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031A - 그라인더 및 그라인더 유닛 - Google Patents

그라인더 및 그라인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031A
KR20210003031A KR1020190124721A KR20190124721A KR20210003031A KR 20210003031 A KR20210003031 A KR 20210003031A KR 1020190124721 A KR1020190124721 A KR 1020190124721A KR 20190124721 A KR20190124721 A KR 20190124721A KR 20210003031 A KR20210003031 A KR 20210003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er
attachment
mill
squar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453B1 (ko
Inventor
스기야마 유키
Original Assignee
하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6Driving mechanisms; Coupling to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6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mechan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수동식의 밀을 이용해 전동으로 식품을 가는 경우에 있어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그라인더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그라인더(1)는 원두커피, 찻잎, 향신료 등의 식품을 수동으로 갈 수 있는 수동식 각형 밀(22)의 회전축(27)에 장착 가능한 연결부(4)와 연결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부(4)와 모터(18)는 본체부(2)에 일체로 설치된다. 그로 인해, 그라인더(1)를 수동식 각형 밀(22)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핸들(26)을 분리하고 연결부(4)의 오목부에 회전축(27)을 삽입하면 완료되므로, 수동식 밀을 이용하여 전동으로 식품을 가는 경우에 있어서, 그라인더(1)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인더{GRINDER}
본 발명은 원두커피, 찻잎, 향신료 등의 식품을 수동 커피 콩과 찻잎, 향신료 등의 식품을 수동으로 갈 수 있는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원두커피, 찻잎, 향신료 등의 식품(이하, '식품'이라 함)을 수동으로 갈 수 있는 수동식 밀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러한 수동식 밀은 핸들을 갖추고 있으며, 핸들을 조작하여 식품을 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밀은 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동식 밀의 사용자가 피로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러더 체인을 측면에 고정한 원반을 수동식 밀에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공보 2). 이로 인해, 원반의 측면에 고정된 러더 체인에 동력을 가지는 톱니가 맞물림으로써, 수동식 밀을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84678호
특허문헌 2: 일본 특개공보 2009-082676호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수동식 밀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원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수동식 밀에 체결된 브라켓을 분리한 후, 핸들을 분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수동식 밀에 대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원반을 끼운 후에 조임쇠로 원반을 고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톱니를 러더 체인에 맞물리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동식 밀을 이용하여 식품을 전동으로 갈 수 있을 때까지 설치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수동식 밀을 사용하여 식품을 전동으로 가는 경우에 있어서, 설치가 간단한 그라이더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84678호 특허문헌 2: 일본 특개공보 2009-082676호
본 발명은 관련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동식 밀을 사용하여 식품을 전동으로 가는 경우에 설치가 간단한 그라인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라인더는 식품을 수동으로 갈 수 있는 수동식 밀의 핸들에 장착되는 회전축에 장착 가능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와 구동부가 상호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그라인더는, 식품을 수동으로 가는 수동식 밀의 핸들에 부착되는 회전축에 장착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와 구동부는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그라인더는, 구동 조작을 감지하는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조작의 검출이 시작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구동 조작의 검출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그라인더는, 상기 그라인더 및 상기 수동식 밀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어태치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수동식 밀의 형상이 제1형상인 경우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제1어태치먼트 및/또는 상기 수동식 밀의 형상이 제2형상인 경우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제2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그라인더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연결부에 장착 가능한 변경 어태치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어태치먼트는, 상기 회전축의 크기와 상기 연결부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사용되는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 및/또는 상기 회전축의 형상과 상기 연결부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사용되는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식 밀을 이용하여 식품을 전동으로 가는 경우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그라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그라인더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설치 고정 어태치먼트의 외관도이다.
도 3은 그라인더의 블록도이다.
도 4는 그라인더의 메인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그라인더의 제1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그라인더의 제2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그라인더의 제3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변경 어태치먼트의 외관도이다.
도 9는 변경 어태치먼트의 부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라인더(1))
우선, 도 1을 참고하여, 그라인더(1)의 외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의 (A)는 그라인더(1)의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그라인더(1)의 상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1)는 본체부(2), 구동 버튼(3), 연결부(4), 표시부(5) 및 삽입구(6) 및 덮개(7)을 포함한다.
(본체부(2))
본체부(2)는 그라인더(1)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2)의 내부에는 각종 부재가 수납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후술한다.
(구동버튼(3))
구동버튼(3)은 본체부(2)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구동버튼(3)은 연결부(4)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조작을 접수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구동 조작"은 구동버튼(3)을 누르는 조작을 말한다.
