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353U - 검침단자함 - Google Patents

검침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353U
KR20210002353U KR2020200001289U KR20200001289U KR20210002353U KR 20210002353 U KR20210002353 U KR 20210002353U KR 2020200001289 U KR2020200001289 U KR 2020200001289U KR 20200001289 U KR20200001289 U KR 20200001289U KR 20210002353 U KR20210002353 U KR 20210002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unit
socket
port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석
Original Assignee
(주)유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기술 filed Critical (주)유원기술
Priority to KR2020200001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353U/ko
Publication of KR20210002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검침단자함이 개시된다. 본 고낭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검침단자함은 복수개의 소켓부에 복수개의 포트가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되고 송신부를 통해 월패드로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검침단자함{Meter terminal box}
본 고안은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와 소켓부 사이를 손쉽게 결합시키기 위한 검침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가스, 상수도, 전기 등과 같이 유료 공공 서비스 부문에 해당되는 광열유체의 제공 서비스는 건물이나 각 가정 내에 도시 가스, 상수도, 전기 등의 광열유체를 공급하고, 그 사용량을 해당 건물 또는 가정내에 설치되는 계량기를 통해 검침원이 확인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금액을 산정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경우 검침원이 계량기를 확인함에 있어 계량기가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사람이 없는 경우 계량기를 볼 수 없어 검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월패드 업체가 월패드(4)만 시공한 후에 철수하고, 계량기 업체에서는 가스 계량기와 급수 계량기와 급탕 계량기 및 난방 계량기에서 각각 인출된 연결선(5)을 월패드(4)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 작업을 종료한다.
그리고 전기 통신업체에서 상기 연결선(5)을 월패드(4)에 구비된 연결 소켓(4a)에 결합시키기 위해 플러스 연결선(5a)과 마이너스 연결선(5b)을 각각 탈피하는 피복 제거 작업을 실시해야한다. 이 경우 작업자의 작업 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일일이 피복 제거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피복의 훼손 또는 균일한 피복 제거 길이가 유지되지 않거나, 연결선(5)에서 피복이 제거된 부분이 일부 노출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아파트와 같이 다수의 세대가 거주하는 공동주택의 경우 작업량이 급격히 증가되어 작업자의 작업 능률 저하를 유발하고, 월패드(4)와 연결선(5)의 결합이 불안정하여 단선 또는 단락의 위험성이 유발되었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경우와 함께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측에 검침용 연결단자와 같은 검침용 연결장치가 설치된 검침단자함(2)을 설치하여 검침원이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PDA와 같은 검침단말기(1)와 검침단자함(2)을 연결하여 검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검침단자함(2)을 이용하여 계량기를 검침하기 위해서는 계량기에 계량기 검침장치(3)가 설치되며, 이러한 계량기 검침장치에 관하여 다양한 종래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검침단자함(2)과 계량기 검침장치(3)는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일 예로 연립주택, 빌라 등과 같이 다세대(다가구) 건물 또는 개인 주택이 모여 있는 밀집주택지역에서 검침원이 각 세대 또는 각 주택으로 이동하여야 함으로써 발생하는 시간적 손실과 노동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연립주택, 빌라 등과 같이 다세대(다가구) 건물 또는 개인 주택이 모여 있는 밀집주택지역에서 검침원이 다수의 계량기의 검침시 각각의 계량기에 설치된 계량기 검침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검침단자함에 검침단말기를 연결하여 검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또한 연립주택, 빌라 등과 같이 다세대(다가구) 건물 또는 개인 주택이 모여 있는 밀집주택지역에서 다수의 계량기 검침장치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검침단자함이 설치됨으로써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와 같이 검침단자함(2)과 계량기 검침장치(3)는 일대일로 연결되는 경우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10-0837428호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소켓부에 포트를 손쉽게 결합하고, 이상 유무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가능한 검침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검침단자함은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부(200); 상기 기판부(200)에 장착되고, 세대에서 사용하는 급수, 급탕, 난방 및 가스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10)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상기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10)에서 각각 연장되며, 단부에 포트(2)가 구비된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 소켓부(300); 상기 소켓부(300)로 입력된 데이터가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Wall Pad)(20)로 송신되도록 구비된 송신부(400); 및 상기 포트(2)와 결합된 복수의 소켓부(300) 각각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기 검침부(10)는 세대가 사용한 급수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급수 계량기 검침부(12); 세대가 사용한 급탕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급탕 계량기 검침부(14); 세대가 사용한 난방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난방 계량기 검침부(16); 세대가 사용한 가스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가스 계량기 검침부(18)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계량기 검침부(12)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W1)의 단부에 제1 포트(2a)가 구비되며, 상기 급탕 계량기 검침부(14)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와이어(W2)의 단부에 제2 포트(2b)가 구비되고, 상기 난방 계량기 검침부(16)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3 와이어(W3)의 단부에 제3 포트(2c)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 계량기 검침부(18)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4 와이어(W4)의 단부에 제1 포트(2d)가 구비된다.
