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428U - 차량용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428U
KR20210002428U KR2020200001388U KR20200001388U KR20210002428U KR 20210002428 U KR20210002428 U KR 20210002428U KR 2020200001388 U KR2020200001388 U KR 2020200001388U KR 20200001388 U KR20200001388 U KR 20200001388U KR 20210002428 U KR20210002428 U KR 202100024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shift
vehicle
elastic part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1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428U/ko
Publication of KR20210002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3Cams or detent arrays for guiding and providing f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 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변속 조작부; 진퇴 방향으로 수용 홈이 형성되는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불릿; 및 상기 변속 조작부의 조작 시, 상기 불릿과 접촉되는 접촉면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불릿이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하는 디턴트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불릿은, 상기 변속 조작부의 조작 시, 상기 수용 홈을 따라 이동되는 바디; 및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Automotive transmission}
본 고안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변속 조작 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변속 장치의 변속 모드로는 운전자가 기어비를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장치와 운전자가 주행 모드 선택시에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기어비가 바뀌는 자동 변속 장치가 있다.
또한, 하나의 변속 장치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포츠 모드 변속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스포츠 모드 변속 장치는 원칙적으로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변속 장치는 운전자의 적절한 변속 조작을 유도하고, 변속 조작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불릿과 디턴트 그루브가 구비되며, 불릿은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변속 조작 시 디턴트 그루브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면서 운전자의 변속 조작 시 조작감이 제공되도록 하게 된다.
불릿은 디턴트 그루브와 접촉되는 면의 프로파일에 따라 수용 홈 내를 이동하면서 조작감이 제공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불릿과 수용 홈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불릿의 유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불릿과 수용 홈 사이의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71454호(2015.11.24. 공고)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불릿과 불릿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 홈 사이의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변속 조작부; 진퇴 방향으로 수용 홈이 형성되는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불릿; 및 상기 변속 조작부의 조작 시, 상기 불릿과 접촉되는 접촉면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불릿이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하는 디턴트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불릿은, 상기 수용 홈을 따라 이동되는 바디; 및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진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단부 각각이 상기 진퇴 방향으로 상기 불릿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과 이격되는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바디와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불릿의 중심선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와 상기 불릿의 중심선 사이의 간격이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진퇴 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에는,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개구부의 마주보는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마주보는 양측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전단부가 상기 디턴트 그루브에 접촉되고, 후단부에 상기 불릿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제1 반경을 가지는 제1 격벽부와 상기 제1 반경에 비하여 큰 제2 반경을 가지는 제2 격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불릿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의 일단이 위치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불릿의 진퇴 시 상기 불릿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삽입부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제2 격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마주보는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마주보는 양측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속 조작부가 설치되는 변속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속 조작부 및 상기 변속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디턴트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디턴트 그루브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용 변속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불릿에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구비하고, 불릿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 홈에 의해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불릿과 수용 홈 사이의 유격이 보상될 수 있기 때문에 불릿의 유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하우징이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릿 및 디턴트 그루브가 도시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릿이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릿이 도시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릿 및 수용부의 크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릿이 수용부에 삽입된 경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가 도시된 개략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변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하우징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변속 조작부(100), 불릿(200), 및 디턴트 그루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변속 장치(1)가 콘솔 박스와 센터페시아 사이에 설치되는 플로어 타입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컬럼에 설치되는 컬럼 타입인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변속 조작부(100)는 변속 하우징(4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도록 변속 하우징(400)과 조립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변속 조작부(100)를 조작하여 복수의 변속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변속 