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60U -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 Google Patents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60U
KR20210001060U KR2020190004494U KR20190004494U KR20210001060U KR 20210001060 U KR20210001060 U KR 20210001060U KR 2020190004494 U KR2020190004494 U KR 2020190004494U KR 20190004494 U KR20190004494 U KR 20190004494U KR 20210001060 U KR20210001060 U KR 202100010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ontrast agent
agent supply
supply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식
석종민
전우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경찰병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경찰병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경찰병원장)
Priority to KR2020190004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60U/ko
Publication of KR20210001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8Racks for supporting syringes or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2005/1787Syringes for sequential delivery of fluids, e.g. first medicament and then flush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신속 용이하게 거치고정될 수 있어 식염수카트리지의 교체에 소요되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됨과 동시에 주사기를 이용한 식염수의 충전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으며 주사기 용량에 따른 손가락받침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는,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구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전면측에는 상기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홈이 형성되는 손가락받침체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SYRINGE SUPPORTING APPARATUS FOR CONTRAST MEDIA FEEDER}
본 고안은 조영제를 체내로 투여하기 위한 조영제공급장치에 식염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사기가 거치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신속 용이하게 거치고정될 수 있어 식염수카트리지의 교체에 소요되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됨과 동시에 주사기를 이용한 식염수의 충전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으며 주사기 용량에 따른 손가락받침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영제는 X-선 촬영, CT(computer tomography, 전산화단층촬영 검사) 및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검사)와 같은 영상진단 검사 또는 시술 시에 특정 조직이나 혈관이 잘 보이도록 인체에 투여하는 약물을 말한다.
조영제는 성분에 따라 요오드화 조영제, 가돌리늄 조영제, 바륨 조영제 등으로 구분된다. X-선 촬영 및 CT(computer tomography,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에는 요오드화 조영제와 바륨 조영제가 사용되고,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검사)에는 가돌리늄 조영제가 사용된다.
이 중 요오드화 조영제는 X선을 통과시키지 않는 요오드를 함유하고 있다. 질환 병변이 있는 조직과 정상 조직에 요오드가 분포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X-선 촬영이나 X선을 사용한 CT 검사 등에서 X선 흡수 차이를 크게 나타나게 만들어서 조직이나 병변의 상태를 명확하게 대조시킨다.
요오드화 조영제의 종류로는 이옥시탈라민산(ioxitalamic acid), 이오헥솔(iohexol), 이오파미돌(iopamidol), 이오버솔(ioversol), 이오프로미드(iopromid), 이오메프롤(iomeprol), 이오비트리돌(iobitridol), 이오딕산올(iodixanol) 등이 있으며, 주로 정맥주사로 투여된다.
또한 가돌리늄 조영제는 특정 고주파로 인해서 정상 조직과 질환 병변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수소원자핵 반응 신호에 차이를 발생시킨다. MRI 촬영 시, 자기장 내에서 나타나는 가돌리늄 조영제로 인한 수소원자핵 반응 신호 차이가 영상 이미지로 전환되어 병변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가돌리늄 조영제는 혈관성 질환이나 혈액 공급량이 많은 질환 부위를 주로 강조시킨다.
가돌리늄 조영제의 종류로는 가도부트롤(gadobutrol), 가도테리돌(gadoteriol), 메글루민가도테레이트(meglumine gadoterate), 가도디아미드(gadodiamide), 가도베르세타미드(gadoversetamide), 가도베네이트디메글루민(gadobenate dimeglumine), 메글루민가도펜테테이트(meglumine gadopentetate) 등이 있으며, 주로 정맥주사로 투여된다.
바륨 조영제에 함유된 바륨은 물에 녹지 않는 흰색 가루로, X선을 통과시키지 않는다. 특수한 X선 검사나 CT 촬영, 소화관 조영 시에 바륨 조영제를 마시고 촬영을 하면 소화관 윤곽이 드러나게 된다. 바륨 조영제에는 황산바륨(barium sulfate)이 있으며, 주로 경구로 투여된다.
