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27U - 틀니장치 및 틀니 가이드장치 세트 - Google Patents

틀니장치 및 틀니 가이드장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27U
KR20210001127U KR2020200003469U KR20200003469U KR20210001127U KR 20210001127 U KR20210001127 U KR 20210001127U KR 2020200003469 U KR2020200003469 U KR 2020200003469U KR 20200003469 U KR20200003469 U KR 20200003469U KR 20210001127 U KR20210001127 U KR 202100011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denture
guide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068Y1 (ko
Inventor
하오웨이 츠아오
흐수안 첸
챙한 리
Original Assignee
세렉 아시아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렉 아시아 인크. filed Critical 세렉 아시아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01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 가이더, 지지 가이더에 설치되는 틀니체를 포함하는 틀니장치를 개시한다. 지지 가이더는 몸체, 몸체에 설치되는 조립부, 가이드부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틀니체는,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과 서로 연통되는 설치포트를 구비하고,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충진체를 구비하며, 설치포트를 거쳐 지지 가이더를 커버하고 충진체를 통해 지지부, 몸체 및 가이드부를 피복하여 지지 가이더와 고정되며, 잇몸부 및 치아부가 형성되되, 잇몸부는 조립부와 대응되는 갭을 구비하여 조립부로 하여금 갭을 통해 수용공간을 통과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틀니장치 및 틀니 가이드장치 세트{DENTURE DEVICE AND DENTURE GUIDING DEVICE SET}
본 고안은 틀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 기능을 가지는 틀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 타입의 임플란트 기술에서 의사는 환자의 구강 내에 고정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시트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고정하는데 의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부의 가이드를 통해 드릴링 및 임플란트 이식 등 단계를 수행하며 제일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시트를 제거하고 기존의 틀니장치를 구강 내에 안착하여 임플란트와 서로 조립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환자의 구강에 따라 맞춤 제작된 것으로 이식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단지 가이드 기능만 제공할 뿐 이식이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그 어떤 사용가치도 없어(즉 소모품) 의료장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틀니장치는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틀니장치 내에 금속 지지대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금속 지지대를 구비한 틀니장치는 환자가 별도로 주문(또는 구매)하여야 하므로 환자의 의료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틀니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강도를 증가시켜 의료 장비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틀니장치 및 틀니가이드장치 세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틀니장치를 개시하는데, 혀측, 상기 혀측과 반대되는 입술측이 설치된 틀니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입술측에 위치하며 조립단을 구비하는 조립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단과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가이더; 및 중공형상을 이루고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서로 연통되는 설치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충진체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포트를 거쳐 상기 지지 가이더를 커버하고 상기 충진체를 통해 적어도 상기 지지부,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이드부를 피복하여 상기 지지 가이더와 고정되는 틀니체를 포함하되, 상기 틀니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충진체를 구비하고 상기 틀니체는 상기 설치포트를 거쳐 상기 지지 가이더를 커버하고 상기 충진체를 통해 적어도 상기 지지부,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이드부를 피복하여 상기 지지 가이더와 고정되되, 여기서 상기 틀니체는 높이방향을 따라 잇몸부 및 상기 잇몸부와 서로 반대되는 치아부를 형성하고 상기 잇몸부는 상기 조립부와 대응되는 갭을 구비하여 상기 조립부로 하여금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틀니가이드장치 세트를 더 제공하는데, 혀측, 상기 혀측과 반대되는 입술측이 설치된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에 있어서, 조합 시트 및 상기 조합 시트를 교정하여 이를 치골조의 예정위치에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틀니 예정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위치 교정부재;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조합 시트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단 및 상기 조립단과 상기 몸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컷팅단을 구비하는 조립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와 