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596A -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 Google Patents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596A
KR20170080596A KR1020177012149A KR20177012149A KR20170080596A KR 20170080596 A KR20170080596 A KR 20170080596A KR 1020177012149 A KR1020177012149 A KR 1020177012149A KR 20177012149 A KR20177012149 A KR 20177012149A KR 20170080596 A KR20170080596 A KR 20170080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wireless device
drx
signaling
low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502B1 (ko
Inventor
피터 푸이 록 앙
팅팡 지
조셉 패트릭 버크
조셉 비나미라 소리아가
스티븐 제이 쉘해머
크리쉬나 키란 무카빌리
존 에드워드 스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19702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5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6/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2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in packet switch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 양태는 제 2 수신기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UE)) 를 사용함으로써 접속 불연속 수신 (C-DRX) 의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기술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개의 수신기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는 하나의 수신기를 저전력 모드에 놓고,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기지국 (BS) 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기를 저전력 모드에서 벗어나게 할 수도 있다. BS는 저전력 DRX (LP-DRX) 모드 또는 비향상된 DRX 모드보다 더 긴 저전력 사이클을 갖는 향상된 DRX 모드에 진입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는 BS 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1차 수신기를 저전력 모드에 놓을 수도 있다. 다른 양태들, 실시형태들, 및 특징들이 또한 청구되고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LOW POWER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A SECOND RECEIVER}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4년 11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075,088호 및 2014년 11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077,058호의 혜택을 주장하는, 2015년 7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4/815,52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모두는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참조에 의해 전부 본원에 분명히 원용된다.
개시 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수신기 (또는 다수의 수신기들) 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불연속 수신 (DRX) 의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특정 실시형태는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위해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레이턴시를 지원할 수 있는 레이턴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도울뿐만 아니라 전력 효율적인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와 같은 다양한 전기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널리 전개되어 있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multiple-access)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 및 TD-SCDMA (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지방, 국가, 지역 그리고 심지어 국제적 수준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었다. 부상하고 있는 전기통신 표준의 일 예는 LTE (Long Term Evolution) 이다. LTE/LTE 어드밴스트는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 에 의해 반포되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UMTS) 이동 표준에 대한 향상 세트이다. 그것은, 다운링크 (DL) 상에서 OFDMA, 업링크 (UL) 상에서 SC-FDMA, 그리고 다중입력다중출력 (MIMO)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낮추고,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고, 다른 개방형 표준과 더 잘 통합됨으로써 이동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더 잘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이동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TE 기술에서 추가 개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LTE"는 일반적으로 LTE 및 LTE 어드밴스트 (LTE-A) 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개선들은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들 및 이들 기술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개요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가 향상된 불연속 수신 (DRX) 모드에 있을 때 제 1 수신기를 저 전력 상태에 놓는 단계 및 제 1 수신기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 제 1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제 1 시그널링에 대해, 제 2 수신기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일반적으로, DRX 오프 (OFF) 지속시간을 시작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제 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DRX 오프 지속시간 동안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는 단계, 및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고 DRX 오프 지속시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은 기지국 (BS) 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DRX 파라미터들은 제 1 수신기가 활성인 DRX 온 (ON) 지속시간 및 제 1 수신기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DRX 오프 지속시간을 정의하는, 상기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제 2 수신기에 의한 검출을 위해 DRX 오프 지속시간 동안 무선 디바이스에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제 1 시그널링은 제 1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은 기지국 (BS) 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DRX 오프 지속시간을 시작하고 DRX 오프 지속시간 동안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실질적으로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 장치,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다음의 설명을 검토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실시형태들이 당업자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특징들은 특정 실시형태들 및 이하의 도면들에 관하여 논의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들은 본원에 논의된 유리한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이 특정의 유리한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 논의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이 또한, 여기에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아래에서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방법 실시형태들로서 논의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야 한다.
본 개시의 위에서 언급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보다 특정한 설명은 양태들을 참조로 이루질 수도 있으며, 그 양태들 중 일부가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다. 하지만,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특정 통상적인 양태들만을 예시할 뿐이고, 본 설명은 다른 동일 효과의 양태들을 허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에 따라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가 중첩 커버리지를 갖는 예시적인 배치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에 따른 사용자 장비 (UE)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3 은 LTE 에서 DL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LTE 에서 UL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사용자 및 제어 평면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진화된 노드 B (evolved Node B) 및 사용자 장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불연속 수신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UE들의 예시적인 타임라인들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S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10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11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BS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12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13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14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 및 기지국의 예시적인 호 흐름을 예시한다.
현재 (예를 들어, 4G) 무선 시스템들은 UE들의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으로 지칭되는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DRX 에서, UE는 주기적으로 UE의 수신기를 스위치 온 및 오프한다. UE는 UE 의 수신기가 파워 오프되어 있는 시간 동안 전력을 보존한다. UE는 UE의 서빙 BS에 알려진 사이클 상에서 UE의 수신기를 스위치 온 및 오프하고, BS는 UE의 수신기가 파워 온될때 UE 에 신호를 송신한다. BS 또는 UE가 연장된 기간 (extended period of time) 동안 통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DRX 사이클은 중단될 수도 있고 UE의 수신기는 긴 지속시간 동안 활성화된다. DRX를 사용할 때, DRX 사이클의 길이는 전반적인 시스템 레이턴시에 대해 현저히 기여할 수 있다. 즉, BS가 UE에 대한 DRX 사이클의 일부로서 UE의 수신기가 스위치 온되기를 대기하는 시간은, 데이터가 소스로부터 목적지 UE 로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데 필요한 시간 중 상당 부분 또는 심지어 대부분일 수도 있다.
미래 (예 : 5G) 무선 시스템은 보다 짧은 레이턴시를 요구할 수도 있고, 이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그러한 무선 시스템에서 보다 짧은 DRX 사이클을 사용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그러나, 짧은 DRX 사이클로 동작하는 UE 내 수신기는 더 자주 (예를 들어, DRX 온 지속시간에서) 온 될 것이므로, 더 긴 DRX 사이클에 의한 것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하여, UE의 배터리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을 이용할 수 있는 현재 및 미래의 무선 시스템들에 관하여, 이하 논의되는 샘플 시나리오들은 현재 존재하는 시스템들 (예를 들어, 2G/3G/4G) 을 참조하여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들은 논의 목적들을 위해 행해진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많은 다른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샘플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DRX 하에서 동작하는 UE는 UE 가 UE의 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할 때 상위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등) 프로토콜 계층들에서 하나 이상의 접속들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 DRX 동작 모드는 접속 불연속 수신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UE는 C-DRX 사이클의 온 지속시간 동안 제어 채널 및 다른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표시자) 를 청취 (listen for) 하기 위해 UE의 1차 수신기보다 낮은 전력 소비를 갖는 2차 수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서, UE는 C-DRX 동작 동안 UE의 전체 전력 (full-power) (예를 들어, 1 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 (예를 들어, "딥 슬립") 에 놓고,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 "웨이크 업" (wake-up) 및 다른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동반 저전력 저복잡성 수신기 (companion low-power low-complexity receiver) 를 턴 온 (turn on) 한다.
상위 프로토콜 계층 접속 없이 셀에 캠프 온된 (camped on) UE는 유휴 모드 불연속 수신 (I-DRX) 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UE는 I-DRX 사이클의 온 지속시간 동안 페이징 표시자 및 다른 신호를 청취하기 위해 UE의 1차 수신기보다 낮은 전력 소비를 갖는 2차 수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서, UE는 I-DRX 동작 동안 UE의 전체 전력 (예를 들어, 1 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 (예를 들어, "딥 슬립") 에 놓고,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표시자들, "웨이크 업" 및 다른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동반 저전력 저복잡성 수신기를 턴 온한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된 것이며 본원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개념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일부 사례에서, 잘 알려진 구조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제, 전기통신 시스템들의 여러 양태들이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들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 ("엘리먼트들" 로 총칭된다) 에 의해,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 도면들에서 예시될 것이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에 달려 있다.
