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644A - 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644A
KR20210003644A KR1020190079727A KR20190079727A KR20210003644A KR 20210003644 A KR20210003644 A KR 20210003644A KR 1020190079727 A KR1020190079727 A KR 1020190079727A KR 20190079727 A KR20190079727 A KR 20190079727A KR 20210003644 A KR20210003644 A KR 2021000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control device
service control
information
harmful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은
Original Assignee
다빈치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빈치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빈치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644A/en
Publication of KR2021000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6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urious animal monitoring system which recognizes and monitors an injurious animal damaging farms including livestock farms, and effectively alerts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urious animal monitoring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monitoring devices detecting an injurious animal and providing detection information to a service control device; a service control device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injurious animal based on moni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providing determination information for a user located in a hazardous area of the injurious animal; and a service terminal alerting the user to riskiness of the injurious animal in conjunction with the service control device.

Description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Pest animal monitoring system {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축산 농가를 포함하는 농가에 피해를 주는 유해 동물을 인식 및 감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경보해 주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that recognizes and monitors harmful animals that cause damage to farms, including livestock farms, and efficiently alerts them.

현재 유해동물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유해동물이라 함은 주로 쥐 등의 설치류와 진드기, 모기, 바퀴벌레 등의 곤충과 같이 주로 전염병을 옮기는 동물이나 곤충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해동물이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 또는 과수에 피해를 주는 참새, 까치, 어치, 직박구리, 까마귀 등과, 국부적으로 서식밀도가 과밀하여 농, 림, 수산업에 피해를 주는 꿩, 고라니, 맷돼지, 두더지 등, 전주 등 전력시설에 피해를 주는 까치 등, 국부적으로 과밀하게 서식하여 분변 및 털 날림 등으로 문화재 훼손이나 건물 부식 등 재산상 또는 생활상 피해를 주는 집비둘기 등을 포함하는 야생동물 또는 유해 야생동물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이해되고 있다.Currently, harmful animals are a big social problem. The term harmful animals has been used as a term to refer to animals or insects that mainly carr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rodents such as rats and insects such as ticks, mosquitoes, and cockroaches. However, in recent years, harmful animals form a herd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using damage to crops or fruit trees, such as sparrows, magpies, jaws, straight-headed copper, crows, etc. Wild animals or remains, including pigeons, which damage cultural properties or damage to property or life such as building erosion due to local overcrowding, such as wild pigs, moles, magpies that damage power facilities such as electric poles, etc. It is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wild animals.

유해동물에 대한 대책과 관련해서는 등록특허 10-1975477호(명칭: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등록특허 10-1937597호(명칭: 유해동물 퇴치용 드론 및 그 비행 방법), 등록특허 10-1505410호(명칭: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등록특허 10-1501767(명칭: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등록특허 10-1936306호(명칭: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및 등록특허 10-1911312호(명칭: 감지된 소리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초지향성 스피커를 구비한 유해동물 퇴치기 및 방법) 등에 개시되어 있다.Regarding countermeasures against harmful animals, Patent Registration No. 10-1975477 (name: combat method using IoT intelligent harmful animals and bird control devices using IoT deep learning cameras and drones), Registration Patent No. 10-1937597 (name: Harmful Drone for combating animals and its flight method), Registration Patent No. 10-1505410 (name: ultrasonic generator for combating harmful animals), Registration Patent 10-1501767 (name: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Registration Patent No. 10-1936306 ( Name: harmful animal control equipmen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animals using the same)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911312 (name: a method and a method for eradicating harmful animals having a super-directional speaker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a sensed sound).

그러나 종래의 장치나 방법들은 대규모의 고가의 시스템이 요구되고, 그에 비해 얻어지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However, conventional devices and methods have a problem that a large-scale and expensive system is required, and the effect obtained is limited.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서 효과적으로 유해동물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has a technical object to provide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that can effectively cope with harmful animals over a wide area with a simple 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은 유해 동물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서비스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장치와,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감시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위치를 판정하고, 유해 동물의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에 대해 상기 판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장치 및, 서비스 제어장치와 연동하여 이용자에게 유해 동물의 위험성을 경보해 주는 서비스 단말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detects a harmful animal and provide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a service control device, and based 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a harmful animal A service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the location of and provides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to users located in a hazardous area of harmful animals, and a service terminal that alerts users to the danger of harmful animals in connection with the service control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서비스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 경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ecutes a harmful animal aler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terminal.