대응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제2 컷팅단을 포함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단과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조합 시트에 설치되는 지지 가이더; 상기 가이드유닛의 가이드를 통해 상기 치골조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임플란트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 상기 임플란트 구멍 내에 고정되기 위한 이식단 및 상기 이식단과 반대되는 고정단을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 접합유닛; 중공형상을 이루고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서로 연통되는 설치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충진체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포트를 거쳐 상기 지지 가이더를 커버하며 상기 충진체를 통해 적어도 상기 지지부, 상기 가이드부, 상기 몸체 및 상기 접합유닛을 피복하여 상기 틀니 예정위치에 고정되되,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잇몸부 및 상기 잇몸부와 반대되는 치아부를 형성하고 상기 잇몸부는 상기 조립부와 대응되는 갭을 구비하여 상기 조립부로 하여금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도록 하는 틀니체; 및 상기 제1 컷팅단 및 상기 제2 컷팅단을 컷팅하여 상기 조립부 및 상기 가이드유닛을 제거하기 위한 컷팅장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 가이더를 통해 의사가 임플란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드릴링과 상기 고정부재를 이식하는 등의 단계를 제공하며, 상기 틀니체가 충진체를 통해 상기 지지 가이더를 피복하는 설계는 상기 틀니체로 하여금 상기 지지 가이더를 통해 틀니장치(즉 상기 틀니체 및 일부 상기 지지 가이더로 구성된 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강도를 증가시켜 의료 장비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환자의 의료비용도 절감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입체분해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조합 시트 및 위치 교정부재를 치조골과 조립 연결시킬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위치 교정부재가 조합 시트에서 탈착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지지 가이더가 조합 시트에 조립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드릴이 가이드 튜브의 가이드를 통해 치조골에서 임플란트 구멍을 형성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고정부재를 이식하고 컷팅장치를 통해 제2 컷팅단을 컷팅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틀니체가 조합 시트에 조립 연결되는 지지 가이더와 조립 연결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컷팅장치가 제1 컷팅단을 컷팅하여 지지 가이더로 하여금 조합 시트와 고정되지 않도록 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틀니장치(즉 틀니체 및 일부 지지 가이더로 구성된 장치)가 치조골에서 탈착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조합 시트를 치조골에서 탈착시키고 접합유닛을 통해 틀니장치를 치조골에 설치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사용상태 모식도로서 뼈 교정부재가 조합 시트에 조립 연결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하 특정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틀니장치(100) 및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에 관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하는 내용에 의해 본 고안의 장점과 효과를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타 상이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실시되거나 응용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의 각 세부절차도 상이한 관점과 응용에 기반하여 본 고안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고안의 첨부 도면은 단지 간략하게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 사이즈에 의해 설명한 것이 아님을 미리 설명하는 바이다. 아래의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관련 기술내용을 진일보로 상세히 설명하지만 제공된 내용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비록 본 내용에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어셈블리 또는 신호를 설명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어셈블리 또는 신호는 이러한 용어의 한정을 받지 않음을 응당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주요하게 한 어셈블리와 다른 한 어셈블리 또는 한 신호와 다른 한 신호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 외에 본 내용에서 사용한 용어 "또는”은 실제 상황에 따라 관련되는 열거 항목에서의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틀니가이드장치 세트를 개시하는데 이는 의료장비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환자의 의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틀니장치(100)의 구조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는 조합 시트(1), 상기 조합 시트(1)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위치 교정부재(2), 상기 조합 시트(1)에 설치되는 지지 가이더(3), 상기 지지 가이더(3)를 통해 가이드되는 드릴(4), 상기 드릴(4)을 통해 드릴링하여 장착되는 고정부재(5), 상기 고정부재(5)에 설치되는 접합유닛(6), 상기 지지 가이더(3) 및 상기 접합유닛(6)과 조합 설치되는 틀니체(7) 및 상기 지지 가이더(3)를 컷팅하기 위한 컷팅장치(8)를 포함한다.
