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95U - 광점퍼코드 - Google Patents

광점퍼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95U
KR20210000895U KR2020190004189U KR20190004189U KR20210000895U KR 20210000895 U KR20210000895 U KR 20210000895U KR 2020190004189 U KR2020190004189 U KR 2020190004189U KR 20190004189 U KR20190004189 U KR 20190004189U KR 20210000895 U KR20210000895 U KR 202100008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or
optical jumper
notific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90004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895U/ko
Publication of KR20210000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광점퍼코드는, 통신용 광분배함이나 광통신장비 사이에 접속되기 위해 양쪽 끝단에 제1 커넥터부 및 제2 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된 광점퍼코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에 배치된 제1 알림 소자 및 제1 버튼; 상기 제2 커넥터부에 배치된 제2 알림 소자 및 제2 버튼; 및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면,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에서 모두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점퍼코드{OPTIC FIBER JUMPER CODE}
본 고안은 광전송장비들을 도광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수단인 광점퍼코드로서, 다수의 광점퍼코드들이 복잡하게 연결된 상황에서도 그 양단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광점퍼코드에 관한 것이다.
광점퍼코드는 광전송장비간의 접속을 위해 광 섬유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양단에 광 커넥팅 수단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접속장치이다.
광섬유는 198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 제작기술이 발달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광섬유들은 다양한 코어경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에는 코어경이 약 10㎛±1㎛인 광섬유, 1990년대에는 코어경이 98㎛±078㎛인 광섬유, 2000년도 초반에는 코어경이 93㎛±05㎛인 광섬유, 2000년도 중반 이후에는 코어경이 83㎛±04㎛인 광섬유가 제작되었고, 기능성이 고려된 광섬유의 경우에는 코어경이 64∼87㎛인 광섬유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유리나 투명수지로 제작된 가는 광섬유(Optical Fiber)가 여러 가닥으로 묶인 것으로 통신선로에서 광통신장비로 또는 광통신장비가 설치된 건물내의 통신용 광분배함을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광섬유의 양쪽 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한 광점퍼코드(Optical Jumper Code)가 사용되고 있다. 즉, 건물내의 통신용 광분배함이나 광통신장비를 상호 접속하기 위해 광점퍼코드(Optical Jumper Code)를 널리 이용한다.
종래 광점퍼코드는 광통신장비나 광분배함에 취부가 용이하도록 양쪽 단부에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 광점퍼코드는 광섬유 통신망이 급속히 확대됨에 따라 광통신장비의 복잡화로 인하여 더욱 고밀도화 되고 이에 따라 여러 가닥이 뒤섞여 다수의 묶음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점퍼코드는 접속을 목적으로 통신선로에서 광통신장비나 또는 건물내의 통신용 광분배함 사이에 접속 설치됨에 따라 통신회선의 신설 및 교체작업이나 또는 보수작업시 한쪽 커넥터에서 다른 한쪽 커넥터로 연결된 광점퍼코드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즉, 통신설비에 따른 작업은 대부분 사용자들의 불편과 피해를 막고자 통신시스템의 운용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에 필요한 광점퍼코드만을 확실하게 식별하여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광점퍼코드의 피복에 식별기호를 인쇄하거나 또는 식별기호가 부여된 링을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광점퍼코드의 식별방법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식별기호를 확인하여 광점퍼코드를 식별해야함으로써, 여러 가닥의 광점퍼코드가 복잡하게 뒤섞여 있는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에 필요한 광점퍼코드를 쉽게 식별할 수 없으므로 작업시간이 예상외로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광점퍼코드도 일종의 교체 부품으로서 고유한 수명이 존재한다. 그런데, 장비들간에 연결된 고정 상태에서는 빛만이 그 내부를 통과할 뿐이므로 내구성에 대한 손실이 거의 없는 반면, 통신 설비의 점검이나 재설치 등의 사유로 광점퍼코드의 접속/해제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특히, 접속부 부분에서 내구성에 대한 손실이 발생한다.