예로써,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처리 시스템"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PLD), 상태 머신, 주문형 반도체 (ASIC), 게이트(gated)/트랜지스터/멤리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 및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처럼,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는, 입력 데이터가 추가 처리를 위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게 조작/변형되도록 데이터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내부 아키텍처로 구성된다. 처리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펌웨어, 루틴, 서브루틴, 오브젝트, 실행물 (executable), 실행의 스레드, 프로시저, 함수 (function)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폭넓게 해석되야 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인코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비한정적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PCM (phase change memory), 플래시 메모리,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laser disc), 광 디스크 (optical disc),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 disc) 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상기의 조합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태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전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UE (110) 는 1차 수신기 및 2차 수신기를 가질 수 있고, 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 (예를 들어, 파워 오프된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 에 둘 수도 있고, 2차 수신기를 사용하여, UE가 (예를 들어, 1차 수신기를 파워업하거나 또는 활성화시킴으로써)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해야 함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UE (110) 와 같은 UE에서, 1차 수신기는 활성인 동안 100mW 이상의 전력을 소비할 수도 있고, 저전력 상태에 놓여 있을 때, 1차 수신기는 5-10mW의 전력을 소비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시그널링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2차 수신기는 1mW 미만의 전력을 소비할 수도 있다. 제 2 예로서, eNB (122) 또는 기지국 (132) 은 UE가 UE의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해야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UE (110) 에 송신할 수도 있다.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 (120) 는 LTE를 지원할 수도 있고,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진화된 노드 B (eNB) (122)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eNB 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용어 "셀" 은, eNB 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 (S-GW) (124)는 E-UTRAN (120) 과 통신할 수도 있고,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이동성 앵커링, 패킷 버퍼링, 네트워크 트리거된 서비스의 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 (126) 는 E-UTRAN (120) 및 서빙 게이트웨이 (124) 와 통신할 수도 있고 이동성 관리, 베어러 관리, 페이징 메시지의 분배, 보안 제어, 인증, 게이트웨이 선택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LTE에서의 네트워크 엔티티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 (E-UTRA) 및 진화된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 전체 설명"이라는 제목의 3GPP TS 36.300 에 기술되어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130) 는 GSM 을 지원할 수도 있고, UE 에 대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 (132)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교환국 (MSC) (134) 은 RAN (130) 과 통신할 수도 있고, MSC (134) 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UE들에 대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고, 회선 교환 호출에 대한 라우팅을 제공하고, 이동성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연동 기능 (inter-working function; IWF) (140) 은 (예를 들어, 1xCSFB에 대해) MME (126) 와 MSC (134)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E-UTRAN (120), 서빙 게이트웨이 (124), 및 MME (126) 는 LTE 네트워크 (102) 의 일부일 수도 있다. RAN (130) 및 MSC (134) 는 GSM 네트워크 (104) 의 일부일 수도 있다. 간략화를 위해, 도 1은 LTE 네트워크 (102) 및 GSM 네트워크 (104) 내의 일부 네트워크 엔티티만을 도시한다. LTE 및 GSM 네트워크는 또한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무선 네트워크가 주어진 지리적 영역에 전개될 수도 있다. 각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 RAT를 지원할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주파수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RAT는 무선 기술, 에어 인터페이스 등으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주파수는 또한, 캐리어, 주파수 채널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주파수는 상이한 RAT들의 무선 네트워크들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지리적 영역에서 단일 RAT를 지원할 수도 있다.
UE (110) 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도 있으며, 또한 이동국, 단말,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또는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110)는 셀룰러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차량 컴포넌트, 및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많은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파워 업 시에, UE (110) 는 통신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검색할 수도 있다. 하나보다 많은 무선 네트워크가 검출되면, 어느 캐리어가 각 네트워크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각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하여 검출된 네트워크들을 우선순위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셀 폰 서비스를 위해 캐리어 X를 지불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셀 폰은 다른 것들에 비해 캐리어 X 네트워크를 선호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셀 폰은 GSM 네트워크에 비해 LTE 네트워크를 선호할 수도 있다. 여전히 이 예에서, 셀 폰은 캐리어 X의 LTE 네트워크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캐리어 X의 비-LTE 네트워크에 두 번째로 높은 우선 순위를, 다른 캐리어의 LTE 네트워크에 세 번째로 높은 우선 순위를, 그리고 다른 캐리어들의 비-LTE 네트워크들에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도 있다.
파워 업시에 하나보다 많은 무선 네트워크를 검출하는 UE (110) 는 UE (110) 에 서빙할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선택된 네트워크는 UE (110) 의 서빙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110) 는 필요하다면 서빙 네트워크에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UE (110) 는 서빙 네트워크와 활성적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접속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통신이 UE (110) 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다면, UE (110) 는 유휴 모드에서 동작하고 서빙 네트워크 상에 캠프 온할 수도 있다.
UE (110) 는 유휴 모드 동안 다수의 RAT들 및/또는 다수의 주파수들의 셀들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LTE의 경우, UE (110) 는 우선 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캠프 온할 주파수 및 RAT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우선 순위 리스트는 주파수 세트, 각 주파수와 연관된 RAT 및 각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 리스트는 3개의 주파수 X, Y 및 Z를 포함할 수도 있다. 주파수 X는 LTE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도 있고, 주파수 Y는 GSM 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도 있고, 주파수 Z는 또한 GSM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주파수 X 및 주파수 Y에 대한 우선 순위들 사이의 우선 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우선 순위 리스트는 임의의 RAT 세트에 대한 임의의 수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도 있고 UE 위치에 대해 특정적일 수도 있다. UE (110) 는 예를 들어 상기 예에 의해 주어진 바와 같이, LTE 주파수들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이고 다른 RAT들을 위한 주파수들이 보다 낮은 우선 순위인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정의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경우, LTE를 선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 (110) 는 다음과 같이 유휴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UE (110)는 정상 시나리오에서 "적합" 셀 또는 긴급 시나리오에서 "허용가능" 셀을 발견할 수 있는 모든 주파수/RAT를 식별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적합"및 "허용가능"은 LTE 표준에 명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UE (110)는 모든 식별된 주파수/RAT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주파수/RAT에 캠프 온할 수도 있다. UE (110)는 (i) 주파수/RAT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서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을 때까지 또는 (ii)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다른 주파수/RAT가 이 임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 주파수/RAT 상에 캠프 온된 채로 남을 수도 있다. 유휴 모드에서의 UE (110) 에 대한 이러한 동작 거동은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진화된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 (E-UTRA); 유휴 모드에서의 사용자 장비 (UE) 절차"라는 제목의 3GPP TS 36.304 에 기재되어 있다.
UE (110) 는 LTE 네트워크 (102) 로부터 패킷 교환 (PS)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가능할 수도 있고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LTE 네트워크에 캠프 온할 수도 있다. LTE 네트워크 (102) 는 VoIP (voice-over-internet protocol) 에 대한 지원이 제한적이거나 또는 아예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종종 LTE 네트워크의 조기 전개에 대한 경우일 수도 있다. 제한된 VoIP 지원으로 인해, UE (110) 는 음성 호출을 위해 다른 RAT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 (transfer) 될 수도 있다. 이 전환은 회선 교환 (CS) 폴백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UE (110)는 1xRTT, WCDMA, GSM 등과 같은 음성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RAT로 전환될 수도 있다. CS 폴백을 갖는 호 발신 (call origination) 에 대해, UE (110) 는 초기에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는 소스 RAT (예컨대, LTE) 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다. UE는 이 무선 네트워크로 음성 호출을 발신할 수도 있으며, 음성 호출을 지원할 수 있는 타겟 RAT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환될 수도 있다. UE를 타겟 RAT로 전환하기 위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다양한 절차들, 예를 들어 리다이렉션을 갖는 접속 해제, PS 핸드오버 등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UE (110), eNB (122) 및 MME (126) 의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LTE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LTE 용어 및 장비를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양태들은 다른 네트워크 기술에도 적용 가능하다. UE (110) 에서, 인코더 (212) 는 업링크 상에서 전송될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인코더 (212) 는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 (예를 들어, 포맷팅, 인코딩 및 인터리빙) 할 수도 있다. 변조기 (Mod) (214) 는 인코딩된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추가로 처리 (예를 들어, 심볼 매핑 및 변조) 하고 출력 샘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기 (TMTR) (222) 는 출력 샘플들을 조정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상향변환) 하고 안테나 (224) 를 통해 eNB (122) 로 송신될 수도 있는 업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안테나 (224) 는 eNB (122) 및/또는 다른 eNB/기지국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기 (RCVR) (226) 는 안테나 (224) 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정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주파수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 하고 입력 샘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복조기 (Demod) (216) 는 입력 샘플들을 처리 (예를 들어, 복조) 하고 심볼 추정치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디코더 (218) 는 심볼 추정치를 처리 (예를 들어,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하고 UE (110) 에 전송되는 디코딩된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인코더 (212), 변조기 (214), 복조기 (216) 및 디코더 (218) 는 모뎀 프로세서 (210)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 유닛은 UE (110) 가 통신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RAT (예를 들어, LTE, 1xRTT 등) 에 따라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230) 는 UE (110) 에서 동작을 지시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230) 는 또한, 본원에 기재된 기법들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230) 는 도 8에 도시된 동작들 (800) 및 도 10에 도시된 동작들 (1000) 을 수행하기 위해 UE (110) 에 의한 처리를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메모리 (232) 는 UE (110) 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 (232) 는 또한 우선 순위 리스트 및 구성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eNB (122) 에서, 송신기/수신기 (238) 는 UE (110) 및 다른 UE들과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240) 는 UE들과의 통신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240) 는 도 9에 도시된 동작들 (900) 및 도 11에 도시된 동작들 (1100) 을 수행하기 위해 eNB (122) 에 의한 처리를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 (110) 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는 안테나 (236) 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기 (238) 에 의해 조정되며, 제어기/프로세서 (240) 에 의해 추가 처리되어, UE (110) 에 의해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복원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트래픽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는 제어기/프로세서 (240) 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고 송신기 (238) 에 의해 조정되어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이 다운링크 신호는 안테나 (236) 를 통해 UE (110) 및 다른 UE들로 송신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240) 는 또한, 본원에 기재된 기법들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240) 는 또한 eNB (122) 에 의한 처리를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메모리 (242) 는 기지국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 (Comm) 유닛 (244) 은 MME (126)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MME (126)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250) 는 UE들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250) 는 또한 MME (126) 에 의한 처리를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메모리 (252) 는 MME (126) 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 유닛 (254) 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양태들에 따르면, UE (110) 는 다수의 RAT (예를 들어, 동시 RAT) (CRAT) 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CRAT UE는 예를 들어 TDM의 관점에서 2개의 RAT들 사이의 업 링크 송신을 공유할 수도 있다. CRAT UE는 다운링크 송신들의 이중 수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양태들에 따르면, UE (110) 는 단일 무선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이러한 UE는 다수의 RAT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2는 UE (110), eNB (122) 및 MME (126) 의 설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각 엔티티는 임의의 수의 송신기, 수신기, 프로세서, 제어기, 메모리, 통신 유닛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도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UE (110) 는 단일 TMTR (222) 및 단일 RCVR (226) 을 포함한다. 양태들에 따르면, UE (110) 는 단일 TMTR 및 이중 RCVR 을 포함할 수도 있고, 따라서 CRAT를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110) 는 2개의 RAT들간의 업링크 송신을 공유할 수도 있고, 이중 다운링크 수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양태들에 따르면, UE는 CDMA2000 1xRTT 또는 LTE 및 GMS 를 갖는 CRAT를 지원할 수도 있다.
