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014U -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 Google Patents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014U
KR20210000014U KR2020190002665U KR20190002665U KR20210000014U KR 20210000014 U KR20210000014 U KR 20210000014U KR 2020190002665 U KR2020190002665 U KR 2020190002665U KR 20190002665 U KR20190002665 U KR 20190002665U KR 20210000014 U KR20210000014 U KR 20210000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material
gap
wide area
narrow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태
신동진
윤종진
성천생
하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2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014U/ko
Publication of KR20210000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age (AREA)

Abstract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는 그레이팅의 틈새에 끼움 설치되어 틈새 오염을 방지하는 보호재로서,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의 아이바 사이의 틈새인 광역틈에 대응하여 끼움 설치되는 광역 보호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역 보호재는 상기 광역틈의 폭에 대응하여 이격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 가공된 광역 진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Protective material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structure gap}
본 고안은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금속 구조물로 그레이팅이 있다. 그레이팅은 틈 형상을 가지는 대표적인 철 구조물이며, 상판의 일종으로 구조물 중량 경감 및 바람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1에는 그레이팅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는 그레이팅의 평면도이고, (b)는 그레이팅이 설치된 지점의 단면도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그레이팅은 주 부재인 아이바(I-Bar)(11)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뒤,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트위스트 형상의 크로스바(12)로 아이바(11)를 고정하고, 그 끝에 에프바(F-Bar) 평철을 대어 마감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그레이팅(10)은 서포트(20)의 상면에 하중을 받치도록 설계되어 있고, 그 모양이 뚫린 형상으로 되어 있어 아무런 제약없이 오염물이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그레이팅 하부의 서포트(20) 도장면에 퇴적되고 고착 및 부식이 발생된다(A 참조).
퇴적되는 오염 물질은 대부분 작업현장에서 비산되는 철 입자(Ferrous particle)로서 수분과 접촉시 자체 부식되어 외관을 해치고 재벌작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철 구조물의 설치 간 틈 생성시 철 입자 오염 및 부식 발생은 가역적인 현상으로 피할 수 없는 결과이다. 그레이팅 하부 오염물 퇴적 및 부식 발생시 보호 상태가 매우 불량하게 된다. 품질 확보 방안으로는 하부 청소(cleaning) 및 보수도장 실시를 필요로 하고 이를 위해 그레이팅을 제거 후 작업해야 하는 비효율이 존재한다.
현재는 PVC 계통의 보호 커버(protection cover)를 사용하고 있지만, 장기 옥외노출에 의한 열화 및 손상 발생 등으로 생성된 틈 사이로 오염물이 침투, 퇴적 및 부식 발생되고 있어 보호 효과가 크지 않다. 또한 보호 커버를 설치했다 할지라도 재도장을 실시하므로 이중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2310호 (2012.08.21. 공개) -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및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설치방법
본 고안은 그레이팅과 같은 구조물의 틈새에 끼움 결합하여 오염물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한 하부 구조물의 상부 도장면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경사부를 통해 구조물 틈새에 설치가 용이하고 측면 홈을 통해 우천 수분 흡수에 따른 금속과의 접촉을 최소화시킨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레이팅의 틈새에 끼움 설치되어 틈새 오염을 방지하는 보호재로서,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의 아이바 사이의 틈새인 광역틈에 대응하여 끼움 설치되는 광역 보호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역 보호재는 상기 광역틈의 폭에 대응하여 이격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 가공된 광역 진입부가 형성된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가 제공된다.
상기 광역 보호재는, 상부면에 배치되고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역 보호재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음각 형성된 방청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청홈은 방청 오일이 잔존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과 타 그레이팅 사이의 틈새인 협역틈에 대응하여 끼움 설치되는 협역 보호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협역 보호재는 상기 협역틈의 폭에 대응하여 이격된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부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 가공된 협역 진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협역 보호재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음각 형성된 방청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청홈은 방청 오일이 잔존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팅과 같은 구조물의 틈새에 끼움 결합하여 오염물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한 하부 구조물의 상부 도장면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부를 통해 구조물 틈새에 설치가 용이하고 측면 홈을 통해 우천 수분 흡수에 따른 금속과의 접촉을 최소화시킨 효과도 있다.
