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595U -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595U
KR20210001595U KR2020200004187U KR20200004187U KR20210001595U KR 20210001595 U KR20210001595 U KR 20210001595U KR 2020200004187 U KR2020200004187 U KR 2020200004187U KR 20200004187 U KR20200004187 U KR 20200004187U KR 20210001595 U KR20210001595 U KR 202100015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nary
pair
hanger
transition section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이
Original Assignee
최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이 filed Critical 최윤이
Priority to KR2020200004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595U/ko
Publication of KR20210001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6Compensation means for variation i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는 이행구간의 전차선 한쌍이 터널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로 배열 고정되는 하측의 전차선홀딩부, 및 이행구간의 터널 천장에 매달리며, 상기 전차선 한쌍 상호간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차선홀딩부를 좌우방향으로 기울기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의 조정행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직류전기철도 이행구간의 터널에 조가되는 전차선 한쌍이 팬터그래프와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게 전차선 한쌍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측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전차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Slope adjustable device for fixing electric car line}
본 고안은 전차선 고정장치로서, 특히 지상부와 지하부의 이행구간에서 전차선 한쌍을 기울기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는 전차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궤도 위의 열차나 차량을 운행하는 철도로서, 전기방식에 따라 직류전기철도와 교류전기철도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전기철도는 전차선로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운행되는데, 전차선로는 부하인 전기차의 팬터그래프(pantograph, 집전장치)에 전력을 직접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전차선, 조가선 등의 가선설비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차선로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가공식(Overhead System)과 제3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가공식 전차선로는 다시 커티너리 조가방식(Catenary System)과 강체 조가방식(Rigid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커티너리 조가방식은 전기차의 속도향상을 위하여 이선율(離線率)을 작게 하고 동시에 지지물의 경간을 크게 하기 위한 방식으로 전차선 상부에 조가선을 설치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행거에 의해 전차선을 조가선에 매달아 전차선을 레일 위 일정높이에 가선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커티너리 조가방식은 소요 가선고가 높고 복잡하며, 협소한 지하공간에서의 전차선 단선에 따른 안전상 문제와 보수작업의 곤란성 및 터널 단면의 대폭적인 확대에 따른 과다한 건설비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지하구간에는 적용이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터널 이외의 지상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
반면, 상기 강체 조가방식은 지하구간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어진 가선방식으로서, 터널 천장 또는 측면에 애자 또는 브래킷을 취부하여 강체를 지지하고 전차선을 강체에 완전하게 일체화시켜 고정하는 조가방식이다.
이러한 강체 조가방식은 T-Bar 방식과 R-Bar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국내에서는 DC 1,500V용 직류전기철도에서는 대전류로 인한 강체 접속개소의 아크 손상 등을 고려하여 T-Bar가 적용되고 있고, AC 25kV용 교류전기철도에서는 절연이격 거리 확보 등을 고려하여 R-Bar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강체 조가방식은 조가선, 장력장치, 곡선당김장치 등이 불필요하여 설비가 간단하기 때문에 터널구조물의 단면적을 줄여 건설비를 절감할 수 있음과 함께, 단선의 염려가 없는 안전성을 가지면서 유지보수도 쉬운 장점이 있으므로 터널 과 같이 공간이 협소한 지하구간에 적용되고 있다.
위와 같이 전기철도는 조가방식의 장단점에 따라 지상구간에서는 커티너리 조가방식의 전차선로(이하, “커티너리 전차선로”로 약칭함.)가 적용되고 터널 등의 지하구간에서는 강체 조가방식의 전차선로(이하, “강체전차선로”로 약칭함.)가 적용되고 있는데, 추종성과 압상량이 상대적으로 큰 지상부의 커티너리 전차선로와 추종성이 없으면서 압상량이 제로에 가까운 지하부의 강체전차선로 사이에는 기계적 특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전기차가 양 전차선로 시스템을 통과하는 경우 팬터그래프의 충격 손상, 전차선의 단선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압상량에 따른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지상부의 커티너리 전차선로와 지하부의 강체전차선로 사이에는 각 시스템 사이의 압상량 차이를 점차적으로 완화시켜 팬터그래프의 고장, 손상 등을 방지하고 원활한 팬터그래프 습동으로 각각의 전차선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안전하게 전기차가 운행될 수 있도록 이행구간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행구간에 있어서, 특히 도시철도에서 채택 적용하고 있는 직류전기철도의 경우에는 지상부의 심플 커티너리(Simple-Catenary) 전차선로와 지하부의 T-Bar 강체전차선로 사이에 중간 정도의 압상량을 갖는 트윈 커티너리(Twin-Catenary) 전차선로를 채택하여 이행장치로서 사용하고 있다.