다시말해, 광점퍼코드의 내구성은 그 시간에 비례하기 보다는 접속/해제의 회수에 더 의존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속/해제 회수에 근거한 광점퍼코드의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은 제시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12-0126614호
본 고안은 여러 가닥의 광점퍼코드가 뒤섞여 있는 광분배함이나 광통신장비에서 작업에 필요한 광점퍼코드를 손쉽게 식별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부여하는 광점퍼코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사용 중인 광점퍼코드의 접속 및 해제 회수에 기반한 내구 정도를 알려주는 광점퍼코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광점퍼코드는, 통신용 광분배함이나 광통신장비 사이에 접속되기 위해 양쪽 끝단에 제1 커넥터부 및 제2 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된 광점퍼코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에 배치된 제1 알림 소자 및 제1 버튼; 상기 제2 커넥터부에 배치된 제2 알림 소자 및 제2 버튼; 및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면,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에서 모두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커넥터에 형성된 전원공급 단자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통형 콘덴서 또는 전해 콘덴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최초 설치 광점퍼코드의 내구 연한으로 설정된 사용 회수에 알림 확인 소요시간을 곱한 시간 만큼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 각각은, 음향으로 알림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발광으로 알림을 출력하는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커텍터 파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커텍터 파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광점퍼코드를 실시하면, 여러 가닥의 광점퍼코드가 뒤섞여 있는 광분배함이나 광통신장비에서 작업에 필요한 광점퍼코드를 손쉽게 식별하여 필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광점퍼코드는 작업자가 사용 중인 광점퍼코드의 접속 및 해제 회수에 기반한 내구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점퍼코드의 양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점퍼코드의 내부 구성들로서 제1/제2 버튼 및 제1/제2 엘이디에 대한 회로 연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도 1의 광점퍼코드의 내부 구성들로서 제1/제2 버튼 및 제1/제2 엘이디에 대한 회로 연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점퍼코드의 양단을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먼저, 일반적인 광점퍼코드와 중복되는 구성 및 광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광점퍼코드는 광섬유가 피복 내부에 내재되고 양쪽 끝단부에 광 접속용 커넥터가 구비된다.
구현에 따라, 광점퍼코드는 중앙의 통신용 광섬유 심선에 1차적으로 광심선보호용 피복을 씌우고, 그 주변에 케블라를 배치하여 인장력 및 내부심선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광커넥터 점퍼선의 외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는 케이블의 형태로 제작되어 광섬유를 케이블의 형태로 제작하여 지중에 매설하고 있으나 전송 장비간의 연결 및 분배반에서는 본 고안의 대상이 되는 광점퍼코드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광분배반은 여러 개의 분배 셀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셀프당 72 혹은 144개의 커넥터로 이루어져 있어 각 광점퍼코드로 연결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광점퍼코드가 뒤섞여 있으며, 그 중 광점퍼코드의 철거시 시단과 종단은 관리대장이나 별도의 관리 방법으로 확인이 가능하나 광커넥터 점퍼선은 어느 것이 철거될 것인가를 구분해 내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는 광커넥터 점퍼선들이 별도의 광점퍼코드 저장함 또는 여장처리부에 매우 복잡하게 놓여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는 여러 개의 광점퍼 코드가 섞여 있는 다발에서 원하는 광점퍼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점퍼코드의 양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광점퍼코드(100)는, 통신용 광분배함이나 광통신장비 사이에 접속되기 위해 양쪽 끝단에 제1 커넥터부(11) 및 제2 커넥터부(21)가 각각 구비된 광점퍼코드이다.
