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350U -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350U
KR20210002350U KR2020200001270U KR20200001270U KR20210002350U KR 20210002350 U KR20210002350 U KR 20210002350U KR 2020200001270 U KR2020200001270 U KR 2020200001270U KR 20200001270 U KR20200001270 U KR 20200001270U KR 20210002350 U KR20210002350 U KR 202100023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holder fixing
adhesive
porous materia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설
박유철
Original Assignee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비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1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350U/ko
Publication of KR20210002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벽면에 샤워기 및 욕실 악세사리 예를들면 선반이나 휴지걸이 또는 거울 또는 슬라이드 바 등 부착 시 벽에 타공을 하지 않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100)으로, 평탄면을 가지며, 어느 한쪽에 접착제 주입구(111)가 관통형성되는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와,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00)의 배면 테두리에 부착되는 접착테이프(120) 및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 정면 중앙에 너트(140)가 삽입형성되는 지지관(1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130)에 삽입되어 볼트(210)에 의해 상기 너트(140)에 나사맞춤되어 고정되는 홀더부재(2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접착테이프(120)의 어느 한 부분이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접착제의 양이 충분히 주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bracket for fixing holder using sintered powder metal}
본 고안은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욕실 벽면에 샤워기 및 욕실 악세사리 예를 들면 선반이나 휴지걸이 또는 거울 또는 슬라이드 바 등 부착 시 벽에 타공을 하지 않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용 액세서리 즉, 수건걸이, 휴지걸이, 옷걸이, 비누대 등을 벽면에 고정하는 홀더 고정브라켓은 벽면의 소정 위치에 전동드릴로 구멍을 천공한 후, 앙카를 삽입하여 이에 홀더 고정구를 나사 조임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욕실용 액세서리를 고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드릴을 이용하여 벽면에 구멍을 내야 하지만 일반 소비자 그중 여성 들에게는 무척 힘든일 이 아니였다.
더구나 욕실과 같이 타일로 시공된 벽면의 경우 시공자의 실수에 의해 타일에 금이 가거나 파손되는 일이 허다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기압착방식 홀더 고정브라켓이 많이 사용하는 데 이러한 흡착식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중에 의해 스스로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압착방식이 아닌 글루건을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의 경우는 자체의 무게와 홀더 고정브라켓에 걸려지는 물체의 중량에 의해 홀더 고정브라켓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쉽게 타일 벽면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홀더 고정브라켓의 또 다른 부착방식은 액체상태의 접착제를 브라켓에 도포 후 벽면에 고정하는 방식인데 이때, 사용자가 접착제를 충분히 도포하지 못함으로써, 접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너무 과하게 주립하면 흘러내려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접착 주입방식의 경우 제품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건조되어 경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364호(등록일 2005.04.26)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602호(등록일 2005.08.26)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361호(등록일 2006.03.07)
본 고안은 홀더 고정브라켓을 다공성소재를 압착 성형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분말소결금속이 가지는 장점인 넓은 기공을 이용하여 타일벽에 부착시 통기성에 의해 접착제가 빠르게 경화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공성소재를 압착 성형함으로써, 일반금속에 비해 중량이 가볍고 단단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홀더 고정브라켓의 본체에 접착제가 주입되는 홀을 형성하고, 측 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시구멍을 형성하여 접착제가 충분히 주입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의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부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종래 접착제의 양을 정확히 도포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의 중심에 고정볼트 보스를 형성하여 하중이 많은 곳에서 브라켓과 제품을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100)은 평탄면을 가지며, 어느 한쪽에 접착제 주입구(111)가 관통형성되는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 및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00)의 배면 테두리에 부착되는 접착테이프(120); 및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 정면 중앙에 너트(140)가 삽입형성되는 지지관(1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130)에 끼워져 볼트(210)에 의해 상기 너트(140)에 나사맞춤되어 고정되는 홀더부재(2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접착테이프(120)의 어느 한 부분이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접착제의 양이 충분히 주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홀더 고정브라켓을 다공성소재를 압착 성형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다공성소재가 가지는 장점인 넓은 기공을 이용하여 타일 벽에 부착시 통기성에 의해 접착제가 빠르게 경화되도록 할 수가 있다.
