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478U -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478U
KR20210001478U KR2020190005196U KR20190005196U KR20210001478U KR 20210001478 U KR20210001478 U KR 20210001478U KR 2020190005196 U KR2020190005196 U KR 2020190005196U KR 20190005196 U KR20190005196 U KR 20190005196U KR 20210001478 U KR20210001478 U KR 202100014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r back
coupled
reinforcing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995Y1 (ko
Inventor
장정기
Original Assignee
장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기 filed Critical 장정기
Priority to KR2020190005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9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외압이 가해지는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프레임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좌판의 하측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결합부의 저면에 상측 면이 밀착되어 프레임에 외압이 가해지는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프레임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끝단에는 결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부에 밀착되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중량에 의한 급격한 외압이 등받이에 가해지거나, 등받이의 오랜 사용에 의하여 프레임의 형상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of frame for chair back}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에 결합된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외압이 가해지는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프레임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그 사용의 용도, 목적 등이나 재질, 구조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의자의 대체적인 구조는 의자의 골격을 유지토록 하는 프레임 상에 지지다리와 좌판, 등받이, 팔걸이 등이 갖추어져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의자들의 구조에서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나 또는 공부하는 학생들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하여서는 등받이의 구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대두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도 등받이의 구조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의자프레임의 후방에 탄성력이 있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이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등받이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등을 기댈시 지지프레임의 탄성력에 의해 체중을 완충하여 편안함을 더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는 탄력을 가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등받이를 연결토록 구성하는 것이나, 이러한 연결구는 금속재질의 볼트 및 너트 등으로 단순히 체결토록 하는 구성으로써 제조성, 조립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일반적인 연결구들은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 더불어 등받이 측으로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이 연결구 측으로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체결력이 쉽게 풀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2431호에서는 고무재질로 성형 되면서도 결합공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너트가 인서트 되어 사출성형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체결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금
속 재질의 클립을 이용하여 의자의 등받이를 프레임 상에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등받이 측으로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을 효율적으로 완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급격한 외압이 작용하거나 잦은 사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고, 심지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 프레임에 보강부재를 결합하여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강부재의 구성 및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더욱 경제적인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는 좌판의 하측에 설치된 결합부(10)에 결합되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결합부(10)의 저면에 상측 면이 밀착되어 프레임에 외압이 가해지는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프레임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끝단에는 결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에 의하면,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부에 밀착되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중량에 의한 급격한 외압이 등받이에 가해지거나, 등받이의 오랜 사용에 의하여 프레임의 형상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강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강부재와 프레임의 결합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강부재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보 고안에 의한 보강부재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보강부재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보강부재와 프레임의 결합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과 등받이를 연결하는 금속재질의 프레임(20)에 보강부재(30)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0)가 결합부(10)에 지지되어 등받이에 급격한 외압이 작용하거나 오랜 사용에 의해 프레임(20)의 형성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소정의 두께를 이루는 금속을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대략 'ㄴ'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프레임(20)의 일단은 좌판의 하측에 결합된 결합부(10)의 삽입부(11)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타단에는 등받이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중량에 의해 등받이에 가해지는 외압은 결합부(10)의 삽입부(11)에 삽입된 부분의 외측으로 근접한 프레임(20)에 집중되어, 반복된 사용시 프레임(20)이 구부러지는 문제점이 나타나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프레임(20)의 하측에 보강부재(30)를 용접에 의해 결합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30)는 프레임(20)의 하측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20)의 저면과 간격을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20)을 삽입부(11)에 삽입하면 보강부재(30)의 상측 면은 결합부(10)의 저면에 밀착하게 되고, 이때 복수의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부(10), 프레임(20), 보강부재(30)를 견고히 고정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상기 보강부재(30)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홀(31)이 형성되어 있고, 끝단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30)는 절곡부(32)를 프레임(20)의 하측에 용접에 의해 결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2의 절곡부(32)와 프레임(20)의 결합부위에는 용접비드(B)를 표현한 것이며, 상기 결합부(10) 및 프레임(20)에는 볼트홀(31)과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홀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를 관통하여 너트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재(30)는 결합부(10)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등받이에 외압이 작용하게 되면 삽입부(11)에 삽입된 프레임(20) 부위와 보강부재(30)가 함께 외압을 지지하게 되어 프레임(2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30a)의 상측에 슬롯(33)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부(10) 및 프레임(20)에 삽입되는 볼트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30b)의 절곡부(32) 끝단에 수평으로 이루어진 밀착부(34)를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밀착부(34)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30b)와 프레임(2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용접비드(B)에 의해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는 프레임(20)의 하측에 결합부(10)에 밀착되어 프레임(20)을 지지하는 보강부재(30)(30a)(30b)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중량에 의한 급격한 외압이 등받이에 가해지거나, 등받이의 오랜 사용에 의하여 프레임(20)의 형상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결합부 11 : 삽입부
20 : 프레임 30, 30a, 30b : 보강부재
31 : 볼트홀 32 : 절곡부
33 : 슬롯 34 : 밀착부

