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152A - 단말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152A
KR20170128152A KR1020170059598A KR20170059598A KR20170128152A KR 20170128152 A KR20170128152 A KR 20170128152A KR 1020170059598 A KR1020170059598 A KR 1020170059598A KR 20170059598 A KR20170059598 A KR 20170059598A KR 20170128152 A KR20170128152 A KR 2017012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base station
rrc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756B1 (ko
Inventor
류선희
정정수
안라연
이성진
황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2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6/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6/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RRC 연결 접속을 지연하는 방법, 조기 C-DRX 또는 RRC Inactivated 상태로 진입하는 방법 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N APPRATUS FOR SAVING UE ENERGY}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소모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 의료 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통신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RRC state는 음성 통화 위주의 이전 세대의 설계에 따라 보수적으로 설계 되었다. 예를 들어 단말은 traffic 수신 이후 일정시간 동안 traffic 도착이 없음에도 RRC connected 상태로 (Connected DRX) 등의 대기시간을 유지하므로 이로 인한 전력 소모가 심각하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관없는 keep alive message등이 data로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를 위한 RRC connection을 현재와 같이 유지할 경우 단말 전력 소모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특허에서는 RRC INACTIVE 상태 혹은 RRC idle 상태의 light connectivity 환경에서 기지국이 S1연결을 유지하고 단말의 Context를 저장하고 RRC connected상태로 천이할 때 기지국이 S1 및 단말의 Context 생성 없이 동작하는 단말 저전력 동작 설정 및 이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5G 통신 시스템의 지원 서비스 type(일례로 eMBB, URLLC, mMTC 등이 있을 수 있다) 별 Latency 등의 QoS 요구사항 특성, Light Connectivity 적용 여부 및/또는 스마트 단말 사용 상태 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모뎀 모드 제어를 통해 서비스별로 QoS를 기반으로 하는 Aggregation 제어 동작, 단말 Measurement 주기 확장 및 감소 동작, 효율적인 Radio Tail 기간 단축을 통한 단말 연결 대기 시간 감소 설계, 단말 연결 모드 내 Long DRX 동작 등을 통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고 단말의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단말 컨텍스트(context)가 유효한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단말 컨텍스트(context)가 유효한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단말 컨텍스트(context)가 유효한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단말은 RRC Connected 상태에서의 대기 시간(즉 C-DRX 및 Radio tail)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므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조기 단말 Autonomous Release 동작의 경우 RRC state 천이를 위한 RRC release message 없이 Data를 전송함으로써, 관련 Control Signalling 제어 부담을 제거하고 및 지연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는 5G 기지국 (RU 또는 TRP)의 전력 소모 감소를 통한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및 5G 셀간 주변 간섭을 감소시켜 무선 자원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3개의 RRC state인 Connected, Inactive, Idle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Inactive 상태의 단말과 기지국 MME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New Info.)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의 또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의 또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연결 대기 시간 감소 방법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연결 대기 시간 감소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자 활성 또는 비활성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마트폰 구조(AP 및 CP)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자 활성 또는 비활성 판단 방법의 상세 동작을 기술하기 위한 AP-CP간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 스마트 기기 그룹 내 거리 및 상황 인지 기반 판단 이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통신 시스템의 Non-standalone(NSA) LTE-NR tight interworking 동작시 네트워크 topology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통신 시스템의 Non-standalone LTE-NR tight interworking 동작 시 LTE 셀과 New RAT 셀의 DRX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통신시스템의 Non-standalone LTE-NR tight interworking 동작시 5G New RAT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과 스몰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Measurement 주기 확장 또는 감소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AN(Radio Access Network) 5G(5세대) 통신 시스템 표준화 과정에서 논의되고 있는 에너지 효율성(Energy Efficiency) KPI를 달성하기 위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장치를 제안한다. 해당 표준에서는 향후 10년 이내에 단말 및 기지국 네트워크의 전력 효율성[bit/J] 이 1000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주 목표로 하여 에너지 효율적 동작을 정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주파수 대역의 mmWave 동작 시 필수적인 Beamforming 전송 방식에 따른 전력 추가 소모 가능성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의 Active 동작 시간을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RRC state는 음성 통화 위주의 이전 세대의 설계에 따라 보수적으로 설계 되었다. 예를 들어 단말은 traffic 수신 이후 일정시간 동안 traffic 도착이 없음에도 RRC connected 상태로 (Connected DRX) 등의 대기시간을 유지하므로 이로 인한 전력 소모가 심각하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QoS(quality of service)와 상관없는 keep alive message등이 data로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를 위한 RRC connection을 현재와 같이 유지할 경우 단말 전력 소모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5G 이동 통신 시스템(NR(New Radio)와 혼용될 수 있다)에서 동작하는 3개의 RRC state(상태)인 Connected, Inactive, Idle에 기반한 RRC connection(연결) 제어 및 유지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data 전송을 하는 RRC state인 Inactive 및/또는 Active state 결정 방법 및 RRC Inactive state에서 단말의 traffic 전송시 효율적으로 전송을 수행하여 Spectral efficiency 향상시키고 Channel access 방법을 발전시키는 방법을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 방법으로 Idle (Inactive) 에서 Connected 상태로의 천이 방법으로 저전력 우선 또는/및 서비스 지연을 허용하는 경우 RRC 연결 접속을 지연하는 동작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RRC Connected 에서 Idle (Inactive)상태로의 천이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조기 C-DRX 천이 및 조기 RRC Release 및 조기 단말 Autonomous Release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단말 또는 기지국 모뎀의 제어 방법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개시하고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단말 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LTE(MeNB)-NR(SeNB) tight interworking 구조에서 단말에 Dual connection에 대한 링크별 DRX cycle 운용방법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5G 통신 시스템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00), S-GW(serving gateway, 110) 및 다수의 gNB(120, 122, 124 및 12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gNB는 기지국으로 UE(130)와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기존 (UMTS)의 NodeB와 LTE의 eNodeB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제공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역할을 상기 gNB(120, 122, 124 및 126)가 담당한다. 하나의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상기 S-GW(11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상기 MME(10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상기 MME(100)는 상기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gNB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3개의 RRC state인 Connected, Inactive, Idle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5G 통신 시스템에는 Connected state(200), Inactive state(210) 및 Idle state(220)이 존재한다. 3GPP NR은 기존 2개의 RRC state에 추가로 Inactive state를 더해 3개 RRC State를 운용하도록 결정되었으며 단말은 한번에 하나의 RRC State로 동작할 수 있다. 각 state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tablishment, release, resumpsion, inactivation 등의 절차를 통해 서로 다른 state로 천이할 수 있다.
도 3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Inactive 상태의 단말과 기지국 MME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규 RRC 상태인 Inactive state는 단말(300)과 기지국(310)의 Air interface는 비 접속 상태이지만(330) 기지국(310)과 MME(320)의 core network은 접속상태를 유지하고(340) 단말이 기지국과 RRC Connected 상태를 해지(Release)하더라도 기지국과 MME는 ECM Connected 상태를 유지하며 단말 Context를 기지국과 MME가 저장하고 있는 것을 가정한다.
아래에서는 종래 표준인 3GPP Release 13의 C-IoT, NB-IoT 기술에서의 RRC 상태(Idle connected state)에 대해 기술한다. 기존 RRC idle state에서 RRC 천이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S1 연결 설정 및 Security 절차의 생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Anchor eNB(고정 기지국, 앵커 기지국과 혼용 가능하다)는 UE 확인용 resume ID를 비롯한 UE context를 저장한다. 단말이 Idle 상태에서 이동시 신규 기지국 접속시 단말의 identity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은 해당 resume ID를 전송하고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단말 정지 시 혹은 동일 셀 이내 위치 시에는 기존 기지국, 이동 시에는 신규 기지국)은 resume ID를 기반으로 UE context를 retrieve하고 이후 접속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표준 3GPP Release 13의 C-IoT, NB-IoT에서는 RRC connected state로 천이한 이후 (RRC resume) data를 전송하므로 Idle state를 위한 별도의 DRB 설정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NB-IoT 에 합의된 CP 또는 UP-solution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enhancement로 Inactive state에 관련된 MAC 설계가 더 필요하다. CP-solution의 경우 Idle 상태에서 초기 small data를 NAS security를 위한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이용해 전송하여 발생하는 SRB 기반 MME-gNB 부하 증가 문제 및 지연 문제를 해결하고 QoS 기반 차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UP-solution은 RRC connection resume 및 suspend 절차를 위한 RRC signalling에 의한 CN의 부담을 줄이고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작하지만 connected 상태에서 data를 전송하기 때문에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C-DRX) 를 위한 대기 전력 소모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아래와 같은 동작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 Inactive state를 도입하고, Idle 기반 NB-IoT 동작에 대비해 Inactive state 단말 동작의 비주기적 CQI, BSR 관련 정보, 신규 monitoring timer 등의 동작을 추가한다. 두 번째로 Inactive state 이내 small data 전송은 DRB(date radio bearer)를 기반으로 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SRB 기반 MME-gNB 부하 증가 문제 및 지연 문제를 해결하고 QoS 차별 지원이 가능할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서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 방법으로 Idle(또는 Inactive) state에서 Connected 상태로의 천이시 저전력 우선 또는/그리고 서비스 지연을 허용하는 경우 RACH(random access channel) 지연을 통해 RRC 연결을 지연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RRC 연결 지연 여부는 아래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 Service 특성: Use case(eMBB, URLLC, mMTC 등의 어떤 서비스를 제공받느냐의 여부), numerology 및 TTI
- 단말 특성: 사용자 Attendance 및 단말 배터리 상태
- Idle mobility: 앵커 기지국인지 아닌지에 따라 UE Context retrieve에 걸리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다.