(연결부(4))
연결부(4)는 본체부(2)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연결부(4)에 후술하는 회전축(27)이 삽입됨으로써, 감합된다.
(표시부(5))
표시부(5)는 구동버튼(3)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5)는 후술하는 배터리(20)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5)가 점등 및 소등 가능한 「3」개의 LED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등된 LED의 수로 배터리(20)의 잔량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20)의 잔량이 「1/3」 미만일 경우에는, LED가 「1」개가 점등된다. 또한, 배터리(20)의 전원이 「1/3」이상이고, 「2/3」 미만인 경우에는 LED가 「2」개가 점등된다. 그리고, 배터리(20)의 전원이 「2/3」이상인 경우에는 LED가 「3」개가 점등된다.
(삽입구(6))
삽입구(6)는 본체부(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6)는 그라인더(1)를 충전하기 위한 미도시된 충전 케이블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그라인더(1)가 삽입구(6)에 충전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면, 후술하는 배터리(20)의 잔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라도 그라인더(1)를 사용할 수 있다.
(덮개(7))
덮개(7)는 삽입구(6)의 위쪽으로 설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충전 케이블을 삽입하지 않을 경우에는 삽입구(6)을 폐쇄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라인더(1)를 설치 고정하는 고정 어태치먼트)
다음으로, 도 2을 참고하면, 그라인더(1)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장착 고정 어태치먼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는 각형 어태치먼트(8)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2의 (C) 및 도 2의 (D)에는 원형 어태치먼트(9)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각형 고정 어태치먼트」의 일 예로서, 각형 밀(22)에 장착 고정되는 각형 어태치먼트(8)와 후술하는 원형 밀(24)에 고정되는 원형 밀(24)에 장착 고정되는 원형 어태치먼트(9)에 대해 설명한다.
(각형 어태치먼트(8))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 어태치먼트(8)는 그라인더(1)와 후술하는 각형 밀(22)을 장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중공으로 마련된다. 또한, 각형 어태치먼트(8)는 그라인더(1)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그라인더 고정부(10)와 후술하는 각형 밀(22)에 장착 고정되기 위한 각형 밀 고정부(11)을 포함한다.
(원형 어태치먼트(9))
도 2의 (C) 및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어태치먼트(8)는 그라인더(1)와 후술하는 원형 밀(24)을 장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공으로 마련된다. 또한, 원형 어태치먼트(9)는 그라인더(1)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그라인더 고정부(10)와 후술하는 원형 밀(24)에 장착 고정되기 위한 원형 밀 고정부(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원형 어태치먼트(9)는 그라인더(1)와 후술하는 원형 밀(24)이 장착 고정된 경우, 그라인더(1)의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되면 그라인더(1)의 원형 밀(24)이 회전되고, 원형 밀(24)이 굴러 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밀 고정부(12)에 그라인더(1)의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된 경우, 원형 밀(24)이 굴러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리브(13)가 복수개 마련된다. 여기서, 리브(13)는 원형 밀 고정부(12)의 외주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라인더(1)의 블록도)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그라인더(1)의 블록도를 설명한다.
그라인더(1)는 제어부(14), 모터(18), 구동 스위치(19), 배터리(20) 및 충전 스위치(21)를 포함한다.
(제어부(14))
제어부(14)는 그라인더(1)의 제어를 위해 마련된다. 또한, 제어부(14)는 CPU(15), ROM(16) 및 RAM(17)을 포함한다.
(CPU(15))
CPU(15)는 ROM(16)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고 소정의 연산 처리를 통해 표시부(5)나 모터(18)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CPU(15)는 구동 스위치(19) 또는 충전 스위치(21)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신호에 대응한 처리를 수행한다.
(ROM(16))
ROM(16)은 CPU(15)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또는 표시부(5)나 모터(18)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해 설치된다.
(RAM(17))
RAM(17)은 CPU(15)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결정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모터(18))
모터(18)는 본체부(2)의 내부에 마련되며, 연결부(4)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모터(18)는 제어부(14)의 신호가 입력되는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된다.
(구동 스위치(19))
구동 스위치(19)는 구동 버튼(3)에 대한 구동 조작을 검출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또한, 구동 스위치(19)는 구동 버튼(3)에 대한 구동 조작을 검출한 경우, 제어부(4)에 대해서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배터리(20))
배터리(20)는 삽입구(6)에 미도시된 충전 케이블이 삽입됨으로써 충전된다. 또한, 배터리(20)는 그라인더(1)의 전원으로써, 기능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20)는 반복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다.