상기 소켓부(300)는 상기 제1 포트(2a)와 연결된 제1 소켓부(310); 상기 제2 포트(2b)와 연결된 제2 소켓부(310); 상기 제3 포트(2c)와 연결된 제3 소켓부(310); 상기 제4 포트(2d)와 연결된 제4 소켓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켓부(310)는 상기 제1 포트(2a)와 동일 색깔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소켓부(320)는 상기 제2 포트(2b)와 동일 색깔로 구성되며, 상기 제3 소켓부(330)는 상기 제3 포트(2c)와 동일 색깔로 구성되고, 상기 제4 소켓부(340)는 상기 제4 포트(2d)와 동일 색깔로 구성된다.
상기 상태 표시부(500)는 상기 복수의 소켓부(300)에 상기 와이어(W)가 정상 결합될 경우 제1 컬러로 점등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상태 표시부(510); 상기 복수의 소켓부(300)에 상기 와이어(W)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될 경우 해당 소켓부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제1 컬러와 상이한 컬로로 점등되는 제2 상태 표시부(5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계량기 검침부에서 연장된 와이어의 피복을 벗기거나, 연결을 위한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자의 작업성과, 작업 효율이 동시에 향상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제1 내지 제4 포트 각각을 제1 내지 제4 소켓부에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면 작업이 종료되므로 손쉽게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제1 내지 제4 포트 중의 어느 하나의 포트를 소켓부에 실수로 오장착하는 경우에도 육안으로 즉시 확인 가능하여 설치 실수로 인한 문제점이 사전에 발생되지 않아 항시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해진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야간 또는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 검침단자함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소켓부와 포트에 야광층이 형성되어 육안으로 손쉽게 구별 가능하여 설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검침단자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검침단자함의 결합 상태도.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검침단자함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검침단자함은 1세대에 1개씩 개별 설치되어 상기 세대에서 사용하는 급수와, 급탕과, 난방 및 가스사용량에 대한 데이터가 월패드로 자동 송신될 수 있어 작업자가 후술할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와 검침 단자함을 와이어와 연결된 포트를 소켓부에 정 위치에 맞춰 결합만 실시하면 되므로 추가로 와이어의 피복을 벗긴 후에 테이핑을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최단 시간에 설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 예는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어 다수의 세대에 대한 검침단자함 설치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부(200)와, 상기 기판부(200)에 장착되고, 세대에서 사용하는 급수, 급탕, 난방 및 가스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10)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상기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10)에서 각각 연장되며, 단부에 포트(2)가 구비된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 소켓부(3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300)로 입력된 데이터가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Wall Pad)(20)로 송신되도록 구비된 송신부(400) 및 상기 포트(2)와 결합된 복수의 소켓부(300) 각각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도면에 도시된 크기로 한정하지 않고 변경 가능하며 상기 기판부(200)는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모서리 부분에 나사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계량기 검침부(10)는 세대가 사용한 급수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급수 계량기 검침부(12)와, 세대가 사용한 급탕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급탕 계량기 검침부(14)와, 세대가 사용한 난방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난방 계량기 검침부(16)와, 세대가 사용한 가스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가스 계량기 검침부(18)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10)로 부터 복수의 소켓부(300)로 동시에 데이터가 입력된 후에 송신부(400)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송신부(400)는 케이블(미도시)을 매개로 연결된 월패드(20)로 검침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 기판부(200)에는 상기 소켓부(300)로 입력된 검침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 계량기 검침부(12)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W1)의 단부에 제1 포트(2a)가 구비되며, 상기 급탕 계량기 검침부(14)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와이어(W2)의 단부에 제2 포트(2b)가 구비되고, 상기 난방 계량기 검침부(16)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3 와이어(W3)의 단부에 제3 포트(2c)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 계량기 검침부(18)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4 와이어(W4)의 단부에 제1 포트(2d)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급수 계량기 검침부(12)와, 급탕 계량기 검침부(14)와, 난방 계량기 검침부(16)와, 가스 계량기 검침부(18)에 각각 제1 내지 제4 와이어(W1, W2, W3, W4)가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단부에 각각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와이어(W1, W2, W3, W4)는 플러스 극성과 마이너스 극성을 갖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는 후술할 소켓부(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내측에 플러스 와이어와 마이너스 와이어가 구비되고, 단부가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에 각각의 극성별로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10)가 구성될 경우 최초 설치될 때 와이어(W)의 단부에 포트(2)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검침단자함과 연결하기 위한 작업자의 피복 벗기기 작업과 테이핑 작업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소켓부(300)는 상기 제1 포트(2a)와 연결된 제1 소켓부(310)와, 상기 제2 포트(2b)와 연결된 제2 소켓부(310)와, 상기 제3 포트(2c)와 연결된 제3 소켓부(310)와, 상기 제4 포트(2d)와 연결된 제4 소켓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는 내부에 플러스와 마이너스 접점 결합을 위한 단자 핀(P)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가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될 경우 플러스 극성과 마이너스 극성이 전기적으로 각각 안정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결합된다. 참고로 상기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에는 상기 단자 핀(P)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단자 핀(P)이 삽입되는 핀 홈(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단자 핀(P)은 제1 소켓부(310)에만 도시하였으나 나머지 제2 내지 제4 소켓부(320, 330, 340)에도 모두 구비된다.