- Traffic 유무: PAU(paging area update) 또는 TAU(tracking area update)와 같은 area update 용도인지 또는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하향링크(downlink, DL) traffic이 기반된 연결인지, 저전력 우선 혹은/그리고 서비스 지연을 허용하는 경우 여부
구체적으로, 첫 번째로 Service 특성의 경우 저지연을 요구하는 URLLC 대비 eMBB 혹은 mMTC Data를 위한 RRC activation은 지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단말의 특성으로 단말 사용자가 부재중 (Unattended)인지 OS idle state, Device idle state, Display off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여 부재중일 경우 지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 잔여 배터리 상태 및 단말 OS에서 사용자가 저전력 우선 모드 설정 시 이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세 번째로, Idle mobility의 경우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이 context를 저장한 이전 기지국(즉 앵커 기지국)이라면 지연하여 RRC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앵커 기지국이 아니라면 UE context를 retrieve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네 번째로 Traffic 유무의 경우 이는 단말 이동에 따른 paging area(PA) 또는 tracking area(TA) update를 위한 RRC 접속과 traffic 전송을 위한 RRC 접속을 구분하는 동작으로 단말이 Inactive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일정 영역(특히 PA) 이내에서는 단말은 기지국에 보고하지 않고 PA 경계를 넘어갈 때 RRC Connected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송수신할 data 없이 Idle mobility 지원을 위한 RRC 접속일 경우 지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연 동작시 상향링크 data가 발생하는 경우 상향링크 data의 발생을 단말이 알 수 있으므로 DL paging(페이징) 수신을 위해 최대 다음 paging 주기까지만 RRC 접속을 지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RRC 연결 지연 방법으로는 첫 번째로 기지국 설정을 기반으로 Grant-free, Dedicated, Contention-based RACH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으며, 두 번째로 단말 feedback을 기반으로 기지국의 UL grant 지연 결정 방법이 있다.
아래에 기술된 메시지의 이름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의 메시지와 유사한 역할의 메시지에 확장되어 해석될 수 있다.
도 4는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Idle (또는 Inactive) 상태에서 Connected 상태로의 천이 방법으로 저전력 우선 또는/및 서비스 지연 허용 여부를 판단한 후 RRC pre-configuration기반 RRC connection Access 제어 동작으로 Grant-free, Dedicated 2 또는 4-step RACH, Contention-based 2 또는 4-step RACH 동작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402)은 단말(400)으로 전송하는 410 단계의 RRC connection release (inactivation) 메시지를 통해 Inactive 상태로 진입시 RRC connection Access 방법을 미리 설정(pre-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러한 RRC connection access 방법으로는 1) Grant-free, 2) Dedicated 2 또는 4-step RACH, 3) Contention-based 2 또는 4-step RACH이 있다(420). 이러한 pre-configuration은 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 등을 미리 설정하는 것으로 또는 단말이 어느 방법으로 RRC 연결 접속을 수행할지 설정하는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1) Grant-free, 2) Dedicated 2 또는 4-step RACH, 3) Contention-based 2 또는 4-step RACH 중에서 단말이 사용할 특정한 하나의 전송모드에 대한 pre-configuration을 inactive state로 천이 하는 동작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1) Grant-free, 2) Dedicated 2 또는 4-step RACH, 3) Contention-based 2 또는 4-step RACH 중에서 단말이 사용할 다수의 전송 모드를 설정하고 단말에게 해당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Event trigger 조건을 설정하여 단말이 해당 event를 기반으로 전송 모드를 선택하고 관련 paramter를 적용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DL traffic 도착 시 단말로 Paging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RRC Access Indication을 통해 1) Grant-free(440), 2) Dedicated 2 또는 4-step RACH(442), 3) Contention-based 2 또는 4-step RACH(444) 중 어떠한 옵션으로 RRC Access를 수행할 것인지(즉 어떤 방법으로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전송할지) 알려줄 수 있다(430).
이후 단말은 수신한 RRC Access Indication을 기반으로 RRC Access 동작을 통해 1) Grant-free, 2) Dedicated 2 또는 4-step RACH, 3) Contention-based 2 또는 4-step RACH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1) 에서 3)으로 갈수록 RRC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은 어떤 방법으로 RRC 접속을 수행할지 지시하는 방법으로 연결 지연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위해 Grant-free 및 Dedicated RACH 자원을 기지국이 다수 단말에게 pre-configure하고 paging 전송시 포함되는 RRC Access indication을 통해 제어하거나 또는 기지국이 단말간 충돌이 없도록 indication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Idle (또는 Inactive) 상태에서 Connected 상태로의 천이 방법으로 저전력 우선 또는/및 서비스 지연의 허용 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기반으로 RRC pre-configuration기반 RRC connection Access 제어 동작으로 즉시 RRC connection 전송 절차 시작 또는 이전 전송 이후 일정 시간 지연 후 RRC 접속 시작 또는 Delayed RRC request (이는 fixed time duration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long,mid 또는 short로 설정될 수 있다)를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502)는 단말(500)으로 전송하는 510 단계의 RRC connection release (inactivation) 메시지를 통해 Inactive 상태로 진입시 RRC connection 접속 방법을 pre-configuration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다음과 같이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전송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520).
첫 번째로 Immediate RRC request(540)는 즉시 RRC connection 연결 절차를 시작하는 동작으로, URLLC 등의 저지연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로, Periodic RRC request(542)는 이전 전송 이후 일정 시간 지연 후 RRC 접속을 시작하는 동작으로 여기서 지연 시간은 미리 설정된 period timer로 제어한다. 이 때 지연 시간은 예를 들어 long, mid 또는 short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세 번째로, Delayed RRC request(543)는 Traffic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지연 후 RRC 접속을 시작하는 옵션으로 상기 지연 시간은 예를 들어 long, mid 또는 short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첫 번째 방법의 경우 가장 지연 시간이 짧으며, 세 번째 방법으로 갈수록 지연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접속 방법 설정을 통해 기지국은 RRC 연결 접속 지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이 Inactive 상태로 진입 시에 RRC connection 방법을 pre-configuration하는 방법에 따르면 Traffic 발생시 단말이 저전력 우선 또는 서비스 지연을 허용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이하 New Info.)의 전송 없이(즉 상기 new info.에 기반하지 않고) 정해진 RRC 연결 접속이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Pre-configuration을 기반으로 RRC connection 접속 방법 및 parameter를 선택하며 해당 설정으로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한다.
도 6은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Idle (또는 Inactive) 상태에서 Connected 상태로의 천이 방법으로 저전력 우선 또는/및 서비스 지연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RRC 연결 지연 방법으로 UL grant에 기반하여 RRC connection Acces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RRC Inactive 상태에서 DL Traffic 발생(610)으로 RRC 연결 시작 시 기지국(602)은 Paging 메시지에 RRC access indication 관련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620).
