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770U - 가변형 호환 파렛트 - Google Patents

가변형 호환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770U
KR20210001770U KR2020200000309U KR20200000309U KR20210001770U KR 20210001770 U KR20210001770 U KR 20210001770U KR 2020200000309 U KR2020200000309 U KR 2020200000309U KR 20200000309 U KR20200000309 U KR 20200000309U KR 20210001770 U KR20210001770 U KR 20210001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auxiliary
length
protrusion
auxiliar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141Y1 (ko
Inventor
김상백
강민혜
신재홍
Original Assignee
김상백
신재홍
강민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백, 신재홍, 강민혜 filed Critical 김상백
Priority to KR2020200000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14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1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5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6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6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41Dimensional aspects of the pallet
    • B65D2519/00761Dimensional aspects of the pallet the surface being variable, e.g. extenda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8Dismoun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가변형 호환 파렛트가 개시되며, 화물이 상면에 적재되는 상기 가변형 호환 파렛트는 횡 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후면에 횡 방향을 따라 후면 결합 홈이 형성되는 A형 본체,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결합 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횡 방향을 따라 전면 결합 홈이 형성되는 B형 본체, 횡 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보조 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보조 돌기가 형성되는 A형 보조체 및 횡 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보조 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A형 보조체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B형 보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A형 보조체는, 상기 A형 본체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B형 보조체는, 상기 B형 본체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A형 보조체와 상기 B형 보조체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길이는 상기 A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및 상기 B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가변형 호환 파렛트{Variable and comPatible pallet}
본원은 가변형 호환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파렛트는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화물을 운송할 때 화물을 일정한 수량 단위로 쌓을 수 있는 깔판을 말하며, 화물을 적재, 운송하기 위한 물류 모듈화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이다.
파렛트의 규격으로는 T-11타입(1100mm * 1100mm)과 T-12타입(1200mm * 1000mm)이 있는데, T-11타입은 내수용으로 주로 사용되었고, T-12타입은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사용하던 유형의 파렛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통상자원부가 '유닛로드 시스템 통칙'에서 T-12형 수송용 파렛트를 추가, 개정 고시하여 현재 T-11타입 및 T-12타입을 복수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국내에서 두 종류의 파렛트가 복수표준으로 사용되는 만큼 ULS(Unit Load System) 각 단계에서 기계 설비의 정합성이 떨어지는 등 개선이 필요한 상태인바, 두 종류의 파렛트에 대한 호환성을 지니고 유연하게 대처 가능한 파렛트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종래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2666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가변형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국내 표준으로 고시된 T-11타입 및 T-12타입에 대한 호환성을 가지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가지 파렛트를 이용하여 두 종류 이상의 타입으로 호환될 수 있는 파렛트를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호환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국내 표준으로 고시된 T-11타입 및 T-12티입에 대한 호환성을 지니고 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가변형 호환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는, 화물이 상면에 적재되며, 횡 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후면에 횡 방향을 따라 후면 결합 홈이 형성되는 A형 본체;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결합 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횡 방향을 따라 전면 결합 홈이 형성되는 B형 본체;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보조 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보조 돌기가 형성되는 A형 보조체; 및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보조 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A형 보조체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B형 보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A형 보조체는, 상기 A형 본체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B형 보조체는, 상기 B형 본체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A형 보조체와 상기 B형 보조체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길이는 상기 A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및 상기 B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A형 보조체는, 상기 제1 측면 보조 돌기가 상기 전면 결합 홈 및 상기 제2 측면 결합 홈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측면 보조 홈이 상기 제1 측면 결합 돌기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B형 보조체는, 상기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상기 후면 결합 홈 및 상기 제2 측면 결합 홈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측면 보조 홈이 상기 제1 측면 결합 돌기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렛트는 복수의 타입으로 조립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은, 상기 제1 측면 결합 돌기에 상기 제1 측면 보조 홈 및 상기 