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540A -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540A
KR20210004540A KR1020190081128A KR20190081128A KR20210004540A KR 20210004540 A KR20210004540 A KR 20210004540A KR 1020190081128 A KR1020190081128 A KR 1020190081128A KR 20190081128 A KR20190081128 A KR 20190081128A KR 20210004540 A KR20210004540 A KR 2021000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lectronic device
light emitting
cover
emitting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820B1 (ko
Inventor
박현우
박상진
이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8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발광부; 및 차광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광부가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나머지 발광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되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들 간에 빛이 확산 내지는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이 내장된 전자장치의 경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장치로는 주변기기들의 네트워크 통신을 연결하여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을 구축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또는 허브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는 전원의 연결 여부, 네트워크 통신 여부 및/또는 주변기기와의 무선 통신 여부를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미국 등록특허 제769755호, 제8421637호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의 경우, 복수 개의 발광부 간에 빛이 확산 내지는 간섭되는 빛 번짐 현상으로 인하여, 사용자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57316호는 LED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번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LED 수용부재 구성을 개시하나, 고무 재질의 특성상 LED 빛의 은은한 확산을 위해서는 별도의 확산부재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나아가 LED 발열에 따라 고무 재질의 변형 또는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5596호는 LED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통과하는 광파이프 구성을 개시하나, 광파이프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한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부들 간에 빛이 확산 내지는 간섭되는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호환성 및 양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모델 대비 변경점을 최소화한 구조를 통해 상기한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발광부; 및 차광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광부가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나머지 발광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은, 상호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소정의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산된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광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부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중 서로 인접하는 발광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이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체 및 광가이드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광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차광부가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한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복수 개의 발광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되, 커넥터에 의해 일체로서 연결됨으로써, 발광부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커넥터가 발광체로부터 광가이드로 이어지는 빛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커넥터를 통한 빛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커버에 구비되는 삽입리브에 발광부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한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한 경우에의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의 상부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도 2 등에 도시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전후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여 X축, Y축 및 Z축을 정의한다. 각 축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 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한 경우에의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의 상부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장치로서, 빛을 통해 상기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 예로써, 도 1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20)는 게이트웨이(gateway) 모듈을 구비하는 장치일 수 있고, 이와 같은 전자장치의 기능 및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액세서리(accessary, 2, 3a, 3b),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장치(20),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7) 및 허브(Hub, 1)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 3a, 3b),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장치(20), 액세스 포인트(7) 및/또는 허브(1)는 정해진 통신규약(protocol)에 따라 상호 통신이 가능하고, 이러한 통신은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세서리(2, 3a, 3b)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진동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IR: Infrared)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센서들에 의해 획득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허브(1)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역으로, 허브(1)로부터 상기 센서들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액세서리(2, 3a, 3b)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액세스 포인트(7)는 무선장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장치로써, 홈 네트워크를 인터넷과 연결한다. 가전기기(4)와, 허브(1), 액세서리(2, 3a, 3b) 등은 액세스 포인트(7)와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 또는 무선(예를 들어, 와이파이)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장치(20)는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이들 네트워크들 간의 통신을 서로 연결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 3a, 3b)로부터 수신된 지그비(또는, 지웨이브) 방식의 신호를 와이파이 방식의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액세서리(2, 3a, 3b)와 액세스 포인트(7)를 중계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장치(20)와 액세스 포인트(7)를 매개로, 허브(1)와 액세서리(2, 3a, 3b)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액세서리(2, 3b)로부터 출력된 신호(또는, 정보)가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장치(20)와 액세스 포인트(7)를 차례로 경유하여 허브(1)로 전송되며, 반대로, 허브(1)로부터 출력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7)와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장치(20)를 차례로 경유하여 액세서리(2, 3b)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액세서리(2, 3a, 3b)와 허브(1) 간의 통신은, 네트워크가 인터넷과 단절된 경우에도 가능하다.
한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7)를 통해 인터넷과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6)와 접속될 수 있다.