둘째, 다공성소재를 압착 성형함으로써, 일반금속에 비해 중량이 가볍고 단단하한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셋째, 홀더 고정브라켓의 본체에 접착제가 주입되는 홀을 형성하고, 측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시구멍을 형성하여 접착제가 충분히 주입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넷째, 고정브라켓의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부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종래 접착제의 양을 정확히 도포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다섯째, 고정브라켓의 중심에 고정볼트 보스를 형성하여 하중이 많은 곳에서 브라켓과 제품을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분해사시도이고, (b)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을 구성하는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만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 언급되는 결속장치는 화물상자의 상부 전후, 좌우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하 설명에서는 어느 한쪽 부분만 설명한다.
본 고안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10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 접착테이프(120), 지지관(130), 홀더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은 도면상에서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필요에 따라 사각형상, 삼각형상 및 다각형상으로도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은 전체적으로 평탄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어느 한쪽에 접착제 주입구(111)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를 다공성소재로 성형함으로써, 일반 금속브라켓에 비해 넓은 기공이 형성되어 액상의 접착제의 경화속도를 빠르게 할 수가 있다.
상기 다공성소재는 분말소결금속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 또는 경화성 폼재 등으로 내부에 기공이 많은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의 배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된 돌기(112)가 형성되어 접착제의 양을 정확히 도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에 형성된 접착제 주입구(111)로부터 액상의 접착제가 주입될 때, 벽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켜 접착제가 원할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의 앞면에는 지지관(130)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너트(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너트 대신에 지지관(130)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성기한 구성은 지지관(130)의 비틀림 응력이나 기타 전단 응력에 따라 필요에 의해 선택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접착테이프(120)는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00)의 배면 테두리에 부착되되, 어느 한쪽 부분에 개구부(121)를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의 양이 충분히 주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접착테이프(120)의 두께는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112)와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돌기보다 조금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테이프(120)는 도시하지 않은 이형지가 부착되어 접착테이프의 점착력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홀더부재(200)는 상기 지지관(130)에 끼워져 볼트(2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홀더부재(200)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 고안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을 타일 벽면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본 고안을 구성하는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의 배면에 설치되며 접착테이프(120)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를 제거한다.
다음 상기 접착테이프(120)를 타일 벽면에 눌러서 부착한다. 이때, 접착테이프(120)에 형성된 개구부(121)를 위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1차로 벽면에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를 고정시킨다.
다음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에 형성된 접착제 주입구(111)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를 주입한다.
그러면, 상기 접착제는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12) 사이 사이로 접착제가 스며들고 이후, 상기 접착테이프(120)에 형성된 개구부(121) 쪽으로 접착제가 보이면 주입을 멈춤다.
물론, 실수로 상기 접착테이프(120)에 형성된 개구부(121)를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했다면, 접착제가 상기 개구부(121) 쪽을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보고 주입을 멈추면된다.
상기 접착제는 겔 형태의 점성력을 갖고 있어 물과 같이 쉽게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를 2차로 벽면에 고정한 후, 수분 기다리면 완전하게 벽면과 일체로 고정된다.
이는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이 가지고 있는 특성 즉, 다공성소재로 이루어진 수 많은 기공들을 통한 활발한 통기성에 의해 빠르게 건조되어 벽면에 고착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벽면에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이 단단하게 고정되면,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지지관(130)에 홀더부재(200)를 끼운 후, 볼트(210)를 체결하여 완전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은 욕실에 샤워기 및 욕실 악세사리 즉, 선반이나 휴지걸이 또는 거울 또는 슬라이드 바 등을 부착 시 벽에 타공을 하지 않고,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고안으로, 타공 대신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타일 벽면에 본 고안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을 접착시키고, 상기와 같이 접착된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에 부착하고자 하는 제품(홀더부재)을 볼트 또는 너트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고안이다.
