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829A -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829A
KR20200145829A KR1020207030326A KR20207030326A KR20200145829A KR 20200145829 A KR20200145829 A KR 20200145829A KR 1020207030326 A KR1020207030326 A KR 1020207030326A KR 20207030326 A KR20207030326 A KR 20207030326A KR 20200145829 A KR20200145829 A KR 2020014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odule
base station
modem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469B1 (ko
Inventor
안홍구
서종수
장석일
이문근
이기백
이승재
최헌석
황순정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4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electively disabling softwar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G 네트워크(LTE)와 5G 네트워크(NR)의 이중 연결(ENDC)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4G 기지국과 연결되어 4G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과, 5G 기지국과 연결되어 5G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과,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 및, 상기 AP에서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여 상기 4G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더 활성화하여 상기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4G 네트워크(LTE)와 5G 네트워크(NR)의 이중 연결(ENDC)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비롯한 다양한 전자기기는 LTE(Long Term Evolution, 4G) 통신 기술 뿐만 아니라 NR(New Radio, 5G)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4G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4G 통신과 5G 통신이 동시에 지원 가능한 전자기기의 경우, 1차적으로 4G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5G 기지국(cell)을 주기적으로 검색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5G 기지국(cell)이 검색되면, 검색된 5G 기지국을 추가(5G cell add) 및, 추가된 5G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기기가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NR 통신 기술에 따라 고속의 무선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LTE 통신 기술에 따라 안정적인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ENDC[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R(New Radio) Dual Connectivity]라고 한다.
한편 이처럼 ENDC 기능이 지원되는 전자기기의 경우, ENDC 기능을 위해 5G 네트워크가 연결 가능한 장소에서는 5G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5G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는 곳에서는 5G 네트워크의 연결을 위해 적합한 5G 기지국을 검색하고, 검색된 5G 기지국을 추가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5G 통신 기술의 대역폭은 광대역으로서, 4G 통신 기술의 대역폭보다 그 폭이 훨씬 넓다. 따라서 5G 통신 기술에 따른 모듈레이션(Modulation) 과정은, 4G 통신 기술의 모듈레이션 과정보다 더 복잡하며, 그에 따라 더 많은 소모 전력을 요구한다.
또한 5G 통신에 적합한 5G 기지국(cell)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ENDC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는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될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적합한 5G 기지국을 검색하는 과정을 수행하므로, 그에 따른 전자기기의 전력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처럼 기지국과의 통신에 소요되는 전력은, 전자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소모되는 전력 즉, 대기 전력으로서, ENDC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의 경우 상기 ENDC 기능으로 인해 대기 전력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ENDC 기능의 경우 텍스트 메시지와 같이 요구되는 데이터의 전송량이 적거나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4G 무선 네트워크 및 5G 무선 네트워크에 이중 연결되도록 하므로,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ENDC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보다 절감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ENDC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소비 전력이 보다 적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4G 기지국과 연결되어 4G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과, 5G 기지국과 연결되어 5G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과,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 및, 상기 AP에서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여 상기 4G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더 활성화하여 상기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AP에서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비활성화되는 경우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전자기기 주변의 5G 기지국의 검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검출시,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검출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검출 결과,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검출시,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을 검출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기 설정된 임계 데이터 전송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은,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평균 데이터 전송량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뎀으로 전송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AP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하여, 4G 기지국과만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4G 기지국과 5G 기지국 모두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을 기 설정된 임계 데이터 전송량과 비교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 중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AP에서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2 통신 모듈이 유휴(idle)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경우 유휴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 상기 AP에서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바로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은,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1 단계와, 검출된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4G 기지국과 연결하여 4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여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 상기 전자 기기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여부, 및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기 설정된 임계 데이터 전송량 이상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변경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동작 상태의 변경,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종료, 사용자이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에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실행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이중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동시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5G 네트워크로의 통신 연결에 따른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전자기기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무선 통신부의 각 무선 통신 모듈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에서, 검출된 동작 상태에 따라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이중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에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이중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가,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이중 연결된 상태에서,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기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전자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기기(100)와 다른 전자기기(100) 사이, 또는 전자기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예컨대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4G 무선 통신 모듈(111), 5G 무선 통신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정보 모듈(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4G 무선 통신 모듈(111)은 4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4G 기지국과 4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4G 무선 통신 모듈(111)은 하나 이상의 4G 송신 신호를 4G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4G 무선 통신 모듈(111)은 하나 이상의 4G 수신 신호를 4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G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복수의 4G 송신 신호에 의해 상향링크(UL: Up-Link)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4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4G 수신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DL: Down-Link)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이 수행될 수 있다.