Claims (4)

  1. 좌판의 하측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하측에는 결합부(10)의 저면에 상측 면이 밀착되어 프레임(20)에 외압이 가해지는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프레임(2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재(30)(30a)(30b)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30)(30a)(30b)의 끝단에는 결합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프레임(20)과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에는 결합부(10) 및 프레임(20)에 형성된 볼트 홀과 대응하는 복수의 볼트홀(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a)에는 결합부(10) 및 프레임(20)과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슬롯(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b)의 절곡부(32) 끝단에는 프레임(2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밀착부(34)가 수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KR2020190005196U 2019-12-20 2019-12-20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KR200494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196U KR200494995Y1 (ko) 2019-12-20 2019-12-20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196U KR200494995Y1 (ko) 2019-12-20 2019-12-20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78U true KR20210001478U (ko) 2021-06-30
KR200494995Y1 KR200494995Y1 (ko) 2022-02-09

Family

ID=7660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196U KR200494995Y1 (ko) 2019-12-20 2019-12-20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9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818A (ko) * 2009-12-02 2011-06-10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판 조립장치
KR20120116141A (ko) * 2011-04-12 2012-10-22 (주)광일체어 사무용 의자
KR20130007125U (ko) * 2012-06-04 2013-12-12 한의경 의자
JP2015217047A (ja) * 2014-05-15 2015-12-0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KR20210040530A (ko) * 2019-10-04 2021-04-14 주식회사 토퍼스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818A (ko) * 2009-12-02 2011-06-10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판 조립장치
KR20120116141A (ko) * 2011-04-12 2012-10-22 (주)광일체어 사무용 의자
KR20130007125U (ko) * 2012-06-04 2013-12-12 한의경 의자
JP2015217047A (ja) * 2014-05-15 2015-12-0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KR20210040530A (ko) * 2019-10-04 2021-04-14 주식회사 토퍼스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995Y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3941A (en) Article for seating furniture
US4557521A (en) Chair having a resiliently interconnected seat and back
KR20100095548A (ko) 의자 등받이 및 그의 장착 장치
JP5652781B2 (ja) 椅子
KR200494995Y1 (ko) 의자 등받이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JP7029045B2 (ja) 椅子
KR200415955Y1 (ko) 의자
JPH07275078A (ja) 椅子のシェル
KR102334406B1 (ko) 결합판 보강형 의자용 등받이
JP5096869B2 (ja) 椅子
JP3654584B2 (ja) フレーム構造の椅子
JP6433055B2 (ja) 椅子
KR200375178Y1 (ko) 의자용 이중 등받이 결합구조
JP2019063166A (ja) 椅子
CN218922141U (zh) 高稳固的办公椅
CN211092851U (zh) 椅子
JP4510596B2 (ja) 椅子
CN220824097U (zh) 一种座部组件
CN208807910U (zh) 一种座椅靠背的连接机构
JP7299004B2 (ja) 椅子
CN217309672U (zh) 一种活动头枕五金支撑架及沙发
JP3309273B2 (ja) 椅子の肘掛け
JP4202688B2 (ja) 椅子の座構造
KR20220107687A (ko) 등받이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200284313Y1 (ko) 탄력적으로 젖혀지는 등받이 프레임을 갖는 의자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