다수의 RAT 통신을 위해 단일 송신기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하나의 도전은, 때때로, 양쪽 모두의 RAT 들에서 스케줄링된 업링크 송신들 간에 충돌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충돌이 업링크 송신에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업링크 송신 자체는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으로부터 비롯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된 LTE 다운링크 송신들에 대해, UE는 그것이 데이터를 수신했음을 확인하기 위해 업링크에서 ACK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주어진 송신 기간 동안 양쪽 모두의 RAT 들에서 UE가 업링크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경우에, 다수의 RAT 를 갖는 Rx (예를 들어, 동시 Rx) 가 또한 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HDR (Simultaneous Hybrid Dual Receivers) 와 유사한 방식으로 2개의 Rx (예를 들어, 2개의 개별 안테나를 갖는 2개의 개별 수신 체인) 가 GSM 또는 CDMA2000 1xRTT 및 LTE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GSM 또는 CDMA2000 1xRTT 수신이 필요하지 않을 때, LTE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및 다이버시티를 위해 2개의 수신 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다. GSM 또는 CDMA2000 1xRTT 수신이 필요할 때, 하나의 Rx는 GSM 또는 CDMA2000 1xRTT로 튜닝될 수도 있고, 나머지 Rx는 LTE 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단지 하나의 수신 체인만이 LTE를 위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UE는 이중 계층 송신을 위한 eNB 스케줄링을 피하기 위해 페이크 (fake) 채널 품질 표시자 (CQI) 를 보고할 수도 있다.
다수의 RAT들을 갖는 통신을 위해 단일 송신기를 이용하는 것에 존재하는 도전은, 때때로, 양쪽 모두의 RAT 들에서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송신들 간에 충돌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UE (110) 는 단일 TMTR (222) 및 단일 RCVR (226) 을 포함하고, 따라서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단일 RAT,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LTE 네트워크 (102) 또는 GSM 네트워크 (104) 와만 통신할 수도 있다.
UE (110) 와 같은 다수의 RAT (예를 들어, 1xRTT, GSM 및 LTE) 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단일 무선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는 때때로 각각의 지원되는 RAT에 그의 무선부를 튜닝시키고 그 RAT 의 BS 로부터 통신 (예를 들어, 페이지) 를 청취한다. 페이지 또는 다른 통신을 검출하고 수신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소정 기간 (예를 들어, 80ms) 동안 그의 무선부를 RAT에 튜닝시킬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 가능한 기간 (예를 들어, 1.28 초, 2.56 초 등) 으로, 주기적으로 그의 무선부를 특정 RAT에 튜닝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LTE 에서 DL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 (300) 이다. 프레임 (10 ms) 은 0 내지 9 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 동일하게 사이징된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 개의 연속 시간 슬롯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2개의 시간 슬롯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시간 슬롯은 리소스 블록을 포함한다. 리소스 그리드는 다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분할된다. LTE 에서,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12 개의 연속되는 서브캐리어들, 그리고, 각각의 OFDM 심볼에서 표준 순환 전치에 대해, 시간 도메인에서 7 개의 연속되는 OFDM 심볼들, 또는 84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확장 순환 전치에 대해, 리소스 블록은 시간 도메인에서 6개의 연속 OFDM 심볼들을 포함하고 72 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갖는다. R (302), R (304) 로 표시된 리소스 엘리먼트들 중의 일부는 DL 기준 신호 (DL-RS) 를 포함한다. DL-RS 은 (또한 공통 RS 로도 지칭되는) 셀 특정 RS (CRS) (302) 및 UE-특정 RS (UE-RS) (304) 을 포함한다. UE-RS (304) 은, 대응하는 물리적 DL 공유 채널 (PDSCH) 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들 상에서만 송신된다. 각각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에 의해 반송되는 비트들의 수는 변조 스킴에 의존한다. 이리하여, UE 가 수신하는 리소스 블록들이 더 많고 변조 스킴이 더 높을수록, UE 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가 더 높아진다.
LTE 에서, eNB 는 eNB 에서의 각각의 셀에 대해 1차 동기화 신호 (PSS) 및 2차 동기화 신호 (SSS) 를 전송할 수도 있다. 1차 및 2차 동기화 신호들은, 표준 순환 전치 (CP) 를 갖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 0 및 5 의 각각에서, 심볼 기간 (symbol period) 들 6 및 5 에서 각각 전송될 수도 있다. 동기화 신호들은 셀 검출 및 포착을 위해 UE들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eNB 는 서브프레임 0 의 슬롯 1 에서의 심볼 기간들 0 내지 3 에서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을 전송할 수도 있다. PBCH 는 소정 시스템 정보를 반송할 수도 있다.
eNB 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 기간에 있어서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 (PCFICH) 을 전송할 수도 있다. PCFICH 는 제어 채널들에 대해 사용되는 심볼 기간들의 수 (M) 를 전달할 수도 있고, 여기서 M 은 1, 2 또는 3 과 같을 수도 있고 서브프레임간에 변화될 수도 있다. M 은 또한, 예를 들면 10 개 미만의 리소스 블록들을 갖는 작은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4 와 같을 수도 있다. eNB 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 1 의 M 심볼 주기들에 있어서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 (PHICH)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을 전송할 수도 있다. PHICH 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반송할 수도 있다. PDCCH 는 UE들에 대한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 및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반송할 수도 있다. eNB 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 있어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을 전송할 수도 있다. PDSCH 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반송할 수도 있다.
eNB 는 eNB 에 의해 사용된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1.08 MHz 에서 PSS, SSS, 및 PBCH 를 전송할 수도 있다. eNB 는 이들 채널들이 전송되는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PCFICH 및 PHICH 를 전송할 수도 있다. eNB 는 시스템 대역폭의 소정 부분들에서 PDCCH 를 UE들의 그룹들로 전송할 수도 있다. eNB 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 부분들에서 PDSCH 를 특정 UE들로 전송할 수도 있다. eNB 는 PSS, SSS, PBCH, PCFICH 및 PHICH 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모든 UE들에 전송할 수도 있고, PDCCH 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 UE들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한, PDSCH 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 UE들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각각의 리소스 엘리먼트 (RE) 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를 커버할 수도 있고, 실수 또는 복소 값일 수도 있는 하나의 변조 심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참조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들 (REG들) 내에 배열될 수도 있다. 각각의 REG 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 4 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PCFICH 는 심볼 기간 0 에서, 주파수에 걸쳐서 대략 동일하게 이격될 수도 있는 4 개의 REG들을 차지할 수도 있다. PHICH 는 하나 이상의 구성가능한 심볼 기간들에서, 주파수에 걸쳐 분산 (spread) 될 수도 있는 3 개의 REG들을 차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HICH 에 대한 3 개의 REG들은 모두 심볼 기간 0 에 속할 수도 있거나, 또는 심볼 기간들 0, 1 및 2 에 분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DCCH 는 제 1 의 M 심볼 기간들에서, 이용가능한 REG들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는 9, 18, 36 또는 72 개의 REG들을 차지할 수도 있다. REG들의 오직 소정 조합들만이 PDCCH 에 대해 허용될 수도 있다. 본 방법들 및 장치들의 양태들에서, 서브프레임은 하나보다 많은 PDCCH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 는 PHICH 및 PCFICH 에 사용되는 특정 REG들을 알 수도 있다. UE 는 PDCCH 에 대한 REG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탐색할 수도 있다. 탐색할 조합들의 수는 통상적으로 PDCCH 에 대해 허용된 조합들의 수보다 적다. eNB 는, UE 가 탐색할 조합들 중 어느 것에서 PDCCH 를 UE 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LTE 에서 UL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 (400) 이다. UL 에 대해 이용가능한 리소스 블록들은 데이터 섹션 및 제어 섹션으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제어 섹션은 시스템 대역폭의 2개의 에지들에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성가능한 사이즈를 가질 수도 있다. 제어 섹션에서의 리소스 블록들은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UE들에 할당될 수도 있다. 데이터 섹션은 제어 섹션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리소스 블록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UL 프레임 구조는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섹션을 초래하며, 이 데이터 섹션은 데이터 섹션에서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모두가 단일 UE 에 할당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UE 에는 제어 정보를 eNB 로 송신하기 위해 제어 섹션에서의 리소스 블록들 (410a, 410b) 이 할당될 수도 있다. UE 에는 또한, 데이터를 eNB 로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섹션에서의 리소스 블록들 (420a, 420b) 이 할당될 수도 있다. UE 는 물리적 UL 제어 채널 (PUCCH) 에서의 제어 정보를 제어 섹션에서의 할당된 리소스 블록들 상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UE 는 물리적 UL 공유 채널 (PUSCH) 에서 데이터만 또는 데이터와 제어 정보 양자 모두를 데이터 섹션에서 할당된 리소스 블록들 상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UL 송신은 서브프레임의 슬롯들 양자 모두에 걸칠 수도 있고, 주파수에 걸쳐 호핑 (hopping) 할 수도 있다.
리소스 블록들의 세트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PRACH) (430) 에서, 초기 시스템 액세스를 수행하고 UL 동기화를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PRACH (430) 는 랜덤 시퀀스를 반송하고, UL 데이터/시그널링을 반송할 수 없다. 각각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6개의 연속 리소스 블록들에 대응하는 대역폭을 차지한다. 시작 주파수는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된다. 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송신은 소정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들로 제한된다. PRACH 에 대해서는 주파수 호핑이 없다. PRACH 시도가 단일 서브프레임 (1 ms) 에서 또는 수개 인접 서브프레임의 시퀀스에서 수행되고, UE 는 프레임 (10 ms) 당 단일 PRACH 시도만을 행할 수 있다.