한편 전술한 조영제는 카트리지공급장치에 의해 체내에 투여되는데, 이러한 조영제공급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109475호(2019.09.25. 공개)에 개시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109475호(2019.09.25. 공개)에 개시된 종래의 조영제공급장치는 내부에 제 1 및 제 2 승강로드가 작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에 장착된 조영제 주사기가 제 1 승강로드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어 조영제가 투여되도록 하는 조영제어탭터가 결합되고 상부 타측에는 제 2 승강로드에 의해 상부로 가압되어 식염수가 주입되도록 하는 식염수카트리지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조영제공급장치는 통상 조영제어탭터에 의한 조영제의 투여 이후에 식염수카트리지에 의해 식염수가 혈관 내에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조영제가 식염수에 의해 밀어올려져 혈관을 통해 신속하게 퍼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영제공급장치의 경우에는 식염수의 1회 주입 이후에 새로운 식염수카트리지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식염수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영제공급장치의 경우에는 식염수카트리지의 결합 후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식염수카트리지 내에 식염수를 충전해야만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109475호(2019.09.25.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신속 용이하게 거치고정될 수 있어 식염수카트리지의 교체에 소요되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됨과 동시에 주사기를 이용한 식염수의 충전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주사기 용량에 따른 손가락받침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한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구를 포함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거치대본체와 분리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본체(10)의 하단측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호상삽입결합구(11a)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의 측벽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결합가능한 체결공(11c)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거치대본체의 상측 내주면에는 상기 주사기의 겉통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후육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가락받침체결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사기 보다 더 작은 용량을 가지는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젠더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전면측에는 상기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홈이 형성되는 손가락받침체결구를 포함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거치대본체와 분리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본체(10)의 하단측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호상삽입결합구(11a)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의 측벽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결합가능한 체결공(11c)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가락받침체결구의 상측에는 상기 거치대본체의 상측 내주면에 면접되어 상기 주사기의 겉통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후육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가락받침체결구는 상기 주사기의 용량과 상기 손가락받침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로 별도 제작되어 상기 거치대본체에 교체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신속 용이하게 거치고정될 수 있어 식염수카트리지의 교체에 소요되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됨과 동시에 주사기를 이용한 식염수의 충전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는, 손가락받침체결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젠더 또는 주사기의 용량과 손가락받침의 크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거치대본체에 교체장착되는 다수의 손가락받침체결구를 통해 주사기 용량에 따른 손가락받침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가 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를 포함하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결합부가 분리형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를 포함하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결합부가 분리형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를 포함하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결합부가 분리형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는,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는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는 X-선 촬영, CT(computer tomography, 전산화단층촬영 검사) 및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검사)와 같은 영상진단 검사 또는 시술에 앞서 대상자의 혈관 내에 조영제가 투여된 직후에 조영제 확산을 위한 식염수가 투입될 수 있도록 조영제공급장치(2)에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거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조영제 투여를 위한 조영제어댑터(3)가 결합된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 타측에 조영제어댑터(3)와 나란히 결합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영제공급장치(2)의 내부에는 조영제어댑터(3)에 결합된 주사기의 플런저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조영제가 혈관 내로 투여되도록 하는 제 1 승강로드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에 고정거치된 주사기(4)의 플런저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주사기(4) 내에 충전된 식염수가 혈관 내로 투여되도록 하는 제 2 승강로드가 구비된다.
조영제공급장치(2)와 조영제어댑터(3)의 구성 및 결합구조는 조영제공급장치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영제공급장치(2)에 결합되고 내부에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본체(10)와, 거치대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주사기(4)가 거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받침체결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대본체(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의 바디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1, 11')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12)가 형성된다.
결합부(11, 1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결합부위를 가진 상태로 거치대본체(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도면부호 11에 해당)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치대본체(10)와 분리형성(도면부호 11'에 해당)되어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위에 따라 선택되어 거치대본체(10)의 하단측에 삽입결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부(11')의 상측에는 거치대본체(10)의 하단측에 삽입결합되는 호상삽입결합구(11a)가 구비되고, 이 호상삽입결합구(11a)의 외측면에는 체결돌기(11b)가 돌출형성되며, 호상삽입결합구(11a)가 삽입결합되는 거치대본체(10)의 하단 측벽에는 호상삽입결합구(11a)에 형성된 체결돌기(11b)가 결합가능한 체결공(11c)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위가 제품별로 다소 상이하더라도 그에 대응되는 결합부위를 가지는 결합부(11')를 선택하여 결합하면 된다.
또한 거치대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는 밀착후육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밀착후육부(13)는 거치대본체(10) 내에 거치고정되는 주사기(4)의 겉통 외주면에 밀착되어 주사기(4)의 거치고정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거치대본체(10)의 내측 중앙에는 손가락받침체결구(20)가 일체로 구비된다. 손가락받침체결구(20)의 일측에는 거치대본체(10) 내에 거치고정되는 주사기(4)의 겉통 하단에 확장형성된 손가락받침(5)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홈(22)이 형성된다. 다만 손가락받침체결구(20)에는 특정 크기의 손가락받침(5)을 가지는 특정 용량의 주사기(4)만 거치고정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손가락받침체결구(20)의 손가락받침체결홈(22)에는 주사기(4) 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는 다른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젠더(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가락받침체결젠더(30)는 일측에 손가락받침체결구(20)의 손가락받침체결홈(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31)가 형성되고 타측에 주사기(4) 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는 다른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또 다른 손가락받침체결홈(32)이 형성된다.