조작부(100)를 잡고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하는 다이얼 타입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가 변속 조작부(100)를 잡고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하는 조이스틱 타입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변속 조작부(100)의 조작에 의해 R, N, D단의 선택이 가능하고, 변속 조작부(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R, N, D단의 순서 또는 그 역순으로 변속단이 선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속 조작부(100)에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변속단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변속단은 별도로 구비되는 버튼이나 스위치 등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이때, 변속 조작부(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변속 조작부(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의 ECU는 위치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변속 신호를 변속기로 전달하여 변속 조작부(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위치 감지부는 홀 센서 등을 통해 변속 조작부(100)의 조작 시 위치가 변화되는 마그넷에 의한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변속 조작부(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 감지부는 기계식, 전기식, 자기식 또는 광학식 센서를 통해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변속 조작부(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변속 조작부(100)는 운전자에 의해 외부 힘이 가해지기 이전에는 초기 위치를 유지하고, 외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 초기 위치로부터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변속 조작부(100)의 초기 위치를 NULL단이라 칭하기로 하며, 변속 조작부(100)는 외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 NULL단으로부터 복수의 변속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회전되고,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 다시 NULL단으로 복귀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NULL단은 변속 조작부(100)의 복귀되기 바로 이전에 선택된 변속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 조작부(100)는 NULL단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 각도에 따라 Nd, D단의 순서로 변속단이 선택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NULL단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 각도에 따라 Nr, R단의 순서로 변속단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Nd 및 Nr단은 N단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변속 조작부(100)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되어 변속 조작부(100)가 NULL단으로 복귀된 상태에서 전술한 변속단 선택 순서에 따라 변속단이 선택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운전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변속 조작부(1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D단이 선택된 이후, 외부 힘이 제거되어 변속 조작부(100)가 NULL단으로 복귀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변속 조작부(100)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Nr 및 R단의 순서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변속 조작부(1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R단이 선택된 이후, 외부 힘이 제거되어 변속 조작부(100)가 NULL단으로 복귀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변속 조작부(100)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Nd 및 D단의 순서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Nd 및 D단의 선택을 위한 변속 조작부(100)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되 그 회전 각도가 다른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Nr 및 R단의 선택을 위한 변속 조작부(100)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되 그 회전 각도가 다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변속 조작부(100)가 조립되는 변속 하우징(400)은 변속 조작부(100)의 조작 시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하는 변속 기능, 소정 변속단에서 변속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다른 변속단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시프트 록 기능,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 P단이 자동 선택되도록 하는 기능 등과 같이 변속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한 각종 구성 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변속 하우징(400)에는 변속 조작부(100)가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변속 조작부(100)의 삽입 홈(110)에 삽입되는 샤프트(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변속 하우징(400)은 차량의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하여 콘솔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변속 조작을 위하여 변속 조작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차량 내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불릿(200)은 수용부(500)에 형성되는 수용 홈(510) 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5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수용 홈(510)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불릿(200)은 후술할 디턴트 그루브(300)에 의해 수용 홈(510)을 따라 진퇴(전진 또는 후퇴)되어 변속 조작부(100)의 조작 시 조작감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불릿(200)이 전진한다는 것은 수용부(500)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많아지도록 수용 홈(510)을 따라 이동되고, 불릿(200)이 후퇴한다는 것은 수용부(500)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적어지도록 수용 홈(510)을 따라 이동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턴트 그루브(300)는 불릿(200)과 접촉되는 면의 프로파일에 따라 불릿(200)이 수용 홈(510)을 따라 진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300)는 NULL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 홈(310)이 형성되고, 변속 조작부(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삽입 홈(310)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제1 접촉면(321)과 제2 접촉면(322)이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면(321)는 변속 조작부(100)가 NULL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불릿(200)과 접촉되는 면이고, 제2 접촉면(322)은 변속 조작부(100)가 NULL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불릿(200)과 접촉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접촉면(321) 및 제2 접촉면(322)은 삽입 홈(310)으로부터 연장되는 단부로 갈수록 탄성 부재(520)의 탄성 변형율을 증가시켜 탄성 복원력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변속 조작부(100)가 NULL단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 변속 조작부(100)가 탄성 변형율이 가장 작은 NULL단으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접촉면(321) 