도 1은 그레이팅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광역 보호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협역 보호재)의 사시도,
도 4는 그레이팅에 광역 보호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광역 보호재 및 협역 보호재를 설치한 모습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를 제거하기 위한 보호재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광역 보호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협역 보호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그레이팅에 광역 보호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광역 보호재 및 협역 보호재를 설치한 모습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틈새 요염 방지용 보호재는 금속 구조물인 그레이팅(10)에 형성된 틈(아이바 사이의 틈)(이하 '광역틈'이라고도 칭함) 혹은 그레이팅(10a, 10b) 간에 형성된 틈(이하 '협역틈'이라고도 칭함)에 끼움 설치되어, 해당 틈을 통한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그레이팅(10, 10a,10b) 하부에서 그레이팅(10, 10a, 10b)을 지지하는 서포트의 상부 도장면(21)에 대한 부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는 구조물의 광역틈, 즉 아이바 사이의 틈에 끼움 설치되는 광역 보호재(100)가 도시되어 있다.
광역 보호재(100)는 그레이팅(10)의 아이바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한 쌍의 광역 측면부(110)를 포함한다.
광역 보호재(100)는 유연성, 팽창성, 다공질의 미세조직을 가지는 스폰지(spong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폰지 재질의 다공질 특성으로 인해 다중 거름망 역할을 수행하여 오염물질은 상부면에 퇴적되고 수분만을 흡수하여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스폰지 재질의 변형 및 팽창 특성을 활용하여 그레이팅(10)의 아이바 사이의 틈, 즉 광역틈을 메움에 있어서 공간 메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 설치 이전에 평상 시 광역 보호재(100)의 폭, 즉 한 쌍의 광역 측면부(110) 사이의 간격은 그레이팅(10)의 아이바 사이의 간격 이상일 수 있다. 스폰지 재질의 변형 가능성으로 인해 광역 보호재(100)가 끼움 설치될 수 있고, 광역틈에 끼움 설치된 이후에는 스폰지 재질의 팽창성으로 인해 광역틈에 해당하는 공간을 전체적으로 메워줄 수 있게 된다.
광역 측면부(110)의 하부에는 끼움 설치가 용이하도록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 가공된 광역 진입부(112)가 형성된다. 광역 진입부(112)로 인해 광역 보호재(100)는 쐐기 형상을 가지게 되어 끼움 설치 과정에서 광역 보호재(100)의 하부는 광역틈 내에 용이하지 진입하게 되고, 이후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광역 보호재(100)가 끼움 설치되면서, 한 쌍의 광역 측면부(110)가 광역틈의 내벽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광역 보호재(100)가 수분은 통과시키고 있는 바, 금속 재질인 광역틈의 내벽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광역 측면부(110), 특히 광역 진입부(112) 이외의 영역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긴 방청홈(114)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방청홈(114)으로 인해 광역 측면부(110)와 광역틈의 내벽 사이의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광역 보호재(100)는 끼움 설치 이전에 표면에 액체 성분의 부식방지제(예컨대, 방청 오일)을 발라 광역틈의 내벽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금속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방청홈(114)은 방청 오일 성분이 잔존하는 공간 혹은 갭(gap)으로 기능하여, 광역 보호재(100)가 끼움 설치된 이후에도 방청 성능이 계속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역 보호재(100)의 상부면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홈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상부 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홈부(120)의 오목한 형상 특징에 의해 오염물질은 광역틈의 내벽과는 이격된 상부 홈부(120)의 중앙 부분에 퇴적됨으로써, 퇴적 상태에서 금속 재질인 그레이팅(1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에는 구조물의 협역틈, 즉 그레이팅(10a, 10b) 사이의 틈새에 끼움 설치되는 협역 보호재(200)가 도시되어 있다.
협역 보호재(200)는 그레이팅(10)의 아이바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제1 측면부(210) 및 제2 측면부(220)를 포함한다.