도 5 는 LTE 에서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 (500) 이다. UE 및 eNB 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3 개의 계층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 으로 도시된다. 계층 1 (L1 계층) 는 최하위 계층이고 다양한 물리적 계층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한다. L1 계층은 물리적 계층 (506) 으로 본원에서 지칭될 것이다. 계층 2 (L2 계층) (508) 은 물리적 계층 (506) 보다 위에 있고 물리적 계층 (506) 보다 위의 UE 와 eNB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 (508) 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MAC) 서브계층 (510), 무선 링크 제어 (RLC) 서브계층 (512),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514) 서브계층을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 측의 eNB 에서 터미네이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UE 는, 네트워크 측의 PDN 게이트웨이 (118) 에서 터미네이팅되는 네트워크 계층 (예를 들어, IP 계층), 및 접속의 타단 (예를 들어, 원단 UE, 서버 등) 에서 터미네이팅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하는 L2 계층 (508) 보다 위의 여러 상위 계층들을 가질 수도 있다.
PDCP 서브계층 (514) 은 상이한 무선 베어러들과 논리 채널들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PDCP 서브계층 (514) 은 또한, 무선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을 위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을 암호화하는 것에 의한 보안, 및 eNB 들간에 UE 를 위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서브계층 (512) 는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의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손실 데이터 패킷들의 재송신, 및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 (HARQ) 에 기인한 아웃 오브 오더 (out-of-order) 수신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리오더링을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 (510) 은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 (510) 은 또한, UE 들 중 하나의 셀에서 다양한 무선 리소스들 (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들) 을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서브계층 (510) 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제어 평면에서, UE 및 eNB 를 위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제어 평면을 위한 헤더 압축 기능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 물리적 계층 (506) 및 L2 계층 (508) 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어 평면은 또한, 계층 3 (L3 계층) 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서브계층 (516) 을 포함한다. RRC 서브계층 (516) 은 무선 리소스들 (즉, 무선 베어러들) 을 획득하는 것 및 eNB 와 UE 사이에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하위 계층들을 구성하는 것을 담당한다.
도 6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UE (650) 와 통신하는 eNB (610) 의 블록도이다. DL 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이 제어기/프로세서 (675) 에 제공된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L2 계층의 기능성을 구현한다. D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리오더링,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간의 멀티플렉싱, 및 다양한 우선순위 메트릭에 기초한 UE (650) 에의 무선 리소스 할당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 패킷들의 재송신, 및 UE (650) 에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TX 프로세서 (616) 는 L1 계층 (즉, 물리적 계층) 을 위한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한다. 신호 처리 기능들은 UE (650) 에서 순방향 에러 정정 (FEC) 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그리고 다양한 변조 스킴들 (예를 들어, 2진 위상 편이 키잉(BPSK), 직교 위상-편이 키잉 (QPSK), M 위상 편이 키잉 (M-PSK), M-직교 진폭 변조 (M-QAM)) 에 기초한 신호 성상도로의 맵핑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코딩 및 변조된 심볼들은 병렬 스트림들로 스플리팅된다. 다음으로, 각각의 스트림은 OFDM 서브캐리어로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파일롯) 으로 멀티플렉싱되고, 다음으로 역 고속 푸리어 변환 (IFFT) 을 이용하여 함께 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적 채널을 생성한다. OFDM 스트림은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되어 다수의 공간적 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채널 추정기 (674) 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공간적 처리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코딩 및 변조 스킴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는 UE (650) 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및/또는 채널 상태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별개의 송신기 (618TX) 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 (620) 에 제공된다. 각각의 송신기 (618TX) 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한다.
UE (650) 에서, 각각의 수신기 (654RX) 는 각각의 안테나 (652)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654RX) 는 RF 캐리어 상에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수신기 (RX) 프로세서 (656) 에 제공한다. 수신 (RX) 프로세서 (656) 는 L1 계층의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 (656) 는 UE (650) 를 위해 예정된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기 위해 정보에 대한 공간 처리를 수행한다.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UE (650) 를 위해 예정되면, 그것들은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RX 프로세서 (656) 에 의해 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RX 프로세서 (656) 는 고속 푸리어 변환 (FFT) 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OFDM 심볼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eNB (610) 에 의해 송신되는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복원 및 복조된다. 이들 연판정 (soft decision) 들은 채널 추정기 (658) 에 의해 계산되는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연판정들은, 물리적 채널 상의 eNB (610) 에 의해 원래 송신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 (659) 에 제공된다.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L2 계층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660)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660)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에서, 제어/프로세서 (659)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처리를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다음으로, 상위 계층 패킷들이, L2 계층보다 위에 있는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싱크 (662) 에 제공된다. 다양한 제어 신호들이 또한, L3 처리를 위해 데이터 싱크 (66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확인응답 (acknowledgement; ACK) 및/또는 부정확인응답 (negative acknowledgement; NAC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UL 에서, 데이터 소스 (667) 는 제어기/프로세서 (659) 에 상위 계층 패킷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소스 (667) 는 L2 계층 보다 위에 있는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나타낸다. eNB (610) 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세그먼트화 및 리오더링, 그리고 eNB (610) 에 의한 무선 리소스 할당에 기초한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멀티플렉싱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평면과 제어 평면에 대해 L2 계층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 (659) 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 패킷들의 재송신, 및 eNB (610) 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추정기 (658) 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 또는 eNB (610) 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스킴들을 선택하고 공간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TX 프로세서 (668)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 (668) 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별개의 송신기들 (654TX) 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 (652) 에 제공된다. 각각의 송신기 (654TX) 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한다.
UL 송신은 UE (650) 에서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eNB (610) 에서 처리된다. 각각의 수신기 (618RX) 는 각각의 안테나 (620)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618RX) 는 RF 캐리어 상에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RX 프로세서 (670) 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 (670) 는 L1 계층을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L2 계층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676)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676)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에서, 제어/프로세서 (675)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처리를 제공하여 UE (650) 로부터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이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ACK 및/또는 NACK 를 이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제어기/프로세서 (675, 659) 는 eNB (610) 및 UE (650) 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할 수도 있다. UE (650)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659)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예컨대 도 8의 동작들 (800) 및/또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eNB (610)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675)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을 위한 동작들 및/또는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도 있다. 양태들에서, 도 6에 도시된 임의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이 예시적인 동작들 (800) 및/또는 여기에 기재된 기술들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C-DRX 모드 동작
스마트 폰의 인기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전력 소비 및 시그널링 수요와 같은 무선 시스템 설계에 대한 새로운 과제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작은 비율의 통화 시간에 대해서만 어웨이크 (awake) 되는 대신에, 스마트 폰은 훨씬 더 자주 어웨이크된다. 이메일 또는 소셜 네트워킹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20 ~ 30 분마다 "킵 얼라이브" (keep-alive)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대개, 현저히 더 많은 양의 제어 시그널링을 수반할 수도 있는 많은 작고 버스트한 데이터 송신을 사용한다. 일부 시스템 레벨 평가는 트래픽 채널 제한 외에도 식별된 제어 채널 제한을 갖는다.
접속 불연속 수신 (C-DRX) 은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를 줄이고, 이에 의해 이동 디바이스의 배터리를 보존하기 위해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기술을 말한다. 이동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는 C-DRX 사이클의 온 지속시간이라 불리는 이동 디바이스의 수신기가 턴 온되는 (예를 들어, 접속된 상태에 있는),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는 페이즈들을 협상한다. 오프 지속시간으로 불리는 다른 시간 동안, 이동 디바이스는 그의 수신기를 턴 오프하고 저전력 상태에 진입한다. 일반적으로 이 목적을 위해 프로토콜 내에 설계된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송신은 어드레스 세부 사항을 포함하는 헤더를 갖는 슬롯으로 구조화될 수도 있으므로, 디바이스 각 슬롯에서 이들 헤더를 청취하여 송신이 디바이스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기는 헤더를 수신하기 위해 각 슬롯의 시작에서만 활성화되어, 배터리 수명을 보존할 수도 있다. 다른 DRX 기술은 폴링 (polling) 을 포함하는데, 이에 의해 디바이스가 주어진 양의 시간 동안 대기 상태에 놓여지고 다음으로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비콘이 전송되어 그것을 기다리고 있는 임의의 데이터가 있는지를 나타낸다.