또한, 상기 시스템에서 이용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어장치에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이용자가 등록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 경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ystem, the user registers his/he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control device, and the service control device executes a harmful animal aler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또한, 상기 감시장치는 열화상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감시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열화상을 근거로 유해 동물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is configured with a thermal image input means, and the service control device determines a harmful animal based on a thermal image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또한, 상기 감시장치는 실화상 입력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서비스 단말기에 대해 열화상 또는 실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al image input device, and the service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thermal image or real image information to the service terminal.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2개 이상의 감시장치로부터의 감시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harmful animal is determined based on monitoring information from two or more monitoring devices.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감시장치로부터의 감시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이동 경로 및 이동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이 이동 경로 및 시간 정보를 근거로 이용자에게 대해 위험 예측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the movement path and movement time information of the harmful animal based 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provides risk predi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movement path and time information. do.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이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에 대응하여 위험 정보 및 위험 예측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유해 동물에 의한 이용자의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risk information and risk predic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service user is loc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user's risk due to harmful anim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감시장치(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1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은 유해 동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1: 1-1, 1-2. …, 1-n)를 구비한다. 감지장치(1)는 예컨대 송전탑이나 전신주 등과 같이 고도가 높은 위치에 바람직하게 설치된다. 감지장치(1)는 일정한 시야각을 갖고 관할 범위 내의 영상을 촬상한다. 또한,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감지장치(1)는 촬상 영상 중에 유해 동물로 의심되는 피사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감지장치(1)는 바람직하게 다른 감지장치(1)와 서로 시야각이 중첩되도록 배치 및 설치된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detection device (1: 1-1, 1-2...., 1-n) for detecting a harmful animal. The sensing device 1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high altitude position, such as a power transmission tower or a telephone pole. The sensing device 1 has a certain viewing angle and captures an image within a jurisdiction. 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ing device 1 generates a warning signal to warn when a subject suspected of being a harmful animal exists in the captured image. The sensing device 1 is preferably arranged and installed so that the viewing angles overlap with the other sensing devices 1.

감지장치(1)는 예컨대 LAN이나 와이브로(WiBro) 등의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서 서비스 제어장치(3)에 결합된다, 서비스 제어장치(3)는 본 시스템 전체를 제어 및 관리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서비스 제어장치(3)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감지장치(1)들에 대한 위치 정보와,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는 바람직하게 감지 대상의 유해 동물에 대한 판별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판별정보에는 유해 동물의 화상 정보, 음성 정보 또는 이동 특성 정보 등 유해 동물을 판별하는데 유용한 일체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장치(3)는 감시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로부터 유해 동물의 위험성 여부를 판정하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 이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The sensing device 1 is coupled to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via a communication network 2 such as a LAN or WiBro, for example.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controls and manages the entire system.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includes a database. The database store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ing device 1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service users. Further, the database preferably stores discrimination information on harmful animals to be detected. At this time, the discrimin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useful for discriminating harmful animals, such as imag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movement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harmful animal.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us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1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risk, and provides appropriate information to service users based on this.

서비스 제어장치(3)에는 예컨대 와이브로(WiBro)나 모바일 네트워크 등의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서 다수의 서비스 단말기(5: 5-1, 5-2. …, 5-n)가 연결된다. 서비스 단말기(5)는 서비스 이용자가 본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서비스 단말기(5)로서는 단순히 서비스 이용자의 옥내 등에 설치되어 서비스 제어장치(3)로부터의 경보 신호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에게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단말기(5)로서는 스마트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용 단말기가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단말기(5)로서 스마트 폰을 채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A plurality of service terminals 5: 5-1, 5-2. ..., 5-n are connected to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4 such as a WiBro or a mobile network. The service terminal 5 is for service users to use the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As the service terminal 5, an alarm device that is simply installed indoors of the service user and outputs an alarm sound to the service user in accordance with an alarm signal from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may be employed. In addition, as the service terminal 5,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by a user, such as a smart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may be preferably employed. Hereinafter, a case of employing a smart phone as the service terminal 5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서비스 단말기(3)에는 이른 바 앱 또는 어플이라고 칭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즉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ient program)이 설치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서비스 제어장치(3)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다른 적절한 수단, 예컨대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등을 통해 적절하게 설치하게 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단말기(5)에 대해 서비스 제어장치(3)에 대한 접속 기능, 회원등록 및 인증기능, 서비스 위치 등록기능, 서비스 실행 기능 및 멀티미디어 정보의 출력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들 기능들을 적절하게 사용 및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In the service terminal 3, an application called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that is, a client program, is installed. The application will be downloaded by the user from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or installed appropriately through other suitable means, such as the App Store or Google Play. The application provides the service terminal 5 with a connection function to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 member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function, a service location registration function, a service execution function and an output function of multimedia information, and the user can appropriate these functions. It provides a user interface function for easy use and selection.