도시한 광점퍼코드(100)는, 상기 제1 커넥터부(11)에 배치된 제1 알림 소자로서 제1 엘이디(12) 및 제1 버튼(14); 상기 제2 커넥터부(21)에 배치된 제2 알림 소자로서 제2 엘이디(22) 및 제2 버튼(24); 및 상기 제1 엘이디(12) 및 제2 엘이디(22)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버튼(14, 24)는 on/off로 구분되는 수동 조작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토글 스위치, 푸쉬버튼, 터치버튼 등 다양한 조작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한 상기 제1 및 제2 버튼(14, 24)은 작업자가 광점퍼코드의 커넥터 영역(10, 20)을 파지하면서 누를 수 있도록, 커넥터 영역(10, 2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었다.
상기 제1/제2 엘이디(12, 22)는 작업자가 알고 있는 하나의 커넥터부와 연결된 다른 커넥터부를 찾도록 구비된 것이므로, 작업자가 제1 커넥터 영역(10)의 제1 버튼(14)을 조작하면, 반대편 제2 커넥터 영역(20)의 제2 엘이디(22)가 발광하며, 작업자가 제2 커넥터 영역(20)의 제2 버튼(24)을 조작하면, 반대편 제1 커넥터 영역(10)의 제1 엘이디(12)가 발광하는 회로 연결 구조를 가져야 한다.
한편, 작업자가 어느 한 버튼(14, 24)을 눌렀는데 어떤 곳에서도 발광된 반대편 커넥터 영역을 찾을 수 없다면, 다수의 다른 광점퍼코드들 등으로 인해 가려진 경우일 것이나, 상기 배터리(60)가 방전된 경우일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60)의 방전 여부를 작업자가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어느 한 버튼(14, 24)을 누르면, 반대편 커넥터 영역의 엘이디 뿐만 아니라 눌러진 버튼과 동일한 커넥터 영역의 엘이디도 발광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버튼(14) 및 제2 버튼(24)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면, 상기 제1 엘이디(12) 및 제2 엘이디(22)에서 모두 알림 신호로서 발광되도록 회로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알림 소자로서 제1 엘이디(12)를 제시하고, 제2 알림 소자로서 제2 엘이디(22)를 제시하였지만, 다른 알림 소자 특히 시각적 알림 소자로서, 각종 램프, 마이크로미러, LCD 패널, 램프 및 광섬유 토광장치 등도 적용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엘이디(12) 및 제2 엘이디(22)를 제1/제2 커넥터 영역(10, 20)의 파지 부분의 테두리에 배치하여, 시인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도시한 상기 배터리(60)는 광점퍼코드의 공간점유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통 고리형으로 형성된 배터리를 적용하였다. 즉, 도시한 배터리는, 원통 고리형 콘덴서 또는 전해 콘덴서 구조를 가지거나, 원통 고리형 리튬이온 배터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원통형 콘덴서/리튬이온배터리는 모두 양극박막/전기저장시트/음극박막/세퍼레이터가 적층된 시트가 원통형으로 말아진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이를 원통형 테두리 영역만 말아서 원통 고리형으로 콘덴서나 배터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점퍼코드는 원통 고리형으로 콘덴서나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이 배터리로 인한 공간 점용을 줄일 수 있다.
신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배터리는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와이어형 배터리로 구현되어 광점퍼코드의 광섬유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비용 절감을 위해서 다소 부피는 존재하지만 본 실시예의 배터리는 일반적인 동전 유사 형상의 전해 콘덴서나 리튬전지, 수은전지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광점퍼코드는 광 통신 장비들간에 연결된 고정 상태에서는 빛만이 광섬유 내부를 통과할 뿐이므로 내구성에 대한 손실이 거의 없는 반면, 통신 설비의 점검이나 재설치 등의 사유로 광점퍼코드의 접속/해제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영역(10, 20)에서 내구성에 대한 손실이 발생한다.