및 제2 접촉면(322) 각각은 삽입 홈(310)과 단부 사이에 탄성 부재(520)의 탄성 복원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321a, 32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321a, 322a)는 변속 조작부(100)의 회전에 의해 변속단이 선택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접촉면(321) 및 제2 접촉면(322)에 각각 1개의 단차부(321a, 322a)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변속 조작부(100)가 NULL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각각 2개의 변속단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속 조작부(100)의 회전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변속단에 따라 단차부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 조작부(1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접촉면(321)의 단차부(321a)는 Nd단이 선택되는 위치로서, 운전자가 D단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블릿(200)이 제1 접촉면(321)의 단차부(321a)를 넘어가도록 추가적으로 힘을 더 가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변속 조작부(1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접촉면(322)의 단차부(322a)는 Nr단이 선택되는 위치로서, 운전자가 R단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블릿(200)이 제2 접촉면(322)의 단차부(322a)를 넘어가도록 추가적으로 힘을 더 가해야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릿(200)이 디턴트 그루브(300)와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경우, 도 6과 같이 디턴트 그루브(300)에서 불릿(200)의 전단부(200a)와 접촉되는 면의 프로파일에 따라 탄성 부재(520)의 탄성 변형율이 달라질 수 있게 되고, 운전자는 탄성 부재(520)의 탄성 변형율에 따른 복원력 이상의 힘을 가하여 변속 조작부(10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탄성 변형율이 달라지는 경우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힘도 달라지게 되어 조작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디턴트 그루브(300)가 삽입 홈(310)으로부터 양측 단부로 갈수록 탄성 부재(520)이 탄성 변형율이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 변속 조작부(100)가 NULL단으로 복귀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턴트 그루브(300)에서 불릿(200)이 접촉되는 면은 변속 조작부(100)가 변속 조작부(100)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되는 시점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변속 조작부(100)는 외부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도 각 변속단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변속 하우징(400)의 상측에 변속 조작부(100)가 조립되기 때문에 불릿(200)이 삽입되는 수용부(500)가 변속 하우징(4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고, 디턴트 그루브(300)가 변속 조작부(10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디턴트 그루브(300) 및 수용부(500)가 서로 마주볼 수 있다면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500)가 변속 하우징(4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수용 홈(510)은 불릿(200)이 삽입되는 개구 홀(510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변속 조작부(100)이 조립 시 불릿(200)을 수용 홈(510)에 위치시키기 용이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변속 하우징(400)에 변속 조작부(100)를 조립하는 경우, 수용부(500)의 수용 홈(510)에 불릿(200)를 위치시키는 것만으로도 불릿(200)의 가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릿(200)을 가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나 부재 등이 요구되지 않아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수용 홈(510)은 불릿(20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조 공차 등으로 인하여 불릿(200)과 수용 홈(510)의 내측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 불릿(200)의 유동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변속 조작부(100)의 조작 시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불릿(200)이 수용 홈(510)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여 불릿(200)과 수용 홈(510)의 내측면 사이의 발생되는 유격이 보상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릿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릿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불릿(200)은 수용 홈(510)을 따라 이동하는 바디(210) 및 수용 홈(510)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바디(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220)가 불릿(200)의 둘레를 따라 대략 120도마다 형성되도록 3개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불릿(200)와 수용 홈(510)의 내측면 사이의 유격이 보상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220) 중 어느 하나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나머지 탄성부도 형성 위치에서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불릿(200)의 전단부(200a)에 해당하는 바디(210)의 전단부는 디턴트 그루브(300)와 접촉되도록 위치하게 되고, 후단부가 수용 홈(510) 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520)에 탄성 지지되어 변속 조작부(100)의 조작 시 디턴트 그루브(300)에서 불릿(200)이 접촉되는 면의 프로파일에 따라 수용 홈(510) 내에서 진퇴될 수 있다.
바디(210)는 후단부에 불릿(200)의 진퇴 방향에 나란하게 불릿(20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제1 격벽부(211)와 제2 격벽부(2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격벽부(211)와 제2 격벽부(2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탄성 부재(520)의 일단이 위치되는 삽입부(21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바디(210)가 탄성 부재(5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210)는 수용 홈(510)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511)의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가이드 홈(214)이 형성되어 불릿(200)의 전퇴 시 이동 방향이 안내될 수 있으며, 제1 격벽부(211)는 가이드 홈(214)과 삽입부(213)가 구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탄성부(220)는 불릿(200)의 진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단부가 불릿(200)의 중심선(C)과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바디(210)에 연결되는 탄성부(220)의 일단부(221)와 불릿(200)의 중심선(C) 사이의 간격(d1)에 비하여 바디(210)와 분리되는 탄성부(220)의 타단부(222)와 불릿(200)의 중심선(C) 사이의 간격(d2)이 더 길도록 형성되어 불릿(200)이 수용 홈(510) 내에 삽입될 때 탄성부(200)의 타단부(222)가 수용 홈(510)의 내측면에 불릿(200)의 중심선(C)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탄성부(220)의 일단부(221)와 불릿(200)의 중심선(C) 사이의 간격(d1)에 비하여 탄성부(200)의 타단부(222)와 불릿(200)의 중심선(C) 사이의 간격(d2)이 크다는 것은 도 10과 같이 탄성부(220)의 타단부(222)와 불릿(200)의 중심선(C) 사이의 간격(d2)이 수용 홈(510)이 반경(r)에 비하여 크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불릿(200)이 수용 홈(510)에 삽입되는 경우 도 11과 같이 탄성부(220)의 타단부(222)가 수용 홈(510)의 내측면에 의해 힘을 받아 불릿(200)의 중심선(C)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되는 것이다.