이 때 단말(600)은 저전력 우선 또는 서비스 지연을 허용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New Info.)를 RACH 전송 시 RA Preamble에 실어서 또는 RA Preamble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630). 이 때 상기 기술한 단말 특성 및 Idle mobility 관련 정보는 단말만 알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시그널링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지국은 해당 정보를 종합하여 MGS3(RRC connection resume request 메시지) 전송을 위한 UL grant의 전송 시점 및 자원을 차별화하여 MSG 2를 위해 설정한다(640). 이 때 UL grant는 urgent, normal 또는 slow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긴급할 경우 기지국은 MSG2를 즉시 전송하나 긴급하지 않을 경우 MSG2를 RA Preamble 수신 이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MSG2의 UL grant를 기반으로 MSG3를 전송하여 RRC 연결 접속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기지국은 RRC 연결 접속 지연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을 위한 RRC 연결 관리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Idle (또는 Inactive) 상태에서 Connected 상태로의 천이 방법으로 저전력 우선 또는/및 서비스 지연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RRC 연결 지연을 위해 UL grant에 기반하여 RRC connection Access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향링크 Traffic이 발생할 경우(710) RRC access 동작으로 단말(700)이 RA Preamble 전송시 RA Preamble(MSG1)에 New Info.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상향링크 트래픽인 경우 New info.로 다음과 같은 정보가 있을 수 있다. New info.에는 상기 기술한 단말 특성 정보, Idle mobility 정보 이외에도 service 특성 정보 및 Traffic 유무 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초기 RRC 연결 상태를 Inactive에서 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에서는 기지국은 상기 정보를 알지 못하고 단말만 알고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후 상기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702)은 해당 정보를 종합하여 MGS3(RRC connection resume request 메시지) 전송을 위한 UL grant의 시점 및 자원을 차별화하여 설정(730)한 후 MSG 2에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740).
UL grant의 시점 및 자원을 차별화하여 설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urgent, normal 또는 slow에 해당하는 옵션에 따라 UL grant에 포함되는 자원의 시작 시점, TTI, sub-carrier (Bandwidth)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단말은 상기 UL grant에서 지시한 자원에서 MSG3를 전송하며(750) 기지국은 UL grant에 따라 MSG3의 전송 시점이 결정되므로 이를 통해 RRC 연결 접속 지연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정보(New Info.)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RACH MSG3의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 메시지와 함께 단말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지연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정보(New Info.)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 단말은 단말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pre-configured된 RRC 연결 접속 모드에 따라 동작하거나 이 중 단말이 선택해 동작할 수 있다. 두 번째로 MSG1 RA preamble시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전송된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UL grant를 통해 지연 여부를 제어하는 방법은 기지국의 UL grant 시간 및 자원 설정의 자유도가 높으며, 전송시 Preamble sequence bit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많은 양의 정보를 전송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세 번째로 단말 정보를 MSG3의 RRC connection resume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기지국이 미리 설정된(pre-configured) 일정 시간 (이는 timer로 정의될 수 있다) 경과 이후 RRC connect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은 pre-configured된 일정 시간 경과 후 RRC connectio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MSG3는 MSG1보다 payload 크기가 크므로 단말 정보 전송에 유리하나, pre-configured된 일부 timer만 지연 시간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UL traffic이 발생하면(810) 단말(800)은 RA Preamble을 기지국(802)로 전송한다. 이후 기지국은 UL grant를 포함하는 MSG2를 단말로 전송하고(830, 단말은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MSG3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840).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과 단말은 각각 지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지연 시간 후 RRC connection resume response 메시지를 각각 송수신한다(860). 이를 통해 RRC 연결 접속시 지연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으로 조기 C-DRX 천이, 조기 RRC Release 및 조기 단말 Autonomous Release 동작을 기술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아래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 Last Traffic 특성: Use case(eMBB, URLLC, mMTC 등의 어떤 서비스를 제공받느냐의 여부), numerology 및 TTI
- 단말 특성: 사용자 Attendance 및 단말 배터리 상태
- 단말/기지국 Inactive 지원 여부: S1 연결 유무 및 UE Context 저장 여부
- Idle mobility: RAN 기반 paging 관련 Parameter 설정에 따라 저전력 우선 또는/및 서비스 지연을 허용하는 경우인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로 Last Traffic 특성의 경우 예를 들어 이전에 지원되던 서비스와 유사한 traffic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만약 저지연을 요구하는 URLLC의 경우 조기 RRC 상태 천이를 하지 않고, eMBB 혹은 mMTC Data의 경우 조기 RRC inactivation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단말 특성의 경우 이는 사용자 Attendance 및 단말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동작으로 단말 사용자가 부재중(Unattended)인지 OS idle state, Device idle state, Display off 등 기반으로 부재중일 경우 조기 RRC 상태 천이를 수행하고, 단말 잔여 배터리가 및 단말 OS에서 사용자가 저전력 우선 모드 설정 시 RRC 연결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기 C-DRX 천이 및 조기 RRC Release 및 조기 단말 Autonomous Releas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세 번째로 Network 설정의 경우 S1 연결 유무, UE Context 저장 여부 및 단말 및 기지국 (Inactive, Light Connectivity) 지원 여부 및 UE context 저장 및 Retrieve (회복) 정상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기능이 지원되면 조기 RRC inactiva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RRC inactivation을 하더라도 상기 기능이 지원될 경우 빠르게 연결 상태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 번째로 Idle mobility의 경우 RAN 기반 paging시 Network 기준으로 paging area를 설정하는 경우나 단말에 상관없이 Paging area가 동일한 경우보다 단말 특정 셀 리스트(UE-specific cell list)로 UE별 Paging area를 운용하는 경우는 UE context가 저장된 앵커 기지국과 X2(또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지연이 짧은 기지국으로 PA 설정이 가능하므로 UE context retrieve (회복) 시간이 비교적 짧을 수 있어 조기 RRC 상태 천이를 운용할 수 있다.
도 9은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명시적 RRC signaling을 통하여 조기에 RRC Connection Release (Inactivation)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900)은 기지국(902)로 단말 기지국 초기 접속 시 UE Capability 메시지에 단말의 INACTIVE state 동작 지원 여부 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UE 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한다(910). 또한 RRC 연결 중 UE Assisted Information을 통해 단말 특성(일례로 사용자 Attendance 및 단말 배터리 상태 정보, 이하 단말 정보)을 보고할 수 있다(920).
기지국은 명시적(Explicit)으로 RRC 연결 상태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기지국 보유 정보 기반으로 수행되며, 기지국 보유 정보로는 예를 들어 last traffic 특성 정보, 기지국의 INACTIVE state 동작 지원 여부, RAN-based paging 설정 정보가 있다.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User-inactivity timer를 설정하고(930) 해당 timer가 만료된 후 기지국은 명시적으로 RRC Inactivation message를 단말로 전송하여(940) Inactiv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이 User-inactivity timer를 보수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long timer 값을 설정해 단말의 전력을 소비하는 대신 RRC 연결 상태의 지연 감소 및 네트워크 설정 제어 부담이 감소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적극적으로 User-inactivity timer를 설정하는 경우 short timer 값을 설정해 단말의 저전력 성능 효율을 위해 RRC 연결 상태의 지연 증가 및 네트워크 설정 제어 부담이 일부 증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명시적 RRC signalling을 통하여 해당 DRX inactivity timer를 (수정)설정 (re(configuration)하고, 이후 설정된 해당 DRX inactivity timer를 기반으로 단말이 조기 C-DRX 시작 또는 long C-DRX 로 조기 천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1000)은 단말 기지국 초기 접속 시 UE Capability에 단말의 INACTIVE state 동작 지원 여부 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UE 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한다(1010). 또한 RRC 연결 중 UE Assisted Information을 통해 단말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1020).
기지국 명시적(Explicit)으로 RRC 연결 상태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기지국 보유 정보 기반으로 수행되며, 기지국 보유 정보로는 예를 들어 last traffic 특성 정보, 기지국의 INACTIVE state 동작 지원 여부, RAN-based paging 설정 정보가 있다.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DRX-inactivity timer를 설정하고(1030) 상기 설정된 DRX-inactivity timer 관련 정보를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설정하고(1040) 단말 및 기지국에서 해당 DRX-Inactivity timer가 만료 된 후 기지국은 명시적으로 RRC Inactivation message를 단말로 전송하여 Inactiv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이 때 User-inactivity timer 를 보수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long timer 값을 설정해 단말의 전력을 소비하는 대신 RRC 연결 상태의 지연 감소 및 네트워크 설정 제어 부담이 감소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적극적으로 User-inactivity timer를 설정하는 경우 short timer 값을 설정해 단말의 저전력 성능 효율을 위해 RRC 연결 상태의 지연 증가 및 네트워크 설정 제어 부담이 일부 증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의 또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기지국은 User-inactivity timer와 DRX-inactivity timer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으며, 기지국이 설정한 timer 만료시 조기 단말 Autonomous Release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1100)은 단말 기지국 초기 접속 시 UE Capability 메시지에 단말의 INACTIVE state 동작 지원 여부 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UE 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한다(1110). 또한 RRC 연결 중 UE Assisted Information을 통해 단말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1120).