(충전 스위치(21))
충전 스위치(21)는 삽입구(6)에 미도시된 충전 케이블이 삽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충전 스위치(21)는 삽입구(6)에 미도시된 충전 케이블이 삽입된 것을 검출한 경우, 제어부(14)에 대해서 충전 스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그라인더(1)의 메인 처리)
이하, 도 4를 참고하면, 그라인더(1)의 메인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
스텝 S1에서 CPU(15)는 충전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미도시된 충전 케이블이 삽입구(6)에 삽입되어 충전 스위치(21)로부터 충전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 처리한다. 그리고, 충전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됐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YES), 스텝 S2에 처리를 이행한다. 한편, 충전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NO), 스텝 S4에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2)
스텝 S2에서 CPU(15)는 충전 처리를 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배터리(20)의 충전을 실시한다. 그리고, 스텝 S2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3에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3)
스텝 S3에서 CPU(15)는 충전 잔량 표시 처리를 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표시부(5)에 대해서 배터리(20)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스텝 S3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4에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4)
스텝 S4에서 CPU(15)는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구동 버튼(3)에 의해 구동 조작이 입력되고, 구동 스위치(19)에서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됐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4=YES), 스텝 S5에 처리를 이행한다. 한편,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4=NO), 스텝 S1에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5)
스텝 S5에서 CPU(15)는 충전 잔량 표시 처리를 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스텝 S3의 충전 잔량 표시 처리와 마찬가지로, 표시부(5)에 배터리(20)의 잔량을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스텝 S5의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 S6에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6)
스텝 S6에서 CPU(15)는 모터의 구동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모터(18)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모터(18)는 소정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구동됨으로써, 연결부(4)를 회전 구동한다. 그리고, 스텝 S6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7에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7)
스텝 S7에서 CPU(15)는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의 비입력 여부를 판정하여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구동 스위치(19)에서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된 경우(스텝 S4=YES)에서 구동 버튼(3)의 구동 조작이 끝나고 구동 스위치(19)에서 입력된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비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비 입력이 되었다고 판정될 경우에는(스텝 S7=YES), 스텝 S8에 처리를 이행한다. 한편,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비 입력이 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7=NO), 스텝 S5에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8)
스텝 S8에서 CPU(15)는 모터를 정지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모터(18)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를 한다. 여기서, 모터(18)에 소정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모터(18)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연결부(4)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스텝 S8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9에 처리를 이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4)는 구동 버튼(3)에 대한 구동 조작이 이루어짐으로써, 회전 구동되는 구동 버튼(3)에 대한 구동 조작이 완료되면, 회전 구동이 정지하게 된다. 그로 인해, 구동 버튼(3)에 대한 구동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부(4)의 회전 구동하여 수동식 밀이 굴러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9)
스텝 S9에서 CPU(15)는 충전 잔량 비표시 처리를 한다. 구체적으로, CPU(15)는 표시부(5)에 표시되는 배터리(20)의 잔량을 숨기는 처리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15)는 「3」개의 LED를 모두 소등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그리고, 스텝 S9의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 S1에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CPU(15)는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비 입력이 된 경우(스텝 S7=YES)에 충전 잔량 숨김 처리(스텝 S9)보다 먼저 모터 정지 처리(스텝 S8)를 실시한다. 이는,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비 입력된 경우(스텝 S7=YES)에 모터 정지 처리(스텝 S8)를 즉시 실행함으로써, 수동식 밀이 굴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라인더(1)의 제1설치예)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그라인더(1)의 제1설치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5의 (A) 내지 도 5의 (B)는 각형 밀(22)에 대해서 그라인더(1)를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각형 밀(22)은 원두, 찻잎, 향신료 등의 식품(이하에서는 "식품"으로 지칭함)을 수동으로 빻기가 가능하며, 상부가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다. 또한, 각형 밀(22)은 각형 어태치먼트(8)가 장착된 부분인 각형 장착부(23), 각형 밀(22)의 이용자 조작 핸들(26) 및, 핸들(26)이 장착되는 회전축(27)을 포함한다.
우선, 도 5의 (A)의 도시와 같이, 각형 밀(22)의 회전축(27)에 설치된 핸들(26)을 분리한다. 여기서, 핸들(26)이 도시되지 않은 조임 브라켓에 의해 체결된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조임 브라켓을 분리한 다음에 핸들(26)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5의 (B)의 도시와 같이, 그라인더(1)를 각형 밀(22)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각형 밀(22)의 회전축(27)을 그라인더(1)의 연결부(4)의 오목부에 대응하도록 삽입함으로써, 그라인더(1)를 각형 밀(22)에 장착한다.