먼저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조합 시트(1), 위치 교정부재(2), 지지 가이더(3), 드릴(4), 고정부재(5), 접합유닛(6), 틀니체(7) 및 컷팅장치(8)는 본 실시예에서 비록 공동으로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로 정의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고안에 도시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 일부 상기 지지 가이더(3) 및 상기 틀니체(7)는 공동으로 틀니장치(100)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틀니장치(100)는 단독적으로 운용(예하면 판매)되거나 또는 기타 부재와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외에,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상기 틀니체(7)는 본 실시예에서 일부 상기 지지 가이더(3)를 이의 내부 지지구조(즉 상기 틀니체(7)에 의해 피복됨)로 함으로써 상기 틀니장치(100)의 전반적인 구조 강도를 증가시키는 바, 즉 일부 상기 지지 가이더(3)를 지지구조로 하지 않는 임의의 틀니장치는 본 실시예의 틀니장치(100)와 비교할 수 없다. 이하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각 어셈블리 구조를 각각 소개하고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각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관계를 적절히 설명하되, 여기서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는 상기 틀니장치(100)의 각 어셈블리 구조를 포함하므로 상기 틀니장치(100)의 어셈블리 구조는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에는 혀측(A) 및 상기 혀측(A)과 반대되는 입술측(B)이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상기 조합 시트(1), 상기 지지 가이더(3) 및 상기 틀니체(7)는 인체 구강의 잇몸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는 이의 외측에 상기 입술측(B)(즉 구강에 설치될 경우 입술을 향하는 일측)을 설치하고 내측에는 상기 혀측(A)(즉 구강에 설치될 경우 혀를 향하는 일측)을 설치한다.
상기 위치 교정부재(2)는 상기 조합 시트(1)를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치조골(K)의 예정위치(P)에 설치하고 틀니 예정위치(T)(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교정부재(2)는 본 실시예에서 치아모델일 수 있고 상기 치아모델은 구강 내의 상대적인 기타 치아와 교합할 때의 매칭에 따라 위치를 교정하여 상기 예정위치(P) 및 상기 틀니 예정위치(T)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예정위치(P)는 상기 치조골(K)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틀니 예정위치(T)는 상기 치조골(K)가 다른 치조골을 향하는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바;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인체 구강 내의 상악과 하악은 각각 치골조를 가지는데 만약 상기 예정위치(P)가 상기 하악의 치골조일 경우 상기 틀니 예정위치(T)는 상기 하악의 치골조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예정위치(P)가 상기 상악의 치골조일 경우 상기 틀니 예정위치(T)는 상기 상악의 치골조(K)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본 실시예는 상기 하악의 치골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상기 조합 시트(1)는 상기 위치 교정부재(2)를 통해 상기 예정위치(P)에 설치되고 상기 조합 시트(1)는 설치부(11) 및 골나사(Z)와 배합하는 골나사 홀(12)을 구비하며 상기 조합 시트(1)는 상기 골나사(Z)를 통해 상기 골나사 홀(12)을 통과하여 상기 조합 시트(1)로 하여금 상기 예정위치(P)(즉 상기 치조골(K))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합 시트(1)는 본 실시예에서 긴 호 형상을 이루고 상기 설치부(11)는 두 개의 요홈(111) 및 두 개의 돌출부재(112)로 조성되며 두 개의 상기 요홈(111)과 두 개의 상기 돌출부재(112)에는 각각 조립연결홀(113)이 개설되어 상기 지지 가이더(3)와 조립 연결되나 이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상기 지지 가이더(3)는 상기 조합 시트(1)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가이더(3)는 몸체(31), 상기 몸체(31)에 설치된 조립부(32), 가이드부(33), 가이드유닛(34), 지지부(35) 및 상기 몸체(31)와 상기 가이드부(33) 사이에 설치된 강화단(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가이더(3)는 본 실시예에서 티타늄 또는 코발트 크롬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31)는 긴 막대기 형상을 이루고 상기 조합 시트(1)의 형상과 서로 대응된다.