서버(6)는 인터넷에 접속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허브(1)나 액세서리(2, 3a, 3b)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서버(6)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서버(6)와 접속된 이동 단말기(5)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5)로부터 전송된 정보 역시 서버(6)를 경유하여 허브(1)나 액세서리(2, 3a, 3b)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 단말기(5)를 통해 허브(1)나 액세서리(2, 3a, 3b)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전자장치(20)가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할 경우에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다만, 상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의 구체적인 구성, 기능 및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게이트웨이 모듈을 구비하는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는 커버(21, 23)와, 전자부품과, 발광부와, 차광부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1, 23)는 전자장치(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1, 23)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전자부품, 발광부 및 차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21, 23)는 받침대로서 기능하는 하부커버(21)와, 하부커버(21)에 결합되는 상부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커버(21)에는 복수 개의 나사공(211, 212, 213, 214)이 형성되고, 상부커버(23)에도 복수 개의 나사공(231, 232, 233, 234)이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나사가 상기한 하부커버(21) 및 상부커버(23) 각각의 나사공에 나사체결됨으로써, 하부커버(21)와 상부커버(23)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하부커버(21)와, 상부커버(23)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부품은 커버(21, 23)의 내부에 수용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전자부품은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PCB(22)에는 상기한 게이트웨이 모듈을 포함해 복수 개의 전기소자가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기기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메인 PCB(22)에는 상기 및 후술하는 전자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processor)가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PCB(22)에는 전원 커넥터(26)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커버(21)에는 전원 커넥터(26)의 일측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홀(21b)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커넥터(26)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통해, 외부 전원이 전자장치(20)에 내장되는 구성 중 전력이 필요한 구성에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PCB(22)에는 접속 커넥터(25)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커버(21)에는 접속 커넥터(25)의 일측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커넥터(25)에 연결되는 인터넷 연결선 및 액세스 포인트(7)를 통해, 전자장치(20)가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모듈 및 액세스 포인트(7)를 매개로, 허브(1)와 액세서리(2, 3a, 3b) 상호 간의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PCB(22)에는 설정부(27)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커버(21)에는 사용자의 설정부(27)의 접근을 허용하는 홀(21c)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사용자는 홀(21c)에 노출된 설정부(27)를 조작함으로써, 전자장치(20)에 내장된 전자부품의 정보를 초기화하거나 재부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메인 PCB(22)에는 복수 개의 결합홀(221, 222, 223, 2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하부커버(21)의 나사공(211, 212, 213)에 나사체결되는 소정의 나사가, 결합홀(221, 222, 223, 224)을 관통한 후에, 상기한 상부커버(23)의 나사공(231, 232, 233, 234)에 나사체결됨으로써, 하부커버(21), 메인 PCB(22) 및 상부커버(23)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커버(21, 23)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전자장치(20)가 상기한 게이트웨이 모듈, 전원 커넥터(26), 접속 커넥터(25)를 구비할 경우, 상기 발광부는 발산되는 빛을 통해, 전자장치(20)의 외부 전원과의 연결 여부, 네트워크 통신 여부 및 소정의 주변기기와의 무선 통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장치(20)가 외부 전원과 연결된 것으로 판단될 시, 제1 발광부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장치(20)가 네트워크 통신을 중계하고 있다고 판단될 시, 제2 발광부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장치(20)가 주변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고 있다고 판단될 시, 제3 발광부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복수 개의 발광부 간에 발산되는 빛이 확산되거나 간섭되는 빛 번짐 현상이 발생될 시, 사용자는 발광부 각각을 통해 표시되는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 여부를 인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해 사용자가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은, X축 방향으로 상호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은, 발광체(22a, 22b, 22c)와, 광가이드(29a, 29b, 29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체(22a, 22b, 22c)는 +X축 방향으로, 제1, 제2 및 제3 발광체(22a, 22b, 22c)를 포함할 수 있되, 발광체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가이드(29a, 29b, 29c)도 +X축 방향으로 제1, 제2 및 제3 광가이드(29a, 29b, 29c)를 포함할 수 있되, 광가이드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체(22a, 22b, 22c)는 소정의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발광체(22a, 22b, 22c)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는 LED 인디케이터(indicator)라고 부를 수도 있다.
광가이드(29a, 29b, 29c)는 발광체(22a, 22b, 22c)의 상측에 배치되고, 발광체(22a, 22b, 22c)로부터 발산된 빛을 소정의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광가이드(29a, 29b, 29c)를 통과하는 빛은 광가이드(29a, 29b, 29c) 내부에서 확산되며 이동되므로, 사용자에게는 은은하게 발광되는 빛으로 표현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이유로 광가이드는 도광부재로 부를 수도 있다. 일 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이드(29a, 29b, 29c)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10)의 경우, 광가이드(19a, 19b, 19c)가 마운팅 플레이트(190) 상에 일렬로 설치됨으로써, 발광체(12a, 12b, 12c)로부터 발산된 빛이 마운팅 플레이트(190)를 통과한 후 광가이드(19a, 19b, 19c)로 안내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었다.