그리고, 각형 밀(22)에 대해서 그라인더(1)가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 버튼(3)에 대한 구동 조작이 이루어지면 모터(18)가 구동됨에 따라,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된다. 이로 인해,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된 회전축(27)이 회전함으로써, 각형 밀(22)이 세팅된 식품을 갈 수 있다.
또한, 그라인더(1)의 제1설치예에서는 각형 밀(22)로부터 핸들(26)을 분리하여 각형 밀(22)의 회전축(27)을 그라인더(1)의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하면 설치가 완료됨에 따라, 수동식 각형 밀(22)을 이용하여 식품을 전동으로 가는 경우에 있어서 설치가 쉽다.
(그라인더(1)의 제2설치예)
이하에서는, 도 6을 이용하여 그라인더(1)의 제2설치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각형 밀(22)에 대해서 그라인더(1)를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의 (D) 내지 도 6의 (F)는 원형 밀(24)에 대해서 그라인더(1)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형 밀(22)에 대해서 그라인더(1)를 설치예)
우선,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를 참고하여, 각형 밀(22)에 대한 그라인더(1)가 설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 밀(22)의 회전축(27)에 설치된 핸들(26)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 밀(22)에 각형 어태치먼트(8)을 장착하고, 각형 어태치먼트(8)를 각형 밀(22)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각형 밀(22)의 각형 장착부(23)에 대해 각형 어태치먼트(8)의 각형 밀 고정부(11)를 위쪽에서부터 맞물리도록 삽입함으로써, 각형 어태치먼트(8)를 각형 밀(22)에 장착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1)를 각형 어태치먼트(8)에 장착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그라인더 고정부(10)에 대해 그라인더(1)를 위쪽에서부터 맞물리도록 삽입함으로써, 그라인더(1)를 각형 아태치먼트(8)에 장착 고정한다. 이때, 각형 밀(22)의 회전축(27)은 그라인더(1)의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맞물린다.
그리고, 그라인더(1)와 각형 밀(22)이 각형 어태치먼트(8)에 장착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 버튼(3)의 구동 조작이 이루어지면 모터(18)가 구동됨으로써,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된다. 이로 인해, 연결부(4)에 삽입된 회전축(27)이 회전됨으로써, 각형 밀(22)에 세팅된 식품을 갈을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원형 밀(24)에 대한 그라인더(1)의 설치예)
이하에서는, 도 6의 (D) 내지 도 6의 (F)를 참고하여, 원형 밀(24)에 대한 그라인더(1)의 설치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원형 밀(24)은 식품을 수동으로 갈 수 있으며, 상부가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진다. 또한, 원형 밀(24)은 원형 어태치먼트(9)가 부착되는 부분인 원형 장착부(25), 원형 밀(24)의 이용자의 조작을 위한 핸들(26) 및 핸들(26)이 장착되는 회전축(27)을 포함한다.
우선,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밀(24)의 회전축(27)에 설치된 핸들(26)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어태치먼트(9)를 원형 밀(24)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원형 밀(24)의 원형 장착부(25)에 대해서, 원형 어태치먼트(9)의 원형 밀 고정부(12)를 위쪽에서부터 맞물리도록 삽입함으로써, 원형 어태치먼트(9)를 원형 밀(24)에 장착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1)를 원형 어태치먼트(9)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그라인더 고정부(10)에 대해 그라인더(1)를 위쪽에서부터 맞물리도록 삽입함으로써, 그라인더(1)를 원형 어태치먼트(9)에 장착 고정한다. 이때, 원형 밀(24)의 회전축(27)은 그라인더(1)의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맞물리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그라인더(1)의 원형 밀(24)이 원형 어태치먼트(9)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 버튼(3)의 구동 조작이 이루어지면 모터(18)가 구동됨으로써,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된다. 이로 인해, 연결부(4)에 삽입된 회전축(27)이 회전됨으로써, 원형 밀(24)에 세팅된 식품을 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동식 밀은 각형 밀(22), 원형 밀(24)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형 어태치먼트나 원형 어태치먼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수동식 밀에 장착 고정될 수 있음으로, 장착 고정 어태치먼트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라인더(1)의 제3설치예)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그라인더(1)의 제3설치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7의 (A) 내지 도 7의 (C)는 각형 밀(22)에 그라인더(1)를 설치하는 제3설치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우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 밀(22)의 회전축(27)에 설치된 핸들(26)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7의 (B)의 도시와 같이, 그라인더(1)를 각형 어태치먼트(8)에 장착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각형 어태치먼트(8)의 그라인더 고정부(10)에 대해서 그라인더(1)를 상부부터 맞물리도록 삽입함으로써, 그라인더(1)를 각형 어태치먼트(8)에 장착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1)가 장착 고정된 각형 어태치먼트(8)를 각형 밀(22)에 장착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그라인더(1)가 장착 고정된 각형 어태치먼트(8)의 각형 밀 고정부(11)를 각형 밀(22)의 각형 장착부(23)에 대해 상부부터 맞물리도록 삽입함으로써, 각형 어태치먼트(8)를 각형 밀(22)에 장착 고정한다. 이때, 각형 밀(22)의 회전축(27)은 그라인더(1)의 연결부(4)에 삽입됨으로써, 맞물리게 된다.