상기 트윈 커티너리 전차선로는 1조의 조가선과 전차선을 갖는 심플 커티너리 조가방식의 가선을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2조로 병렬 가선한 방식으로서, 팬터그래프와 접촉하는 전차선이 한쌍을 이루게 됨으로써 심플 커티너리 전차선로와 강체전차선로 사이의 중간 정도의 팬터그래프 압상량을 갖게 된다.
이렇게 지상부와 지하부의 이행구간에 사용되는 트윈 커티너리 전차선로는 통상적으로 터널 외부 약 300∼400m에서부터 터널 내부 약 50∼60m 구간에 걸쳐 설치가 이루어지며, 전차선 한쌍은 터널 외부 구간에서는 한쌍의 조가선을 통한 커티너리 방식으로 조가가 이루어지되, 터널 내부 구간에서는 터널 천장의 애자에 지지된 전차선 고정장치에 의하여 일정간격 마다 고정되는 방식으로 조가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행구간의 전차선 한쌍을 터널 내부에 조가하는 종래의 전차선 고정장치는 터널 천장에 설치된 애자에 지지되면서 단순히 전차선 한쌍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차선 고정장치는 전차선 한쌍의 수평도를 맞추기 어려움과 함께 곡선 구간의 궤도 기울기에 적절하게 대응되지도 못하기 때문에, 전차선 한쌍이 팬터그래프와 균일하게 접촉되지 못하고 한쌍 중 일측 전차선만 지속적으로 팬터그래프와 접촉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전차선 한쌍이 균일하게 접촉되지 못하고 일측 전차선만 팬터그래프와 접촉되면 팬터그래프의 압상량을 점차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한 이행장치로서의 기능이 저하되어 팬터그래프의 손상 가능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또한, 트윈 커티너리는 팬터그래프의 압상량을 억제하므로 심플 커티너리에 비하여 전차선의 마모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 따라서 일측 전차선만 팬터그래프와 지속적으로 접촉되면, 접촉되는 일측 전차선의 마모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전차선의 수명이 단축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전차선의 잦은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083717호 : 직류 강체 전차선로용 지지애자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940호 : 지하철용 전차선 고정장치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직류전기철도 이행구간의 터널에 조가되는 전차선 한쌍이 팬터그래프와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게 전차선 한쌍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측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전차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는 이행구간의 전차선 한쌍이 터널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로 배열 고정되는 하측의 전차선홀딩부, 및 이행구간의 터널 천장에 매달리며, 상기 전차선 한쌍 상호간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차선홀딩부를 좌우방향으로 기울기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의 조정행거부를 포함하는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전차선홀딩부는, 제1홀딩편의 좌우에 한쌍의 제2홀딩편이 볼트 체결되어 전차선 한쌍을 고정하는 전차선홀더와, 상기 한쌍의 제2홀딩편에서 좌우 양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조정행거부에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행거부는, 터널 천장에 매달리는 행거헤드와, 상기 행거헤드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상부행거암과, 상기 전차선홀딩부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하부행거암과, 상기 한쌍의 상부행거암과 하부행거암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각각 조정하는 한쌍의 조정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행거암과 하부행거암 각각의 일단부에는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조정커넥터의 양단부에는 상기 상부행거암과 하부행거암 각각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는 한쌍의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에 의하면,
직류전기철도 이행구간의 터널에 조가되는 전차선 한쌍이 팬터그래프와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궤도의 기울기 등을 고려하여 전차선 한쌍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팬터그래프의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시킴과 함께, 일측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전차선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전차선 교체에 따른 자재비와 인건비 등 유지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고안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직류전기철도의 통상적인 지상부와 지하부의 이행구간을 개략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 고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차선 고정장치의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전차선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 및 전차선 한쌍의 기울기가 조정된 상태를 각각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도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직류전기철도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이행구간인 터널에 설치되어 트윈 커티너리 조가방식으로 가선된 전차선 한쌍을 기울기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이다.