이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장치(10)는 마운팅 플레이트(190)를 매개로 발광체(12a, 12b, 12c) 각각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발광체(12a, 12b, 12c) 각각에 대향하는 광가이드(19a, 19b, 19c)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광가이드에까지 확산되어 빛이 번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예를들어 제2 발광체(12b)에서만 빛이 발산되는 경우임에도, 해당 빛이 마운팅 플레이트(190)를 매개로, 제2 광가이드(19b)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3 광가이드(19a, 19c)로까지 확산되어, 사용자가 제1 및 제3 발광부에서 빛이 발산되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달리,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는 상기한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종래기술의 마운팅 플레이트(190)를 대체하는 커넥터(290)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90)는 상호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광가이드(29a, 29b, 29c) 각각을 일체로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290)는 발광체(22a, 22b, 22c)로부터 광가이드(29a, 29b, 29c)로 이어지는 빛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발광체(22a, 22b, 22c)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커넥터(290)를 매개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90)를 통해 복수 개의 발광부의 관리를 일원화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는 서포터(291, 292, 2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291, 292, 293)는 내측면이 광가이드(29a, 29b, 29c)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포터(291, 292, 293)의 외측면에 상기한 커넥터(290)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넥터(290)는 서포터(291, 292, 293)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커넥터(290) 및 서포터(291, 292, 293)를 통해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부는 상기한 복수 개의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나머지 발광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부는 상기한 복수 개의 발광부 중 서로 인접하는 발광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이격공간(S)에 배치되는 차광리브(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이격공간(S)을 설명하면, 제1 및 제2 광가이드(29a, 29b) 사이와, 제2 및 제3 광가이드(29b, 29c) 사이에 각각 이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차광리브(28)의 두께는 0.5 ~ 1.1 mm 로 형성할 수 있다.
차광리브(28)의 폭은, 전자장치(20)가 발광체(22a, 22b, 22c) 및 광가이드(29a, 29b, 29c)의 전체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차광리브(28)는 이격공간(S)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에 배치되는 발광체 및 광가이드를, 타측 방향에 배치되는 발광체 및 광가이드와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격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에서 발산되거나 이동하는 빛은 상기한 차광리브(28)에 가로막혀 인접하는 발광부로 확산되지 않게되고, 이로써 상기한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광리브(28)는 상기한 커넥터(290) 및 서포터(291, 292, 293)와 마찬가지로 빛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써, 차광리브(28)는 제1 및 제2 광가이드(29a, 29b) 각각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발광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발광부 간의 빛 확산을 차단하는 제1 차광리브(28a)와, 제2 및 제3 광가이드(29b, 29c) 각각을 구비하는 제2 및 제3 발광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에 배치되어 제2 및 제3 발광부 간의 빛 확산을 차단하는 제2 차광리브(28b)와, 상기 제1 및 제2 차광리브(28a, 28b)의 연결을 매개하고 제1 및 제3 발광부 간의 빛 확산을 차단하는 제3 차광리브(28c)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차광리브(28)는 소정의 방향으로 절곡지게 형성되는 절곡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반사 방향을 조절해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간의 빛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차광리브(28a, 28b)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절곡부는 제1 및 제2 차광리브(28a, 28b)의 길이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제1, 제2 및 제3 발광부 간에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리브(28)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 또는 나사체결 등에 의해 상부커버(23)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ƒˆ아, 상부커버(23)는 일측에 광가이드(29a, 29b, 29c)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23a, 23b, 23c)이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29a, 29b, 29c)의 일단부는 삽입홀(23a, 23b, 23c)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가이드(29a, 29b, 29c)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부커버(23)는 상측면으로부터 하측면을 관통하며 하측 방향(즉, -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홀(23a, 23b, 23c)이 형성되는 삽입리브(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광가이드(29a, 29b, 29c) 중 상기 삽입리브에 의해 감싸지는 부분에서의 상기한 빛 번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광가이드(29a, 29b, 29c)가 삽입홀(23a, 23b, 23c)에 삽입 설치됨에 따라, 서포터(291, 292, 293)를 매개로 광가이드(29a, 29b, 29c)에 연결되는 커넥터(290)의 조립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로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절곡부 중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290)에 접촉함으로써, 차광리브(28)의 설치 위치가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범위내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전자장치 21: 하부커버
22: 메인 PCB 22a, 22b, 22c: 발광체
23: 상부커버 23a, 23b, 23c: 삽입홀
28: 차광리브 29a, 29b, 29c: 광가이드
290: 커넥터 291, 292, 293: 서포터

Claims (11)

  1.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복수 개의 전자부품;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발광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나머지 발광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은,
