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52U -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52U
KR20210000152U KR2020190002908U KR20190002908U KR20210000152U KR 20210000152 U KR20210000152 U KR 20210000152U KR 2020190002908 U KR2020190002908 U KR 2020190002908U KR 20190002908 U KR20190002908 U KR 20190002908U KR 20210000152 U KR20210000152 U KR 202100001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main housing
insect
hole
insect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옥
Original Assignee
김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옥 filed Critical 김명옥
Priority to KR2020190002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152U/ko
Publication of KR20210000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절기에는 야외에서 조명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조명을 향해 몰려드는 날벌레 등을 포집할 수 있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통체로 되어 있는 본체하우징(1'); 벌레유입공이 마련되어 있는 램프고정대(23')를 통해 상기 본체하우징(1')의 하단에 빛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조명램프(3'); 상기 본체하우징(1') 내부 중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팬(5'); 상기 송풍팬(5')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33)를 상기 본체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통기공(47a)이 타공되어 있는 모터설치판(47); 상기 본체하우징(1')의 상단에 덮개처럼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는 통과되고 벌레는 통과될 수 없게 하는 방충커버(19'); 복수 개의 설치공(59)을 가지며, 양단이 상기 본체하우징(1')의 상단 측벽에 마련되어 있는 체결공(65)에 체결되는 걸이대(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Can Capture Bugs}
본 고안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하절기에는 야외에서 조명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조명을 향해 몰려드는 날벌레 등을 포집할 수 있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절기에는 야외에서 조명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단독주택의 정원, 캠핑장, 기타 다양한 야외모임에서의 사용이 그 예이다.
하절기에 야외에서 조명을 사용함에 따른 문제는 하루살이, 나방, 기타 다양한 날벌레가 조명에 운집한다는 것이다. 조명을 멀리 설치할 수 있다면 큰 문제가 아니지만, 식사를 위하여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조명을 멀리 설치하기는 어렵다.
벌레들을 쫓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저마다 장단점이 다 있다.
기존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7081호에서와 같이 조명램프가 포함된 포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조명수단을 날벌레의 포집을 위하여 채용하고 있는 것이므로 조명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62049호, 제10-2015-0020846호는 포충기능을 가지며 동시에 조명기능을 수행하는 포충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충기 또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순수하게 조명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구성이다. 즉 조명장치는 벌레를 유도하는 유도등으로서의 역할이 크다.
특히 본 고안은 캠핑장이나 야외정원에서 바비큐를 조리할 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7081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2084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6204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야외에서 바비큐 조리시에 또는 식사할 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전압을 사용하지 않아 소음이 없으며, 포집된 벌레의 날갯짓으로부터 먼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포충기능을 가진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바닥판의 중심부에 조명설치공이 타공되어 있으며, 측판에는 포집되는 날벌레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벌레배출공이 마련되는 박스 형태의 본체하우징; 빛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하우징에 설치되되 조명갓과 상기 조명설치공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설치되는 조명램프; 상기 본체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배출공이 마련된 본체하우징의 측판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되는 벌레를 채집하고 바람은 외부로 내보내는 채집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채집함은 상기 본체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벌레유입공이 마련되며; 바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방충커버가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채집함에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벌레배출공을 향한 방향으로 벌레유입공이 마련되며; 나아가 바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방충커버가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통체로 되어 있는 본체하우징(1');