즉, 도 1에 간략하게 일 예시된 것처럼, 직류전기철도의 경우, 지상부에는 심플 커티너리 전차선로(S.C)가 적용되어 있고, 지하부에는 T-Bar 강체조가방식이 적용되어 있으며, 지상부와 지하부의 이행구간에는 팬터그래프의 압상력 완화를 위한 이행장치로서 트원 커티너리 전차선로(T.C)가 설치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트원 커티너리 전차선로의 전차선(E) 한쌍을 터널 내부에 고정하되, 전차선(E) 한쌍이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와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궤도의 기울기 등에 따라 전차선(E) 한쌍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10, 이하, “전차선 고장장치”로 약칭함.)의 구성 및 작용이 일 예시되어 있다.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는 전차선홀딩부(100)와, 조정행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차선홀딩부(100)는 이행구간의 전차선(E) 한쌍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조정행거부(300)의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조정행거부(300)는 이행구간의 터널 천장에 매달리며, 상기 전차선홀딩부(100)의 상측에서 전차선홀딩부(100)를 지지하되,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게 전차선홀딩부(10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먼저, 상기 전차선홀딩부(1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차선홀딩부(100)는 도 1 및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전차선홀더(110)와, 지지윙(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차선홀더(110)는 전차선(E) 한쌍을 실질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홀딩편(111)과, 한쌍의 제2홀딩편(113)과, 체결볼트(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홀딩편(111)은 중앙에 위치되고, 한쌍의 제2홀딩편(113)은 좌우 대칭을 이루어 제1홀딩편(111)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며, 체결볼트(115)는 제1홀딩편(111) 및 한쌍의 제2홀딩편(113)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제1홀딩편(111)의 하단 좌우 측면에는 전차선(E)이 걸릴 수 있도록 물림편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한쌍의 제2홀딩편(113) 각각의 하단 일측면에도 물림편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차선홀더(110)는, 중앙의 제1홀딩편(111)과 좌우측 한쌍의 제2홀딩편(113) 사이에 전차선(E) 한쌍이 물려 지지된 상태에서 체결볼트(115)가 제1홀딩편(111) 및 한쌍의 제2홀딩편(113)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전차선(E) 한쌍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지지윙(130)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차선홀더(110), 구체적으로 한쌍의 제2홀딩편(113)에서 좌우 양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지지윙(130)은 각각의 단부가 상기 조정행거부(300),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한쌍의 하부행거암(350)과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한쌍의 지지윙(130)은 전차선홀더(110)에 고정된 전차선(E) 한쌍의 위치와 조정행거부(300)에 의한 좌우 높이조정점의 수평간격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조정행거부(300)의 조정에 의하여 전차선홀더(110)에 고정된 전차선(E) 한쌍의 기울기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정행거부(3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정행거부(300)는 도 1 및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행거헤드(310)와,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과, 조정커넥터(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거헤드(310)는 터널 천장에 매달리는 부분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터널 천장에 고정 설치된 애자(30)의 지지대(31)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행거헤드(310)는 팬터그래프의 압상력에 의해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지대(31)를 따라 일정범위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의 직선부(311)를 갖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에는 지지대(31)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스톱볼트(313)가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행거암(330)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헤드(310)의 좌우 양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상부행거암(330)은 후술하는 하부행거암(350) 및 조정커넥터(370)를 통해 한쌍의 지지윙(130)과 연결되므로, 중앙의 행거헤드(310)로부터 좌우 양측 하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행거암(350)은 상부행거암(330)에 대응하여 역시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차선홀딩부(100)의 좌우 양단,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지지윙(130)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어 전차선홀딩부(100)를 지지한다.