제2 측면 보조 홈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면 결합 홈에 상기 제1 측면 보조 돌기 및 상기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결합되되, 상기 A형 보조체 및 상기 B 형 보조체는 상호 전후 방향으로 중첩 연결부를 가지며 연결되는 것인 제1 타입; 및 상기 전면 결합 홈에 상기 제1 측면 보조 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후면 결합 홈에 상기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측면 결합 홈에 상기 제1 측면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제2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형 보조체와 상기 B형 보조체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중첩 연결부의 중첩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A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및 상기 B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A형 보조체 및 상기 B형 보조체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일 경우 상기 중첩 연결부는 상기 A형 보조체에 구비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B형 보조체에 구비되는 안착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하향 함몰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단턱면 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B형 보조체에는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안착부재를 결합시켜주는 고정핀이 더 포함되되,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고정핀이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재에는 상기 고정핀이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타입일 경우, 상기 A형 보조체에는 상기 단턱면이 형성된 단차높이에 대응하는 두부 두께를 갖는 고정마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에는 RFI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A형 본체 및 상기 B형 본체 각각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는 본체 중공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A형 보조체 및 상기 B형 보조체에는 횡 방향으로 개구되는 보조 중공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2 타입으로 조립되는 경우, 상기 본체 중공부와 상기 보조 중공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입은 상면의 가로길이가 1200mm이고, 상면의 세로길이가 1000mm인 형태로 구비되는 T-12 타입이고, 상기 제2 타입은 상면의 가로길이가 1100mm이고, 상면의 세로길이가 1100mm인 형태로 구비되는 T-11 타입일 수 있다.
상기 A형 본체 및 상기 B형 본체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는 1000mm이고, 횡 방향 길이는 550mm이며, 상기 A형 보조체 및 상기 B형 보조체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는 각각 550mm이고, 횡 방향 길이는 100mm이며, 상기 중첩 연결부의 전후 방향 길이는 100mm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라이딩 조립을 통해 한 가지 파렛트의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두 종류 이상으로 변형된 파렛트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물류비 절감, 국내 ULS 보급 확산, 수출경쟁력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A형 본체 구성을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B형 본체 구성을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A형 보조체 구성을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B형 보조체 구성을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도 6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제1 타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입체 개념도이다.
도 6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제1 타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파렛트의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제2 타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입체 개념도이다.
도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제2 타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파렛트의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본원에서 '일측'이라 함은 10시 방향을 의미하고, '타측'이라 함은 4시 방향으로 의미하고, '전면'은 8시 방향을 의미하고, '후면'은 2시 방향을 의미하고, '횡 방향'은 10시-4시 방향을 의미하며, '전후 방향'은 8시-2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은 슬라이딩 조립을 통해 한 가지 파렛트의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두 종류 이상으로 변형된 파렛트를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호환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이하 '본 파렛트'라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A형 본체 구성을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본 파렛트(100)는 A형 본체(1)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형 본체(1)의 상면에는 화물이 적재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A형 본체(1)에는, 횡 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결합 돌기(11)가 형성된다.
제1 측면 결합 돌기(11)에는 제1 측면 결합 돌기(11)가 후술할 제2 측면 결합 홈(21), 제1 측면 보조 홈(31) 또는 제2 측면 보조 홈(41)과 결합한 후 횡 방향(도 1 기준 10시-4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돌기의 끝단에 본 파렛트(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결합 돌기(11)는 제1 측면 결합 돌기(11)가 후술할 제2 측면 결합 홈(21), 제1 측면 보조 홈(31) 또는 제2 측면 보조 홈(41)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 결합 돌기(11)의 형태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측면 결합 돌기(11)의 형태는 기 알려진 다양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측면 결합 돌기(11)는 A형 본체(1)의 일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 결합 돌기(11)는 A형 본체(1)의 일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측면 결합 돌기(11)는 A형 본체(1)의 일측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결합 돌기(11)는 A형 본체(1)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결합 돌기(11)는 후술할 제2 측면 결합 홈(21), 제1 측면 보조 홈(31) 및 제2 측면 보조 홈(41)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 결합 돌기(11)는 후술할 제2 측면 결합 홈(21), 제1 측면 보조 홈(31) 및 제2 측면 보조 홈(41)과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형 본체(1)에는, 후면에 횡 방향을 따라 후면 결합 홈(12)이 형성된다.