상기 제1 소켓부(310)는 상기 제1 포트(2a)와 동일 색깔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소켓부(320)는 상기 제2 포트(2b)와 동일 색깔로 구성되며, 상기 제3 소켓부(330)는 상기 제3 포트(2c)와 동일 색깔로 구성되고, 상기 제4 소켓부(340)는 상기 제4 포트(2d)와 동일 색깔로 구성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를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에 결합할 때 오장착으로 인한 실수 없이 모두 정확한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보다 빠르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 또한 동시에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에는 상측에 각각 해당되는 명칭이 기재된 네임택(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한 번 더 확인하고 결합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정확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와 상기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는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도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야광도료가 사전에 도포되어 야광층(L)이 형성된다.
상기 작업자는 야광층(L)으로 인해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와,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의 색깔을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어 야간 작업 또는 조도가 낮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를 상기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송신부(400)는 월패드(20)로 전술한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월패드(20)는 세대주에게 각종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안전과 편의성이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대내에 설치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상기 월패드(20)는 홈네트워킹이 가능하여 방범기능과, 사용전력 조절 기능과, 도어락과 연관된 락(Lock) 또는 언락 기능과, 보일러 또는 에어컨과 같은 편의 기능 및 방문자 확인, 일정관리, 엘리베이터 호출, 무인택배 연동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세대내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로 사용된다.
일 예로 본 실시 예는 상기 월패드(20)와 연동되어 세대에서 사용한 급수량과 급탕량과 난방 및 가스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상태 표시부(500)는 상기 복수의 소켓부(300)에 상기 와이어(W)가 정상 결합될 경우 제1 컬러로 점등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상태 표시부(510)와, 상기 복수의 소켓부(300)에 상기 와이어(W)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될 경우 상기 제1 컬러와 상이한 컬러로 점등되는 제2 상태 표시부(520)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정상적으로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 각각을 상기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에 순차적으로 결합시킬 경우 제1 상태 표시부(510)가 순차적으로 점등된다.
만약 작업자가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 중의 다른 곳에 오장착 하거나 접속 상태가 불량일 경우 제2 상태 표시부(520)가 점등되므로 육안으로 즉시 확인한 후에 오장착된 위치를 바르게 결합시겨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제1,2 상태 표시부(510, 520)는 상기 제1 내지 제4 포트(2a, 2b, 2c, 2d)가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에 결합된 이후에도 주기적인 점검을 위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한 번에 정상적으로 접속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소켓부(310, 320, 330, 340)가 모두 정상으로 설치된 이후에 6개월 또는 1년과 같이 특정 주기로 정상 유무를 확인할 때 제1 상태 표시부(510)만 점등되고, 제2 상태 표시부(520)는 미 점등되므로 작업자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제1 상태 표시부(510)와 제2 상태 표시부(520)의 색깔이 서로 다른 색깔로 점등될 경우 해당 위치에 결합된 어느 하나의 소켓에 대한 결합 상태를 재확인하여 오장착 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재결합시켜 정상 유무를 확인하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술한 소켓부(300)의 색깔과, 포트(2)의 색깔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결합 작업을 실시하고, 추가로 상기 상태 표시부(500)를 통해 한 번 더 확인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포트
2a, 2b, 2c, 2d : 제1,2,3,4 포트
10 : 계량기 검침부
12 : 급수 계량기 검침부
14 : 급탕 계량기 검침부
15 : 난방 계량기 검침부
16 : 가스 계량기 검침부
100 : 케이스
200 : 기판부
300 : 소켓부
310, 32, 330, 340 : 제1 내지 제4 소켓부
400 : 송신부
500 : 상태 표시부
510, 520 : 제1,2 상태 표시부

Claims (3)

  1.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부(200);
    상기 기판부(200)에 장착되고, 세대에서 사용하는 급수, 급탕, 난방 및 가스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10)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상기 복수의 계량기 검침부(10)에서 각각 연장되며, 단부에 포트(2)가 구비된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진 소켓부(300);
    상기 소켓부(300)로 입력된 데이터가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Wall Pad)(20)로 송신되도록 구비된 송신부(400); 및