LTE에서, C-DRX는 통상적으로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어 (구성) 된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은 통상적으로 모든 스케줄링 및 페이징 정보가 송신될 때, UE의 수신기가 특정 기간 동안 동작하는 사이클을 설정할 수도 있다. UE가 C-DRX 동작에 처음 진입할 때, UE 는 구성된 기간 동안 비활동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UE는 비활동 타이머가 실행되는 동안 그의 수신기를 턴 온된 채로 유지하고, UE가 이 시간 동안 어떠한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UE는 비활동 타이머를 구성된 기간으로 리셋하고 그의 수신기를 온으로 유지할 것이다. 서빙 진화 노드 B (eNB) 는 UE의 수신기가 완전히 턴 오프되어 아무것도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도 있다. C-DRX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 UE의 수신기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대개 활성일 수도 있다. C-DRX 동안, UE의 수신기는 턴 오프될 수도 있다. LTE에서, C-DRX는 활성 모드보다 더 긴 사이클 시간을 갖는 RRC_Idle 상태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E에 대해 다음 2개의 RRC 상태가 존재한다 : (1) 무선이 활성이 아니지만 식별자 (ID) 가 UE에 할당되고 네트워크에 의해 추적되는 RRC_Idle; (2) eNB에 컨텍스트를 갖는 활성 무선 동작을 갖는 RRC_Connected.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전력 불연속 수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 및 장치
현재 (예를 들어, 4G) 무선 시스템들에서, C-DRX 사이클의 길이는 전반적인 시스템 레이턴시에 현저히 기여할 수 있다. 미래 (예 : 5G) 무선 시스템은 보다 짧은 레이턴시를 요구할 수도 있고, 이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그러한 무선 시스템에서 보다 짧은 C-DRX 사이클을 사용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그러나, 짧은 C-DRX 사이클로 동작하는 UE 내 수신기는 더 자주 (예를 들어, C-DRX 온 지속시간에서) 온 될 것이므로, 더 긴 C-DRX 사이클에 의한 것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하여, UE의 배터리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UE는 C-DRX 사이클의 온 지속시간 동안 제어 채널 및 다른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표시자) 를 청취하기 위해 UE의 1차 수신기보다 낮은 전력 소비를 갖는 2차 수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서, UE는 C-DRX 동작 동안 UE의 전체 전력 (예를 들어, 1 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 (예를 들어, "딥 슬립") 에 놓고,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들, "웨이크 업" 및 다른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동반 저전력 저복잡성 수신기를 턴 온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UE는 저전력 소비를 갖는 2차 수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 수신기의 전력 소비는 활성인 동안 1mW 이하일 수 있으며, 이는 활성인 동안 100mW 이상의 1차 수신기의 전력 소비보다 현저히 더 낮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UE는 유휴 모드 불연속 수신 (I-DRX) 사이클의 온 지속시간 동안 페이징 표시자 및 다른 신호를 청취하기 위해 낮은 전력 소비 (예를 들어, 1 mW 미만) 를 갖는 2차 수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서, UE는 I-DRX 동작 동안 UE의 전체 전력 (예를 들어, 1 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 (예를 들어, "딥 슬립") 에 놓고, 전체 전력 수신기는 100 mW 미만 (예를 들어, 10 mW) 의 전력을 소비하고, UE 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표시자들, "웨이크 업" 및 다른 신호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동반 저전력 저복잡성 수신기를 턴 온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2차 수신기가 턴 온되고 1차 수신기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채로 동작하는 UE는 서빙 eNB 로부터 신호 (예를 들어,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신호를 검출할 시에, eNB로부터 시그널링 (예 :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 를 수신하기 위해 1차 수신기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신호는 1차 수신기에 의해 복조될 수 있는 파형 (예를 들어, OFDM) 에 기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서, 신호는 2차 수신기만이 복조하도록 설계된 전용 파형 (예를 들어, 온-오프 키잉, 진폭-시프트 키잉 (ASK), 주파수-시프트 키잉 (FSK)) 에 기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가 UE 에서 2차 수신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초-재생 수신기는 온-오프 키잉 파형의 비-코히런트 검출이 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매우 낮은 전력 레벨에서 대응하여 적절한 파형을 복조할 수 있는 다른 유형 (예를 들어, 저 중간 주파수 (low-IF)) 의 비-코히어런트, 에너지 검출 기반 수신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검출 기반 수신기는 UE가 1차 수신기를 활성화해야 함을 나타내는 UE 에 대한 신호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동안 1mW 이하의 전력을 소비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 (RAT) 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수신기를 갖는 UE는 하나의 RAT의 수신기를 사용하여 UE가 제 2 RAT의 수신기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예를 들어,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UE는 저전력 수신기 또는 저전력 RAT 용 수신기를 사용하여 UE 가 하나 이상의 다른 RAT들의 수신기 또는 수신기들을 활성화해야 함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다수의 수신기들을 갖는 UE는 수신기를 사용하여 UE 가 제 2 주파수 대역 (예 : 3.5 GHz 주파수 대역) 상에서 수신하도록 다른 수신기를 활성화해야함을 나타내는 제 1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GHz 아래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시그널링 (예를 들어,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UE는 UE가 다른 주파수 대역 상에서 UE 의 1차 수신기를 활성화해야 함을 나타내는 (예를 들어, BS로부터의) 시그널링에 대해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저전력 (예를 들어, 1mW 이하를 소비하는) 수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수의 수신기를 갖는 UE는, UE가 주파수 대역 내의 제 2 캐리어 상에서 수신하기 위해 또 다른 수신기를 활성화해야 함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에 대해 주파수 대역 내의 제 1 캐리어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캐리어 집성 (CA) 으로 동작하는 셀에서, UE는 UE의 2차 (예를 들어, 저전력) 수신기에 의해 검출된 하나의 캐리어 주파수 상의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다수의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수신하도록 1 차 수신기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UE가 현재 무선 시스템 (예 : LTE C-DRX) 에서 처럼 비활동 타이머가 만료하기를 대기하는 방식들에 대한 대안 또는 추가로서, 향상된 또는 저전력 DRX (LP-DRX) 모드에 진입하도록 2 차 수신기를 갖는 UE에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향상된 DRX 모드는 DRX 현재 (예를 들어, LTE Rel-8) 무선 기술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지연 허용 디바이스 터미네이팅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최적화된 보다 긴 슬립 (예를 들어, 저전력 또는 비활성) 사이클 (예 : 5.12 초) 로 UE 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UE는 2.56 초의 슬립 사이클로 구성될 수도 있는 반면, 향상된 DRX를 사용하는 UE는 10.24 초의 슬립 사이클로 구성될 수도 있다. UE가 저전력 DRX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UE는 그의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고, 2 차 수신기를 사용하여 신호에 대해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C-DRX 사이클의 온 지속시간에서 동작하는 UE는, UE가 현재 (예를 들어, 4G LTE) 무선 시스템들에서와 같이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기 전에 UE가 전체 온 지속시간 동안 대기하는 방식에 대한 대안 또는 추가로서, 신호 수신시 UE의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도록 서빙 기지국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유휴 모드 DRX (I-DRX) 사이클에서 동작하는 2차 수신기를 갖는 UE는 I-DRX 사이클의 온 지속시간 동안 페이지 표시자에 대해 모니터링하도록 2차 수신기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페이지 표시자가 2차 수신기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UE의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남겨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1차 수신기는 2차 수신기가 페이지 표시자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제 페이지 메시지를 디코딩하도록 UE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동작하는 2개의 수신기를 갖는 UE는 현재 (예를 들어, 4G LTE) 무선 시스템과 C-DRX 모드로 동작하는 UE보다 낮은 평균 레이턴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0msec의 DRX 사이클 길이를 갖는 현재의 무선 시스템을 갖는 C-DRX 모드로 동작하는 UE는 평균 레이턴시가 20msec이다. 이 예에서, 2개의 수신기를 갖는 UE는 1차 수신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 (예를 들어, 250 mW) 의 10 % 미만 (예를 들어, 1 mW) 을 소비하는 2차 수신기를 10 msec 당 1회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전히 이 예에서, 2개의 수신기를 갖는 UE는 현재의 무선 시스템과 동작하는 UE의 레이턴시보다 낮은 평균 레이턴시인, 5msec 의 평균 레이턴시를 갖지만, 현재의 무선 시스템과 동작하는 UE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한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동작하는 UE는 또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현재 (예를 들어, 4G LTE) 무선 시스템과 C-DRX 모드로 동작하는 UE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할 수도 있다. 위의 예를 계속하면, 현재 무선 시스템들과 동작하는 UE는 매 40msec (즉, DRX 사이클 길이) 중 1 msec 동안 250mW의 전력을 소비하지만,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2 개의 수신기로 동작하는 UE는 매 40 msec 중 4 msec 동안 1 mW 의 전력을 소비한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동작하는 UE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현재 (예를 들어, 4G LTE) 무선 시스템과 C-DRX 모드에서 동작하는 UE보다 약간 더 많은 (예를 들어, 1 % 미만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전자의 경우 1차 수신기와 2차 수신기 양자 모두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동작하는 UE는 현재 (예를 들어, 4G LTE) 무선 시스템과 C-DRX 모드로 동작하는 UE보다 낮은 레이턴시 뿐만 아니라 낮은 전체 전력 소비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7은 현재의 (예를 들어, 4G LTE 또는 "오늘날의 DRX")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DRX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UE에 대한 예시적인 타임라인 (700) 및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동작하는 2차 수신기를 갖는 UE에 대한 예시적인 타임 라인 (750) 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타임라인 (700)에서, UE는 시간 (702) 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송신이 704에서 중단될 때 비활동 타이머를 시작한다. 706에서, 비활동 타이머가 만료되고, UE는 그의 수신기를 저전력 ("오프") 상태로 놓는다. 708에서, UE에 대한 데이터는 UE의 서빙 기지국에 도착하고, 710에서 발생하는 UE에 대한 다음 온 지속시간까지 버퍼에 유지된다. 현재 (예를 들어, 4G LTE 또는 "오늘날의 DRX")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라 C-DRX 모드로 동작하는 UE 로의 송신에 대한 평균 레이턴시는 712 에 도시된 바처럼, 하나의 온 지속기간 및 하나의 오프 지속시간으로 구성되는 DRX 사이클의 길이의 약 절반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타임라인 (750) 에서, UE는 시간 (752) 에서 서빙 기지국 (예를 들어, eNB) 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이 754에서 UE로 데이터를 송신 완료한 경우 UE의 서빙 기지국은 향상된 DRX 또는 저전력 DRX (LP-DRX) 모드에 진입하도록 UE에 시그널링한다. 754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지령을 수신하면 UE는 LP-DRX 또는 초 저전력 청취 모드 (ULPL) 에 진입한다. UE는 각각의 시간 (756a-756d) 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예를 들어, 제어 채널 또는 "웨이크 업" 신호) 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2차 수신기를 활성화하는, 듀티 사이클에서 2차 수신기를 동작시킨다. 2차 수신기의 듀티 사이클에서 각 온 지속시간의 시작 사이의 기간 (time period) 은 ULPL 무선 기간 (radio period) 또는 유효 DRX 사이클 (cycle) 로 지칭될 수도 있다.