후면 결합 홈(12)의 형태는 후면 결합 홈(12)이 후술할 제2 측면 보조 돌기(42)와 결합한 후 전후 방향(도 1 기준 8시-2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홈의 가장 깊숙한 부분에서 본 파렛트(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좀 더 함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면 결합 홈(12)은 후면 결합 홈(12)이 후술할 제2 측면 보조 돌기(42)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 결합 홈(12)의 형태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후면 결합 홈(12)의 형태는 기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후면 결합 홈(12)은 A형 본체(1)의 후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후면 결합 홈(12)은 A형 본체(1)의 후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후면 결합 홈(12)은 A형 본체(1)의 일측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면 결합 홈(12)은 A형 본체(1)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 결합 홈(12)은 후술할 제2 측면 보조 돌기(4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후면 결합 홈(12)은 제2 측면 보조 돌기(42)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형 본체(1)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는 본체 중공부(6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체 중공부(61)는 파렛트를 이동할 때 사용되는 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체 중공부(61)의 개구부는 지게차에 의해 본 파렛트(100)가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개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A형 본체(1)의 전후 방향 길이는 1000mm, 횡 방향 길이는 550mm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A형 본체(1)의 전후 방향 길이가 1000mm이고 횡 방향 길이가 550mm가 되는 경우, 본 파렛트(100)가 후술할 제1 타입으로 결합할 시 본 파렛트(100)는 T-11 타입과 호환될 수 있고, 본 파렛트(100)가 후술할 제2 타입으로 결합할 시 본 파렛트(100)는 T-12 타입과 호환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B형 본체 구성을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본 파렛트(100)는 B형 본체(2)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B형 본체(2)의 상면에는 화물이 적재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B형 본체(2)에는,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결합 홈(21)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측면 결합 홈(21)의 형태는, 제2 측면 결합 홈(21)이 제1 측면 결합 돌기(11), 후술할 제1 측면 보조 돌기(32) 및 후술할 제2 측면 보조 돌기(42)와 결합한 후 횡 방향(도 2 기준 10시-4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홈의 가장 깊숙한 부분에서 본 파렛트(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좀 더 함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결합 홈(21)은 제2 측면 결합 홈(21)이 제1 측면 결합 돌기(11), 후술할 제1 측면 보조 돌기(32) 및 후술할 제2 측면 보조 돌기(42)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면 결합 홈(21)의 형태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2 측면 결합 홈(21)의 형태는 기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측면 결합 홈(21)은 B형 본체(2)의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2 측면 결합 홈(21)은 B형 본체(2)의 타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측면 결합 홈(21)은 B형 본체(2)의 타측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결합 홈(21)은 B형 본체(2)의 타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 결합 홈(21) 은 제1 측면 결합 돌기(11), 후술할 제1 측면 보조 돌기(32) 및 후술할 제2 측면 보조 돌기(4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측면 결합 홈(21) 은 제1 측면 결합 돌기(11), 후술할 제1 측면 보조 돌기(32) 및 후술할 제2 측면 보조 돌기(42)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B형 본체(2)에는 전면에 횡 방향을 따라 전면 결합 홈(22)이 형성된다.
전면 결합 홈(22)의 형태는 전면 결합 홈(22)이 후술할 제1 측면 보조 돌기(32)와 결합한 후 전후 방향(도 2 기준 8시-2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홈의 가장 깊숙한 부분에서 본 파렛트(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좀 더 함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 결합 홈(22)은 전면 결합 홈(22)이 후술할 제1 측면 보조 돌기(32)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결합 홈(22)의 형태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전면 결합 홈(22)의 형태는 기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전면 결합 홈(22)은 B형 본체(2)의 전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전면 결합 홈(22)은 B형 본체(2)의 전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전면 결합 홈(22)은 B형 본체(2)의 전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 결합 홈(22)은 B형 본체(2)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결합 홈(22)은 후술할 제1 측면 보조 돌기(3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면 결합 홈(22)은 제1 측면 보조 돌기(32)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B형 본체(2)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는 본체 중공부(6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체 중공부(61)의 형태에 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B형 본체(2)의 전후 방향 길이는 1000mm, 횡 방향 길이는 550mm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B형 본체(2)의 전후 방향 길이가 1000mm이고 횡 방향 길이가 550mm가 되는 경우, 본 파렛트(100)가 후술할 제1 타입으로 결합할 시 본 파렛트(100)는 T-11 타입과 호환될 수 있고, 본 파렛트(100)가 후술할 제2 타입으로 결합할 시 본 파렛트(100)는 T-12 타입과 호환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A형 보조체 구성을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본 파렛트(100)는 A형 보조체(3)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형 보조체(3)에는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보조 홈(31)이 형성된다.
