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442U - 휠체어, 유모차 및 카트 등을 위한 단차해소용 휴대가능 경사로 - Google Patents
휠체어, 유모차 및 카트 등을 위한 단차해소용 휴대가능 경사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0442U KR20210000442U KR2020190003391U KR20190003391U KR20210000442U KR 20210000442 U KR20210000442 U KR 20210000442U KR 2020190003391 U KR2020190003391 U KR 2020190003391U KR 20190003391 U KR20190003391 U KR 20190003391U KR 20210000442 U KR20210000442 U KR 2021000044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mp
- wheels
- wheelchair
- slope
- be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볍고 부피가 적은 상태로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단측으로만 돌돌 말리는 벨트형태의 구조를 작은 판들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써, 휴대가 매우 용이하여 상시적으로 휴대가 가능하므로, 계단이나 단차가 있어 오르기 힘든 구조에서 즉각 별도의 장비 없이 장애인이나 여성도 쉽게 손으로 펴서 장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써, 구성하는 판을 결착 또는 탈착함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경사의 각도와 상관 없이 사용가능한 구조이며, 바퀴 2개에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바퀴 사이의 간격에도 상관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가운데가 움푹 파인 구조로 탈선 방지의 효과를 가지며,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패턴의 홈을 바퀴와 닿는 면 및 바닥과 닿는 면에 사용하고, 한쪽으로만 폴딩되는 구조로 인해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휘거나 주저앉지 않는 구조를 구현하여 안전한 경사로를 제공한다.
이 때의 판의 재질은 휠체어 및 유모차 등 사용자에게 맞는 무게에 따라 여러 종류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운데가 움푹 파인 구조로 탈선 방지의 효과를 가지며,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패턴의 홈을 바퀴와 닿는 면 및 바닥과 닿는 면에 사용하고, 한쪽으로만 폴딩되는 구조로 인해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휘거나 주저앉지 않는 구조를 구현하여 안전한 경사로를 제공한다.
이 때의 판의 재질은 휠체어 및 유모차 등 사용자에게 맞는 무게에 따라 여러 종류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차해소를 위한 휴대용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 1세트를 이루는 단측으로만 폴딩가능한 결착구조를 가지는 벨트형태로 휴대가 용이하게 작은 부피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슬로프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외부 및 인도와 차도의 경계 등에는 계단이나 단턱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차들로 인해 휠체어나 유모차 등 바퀴를 이동수단으로 하는 경우에 이동의 불편 또는 불가능이 발생한다.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 이러한 단턱을 넘기 위해 먼 거리를 돌아서 이동하거나 타인의 도움 등에 의해 휠체어를 들어서 올리는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경우 조작미숙으로 인한 낙상사고 등의 위험이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기존의 휴대용 경사로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부피와 무게가 매우 커 일상적 휴대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 종래기술에서는 반으로 접거나 4분의 1로 접는 형태의 큰 판상구조로 된 휴대용 경사로가 상용되고 있으나, 그 부피가 매우 크고 무게가 상당하여 비치용이나 차량을 이용한 휴대만이 가능함으로써 휴대성이 현저히 낮아 불시적인 장소에서의 활용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휴대가 용이한 형태의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휴대용 경사로와는 달리 매우 콤팩트한 형태로 돌돌 말아서 휴대할 수 있게끔 함과 동시에 2개의 분리된 벨트 구조로써 가운데 불필요한 부분의 무게와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퀴 사이의 간격에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계단 등의 단차 해소를 위하여 바퀴 양쪽에 맞는 넓이로 하나씩 경사로를 형성해 줌으로써 휠체어, 유모차, 카트 등을 운전, 운반하는 사람의 편의를 제공하고,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 가운데가 움푹 패인 구조로써 옆으로 탈선하지 않도록 하고, 단측으로만 말 수 있게 되어 바퀴가 이동하는 면의 아래쪽으로는 굴곡이 생기지 않게 하여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무게로 인해 아래로 휘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안전한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로와 반대방향으로 조밀한 홈을 파 후면으로 미끄러짐을 최소화 하여 위험성을 차단하고 안전성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즉 바퀴가 닿는 면에 경사의 아랫면쪽이 높은 형태의 홈을 바퀴의 진행방향과 90도를 형성하도록 패턴을 주어 홈을 파서 뒤로 미끄러짐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 및 이에 상응하는 문제들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손쉽게 말아서 작은 부피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휴대용 경사로 벨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측으로만 폴딩이 가능하여 돌돌 말 수 있는 형태의 벨트로 구성된 