상기 조립부(32)는 상기 몸체(31)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32)는 상기 조합 시트(1)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단(321) 및 상기 조립단(321)과 상기 몸체(31) 사이에 연결된 제1 컷팅단(322)을 구비하며 상기 조립단(321)은 상기 설치부(11)의 상기 조립연결홀(113)과 대응되는 조립연결홀(323)을 구비하되, 하나의 조립연결부재(도면 미도시)는 상기 조립단(321)을 통과하여 상기 설치부(11)의 상기 조립연결홀(113)과 조립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가이더(3)로 하여금 상기 조합 시트(1)에 고정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지지 가이더(3)의 상기 조립부(32)는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수평식 조립부재(32A) 및 두 개의 종단식 조립부재(32B)로 조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히 설명하면 두 개의 상기 수평식 조립부재(32A)는 상기 혀측(A)으로부터 상기 입술측(B)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컷팅단(322)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컷팅단(322)의 말단에는 조립단(321)이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종단식 조립부재(32B)는 상기 예정위치(P)(또는 상기 조합 시트(1))방향을 향해 연장됨과 동시에 거꾸로 된 L자 형상을 이루는 제1 컷팅단(322)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컷팅단(322)의 말단에는 조립단(321)이 구비되나 이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부(33)는 상기 몸체(31)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혀측(A)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가이드부(33)는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링부재(33A) 및 다수의 커브부재(33B)로 조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상기 링부재(33A) 및 다수의 상기 커브부재(33B)는 상기 입술측(B)로부터 상기 혀측(A) 방향으로 배치된다(도 7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
상기 강화단(36)은 상기 가이드부(33)의 가장자리 및 상기 몸체(31)과 연결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강화단(36)은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연결 로드일 수 있고 다수의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몸체(31), 두 개의 상기 링부재(33A) 및 다수의 상기 커브부재(33B)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지지 가이더(3)의 전반적인 구조 강도를 강화시키지만 이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내용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유닛(34)은 상기 몸체(31)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33)의 위치와 대응되고 상기 가이드유닛(34)은 상기 가이드부(33)와 높이방향(D)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가이드유닛(34)은 상기 몸체(31)와 연결되는 제2 컷팅단(341)을 포함한다. 진일보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유닛(34)은 본 실시예에서 연결단(342), 상기 연결단(342)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 튜브(343), 상기 연결단(342)에 설치된 다수의 제2 컷팅단(341)으로 조성될 수 있고 매 하나의 상기 가이드 튜브(343)는 두 개의 상기 링부재(33A) 및 다수의 상기 커브부재(33B)의 위치와 서로 대응되며 상기 높이방향(D)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바, 다시 말하면 다수의 상기 가이드 튜브(343)의 수량은 두 개의 상기 링부재(33A) 및 다수의 상기 커브부재(33B)의 총수량과 동일하고 다수의 상기 가이드 튜브(343)는 튜브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가이드 경로를 구비하여 임플란트의 드릴링 및 임플란트의 이식 등 단계를 가이드한다.
상기 지지부(35)는 상기 몸체(31)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단(321)과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부(35)는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지지 로드로 조성될 수 있고 다수의 상기 지지 로드는 상기 예정위치(P)와 멀리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몸체(31)에 평균적으로 배치되는데 이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시되지 않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35)는 긴 리브일 수 있고 상기 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상기 드릴(4)은 상기 가이드유닛(34)의 가이드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치조골(K)에 임플란트 구멍(H)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진일보로 설명하면 상기 드릴(4)은 비트(41) 및 상기 비트(41)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유닛(42)을 구비하고 상기 드릴(4)의 상기 비트(41)는 다수의 상기 가이드 튜브(343)를 통과하여 두 개의 상기 링부재(33A) 및 다수의 상기 커브부재(33B)와 대응되는 상기 치조골(K)의 드릴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 구멍(H)을 형성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드릴(4)이 상기 치조골(K)에서 형성한 임플란트 구멍의 수량은 다수의 상기 가이드 튜브(343)의 수량과 동일하다.