기지국은 명시적(Explicit)으로 RRC 연결 상태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기지국 보유 정보 기반으로 수행되며, 기지국 보유 정보로는 예를 들어 last traffic 특성 정보, 기지국의 INACTIVE state 동작 지원 여부, RAN-based paging 설정 정보가 있다.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User-inactivity timer와 DRX-inactivity timer를 설정하고(1130)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1140). 만약 설정한DRX-inactivity timer가 만료된 경우, 단말은 long C-DRX 모드로 천이한다. 만약 설정한 RRC (re)configuration으로 사전에 설정된 DRX-inactivity timer가 만료될 경우 C-DRX 또는 long C-DRX 동작 모드로 천이하고 이후 User-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면 단말 및 기지국은 추가적인 RRC signaling의 전송 없이 Inactiv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RRC Connected 상태에서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의 천이 방법의 또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기지국은 User-inactivity timer와 DRX-inactivity timer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이 설정한 timer 만료시 조기 단말 Autonomous Release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1200)은 단말 기지국 초기 접속 시 UE Capability 메시지에 단말의 INACTIVE state 동작 지원 여부 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UE capability 메시지를 전송한다(1210). 또한 RRC 연결 중 UE Assisted Information을 통해 단말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1120).
이후 기지국은 기지국 보유 정보인 last traffic 특성 정보, 기지국의 INACTIVE state 동작 지원 여부, RAN-based paging 설정 정보 및 DRX-inactivity timer 및 User-inactivity timer 관련 정보를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1230). 단말은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DRX-inactivity timer 및 User-inactivity timer를 설정할 수 있다(1240). 만약 설정한DRX-inactivity timer가 만료된 경우, 단말은 long C-DRX 모드로 천이한다. RRC (re)configuration으로 사전에 설정된 DRX-inactivity timer가 만료될 경우 C-DRX 또는 long C-DRX 동작 모드로 천이하고 이후 User-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면 단말 및 기지국은 추가적인 RRC signaling의 전송 없이 Inactive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 역시 동일한 기지국 관련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단말과 같이 time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원 서비스 특성, Light Connectivity 적용 여부, 스마트 단말 사용 상태 인지를 통한 사용 모드 제어를 통해 단말의 전력 절감을 수행하는 방법을 아래에 기술한다.
단말 및/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로 첫 번째로 지원 서비스 type (일례로 eMBB, URLLC, mMTC) 별 Latency 등의 QoS 요구사항 특성 정보, 두 번째로 Light connectivity 적용 여부에 기반한 RRC 상태 천이 제어(Transition delay from RRC idle state to RRC connection state), 세 번째로 OS 제어 정보 기반 동작 정보가 포함된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단말 입력 및 디스플레이 활성화 정보 기반 판단 동작, 스마트폰 탑재 센서 기반(조도, 단말 활성화 판단 판단 동작 및 인접 스마트 기기 그룹 내 거리 및 상황인지 기반 판단) 판단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전력 효율 향상을 위한 모뎀 제어 방법으로 위의 단말 및/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 복수의 서비스 종류(일례로 eMBB, URLLC, mMTC), RRC 상태 천이 제어(Transition delay from RRC idle state to RRC connection state), 단말 사용자 활성화/비활성화 등의 판단을 기반으로 한 다섯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그 방법으로 첫 번째로 기지국 및 단말의 상하향 Traffic Aggregation 제어 동작, 두 번째로 단말 Measurement 주기 확장 또는 감소 동작, 세 번째로 상/하향링크 Unattended Traffic에 대한 Aggregation 전송 동작, 네 번째로 효율적인 Radio Tail 기간 단축으로 단말 연결 대기 시간 감소 동작, 다섯 번째로 단말 연결 모드 내 Long DRX 동작 방법이 있다. 상기 내용에 대해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단말 및/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로 지원 서비스 type (일례로 eMBB, URLLC, mMTC) 별 Latency 등의 QoS 요구사항 특성 정보가 있다. 아래의 표 1에 그 일례를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두 번째 추가 정보로 Light connectivity 적용 여부에 기반한 RRC 상태 천이 제어(Transition delay from RRC idle state to RRC connection state) 여부가 있다. 본 동작을 위해 구체적으로 Idle 모드 진입 시 단말 전력 감소 효과 보장을 위해 단말 Promotion(RRC Idle 또는 RRC Inactive 상태에서 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에서의) 제어 신호 송수신 및 지연 등의 네트워크 비용(Cost)이 고려된다. 즉 Short (radio) Tail(즉 short User inactivity timer를 운영하는 경우로 트래픽 송수신 후 짧은 시간 후 idle 또는 inactivity 상태로 천이하는 경우)의 경우 Traffic 예측이 불가한 경우 제어 Signaling Load가 증가하고 데이터 송수신 시의 QoE(및 QoS)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단말 요청 전송 및 기지국 연결 해제 설정의 부담 및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게 되므로 단말의 전력 소모, 다수 단말 동작시 제어 자원 소모 문제의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Traffic Pattern이 예측 불가한 경우 Idle 상태로 진입 후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부담(예를 들어 LTE 기준, 단말 전송 전력 소모(523 mW), 지연 발생(총 1.4초로 Paging 지연 1.28초, 연결 재설정 84 ms))의 비용을 감소하고자 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최소 Idle 구간 정보(RRC Idle 상태로 전환시 상기 idle 상태를최소로 유지하는 시간) 및 단말 Promotion Cost 관련 정보(구체적으로는 제어 시그널링 및 시간 지연 정보(Promotion time, Promotion energy 소비) 관련 category 정보)를 전송하는 피드백 전송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 구현 및 네트워크 설정에 따른 기지국 RRC Connection 접속 수행시(RRC Idle 또는 RRC Inactive 상태에서 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 해당 제어 시그널링 및 시간 지연 정보를 단말과 기지국간에 공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기지국의 RRC Connection 접속 수행시(즉 RRC Idle 또는 RRC Inactive 상태에서 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 해당 제어 시그널링 및 시간 지연 정보 등의 정보는 기지국이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이다. 해당 기지국이 RRC Inactive상태(또는 Light Connectivity)를 지원하는지 여부는 기지국이 System Information을 통해 셀 내의 단말에게 Broadcast하거나 또는/및 초기 혹은 이후 RRC (re)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해당 기지국에 초기 RRC connected 상태로 접속하는 과정에서 UE capability 정보 등의 기지국으로의 정보 전송을 통해 단말이 RRC Inactive 상태(또는 Light Connectivity)를 지원하는지 여부 및 Inactive상태에서 저장한 UE context가 유효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Light connection(Inactive state) 적용 여부에 기반하는 동작으로는 Connected to Idle 조기 진입, New RRC state 도입(이는 Dormant, Light connectivity, INACTIVE state 중 하나로 칭해질 수 있다), INACTIVE 상태 도입 동작으로 False Paging(Paging 확인 시 Paging이 미수신된 경우) 최소화 동작 및 네트워크 내 UE Context를 항상 유지하는 신규 RRC State 설계를 기반으로 한 기지국 및 단말의 신규 동작이 있다.
즉 신규 RRC State인 Dormant, 또는 Light connectivity, 또는 INACTIVE state 도입으로 RRC Connected 상태에서 RRC Idle(Dormant 또는 Light connectivity 또는 INACTIVE state)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원 및 비용(Cost)인, 단말 요청 전송 및 기지국 연결 해제 설정 부담 및 단말 상향링크 전송으로 전력 소모, 다수 단말 동작 시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자원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RRC Idle(Dormant 또는 Light connectivity 또는 INACTIVE state) 상태에서 RRC 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원 및 비용 (Cost)인, 단말 요청 전송 및 기지국 연결 해제 설정 부담 및 단말 상향링크 전송으로 전력 소모, 다수 단말 동작 시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자원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RRC 상태 천이 과정에서 필요한 자원 및 비용(Cost)인, 단말 요청 전송 및 기지국 연결 해제 설정 부담 및 단말 상향링크 전송으로 전력 소모, 다수 단말 동작 시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자원 상황을 기반으로 RRC 천이에 관련된 parameter를 제어하는 동작이다. 즉 기존 LTE 대비 신규 State 도입으로 상태 천이 과정에서의 Network 설정 Signaling에 따른 지연과 전력 소모가 감소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지의 여부를 기지국이 단말에게 indication하는 시그널링 및 단말이 기지국에게 indication하는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 및 기지국은 RRC Idle 상태/모드(또는 Dormant 또는 Light connectivity 또는 INACTIVE state)에 조기(early) 진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Use case(Service) 별 RAN Slice 기반 Idle (또는 Inactive) state 변경 적용시 eMBB 서비스의 경우 기존 C-DRX 동작을 유지할 수 있으며 URLLC 서비스의 경우 저지연 전송을 위해 항상 Connected 상태로 유지(Always connected)할 수 있다. 또한 mMTC 서비스의 경우 지연 성능 요구가 없거나 낮을 경우 Radio Tail 없이(즉 short or zero User inactivity timer를 적용) Idle (또는 Inactive) 상태로 바로 진입(천이)할 수 있다.