또한, 도 7에서는 각형 밀(22)에 대해 그라인더(1)의 설치예로 설명하였지만, 원형 밀(24)에 대해 그라인더(1)를 설치할 경우에도 같은 순서로 실시할 수 있다.
(변경 어태치먼트)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변경 어태치먼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A) 내지 도 8의 (B)는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의 (C) 내지 도 8의 (D)는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8)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변경 어태치먼트」의 일 예로써, 연결부(4)의 오목부의 사이즈와 회전축(27)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이용되는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 및 연결부(4)의 오목부의 형상과 회전축(27)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이용되는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에 대해 설명한다.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
도 8의 (A) 내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는 접속부(4)의 오목부의 사이즈(예를 들면, 내부 길이(D) 및 폭(W))과 회전축(27)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는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삽입축(30)과 연결부(4)의 오목부의 크기와는 다른 사이즈의 회전축(27)이 삽입되는 크기 변경용 삽입공(31)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삽입축(30)의 사이즈는 연결부(4)의 오목부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다. 이로 인해, 삽입축(30)은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맞물리게 된다.
한편, 크기 변경용 삽입공(31)의 사이즈는 연결부(4)의 오목부의 크기와는 다른 사이즈의 회전축(27)의 사이즈와 거의 동일하다. 이로 인해, 연결부(4)의 오목부의 크기와는 다른 사이즈의 회전축(27)은 크기 변경용 삽입공(31)에 삽입됨으로써,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연결부(4)의 오목부 사이즈가 회전축(27)과 거의 동일한 경우, 회전축(27)은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맞물림으로써, 구동 버튼(3)의 구동 조작에 의해, 회전축(27)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부(4)의 오목부 사이즈와 회전축(27)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 그라인더(1)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연결부(4)의 오목부의 폭(W)이 「3」mm인 경우, 회전축(27)의 폭(W)이 「3」mm보다 큰 경우(예를 들면, 「4」mm)에는 연결부(4)의 오목부에 회전축(27)을 삽입하지 못함으로써, 그라인더(1)를 이용할 수 없다.
한편, 회전축(27)의 폭(W)이 「3」mm보다 작을 경우(예를 들면, 「2」mm)에서는 연결부(4)의 오목부에 회전축(27)을 삽입할 수는 있지만, 회전축(27)과 연결부(4)의 오목부가 상호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구동 버튼(3)의 구동 조작에도 회전축(27)이 회전되지 않아 그라인더(1)를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그라인더(1)는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를 설치하는 것으로, 회전축(27)의 사이즈와 연결부(4)의 오목부의 크기가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그라인더(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
도 8의 (C) 내지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는 연결부(4)의 오목부의 형상과 회전축(27)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는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삽입축(30) 및 연결부(4)의 오목부의 형상과 다른 형상의 회전축(27)이 삽입되는 형상 변경용 삽입공(32)을 구비한다.
여기서, 형상 변경용 삽입공(32)의 사이즈는 회전축(27)의 사이즈가 거의 동일하다. 이에 의해, 회전축(27)은 형상 변경용 삽입공(32)에 삽입됨으로써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연결부(4)의 오목부 형상과 회전축(27)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는 연결부(4)의 오목부에 회전축(27)을 삽입할 수 없으므로, 그라인더(1)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연결부(4)의 오목부의 형상이 육각형임에 대해, 회전축(27)의 형상이 도 8의 (D)와 같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연결부(4)의 오목부에 회전축(27)을 삽입할 수 없다.