제1 측면 보조 홈(31)의 형태는 제1 측면 보조 홈(31)이 제1 측면 결합 돌기(11)와 결합한 후 횡 방향(도 3 기준 10시-4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홈의 가장 깊숙한 부분에서 본 파렛트(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좀 더 함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보조 홈(31)은 제1 측면 보조 홈(31)이 제1 측면 결합 돌기(11)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 보조 홈(31)의 형태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측면 보조 홈(31)의 형태는 기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측면 보조 홈(31)은 A형 보조체(3)의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 보조 홈(31)은 A형 보조체(3)의 타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측면 보조 홈(31)은 A형 보조체(3)의 타측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보조 홈(31)은 A형 보조체(3)의 타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보조 홈(31)은 제1 측면 결합 돌기(11)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 보조 홈(31)은 제1 측면 결합 돌기(11)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A형 보조체(3)에는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보조 돌기(32)가 형성된다.
제1 측면 보조 돌기(32)에는 제1 측면 보조 돌기(32)가 제2 측면 결합 홈(21)과 결합한 후 횡 방향(도 1 기준 10시-4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또한 제1 측면 보조 돌기(32)가 전면 결합 홈(22)과 결합한 후 전후 방향(도 3 기준 8시-2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돌기의 끝단에 본 파렛트(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제1 측면 보조 돌기(32)가 제2 측면 결합 홈(21) 및 전면 결합 홈(22)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 보조 돌기(32)의 형태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측면 보조 돌기(32)의 형태는 기 알려진 다양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A형 보조체(3)의 일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A형 보조체(3)의 일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A형 보조체(3)의 일측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A형 보조체(3)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전면 결합 홈(2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전면 결합 홈(22)과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A형 보조체(3)에는 횡 방향으로 개구되는 보조 중공부(6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조 중공부(62)는 파렛트를 이동할 때 사용되는 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조 중공부(62)의 개구부는 지게차에 의해 본 파렛트(100)가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개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형 보조체(3)의 전후 방향 길이는 550mm이고, 횡 방향 길이는 100mm가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A형 보조체(3)의 전후 방향 길이가 550mm이고 횡 방향 길이가 100mm가 되는 경우, 본 파렛트(100)가 후술할 제1 타입으로 결합할 시 본 파렛트(100)는 T-11 타입과 호환될 수 있고, 본 파렛트(100)가 후술할 제2 타입으로 결합할 시 본 파렛트(100)는 T-12 타입과 호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B형 보조체 구성을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본 파렛트(100)는 B형 보조체(4)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B형 보조체(4)에는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보조 홈(41)이 형성된다.
제2 측면 보조 홈(41)에는 제2 측면 보조 홈(41)이 제1 측면 결합 돌기(11)와 결합한 후 횡 방향(도 1 기준 10시-4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홈의 가장 깊숙한 부분에서 본 파렛트(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좀 더 함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보조 홈(41)은 제2 측면 보조 홈(41)이 제1 측면 결합 돌기(11)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면 보조 홈(41)의 형태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2 측면 보조 홈(41)의 형태는 기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측면 보조 홈(41)은 B형 보조체(4)의 타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2 측면 보조 홈(41)은 B형 보조체(4)의 타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측면 보조 홈(41)은 B형 보조체(4)의 타측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보조 홈(41)는 B형 보조체(4)의 타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 보조 홈(41)은 제1 측면 결합 돌기(11)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측면 보조 홈(41)은 제1 측면 결합 돌기(11)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B형 보조체(4)에는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보조 돌기(42)가 형성된다.