금속 및 플라스틱 벨트를 형성하되, 가운데 쪽으로 움푹하게 홈이 파여있어 옆으로 굴러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바퀴가 닿는 면에 패턴을 주어 뒤로 미끄러짐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각 바퀴마다 하나씩 2개가 1세트로 된 구성으로 하여, 바퀴 사이의 거리에 상관 없이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가볍고 부피가 적은 상태로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 경사로를 제공함으로써, 휴대가 매우 용이하여 휠체어나 유모차 등에 탈부착 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별도의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계단이나 단차가 있어 오르기 힘든 구조에 맞닥드렸을 경우 지체없이, 장애인이나 여성의 경우도 별도의 도움 없이 또는 최소한의 도움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의 자유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별도의 장비 없이 쉽게 손으로 폴딩하거나 펼 수 있게 함으로써, 어디서나 단차가 있을 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성을 최대화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가운데가 파여있어 탈선 방지의 효과,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패턴 사용, 한쪽으로만 폴딩되는 구조 등을 통해 안전한 경사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차해소용 휴대용 벨트형태 경사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차해소용 휴대용 벨트형태 경사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차해소용 휴대용 벨트형태 경사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단차해소용 휴대용 벨트형태 경사로의 판에서 바퀴가 닿는 부분의 홈의 구조 및 바닥 계단 및 단차에 닿는 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경사로가 폴딩되는 과정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경사로를 폴딩완료한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이 일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경사로를 풀어 펼친 후 휠체어의 바퀴 사이 간격에 맞계 계단에 장착하여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단차해소용 휴대용 벨트형태 경사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차해소용 휴대용 벨트형태 경사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단차해소용 휴대용 벨트형태 경사로의 판에서 바퀴가 닿는 부분의 홈의 구조 및 바닥 계단 및 단차에 닿는 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경사로가 폴딩되는 과정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경사로를 폴딩완료한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이 일실시예에 따라 벨트형 경사로를 풀어 펼친 후 휠체어의 바퀴 사이 간격에 맞계 계단에 장착하여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 및 실시 사항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구성한다” 나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성,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에 관한 것을 설명하고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상기에 서술한 것과 같이, 건물 내외부나 도로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휠체어나 유모차를 이용하는 경우 단턱을 넘기 위해서는 들어올려야 하거나 이마저도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휠체어 이용자들은 대부분 거동이 불편할 것이기 때문에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단턱을 한 개 이상 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휠체어나 유모차 등 바퀴 이용자들이 쉽게 단턱을 넘을 수 있도록 경사로를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폴딩가능한 벨트형 경사로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로 세트는, 폴딩을 풀어서 이용하는 구조로써 높낮이를 달리하거나 길이를 달리할 경우에도 폴딩 많이 풀거나 적게 풀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시 패킹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돌돌 말린 벨트의 형태로 콤팩트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가로의 길이가 바퀴너비보다 조금 넓은 구조이므로 매우 작은 부피로 말아서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도 5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쪽으로 풀어 펼치게 되면, 길게 펼쳐지는 경사로의 형태로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도 2의 4번 브릿지와 5번 힌지로 인해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이 쉽게 풀어서 펼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의 정도나 높이에 상관 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도 4의 설명과 같이 설치되는 바닥면인 계단 또는 단차에 설치시 미끄러짐 없이 결착될 수 있도록 톱니모양의 홈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술한 방식에 의해 구성되는 경사블럭 세트는 2개의 바퀴에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2개가 한 세트를 이루게 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나 유모차 양쪽의 바퀴 사이의 간격에 상관 없이, 사용자의 바퀴사이에 맞는 간격으로 설치를 이룰 수 있다.