벌레유입공이 마련되어 있는 램프고정대(23')를 통해 상기 본체하우징(1')의 하단에 빛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조명램프(3'); 상기 본체하우징(1) 내부 중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팬(5'); 상기 송풍팬(5')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33)를 상기 본체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통기공(47a)이 타공되어 있는 모터설치판(47); 상기 본체하우징(1')의 상단에 덮개처럼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는 통과되고 벌레는 통과될 수 없게 하는 방충커버(19'); 복수 개의 설치공(59)을 가지며, 양단이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단 측벽에 마련되어 있는 체결공(65)에 체결되는 걸이대(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방충커버(19')는 상기 본체하우징(1') 보다 면적이 넓으며, 상기 걸이대가 관통하도록 걸이대통과공(55)을 가지며; 상기 걸이대(57)의 좌우 양측에는 장공(61)이 마련되어 있으며; 볼트(63)가 상기 장공(61)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1')의 상단 측벽에 마련되어 있는 체결공(65)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걸이대(57)의 설치높이를 장공(61)의 길이만큼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고정대(23')에는 램프고정대(23')의 일측에는 조명램프(3')를 위한 전선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전선커버(49)가 마련되어 있으되;
상기 전선커버(49)는 램프고정대(23')의 평판을 "
Figure utm00001
"의 형태로 절개한 다음 상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명램프를 향해 몰려드는 날벌레는 조명램프 주위에 걸려있는 부압에 의해 본체하우징을 통해 채집함에 채집된다. 채집함에 담긴 날벌레는 일거에 수거 및 폐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야외에서 바비큐를 조리하거나 식사를 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조명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달려드는 벌레는 소음이나 먼지를 일으키지 않고 포집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캠핑장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겠으며, 필요한 곳에서 도 4 이하를 인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고안에 의한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이하, 단지 '조명장치'라 함)는 본체하우징(1), 조명램프(3), 송풍팬(5), 및 채집함(7)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조명장치는 식탁 위에 또는 조리장소의 직상부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하우징(1)은 바닥판(9)의 중심부에 조명설치공(11)이 타공되어 있으며, 일측판(13)에는 포집되는 날벌레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벌레배출공(15)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은 육면체 박스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또는 반원통형 등이 될 수도 있다.
채집함(7)에는 본체하우징(1)을 향한 방향으로 벌레유입공(17)이 마련된다. 바람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방충커버(17,19)가 채집함(7)의 측방향 및/또는 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측방향 및 상방향으로 설치되고 있다.
조명램프(3)는 빛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본체하우징(1)에 설치된다. 조명램프(3)는 조명설치공(11)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설치된다. 조명램프(3)는 본체하우징(1)의 바닥판(9)에 설치되는 램프고정대(23)를 통해 본체하우징(1)에 설치된다.
램프고정대(23)는 원형으로 된 지지대(25)와 지지대(25)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아암(27)과, 아암(27)에 설치되는 고정관(29)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램프(3)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조명램프(3)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삼파장램프로서 나사식으로 소켓베이스(31)에 결합되는 것이다. 소켓베이스(31)는 고정관(29)의 상단에 얹어진 상태에서 끼워져 나사로써 고정된다.
송풍팬(5)은 반경류를 일으키는 원심팬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도 3에 화살표(W)로 도시된 것처럼 아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향으로 내보낸다. 팬모터(33)는 본체하우징(1)의 상판(35)에 거꾸로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체하우징의 일측판(13)에는 송풍팬이 일으키는 바람이 통과되는 배출될 수 있는 벌레배출공(1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벌레배출공(15)은 채집함(7) 내부로 통하게끔 되어 있다. 채집함(7)은 벌레유입공(17)이 벌레배출공(15)을 향하도록 본체하우징(1)에 설치된다. 채집함(7)에는 날벌레가 채집된다. 채집함(7)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통풍공이 마련된다. 이 통풍공에는 방충커버(17,19)가 설치되어 있다. 방충커버(17,19)는 바람은 빠져나가되 벌레는 빠져나갈 수 없게끔 한다. 통풍공은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함(7)의 상방향 및 측방향에 각각 전체 면적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방충커버(17,19)는 각각 격자 형태의 프레임(37)과 프레임(37)에 고정된 메쉬망(39)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충커버(17,19)는 자석과 같은 편리한 부착수단에 의해 채집함(7)에 쉽게 분리할 수 있게끔 고정될 수 있다.
채집함(7)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분리 또는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하우징(1)에 연결될 수 있다. 본체하우징(1)의 일측판(13)에는 측면에서 볼 때 "
Figure utm00002
"와 같은 후크 형태의 걸이판(41)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채집함(7)은 벌레유입공(17)의 상단부(17a)를 이 걸이판(41)에 걸어 끼움으로써 본체하우징(1)에 설치할 수 있다.