제2 측면 보조 돌기(42)에는 제2 측면 보조 돌기(42)가 제2 측면 결합 홈(21)과 결합한 후 횡 방향(도 1 기준 10시-4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또한 제2 측면 보조 돌기(42)가 후면 결합 홈(12)과 결합한 후 전후 방향(도 3 기준 8시-2시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돌기의 끝단에 본 파렛트(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보조 돌기(42)는 제2 측면 보조 돌기(42)가 제2 측면 결합 홈(21) 및 후면 결합 홈(12)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면 보조 돌기(42)의 형태는 갈고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2 측면 보조 돌기(42)의 형태는 기 알려진 다양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측면 보조 돌기(42)는 B형 보조체(4)의 일측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A형 보조체(3)의 일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A형 보조체(3)의 일측면에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측면 보조 돌기(42)는 B형 보조체(4)의 일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후면 결합 홈(1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측면 보조 돌기(32)는 후면 결합 홈(12)과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B형 보조체(4)에는 횡 방향으로 개구되는 보조 중공부(6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조 중공부(62)의 형태에 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B형 보조체(4)의 전후 방향 길이는 550mm이고, 횡 방향 길이는 100mm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B형 보조체(4)의 전후 방향 길이가 550mm이고 횡 방향 길이가 100mm가 되는 경우, 본 파렛트(100)가 후술할 제1 타입으로 결합할 시 본 파렛트(100)는 T-11 타입과 호환될 수 있고, 본 파렛트(100)가 후술할 제2 타입으로 결합할 시 본 파렛트(100)는 T-12 타입과 호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입체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형 보조체(3)는, A형 본체(1)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A형 보조체(3)의 전후 방향 길이가 A형 본체(1)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한다는 것은, A형 보조체(3)의 전후 방향 길이가 상호 오차범위 이내에서 A형 본체(1)의 횡 방향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A형 보조체(3)는 제1 측면 보조 돌기(32)가 전면 결합 홈(12) 및 제2 측면 결합 홈(21)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B형 보조체(4)는, B형 본체(2)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B형 보조체(4)의 전후 방향 길이가 B형 본체(2)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한다는 것은, B형 보조체(4)의 전후 방향 길이가 상호 오차범위 이내에서 B형 본체(2)의 횡 방향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B형 보조체(4)는 제2 측면 보조 돌기(42)가 후면 결합 홈(22) 및 제2 측면 결합 홈(21)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제1 타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입체 개념도이고, 도 6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제1 타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파렛트의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B형 보조체(4)는 A형 보조체(3)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A형 보조체(3)와 B형 보조체(4)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길이는 A형 본체(1)의 전후 방향 길이 및 B형 본체(2)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A형 보조체(3)와 B형 보조체(4)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경우 후술할 중첩 연결부(5)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A형 보조체(3)와 B형 보조체(4)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길이는, A형 보조체(3)와 B형 보조체(4)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후술할 중첩 연결부(5)의 중첩 길이를 고려하여 A형 본체(1)의 전후 방향 길이 및 B형 본체(2)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형 보조체(3)와 B형 보조체(4)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길이는 A형 보조체(3)와 B형 보조체(4)가 상호 중첩 되는 부분을 고려하여 A형 본체(1)의 전후 방향 길이 및 B형 본체(2)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A형 보조체(3)와 B형 보조체(4)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길이가 A형 본체(1)의 전후 방향 길이 및 B형 본체(2)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된다는 것은, A형 보조체(3)와 B형 보조체(4)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길이가 상호 오차범위 이내에서 A형 본체(1)의 전후 방향 길이 및 B형 본체(2)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파렛트(100)는 제1 측면 보조 홈(31)이 제1 측면 결합 돌기(11)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파렛트(100)는 제2 측면 보조 홈(41)이 제1 측면 결합 돌기(11)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측면 결합 돌기(11)에 제1 측면 보조 홈(31) 및 제2 측면 보조 홈(41)이 