장치(50)로부터 3차원 프린터(60)가 입체물을 제작하는 상태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요청에 따라 3차원 프린터(60)의 진행중인 제작 상태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스마트 이동단말(10)로 전송한다. 이때, 인쇄 상태를 촬영하는 영상은 진행중인 상태를 그대로 촬영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이미지)을 전송한다.
또한, 인쇄관리부(35)는 입체물의 크기와 개수에 따라 3차원 프린터(60)에 의해 입체물이 제작할 예상 시간을 구한다. 바람직하게는, 예상 시간은 입체물의 부피 또는 필라멘트의 소요량에 비례하여 구해진다. 인쇄관리부(35)는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예상 시간을 전송한다.
또한, 인쇄관리부(36)는 입체물의 인쇄된 양과 그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앞으로 진행해야할 인쇄량 또는 예상 소요시간을 구한다.
또한, 인쇄관리부(36)는 제어장치(50)로부터 3차원 프린터(60)에서 진행중인 인쇄코드의 위치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코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인쇄되는 입체물의 인쇄 진행률(완성된 정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관리부(36)는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인쇄 진행률을 전송한다. 또한, 인쇄진행률을 이용하여 예상 시간을 추정한다.
다음으로, 결제부(37)는 선택된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입체물 제작 서비스를 구매하고 결제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결제부(37)는 선택한 3차원 콘텐츠의 입체물 제작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스마트 이동단말(10)로 청구하고, 청구된 비용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결제 방법 및 관련 장치는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스마트 이동단말 11 : 클라이언트 앱
20 : 네트워크 21 : 이동통신망
30 : 메인서버
31 : 사용자 관리부 32 : 콘텐츠 검색부
33 : 주문요청부 34 : 기간비용 산정부
35 : 랜더링부 36 : 인쇄관리부
37 : 결제부
40 : 데이터베이스 41 : 감시영역DB
42 : 카메라DB 43 : 영상DB
50 : 제어장치 60 : 3차원 프린터
70 : 카메라 시스템

Claims (7)

  1. 스마트 이동단말과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에 의해 선택된 3차원 콘텐츠를 3차원 프린터로 인쇄하여 입체물을 제작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3차원 프린터;
    상기 3차원 프린터에 인쇄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인쇄코드에 의해 입체물을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에 3차원 콘텐츠에 대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이 선택한 3차원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인쇄코드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입체물을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3차원 프린터의 동작을 촬영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을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3차원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3차원 콘텐츠에 대한 카테고리 검색 또는 키워드 검색을 제공하는 콘텐츠 검색부;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선택에 따라 인쇄할 3차원 콘텐츠인 제1 콘텐츠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되, 상기 제1 콘텐츠에 대하여 제작할 입체물의 크기와 개수를 입력받는 주문요청부;
    상기 제1 콘텐츠에 대한 인쇄시간 및 인쇄비용을 상기 제1 콘텐츠의 부피에 비례하여 산정하는 기간비용 산정부; 및,
    상기 제1 콘텐츠를 인쇄코드로 변환하여 제1 코드를 생성하는 랜더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비용 산정부는 상기 제1 콘텐츠의 표준 부피에 크기 및 개수에 비례하여 상기 제1 콘텐츠의 예상 인쇄시간 및 필라멘트의 예상 소요량을 산정하고, 상기 예상 인쇄시간 및 필라멘트의 예상 소요량을 이용하여 인쇄비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비용 산정부는 상기 3차원 콘텐츠의 표준 부피 QF를 다음 [수식 1]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수식 1]
    Figure pat00003

    단, i는 각 레이어의 인덱스를 표시하고, N은 레이어의 개수이고, Si는 i번째 레이어의 영역이고, △d는 레이어의 두께 또는 높이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관리부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3차원 프린에서 진행중인 인쇄코드의 위치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코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인쇄되는 상기 제1 콘텐츠의 입체물의 인쇄 진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콘텐츠는 STL(STereoLithography) 형식의 파일이고, 상기 인쇄코드는 G-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KR1020140168849A 2014-11-28 2014-11-28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KR101656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49A KR101656826B1 (ko) 2014-11-28 2014-11-28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849A KR101656826B1 (ko) 2014-11-28 2014-11-28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50A true KR20160065350A (ko) 2016-06-09
KR101656826B1 KR101656826B1 (ko) 2016-09-13