손가락받침체결젠더(30)는 다양한 크기의 손가락받침(5)을 가지는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4)가 거치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로 별로 제조되어 주사기(4)에 대응되게 교체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신속 용이하게 거치고정될 수 있어 식염수카트리지의 교체에 소요되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됨과 동시에 주사기를 이용한 식염수의 충전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으며, 손가락받침체결구(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젠더(30)를 통해 주사기(4)의 용량에 따른 손가락받침(의5)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4)가 거치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를 포함하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결합부가 분리형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는,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전면측에는 상기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홈이 형성되는 손가락받침체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는 X-선 촬영, CT(computer tomography, 전산화단층촬영 검사) 및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검사)와 같은 영상진단 검사 또는 시술에 앞서 대상자의 혈관 내에 조영제가 투여된 직후에 조영제 확산을 위한 식염수가 투입될 수 있도록 조영제공급장치(2)에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거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조영제 투여를 위한 조영제어댑터(3)가 결합된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 타측에 조영제어댑터(3)와 나란히 결합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영제공급장치(2)의 내부에는 조영제어댑터(3)에 결합된 주사기의 플런저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조영제가 혈관 내로 투여되도록 하는 제 1 승강로드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에 고정거치된 주사기(4)의 플런저를 상부방향으로 밀어올려 주사기(4) 내에 충전된 식염수가 혈관 내로 투여되도록 하는 제 2 승강로드가 구비된다.
조영제공급장치(2)와 조영제어댑터(3)의 구성 및 결합구조는 조영제공급장치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영제공급장치(2)에 결합되고 내부에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본체(10')와, 거치대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사기(4)가 거치대본체(10') 내에 거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받침체결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대본체(1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의 바디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1, 11')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12)가 형성된다.
결합부(11, 11')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결합부위를 가진 상태로 거치대본체(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도면부호 11에 해당)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치대본체(10')와 분리형성(도면부호 11'에 해당)되어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위에 따라 선택되어 거치대본체(10')의 하단측에 삽입결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부(11')의 상측에는 거치대본체(10')의 하단측에 삽입결합되는 호상삽입결합구(11a)가 구비되고, 이 호상삽입결합구(11a)의 외측면에는 체결돌기(11b)가 돌출형성되며, 호상삽입결합구(11a)가 삽입결합되는 거치대본체(10')의 하단 측벽에는 호상삽입결합구(11a)에 형성된 체결돌기(11b)가 결합가능한 체결공(11c)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위가 제품별로 다소 상이하더라도 그에 대응되는 결합부위를 가지는 결합부(11')를 선택하여 결합하면 된다.
또한 거치대본체(10')의 타측에는 차후에 설명될 손가락받침체결구(20')의 결합돌기(21)가 삽입결합되는 결합공(14)이 관통형성된다.
전술한 거치대본체(10')에는 손가락받침체결구(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손가락받침체결구(20')는 주사기(4)가 거치대본체(10') 내에 거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배면측에는 거치대본체(10')의 결합공(14)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21)가 돌출형성되고 전면측에는 거치대본체(10') 내에 거치고정되는 주사기(4)의 겉통 하단에 확장형성된 손가락받침(5)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홈(22)이 형성된다.
또한 손가락받침체결구(20')의 상측에는 밀착후육부(23)가 일체로 형성된다. 밀착후육부(23)는 손가락받침체결구(20')의 결합시에 거치대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 면접되어 주사기(4)의 겉통 외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주사기(4)의 거치고정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손가락받침체결구(20')는 다양한 크기의 손가락받침(5)을 가지는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4)가 거치고정될 수 있도록 주사기(4)의 용량과 상기 손가락받침(5)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로 별로 제조되어 주사기(4)에 대응되게 거치대본체(10')에 교체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1')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신속 용이하게 거치고정될 수 있어 식염수카트리지의 교체에 소요되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됨과 동시에 주사기를 이용한 식염수의 충전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으며, 주사기(4)의 용량과 손가락받침(5)의 크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거치대본체(10')에 교체장착되는 다수의 손가락받침체결구(20')를 통해 주사기(4)의 용량에 따른 손가락받침(5)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용량의 주사기(4)가 거치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1' :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2 : 조영제공급장치
3 : 조영제어댑터
4 : 주사기
5 : 손가락받침
10, 10' : 거치대본체
11, 11' : 결합부
11a : 호상삽입결합구
11b : 체결돌기
11c : 체결공
12 : 개방부
13 : 밀착후육부
14 : 결합공
20, 20' : 손가락받침체결구
21 : 결합돌기
22 : 손가락받침체결홈
23 : 밀착후육부
30 : 손가락받침체결젠더
31 : 결합돌기
32 : 손가락받침체결홈

Claims (10)

  1.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1, 11')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12)가 형성되는 거치대본체(10); 및