개선된 본 실시예의 광점퍼코드는, 상술한 접속/해제 회수에 근거한 광점퍼코드의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상기 배터리(60)에 저장되는 전력을 광점퍼코드의 내구 연한에 맞추는 것을 제시한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60)는, 최초 설치 광점퍼코드의 내구 연한으로 설정된 사용 회수에 알림 확인 소요시간을 곱한 시간 만큼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이 저장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구 연한으로 설정된 사용 회수대로 알림 확인 소요시간(예: 약 1초) 동안 LED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만이 저장되어, 광점퍼코드의 교체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 버튼(14) 또는 제2 버튼(24)을 눌러도 제1 엘이디(12) 및 제2 엘이디(22)가 발광하지 않으면, 배터리(60)가 소진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구 연한에 도달할 만큼 해당 광점퍼코드가 다수회 접속/해제되었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광점퍼코드로 교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광점퍼코드의 내부 구성들로서 제1/제2 버튼 및 제1/제2 엘이디에 대한 회로 연결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2 도면의 회로 모두 제1/제2 버튼들 중 하나만 누르면, 제1/제2 엘이디가 동시에 발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2에 도시한 회로의 경우, 제1 버튼 및 제2 버튼(14, 24)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광 케이블상에 광섬유와 평행하게 4개의 도선이 배치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3에 도시한 회로의 경우, 제1 버튼 및 제2 버튼(14', 24')외에도 PMOS 스위치 소자와 같은 다른 제어 소자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으나, 광 케이블상에 광섬유와 평행하게 3개의 도선만 배치되어야 하는 이점이 있다.
도 3에 도시한 회로의 경우, 배터리(60)는 제1 커넥터 영역에 위치하며, 직렬로 연결된 제1/제2 엘이디(12', 22')를 동시에 발광시키는 점등 스위치(15)는 PMOS 전력 소자로 구현하고, 상기 점등 스위치(15)를 제1 버튼(14') 또는 제2 버튼(24')이 동작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점퍼코드의 양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광점퍼코드(100-1)는, 통신용 광분배함이나 광통신장비 사이에 접속되기 위해 양쪽 끝단에 제1 커넥터부(11) 및 제2 커넥터부(21)가 각각 구비된 광점퍼코드이다.
도시한 광점퍼코드(100-1)는, 상기 제1 커넥터부(11)에 배치된 제1 알림 소자로서 제1 스피커(12-1) 및 제1 버튼(14-1); 상기 제2 커넥터부(21)에 배치된 제2 알림 소자로서 제2 스피커(22-1) 및 제2 버튼(24-1); 및 상기 제1 스피커(12-1) 및 제2 스피커(22-1)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버튼(14-1, 24-1)는 on/off로 구분되는 수동 조작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토글 스위치, 푸쉬버튼, 터치버튼 등 다양한 조작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광점퍼코드의 커넥터 영역을 파지하면서 누를 수 있도록, 커넥터 영역의 말단 영역에 배치되었다.
한편, 상기 제1 스피커(12-1) 및 제2 스피커(22-1)는 음향 출력이 용이하도록 커넥터 영역의 넓은 면의 중앙에 배치되었다.
상기 제1 스피커(12-1) 및 제2 스피커(22-1)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제1 커넥터 영역 및 제2 커넥터 영역에 각각 배치된 일종의 전원공급 단자로서 제1/제2 슬롯(18, 28)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는 상기 제1/제2 슬롯(18, 28)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하면 상기 제1 스피커(12-1) 및 제2 스피커(22-1)가 구동되는 회로 구성을 가진다.