단말 전력 효율 향상을 위한 모뎀 제어 방법은 상기 기술된 단말 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의 실시예를 포함하여 복수의 서비스 종류(일례로 eMBB, URLLC, mMTC) 기반 QoS 요구사항, RRC 상태 천이 제어, 단말 사용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판단을 기반으로 한 아래 동작을 포함한다.
단말 전력 절감 동작을 위한 모뎀 동작 별 상세 내용을 아래에 기술한다. 이후 기술된 내용에서 Unattended traffic 판단은 단말 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인 아래 정보로 대체하여 판단 가능하다. 상기 추가 정보로 복수 서비스 종류(일례로 eMBB, URLLC, mMTC, 또는 지연 QoS가 strict하지 않은 service인지 여부), Light connectivity 적용 여부(Transition delay from RRC idle state to RRC connection state) 및 idle 에서 connected 지연이 짧은 네트워크인지 여부, 단말 사용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판단 정보가 있다.
첫 번째로 Aggregation 제어 동작은 데이터 전송율이 높아 수신단에 해당 트래픽 버퍼링이 충분할 경우, 전송단에서는 즉시 전송 스케줄링보다 지연된 전송(deferred transmission)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Traffic이 요구하는 QoS 레벨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지연시켜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의 목적은 장비의 전력 소모 감소 또는 보다 향상된 무선 자원 관리로 전체 Cell throughput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하향링크 Traffic Aggregation 전송 방법으로는 상향링크 Traffic SR(scheduling request)/BSR(buffer status report) 지연 전송(즉 MAC 계층에서의 동작) 및 하향링크 Traffic 전송을 위한 단말의 Initiation(UL) 지연 전송을 포함한다. 일례로 DL 전송 지연 제어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 단말은 웹 기반, 앱 기반 사용자 Uplink 요청 전송 지연을 통해 전송을 지연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기지국은 사용자의 Http request 정보를 parsing하여 해당 상향링크 전송 Traffic을 지연 전송 할지 하지 않을지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해당 Http request 정보를 parsing하는 동작 후 단말은 기지국에게 Scheduling Request (SR)을 지연 전송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해당 상향링크 지연 가능 정보를 SR 혹은 다른 feedback 정보 또는 신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HTTP request 정보에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중 (Unattended) 상태에서 HTTP request룰 전송하는 요청임을 표시하거나 해당 정보를 위한 신규 필드를 SR 또는 다른 feedback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요청 정보(Attended인지 Unattended인지)에 따라 단말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 (UE)에 대해 스케줄링시 단말 송수신 시간 감소를 통해 단말의 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해당 단말에 송수신되는 전송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케줄링 수행 기법을 제안한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burst한 트래픽을 전송함으로써 sleep 상태에서 active 상태로 천이시 발생하게 되는 warming up time 감소를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세 번째 방법으로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동작에서 수반되는 전송 지연(deferred transmission)이 사용자 서비스 만족도(QoE) 저하를 야기시키지 않도록 첫 번째 및 두 번째 동작을 dynamic하게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례로 Attended Traffic의 경우 사용자 입력 요청시 Low Latency 성능의 달성이 필요하므로 지연 전송(aggregated transmission)을 수행하지 않는다. Unattended Traffic의 경우는 사용자 입력이 아닌 DL 트래픽 요청 전송이 상향링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는 Traffic의 Low latency 성능을 만족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 기기 전력 절감이 필요한 경우 지연 전송(aggregated transmi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연결 대기 시간 감소 방법의 일례이다. 도 13에 따르면, 단말 요청 인 UE assisted information의 power preference indicator를 기반으로 Radio Tail이 단축되어 단말 연결 대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UE Assisted Information에 기반하여 기지국 제어에 따라 User inactivity timer가 단축될 수 있다. 상기 동작에서 단말(1300)은 사용자가 Attended 또는 Unattended인지에 따라 Attended 또는 Unattended traffic 임을 표기하는 UE Assisted Information을 기지국(13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Attended 또는 Unattended 여부)를 반영한 기지국 제어에 따른 User inactivity timer 단축 뿐 아니라 기지국의 해당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단말 사용자가 Attended이면 기지국은 User-inactivity timer를 longer User inactivity timer로 설정하거나 해당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aggregated transmission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단말 사용자가 Unattended이면 기지국 은 User-inactivity timer를 shorter User inactivity timer로 설정하거나 해당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지연하는 aggregated transmi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한 단말의 상태 정보 feedback은 상향링크 전송시 SR, BSR 신규 필드에 표기되거나 상향링크 Traffic 전송시 HTTP Request 신규 필드에 표기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사용 여부를 기반으로 기지국 Radio Tail을 설정하는 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전용 UAI(User Attendance Information)을 기반으로 Radio Tail을 단축 설정하고 단말 미사용(User Unattended)시 Radio Tail을 Short tail, 즉 short user inactivity timer를 설정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단말 UAI 값과 기지국 Radio Tail 값을 반비례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이 User-inactivity timer (radio tail) 및 DRX-inactivity timer를 결정하고 설정하기 위한 방법인 UL Data MAC Header 기반 방법으로전송 UL Data 특성에 따라 DRX 주기 및 Radio Tail을 반복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 표 2의 예시와 같이 점진적으로 DRX 주기 및 radio tail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2
즉 UL Traffic 특성 및 MAC Header 표기에 따라 ACK/NACK 수신이 필요하거나 또는/및 Server Update(DL 전송 수반) 상황에서는 Radio Tail의 값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DRX 주기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ACK/NACK이 불필요하고 또는/및 Keep alive 메시지 전송 상황에 대해서는 Radio Tail 값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DRX 주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사용하는 확률을 기반으로 하는 기지국 DRX State 및 주기 설정 동작을 포함한다. 기지국이 DRX State 및 DRX 주기를 설정하는 동작에서 DRX State 변경 동작은 기존의 Timer 기반의 동작이 아닌 바로 해당 DRX State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 때 단말 개시 동작 옵션으로 초기 기지국 설정 RRC connection Configuration 중에서 단말이 DRX State 및 DRX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는 설정을 하는 동작을 포함시킨다. 한편 기지국 개시 동작 옵션으로는 단말 사용 확률에 기반한 Feedback 정보를 바탕으로 기지국이 제어 신호(일례로 RRC (re)configuration 혹은 System Information (SI) 예를 들어 essential SI, 혹은 on-demand SI)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하고 해당 DRX State 및 주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동작은 단말 사용(User attend) 확률 증가 상황에서 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거나 Short DRX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반대로 단말 사용 확률 감소(User unattended) 상황에서 Long DRX(주기 증가) 및 Radio Tail 단축(즉 user inactivity timer단축) 및 RRC Release, RRC inactivation 동작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Multi-RAT간 Radio Tail 설정 변경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 미사용(User Unattended) 상황에서 Application 자동 생성 트래픽인 Keep alive packet 전송 여부를 기반으로 하여 저 전력 효율 RAT을 Short tail 모드로, 고 전력 효율 RAT을 Long Tail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력 효율이 낮은 RAT(Air Link)의 예로 5G 고주파수 대역 기지국 링크인 mmWave 기지국에 대한 전송을 예로 들 수 잇고 전력 효율이 높은 RAT의 예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운용하는 LTE 기지국 링크를 들 수 있다. 다시 말해 5G mmWave 기지국은 빔포밍 전송을 위해 Beam scan 등의 추가 동작이 필요하므로 Short tail(short user inactivity timer) 모드로 동작하는 편이 유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조기(early) RRC Release(즉 idle state로 천이), 조기 RRC inactivation(즉 RRC inactive 상태로 천이) 및 조기 Long C-DRX 모드로 천이 및 idle 상태에서 주기가 긴 Long DRX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저전력 모드 운용 시에도 안정적인 data 송수신 및 저지연 성능 유지를 위해 전력 효율이 높은 Link인 저주파수 대역 LTE 기지국의 링크를 Long tail(longer user inactivity timer)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 고효율(예를 들어 LTE) 기지국은 connected state에서 전력 저효율 (예를 들어 빔포밍 전송 혹은 mmWave) 기지국 대비 상대적으로 짧은(short) 주기의 C-DRX 로 설정하고 운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전력 고효율(예를 들어 LTE) 기지국은 전력 저효율(예를 들어 빔포밍 전송 혹은 mmWave) 기지국 대비 상대적으로 idle/inactive 상태에서의 Short DRX 주기로 운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연결 대기 시간 감소 방법의 또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따르면,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Radio Tail 단축하는 기지국 동작이 도시된다. 이는 CN(core network) Assisted Information(네트워크 수집 정보) 기반 기지국 제어에 기반하는 기지국 제어에 따른 User inactivity timer 단축 동작을 포함한다.