여기서, 하부행거암(350)과 지지윙(130)은 상호간에 회동 및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를 위한 일 예로서, 하부행거암(350)의 하단에는 체결후크(353)가 형성되고, 지지윙(130)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후크(353)가 회동 및 유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후크결합편(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커넥터(370)는 한쌍의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 사이에 구비되며, 따라서, 조정커넥터(370) 또한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한쌍의 조정커넥터(370)는 한쌍의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 각각의 사이에 결합되어 한쌍의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각각 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의 단부에는 각각 수나사부(331, 351)가 형성되고, 상기 조정커넥터(370)의 양단부에는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 각각의 수나사부(331, 351)가 각각 체결될 수 있는 한쌍의 암나사부(371)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부행거암(330)의 수나사부(331)와 하부행거암(350)의 수나사부(351)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조정커넥터(370)의 암나사부(371) 한쌍 또한 상호 반대방향의 암나사산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상부행거암(330)의 수나사부(331)가 오른나사로 형성되면 하부행거암(350)의 수나사부(351)는 왼나사로 형성되는 것이며, 조정커넥터(370)의 암나사부(371) 한쌍도 이에 대응하여 상호 반대방향의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조정커넥터(37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행거암(330)의 수나사부(331)와 하부행거암(350)의 수나사부(351)의 체결깊이가 동시에 증가되면서(즉,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이 조정커넥터(370) 내부로 깊게 삽입되면서)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이 서로 접근하게 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깊이가 동시에 감소되면서 서로 이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조정행거부(300)는, 기본적으로는 전차선(E) 한쌍이 고정된 전차선홀딩부(100)를 지지하되, 한쌍의 조정커넥터(370) 각각의 회전 조작을 통하여 전차선홀딩부(100)에 고정된 전차선(E) 한쌍의 기울기를 다양하게 조정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우측의 조정커넥터(370)를 조작하여 우측의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키면(물론, 이 때, 좌측의 조정커넥터(370)를 이격거리가 증가되도록 함께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차선홀딩부(10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이에 고정된 전차선(E) 한쌍의 기울기 또한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조정이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일 예시된 것처럼, 좌측의 조정커넥터(370)를 조작하여 좌측의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키면(물론, 이 때, 우측의 조정커넥터(370)를 이격거리가 증가되도록 함께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차선홀딩부(100)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이에 고정된 전차선(E) 한쌍의 기울기 또한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정커넥터(370)는 작업자가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육각 단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수나사부(331, 351)의 체결깊이를 조정커넥터(370)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정커넥터(37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크슬릿(3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10)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의 고정장치(10)가 설치될 터널 내부의 궤도 기울기 등의 데이터에 따라 한쌍의 조정커넥터(370)를 회전 조작하여 전차선홀딩부(100)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여기서, 전차선홀딩부(100)는 반드시 수평상태에서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궤도가 수평인 경우 전차선홀딩부(100)는 당연히 수평상태가 되도록 조정된다.