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5G 기지국과 5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은 비-스탠드 얼론(NSA: Non-Stand-Alone)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은 셀 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공통-배치 구조(co-located structure)일 수 있다. 또는, 5G 기지국은 4G 기지국과 별도의 위치에 스탠드-얼론(SA: Stand-Alone)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5G 기지국과 5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하나 이상의 5G 송신 신호를 5G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하나 이상의 5G 수신 신호를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5G 주파수 대역은 4G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LTE 재배치(re-farming)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한편, 5G 주파수 대역으로, 6GHz 이하의 대역인 Sub6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광대역 고속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 5G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 사용되는 경우, 전자기기(100)는 기지국과의 통신 커버리지 확장(coverage expansion)을 위해 빔 포밍(beam 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5G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해, 더 많은 수의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복수의 5G 송신 신호에 의해 상향링크(UL: Up-Link) MIMO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5G 수신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DL: Down-Link) MIMO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110)는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통해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 이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의 이중 연결을 ENDC(EUTRAN NR DC)이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EUTRAN은 Evolved Universal Telecommunication Radio Access Network로 4G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의미하고, NR은 New Radio로 5G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한편,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이 공통-배치 구조(co-located structure)이면, 이종 반송파 집성(inter-CA(Carrier Aggregation)을 통해 스루풋(throughput) 향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 EN-DC 상태이면,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통해 4G 수신 신호와 5G 수신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기기(100)와 다른 전자기기(100) 사이, 또는 전자기기(100)와 다른 전자기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한편,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이용하여 전자기기 간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전자기기들 간에 D2D (Device-to-Device) 방식에 의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송 속도 향상 및 통신 시스템 융합(convergence)을 위해,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와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4G + WiFi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5G 무선 통신 모듈(112)과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5G + WiFi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4)은 전자기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기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기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전자기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전자기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전자기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는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활용하면, 5G 무선 통신 모듈 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5G 기지국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기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의 5G 기지국은 좁은 커버리지를 갖는 소형 셀(small cell)에 배치(deploy)되므로, 전자기기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기기 내 정보, 전자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기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기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기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기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단말기 제어부(180)라고 하기로 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전자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90)를 단말기 전원공급부(190)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전자기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기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전자기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전자기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전자기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중 일부가 방사체(radiator)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단말기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기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과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는 단말기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는 MIMO를 지원하도록 4개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각각이 배열 안테나(array antenna)로 구현됨에 따라, 전자기기에 복수의 배열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기 전원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단말기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송신 시스템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특히 이종 무선 시스템(heterogeneous radio system)에서 전력 증폭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와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전자기기의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기는 제1 전력 증폭기(210), 제2 전력 증폭기(220) 및 RFIC(250)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기기는 모뎀(Modem, 27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280), 그리고 전원 공급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모뎀(Modem, 270)은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와 물리적으로 하나의 칩(chip)에 구현될 수 있다.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하나의 모뎀(일체형 모뎀)으로 구현된 경우, 일체형 모뎀은 5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모듈레이션(Modulation)/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및 4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모듈레이션(Modulation)/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모뎀(Modem, 270)은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 중 어느 하나(제1 통신 모듈)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제2 통신 모듈)은 모뎀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뎀은 기본적으로 제1 통신 모듈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모듈레이션 및 디모듈레이션을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제2 통신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모듈은, 모뎀과 다른 무선 통신 방식으로 모듈레이션 및 디모듈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4G 무선 네트워크와 및 5G 무선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ENDC)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뎀(270)이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모뎀(270)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뎀(270)은 일체화된 4G 무선 통신 모듈(111)을 통해 기본적으로 4G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ENDC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5G 무선 통신 모듈(112)에 연결하여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통한 5G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290)는 모뎀(270) 및 상기 5G 무선 통신 모듈(11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뎀(270)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전자기기(100)의 배터리일 수 있으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일 수 있다.