단말 연결 모드 내 Long DRX 동작으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단말 개시 동작시 기존 DRX State Diagram 동작 규칙을 유지한 채 단말이 C-DRX 동작 시에 Data 발생 이후 실제 상향링크 전송 시점을 지연시키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기지국이 해당 traffic 전송을 지연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단말이 상향링크 SR, BSR를 이용해 지연 전송 제어 동작을 수행하거나 및 상향링크 Traffic인 HTTP Request를 이용해 지연 전송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 및 CN의 정보 기반으로 radio tail을 기지국이 제어할 수 있다. 이는 UE Assisted Information을 기반으로 한 단말 Feedback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제어하는 동작 및 네트워크 정보(Core Network Assisted Information(네트워크 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기지국 제어 동작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중인 Unattended traffic 임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단말 정보(즉 사용자가 Attended/Unattended 상태인지 여부)를 반영하여 기지국이 해당 단말의 스케줄링을 바로 실행하는 동작(Attended인 경우) 또는 Unattended인 경우 해당 traffic을 바로 전송하거나 전송시점을 지연시키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에도 단말 정보(Attended/Unattended)는 상향링크 SR 및/또는 BSR 신규 필드에 포함되거나 상향링크 Traffic 전송인 HTTP Request 신규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사용자 요청 traffic인지 아닌지를 지시하는Feedback 기반으로 전송시점을 제어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단말이 상향링크로 서버에 request message를 전송하면 이를 기반으로 서버가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하향링크 taffic의 지연 관련 사항(지연 요구 사항 및/또는 바로 전송해야 하는지 지연 전송이 가능한지 하는) 특성 예측이 필요하다. 또한 상향링크 data 전송 이후 이에 응답하는 하향링크 data(traffic)이 발생하고 이를 전송할 필요가 생기는지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말의 상향링크 request가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Application에 의해 자동 생성된 요청인지 여부를 기지국에게 Feedback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한 신규 제어 시그널링 방법이나 기존 제어 Signalling을 수정하는 설계 방법으로 기존 MAC Control Element의 신규 필드에 표기하는 방법(구체적으로BSR (Buffer Status Report) 내의 New Field 에 표기)을 포함한다. 또는 SR(Scheduling request)의 추가 비트에 해당 정보를 표기할 수 있다. 또는 UL Data MAC Header에 표기할 수 있다., 해당 UL Data 이후 이 요청에 따라 다른 DL Data 전송이 필요할 것인지의 여부는 1) ACK/NACK 수신 필요 여부 2) Keep alive 메시지 전용인지 여부 3) Server Update인지 여부 가 될 수 있다. 이를 기지국이 DRX 주기 및 Radio Tail 제어시 판단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자 활성 또는 비활성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스마트폰 구조(AP 및 CP)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따르면, 스마트폰(이하 스마트 단말 또는 스마트 기기와 혼용 가능하다)는 OS(1510), 센서(1520), CP(communication processor, 1530) 및 RF 유닛(1540)으로 구성되며, OS에는 AP(application processor)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단말 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는 OS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1) 스마트 단말 입력 및 디스플레이 활성화 정보 기반 판단 동작 2) 스마트폰 탑재 센서 기반 (조도, 단말 활성화 판단 판단 동작 3) 인접 스마트 기기 그룹 내 거리 및 상황인지 기반 판단 판단 동작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로는 단말 사용자 활성 또는 비활성 여부 판단에 따른 정보를 포함한다. 각 동작 별 상세 내용을 아래에 기술한다.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는 또한 OS 제어 기반 스마트 단말 입력 및 디스플레이 활성화 정보, 디스플레이 정보 가 될 수 있다. 일례로 Display 화면 ON, Keypad 입력 ON, Touch Screen 입력 기반 사용자 Attended 판단 및 센서 기반 부가정보 활용 (일례로 카메라 인물 시선 인지) 기반 판단 동작이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수면 상태 판단 상황에서 단말 전력 절감 모드로 운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수면 시간 패턴, 현재 시각 정보 기반 동작 및 스마트폰의 센서를 활용한 주변 환경 탐지 기반 사용자 부재 탐지 동작, 스마트폰 또는/및 Wearable 기기의 일정 기간 이상 사용자 부재시 적용되는 동작 및 이를 기반으로 단말 및 기지국이 저전력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이 포함된다.
또한 스마트폰 탑재 센서에 기반하여 단말 사용자 Unattended 판단의 예로 스마트폰 및 Wearable 센서에 기반해 탐지해 종합 판단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기기 자체 움직임(자이로, 가속도, 지자기 센서, 기압, 카메라) 및 기기 인근의 움직임(제스처 센서, 근접 센서) 그리고 주변 조도(홀센서, RGB 센서) 기반 판단 이 포함된다.
스마트폰 단말 탑재 센서 및 기능에 따른 단말 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이 되는 추가 정보의 예시를 아래 표 3에 기술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이러한 단말의 센서 및 OS단의 추가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의 모뎀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실 시예로 아래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단말의 사용자 직접 입력 traffic 및 자동 생성 traffic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스마트 단말 또는 스마트 기기 탑재 센서 정보 기반으로 사용자가 화면 Touch 이전에 직접 입력에 의한 traffic인지 자동 생성 traffic인지 확인 가능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기기 인근 움직임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는 단말 사용자의 부재 및 존재 여부(Attend or Unattended )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부재 여부는 신체 얼굴이나 손 근접 탐지, 사용자 시선 인지 탐지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의 관련 센서로 제스처 센서(손 동작), 근접 센서 (적외선 인체 근접), 카메라 (시선)가 있다.
또 다른 방법은 기기 자체 움직임을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이다. 입력 가능 화면이 한 면에만 존재하여 각속도 변경이 큰 상황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단말 이동 패턴에 근거하여 단말 또는 스마트 Watch의 회전 각속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또는 각속도의 범위를 구분하여 판단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의 관련 센서로 자이로(단말 기울기), 가속도(이동 속도), 지자기 센서 (방위), 기압 센서가 있다.
또한 주변 조도를 기반으로 단말의 사용자 직접 입력 traffic및 자동 생성 traffic을 구분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주변 조도를 기반으로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기기가 보관되어 있는지, 커버가 닫혀있는지, 사용자가 수면중인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의 관련 센서로 홀 센서 (조도), RGB 센서, 마이크 센서 (소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과 연결된 Wearable 기기 착용 및 단말 Handheld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Smart Watch 손목 착용 및 단말 Grip 상황을 탐지하고 단말 내 온도 센서를 통해 체온 여부를 측정하여 동작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의 센서 및 OS단의 추가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의 모뎀을 제어하는 동작으로 다음의 예가 있을 수 있다. 단말의 사용자 직접 입력 traffic 및 자동 생성 traffic을 구분하는 방법은 앞서 기술한 기기 인근 움직임 기반, 기기 자체 움직임 기반, 주변 조도 기반, Wearable 기기 착용 및 단말 Handheld 여부 탐지 기반 각각 및 조합을 통해 센서 이벤트 및/또는 정보의 조합으로 사용자 동작 또는 행동 패턴을 인지하고 판단하는 동작 및 이를 모뎀단의 제어에 반영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자 활성 또는 비활성 판단 방법의 상세 동작을 기술하기 위한 AP-CP간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따라 AP-CP간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각 동작 별 상세 내용을 아래에 기술한다.
사용자의 단말 사용 여부 판단은 센서 이벤트 및/또는 정보의 조합으로 사용자 동작 또는 행동 패턴을 인지하기 위한 User Attendance Manger(1612)가 수행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614), Keypad/Touch 입력(1616) 여부, 센서(1618) 입력 값 및 주변 기기 통신 연결 상태 기반으로 판단하는 동작 및 AP(Android OS Middleware)에서 OS Idle, Device idle 상태에 기반한 모뎀 제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Traffic Aggregation Window 변경시 사용자가 단말을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해당 Traffic을 바로 Modem으로 전송 하고, 단말 사용자의 사용 확률 감소에 따라 Traffic Aggregation Window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 사용 확률이 매우 낮은 경우 또는 0%이라고 판단시 Traffic Aggregation Window는 최대화될 수 있고 이 때 단말이 전송을 임의로 지연시킬 수 있는 최대 data 량은 단말의 포함메모리 최대 용량에서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Margin을 제외한 나머지 메모리를 이용해 data를 전송을 지연시키기 위해 Buffering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APP (Application) 동작 기반 최대 Aggregation Window 기반 동작 또한 포함된다.