758에서, UE에 대한 데이터는 서빙 기지국에 도착하며, 서빙 기지국은 760에 예시된 "웨이크 업" (wake-up) 신호를 송신한다. 서빙 BS는 UE의 2차 수신기의 듀티 사이클을 인지할 수도 있고, 예시적인 타임라인에서 756d에 도시된 2차 수신기 듀티 사이클의 다음 온 구간까지 "웨이크 업" 신호의 송신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UE는 756d에서 UE의 2차 수신기가 활성 상태일 때 "웨이크 업" 신호를 검출하고, UE의 1차 수신기 또는 전체 모뎀의 활성화를 시작한다. "웨이크 업" 신호가 DRX 오프 지속시간의 종료 전에 송신되면, UE는 조기에 (예를 들어, DRX 오프 지속시간 타이머의 만료 전에) DRX 오프 지속시간을 종료 (예를 들어, DRX 온 지속시간으로 천이) 할 수도 있다. 762 에서 UE의 1차 수신기는 완전히 활성 ("ON") 이 되고, 서빙 기지국은 데이터를 UE에 송신한다. 서빙 기지국은 UE의 1차 수신기가 완전히 활성이 되는데 필요한 시간, 및 적어도 "웨이크 업" 신호를 송신한 후 UE 로의 데이터 송신을 시도하기 전에 적어도 그 기간 동안 지연에 관한 (예를 들어, UE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능력 메시지로부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서빙 기지국 또는 eNB 가 764 에서 데이터 송신을 완료하면, 그것은 그의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로 되돌리도록 UE 에 지시하는 신호 (예를 들면, "고어웨이" (go away) 신호) 를 송신한다. UE가 764에서 그의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로 되돌리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UE는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로 되돌리고, ULPL 모드로 다시 천이한다. UE는 DRX 모드의 구성된 온 지속시간 (766) 의 종료 전에 1차 수신기를 다시 저전력 상태에 놓을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들에 따라 동작하는 2차 수신기를 갖는 UE 로의 송신에 대한 평균 레이턴시는 1차 수신기 또는 전체 모뎀의 파워 업 (예를 들어, "램프 업") 시간에 ULPL 무선 기간의 절반을 더한 것과 대략 동일할 수도 있다.
도 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전력 불연속 수신 (LP-DRX) 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 (800) 을 예시한다. 동작들 (800) 은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수신기들을 갖는 U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가 향상된 불연속 수신 (DRX) 모드에 있을 때 제 1 수신기를 (예를 들어, 비활성화되거나 또는 파워 다운되고 100mW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전력 상태에 놓는 것에 의해, 동작 (800) 은 802에서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향상된 DRX 모드는 현재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지연 허용 디바이스 터미네이팅된 애플리케이션 (delay-tolerant device-terminated application) 들에 대해 최적화된 더 긴 슬립 사이클들로 UE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804 에서, 예를 들어, UE는, 제 1 수신기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 제 1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UE에 지시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시그널링에 대해 제 2 수신기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 1 (예를 들어, 1 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을 수도 있다. 트리거링 이벤트의 일례는,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기지국 (BS) 으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이다. 트리거링 이벤트의 제 2 예는 타이머 (예컨대, DRX 온 지속시간 타이머 또는 비활동 타이머) 의 만료이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 1 (예를 들어, 1 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할 수도 있다. 트리거링 이벤트의 일례는,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기지국 (BS) 으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이다. 트리거링 이벤트의 제 2 예는 타이머 (예컨대, DRX 오프 지속시간 타이머) 의 만료이다.
도 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전력 불연속 수신 (LP-DRX) 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 (900) 을 예시한다. 동작들 (900) 은 예를 들어 기지국 (BS) 또는 eNB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S 가 무선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는 것에 의해 동작들 (900) 은 902 에서 시작되고, 여기서 DRX 파라미터들은 제 1 수신기가 활성인 DRX 온 지속시간 및 제 1 수신기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DRX 오프 지속시간을 정의한다. 904 에서, BS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향상된 DRX 모드에 있을 때, 제 2 수신기에 의한 검출을 위한 DRX 오프 지속시간 동안 제 1 시그널링 (예를 들어, 페이지 표시자 또는 데이터 표시자) 을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도 있고, 그 제 1 시그널링은 제 1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BS는 무선 디바이스가 향상된 DRX 모드 (예를 들어,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LP-DRX 모드) 를 지원한다는 표시를 수신할 수도 있다. 표시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능력 메시지 (capabilities message) 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능력 메시지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 초기 콘텍스트 셋업 동안 수신될 수도 있거나, 또는 RRC 접속 셋업 당 한번 전송 또는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BS 는 제 1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리거링 이벤트의 예들은 BS가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 (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 또는 BS 에서의 타이머의 만료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BS는, 제 1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제 2 시그널링을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도 있다. BS는 제 2 트리거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제 2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한 트리거링 이벤트의 예들은 BS가 UE에 송신할 데이터가 BS에 없다 (예를 들어, BS가 UE로 데이터를 송신을 완료했음) 는 것을 결정하는 것 또는 BS에서 타이머의 만료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BS는 무선 디바이스에 제 1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향상된 DRX 모드에 있는 동안 무선 디바이스의 2차 수신기를 사용하여 표시된 리소스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BS는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능력 메시지에서 수신된 정보) 에 기초하여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BS는 무선 디바이스가 1차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데 요구되는 기간에 관하여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예를 들어, 능력 메시지에서) 수신할 수도 있다. BS는 이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BS가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할 데이터를 가질 때, BS는 페이지 또는 "웨이크 업" 신호를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무선 디바이스가 1차 수신기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기간 동안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른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BS는 무선 디바이스의 저전력 오실레이터의 부정확성 (예를 들어, 드리프트) 에 관하여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예를 들어, 능력 메시지에서)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1차 수신기가 비활성인 동안 저전력 오실레이터를 클럭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오실레이터의 부정확성 또는 드리프트의 측정치를 가질 수도 있고, 측정치를 서빙 BS에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빙 BS는 무선 디바이스의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신호를 언제 전송할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의 저전력 오실레이터의 부정확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서빙 BS는 무선 디바이스의 저전력 오실레이터의 부정확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다수의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BS는 LP-DRX를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신될 시간 표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시간 표시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의 2차 수신기가 수신하도록 설계된 주파수 및/또는 변조 기술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시간 표시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의 클록 드리프트를 정정하기 위해 LP-DRX 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신호의 수신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서빙 BS는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신호들의 송신을 시간 표시 신호들의 송신에 기초하여 스케줄링할 수도 있으며, 그 BS 는, 페이징 신호를 무선 디바이스에 그 무선 디바이스가 BS 와 시간 동기화된 직후에 전송하는 것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페이징 신호의 수신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으므로,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신호가 시간 표시 신호 직후에 일어나도록 스케줄링한다.