여기서, 모뎀(270)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칩(chip)에 구현되고, 논리적 및 기능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칩(chip)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기기(100)는 수신부에서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261 내지 2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력 증폭기(210), 제2 전력 증폭기(220), RFIC(250) 및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261 내지 264)는 모두 제1 통신 시스템과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다. 이때, 제1 통신 시스템과 제2 통신 시스템은 각각 4G 통신 시스템과 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C(250)는 4G/5G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RFIC(250)가 4G/5G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4G/5G 회로 간 동기화 (synchronization)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모뎀(270)에 의한 제어 시그널링이 단순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RFIC(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4G RFIC 및 5G RFIC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특히, 5G 대역이 밀리미터파 대역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같이 5G 대역과 4G 대역의 대역 차이가 큰 경우, RFIC(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RFIC(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4G 대역과 5G 대역 각각에 대하여 RF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RFIC(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4G RFIC 및 5G RFIC가 논리적 및 기능적으로 분리되고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칩(chip)에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전자기기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모뎀(270)을 통해 전자기기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전자기기의 저전력 동작(low power operation)을 위해 전력 관리 IC(PMIC: Power Management IC)를 통해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뎀(270)은 RFIC(250)를 통해 송신부 및 수신부의 전력 회로를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전자기기(100)가 대기 모드(idle mode)에 있다고 판단되면, 모뎀(270)을 통해 RFIC(250)를 다음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대기 모드(idle mode)에 있다면,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거나 또는 오프(off)되도록 모뎀(270)을 통해 RFIC(2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전자기기가 저전력 모드이면,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가 4G 기지국, 5G 기지국 및 액세스 포인트 중 복수의 엔티티와 연결된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가장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루풋(throughput)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3)만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도록 모뎀(270)과 RFIC(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이상이면, 최적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도록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배터리 잔량과 가용 무선 자원 정보에 따라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배터리 잔량 정보는 PMIC로부터 수신하고, 가용 무선 자원 정보는 모뎀(27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잔량과 가용 무선 자원이 충분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모뎀(270)과 RFIC(2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다중 송수신 시스템(multi-transceiving system)은 각각의 무선 시스템(radio System)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하나의 송수신부로 통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프론트 엔드(Front-end)에서 두 종류의 시스템 신호를 통합하는 회로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론트 엔드 부품을 통합된 송수신부로 제어 가능하므로, 송수신 시스템이 통신 시스템 별로 분리되었을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프론트 엔드 부품이 통합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 별로 분리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다른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이로 인한 시스템 지연(system delay)를 가중시키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불가능하다. 반면에, 도 2와 같은 다중 송수신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다른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시스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전력 증폭기(210)와 제2 전력 증폭기(220)는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통신 시스템이 4G 대역 또는 Sub6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20)는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모두 동작 가능하다.