도 1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 스마트 기기 그룹 내 거리 및 상황 인지 기반 판단 이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따르면, 인접 스마트 기기 그룹 내 거리 및 상황 인지 기반 판단을 위해 해당 이벤트는 Wearable 기기(1710)와 스마트폰(1700, 마스터 기기)이 특정 거리 이상 분리된 경우의 탐지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동작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Wearable 기기를 착용한 상태로 임계 거리 이상 스마트 기기와 분리되는 이벤트 탐지, 단말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 Wearable 기기 입력 탐지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부재가 판단될 수 있다. 이를 단말 또는 기지국 모뎀 제어 결정 기준으로 활용하여 기지국이 DRX 주기 및 Radio Tail을 제어하고 또는/및 단말이 DRX 주기 및 Radio Tail을 제어하는 동작 역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earable 기기가 master 기기(단말)의 근거리로 이동시 단말은 저전력 모드에서 정상 통신 모드로 복귀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아래 표 4는 Wearable 기기가 RAT Capacity별로 전력 절감 모드를 적용하는 동작의 예시로 Wearable 기기의 상황별 Event를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동작을 기술하고 있다.
[표 4]
Figure pat00004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통신 시스템의 Non-standalone(NSA) LTE-NR tight interworking 동작시 네트워크 topology를 도시한 도면이다. LTE 매크로 기지국(1800)에 따른 LTE 매크로 커버리지 내에 NR 마이크로 기지국(1810)이 위치하고, NR 마이크로 기지국의 커버리지는 LTE 매크로 커버리지에 포함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통신 시스템의 Non-standalone LTE-NR tight interworking 동작 시 LTE 셀과 New RAT 셀의 DRX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LTE(MeNB)-NR(SeNB) tight interworking 구조에서 단말의 Dual connection에 대한 링크별 DRX cycle 운용 방법으로 첫 번째로 LTE(MeNB), NR(SeNB)는 각각의 독립 DRX cycle로 제어 및 동작될 수 있으며 두 번째로 LTE(MeNB), NR(SeNB) on duration을 동기화 하는 동작이 가능하며 세 번째로 LTE(MeNB), NR(SeNB) on duration을 동기화하기 위한 정보 교환 및LTE 및 NR의 DRX parameters configuration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교환 방볍으로 1) MeNB 및 SeNB 기지국 간 DRX 설정 정보 교환, 2) 송수신 traffic 서비스 type별 pre-defin된 DRX parameters configuration 적용, 3) 단말 내부 MeNB 및 SeNB 모뎀간 정보 전송 방법이 포함된다. 또한 네 번째로 LTE(MeNB), NR(SeNB) 각각의 별도 DRX 주기로 동작하나 그 주기가 scale factor로 배수로 증가하여 on duration 동기를 맞추어 단말이 복수 모뎀 및/또는 Resource configuration을 동시에 activation 시킬 수 있는 경우 및 다섯 번째로 LTE(MeNB), NR(SeNB) 각각의 별도 DRX 주기로 동작하나 other link의 DRX parameters configuration를 기반으로 단말이 복수 모뎀 또는/및 Resource configuration을 독점적으로 activation시키는 경우 및 여섯 번째로 LTE(MeNB), NR(SeNB) 각각의 별도 DRX 주기로 동작하나 주기가 scale factor로 배수로 증가하는 경우 주기가 scale factor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상기 교환 방법으로 상세히는 1) MeNB 및 SeNB기지국 간 DRX 설정 정보 교환, 2) 송수신 traffic 서비스 type별 pre-define된 DRX parameters configuration 적용, 3) 단말 내부 MeNB 및 SeNB 모뎀간 정보 전송 동작이 포함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세대 통신시스템의 Non-standalone LTE-NR tight interworking 동작시 5G New RAT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과 스몰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따르면, 5G multi-RAT 단말 수신 도면으로 매크로셀 기지국과 스몰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수신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매크로셀과 스몰셀의 계층 구조 네트워크에서는 매크로 셀이 주요한 연결관리(RRC, NAS setup) 및 이동성 지원(Scell addition/release)를 수행하기 때문에 Traffic 송수신 필요시에만 Scell이 간헐적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연 스케줄링 방법은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더 큰 성능 이득을 보일 수 있지만 기존 하나의 layer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서도 적용 및 동작될 수 있다.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Measurement 주기 확장 또는 감소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따르면, 셀 경계에서 단말 Measurement 주기가 가변해 단말의 이동성 성능 보장할 수 있다.
단말 Measurement 주기 확장 또는 감소 제어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은 단말 Measurement 수행 주기 확장(Long Measurement Period) 동작을 수행할 때, 부가 정보를 활용한다. 만약 단말 사용자 부재를 판단하면 이를 기반으로 단말 Measurement 수행 주기 확장(Long Measurement Period)할 수 있다. 또한 상/하향링크 Traffic이 없을 때(또는 있어도 지연 전송 가능 시) 단말 Measurement 주기 확장(Long Period), 또는 Measurement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Handover 성능의 저하 없는 Long DRX를 위해 셀 경계에서 단말 Measurement 주기가 가변하여 이동성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또한 셀 경계에서 단말 Measurement 주기 제어를 위해 단말은 수신 신호를 기반으로 셀 경계인지 판단하여 Measurement 주기를 단축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Long DRX 동작 시에도 이동성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DRX 주기와 Measurement 주기 및 동작 분리하는 방법이다. 즉 기지국은 DRX 주기에 따른 최소한의 Measurement 주기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말이 필요시(즉 사용자 존재 attend, 혹은 traffic 전송 지연 감소)상황시에 최소 measurement 주기 외에 부가적으로 추가 Measurement 동작을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셀 변경 이벤트 발생 시 DRX 중에도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하므로 단말은 Measurement 결과 셀 변경이 예상될 경우(measurement report event trigger등) DRX Sleep 구간이라도 상향링크 전송을 시작하여 지연 및 Handover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상/하향링크 Unattended Traffic에 대한 Aggregation 전송 동작 및 효율적인 Radio Tail 기간 단축으로 단말 연결 대기 시간 감소 동작 그리고 단말 연결 모드(RRC connected state)이내에 Long DRX 동작을 포함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2210), 제어부(2220) 및 저장부(2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22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2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2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20)는 기지국으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230)는 상기 송수신부(22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22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2310), 제어부(2320), 저장부(2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23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3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20)는 단말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330)는 상기 송수신부(23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23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단말 컨텍스트(context)가 유효한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타이머 관련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단말의 모빌리티(mobility) 정보, 트래픽(traffic) 관련 정보,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중인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사용자 비활성화 타이머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비활성화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단말 또는 상기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단말 컨텍스트(context)가 유효한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타이머 관련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단말의 모빌리티(mobility) 정보, 트래픽(traffic) 관련 정보,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중인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사용자 비활성화 타이머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비활성화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단말 또는 상기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단말 컨텍스트(context)가 유효한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타이머 관련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단말의 모빌리티(mobility) 정보, 트래픽(traffic) 관련 정보,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중인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사용자 비활성화 타이머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비활성화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단말 또는 상기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단말 컨텍스트(context)가 유효한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UE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상기 RRC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타이머 관련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단말의 모빌리티(mobility) 정보, 트래픽(traffic) 관련 정보,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부재중인지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70059598A 2016-05-12 2017-05-12 단말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94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5265P 2016-05-12 2016-05-12
US62/335,265 2016-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152A true KR20170128152A (ko) 2017-11-22
KR102294756B1 KR102294756B1 (ko) 2021-08-27

Family

ID=6026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598A KR102294756B1 (ko) 2016-05-12 2017-05-12 단말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87834B2 (ko)
KR (1) KR102294756B1 (ko)
WO (1) WO201719614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84A (ko) * 2018-07-11 2020-01-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0256196A1 (ko) * 2019-06-21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20210058930A (ko) * 2018-09-18 2021-05-24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에너지 절약 신호의 모니터링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WO2022131582A1 (ko) * 2020-12-15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에 의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58961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해서 인액티브 상태에서 사운딩기준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연결재개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58964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해서 인액티브 상태에서 사운딩기준신호 전송을 중지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5127B1 (en) * 2016-05-13 2020-11-25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terminal
US20190289532A1 (en) * 2016-07-13 2019-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CN107734651B (zh) * 2016-08-10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网络设备
MX2019003657A (es) * 2016-09-30 2019-08-05 Ericsson Telefon Ab L M Conciencia del estado de un equipo de usuario, ue, por red central.