이 문제에 대해서, 그라인더(1)는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를 설치하는 것으로, 회전축(27)의 형상과 연결부(4)의 오목부의 형상이 다른 경우라도 사용할 수 있어, 그라인더(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경 어태치먼트의 설치예)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변경 어태치먼트의 장착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A) 내지 도 9의 (C)를 참고하여 크기를 변경 어태치먼트(28)의 장착 상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우선,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1)에 대해서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는 그라인더(1)의 연결부(4) 오목부로 삽입축(30)을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6)이 분리된 각형 밀(22)에 대해, 각형 어태치먼트(8)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각형 밀(22)의 각형 장착부(23)에 대해 각형 어태치먼트(8)의 각형 밀 고정부(11)을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핸들(26)이 분리된 각형 밀(22)에 대해 각형 어태치먼트(8)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9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가 설치된 그라인더(1)를 각형 어태치먼트(8)가 설치된 각형 밀(22)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가 설치된 그라인더(1)를 각형 어태치먼트(8)의 그라인더 고정부(10)의 상부에 장착한다. 이때,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의 크기 변경용 삽입공(31)에 회전축(27)이 삽입됨으로써, 맞물리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의 (D) 내지 도 9의 (F)를 참고하여,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의 장착 상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우선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1)에 대해서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는 그라인더(1)의 연결부(4)의 오목부에 삽입축(30)을 삽입함으로써,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9의(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6)이 분리된 각형 밀(22)에 각형 어태치먼트(8)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각형 밀(22)의 각형 장착부(23)에 대해서, 각형 어태치먼트(8)의 각형 밀 고정부(11)를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핸들(26)이 분리된 각형 밀(22)에 각형 어태치먼트(8)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9의 (F)의 도시와 같이,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가 설치된 그라인더(1)를 각형 어태치먼트(8)가 설치된 각형 밀(22)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가 설치된 그라인더(1)를 각형 어태치먼트(8)의 그라인더 고정부(10)의 상부에 장착한다. 이때,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의 형상 변경용 삽입공(32)에 회전축(27)이 삽입됨으로써, 맞물리게 된다.
(기타 실시예)
이하에서는, 그 외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구동 조작」은 구동 버튼(3)을 누르는 것을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버튼(3)을 자동식으로 하고 구동 버튼(3)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을 구동 조작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항상 구동 버튼(3)을 조작하고 있지 않아도,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되므로, 그라인더(1)가 사용하기 쉽다.
또한, 연결부(4)의 회전 구동 속도는 변경 가능함이 좋다. 예를 들면, 연결부(4)의 회전 속도를 조정 가능한 회전 속도 조절부를 갖추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연결부(4)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회전 속도 조절 조작을 검출하는 회전 속도 조절 조작 검출부와, 회전 속도 조절 조작 검출부의 회전 속도 조절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연결부(4)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를 실시하는 회전 속도 조정 제어부를 갖출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부(4)의 회전 속도를 이용자의 희망에 맞는 속도로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그라인더(1)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부(5)에 대해서, 배터리(20)의 잔량 뿐만 아니라, 그라인더(1)의 사용이 가능한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20)의 잔량에 의해, 그라인더(1)의 사용 가능한 시간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연산부에 의한 연산 결과를 토대로 그라인더(1)의 사용 가능 시간을 표시부(5)에 표시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그라인더(1)에 따르면, 식품을 수동으로 분쇄하는 각형 밀(22)의 회전축(27)에 장착 가능한 연결부(4) 및, 연결부(4)를 회전 돌리는 모터(18)가 본체부(2)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로 인해, 그라인더(1)를 수동식 각형 밀(22)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핸들(26)을 분리하고, 연결부(4)의 오목부에 회전축(27)을 삽입하여 완료됨으로써, 수동식 밀을 이용하여 전동으로 식품을 분쇄하는 경우에 설치가 간단한 그라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그라인더(1)에 따르면 구동 버튼(3)이 조작되면, 구동 스위치(19)가 ON되어(스텝 S4=YES), 모터 구동 처리(스텝 S6)에 의해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 버튼(3)의 조작이 끝나면, 구동 스위치(19)가 OFF되어(스텝 S7=YES), 모터 정지 처리(스텝 S8)에 의한 연결부(4)의 회전 구동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기존 수동식 밀을 이용하여 식품을 전동을 분쇄하는 경우, 구동 버튼(3)의 조작을 행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연결부(4)가 회전 구동되어 수동식 밀이 굴러 넘어짐과 같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인더(1)에 따르면, 그라인더(1) 및 각형 밀(22)에 장착 고정되어, 수동식 밀의 형상이 각형인 경우에 장착 고정되는 각형 어태치먼트(8)와, 수동식 밀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장착 고정되는 원형 어태치먼트(9)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라인더(1)와 수동식 밀을 상호 장착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식품 분쇄시의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인더(1)에 의하면, 회전축(27)의 사이즈와 연결부(4)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이용되는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와, 회전축(27)의 형상과 연결부(4)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이용되는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27)의 사이즈와 연결부(4)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나, 회전축(27)의 형상과 연결부(4)의 형상이 다른 경우라도, 그라인더(1)를 이용할 수 있어 그라인더(1)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은 식품(예를 들면, 원두, 찻잎, 향신료)를 수동으로 분쇄한다. 수동식 밀(예컨대 각형 밀(22), 원형 밀(24))의 핸들(예를 들면, 핸들 (26))에 장착되는 회전축(예를 들면 회전축(27))에 설치 가능한 연결부(예를 들면, 연결부(4))와 상기 연결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예를 들면, 모터(18))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구동부가 일체로 마련된(예를 들면, 연결부(4)와 모터(18)가 본 체부(2)에 대해서 일체로 마련되는 것)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구동 조작(예를 들어, 구동 버튼(3)을 누르는 조작)을 검출하는 구동 버튼(예를 들어, 구동 버튼(3))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조작의 검출이 시작된 경우(예를 들면, 스텝 S4의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 구동을 시작하고(예를 들면, 스텝 S6의 모터 구동 처리), 상기 구동 조작 검출이 종료된 경우(예를 들면, 스텝 S7의 구동 스위치 검출 신호가 비입력이 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 구동을 정지(예를 들면, 스텝 S8의 모터 정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그라인더이다.