특히, 본 고안은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을 다공성소재를 성형한 제품으로 기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에 고착시키는 것보다 수배나 빠르게 경화시켜 단단하게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홀더 고정브라켓 110 :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
111 : 접착제 주입구 112 : 돌기
120 : 접착테이프 121 : 개구부
130 : 지지관 140 : 너트
200 : 홀더부재 210 : 볼트

Claims (5)

  1. 평탄면을 가지며 어느 한쪽에 접착제주입구가 관통형성되는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 및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의 배면 테두리에 부착되는 접착테이프; 및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 정면 중앙에 너트가 삽입형성되는 지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에 볼트에 의해 상기 너트에 나사맞춤되어 고정되는 홀더부재;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테이프의 어느 한 부분이 개구부가 형성되어 접착제의 양이 충분히 주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는 다공성소재로 많은 기공을 통해 접착제 경화속도를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소재는 분말소결금속재 또는 다공성 합성수지 또는 다공성 경화폼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고정브라켓 몸체의 배면에 적어도 2 이상의 돌출 돌기가 형성되어 접착제의 양을 정확히 도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KR2020200001270U 2020-04-13 2020-04-13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KR202100023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70U KR20210002350U (ko) 2020-04-13 2020-04-13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70U KR20210002350U (ko) 2020-04-13 2020-04-13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50U true KR20210002350U (ko) 2021-10-22

Family

ID=7826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270U KR20210002350U (ko) 2020-04-13 2020-04-13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350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364Y1 (ko) 2005-02-07 2005-05-03 황근복 욕실용 악세서리 홀더 고정구
KR200394602Y1 (ko) 2005-06-14 2005-09-02 박재달 자석홀더
KR200411361Y1 (ko) 2005-12-27 2006-03-15 양재국 접착식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364Y1 (ko) 2005-02-07 2005-05-03 황근복 욕실용 악세서리 홀더 고정구
KR200394602Y1 (ko) 2005-06-14 2005-09-02 박재달 자석홀더
KR200411361Y1 (ko) 2005-12-27 2006-03-15 양재국 접착식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0485C (en) Device for connecting a structural element with a holding element spaced apart
TWI332048B (en) Panel installation set and method of installing panel using the same
RU2643633C2 (ru) Компоновка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удерж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152880B1 (ko) 건축내장용 시스템 벽체
KR20070011934A (ko) 지지 볼트 및 이 볼트를 구비하는 이중 바닥재용 지지대
KR20210002350U (ko) 다공성소재를 이용한 홀더 고정브라켓
US20120272610A1 (en) Molding/trim quick release system
US20190127991A1 (en) Grid Plate for Laying Tile on Uneven Surfaces
KR200410339Y1 (ko) 수납대 걸이구
CN106050875A (zh) 无痕螺钉
JP6563236B2 (ja) テーブル用天板を生産する方法
KR100693099B1 (ko) 악세사리 홀더 고정구
KR102290378B1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KR102455641B1 (ko) 건축물 벽체용 타일
KR20080001622U (ko) 접착식 행거
KR200459754Y1 (ko) 욕실 수납장 고정부재
KR0116184Y1 (ko) 흡착판을 사용한 책상위에 착탈자재로 고정할 수 있는 칸막이
CN205875989U (zh) 门吸
US7516513B1 (en) Adjustable engagement glide device and method
US20230292920A1 (en) Wall mounting apparatus
KR200456397Y1 (ko) 접착제가 내장된 칼브럭
US20220053960A1 (en) Rod holder system
KR20150063991A (ko) 욕실용 설치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ITMI20030534U1 (it) Ferma-porte magnetico
KR100371599B1 (ko) 건축물 액세서리 부착구 및 그 부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