도 6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상기 고정부재(5)는 이식단(51) 및 상기 이식단(51)과 반대되는 고정단(52)을 구비하되, 상기 이식단(51)은 상기 임플란트 구멍(H) 내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접합유닛(6)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고정단(52)에 설치되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상기 고정부재(5)의 수량은 다수의 상기 가이드 튜브(343)의 수량과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니체(7)는 중공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수용공간(SP) 및 상기 수용공간(SP)과 서로 연통되는 설치포트(71)를 구비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틀니체(7)는 케이스형 구조이고 상기 틀니체(7)는 상기 수용공간(SP) 내에 설치된 충진체(72)(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를 구비하며 상기 틀니체(7)는 상기 설치포트(71)를 거쳐 상기 지지 가이더(3)를 커버하고 상기 충진체(72)를 통해 적어도 상기 지지부(35), 상기 가이드부(33), 상기 몸체(31) 및 상기 접합유닛(6)을 피복하여 상기 틀니 예정위치(T)에 고정되는데; 여기서 상기 충진체(72)는 본 실시예에서 수지일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일보로, 상기 틀니체(7)는 상기 높이방향(D)을 따라 잇몸부(73) 및 상기 잇몸부(73)와 치아부(74)를 형성하여 상기 잇몸부(73) 및 상기 치아부(74)를 통해 구강에서의 치아 및 잇몸을 시물레이션한다. 상기 잇몸부(73)는 상기 조립부(32)와 대응되는 갭(75)을 구비하여 상기 조립부(32)로 하여금 상기 갭(75)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SP)(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을 통과하도록 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틀니체(7)의 갭(75)의 수량은 상기 조립부(32)(두 개의 상기 수평식 조립부재(32A) 및 두 개의 상기 종단식 조립부재(32B))의 수량과 대응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상기 컷팅장치(8)는 상기 제1 컷팅단(322) 및 상기 제2 컷팅단(341)을 컷팅하여 상기 조립부(32) 및 상기 가이드유닛(34)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컷팅장치(8)는 컷팅부재(81) 및 상기 컷팅부재(81)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유닛(82)을 구비하고 상기 컷팅장치(8)는 이의 컷팅부재(81)로 상기 조립부(32)의 상기 제1 컷팅단(322) 및 상기 가이드유닛(34)의 상기 제2 컷팅단(341)에 대해 컷팅동작을 진행하여 상기 가이드유닛(34) 및 상기 조립부(32)로 하여금 상기 몸체(31)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각 어셈블리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틀니장치(100) 및 틀니가이드장치 세트를 더 뚜렷하게 요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실제 조작단계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의 조작단계는 단계S110~단계S170을 포함하는데 도 2 내지 도 11과 결부하여 참조하기 바란다. 물론 상기 다수의 단계에서의 임의의 한 단계는 설계자의 수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합리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다수의 상기 단계S110~단계S170은 상세하게 아래와 같다.
단계S11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합 시트(1)와 상기 위치 교정부재(2)를 조립 연결하고 상기 조합 시트(1)와 상기 위치 교정부재(2)를 구강 내의 치조골(K)에 설치하며 상기 위치 교정부재(2)는 상기 치조골(K)의 반대측에 위치한 치아를 통해 매칭되어 상기 조합 시트(1)의 위치를 상기 예정위치(P)까지 교정하도록 결정하며; 이어서 다수의 상기 골나사(Z)를 다수의 상기 골나사 홀(12)에 통과시켜 상기 조합 시트(1)로 하여금 상기 치조골(K)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위치 교정부재(2)가 상기 조합 시트(1)에서 탈착되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위치 교정부재(2)가 상기 예정위치(P)에 상기 조합 시트(1)가 위치한다고 결정할 경우 상기 위치 교정부재(2)의 위치를 상기 틀니 예정위치(T)로 정의한다.