(청구항 3에 관련된 발명)
청구항 3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그라인더 및 수동식 밀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어태치먼트(예컨대, 각형 어태치먼트(8), 원형 어태치먼트(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수동식 밀의 형상이 제1형상(예컨대, 각형)인 경우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제1어태치먼트(예컨대, 각형 어태치먼트(8)) 및/또는 상기 수동식 밀의 형상이 제2형상(예컨대 원형)인 경우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제2어태치먼트(예를 들면, 원형 어태치먼트(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또는 청구항 2에 기재의 그라인더이다.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은, 상기 회전축 및 연결부에 장착 가능한 변경 어태치먼트(예컨대,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어태치먼트는 상기 회전축의 크기와 상기 연결부의 크기가 다른 경우(예를 들면, 연결부(4)의 폭(W)이 「3」mm이고 회전축(27)의 폭(W)이 「4」mm인 경우)에 사용되는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예컨대,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28)) 및/또는 상기 회전축의 형상과 상기 연결부의 형상이 다른 경우(예를 들면, 연결부(4)의 형상이 육각형이고 회전축(27)의 형상이 사각형의 경우)에 쓰이는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예를 들면,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그라인더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나타낸 실시 형태는, 그 목적 및 구성 등에 모순이나 문제가 없는 한, 서로의 기재 내용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도면의 기재 내용은 각각 독립된 실시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 도면을 조합한 하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그라인더
2: 본체부
3: 구동버튼
4: 연결부
5: 표시부
6: 삽입구
7: 덮개
8: 각형 어태치먼트
9: 원형 어태치먼트
10: 그라인더 고정부
11: 각형 밀 고정부
12: 원형 밀 고정부
13: 리브
14: 제어부
15: CPU
16: ROM
17: RAM
18: 모터
19: 구동 스위치
20: 배터리
21: 충전 스위치
22: 각형 밀
23: 각형 장착부
24: 원형 밀
25: 원형 장착부
26: 핸들
27: 회전축
28: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
29: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
30: 삽입축
31: 크기 변경용 삽입공
32: 형상 변경용 삽입공

Claims (5)

  1. 식품을 수동으로 가는 수동식 밀의 핸들에 부착되는 회전축에 장착 가능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와 구동부는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조작을 감지하는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조작의 검출이 시작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구동 조작의 검출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및 상기 수동식 밀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어태치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수동식 밀의 형상이 제1형상인 경우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제1어태치먼트 및/또는 상기 수동식 밀의 형상이 제2형상인 경우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제2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연결부에 장착 가능한 변경 어태치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어태치먼트는,
    상기 회전축의 크기와 상기 연결부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사용되는 크기 변경 어태치먼트 및/또는 상기 회전축의 형상과 상기 연결부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사용되는 형상 변경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그라인더와 식품을 수동을 가는 수동식 밀을 포함하는 그라인더 유닛에서,
    상기 수동식 밀은,
    상기 식품을 수동을 가는 조작을 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을 장착 가능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핸들 대신에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유닛.