특히, 이 벨트에 사용되는 재질은 전동이나 수동 휠체어, 또는 유모차의 무게에 따라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금속 또는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등으로 각각의 필요에 따른 강도에 부합할 수 있도록 물품의 종류를 여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4번 브릿지와 5번 힌지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여, 1의 판을 더 끼워 연장할 수도, 탈착하여 짧게 이용할 수도 있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의에서 6의 모양으로 홈이 파여있으므로 바퀴가 중앙에 오게 하여 이동한다면 옆으로 탈선하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으며, 도 1의 3의 조밀한 홈 구조에 의해 경사로 인해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벨트형 경사로 및 이를 이용한 실시예를 적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한 것이므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처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 또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고안의 구성, 도면 및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판
2: 반대쪽으로 폴딩되지 않게 하는 시접구조
3: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턴의 홈 구조
4: 각 판을 연결하는 브릿지 구조
5: 각 판을 연결하는 브릿지가 결착되어 회전하도록 된 힌지
6: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가 닿는 면의 가운데가 움푹 파인 구조
7: 벨트형 경사로가 계단에 설치된 모습
8: 휠체어
2: 반대쪽으로 폴딩되지 않게 하는 시접구조
3: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턴의 홈 구조
4: 각 판을 연결하는 브릿지 구조
5: 각 판을 연결하는 브릿지가 결착되어 회전하도록 된 힌지
6: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가 닿는 면의 가운데가 움푹 파인 구조
7: 벨트형 경사로가 계단에 설치된 모습
8: 휠체어
Claims (7)
- 작은 판(1)들의 나열이 브릿지(4)와 힌지(5)로 길게 연결되는 구조로 한쪽 방향으로 돌돌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해소용 벨트형 휴대용 경사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작은 판(1)은 브릿지(4)와 힌지(5)로 더 길게 결착시키거나, 더 짧은 사용을 위해 탈착시킬 수 있는 구조의 경사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측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힌지 구조물로써 시접을 처리함으로써(2), 설치 후 윗부분에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의 무게에 의해서도 아래로 굽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나열되는 판(1)의 윗면과 아랫면에는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홈이 패턴으로 적용(3)되어 있는 경사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돌돌 말려있는 구조를 펼쳐서 사용할 때에 별도의 장비 없이 장애인 및 노약자, 여성도 쉽게 펼치거나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힌지(5)를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바퀴 2개 또는 단일 축의 여러 바퀴로 구성된 휠체어, 유모차 또는 카트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분리된 2개의 벨트구조가 1 세트를 이루는 구조로써, 바퀴 사이의 거리에 상관 없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성요소인 작은 판(1)들의 재질은,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충분한 정도의 강도로 이루어 진 것으로써, 다양한 견고성을 통해 여러타입으로 선택 가능한 경사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391U KR20210000442U (ko) | 2019-08-16 | 2019-08-16 | 휠체어, 유모차 및 카트 등을 위한 단차해소용 휴대가능 경사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391U KR20210000442U (ko) | 2019-08-16 | 2019-08-16 | 휠체어, 유모차 및 카트 등을 위한 단차해소용 휴대가능 경사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442U true KR20210000442U (ko) | 2021-02-24 |
Family
ID=7471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3391U KR20210000442U (ko) | 2019-08-16 | 2019-08-16 | 휠체어, 유모차 및 카트 등을 위한 단차해소용 휴대가능 경사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0442U (ko) |
-
2019
- 2019-08-16 KR KR2020190003391U patent/KR2021000044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43878B2 (en) | Loading ramp device which rolls up for convenient storage | |
CN105919251B (zh) | 一种可上下楼梯的爬梯式拉杆箱 | |
US5401135A (en) | Foldable platform wheelchair lift with safety barrier | |
US6463613B1 (en) | Portable ramp | |
US7850189B2 (en) | Curb climbing wheelchair attachment | |
KR102045427B1 (ko) |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 |
KR20070098979A (ko) | 경사로로 변형 가능한 계단 | |
US6360833B1 (en) | Chair lift for stairs | |
JP2000355290A (ja) | 車輪付き伸縮可能前後スライド移動脚を用いて、それら各脚の伸縮の度合い及び各脚の機器に対する位置の変化によって前進および段越え等を補助するロボット | |
KR20210000442U (ko) | 휠체어, 유모차 및 카트 등을 위한 단차해소용 휴대가능 경사로 | |
CN108113813B (zh) | 辅助支承式可折叠式路梯两用车 | |
US20030051299A1 (en) | Convertible steps | |
KR100993942B1 (ko) |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 |
US20060048310A1 (en) | Foldable bridge platform | |
JP3045393U (ja) | スロープ装置 | |
CN110629628A (zh) | 台阶上坡装置 | |
US1261944A (en) | Resilient stairway-climbing vehicle. | |
KR200406016Y1 (ko) | 휴대용 접철 휠체어 | |
CN215055685U (zh) | 多功能便携式无障碍坡道 | |
CN221904447U (zh) | 一种电动爬楼轮椅 | |
KR101650360B1 (ko) | 입출식 바퀴다리를 갖는 들것 | |
JP2005048423A (ja) | 縁石構造物 | |
DE69615525D1 (de) | Ein Rettungs-Transportgerät für einen Patienten | |
KR200368189Y1 (ko) | 휠체어용 계단보조구 | |
CN220848413U (zh) | 一种无障碍坡道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