반면에, 5G 통신 시스템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는 어느 하나는 4G 대역에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부와 수신부를 통합하여, 송수신 겸용 안테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안테나로 2개의 서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4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4x4 MIMO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하향링크(DL)를 통해 4x4 DL MIMO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5G 대역이 Sub6 대역이면, 제1 내지 제4 안테나(ANT1 내지 ANT4)는 4G 대역과 5G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5G 대역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면, 제1 내지 제4 안테나(ANT1 내지 ANT4)는 4G 대역과 5G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5G 대역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면, 별도의 복수 안테나 각각이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배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4개의 안테나 중 제1 전력 증폭기(210)와 제2 전력 증폭기(220)에 연결된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2x2 MIMO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상향링크(UL)를 통해 2x2 UL MIMO (2 Tx)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2x2 UL MIMO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 Tx 또는 4 Tx로 구현 가능하다. 이때, 5G 통신 시스템이 1 Tx로 구현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 중 어느 하나만 5G 대역에서 동작하면 된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이 4Tx로 구현되는 경우, 5G 대역에서 동작하는 추가적인 전력 증폭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송신 경로 각각에서 송신 신호를 분기하고, 분기된 송신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RFIC(250)에 해당하는 RFIC 내부에 스위치 형태의 분배기(Splitter) 또는 전력 분배기(power divider)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부품이 외부에 배치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부품 실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에 해당하는 RFIC 내부에 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2개의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의 송신부(TX)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전자기기는 듀플렉서(duplexer, 231), 필터(232) 및 스위치(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듀플렉서(231)는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신호를 상호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대역의 신호는 듀플렉서(231)의 제1 출력 포트를 통해 안테나(ANT1, ANT4)에 인가될 수 있다. 반면에, 안테나(ANT1, ANT4)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대역의 신호는 듀플렉서(231)의 제2 출력포트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261, 264)로 수신될 수 있다.
필터(232)는 송신 대역 또는 수신 대역의 신호를 통과(pass)시키고 나머지 대역의 신호는 차단(block)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232)는 듀플렉서(231)의 제1 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송신 필터와 듀플렉서(231)의 제2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수신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터(232)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송신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수신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233)는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 중 어느 하나만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233)는 시분할 다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하도록 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는 동일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이에 따라 듀플렉서(231)는 서큘레이터(circulato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스위치(233)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스위치(233)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각각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DPDT (Double Pole Double Throw)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듀플렉서(231)에 의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스위치(233)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어부에 해당하는 모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FIC(250)와 모뎀(270)을 각각 제1 제어부 (또는 제1 프로세서)와 제2 제어부(제2 프로세서)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RFIC(250)와 모뎀(27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RFIC(250)와 모뎀(270)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회로에 논리적 또는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모뎀(270)은 RFIC(250)를 통해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을 통한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모뎀(270)은 4G 기지국 및/또는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수신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뎀(270)은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시스템 및/또는 제2 통신 시스템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RFIC(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IC(250)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4G 신호 또는 5G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를 포함한 송신 회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RFIC(250)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4G 신호 또는 5G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 내지 제4 저잡음 증폭기(261 내지 264)를 포함한 수신 회로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무선 통신부의 각 무선 통신 모듈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의 무선 통신부는 도 2의 2T4R과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증폭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도 3과 같이 2개의 전력 증폭기를 구비하는 경우에 다중 송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응용에 따라 더 많은 전력 증폭기를 구비하거나 더 많은 수의 통신 시스템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00)의 무선 통신부는 제1 전력 증폭기(300), 제1 저잡음 증폭기(302), 제2 전력 증폭기(310), 제2 저잡음 증폭기(312), 모뎀(270), 5G 무선 통신 모듈(112)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뎀(270)은 4G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4G 무선 통신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5G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5G 무선 통신 모듈(112)과 상기 모뎀(270)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칩에 기능적으로 분리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모뎀(270)은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전력 증폭기(300)와 제1 저잡음 증폭기(302)는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전력 증폭기(310)와 제2 저잡음 증폭기(312)는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은 각각 4G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모뎀(270)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모뎀(270)의 제어에 따라 5G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모듈레이션/디모듈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뎀(270)은 5G 무선 통신 모듈(112)의 동작 상태(예 :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27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로부터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 검출 결과에 따라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뎀(270)은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된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전자기기(100) 주변으로부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5G 기지국(cell)을 검색하고, 검색된 5G 기지국을 추가(5G Cell ADD)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5G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기(100)는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 모두에 연결(ENDC)되는 NSA(Non Stand Alon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반면 모뎀(270)은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 검출 결과에 따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뎀(270)은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저전력 모드로 전환된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5G 기지국을 검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5G 기지국을 추가(5G Cell ADD) 및 검색된 5G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전자기기(100)는 4G 기지국과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 즉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되는 SA(Stand Alon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290)는 모뎀(270)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290)는 모뎀(270)의 제어에 따라 5G 무선 통신 모듈(112)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뎀(270)은 5G 무선 통신 모듈(112)로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의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290)를 제어함으로써,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비활성화 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전원 공급부(29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면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5G 기지국(cell)을 검색하고, 검색된 5G 기지국을 추가(5G Cell ADD)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00)는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 모두에 연결(ENDC)되는 NSA(Non Stand Alon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반면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전원 공급부(29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면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5G 기지국(cell)의 검색을 중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00)는 4G 기지국과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 즉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되는 SA(Stand Alon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다중 송수신 시스템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100)에서, 검출된 동작 상태에 따라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이중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되는 무선 통신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이벤트의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전자기기(100)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 변경은, 전자기기(100)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추가되는 경우 또는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100)를 구성하는 특정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고, 인가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AP(28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AP(280)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 전자기기(100)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AP(280)는 전자기기(100)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AP(280)는 먼저 변경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동작 상태에 따라 END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00).