Family

ID=5613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849A KR101656826B1 (ko) 2014-11-28 2014-11-28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8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48A (ko) * 2018-07-11 2019-01-07 주식회사 진산테크윈 푸드 3d 프린팅 시스템
KR20200021782A (ko) * 2018-08-21 2020-03-0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3d 프린터의 제어방법
KR102165416B1 (ko) * 2019-09-17 2020-10-14 주식회사 아이엠쓰리디 3차원 프린터의 스케줄링 방법 및 3차원 프린터의 스케줄링 시스템
KR20210069855A (ko) * 2019-12-04 2021-06-14 (주)인텔리코리아 3d 프린팅을 위한 완구용 자동차 모델링 서비스 제공 방법
EP3529038B1 (de) * 2016-10-18 2024-01-17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erwendung einer kunststoff-extrusionsanlage mit mobiler nutz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unststoff-extrusionsanl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947A (ja) * 2008-04-24 2009-12-03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93951A (ko) * 2009-11-10 2012-08-23 콘버스 인크 프린터를 이용한 소매점에서의 의류 맞춤화
KR20130032339A (ko) 2013-02-15 2013-04-01 표준선 3d프린터가 입체물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컴퓨터 신호의 거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4649A (ko) 2011-10-24 2013-05-03 한호성 3차원 캐릭터 데이터를 이용한 캐릭터모형의 제조방법
KR101400875B1 (ko) * 2013-08-01 2014-06-02 김현재 3d 도면 통합 출력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102240A (ko) 2011-12-08 2014-08-21 메이커보트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네트워크 연결된 3차원 인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947A (ja) * 2008-04-24 2009-12-03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93951A (ko) * 2009-11-10 2012-08-23 콘버스 인크 프린터를 이용한 소매점에서의 의류 맞춤화
KR20130044649A (ko) 2011-10-24 2013-05-03 한호성 3차원 캐릭터 데이터를 이용한 캐릭터모형의 제조방법
KR20140102240A (ko) 2011-12-08 2014-08-21 메이커보트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네트워크 연결된 3차원 인쇄
KR20130032339A (ko) 2013-02-15 2013-04-01 표준선 3d프린터가 입체물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컴퓨터 신호의 거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1400875B1 (ko) * 2013-08-01 2014-06-02 김현재 3d 도면 통합 출력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9038B1 (de) * 2016-10-18 2024-01-17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erwendung einer kunststoff-extrusionsanlage mit mobiler nutz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unststoff-extrusionsanlage
KR20190001948A (ko) * 2018-07-11 2019-01-07 주식회사 진산테크윈 푸드 3d 프린팅 시스템
KR20200021782A (ko) * 2018-08-21 2020-03-0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3d 프린터의 제어방법
KR102165416B1 (ko) * 2019-09-17 2020-10-14 주식회사 아이엠쓰리디 3차원 프린터의 스케줄링 방법 및 3차원 프린터의 스케줄링 시스템
KR20210069855A (ko) * 2019-12-04 2021-06-14 (주)인텔리코리아 3d 프린팅을 위한 완구용 자동차 모델링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826B1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826B1 (ko) 스마트 이동단말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 기반 입체물 제작 거래 시스템
US115569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3D objects
US9836483B1 (en) Using a mobile device for coarse shape matching against cloud-based 3D model database
CN107322943B (zh) 联网三维打印
US20180001564A1 (en) Aesthetic housing
KR101711581B1 (ko) 웹 기반 주문 디자인 3d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KR101801853B1 (ko) 모바일 기반 3d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Bakirman et al. Comparison of low cost 3D structured light scanners for face modeling
JP2015507250A5 (ko)
US201601368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three dimensional printing
CN113610172A (zh) 神经网络模型训练方法和装置、传感数据融合方法和装置
CN110232707A (zh) 一种测距方法及装置
US10325402B1 (en) View-dependent texture blending in 3-D rendering
KR101547810B1 (ko) 3차원 인쇄장치를 이용한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모델링 방법
Zhang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ic 3D human head scanning-printing system
KR20160116090A (ko) 3d 프린팅 기반 제품의 판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719168B1 (ja) 教師データとしてのデプス画像にラベルを付与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CN107885468B (zh) 信息处理设备、方法和介质
KR102265191B1 (ko) 3d 프린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owicki et al. Scan π-Integration and Adaptation of Scanning and Rapid Prototyping Device Prepared for Industry 4.0
KR20170079304A (ko) 3d 도면 콘텐츠 유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987954B2 (ja) 造形システムおよび造形方法
JP2014237295A (ja) 電子機器
KR102536096B1 (ko) 학습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팅 장치
JP7414332B2 (ja) 深度マップイメージ生成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