    상기 포트(2)와 결합된 복수의 소켓부(300) 각각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 표시부(500)를 포함하는 검침단자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 검침부(10)는 세대가 사용한 급수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급수 계량기 검침부(12);
    세대가 사용한 급탕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급탕 계량기 검침부(14);
    세대가 사용한 난방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난방 계량기 검침부(16);
    세대가 사용한 가스량을 검침하기 위해 구비된 가스 계량기 검침부(18)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계량기 검침부(12)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W1)의 단부에 제1 포트(2a)가 구비되며,
    상기 급탕 계량기 검침부(14)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2 와이어(W2)의 단부에 제2 포트(2b)가 구비되고,
    상기 난방 계량기 검침부(16)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3 와이어(W3)의 단부에 제3 포트(2c)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 계량기 검침부(18)는 외측으로 연장된 제4 와이어(W4)의 단부에 제1 포트(2d)가 구비되고,
    상기 소켓부(300)는 상기 제1 포트(2a)와 연결된 제1 소켓부(310);
    상기 제2 포트(2b)와 연결된 제2 소켓부(310);
    상기 제3 포트(2c)와 연결된 제3 소켓부(310);
    상기 제4 포트(2d)와 연결된 제4 소켓부(310)를 포함하는 검침단자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500)는 상기 복수의 소켓부(300)에 상기 와이어(W)가 정상 결합될 경우 제1 컬러로 점등된 상태가 유지되는 제1 상태 표시부(510);
    상기 복수의 소켓부(300)에 상기 와이어(W)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될 경우 해당 소켓부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1 컬러와 상이한 컬로로 점등되는 제2 상태 표시부(520)를 포함하는 검침단자함.
KR2020200001289U 2020-04-14 2020-04-14 검침단자함 KR202100023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89U KR20210002353U (ko) 2020-04-14 2020-04-14 검침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89U KR20210002353U (ko) 2020-04-14 2020-04-14 검침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53U true KR20210002353U (ko) 2021-10-22

Family

ID=7826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289U KR20210002353U (ko) 2020-04-14 2020-04-14 검침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35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28B1 (ko) 2002-06-24 2008-06-16 (주) 엠아이알 계량기의 원격검침 장치,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원격검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28B1 (ko) 2002-06-24 2008-06-16 (주) 엠아이알 계량기의 원격검침 장치,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원격검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4936B2 (ja) 電源タップ
US5706191A (en) Appliance interface apparatus and automated residence management system
CN102594330B (zh) 具有物理对应的状态指示器的输入/输出电路及装置
CN101690019B (zh) 通过开放式现场总线控制总线联网的设备的系统和方法
EA034236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стройки и интеграции в электросеть сети системы бытовой автоматизации ил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сети
US9090175B2 (en) Power shar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service equipment
CN102726056A (zh) 用于使用单独控制信道自动追踪网络设备的接线连接的系统及相关的接线装置和方法
JP2009074541A (ja) 給水装置、及び水位検知器
RU2363973C2 (ru) Модульная инженерная система
WO2001088651A1 (fr) Systeme de detection d'equipement et dispositif de commande d'equipement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KR100691391B1 (ko) 파워콘트롤러 및 상기 파워콘트롤러를 포함한 전자식전력제어시스템
JP5204432B2 (ja) 電気機器、電気機器のサービス方法
KR20210002353U (ko) 검침단자함
KR20230146247A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A2593568A1 (en) A solution for sub-metering of electricity, gas and water in multi-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
KR100866316B1 (ko) 분수대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박스
KR101048020B1 (ko) 전등용 덕트
JP2009010899A (ja) 情報通信機能付電力量自動検針システム
KR100383461B1 (ko) 컴퓨터 및 전화기 겸용 어댑터 장치와 사용방법
CN105871712A (zh) 一种家庭多媒体光电网关盒和网络中心盒及其安装结构
KR20190000408U (ko) 연결 케이블
KR100867901B1 (ko) 분수대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17957319U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智能型水浸传感器
CN103210611B (zh) 建筑系统工程中具有通用型数据耦合的安装设备以及具有如此构造的安装设备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