도 2는 감시장치(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감시장치(1)는 열화상 입력부(11)와 실화상 입력부(12)를 구비한다. 열화상 입력부(11)는 다수의 적외선 센서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는 피사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열화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실화상 입력부(12)는 이미지 센서나 일반적인 영상 카메라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는 피사체로부터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가시광선을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실영상 데이터를 제공한다. 열화상 입력부(11)와 실화상 입력부(12)의 촬상 영상 정보는 제어부(13)로 제공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1. The monitoring device 1 includes a thermal image input unit 11 and a real image input unit 12. The thermal image input unit 11 is configured with a thermal imaging camera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or combinations thereof. This detects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subject and provides thermal image data corresponding thereto. The real image input unit 12 is configured with an image sensor or a general image camera. This detects visible light emitted or reflected from the subject and provides real image data corresponding thereto.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thermal image input unit 11 and the real image input unit 12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3.

제어부(13)는 서비스 제어장치(3)와 연동하고 감시장치(1)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13)는 열화상 입력부(11)로부터 제공되는 열화상 정보를 근거로 피사체의 온도 정보를 추출하고, 촬상 정보 중 유해 동물의 체온 범위에 들어가는 온도를 갖는 피사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서비스 제어장치(3)에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어장치(3)의 요청에 따라 열화상 정보 또는 실화상 정보를 서비스 제어장치(3)로 제공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영상 정보를 압축하여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3 interlocks with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nd controls the entire monitoring device 1. The control unit 13 extract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hermal image input unit 11, and controls the service when a subject having a temperature that falls within the body temperature range of a harmful animal exists among the imaging information. Provides to the device (3). In addition, thermal image information or real imag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t the request of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t this time, video information is compressed and transmitted as necessary.

상기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열화상 입력부(11)와 실화상 입력부(12)는 동일한 해상도의 것을 채용한다, 이들 양 입력부(11, 12)의 해상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제어부(13)는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양 화상데이터, 즉 열화상 데이터와 실화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일치되도록 데이터 변화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제어부(13)는 화상처리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화상처리수단은 바람직하게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열화상 데이터와 실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일치시키는 것은 필요에 따라 열화상 속의 물체와 실화상 속의 물체를 용이하게 동기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는 서비스 제어장치(3)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preferably, the thermal image input unit 11 and the real image input unit 12 employ the same resolution.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solution of both input units 11 and 12, the control unit 13 By processing the image data, data chang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resolutions of both image data, that is, thermal image data and real image data, are matched. And for this, the control unit 13 may be provided with an image processing means. The image processing means is preferably comprised of a program. Matching the resolution of the thermal image data and the real image data is for easily synchronizing the object in the thermal image and the object in the real image, if necessary. And this process can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by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도면에서, 데이터 송수신부(14)는 감시장치(1)와 서비스 제어장치(3)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원부(15)는 감시장치(1)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부(15)로서는 배터리나 태양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감시장치(1)가 송전탑이나 전신주 등에 설치되는 경우, 전원부(15)로서는 송전 선로에서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감시장치(1)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4 is f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monitoring device 1 and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nd the power supply unit 15 is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monitoring device (1). As the power supply unit 15, a battery or a solar cell may be employed. Also. When the monitoring device 1 is installed in a power transmission tower or a telephone pole, the power supply unit 15 may preferably employ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from a transmission line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monitoring device 1.

또한, 상기 감시장치(1)에는 필요에 따라 해당 장치의 주변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생성하는 마이크로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어부(13)는 서비스 제어장치(3)의 요청에 따라 그 음성 신호를 서비스 제어장치(3)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어장치(3)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유해 동물의 인식에 활용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1 may be provided with a microphone or the like that inputs a peripheral voice signal of the device and generates it as an electric signal, if necessary. An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nd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uses the received voice signal for recognition of a harmful animal. Will be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비스 이용자가 본 유해 동물 감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단말기(5)의 어플을 실행한 후 서비스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가 선택 가능한 서비스 모드에는 거주지 감시 모드와 활동지 감시 모드가 포함된다. 이용자는 거주지 감시 모드와 활동지 감시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거나 양 모드 모두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hen the service user wants to use the harmful animal monitoring service, the service mode is selected after running the application of the service terminal 5. At this time, the service mode selectable by the user includes a residential area monitoring mode and an active area monitoring mode. The user can selectively execute the residential monitoring mode and the active area monitoring mode, or both modes can be executed simultaneously.