단계S120: 도 4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상기 치조골(K)에서 뼈 그라인딩 동작을 진행하여 상기 뼈 그라인딩 동작을 완성한 다음 상기 지지 가이더(3)를 이의 상기 조립단(321)을 통해 상기 조합 시트(1)의 상기 설치부(11)와 조립 연결시켜 상기 지지 가이더(3)를 상기 조합 시트(1)에 고정시킨다. 언급할 가치가 있는 것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뼈 그라인딩 동작을 진행할 경우 상기 조합 시트(1)는 뼈 교정부재(9)를 조합 설치하여 의사가 상기 뼈 그라인딩 동작을 진행할 경우 그라인딩 깊이 또는 그라인딩면이 예정된 상태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단계S130: 도 5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상기 드릴(4)은 상기 가이드유닛(34)의 가이드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33)를 통과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치조골(K)에서 임플란트 구멍(H)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고정부재(5)를 이의 이식단(51)으로 상기 임플란트 구멍(H) 내에 설치하며 상기 고정단(52)에는 상기 접합유닛(6)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계S140: 도 6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면 상기 컷팅장치(8)는 이의 컷팅부재(81)를 통해 상기 가이드유닛(34)의 상기 제2 컷팅단(341)에 대해 제1 컷팅동작을 진행하여 상기 가이드유닛(34)으로 하여금 상기 지지 가이더(3)의 상기 몸체(31)와 분리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 가이더(3)에서 상기 가이드유닛(34)을 제외한 부품은 여전히 상기 몸체(31)와 연결된다.
단계S150: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니체(7)는 상기 지지 가이더(3)에 커버되고 이의 충진체(72)를 통해 상기 지지부(35), 상기 가이드부(33), 상기 몸체(31) 및 상기 접합유닛(6)을 피복하여 상기 틀니 예정위치(T)에 고정되며; 이어서 상기 수용공간(SP)에 노출된 상기 충진체(72)를 제거하는데; 여기서 상기 틀니체(7)가 상기 지지 가이더(3)를 커버할 경우 상기 지지 가이더(3)의 상기 조립부(32)는 상기 틀니체(7)의 상기 갭(75)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SP) 외에 위치하게 된다.
단계S160: 도 8에 도시된 내용과 결부하면 상기 컷팅장치(8)는 이의 컷팅부재(81)를 통해 상기 지지 가이더(3)의 상기 제1 컷팅단(322)에 대해 제2 컷팅동작을 진행하여 상기 지지 가이더(3)로 하여금 상기 조합 시트(1)와 더이상 서로 고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틀니체(7)가 이의 수용공간(SP) 내의 상기 몸체(31), 가이드부(33), 지지부(35), 상기 접합유닛(6) 및 상기 충진체(72)와 상기 틀니장치(100)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어서 상기 틀니체(7)에 고정된 상기 접합유닛(6)을 상기 고정부재(5)와 탈착시켜 상기 틀니장치(100)가 상기 틀니 예정위치(T)에서 탈착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틀니체(7)의 상기 갭(75)은 수지(상기 충진체와 동일한 재질)를 사용하여 상기 갭(75)(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틀니장치(100))을 충진할 수 있다.
단계S170: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합 시트(1)를 상기 치조골(K)와 탈착시킨 다음 상기 틀니장치(100)를 상기 틀니 예정위치(T)에 안착시키고 상기 접합유닛(6)을 통해 상기 치조골(K)의 상기 고정부재(5)와 조립 연결함으로써 상기 틀니장치(100)를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제공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고안의 출원특허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므로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의 내용을 운용하여 진행한 등가적인 기술적 변화는 모두 본 고안의 출원특허범위에 포함된다.