도 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전력 불연속 수신 (LP-DRX) 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 (1000) 을 예시한다. 동작들 (1000) 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 (예를 들어, UE)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DRX 오프 지속 시간을 시작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제 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동작들 (1000) 이 1002에서 시작된다. 1004에서,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DRX 오프 지속 기간 동안 수신기를 저전력 (예를 들어, 비활성화되거나 또는 파워 다운된) 상태에 놓을 수도 있다. 1006 에서, 트리거링 이벤트 (예컨대, DRX 오프 지속시간 타이머의 만료) 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고, DRX 오프 지속 시간을 종료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제 1 시그널링은 구성된 DRX 온 지속시간 내에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활성 상태에 있는 수신기로 동작할 수도 있고 DRX 오프 지속시간을 시작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DRX 온 지속시간 타이머의 만료 또는 비활동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향상된 DRX 또는 LP-DRX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가 1차 수신기를 활성화해야 함을 나타내는 신호는 1차 수신기가 복조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전용 파형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용 파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BS는, BS 가 무선 디바이스의 1차 수신기를 활성이라고 예상하고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가 1차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지 않도록 보장해기 위해 조정되야 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BS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LP-DRX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BS에 LP-DRX를 사용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고, BS 는 응답 메시지에서 그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할 수도 있다.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에서, 서빙 BS는 LP-DRX를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BS로부터의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시그널링에 대해 UE에 의해 모니터링될 LP-DRX 온 지속시간, LP-DRX 사이클 길이,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서빙 BS는 LP-DRX 파라미터를 무선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별도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메시지에서, 서빙 BS는 표준 DRX 사이클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디바이스의 1차 수신기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는 것과 함께) 또 다른 LP-DRX 요청 및/또는 표준 DRX 사이클에 진입하라는 지령을 내리기 전에 대기할 기간을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서빙 BS는 무선 디바이스가 LP-DRX를 사용하기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요청 메시지는 LP-DRX 를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LP-DRX 파라미터들 (예컨대, BS 로부터의 페이징 또는 "웨이크 업" 시그널링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LP-DRX 온 지속시간, LP-DRX 사이클 길이,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들) 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서빙 BS 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의 수락을 수신한 후에 무선 디바이스에 LP-DRX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양태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LP-DRX를 사용하는 것을 시작하고 수락 메시지를 BS에 전송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는 요청을 거부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고, 무선 디바이스가 요청을 수락 또는 거부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락 또는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가 LP-DRX 동작을 지원한다는 것을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기지국 (예를 들어, eNB) 에 표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초기 무선 디바이스 콘텍스트 셋업 동안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기지국에 무선 디바이스가 LP-DRX 동작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능력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각각의 RRC 접속 셋업에서 능력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능력 메시지는 무선 디바이스의 1차 수신기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 시그널링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주파수 (예컨대, 주파수 대역, 캐리어 주파수), 변조 기술 (예를 들어, 온-오프 키잉, ASK, FSK),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에 관한 다른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 능력 메시지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가 1 차 수신기를 활성화 시키는데 요구되는 기간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저전력 (예를 들어, 1mW 미만을 소비하는) 오실레이터의 정확성 (예를 들어, 내부 클럭의 정확성) 의 측정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그리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향상된 DRX 또는 LP-DRX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디바이스의 1차 수신기를 활성화해야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는 (예를 들어, 서빙 BS에 의해) 1차 수신기가 복조하도록 설계된 파형 (예 : OFDM 파형) 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파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BS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향상된 DRX 또는 LP-DRX 모드의 사용을 조정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BS 가 1차 또는 2차 수신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및 서빙 BS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향상된 DRX 또는 LP-DRX 모드의 사용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무선 디바이스는 서빙 BS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어느 수신기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2개의 수신기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또는 제 2 수신기의 감도 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현재 커버리지 상태에 기초하여 어느 수신기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의 저전력 또는 2차 수신기가 무선 디바이스의 1차 수신기보다 열악한 감도를 갖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디바이스의 서빙 BS로부터 열악한 커버리지에 있을 경우 및/또는, 2 차 수신기의 성능을 저해하는 다른 RF 간섭이 있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1차 (예 : 전체 출력) 수신기만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2개의 수신기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전력 절감 필요성,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의 필요 또는 트래픽 패턴 학습에 기초하여 어느 수신기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트래픽 패턴이 각각의 DRX 사이클에 대해 전체 전력 수신기가 (예를 들어, 각각의 DRX 사이클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극히 웨이크 업되기 쉽도록 하는 것이라고 결정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전체 전력 수신기만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전력 불연속 수신 (LP-DRX) 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 (1100) 을 예시한다. 동작들 (1100) 은 예를 들어 기지국 (BS) 또는 eNB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S 가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무선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하는 것에 의해 동작들 (1100) 이 1102에서 시작된다. 1104에서, 예를 들어, BS는 DRX 오프 지속시간을 시작하고 DRX 오프 지속시간 동안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로 놓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BS 는 구성된 DRX 온 지속시간 동안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활성 상태에 있는 수신기로 동작할 수도 있고 BS 는 DRX 오프 지속시간을 시작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DRX 온 지속시간 타이머의 만료 또는 비활동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을 수도 있다.
도 12는 1차 수신기 및 2차 수신기를 가지며 본원에 제공된 양태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 (1200) 에서 이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무선 디바이스 (1200) 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UE (110) 의 일 구현일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200)는 무선 디바이스 (1200) 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204)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204) 는 또한 중앙 처리 장치 (CPU) 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204) 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예를 들어,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 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의 수행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읽기 전용 메모리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는 메모리 (1206) 는 프로세서 (1204) 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 (1206) 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 (NVRA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204) 는 전형적으로 메모리 (12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에 기초하여 논리 및 산술 연산을 수행한다. 메모리 (1206) 내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예컨대,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들) 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200) 는 또한 무선부 (radio) (1210 및 1212)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무선부는 1차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다른 하나의 무선부는 2차 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부는 무선 디바이스 (1200) 와 BS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 및 임의의 다른 "RF 체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지 예로서 2개의 무선부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2개보다 많은 RAT를 지원하기 위해) 2개보다 많은 무선부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각각의 무선부는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 (1216)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200) 는 또한 트랜시버 (1214) 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 및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신호 검출기 (121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 검출기 (1218) 는 총 에너지, 심볼 당 서브캐리어 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검출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200)는 또한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122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1차 수신기 및 2차 수신기를 갖는 무선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참여할 수 있는 기지국 (1300) 에서 이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기지국 (1300) 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eNB (122) 또는 기지국 (132) 의 일 구현일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은 기지국 (1300) 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304) 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304) 는 또한 중앙 처리 장치 (CPU) 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304) 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예를 들어,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 을 수행하거나 또는 이의 수행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읽기 전용 메모리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는 메모리 (1306) 는 프로세서 (1304) 에 명령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 (1306) 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 (NVRA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1304) 는 전형적으로 메모리 (13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에 기초하여 논리 및 산술 연산을 수행한다. 메모리 (1306) 내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예컨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들) 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은 또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AT들을 통해 UE와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부 (131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부는 기지국 (1300) 과 상이한 UE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 및 임의의 다른 "RF 체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무선부는 단일 또는 복수의 안테나 (1316)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은 또한, (예를 들어, X2 백홀 접속을 통해) 다른 기지국 또는 (예를 들어, S1 접속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131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은 또한 트랜시버 (1314) 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 및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신호 검출기 (131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 검출기 (1318) 는 총 에너지, 심볼 당 서브캐리어 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검출할 수도 있다. 기지국 (1300) 은 또한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132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LP-DRX를 수행하는 UE (1200) 와 UE를 서빙하는 eNB (1300) 사이의 예시적인 호 흐름 (1400) 을 예시한다. 호 흐름은 UE가 LP-DRX를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능력 메시지를 UE가 eNB에 전송하는 것으로 1402 에서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능력 메시지는 예를 들어 UE의 2차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UE의 2 차가 복조할 수 있는 변조 기술, 및 UE가 UE의 1차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eNB는 UE로부터 수신된 능력 정보를 저장한다. 1404에서, eNB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UE에 송신할 수도 있다. 1406에서, eNB는 UE로 LP-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송신한다. LP-DRX 파라미터의 송신은 UE 로의 데이터 송신 전, 후, 또는 그 사이에 발생할 수도 있다. 1408 에서, eNB는 UE 로의 데이터 송신을 완료하고 즉시 UE가 LP-DRX에 진입하도록 시그널링한다. 1410에서, UE는 LP-DRX 에의 진입 지령을 확인응답한다 (ACK). eNB로부터 지령을 확인응답한 후에, UE는 임의의 DRX 온 지속시간을 종료하고 (즉, DRX 온 지속시간 타이머를 종료하고), 1차 무선부 (예를 들어, 1 차 수신기) 를 저전력 상태에 놓고, UE 의 2차 무선부 (예를 들어, 2 차 수신기) 를 주기적으로 활성화하기 시작한다. UE는 1414, 1418 및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시간들에서 2차 무선부를 활성화시킨다. UE는 1416, 1420 등에서 2차 무선부를 비활성화한다.
1422에서, eNB는 UE 로의 전달을 위한 트래픽 (예를 들어, 데이터) 를 획득한다. eNB는 트래픽을 전달할 기회를 기다리는 동안 버퍼에 트래픽을 유지한다. 1424 에서, eNB는 eNB에 의해 저장된 UE의 LP-DRX 사이클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LP-DRX 사이클이 시작된 시간, LP-DRX 사이클 길이, LP-DRX 온 지속시간) 에 기초하여, UE의 2차 무선부가 활성일 수도 있음을 결정하고, UE의 2차 무선부에 의해 수신될 "웨이크 업" 신호를 송신한다. 1426에서, UE는 UE의 2차 무선부를 활성화시켰고 1424에서 eNB에 의해 송신된 "웨이크 업" 신호를 검출한다. UE는 "웨이크 업 신호"의 검출에 응답하여 UE의 1차 무선부를 활성화하기 시작한다. 1428에서, UE는 UE의 1차 무선부의 활성화를 완료하였고 DRX 온 지속시간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eNB는 UE가 UE의 1차 수신기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시간 기간에 관한 정보를 가지며, 1424에서 "웨이크 업" 신호를 송신한 후 적어도 그 기간 동안 UE의 1차 무선부에 대한 송신 스케줄링을 지연시킨다. 1430에서, eNB는 기간이 경과되었다고 결정하고 트래픽을 UE에 송신한다. 1432 에서, eNB는 UE 로의 데이터 송신을 완료하고 조기에 UE가 LP-DRX에 진입하도록 시그널링한다. 이전처럼, 1434 에서 UE는 지령을 확인응답하고, 1436 에서 UE 는 임의의 DRX 온 지속시간을 종료하고 (즉, DRX 온 지속시간 타이머를 종료하고), 1차 무선부 (예를 들어, 1 차 수신기) 를 저전력 상태에 놓고, UE 의 2차 무선부 (예를 들어, 2 차 수신기) 를 주기적으로 활성화하기 시작한다. UE는 2차 무선부를 1438 등에서 활성화하고, UE는 2차 무선부를 1440 등에서 비활성화한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 (hierarchy) 은 예시적인 접근법들의 예시라는 것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에서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재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일부 단계들은 조합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수반하는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에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고,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체계에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용어 "또는" 은 배타적 "또는" 이 아닌 포괄적 "또는" 을 의미하도록 의도되었다. 즉,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X는 A 또는 B를 채용한다" 라는 구절은 자연의 포괄적 순열들 중 임의의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즉, 예를 들어 "X는 A 또는 B를 채용한다" 라는 구절은 다음의 실례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만족된다: X는 A를 채용한다; X는 B를 채용한다; 또는 X는 A 및 B 양쪽 모두를 이용한다. 또한,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된 관사 "a" 및 "an" 는 일반적으로,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으로부터 단수 형태를 가리키는 것이 명확하지 않으면, "하나 이상" 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야 한다. 아이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를 나타내는 어구는, 단수 멤버들을 포함한 그러한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낸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 b c 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손쉽게 분명해질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 보여진 다양한 양태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청구항 문언에 부합하는 전체 범위가 부여되야 하고, 단수형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특별히 그렇게 진술되지 않았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만"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명확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거나 나중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어느 것도 그러한 개시가 명시적으로 청구항들에 인용되는지에 상관 없이 공중에 바쳐지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았다. 청구항 엘리먼트는, 엘리먼트가 어구 "하는 수단" 을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인용되지 않는다면, 기능식 (means plus function) 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6)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비향상된 불연속 수신 (DRX) 모드보다 더 긴 저전력 사이클을 갖는 향상된 DRX 모드에 있을 때 제 1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는 단계; 및
    상기 제 1 수신기가 상기 저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기지국 (BS) 으로부터의 시그널링에 대해 제 2 수신기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페이지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수신기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데이터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수신기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기는 상기 제 1 수신기보다 낮은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DRX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수신기 또는 상기 제 2 수신기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은 상기 제 1 수신기 또는 상기 제 2 수신기의 감도,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현재 커버리지 상태, 상기 제 1 수신기 또는 상기 제 2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성능을 저해하는 무선 주파수 (RF) 간섭의 존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력을 절약할 필요성,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레이턴시 필요, 트래픽 패턴 학습 및/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향상된 DRX 모드를 지원한다는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향상된 DRX 모드에 진입하라는 요청을 상기 BS 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BS 가 상기 요청을 수락했음을 확인응답하는 상기 BS 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향상된 DRX 모드에 진입하라는 요청을 상기 BS 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요청을 수락했음을 확인응답하는 응답을 BS 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수신기가 복조할 수 있는 파형을 통해 전달되는, 무선 통신 방법.