거주지 감시 모드는 이용자가 자신의 거주지에 유해 동물이 출몰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용자가 거주지 감시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플을 이용하여 거주지 감시 모드를 선택하고, 서비스 제어장치(3)의 안내에 따라 자신의 거주지 주소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어플을 통해 서비스를 활성화 함으로써 거주지 감시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The residence monitoring mode is for the user to monitor the appearance of harmful animals in his/her residence. In order for a user to monitor a residence, first select a residence monitoring mode using an application, and input his/her residence address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nd when the user activates the service through the application, the residence monitoring mode is executed.

활동지 감시 모드는 이용자가 산행을 하는 등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 자신의 주변에 유해 동물이 접근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용자가 거주지 감시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플을 이용하여 거주지 감시 모드를 선택한 후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 하게 된다. 활동지 감시 모드에서는 서비스 단말기(5)는 일정 시간 마다 서비스 제어장치(3)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어장치(5)는 해당 위치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 감시를 실행하게 된다,The active site monitoring mode is for monitoring the approach of harmful animals around the user when the user engages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hiking. In order for users to monitor their residence, they first select the residence monitoring mode using the app and then activate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e active site monitoring mode, the service terminal 5 provid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every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rvice control device 5 executes the monitoring of harmful animal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2에서 감시장치(1)는 열화상 입력부(11)를 통해 촬상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물이 존재하는 지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화상 입력부(11)에는 적외선 센서가 구비된다. 적외선 센서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파장을 검출하고, 적외선 파장의 강도 등을 근거로 피사체의 열화상을 생성한다. 유해 동물이 열화상 입력부(11)에 의해 촬상된다면 그 유해 동물의 체온에 근거한 형상정보가 적절한 화상정보로서 표시될 것이다. 제어부(13)는 우선적으로 열화상 입력부(11)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의 계조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물을 판정하고, 그 판정신호와 함께 대상물의 열화상 정보를 서비스 제어장치(3)로 전송한다.In FIG. 2, the monitoring device 1 detects whether an object that may be a harmful animal exists based 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and input through the thermal image input unit 11. As described above, the infrared sensor is provided in the thermal image input unit 11. The infrared sensor detects the infrared wavelength emitted from the object, and generates a thermal image of the object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wavelength. If a harmful animal is captured by the thermal image input unit 11, shape information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armful animal will be displayed as appropriate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3 first determines an object that may be a harmful animal based on the gray level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thermal image input unit 11, and transmits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of the object together with the determination signal. 3).

서비스 제어장치(3)는 감시장치(1)로부터 판정신호가 수신되면, 그로부터의 열화상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 피사체가 유해 동물인 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이때 서비스 제어장치(3)는 대상물의 판정을 위해 감시장치(1)로 음성정보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장치(3)는 대상물이 유해 동물인 것으로 판정되면 그 유해 동물의 위치 정보를 판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시장치(1)는 인접하는 다른 감시장치(1)들과 일정한 중첩된 범위를 감시하게 된다. 서비스 제어장치(3)는 바람직하게 다수의 감시장치(1)에서의 촬상정보를 이용하여 유해 동물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하게 된다. 서비스 제어장치(3)는 유해 동물의 위치 판정이 종료되면 위험지역에 존재하는 이용자에게 경보를 실행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는 서비스 단말기(5)를 조작하여 서비스 제어장치(3)로 유해 동물의 영상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장치(3)는 이용자가 유해 동물의 실화상 또는 열화상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이를 근거로 해당 영상 정보의 전송을 감시장치(1)로 요청하고. 감시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서비스 단말기(5)로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눈으로 유해 동물의 종류 및 위치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When a determin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1,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searches a database based on thermal image information therefrom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is a harmful animal.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may request transmission of voice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 in order to determine an obj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is a harmful animal,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armful animal. As described above, the monitoring device 1 monitors a certain overlapped range with other monitoring devices 1 adjacent thereto.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preferably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harmful animal relatively accurately using the image pickup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monitoring devices 1.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location of the harmful animal is finished,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issues an alert to the user existing in the danger area. At this time, the user can manipulate the service terminal 5 to request image information of the harmful animal from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When a user requests real or thermal image information of a harmful animal,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requests transmission of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 based on this. By providing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1 to the service terminal 5,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type and location of harmful animals and their own loca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서 서비스 제어장치(3)는 감시장치(1)로부터의 감시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이동 정보와 시간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근거로 이용자에게 위험 예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control device 3 accumulates movement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harmful animals based 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device 1, and provides risk predi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is. Can provid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감시장치, 2, 4: 통신 네트워크,
3: 서비스 제어장치, 5: 서비스 단말기,
11: 열화상 입력장치, 12: 실화상 입력장치,
13: 제어부, 14: 데이터 송수신부,
15: 전원부.
1: monitoring device, 2, 4: communication network,
3: service control device, 5: service terminal,
11: thermal image input device, 12: real image input device,
13: control unit, 14: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 Power unit.