S400 단계에서, 먼저 AP(280)는 변경된 동작 상태, 즉 실행이 요청되거나 추가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동작 상태가 변경된 구성 요소의 변경된 동작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AP(28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새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검출하거나, 실행이 종료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가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인지 또는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AP(280)는 검출된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END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ENDC 제어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ENDC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4G 기지국과 5G 기지국과 이중 연결되어, 4G 통신 서비스와 5G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NDC 제어 신호는, 상기 ENDC 기능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ENDC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ENDC 제어 신호는 ‘ENDC 온 신호’라고 하기로 하고, ENDC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ENDC 제어 신호는 ‘ENDC 오프 신호’라고 하기로 한다.
한편 AP(280)는 현재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ENDC 온 신호 또는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280)는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ENDC 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AP(280)는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AP(280)는 검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동작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검출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새로 실행이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또는, 현재 전자기기(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이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은 테더링(tethering) 또는 데이터의 업로드(upload)나 다운로드(download)에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새로 실행이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또는, 현재 전자기기(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이나 프로그램들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예상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또는 임계값 이상의 데이터의 전송량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AP(280)는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한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AP(280)는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동작 상태를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ENDC 온 신호를,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ENDC 제어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검출한 결과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이거나, 실행이 요구되거나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전자기기(100)에서 실행중인 경우 ENDC 온 신호를 모뎀(27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실행이 요구되거나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전자기기(100)에서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 ENDC 오프 신호를 모뎀(27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모뎀(270)은 AP(280)로부터 전송된 ENDC 제어 신호에 따라 ENDC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S402).
즉, AP(280)로부터 수신된 ENDC 제어 신호가, ENDC 오프 신호인 경우 모뎀(270)은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제어하여 5G 기지국(cell)의 검색을 중지시킬 수 있다(S408). 이 경우 모뎀(270)은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5G 기지국의 검색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모뎀(270)은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모뎀(270)은 기본적으로 4G 통신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AP(280)로부터 ENDC 오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모뎀(270)은 4G 기지국에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4G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AP(280)로부터 수신된 ENDC 제어 신호가, ENDC 온 신호인 경우 모뎀(270)은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제어하여, 전자기기(100) 주변의 5G 기지국(cell)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5G 기지국을 추가(5G Cell Add)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408). 그러므로 AP(280)로부터 ENDC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모뎀(270)은 4G 기지국 뿐만 아니라 5G 기지국에도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이중 연결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예상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또는 임계값 이상의 데이터의 전송량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이중 연결(ENDC)을 통해 안정적이고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데이터 전송량이 적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되어, 5G 네트워크의 연결에 따른 전력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ENDC 오프 신호에 따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상기 S404 단계는,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뎀(270)은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유휴 상태인 경우에,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저전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상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모뎀(270)은 전자기기(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모뎀(270)은 전원 공급부(290, 예 : PMIC)로부터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경우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상태인 경우라도,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저전력 모드로 동작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406 단계 또는 S410 단계에서 4G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거나 또는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이중 연결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AP(280)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다시 검출할 수 있다(S412).