구현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방전 여부를 작업자가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어느 한 버튼(14, 24)을 누르면, 반대편 커넥터 영역의 스피커 뿐만 아니라 눌러진 버튼과 동일한 커넥터 영역의 스피커도 소리가 발생하는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제1 버튼(14-1)을 누르면 반대편 영역의 제2 스피커(22-1)에서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제2 버튼(24-1)을 누르면 반대편 영역의 제1 스피커(12-1)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소리는 가려진 상태에서도 포착할 수 있으며, 2곳에서 발생된 소리는 오히려 발음원 찾는데 다소 방해가 될 수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
한편, 구현에 따라, 상기 제1 스피커(12-1) 및 제2 스피커(22-1)와 함께 도 1에서 나타낸 제1/제2 엘이디를 함께 배치할 수 있다. 이는 광 설비 내에서 많은 광 배선, 전기 배선으로 인해 광점퍼코드의 커넥터 영역이 가리는 상황에서, 소리로 대강의 위치를 찾고 빛으로 정확한 광점퍼코드를 식별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광점퍼코드
10 : 제1 커넥터 영역
11 : 제1 커넥터부 12 : 제1 버튼
14 : 제1 엘이디 14-1 : 제1 스피커
20 : 제2 커넥터 영역
21 : 제2 커넥터부 22 : 제1 버튼
24 : 제1 엘이디 24-1 : 제2 스피커
60 : 배터리

Claims (7)

  1. 통신용 광분배함이나 광통신장비 사이에 접속되기 위해 양쪽 끝단에 제1 커넥터부 및 제2 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된 광점퍼코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에 배치된 제1 알림 소자 및 제1 버튼;
    상기 제2 커넥터부에 배치된 제2 알림 소자 및 제2 버튼; 및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광점퍼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면,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에서 모두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회로가 연결된 광점퍼코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커넥터에 형성된 전원공급 단자를 통해 연결된 광점퍼코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통형 콘덴서 또는 전해 콘덴서 구조를 가지는 광점퍼코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최초 설치 광점퍼코드의 내구 연한으로 설정된 사용 회수에 알림 확인 소요시간을 곱한 시간 만큼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이 저장된 광점퍼코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소자 및 제2 알림 소자 각각은,
    음향으로 알림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발광으로 알림을 출력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광점퍼코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커텍터 파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커텍터 파지부에 배치된 광점퍼코드.

KR2020190004189U 2019-10-17 2019-10-17 광점퍼코드 KR202100008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89U KR20210000895U (ko) 2019-10-17 2019-10-17 광점퍼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89U KR20210000895U (ko) 2019-10-17 2019-10-17 광점퍼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95U true KR20210000895U (ko) 2021-04-27

Family

ID=7573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89U KR20210000895U (ko) 2019-10-17 2019-10-17 광점퍼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89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614A (ko) 2011-05-12 2012-11-21 (주)파이버피아 엘이디를 이용하는 자동 광분배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614A (ko) 2011-05-12 2012-11-21 (주)파이버피아 엘이디를 이용하는 자동 광분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6453A (en) Fiber optic jumper cables and tracing method using same
US6456768B1 (en) Optical fiber cable tracing system
US20050052174A1 (en) Traceable patch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identifying patch cable ends
US6347172B1 (en) Cable having side-emitting fiber under transparent or translucent cable jacket
US20130201001A1 (en) End connection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US6543941B1 (en) Jack receptacle having optical and electrical ports
WO2008048955A2 (en) Patch cord with a light pipe
US20030073343A1 (en) Testing assembly and method for identifying network circuits
US9083123B2 (en) Visually evident connection system for plug-in power/data cable
US9500815B2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power
US20190072246A1 (en) Led lighting system and methods
CN104932065A (zh) 光纤配线模块内无pcb板的光纤系统及光纤配线方法
US20150224641A1 (en) Cable with marked conductors for identification and sorting
KR102333259B1 (ko)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US6888996B2 (en) Fiber optic cable identification kit and its method
KR20210000895U (ko) 광점퍼코드
KR101602621B1 (ko)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US10649168B2 (en) Illuminated tracer cable
CN106154102A (zh) 线缆识别模块及复合线缆组件
US20200341220A1 (en) Connecting harness
JPH0617157U (ja) 稼働中表示付きコンセントプラグを備えた電気機器
JP6607032B2 (ja) ケーブル特定システムおよびケーブル特定方法
CN113284665B (zh) 一种光电复合缆及光电系统
EP2448071A1 (en) Telecommunication connecting device
JP5251325B2 (ja) 波長分割多重光伝送システム、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接続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