협역 보호재(200) 역시 유연성, 팽창성, 다공질의 미세조직을 가지는 스폰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폰지 재질의 다공질 특성으로 인해 다중 거름망 역할을 수행하여 오염물질은 상부면에 퇴적되고 수분만을 흡수하여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스폰지 재질의 변형 및 팽창 특성을 활용하여 그레이팅(10a, 10b) 간의 사이 틈, 즉 협역틈을 메움에 있어서 공간 메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 설치 이전에 평상 시 협역 보호재(200)의 폭, 즉 제1 측면부(210)와 제2 측면부(220) 사이의 간격은 그레이팅(10a, 10b) 사이의 간격 이상일 수 있다. 스폰지 재질의 변형 가능성으로 인해 협역 보호재(200)가 끼움 설치될 수 있고, 협역틈에 끼움 설치된 이후에는 스폰지 재질의 팽창성으로 인해 협역틈에 해당하는 공간을 전체적으로 메워줄 수 있게 된다.
제2 측면부(220)의 하부에는 끼움 설치가 용이하도록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 가공된 협역 진입부(222)가 형성된다. 협역 진입부(222)로 인해 협역 보호재(200)는 쐐기 형상을 가지게 되어 끼움 설치 과정에서 협역 보호재(200)의 하부는 협역틈 내에 용이하지 진입하게 되고, 이후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협역 보호재(200)가 끼움 설치되면서, 제1 측면부(210) 및 제2 측면부(220)가 협역틈의 내벽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협역 보호재(200)가 수분은 통과시키고 있는 바, 금속 재질인 협역틈의 내벽, 즉 그레이팅(10a, 10b)의 외벽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측면부(210) 및 제2 측면부(220)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1 및 제2 방청홈(214 혹은 224)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청홈(214)으로 인해 제1 측면부(210)와 협역틈의 내벽 사이의 접촉이 최소화되고, 제2 방청홈(224)으로 인해 제2 측면부(220)와 협역틈의 내벽 사이의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협역 보호재(200)는 끼움 설치 이전에 표면에 방청 오일을 발라 협역틈의 내벽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금속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방청홈(214, 224)은 방청 오일 성분이 잔존하는 공간으로 기능하여, 협역 보호재(200)가 끼움 설치된 이후에도 방청 성능이 계속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그레이팅의 아이바(11) 사이의 광역틈에 광역 보호재(100)가 끼움 설치되고, 그레이팅(10a, 10b) 사이의 협역틈에 협역 보호재(200)가 끼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역 보호재(100) 및 협역 보호재(200)는 다공질 발포층으로 구성되어, 오염원이 틈새로 침투되지 않고 우천 시에도 수분만 침투/배출되는 몸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발포 PU Foam 재질을 사용하여 대기 혹은 자외선 노출 조건에서도 열화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난연 특성을 보유하며, 화기 작업이 발생되는 현장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다공질의 경량화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광역 보호재(100) 및 협역 보호재(200)가 끼움 설치된 상태에서도 구조물 중량 증가 우려가 없게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를 제거하기 위한 보호재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제거장치(300)는 시트(310) 및 부착부(320)를 포함한다. 부착부(320)는 시트(3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점착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 도포되어 제작될 수 있다.