채집함(7) 내벽에는 벌레가 벽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폰지 형태의 패드가 덧대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의 바닥판(9) 저면에는 깔때기 형태의 유도관(43)이 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명램프(3)로 하여금 본체하우징(1)에 대하여 상하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램프고정대(23)는 소켓베이스를 상하로 가이드할 수 있는 수직가이드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조명램프(3)의 상하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조명의 밝기 내지 분위기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조명램프(3)는 단계적으로 수직가이드부재(45)를 따라 승하강될 수 있다. 높이조절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구점에서 시판되는 커터칼과 같은 방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고, 스크류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카메라삼각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본체하우징(1)과 채집함(17)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이로써 소형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캠핑장 등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그 구성을 설명한다.
본체하우징(1')은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통체로 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의 내부 상측에는 송풍팬(5')이 설치되어 있으며, 화살표 방향, 즉 아랫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송풍팬(5')의 방식이 이전 실시예와 상이하게 될 것이다.
송풍팬(5')의 회전을 위한 팬모터(33)는 원주방향을 따라 통기공(47a)이 타공되어 있는 모터설치판(47)의 저면에 고정된다.
송풍팬(5')의 하부에는 보호커버(48)가 고정된다. 보호커버(48)에도 모터설치판(47)과 대응되는 형태로 통기공(48a)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의 하단에는 램프고정대(23')가 고정 설치된다. 램프고정대(23')에도 마찬가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며 벌레가 유입되는 벌레유입공(17)이 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램프고정대(23')의 일측에는 팬모터 및 조명램프(3')를 위한 전선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전선커버(49)가 마련되어 있다. 전선커버(49)는 램프고정대(23')의 평판을 "
Figure utm00003
"의 형태로 절개한 다음 상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이 전선커버(49)에 의해 유입공기가 통과되는 구멍이 동시에 마련된다.
한편 이전 실시예에서 채집함에 설치되어 있는 방충커버(19')는 본체하우징의 상부덮개 역할을 수행한다. 방충커버(19')는 상판(51), 하판(53), 및 이들 사이에 끼워지는 메쉬망(3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볼트와 너트로써 서로 포개진 상태로 고정된다. 방충커버(19')에는 후술되는 걸이대(57)가 통과되는 걸이대통과공(55)이 대칭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벌레는 송풍팬(5')에 의해 생긴 공기압에 의해 본체하우징(1)의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해서 본체하우징(1)의 상측에 모이게 된다. 벌레들은 아직 살아있을 것이므로 계속해서 날갯짓을 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본체하우징(1)의 하부로 떨어지지도 않게 된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본체하우징(1)의 상부 공간이 채집함이 되는 것이다.
한편 방충커버(19')의 면적은 본체하우징(1)의 평면적 보다 넓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체하우징(1)의 상단에 얹어지게끔 되어 있다.
걸이대(57)는 띠 형태의 금속판재를 "
Figure utm00004
" 형태로 절곡한 것으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매달거나 설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설치공(59)을 가진다. 걸이대의 좌우 양측에는 장공(61)이 마련되어 있다. 볼트(63)를 장공(61)을 관통하여 본체하우징(1')의 상단 측벽에 마련되어 있는 체결공(65)에 체결함으로써 걸이대의 설치높이를 장공(61)의 길이만큼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볼트(63)를 이완한 다음 방충커버(19')를 들어 올리고 본체하우징(1)의 옆으로 젖히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의 상부가 개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하우징(1)을 뒤집음으로써 그 내부에 채집된 벌레를 버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방충커버(19')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벌레를 채집하지 않고 조명 아래에 모여든 벌레를 빨아들인 다음 상부로 던져버릴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필요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방충커버(19')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1' : 본체하우징 3,3' : 조명램프
5,5' : 송풍팬 7 : 채집함
9 : 바닥판 11 : 조명설치공
13 : 일측판 15 : 벌레배출공
17 : 벌레유입공 19,19',21 : 방충커버
23,23' : 램프고정대 25 : 지지대
27 : 아암 29 : 고정관
31 : 소켓베이스 33 : 팬모터
35 : 상판 37 : 프레임
39 : 메쉬망 41 : 걸이판
43 : 유도관 45 : 수직가이드부재
47 : 모터설치판 57 : 걸이대

Claims (5)

  1.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통체로 되어 있는 본체하우징(1');
    벌레유입공이 마련되어 있는 램프고정대(23')를 통해 상기 본체하우징(1')의 하단에 빛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조명램프(3');
    상기 본체하우징(1') 내부 중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팬(5');