결합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본 파렛트(100)의 상면의 형태는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 결합 돌기(11)에 제1 측면 보조 홈(31) 및 제2 측면 보조 홈(41)이 결합되는 경우, 제1 측면 보조 홈(31)과 제2 측면 보조 홈은 후술할 중첩 연결부(5)를 형성하며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파렛트(100)는 복수의 타입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파렛트(100)는 제1 측면 결합 돌기(11)에 제1 측면 보조 홈(31) 및 제2 측면 보조 홈(41)이 결합되고, 제2 측면 결합 홈(21)에 제1 측면 보조 돌기(32) 및 제2 측면 보조 돌기(42)가 결합되되, A형 보조체(3) 및 B 형 보조체(4)는 상호 전후 방향으로 중첩 연결부(5)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1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파렛트(100)가 제1 타입으로 결합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본 파렛트(100)의 상면은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첩 연결부(5)는 A형 보조체(3) 및 B형 보조체(4)를 상호 전후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중첩 연결부(5)의 전후 방향 길이는 100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A형 보조체(3) 및 B형 보조체(4)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가 550mm이고, 횡 방향 길이가 100mm이며, A형 본체(1) 및 B형 본체(2)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가 1000mm이고, 횡 방향 길이가 550mm이 되는 경우, A형 보조체(3) 및 B형 보조체(4)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길이가 A형 본체(1)의 전후 방향 길이 및 B형 본체(2)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타입은 상면의 가로길이가 1200mm이고, 상면의 세로길이가 1000mm인 형태로 구비되는 T-12 타입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파렛트(100)가 제1 타입으로 결합되는 경우, 본 파렛트(100)는 현재 국내 파렛트의 복수표준으로 사용되는 T-11 및 T-12 중 T-12 타입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파렛트(100)가 제1 타입으로 결합되는 경우 중첩 연결부(5)는 A형 보조체(3)에 구비되는 받침부재(33)와 B형 보조체(4)에 구비되는 안착부재(43)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재(33)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하향 함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턱은 상술한 제1 측면 보조 홈(31) 및 제1 측면 보조 돌기(32)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정도로 하향 함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33)의 전후 방향 길이는 후술할 안착부재(43)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안착부재(43)는 단턱면 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안착부재(43)는 B형 보조체(4)의 상면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재(43)의 전후 방향 길이는 받침부재(33)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B형 보조체(3)에는 받침부재(33)와 안착부재(43)를 결합시켜주는 고정핀(4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핀(44)은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핀(44)의 높이는 A형 보조체(3) 및 B형 보조체(4)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받침부재(33)와 안착부재(43)가 고정핀(44)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고정핀(44)이 본 파렛트(10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본 파렛트(100)의 상면에 적재되는 화물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정핀(44)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재(33)에는 고정핀(44)이 통과 가능한 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33)에 형성된 홀(331)은 고정핀(44)이 받침부재(33)에 형성된 홀(331)을 통과하여 받침부재(33)의 하면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받침부재(33)의 하면이 막혀있게 되어, 본 파렛트(100)를 들어올렸을 때 고정핀(44)이 받침부재(33)와 안착부재(43)를 결합한 상태로 본 파렛트(100)와 함께 이동되도록 받침부재(33)의 홀(33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안착부재(43)에는 고정핀(44)이 통과 가능한 홀(43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재(43)에 형성된 홀(431)의 위치 및 크기는 상술한 받침부재(33)에 형성된 홀(331)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44)에는 RFID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FID는 기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핀(44)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제2 타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입체 개념도이고, 도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호환 파렛트의 제2 타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파렛트의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본 파렛트(100)는 전면 결합 홈(22)에 제1 측면 보조 돌기(32)가 결합되고, 후면 결합 홈(12)에 제2 측면 보조 돌기(42)가 결합되며, 제2 측면 결합 홈(21)에 제1 측면 결합 돌기(11)가 결합되는 제2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파렛트(100)가 