100: 틀니장치
1: 조합 시트
11: 설치부
111: 요홈
112: 돌출부재
113: 조립연결홀
12: 골나사 홀
2: 위치 교정부재
3: 지지 가이더
31: 몸체
32: 조립부
32A: 수평식 조립부재
32B: 종단식 조립부재
321: 조립단
322: 제1 컷팅단
323: 조립연결홀
33: 가이드부
33A: 링부재
33B: 커브부재
34: 가이드유닛
341: 제2 컷팅단
342: 연결단
343: 가이드 튜브
35: 지지부
36: 강화단
4: 드릴
41: 비트
42: 동력유닛
5: 고정부재
51: 이식단
52: 고정단
6: 접합유닛
7: 틀니체
71: 설치포트
72: 충진체
73: 잇몸부
74: 치아부
75: 갭
8: 컷팅장치
81: 컷팅부재
82: 동력유닛
9: 뼈 교정부재
A: 혀측
B: 입술측
D: 높이방향
P: 예정위치
T: 틀니 예정위치
SP: 수용공간
K: 치조골
Z: 골나사
H: 임플란트 구멍

Claims (10)

  1. 혀측, 상기 혀측과 반대되는 입술측이 설치된 틀니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입술측에 위치하며 조립단을 구비하는 조립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단과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가이더; 및
    중공형상을 이루고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서로 연통되는 설치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충진체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포트를 거쳐 상기 지지 가이더를 커버하고 상기 충진체를 통해 적어도 상기 지지부,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이드부를 피복하여 상기 지지 가이더와 고정되는 틀니체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틀니체는 높이방향을 따라 잇몸부 및 상기 잇몸부와 서로 반대되는 치아부를 형성하고 상기 잇몸부는 상기 조립부와 대응되는 갭을 구비하여 상기 조립부로 하여금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더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몸체 사이에 강화단을 형성하고 상기 강화단은 상기 혀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충진체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더는 가이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와 대응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되; 여기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컷팅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이의 조립단 및 상기 몸체 사이에 컷팅단을 형성하고 상기 컷팅단은 상기 갭을 거쳐 상기 수용공간 외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장치는 고정부재 및 접합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이식단 및 상기 이식단과 반대되는 고정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식단은 임플란트 구멍 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고정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접합유닛은 상기 충진체를 통해 피복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장치는 조합 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합 시트는 상기 지지 가이더의 상기 조립단과 서로 조립 연결되는 설치부 및 골나사와 배합하기 위한 골나사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단과 상기 설치부는 각각 조립연결홀을 구비하고 한 조립연결부재는 각각 상기 조립단을 통과하여 상기 설치부의 상기 조립연결홀과 조립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가이더로 하여금 상기 조합 시트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장치.
  8. 혀측, 상기 혀측과 반대되는 입술측이 설치된 틀니가이드장치 세트에 있어서,
    조합 시트 및 상기 조합 시트를 교정하여 이를 치골조의 예정위치에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틀니 예정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위치 교정부재;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조합 시트와 조립 연결되는 조립단 및 상기 조립단과 상기 몸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컷팅단을 구비하는 조립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와 대응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제2 컷팅단을 포함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단과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조합 시트에 설치되는 지지 가이더;
    상기 가이드유닛의 가이드를 통해 상기 치골조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임플란트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
    상기 임플란트 구멍 내에 고정되기 위한 이식단 및 상기 이식단과 반대되는 고정단을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접합유닛;
    중공형상을 이루고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서로 연통되는 설치포트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충진체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포트를 거쳐 상기 지지 가이더를 커버하며 상기 충진체를 통해 적어도 상기 지지부, 상기 가이드부, 상기 몸체 및 상기 접합유닛을 피복하여 상기 틀니 예정위치에 고정되되, 상기 높이방향을 따라 잇몸부 및 상기 잇몸부와 반대되는 치아부를 형성하고 상기 잇몸부는 상기 조립부와 대응되는 갭을 구비하여 상기 조립부로 하여금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도록 하는 틀니체; 및
    상기 제1 컷팅단 및 상기 제2 컷팅단을 컷팅하여 상기 조립부 및 상기 가이드유닛을 제거하기 위한 컷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가이드장치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더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몸체 사이에 강화단을 형성하고 상기 강화단은 상기 혀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충진체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가이드장치 세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시트에는 상기 지지 가이더의 상기 조립단과 서로조립 연결되는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단과 상기 설치부는 각각 조립연결홀을 구비하며 한 조립연결부재는 상기 조립단을 통해 상기 설치부의 상기 조립연결홀과 조립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가이더로 하여금 상기 조합 시트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가이드장치 세트.