S412 단계에서, AP(280)는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이벤트의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추가되는 경우 또는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 또는 전자기기(100)를 구성하는 특정 구성요소(예 : 디스플레이부(151))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상술한 도 4의 과정들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4G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상태(S406 단계), 또는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이중 연결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태(S410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 실행이 요구되거나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 또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전자기기(100)에서 실행중인지 여부에 따라 ENDC 온 신호 또는 ENDC 오프 신호가 생성되는 것으로 예로 들었으나, AP(280)는 이와 같은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들의 조합에 근거하여 ENDC 온 신호 또는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100)에서, AP(280)가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ENDC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과정을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AP(280)는 먼저 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0). 즉, AP(28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또는 전자기기(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가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일부만 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한 경우라면, AP(2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된 면적에 근거하여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AP(280)는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이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500 단계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즉 비활성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AP(280)는 현재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ENDC 오프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S508).
반면 S500 단계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AP(280)는 현재 검출된 동작 상태에 따라 실행이 요청되거나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하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이나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 요구량을 검출할 수 있다(S502).
여기서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 요구량은, 미리 지정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 전송 요구량은 사용자의 전자기기 사용 이력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기기(100)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실행할 때,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에 근거하여 평균 데이터 전송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평균 데이터 전송량을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 요구량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502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 요구량이 검출되면, AP(280)는 검출된 데이터 전송 요구량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S504). 그리고 검출된 데이터 전송 요구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라면 AP(280)는 현재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ENDC 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ENDC 온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S506).
반면 상기 S504 단계의 비교 결과, 검출된 데이터 전송 요구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라면 AP(280)는 현재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AP(280)는 S506 단계로 진행하여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ENDC 오프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502 단계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전송 요구량은, 현재 전자기기(100)에서 실행중인 각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마다 산출된 데이터 전송 요구량들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504 단계는 합산된 데이터 전송 요구량들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실행이 요구되거나 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등에 근거하여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SNS 등과 같이 단순한 텍스트 데이터 전송의 경우, 텍스트 입력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다고 할지라도, ENDC 기능의 활성화 없이 4G 네트워크를 통해 SNS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불필요한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이중 연결에 따른 전력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설명에서는 전자기기(100)의 변경된 동작 상태를 검출한 결과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실행이 요구되거나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등에 따라 ENDC 기능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 상태에서도 ENDC 기능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이러한 경우에 AP(280)에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ENDC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AP(280)는 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AP(280)는 현재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ENDC 오프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S608).
반면 상기 S600 단계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AP(280)는 현재 전자기기(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검출할 수 있다(S602). 그리고 검출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가 현재 전자기기(100)에서 실행 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4).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들은 ENDC 기능을 통해 5G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들일 수 있다. 일 예로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는 테더링(tethering), 대용량 데이터의 업로드(upload)나 다운로드(download) 등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상기 5G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들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S604 단계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가, 현재 전자기기(100)에서 실행중인 경우라면, AP(280)는 현재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S608 단계로 진행하여 ENDC 온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ENDC 오프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S604 단계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라도 현재 전자기기(100)에서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AP(280)는 현재 검출된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가,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ENDC 오프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S606).