KR1020190124721A 2019-07-01 2019-10-08 그라인더 및 그라인더 유닛 KR102257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2930 2019-07-01
JP2019122930A JP6864716B2 (ja) 2019-07-01 2019-07-01 グラインダ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031A true KR20210003031A (ko) 2021-01-11
KR102257453B1 KR102257453B1 (ko) 2021-05-31

Family

ID=6806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721A KR102257453B1 (ko) 2019-07-01 2019-10-08 그라인더 및 그라인더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82462B2 (ko)
EP (1) EP3628199B1 (ko)
JP (1) JP6864716B2 (ko)
KR (1) KR102257453B1 (ko)
TW (1) TWI716144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676A (ko) 2008-01-28 2009-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Tsi 및 이중 패터닝 공정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JP3184678U (ja) 2013-04-25 2013-07-11 Hario株式会社 卓上用手動式コーヒーグラインダー
KR20150040487A (ko) * 2013-10-07 2015-04-15 김진복 원두커피 수동 분쇄기(핸드밀)를 전동 분쇄기로 변환하는 장치
KR101692236B1 (ko) * 2015-06-29 2017-01-03 이진수 핸드 블렌더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58717A (en) * 1948-06-16 1951-10-10 Johannes Schwarz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liances for domestic use in the preparation of food
JPH0671080U (ja) 1993-03-17 1994-10-04 有限会社ノベルティ 動力工具のビット保持用アダプタ
US5872413A (en) * 1997-04-24 1999-02-16 Magliari; Salvatore Pedal activated motor attachment for a hand operated food grinder
US20040195412A1 (en) 2003-04-07 2004-10-07 Heng-Te Yang Grinder set for pepper grains, spices, coffee beans or the like
JP2009082676A (ja) 2007-10-01 2009-04-23 Ryusuke Hosokawa 手挽コーヒーミル取り付けギヤ
JP5756152B2 (ja) * 2013-08-22 2015-07-29 彌太郎 岩冨 ミル装置
WO2018021604A1 (ko) * 2016-07-29 2018-02-01 이진수 핸드 블렌더
US10328562B2 (en) * 2016-12-23 2019-06-25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Handheld kitchen appliance assembly
TWM559692U (zh) 2017-07-29 2018-05-11 Liu Qing Hai 可攜式咖啡研磨與沖泡裝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676A (ko) 2008-01-28 2009-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Tsi 및 이중 패터닝 공정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JP3184678U (ja) 2013-04-25 2013-07-11 Hario株式会社 卓上用手動式コーヒーグラインダー
KR20150040487A (ko) * 2013-10-07 2015-04-15 김진복 원두커피 수동 분쇄기(핸드밀)를 전동 분쇄기로 변환하는 장치
KR101692236B1 (ko) * 2015-06-29 2017-01-03 이진수 핸드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8199A1 (en) 2020-04-01
US20210000297A1 (en) 2021-01-07
EP3628199C0 (en) 2024-01-31
TW202102173A (zh) 2021-01-16
JP2021007634A (ja) 2021-01-28
JP6864716B2 (ja) 2021-04-28
US11382462B2 (en) 2022-07-12
TWI716144B (zh) 2021-01-11
KR102257453B1 (ko) 2021-05-31
EP3628199B1 (en)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088B1 (en) Food grinder with automatic hopper cover and tooless disassembly
EP3424387B1 (en) Vacuum cleaner
USD695067S1 (en) Adjustable grinder
US20160354905A1 (en) Power tools with user-selectable operational modes
ES2719231T3 (es) Método para aplicar torque y sistema eléctrico de sujeción de torque
US9101251B1 (en) Multifunction handy dryer
KR102257453B1 (ko) 그라인더 및 그라인더 유닛
EP3132892A2 (en) Multi-sander kit
EP2047781A1 (en) Pepper mill
US9939025B2 (en) Manual or electric grain mill
KR101729005B1 (ko) 구동모터를 이용한 배부식 예초기
JP2007014522A (ja) フードプロセッサー
EP3302882A1 (en) Power tools with user-selectable operational modes
CN107000177A (zh) 具有伸缩式输出轴的动力工具
WO2018021604A1 (ko) 핸드 블렌더
JP5824787B2 (ja) 電動耕耘機
KR200442460Y1 (ko) 이동식 판매 부스
KR20170033818A (ko) 결합되는 조리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믹서기
USD568123S1 (en) Logging tool
US5872413A (en) Pedal activated motor attachment for a hand operated food grinder
KR20120043510A (ko) 인공지능형 전동캐리어가방 및 그 구동방법
JP5641623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CN212307619U (zh) 一种用于咖啡研磨机的保护结构
KR200496521Y1 (ko) 모터 제어용 스위치
CN208561305U (zh) 一种有线线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