제2 타입으로 결합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본 파렛트(100)의 상면은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타입은 상면의 가로길이가 1100mm이고, 상면의 세로길이가 1100mm인 형태로 구비되는 T-11 타입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파렛트(100)가 제2 타입으로 결합되는 경우, 본 파렛트(100)는 현재 국내 파렛트의 복수표준으로 사용되는 T-11 및 T-12 중 T-11 타입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파렛트(100)는 현재 국내 파렛트의 복수표준으로 사용되는 T-11 및 T-12 모두와 호환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본 파렛트(100)가 제2 타입으로 조립되는 경우, A형 보조체(3)에는 단턱면이 형성된 단차높이에 대응하는 두부 두께를 갖는 고정마개(3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마개(34)는 상술한 받침부재(33)에 형성된 홀(3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마개(34)는 본 파렛트(100)가 제2 타입으로 조립되는 경우 받침부재(33)에 결합될 수 있고, 본 파렛트(100)가 제1 타입으로 조립되는 경우 받침부재(33)와 분리되어 따로 보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고정마개(34)의 두부 두께는, 본 파렛트(100)가 제1 타입으로 조립되는 경우, 본 파렛트(100)의 상면이 편평하게 될 수 있도록, 받침부재(33)에 형성된 단턱의 단차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파렛트(100)가 제2 타입으로 조립되는 경우, 본체 중공부(61)와 보조 중공부(62)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체 중공부(61) 및 보조 중공부(62) 각각의 위치 및 크기가 상호 오차범위 이내에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변형 호환 파렛트
1: A형 본체
11: 제1 측면 결합 돌기
12: 후면 결합 홈
2: B형 본체
21: 제2 측면 결합 홈
22: 전면 결합 홈
3: A형 보조체
31: 제1 측면 보조 홈
32: 제1 측면 보조 돌기
33: 받침부재
331: 고정핀이 통과 가능한 홀
34: 고정마개
4: B형 보조체
41: 제2 측면 보조 홈
42: 제2 측면 보조 돌기
43: 안착부재
431: 고정핀이 통과 가능한 홀
44: 고정핀
5: 중첩 연결부
61: 본체 중공부
62: 보조 중공부

Claims (11)

  1. 화물이 상면에 적재되는 파렛트에 있어서,
    횡 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후면에 횡 방향을 따라 후면 결합 홈이 형성되는 A형 본체;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결합 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횡 방향을 따라 전면 결합 홈이 형성되는 B형 본체;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보조 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측면 보조 돌기가 형성되는 A형 보조체; 및
    횡 방향 양측면 중 타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보조 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A형 보조체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B형 보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A형 보조체는, 상기 A형 본체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B형 보조체는, 상기 B형 본체의 횡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A형 보조체와 상기 B형 보조체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된 길이는 상기 A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및 상기 B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형 보조체는, 상기 제1 측면 보조 돌기가 상기 전면 결합 홈 및 상기 제2 측면 결합 홈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측면 보조 홈이 상기 제1 측면 결합 돌기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B형 보조체는, 상기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상기 후면 결합 홈 및 상기 제2 측면 결합 홈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측면 보조 홈이 상기 제1 측면 결합 돌기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변형 호환 파렛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는 복수의 타입으로 조립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타입은,
    상기 제1 측면 결합 돌기에 상기 제1 측면 보조 홈 및 상기 제2 측면 보조 홈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면 결합 홈에 상기 제1 측면 보조 돌기 및 상기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결합되되, 상기 A형 보조체 및 상기 B 형 보조체는 상호 전후 방향으로 중첩 연결부를 가지며 연결되는 것인 제1 타입; 및
    상기 전면 결합 홈에 상기 제1 측면 보조 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후면 결합 홈에 상기 제2 측면 보조 돌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측면 결합 홈에 상기 제1 측면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제2 타입을 포함하는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형 보조체와 상기 B형 보조체가 상호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중첩 연결부의 중첩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A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및 상기 B형 본체의 전후 방향 길이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A형 보조체 및 상기 B형 보조체의 길이가 설정되는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일 경우 상기 중첩 연결부는 상기 A형 보조체에 구비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B형 보조체에 구비되는 안착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단턱면을 형성하도록 하향 함몰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단턱면 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B형 보조체에는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안착부재를 결합시켜주는 고정핀이 더 포함되되,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고정핀이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재에는 상기 고정핀이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는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일 경우,