US11172444B2 (en) * 2016-10-10 2021-1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ower control and management
WO2018084197A1 (ja) * 2016-11-04 2018-05-1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WO2018086059A1 (en) * 2016-11-11 2018-05-17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control in connected mode, idle mode, and inactive state
CN106604230B (zh) * 2016-12-30 2019-02-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区域配置的方法及装置
GB2561806B (en) 2017-01-05 2021-10-06 Tcl Communication Ltd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ing a radio access network
EP3565298B1 (en) * 2017-01-13 2022-07-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US11012135B2 (en) * 2017-03-16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Sensor-driven systems and methods to activate and deactivate beam scanning
US11564271B2 (en) * 2017-08-11 2023-01-24 Nokia Technologies Oy User equipment category signaling in an LTE-5G configuration
KR102265532B1 (ko) * 2017-10-25 2021-06-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업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US11166336B2 (en) * 2018-02-13 2021-11-02 Apple Inc. Implicit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transitions
US11363628B2 (en) * 2018-02-14 2022-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with pre-allocated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55586B1 (ko) * 2018-03-29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351744B (zh) * 2018-04-04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和通信设备
EP3766290A1 (en) * 2018-06-18 2021-01-20 Google LLC 5g nr fast low-power mode
AU2019316156B2 (en) * 2018-08-03 2022-05-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plane optimizations for 5G cellular internet of things
US11284472B2 (en) 2018-09-26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nagement, access control and mobility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US20210385750A1 (en) * 2018-09-28 2021-1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tate transition processes for wireless device power savings
US11812478B2 (en) * 2018-09-29 2023-11-0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20200137760A1 (en) * 2018-10-31 2020-04-30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using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132378B (zh) * 2018-10-31 2022-02-01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非激活态的增强方法、装置、用户设备及存储介质
US10749566B2 (en) * 2018-11-13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adjustable radio-frequency (RF) front-end
US10694573B1 (en) * 2018-12-14 2020-06-2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of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radio access networks
WO2020198272A1 (en) * 2019-03-28 2020-10-01 Kyocera Corporation Resume failure report for failed attempt to resume connected state from inactive state
WO2020241429A1 (ja) * 2019-05-28 2020-12-03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ユーザ装置
WO2020256420A1 (ko) * 2019-06-21 2020-12-24 주식회사 케이티 소량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CN110320840B (zh) * 2019-07-11 2021-06-22 四川长虹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降低物联网产品电池电量消耗的方法及系统
CN112469012A (zh) * 2019-09-06 2021-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蓝牙通信方法及相关装置
CN111050371A (zh) * 2019-11-27 2020-04-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1937328B2 (en) 2020-03-13 2024-03-19 Apple Inc. Millimeter wave link reliability and power efficiency improvements using sensor input
CN113825186B (zh) * 2020-06-19 2023-08-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离开网络的控制方法、装置和通信设备
WO2022028267A1 (zh) * 2020-08-03 2022-02-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指示数据传输的方法、装置
US11871469B2 (en) 2020-08-10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iggering radio access technology (RAT) fall back at a user equipment (EU) based on data traffic information
EP4165911A4 (en) 2020-09-17 2023-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MANAGING SLEEP DURATION IN A CDRX SESSION
CN114258161B (zh) * 2020-09-22 2024-01-1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中用于小数据传送的新数据到达的方法和设备
WO2022074804A1 (ja) * 2020-10-08 2022-04-14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EP4233394A1 (en) * 2020-10-22 2023-08-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saving mode for power saving groups
CN114449687A (zh) * 2020-10-31 2022-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2104662A1 (zh) * 2020-11-19 2022-05-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请求系统消息块的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4828272A (zh) * 2021-01-28 2022-07-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13469024B (zh) * 2021-06-29 2022-07-08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人脸考勤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00650B1 (ko) 2021-08-10 2023-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보조 정보 기반 전력 절약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573139B1 (ko) 2021-08-12 2023-08-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대역폭부분 전환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4991A1 (en) * 2012-01-27 2013-08-01 Rath Vannithamby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140141782A1 (en) * 2012-11-16 2014-05-22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Wireles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1922B2 (en) 2008-09-22 2013-01-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TE radio link failure determination in DRX mode
EP3570628B1 (en) * 2011-08-12 2020-12-30 BlackBerry Limited Handling a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843496B1 (en) * 2011-08-12 2023-12-06 BlackBerry Limited Suspending a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37841B2 (en) 2011-10-03 2015-09-15 Mediatek Inc. Enhancement for scheduling request triggering based on traffic condition
US9143977B2 (en) 2012-04-13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Background traffic handling in LTE
JP5897216B2 (ja) 2012-08-03 2016-03-30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間欠受信(drx)再設定
US8755318B2 (en) 2012-09-05 2014-06-17 Apple Inc. Synchronizing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device
WO2014056154A1 (en) 2012-10-10 2014-04-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EP2725852B1 (en) 2012-10-29 2016-07-20 Alcatel Lucent Optimization of network signaling load and/or of user equipment power consumption in a packet mobile system
WO2014084675A1 (ko) * 2012-11-29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2978253B1 (en) 2013-03-20 2020-09-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US9480102B2 (en) 2014-03-05 2016-10-25 Apple Inc. Resolving cycle conflicts between multiple RATs sharing a radio of a UE
RU2668071C1 (ru) * 2015-02-06 2018-09-26 Хуаве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мизации сигнализации
CN111866819B (zh) * 2016-02-05 2022-09-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与网络间连接处理方法和装置
WO2017162380A1 (en) * 2016-03-23 2017-09-28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EP3437285B1 (en) * 2016-03-30 2023-10-25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performed by user equipment, method performed by evolved node b, user equipment, and evolved node b
JP6657424B2 (ja) * 2016-04-20 2020-03-04 コンヴィーダ ワイヤレス, エルエルシー モビリティシグナリング負荷低減
US20190141776A1 (en) * 2016-04-28 2019-05-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resuming nas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360561B (zh) * 2016-05-03 2020-09-11 株式会社Kt 改变连接状态的方法及其设备
CN107343299B (zh) * 2016-05-03 2021-01-05 株式会社Kt 用于改变ue的连接状态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4991A1 (en) * 2012-01-27 2013-08-01 Rath Vannithamby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140141782A1 (en) * 2012-11-16 2014-05-22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Wireless Devic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84A (ko) * 2018-07-11 2020-01-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58930A (ko) * 2018-09-18 2021-05-24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에너지 절약 신호의 모니터링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WO2020256196A1 (ko) * 2019-06-21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20200145829A (ko) * 2019-06-21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US11595903B2 (en) 2019-06-21 2023-02-28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ENDC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R (new radio) dual connectivity) and a control method of thereof
WO2022131582A1 (ko) * 2020-12-15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에 의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58961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해서 인액티브 상태에서 사운딩기준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연결재개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58964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해서 인액티브 상태에서 사운딩기준신호 전송을 중지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6553A1 (en) 2019-05-30
US10887834B2 (en) 2021-01-05
WO2017196146A1 (ko) 2017-11-16
KR102294756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756B1 (ko) 단말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64559B2 (en) Method of sharing a UE receiver between D2D and cellular operations based on activity
US10051682B2 (en) Deterministic RRC connections
JP6054462B2 (ja) ネットワーク負荷に基づくアプリケーションデータの延期
KR10182478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불연속 동작을 개시하는 사용자 장비
CN114900858A (zh) 用于无线电通信的方法和设备
JP6145126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ベースバンドレイヤの動作の協調
US10251084B2 (en) Method for multi-rat scheduling and apparatus therefor in system in which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utilized
EP3155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ctivity state of a wireless device hav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apabilities
US11589416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37171A (ko) 사용자 장치, 무선 네트워크 노드 및 통신 처리를 위해 수행된 방법
US20220322227A1 (en) A Technique for Skip Signal Transmission
KR20200071736A (ko) 네트워크 액세스 우선 순위화
US2024017232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2411357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continuo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networks
CN114128398A (zh) 用于控制rrc状态转换的网络节点、终端设备和方法
CN116033394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5884208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7121568A (zh) 功率节省模式(psm)的活动时间持续时间中的新模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