일 예로 VoLTE(Voice Over LTE) 기능을 통해 통화 기능이 수행되는 중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상기 S600 단계에서 S602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VoLTE(Voice Over LTE) 기능의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상기 5G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S604 단계에서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S606 단계로 진행하여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VoLTE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라면, 통화 종료를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AP(280)는 전자기기(100)의 동작 상태 변경이 발생(이벤트의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S60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S608 단계로 진행하여 ENDC 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ENDC 온 신호를 모뎀(27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대용량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수행되는 중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동작 상태 변경)가 발생할 때, 상기 S600 단계에서 S602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대용량 데이터의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상기 5G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tus일 수 있다. 따라서 AP(280)는 S604 단계에서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S608 단계로 진행하여 ENDC 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용량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대용량 데이터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은 종료될 수 있다. 그러면 AP(280)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AP(280)는 S60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AP(280)는 S60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S602 단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S602 단계에서 검출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은, 상기 대용량 데이터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에 따라 상기 5G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AP(280)는 ENDC 기능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S606 단계로 진행하여 ENDC 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대용량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수행중인 경우에는 ENDC 기능을 통해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이중으로 연결하여 고속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대용량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종료된 경우에는 ENDC 기능의 비활성화를 통해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되어,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이중 연결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가,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에 이중 연결된 상태에서, 4G 네트워크에만 연결되는 상태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7의 (a)는 ENDC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5G 기지국(700)과 4G 기지국(710) 모두에 전자기기(100)가 연결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대용량 데이터의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등,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이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실행이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전송 요구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경우 등,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ENDC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100)는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일체화된 모뎀(270)을 통해 4G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활성화된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통해 5G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5G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도 실행되지 않는 상태이거나, 실행이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전송 요구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또한 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경우 등,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ENDC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저전력 모드로 구동될 수 있으며, 5G 기지국의 검색을 중지할 수 있다. 따라서 5G 기지국과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전자기기(100)는 도 7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일체화된 모뎀(270)을 통해 4G 기지국에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의 이중 연결에 따른 전력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하기 [표 1]은 통상적인 전자기기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소모 전류를 비교 시험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하기 [표 1]은 동종의 전자기기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된 경우(B)와 적용되지 않은 경우(A)에, 대기 상태로 14시간동한 경과한 이후의 전력 소모량을 검출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SOC(State Of Charge) 감소량은 2.7% 인데 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전자기기(A)는 5.1%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기기(B)의 경우, 대기 전력의 감소로 인해 SOC 감소량이 47.1% 절감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시간 동안 모뎀이 4G 또는 5G 기지국에 연결된 횟수(Modem wake-up 횟수)를 살펴보면,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전자기기(A)는 107회 연결되었으며, 이 중 5G 기지국에 연결된 횟수(5G Connection)가 88회인 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기기(B)는 모뎀이 기지국에 201회 연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5G 기지국에는 한번도 연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자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음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는 등,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5G 기지국의 검색 및 그에 따른 5G 네트워크에의 연결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이중 연결(ENDC)에 따른 전력의 소모가 방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특정 상황에 따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비활성화된 경우 ENDC 제어 신호와 상관없이 5G 무선 통신 모듈(112)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상승으로 인해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비활성화되는 온도 저감(Thermal Mitigation) 상태의 경우, 모뎀(270)은 AP(280)에서 전송된 ENDC 제어 신호가 ENDC 온 신호라고 할지라도 5G 무선 통신 모듈(112)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ENDC 제어 신호와 상관없이 전자기기(100)는 4G 기지국에만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 또는 AP(2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4G 기지국과 연결되어 4G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
    5G 기지국과 연결되어 5G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 및,
    상기 AP에서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여 상기 4G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더 활성화하여 상기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AP에서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비활성화되는 경우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여, 상기 전자기기 주변의 5G 기지국의 검색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검출시,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검출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검출 결과,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검출시,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을 검출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기 설정된 임계 데이터 전송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은,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평균 데이터 전송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뎀으로 전송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AP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하여, 4G 기지국과만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4G 기지국과 5G 기지국 모두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을 기 설정된 임계 데이터 전송량과 비교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 중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AP에서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2 통신 모듈이 유휴(idle)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경우 유휴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유휴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검출된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전자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 상기 AP에서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바로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1 단계;