KR2020200003469U 2019-11-14 2020-09-23 틀니장치 및 틀니 가이드장치 세트 KR20049606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41315A TWI703964B (zh) 2019-11-14 2019-11-14 假牙裝置及假牙導引裝置組
TW108141315 2019-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27U true KR20210001127U (ko) 2021-05-25
KR200496068Y1 KR200496068Y1 (ko) 2022-10-27

Family

ID=7364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69U KR200496068Y1 (ko) 2019-11-14 2020-09-23 틀니장치 및 틀니 가이드장치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29826U (ko)
KR (1) KR200496068Y1 (ko)
TW (1) TWI7039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649A (zh) * 2021-11-19 2022-02-25 深圳市宏盛义齿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组合导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20Y1 (ko) * 2004-04-16 2004-07-30 주식회사 워랜텍 틀니용 인공치근
KR20120121063A (ko) * 2011-04-26 2012-11-0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JP3192931U (ja) * 2014-06-05 2014-09-11 鎮國 蔡 入れ歯両用モールド構造
US9795458B2 (en) * 2013-03-15 2017-10-24 National Dentex, Llc Dental surgical implant guide and prosthesis combination and method of use
US20190223988A1 (en) * 2018-01-19 2019-07-25 Mark Elliot Palmer Dent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87723U (zh) * 2014-05-14 2014-10-11 zhen-guo Cai 植牙兩用模具結構
TWM593244U (zh) * 2019-11-14 2020-04-11 艾瑞瓷精密股份有限公司 假牙裝置及假牙導引裝置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20Y1 (ko) * 2004-04-16 2004-07-30 주식회사 워랜텍 틀니용 인공치근
KR20120121063A (ko) * 2011-04-26 2012-11-0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US9795458B2 (en) * 2013-03-15 2017-10-24 National Dentex, Llc Dental surgical implant guide and prosthesis combination and method of use
JP3192931U (ja) * 2014-06-05 2014-09-11 鎮國 蔡 入れ歯両用モールド構造
US20190223988A1 (en) * 2018-01-19 2019-07-25 Mark Elliot Palmer Dent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68Y1 (ko) 2022-10-27
JP3229826U (ja) 2020-12-17
TWI703964B (zh) 2020-09-11
TW202118466A (zh) 202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6278A (en) Method for making and using a template for a dental implant osteotomy and components relating thereto
TWI650107B (zh) 種植體手術引導裝置
ITFI20110130A1 (it) Sistema di guida chirurgica per implantologia dentale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guide chirurgiche per implantologia dentale.
KR101550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KR20060130494A (ko) 인공치아 이식용 의치받침대
TWM593244U (zh) 假牙裝置及假牙導引裝置組
KR20210001127U (ko) 틀니장치 및 틀니 가이드장치 세트
KR102242899B1 (ko) 스크류 가이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12787B1 (ko) 임플란트용 드릴 인디케이터
JP2022506982A (ja) 切除ガイドを有する骨基礎ガイドシステム
KR101642605B1 (ko) 임플란트 보철물 구멍 형성 가이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30372060A1 (en) Guide for revising drilling path on alveolar bone
KR101198685B1 (ko) 임플란트용 경화성수지치아 위치정렬장치
EP3692944B1 (en) Surgical drill guide for edentulous patients
KR102380704B1 (ko) 치아수복용 식립가이드 시스템
KR20210021159A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CN219089718U (zh) 一种牙齿种植用辅助架
CN111542284B (zh) 用于牙科植入物、特别是用于辅助外科手术中的牙科干预的基牙
CN117860413B (zh) 一种用于全口种植牙手术的导板组件及其操作方法
KR101528032B1 (ko) 점막관통형 임플란트 가이드
KR102380708B1 (ko) 오버덴쳐용 바홀더 클립
CN219645914U (zh) 一种牙种植装置
KR102080084B1 (ko) 스위볼스크류를 이용한 커브드 임프레션 코핑
KR20240025752A (ko) 가상의 2채널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보철물 설계 방법
CN116035740A (zh) 一种种植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