    상호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소정의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산된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광가이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각각을 일체로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발광체로부터 상기 광가이드로 이어지는 빛의 이동 경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내측면이 상기 광가이드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외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서포터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전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부 중 서로 인접하는 발광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이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체 및 광가이드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광리브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리브는,
    소정의 방향으로 절곡지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넥터에 접촉하는 전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리브는,
    상기 커버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전자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측에, 상기 광가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측면으로부터 하측면을 관통하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는 삽입리브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1.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게이트웨이 모듈이 탑재되는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정의 전자부품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LED 인디케이터(Light Emitting Diode indicator); 및
    상기 복수 개의 LED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 인디케이터로부터 발산된 빛이 나머지 LED 인디케이터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LED 인디케이터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LED 인디케이터는,
    전원 연결 여부, 네트워크 통신 여부 및 소정의 주변기기와의 무선 통신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KR1020190081128A 2019-07-05 2019-07-05 전자장치 KR102304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28A KR102304820B1 (ko) 2019-07-05 2019-07-05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28A KR102304820B1 (ko) 2019-07-05 2019-07-05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40A true KR20210004540A (ko) 2021-01-13
KR102304820B1 KR102304820B1 (ko) 2021-09-23

Family

ID=7414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128A KR102304820B1 (ko) 2019-07-05 2019-07-05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8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579U (ko) * 1997-07-18 1999-02-18 배순훈 전자제품용 인디케이터의 불빛번짐 방지구조
KR20010011368A (ko) * 1999-07-27 2001-02-15 윤종용 발광다이오드 인디케이터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JP2011129536A (ja) * 2011-03-08 2011-06-30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17134376A (ja) * 2016-01-29 2017-08-03 ヤマハ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導光ユニット
KR101945796B1 (ko) * 2017-11-23 2019-02-08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인몰드 전자기기 타입의 인디케이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579U (ko) * 1997-07-18 1999-02-18 배순훈 전자제품용 인디케이터의 불빛번짐 방지구조
KR20010011368A (ko) * 1999-07-27 2001-02-15 윤종용 발광다이오드 인디케이터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JP2011129536A (ja) * 2011-03-08 2011-06-30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17134376A (ja) * 2016-01-29 2017-08-03 ヤマハ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導光ユニット
KR101945796B1 (ko) * 2017-11-23 2019-02-08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인몰드 전자기기 타입의 인디케이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820B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408B1 (ko)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US8870392B2 (en) Projector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uch a projector
US83842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AC power relay and current sensors with AC wiring devices
US11076472B2 (en) Signaling lamp monitor
US11031760B2 (en) Optically linked plug-in IoT and Ai for intelligent automation
US20190372213A1 (en) Implantable instrument
KR20210004540A (ko) 전자장치
TW201545187A (zh) 開關用罩蓋及操作終端器
US11239613B2 (en) Power cord and home appliance provided with same
CN103700533B (zh) 用于家用电器的按钮开关组件
TW201603079A (zh) 開關用罩蓋及操作終端器
WO2021059710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TWI603361B (zh) 終端裝置及具有該終端裝置的遠端監測控制系統
JP2018005497A (ja) 情報発信アダプタ
US7375976B2 (en) Housing for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installing LED lamps having horizontal or vertical emitting direction therei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217283660U (zh) 一种线控器及空调
WO2021187204A1 (ja) 配線器具、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CN214474696U (zh) 旋钮式控制面板
WO2021059711A1 (ja) 無線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の提供方法
KR20210105043A (ko) 스피커 일체형 조명
JP2015073031A (ja) 電気機器
JP2019087345A (ja) タッチ式スイッチ
JP2007151278A (ja) 配線付き造作部材
JP2018125061A (ja) 電源端子台及び照明器具
JP2003090588A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