이때, 도 11에서 점선은 탄성 변형 이전의 탄성부(220)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용 홈(510)의 내측면에 의해 탄성부(220)가 탄성 변형된 이후와의 비교를 위하여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부(220)의 타단부(222)가 수용 홈(510)의 내측면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경우, 그에 따라 발생되는 복원력이 수용 홈(510)의 내측면에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불릿(200)과 수용 홈(510) 사이의 유격으로 인하여 불릿(200)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릿(200)과 수용 홈(510)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 등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2 격벽부(212)에 탄성부(2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개구부(212a)가 형성되고, 개구부(212a)의 마주보는 양측 중 어느 하나에 탄성부(220)의 일단부(221)가 일체로 연결되고, 탄성부(220)의 타단부(222)가 개구부(212a)의 마주보는 양측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탄성부(220)의 타단부(222)에 수용 홈(510)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돌출 돌기(222a)가 형성되어 탄성부(220)의 일단부(221)에 비하여 타단부(222)가 불릿(200)의 중심선(C)과 이격되는 간격이 더 길어지게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220)는 바디(210)에 연결되는 일단부(221)로부터 타단부(222)로 갈수록 불릿(200)의 중심선(C)과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탄성부(220)가 불릿(200)의 진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디(210)에 연결되는 탄성부(220)의 일단부(221)에 비하여 타단부(222)가 불릿(200)의 중심선(C)과 이격되는 간격이 더 길다면 탄성부(220)의 형성 방향은 불릿(200)의 진퇴 방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구부(212a)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불릿(200)의 유동 발생으로 인한 소음이나 진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불릿(200)에 일체로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220)를 형성하여 불릿(200)과 수용 홈(510)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이 보상되도록 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화되고, 설치 공간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어 불릿(200)의 진퇴 방향으로의 설치 공간에 제약을 적게 받아 설계의 자유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불릿(200)와 수용 홈(510) 사이의 유격이 보상되도록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는 경우 추가되는 부재로 인하여 수용 홈(510)의 길이가 더 길어질 필요가 있는 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블릿(200)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용 홈(51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변속 조작부
200: 불릿
210: 바디
211: 제1 격벽부
212: 제2 격벽부
212a: 개구부
213: 삽입부
214: 가이드 홈
220: 탄성부
300: 디턴트 그루브
400: 변속 하우징
410: 샤프트
500: 수용부
510: 수용 홈
511: 가이드 리브
520: 탄성 부재

Claims (12)

  1. 변속 조작부;
    진퇴 방향으로 수용 홈이 형성되는 수용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불릿; 및
    상기 변속 조작부의 조작 시, 상기 불릿과 접촉되는 접촉면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불릿이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하는 디턴트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불릿은,
    상기 수용 홈을 따라 이동되는 바디; 및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진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단부 각각이 상기 진퇴 방향으로 상기 불릿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과 이격되는 간격이 서로 다른 차량용 변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바디와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불릿의 중심선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와 상기 불릿의 중심선 사이의 간격이 더 길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진퇴 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에는,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개구부의 마주보는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마주보는 양측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전단부가 상기 디턴트 그루브에 접촉되고, 후단부에 상기 불릿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제1 반경을 가지는 제1 격벽부와 상기 제1 반경에 비하여 큰 제2 반경을 가지는 제2 격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격벽부 및 상기 제2 격벽부 사이에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어 상기 불릿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의 일단이 위치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불릿의 진퇴 시 상기 불릿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삽입부를 구획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제2 격벽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마주보는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마주보는 양측 중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조작부가 설치되는 변속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속 조작부 및 상기 변속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디턴트 그루브가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디턴트 그루브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0200001388U 2020-04-24 2020-04-24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100024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88U KR20210002428U (ko) 2020-04-24 2020-04-24 차량용 변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88U KR20210002428U (ko) 2020-04-24 2020-04-24 차량용 변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28U true KR20210002428U (ko) 2021-11-03

Family

ID=7852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388U KR20210002428U (ko) 2020-04-24 2020-04-24 차량용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42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54B1 (ko) 2015-08-03 2015-11-24 (주)에스엠씨 전자식 변속레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54B1 (ko) 2015-08-03 2015-11-24 (주)에스엠씨 전자식 변속레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276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10352435B2 (en) Integrated electronic shift lever assembly for vehicle
US6857335B2 (en) Shift device
US9618110B2 (en) Shift/tilt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10704670B2 (en) Automotive transmission
US9631718B1 (en) Shift lever for vehicle
CN109798355B (zh) 车辆用变速装置
US9556951B2 (en) Gear-shift lever module
US9816605B2 (en) Method of mitigating overshoot in transmission shift selector
KR10248491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60128823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00081764A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10002428U (ko) 차량용 변속 장치
AU2009202884B2 (en) Key interlock system of vehicle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
KR101571454B1 (ko) 전자식 변속레버
KR101656687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CN211778929U (zh) 车辆用变速装置
US20200080632A1 (en) Gear shift for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986125B1 (ko)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100029113A (ko) 전자식 변속 장치
KR10258439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30086055A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6723070B2 (ja) シフト装置
KR10223541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6410315B2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及び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の組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