부착부(320)가 형성된 면을 하방으로 하여 그레이팅(10) 상에 가압해 줌으로써 광역틈에 끼움 설치된 광역 보호재(100)의 상부면이 부착부(320)에 부착되고, 이후 시트(310)를 상승시킴으로써 광역 보호재(100)가 광역틈에서 이탈되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부착부(320)가 그레이팅(10)의 광역틈에 상응하는 형상 및 배치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시트(310)의 일면 전체가 부착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시트(310)의 일면 전체가 부착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협역틈에 끼움 설치된 협역 보호재(200)도 부착 방식으로 제거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제거장치(400)는 시트(410) 및 걸이부(420)를 포함한다. 걸이부(420)는 시트(410)의 일면에 형성되며, 끝단이 굽혀진 걸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걸이부(420)가 형성된 면을 하방으로 하여 그레이팅(10) 상에 가압하고 걸이부(420)의 걸고리가 광역 보호재(100)의 상부면에 걸리도록 일방향으로 당긴 후 시트(410)를 상승시킴으로써 광역 보호재(100)가 광역틈에서 이탈되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재 제거장치(300, 400)를 통해 다수의 틈에 끼움 설치된 보호재, 특히 광역 보호재(100)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제거를 위한 인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그레이팅 11: 아이바
12: 크로스바 20: 서포트
100: 광역 보호재 110: 광역 측면부
112: 광역 진입부 114: 방청홈
120: 상부 홈부 200: 협역 보호재
210: 제1 측면부 214: 제1 방청홈
220: 제2 측면부 222: 협역 진입부
224: 제2 방청홈 21: 하부 구조물 상부면
300: 보호재 제거 장치 310: 시트
320: 부착부 400: 보호재 제거 장치
410: 시트 420: 걸이부

Claims (5)

  1. 그레이팅의 틈새에 끼움 설치되어 틈새 오염을 방지하는 보호재로서,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의 아이바 사이의 틈새인 광역틈에 대응하여 끼움 설치되는 광역 보호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역 보호재는 상기 광역틈의 폭에 대응하여 이격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 가공된 광역 진입부가 형성된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 보호재는, 상부면에 배치되고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 홈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 보호재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음각 형성된 방청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청홈은 방청 오일이 잔존하는 공간이 되는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4. 제1항에 있어서,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과 타 그레이팅 사이의 틈새인 협역틈에 대응하여 끼움 설치되는 협역 보호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협역 보호재는 상기 협역틈의 폭에 대응하여 이격된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부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 가공된 협역 진입부가 형성된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역 보호재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음각 형성된 방청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청홈은 방청 오일이 잔존하는 공간이 되는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KR2020190002665U 2019-06-25 2019-06-25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KR202100000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665U KR20210000014U (ko) 2019-06-25 2019-06-25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665U KR20210000014U (ko) 2019-06-25 2019-06-25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14U true KR20210000014U (ko) 2021-01-05

Family

ID=7413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665U KR20210000014U (ko) 2019-06-25 2019-06-25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0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84A (ko) 2021-02-03 2022-08-10 이채주 끈을 갈고리로 묶어 장시간 착용 가능한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310A (ko) 2011-02-11 2012-08-21 주식회사 삼원케미칼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및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310A (ko) 2011-02-11 2012-08-21 주식회사 삼원케미칼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및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84A (ko) 2021-02-03 2022-08-10 이채주 끈을 갈고리로 묶어 장시간 착용 가능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069B2 (en) Plastic wall panel
KR101342135B1 (ko) 유동형 안전난간
KR20210000014U (ko) 구조물 틈새 오염 방지용 보호재
JP4479333B2 (ja) 屋根上載置物用ラック取付構造、ラック取付金具及びラック取付方法
JP3178349U (ja) 親綱金具
KR101814707B1 (ko)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JP6660825B2 (ja) 導水構造および導水構造の施工方法
EP2006450B1 (de) Schallabsorbierende Bauelemente einer Lärmschutzwand
KR10132629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6595835B2 (ja) 雪止め構造及び建物
KR20150066731A (ko) 탈부착식 방수판이 구비된 셔터
JP2016166477A (ja) 屋根の差し込み固定カバー工法並びに差し込み屋根材
KR20160003162U (ko) 도난방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200381290Y1 (ko) 건설용 족장판
GB2373282A (en) Rigid flood barrier with ties and barbed seals
RU163005U1 (ru) Снего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653835B1 (ko)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KR102345216B1 (ko) 비노출식 스틸 방수자재 및 그를 포함하는 옥상 방수 구조체
JP2018188884A (ja) 軒先点検用歩廊
KR20140000717U (ko) 선체 플랫폼 오염방지 커버
KR102145286B1 (ko) 폴리우레아가 코팅된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및 그 보수방법
JP4663422B2 (ja) 既設フェンスの改装方法および新設フェンス
KR0130721Y1 (ko) 지붕의 동판 후레싱 보호용 로크걸이 카바
EP3571449A1 (en) Anchoring bracket for covers
US20160312922A1 (en) Pipe suppor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