이렇게 기울기 조정이 완료되면, 조정행거부(300)를 애자(30)의 지지대(31)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이러한 조정행거부(300)에 지지된 전차선홀딩부(100)에 이행구간의 전차선(E) 한쌍을 물려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위와 같이 설치된 경우, 전차선(E) 한쌍은 궤도 기울기, 즉 전기차의 팬터그래프(P)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 4와 도 5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전차선(E) 한쌍이 팬터그래프(P)와 항상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팬터그래프(P)와 전차선(E) 한쌍의 기울기 차이에 따른 일측 전차선의 편마모 문제가 효율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전차선홀딩부(100)의 기울기 조정을 완료한 후 조정행거부(300)를 설치하고 전차선(E) 한쌍을 고정하는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순서는 설명을 위한 일 예시일 뿐으로서, 전차선(E)을 먼저 전차선홀딩부(100)에 고정한 상태에서 한쌍의 조정커넥터(370)를 회전 조작하여 전차선(E) 한쌍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살펴보았는 바, 본 고안에 따르면 직류전기철도 이행구간의 터널에 조가되는 전차선 한쌍이 팬터그래프와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궤도의 기울기 등을 고려하여 전차선 한쌍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울기의 용이한 조정을 통하여, 팬터그래프의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시킴과 함께, 일측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전차선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전차선 교체에 따른 자재비와 인건비 등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전차선홀딩부 110: 전차선홀더
130: 지지윙 300: 조정행거부
310: 행거헤드 330: 상부행거암
350: 하부행거암 370: 조정커넥터

Claims (4)

  1.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는 이행구간의 전차선(E) 한쌍이 터널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로 배열 고정되는 하측의 전차선홀딩부(100); 및
    이행구간의 터널 천장에 매달리며, 상기 전차선(E) 한쌍 상호간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차선홀딩부(100)를 좌우방향으로 기울기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측의 조정행거부(300);를 포함하는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차선홀딩부(100)는,
    제1홀딩편(111)의 좌우에 한쌍의 제2홀딩편(113)이 체결볼트(115)에 의해 체결되어 전차선(E) 한쌍을 고정하는 전차선홀더(110); 및
    상기 한쌍의 제2홀딩편(113)에서 좌우 양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조정행거부(300)에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윙(130);을 포함하는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행거부(300)는,
    터널 천장에 매달리는 행거헤드(310)와;
    상기 행거헤드(3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상부행거암(330)과;
    상기 전차선홀딩부(100)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하부행거암(350); 및
    상기 한쌍의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각각 조정하는 한쌍의 조정커넥터(370);를 포함하는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행거암(330)과 하부행거암(350) 각각의 일단부에는 수나사부(331, 35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조정커넥터(370)의 양단부에는 상기 수나사부(331, 351)가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암나사부(371)가 형성되는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KR2020200004187U 2020-01-02 2020-11-19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KR202100015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87U KR20210001595U (ko) 2020-01-02 2020-11-19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169 2020-01-02
KR2020200004187U KR20210001595U (ko) 2020-01-02 2020-11-19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169 Division 2020-01-02 2020-0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95U true KR20210001595U (ko) 2021-07-12

Family

ID=7686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87U KR20210001595U (ko) 2020-01-02 2020-11-19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59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17B1 (ko) 2009-07-30 2011-11-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류 강체 전차선로용 지지애자
KR20110010940U (ko) 2010-05-18 2011-11-24 윤종주 지하철용 전차선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17B1 (ko) 2009-07-30 2011-11-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류 강체 전차선로용 지지애자
KR20110010940U (ko) 2010-05-18 2011-11-24 윤종주 지하철용 전차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6757B2 (en) Contact apparatus and charging contact unit,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vehicle to a charging station
KR100739328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US9845024B2 (en) Gantry type movable catenary system at a railway crossing
JP4744605B2 (ja) 剛体電車線用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
CN113352953B (zh) 一种接触网交叉线索隔离装置
KR20210001595U (ko) 기울기조정 가능한 이행구간의 전차선 고정장치
CN112776677A (zh) 一种适用于大载流量电气化铁路接触网悬挂结构
KR101549047B1 (ko)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20110010940U (ko) 지하철용 전차선 고정장치
KR20140103629A (ko)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102599071B1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CN207466411U (zh) 高净空巷道下三轨体式刚性悬挂接触网
KR20170039432A (ko) 강체전차선
KR102579545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KR20160092200A (ko) 터널브래키트용 암지지금구 및 곡선당김금구
US1597813A (en) Conductor support
KR102602939B1 (ko) 강체전차선 및 강체전차선 평행개소
JP3197296B2 (ja) カテナリ架線の碍子型区分装置
CN214295589U (zh) 窄轨无人驾驶电机车防挂断受电弓
CN215705810U (zh) 一种绝缘悬挂结构及绝缘接触网悬挂系统
CN203805721U (zh) 一种刚性悬挂双线接触网
KR102636557B1 (ko)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CN110077287B (zh) 用于有色矿山地面窄轨牵引供电线路的架设装置
KR101558818B1 (ko) 전차선로의 가동브래키트 조정공구
KR102579550B1 (ko) 전차 선로용 급전선 지지앵글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