    상기 A형 보조체에는 상기 단턱면이 형성된 단차높이에 대응하는 두부 두께를 갖는 고정마개가 배치되는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에는 RFID가 구비되는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형 본체 및 상기 B형 본체 각각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는 본체 중공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A형 보조체 및 상기 B형 보조체에는 횡 방향으로 개구되는 보조 중공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2 타입으로 조립되는 경우, 상기 본체 중공부와 상기 보조 중공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은 상면의 가로길이가 1200mm이고, 상면의 세로길이가 1000mm인 형태로 구비되는 T-12 타입이고,
    상기 제2 타입은 상면의 가로길이가 1100mm이고, 상면의 세로길이가 1100mm인 형태로 구비되는 T-11 타입인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형 본체 및 상기 B형 본체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는 1000mm이고, 횡 방향 길이는 550mm이며,
    상기 A형 보조체 및 상기 B형 보조체 각각의 전후 방향 길이는 각각 550mm이고, 횡 방향 길이는 100mm이며,
    상기 중첩 연결부의 전후 방향 길이는 100mm인 것인, 가변형 호환 파렛트.
KR2020200000309U 2020-01-22 2020-01-22 가변형 호환 파렛트 KR200494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09U KR200494141Y1 (ko) 2020-01-22 2020-01-22 가변형 호환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09U KR200494141Y1 (ko) 2020-01-22 2020-01-22 가변형 호환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70U true KR20210001770U (ko) 2021-07-30
KR200494141Y1 KR200494141Y1 (ko) 2021-08-12

Family

ID=7712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09U KR200494141Y1 (ko) 2020-01-22 2020-01-22 가변형 호환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1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285B1 (ko) 2023-09-12 2024-06-04 어스그린코리아(주) 적재 면적 확장이 가능한 조립형 파렛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789Y1 (ko) * 1999-09-10 2000-03-15 주식회사코니무역 블록 바닥판 구조
KR20060039152A (ko) * 2004-11-02 2006-05-08 박일동 적재면적 가변 파렛트
WO2017023163A1 (en) * 2015-08-06 2017-02-09 Yap Swee Wun Modular pallet assembly
KR102026668B1 (ko) * 2019-07-30 2019-09-30 김창규 가변형 파렛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789Y1 (ko) * 1999-09-10 2000-03-15 주식회사코니무역 블록 바닥판 구조
KR20060039152A (ko) * 2004-11-02 2006-05-08 박일동 적재면적 가변 파렛트
WO2017023163A1 (en) * 2015-08-06 2017-02-09 Yap Swee Wun Modular pallet assembly
KR102026668B1 (ko) * 2019-07-30 2019-09-30 김창규 가변형 파렛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141Y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559B1 (ko) 합성수지 팔레트
KR200494141Y1 (ko) 가변형 호환 파렛트
US10556720B2 (en) Foldable pallet deck
JP4770669B2 (ja) 車両用ラゲッジ構造
KR101018337B1 (ko) 팔레트 시스템
JP6995356B2 (ja) パレット
KR101886148B1 (ko) 코너 브라켓 및 코너 브라켓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그리고 코너브라켓을 포함하는 화물 운반용 팔레트
KR20200144784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71B1 (ko) 가변형 파렛트
JP3112499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および組み立て式コンテナユニット
JP2018140815A (ja) 容器
KR102192166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JP2022074436A (ja) 輸送パレットの段積み用サポートフレーム
JP7423045B2 (ja) パレット
KR102026673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6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7B1 (ko) 가변형 파렛트
JP6007452B2 (ja)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KR101029110B1 (ko) 상자형 파렛트
JP5721091B1 (ja)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US20240174442A1 (en) Article Storage Shelf
JP6040586B2 (ja) パレット
KR102218290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JP4334110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