    상기 송풍팬(5')을 회전시키기 위한 팬모터(33)를 상기 본체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통기공(47a)이 타공되어 있는 모터설치판(47);
    상기 본체하우징(1')의 상단에 덮개처럼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는 통과되고 벌레는 통과될 수 없게 하는 방충커버(19');
    복수 개의 설치공(59)을 가지며, 양단이 상기 본체하우징(1')의 상단 측벽에 마련되어 있는 체결공(65)에 체결되는 걸이대(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커버(19')는 상기 본체하우징(1') 보다 면적이 넓으며, 상기 걸이대가 관통하도록 걸이대통과공(55)을 가지며;
    상기 걸이대(57)의 좌우 양측에는 장공(61)이 마련되어 있으며;
    볼트(63)가 상기 장공(61)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하우징(1')의 상단 측벽에 마련되어 있는 체결공(65)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걸이대(57)의 설치높이를 장공(61)의 길이만큼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정대(23')에는 일측에 상기 조명램프(3')를 위한 전선을 정리 및 보호하기 위한 전선커버(49)가 마련되어 있으되;
    상기 전선커버(49)는 램프고정대(23')의 평판을 "
    Figure utm00005
    "의 형태로 절개한 다음 상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4. 바닥판의 중심부에 조명설치공이 타공되어 있으며, 측판에는 포집되는 날벌레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벌레배출공이 마련되는 박스 형태의 본체하우징(1);
    빛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램프고정대를 통해 상기 본체하우징(1)에 설치되되 상기 조명설치공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설치되는 조명램프(3);
    상기 본체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명설치공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상기 벌레배출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팬(5);
    상기 배출공이 마련된 본체하우징(1)의 측판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배출공을 통해 유입되는 벌레를 채집하고 바람은 외부로 내보내는 채집함(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함(7)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을 향한 방향으로 벌레유입공이 마련되며;
    바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방충커버(19,21)가 상기 채집함(7)의 측방향 또는 상방향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2020190002908U 2019-07-10 2019-07-10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202100001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08U KR20210000152U (ko) 2019-07-10 2019-07-10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08U KR20210000152U (ko) 2019-07-10 2019-07-10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52U true KR20210000152U (ko) 2021-01-20

Family

ID=7423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908U KR20210000152U (ko) 2019-07-10 2019-07-10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15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5920A (zh) * 2022-04-25 2022-08-12 龙亦乐 一种能够自动灭虫清虫的诱虫灯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846A (ko)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압소머 고밀도 폴리우레탄 매트리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846A (ko) 2013-08-19 2015-02-27 주식회사 압소머 고밀도 폴리우레탄 매트리스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5920A (zh) * 2022-04-25 2022-08-12 龙亦乐 一种能够自动灭虫清虫的诱虫灯及其工作方法
CN114885920B (zh) * 2022-04-25 2024-03-12 龙亦乐 一种能够自动灭虫清虫的诱虫灯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4108B1 (en) Solar powered insect trap
CN106342774B (zh) 灭蚊虫灯
US9049855B2 (en) Insect trap having an air-actuated damper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EP3632206A1 (en) Mosquito killing illumination device
KR101391174B1 (ko) 해충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100632277B1 (ko) 포충기
US7024815B1 (en) Lamp plus-insect exterminator
KR20210000152U (ko) 포충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JP2001231424A (ja) 照明器用捕虫ユニット
JP2009022236A (ja) 害虫捕獲器
KR20070000600U (ko) 해충 박멸수단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KR100924160B1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CN209995190U (zh) 一种驱蚊设备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10215363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해충포획장치
CN211475794U (zh) 一种新型可驱蚊的太阳能灯具
CN205424573U (zh) 一种具有杀虫功能的台灯
CN209390919U (zh) 一种具收集漏斗装置的诱虫灯
JP2001155509A (ja) 捕虫機能付照明器具
CN213756338U (zh) 一种太阳能杀虫草坪灯
CN214629332U (zh) 一种园林诱虫景观灯
KR200442596Y1 (ko) 유인제 수용부가 구비된 해충포획장치
KR20090000352U (ko) 해충 방제기능을 갖는 가로등
CN217389741U (zh) 一种便携式光源信息素诱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