    상기 거치대본체(10)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주사기(4)의 손가락받침(5)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구(20)를 포함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는 상기 거치대본체(10)와 분리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본체(10)의 하단측에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의 상측에는 체결돌기(11b)가 형성된 호상삽입결합구(11a)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10)의 측벽에는 상기 체결돌기(11b)가 결합가능한 체결공(11c)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는 상기 주사기(4)의 겉통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후육부(1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받침체결구(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주사기(4) 보다 더 작은 용량을 가지는 주사기의 손가락받침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젠더(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6. 하부에는 조영제공급장치(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1, 11')가 형성되고 일측과 상측에는 식염수가 충전된 주사기(4)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개방부(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결합공(14)이 형성되는 거치대본체(10'); 및
    상기 거치대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측에는 상기 결합공(14)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돌기(21)가 구비되고 전면측에는 상기 주사기(4)의 손가락받침(5)이 삽입결합되는 손가락받침체결홈(22)이 형성되는 손가락받침체결구(20')를 포함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는 상기 거치대본체(10')와 분리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본체(10')의 하단측에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의 상측에는 체결돌기(11b)가 형성된 호상삽입결합구(11a)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10')의 측벽에는 상기 체결돌기(11b)가 결합가능한 체결공(11c)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받침체결구(20')의 상측에는 상기 거치대본체(10')의 상측 내주면에 면접되어 상기 주사기(4)의 겉통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후육부(2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받침체결구(20')는 상기 주사기(4)의 용량과 상기 손가락받침(5)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로 별도 제작되어 상기 거치대본체(10')에 교체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KR2020190004494U 2019-11-07 2019-11-07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KR202100010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94U KR20210001060U (ko) 2019-11-07 2019-11-07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94U KR20210001060U (ko) 2019-11-07 2019-11-07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60U true KR20210001060U (ko) 2021-05-17

Family

ID=7614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494U KR20210001060U (ko) 2019-11-07 2019-11-07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98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우스트 다종 조영제 자동 주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475A (ko) 2017-01-24 2019-09-25 바이엘 헬쓰케어 엘엘씨 주입기 시스템 및 그와 함께 사용을 위한 주사기 어댑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475A (ko) 2017-01-24 2019-09-25 바이엘 헬쓰케어 엘엘씨 주입기 시스템 및 그와 함께 사용을 위한 주사기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98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우스트 다종 조영제 자동 주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evelstein et al. Multidetector CT in children: current concepts and dose reduction strategies
JP3583424B2 (ja) 基準マーカー
WO200403943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tial delivery of multiple injectable substances stored in a prefilled syringe
US9682159B2 (en) Imaging diagnostics by combining contrast agents
RU2664418C2 (ru) Контрастные среды с низкой концентрацией йода для рентгеновск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и способ рентгеновской визуализации
Hoeffner et al. Neuroradiology back to the future: spine imaging
Arslan et al. Peroral CT enterography with lactulose solution: preliminary observations
Martiniova et al. In vivo micro-CT imaging of liver lesions in small animal models
Chatterji et al. State of the art MR enterography technique
CN103169988A (zh) 通过包含高浓度造影剂而具有对比增强效果的造影剂组合物
KR20210001060U (ko) 조영제공급장치용 주사기거치대
Wilson et al. Experimental renal artery embolization in a combined MR imaging/angiographic unit
Lüdemann et al. Absolute quantification of regional renal blood flow in swine by dynamic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a blood pool contrast agent
Nolte-Ernsting et al.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urography: first experimental results with a polymeric gadolinium bloodpool agent
Tsuchiya et al. Three-dimensional helical CT angiography of skull base meningiomas.
Baughman et al. 3-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genitography: a different look at cloacal malformations
Seo et al. In vivo microCT imaging of rodent cerebral vasculature
Boraschi et al. MR enteroclysis using iron oxide particles (ferristene) as an endoluminal contrast agent: an open phase III trial
CN212235511U (zh) 一种造影剂注射装置
Okada et al. Bolus versus continuous infusion of microbubble contrast agent for liver US: initial experience
JP4154185B2 (ja) 薬液注入システム
Wuesten et al. MR angiography of carotid artery aneurysms in a porcine model at 3 tesla: comparison of two different macrocyclic gadolinium chelates and of dynamic and conventional techniques
JPWO2006132146A1 (ja) シリンダアダプタ
GONcALVES et al. Imaging diagnosis: erroneous localization of spinal arachnoid cyst
Cho et 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evaluation of the prostate in normal do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