    검출된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4G 기지국과 연결하여 4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하여 4G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 상기 전자 기기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여부, 및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량이 기 설정된 임계 데이터 전송량 이상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 변경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동작 상태의 변경,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종료, 사용자이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에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가 실행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207030326A 2019-06-21 2019-06-21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102322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7541 WO2020256196A1 (ko) 2019-06-21 2019-06-21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829A true KR20200145829A (ko) 2020-12-30
KR102322469B1 KR102322469B1 (ko) 2021-11-05

Family

ID=7404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326A KR102322469B1 (ko) 2019-06-21 2019-06-21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95903B2 (ko)
KR (1) KR102322469B1 (ko)
WO (1) WO20202561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253A1 (ko) * 2021-09-09 2023-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3182631A1 (ko) * 2022-03-21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중 접속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US11909500B2 (en) 2021-06-16 2024-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multiple drone commun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7319B1 (en) * 2019-11-04 2021-12-29 Deutsche Telekom AG Energy saving techniques for multi-connectivity devices
US11368906B2 (en) * 2019-12-16 2022-06-21 Cisco Technology, Inc. Multi-wireless access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link selection and aggregation
US11533677B1 (en) * 2020-11-02 2022-12-20 Amdocs Development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active 5G leg estimation
US11751142B2 (en) * 2021-02-15 2023-09-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power savings
US11570738B1 (en) * 2021-06-22 2023-01-31 T-Mobile Innovations Llc E-Sim trial
CN113873617B (zh) * 2021-09-01 2023-0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连网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4049098A1 (ko) * 2022-09-02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Endc 기반 epa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45830A (ko) 2022-09-30 2024-04-08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아이 피인식 대상자의 특성 정보를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피인식 대상자의 특성 정보를 예측하는 신경망을 학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197A (ko) * 2011-11-21 2013-05-29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다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20170080596A (ko) * 2014-11-04 2017-07-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KR20170128152A (ko) * 2016-05-12 201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139B1 (ko) * 2016-12-13 2018-12-04 주식회사 케이티 기지국 저전력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73224B2 (ja) * 2016-12-23 2020-10-21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送信/受信装置、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10880798B2 (en) * 2017-08-28 2020-12-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ode selection and cell selection/reselection
US10420161B1 (en) * 2018-03-20 2019-09-17 Sprint Spectrum L.P. Controlling RF communication in a dual-connectivity scenario
US10687287B2 (en) * 2018-10-23 2020-06-16 T-Mobile Usa, Inc. Dynamic power sharing for dual connectivity
EP3906751B1 (en) * 2019-02-12 2023-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bearer configuration of user equipment with en-dc capability
KR20200104017A (ko) * 2019-02-26 2020-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CN114650589A (zh) * 2019-03-09 2022-06-21 荣耀终端有限公司 网络连接的处理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536343B (zh) * 2019-05-16 2022-01-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模式控制方法、用户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WO2021025543A1 (en) * 2019-08-08 2021-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ual connectivity for u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30970A1 (en) * 2019-08-16 2021-02-25 Qualcomm Incorporated Ul transmission method for endc dual connection device
US11375564B2 (en) * 2020-10-07 2022-06-28 Sprint Spectrum L.P. Dynamically transitioning a UE to standalone connectivity with an access node based on the UE having threshold low power headroom on a secondary connection with the access node
US11570833B2 (en) * 2020-12-03 2023-01-3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utilizing dual radio access technologies in wireless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197A (ko) * 2011-11-21 2013-05-29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다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20170080596A (ko) * 2014-11-04 2017-07-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KR20170128152A (ko) * 2016-05-12 201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9500B2 (en) 2021-06-16 2024-02-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multiple drone communications
WO2023038253A1 (ko) * 2021-09-09 2023-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3182631A1 (ko) * 2022-03-21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중 접속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6196A1 (ko) 2020-12-24
KR102322469B1 (ko) 2021-11-05
US20220053426A1 (en) 2022-02-17
US11595903B2 (en)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469B1 (ko)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102402248B1 (ko)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US1196207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KR102576434B1 (ko) 투명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155782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s
US1128446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280981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5g antenna
US1122833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s
US20210250070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rmal mitigating and a control method of thereof
KR102499764B1 (ko)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210091448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rmal mitig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3008940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KR102554609B1 (ko)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612859B1 (ko) 5g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2310619B (zh) 电子设备
KR102578395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220399634A1 (e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5g antenna
KR102661302B1 (ko)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612857B1 (ko) 5g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210320396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5g antenna
EP4075915A1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