Claims (7)

유해 동물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서비스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다수의 감시장치와,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감시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위치를 판정하고, 유해 동물의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 이용자에 대해 상기 판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장치 및,
서비스 제어장치와 연동하여 이용자에게 유해 동물의 위험성을 경보해 주는 서비스 단말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A number of monitoring devices that detect harmful animals and provide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a service control device,
A service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the location of a harmful animal based 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provides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to a user located in a danger area of the harmful animal; and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service terminal interlocking with a service control device to alert a user of the danger of a harmful anim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서비스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 경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control device is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executing a harmful animal aler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어장치에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이용자가 등록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 경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registers his/her location information in a service control device, and the service control device executes a harmful animal aler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열화상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감시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열화상을 근거로 유해 동물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nitoring device is configured with a thermal image input means,
The service control device is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the harmful animal based on the thermal image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실화상 입력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서비스 단말기에 대해 열화상 또는 실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r 4,
The monitoring devic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al image input device,
The service control device is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thermal image or real image information to the servic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2개 이상의 감시장치로부터의 감시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위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control device is a harmful animal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harmful animal is determined based on monitoring information from two or more monitoring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는 감시장치로부터의 감시 정보를 근거로 유해 동물의 이동 경로 및 이동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이 이동 경로 및 시간 정보를 근거로 이용자에게 대해 위험 예측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ice control device generates the movement path and movement time information of the harmful animal based 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d provides risk predi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movement path and time information. Animal surveillance system.
KR1020190079727A 2019-07-02 2019-07-02 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 KR202100036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27A KR20210003644A (en) 2019-07-02 2019-07-02 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27A KR20210003644A (en) 2019-07-02 2019-07-02 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44A true KR20210003644A (en) 2021-01-12

Family

ID=7412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727A KR20210003644A (en) 2019-07-02 2019-07-02 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36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134B1 (en) Wild animals extermination system
US11039607B2 (en) Machine for capturing, counting and monitoring insects
KR101740714B1 (en) Apparatus for prohibiting steeling corp produce and repelling animals of farm and the method thereof
KR101986222B1 (en) Vermin Prevention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with Sound Detection
KR101378071B1 (en) Farms and artificial fish bank anti-thief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204288415U (en) Intelligent early-warning firefighting robot
US8248473B2 (en) Robotic sentry with low dispersion acoustic projector
US20160277688A1 (en) Low-light trail camera
US20190246623A1 (en) Pest deterrent system
JP4586182B2 (en) Self-sustaining operation control system
KR1015017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armful animals
TW201805906A (en) Security system having unmanned aircrafts
JP6625786B2 (en) Anomaly detection system, anomaly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002966B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Birth and Breeding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Network Clustering Device
KR20210003644A (en) Injurious animals monitoring system
KR20150080070A (en) The wildlife automatic chase system of energy saving mode, mounted with the solar energy generation
KR20210064979A (en) Scare Away Noxious Birds and Wild Animals for The Crops
CN208460141U (en) Forbidden zone intrusion alarm system
AU2020103507A4 (en) System and method for crop protection from animals using smart sensors
KR100688243B1 (en) System for capturing wild animal using by remote control
JP2018029626A (en) Animal disposing method, and animal disposing apparatus
JP7005026B2 (en) Object recognition device
JP7300958B2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119251B1 (en)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 POLE USING IoT SENSOR AND OPERATING METHOD OF IoT SENSOR
KR102092061B1 (en) Animal pes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