  10. 기지국 (BS) 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DRX 파라미터들은 제 1 수신기가 활성인 DRX 온 지속시간 및 상기 제 1 수신기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DRX 오프 지속시간을 정의하는, 상기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비향상된 DRX 모드보다 더 긴 저전력 사이클을 갖는 향상된 DRX 모드에 있을 때, 제 2 수신기에 의한 검출을 위해 상기 DRX 오프 지속시간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상기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페이지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BS 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페이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데이터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BS 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는
    결정된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상기 DRX 오프 지속시간의 일부 동안만 상기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향상된 DRX 모드를 지원한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향상된 DRX 모드에 진입하라는 요청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요청을 수락했음을 확인응답하는 응답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향상된 DRX 모드에 진입하라는 요청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BS가 상기 요청을 수락했음을 확인응답하는 응답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수신기가 복조할 수 있는 파형을 통해 전달되는, 무선 통신 방법.
  18.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로서,
    상기 장치가 비향상된 불연속 수신 (DRX) 모드보다 더 긴 저전력 사이클을 갖는 향상된 DRX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장치의 제 1 수신기를 저전력 상태에 놓고; 그리고
    상기 제 1 수신기가 상기 저전력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상기 장치에 지시하는 기지국 (BS) 으로부터의 제 1 시그널링에 대해 상기 장치의 제 2 수신기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페이지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장치가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상기 제 1 수신기로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데이터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장치가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상기 제 1 수신기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향상된 DRX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수신기 또는 상기 제 2 수신기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은 상기 제 1 수신기 또는 상기 제 2 수신기의 감도, 상기 장치의 현재 커버리지 상태, 상기 제 1 수신기 또는 상기 제 2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의 성능을 저해하는 무선 주파수 (RF) 간섭의 존재, 상기 장치에 의해 전력을 절약할 필요성,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레이턴시 필요, 또는 트래픽 패턴 학습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기지국에 상기 장치가 상기 향상된 DRX 모드를 지원한다는 표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로서,
    무선 디바이스에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는 것으로서, 상기 DRX 파라미터들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제 1 수신기가 활성인 DRX 온 지속시간 및 상기 제 1 수신기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DRX 오프 지속시간을 정의하는, 상기 불연속 수신 (DRX)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비향상된 DRX 모드보다 더 긴 저전력 사이클을 갖는 향상된 DRX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제 2 수신기에 의한 검출을 위해 상기 DRX 오프 지속시간 동안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수신기를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상기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페이지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페이지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그널링은 데이터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결정된 듀티 사이클에 기초하여, 상기 DRX 오프 지속시간의 일부 동안만 상기 제 1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77012149A 2014-11-04 2015-10-01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KR10209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7026206A KR102279555B1 (ko) 2014-11-04 2015-10-01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5088P 2014-11-04 2014-11-04
US62/075,088 2014-11-04
US201462077058P 2014-11-07 2014-11-07
US62/077,058 2014-11-07
US14/815,520 US10356839B2 (en) 2014-11-04 2015-07-31 Low power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a second receiver
US14/815,520 2015-07-31
PCT/US2015/053547 WO2016073087A1 (en) 2014-11-04 2015-10-01 Low power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a second receiv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206A Division KR102279555B1 (ko) 2014-11-04 2015-10-01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596A true KR20170080596A (ko) 2017-07-10
KR102099502B1 KR102099502B1 (ko) 2020-04-09

Family

ID=55854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149A KR102099502B1 (ko) 2014-11-04 2015-10-01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KR1020197026206A KR102279555B1 (ko) 2014-11-04 2015-10-01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206A KR102279555B1 (ko) 2014-11-04 2015-10-01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356839B2 (ko)
EP (2) EP3634082A1 (ko)
JP (2) JP6577029B2 (ko)
KR (2) KR102099502B1 (ko)
CN (2) CN107113726B (ko)
ES (1) ES2779306T3 (ko)
HU (1) HUE047650T2 (ko)
WO (1) WO20160730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196A1 (ko) * 2019-06-21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US20210345376A1 (en) * 2018-07-16 2021-11-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of Scheduling for Low Power Consump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0740B2 (en) 2014-11-04 2022-04-19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with two-stage wake-up
US10356839B2 (en) 2014-11-0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a second receiver
US9872252B1 (en) * 2016-09-30 2018-01-16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with multiple-stage wake-up
EP3482584A4 (en) 2016-07-11 2019-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S, WIRELESS DEVICE AND METHOD THEREFOR
EP3497623B1 (en) * 2016-08-11 2022-11-02 Datang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n-demand mobile device access
EP3513599A1 (en) * 2016-09-15 2019-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autonomous device selection of transmission resources
US10098067B2 (en) * 2016-09-21 2018-10-09 Intel IP Corporation Service discovery via low-power wake-up radio
CN107889199B (zh) * 2016-09-30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状态转换方法及装置
KR20180037556A (ko) * 2016-10-04 2018-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82771A1 (en) * 2016-11-03 2018-05-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lient device (sta) using wake-up packet for channel selection decision
CN108616969B (zh) 2016-12-20 2020-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数据接收方法及设备
US10098065B2 (en) 2017-02-21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via PHY firmware island
US10893400B2 (en) * 2017-03-10 2021-01-12 Blackberry Limited Pedestrian safet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3593566B1 (en) * 2017-03-14 2021-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User node,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allocating and using resources for control signals
US11184852B2 (en) * 2017-03-20 2021-11-23 Sony Group Corporation Wake-up signal with reconfigurable sequence design
CN113873621B (zh) * 2017-03-24 2024-04-05 Lg电子株式会社 用于接收寻呼消息的方法和无线设备
EP3603223A4 (en) 2017-03-24 2021-01-13 Apple Inc. WAKE-UP SIGNAL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AND NARROW-BAND INTERNET OF OBJECTS
US10271282B2 (en) * 2017-04-21 2019-04-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on and operation of wake-up receivers with limited range
KR102313704B1 (ko) * 2017-05-04 2021-10-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불연속 수신을 위한 방법과 장치
US10999798B2 (en) 2017-06-26 2021-05-04 Apple Inc. Efficient scan and service discovery
US10334527B2 (en) * 2017-08-11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or system for scheduling multiple receive chains
ES2874530T3 (es) * 2017-08-21 2021-11-05 Ericsson Telefon Ab L M Comunicación inalámbrica multi-RAT
CN109495924B (zh) 2017-09-11 2023-06-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测量、测量配置方法、终端及基站
CN109547506B (zh) * 2017-09-20 2021-08-0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交互方法、物联网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75741A1 (zh) * 2017-10-20 2019-04-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业务承载网络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EP3704899B1 (en) * 2017-11-03 2021-12-22 Sony Group Corporation Two-part wake-up signal
US10805979B2 (en) * 2017-11-21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Dual band discontinuous reception
US10993180B2 (en) * 2017-11-28 2021-04-27 Qualcomm Incorporated Wake up signaling technique
EP3689039A1 (en) * 2017-12-19 2020-08-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user node, a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K3738356T3 (da) * 2018-01-09 2022-01-17 Signify Holding Bv Bimodal elektronisk indretning
WO2019139691A1 (en) * 2018-01-10 2019-07-18 Kyocera Corporation Transmission of wake-up signal to mobile devices at alternate carrier frequency
US10555257B2 (en) * 2018-02-06 2020-0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rroneous beacon signal
CN111656822B (zh) * 2018-02-13 2022-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在无线通信中传输唤醒信号的方法、装置和系统
EP3766287A1 (en) * 2018-03-16 2021-01-20 SONY Corporation Wake-up transmission on a separate carrier
CN110461008A (zh) * 2018-05-08 2019-11-15 索尼公司 用户设备、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存储介质
US10873909B1 (en) * 2018-05-08 2020-12-22 Marvell Asia Pte, Lt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support for wakeup radio (WUR) operation
CN110557811B (zh) * 2018-06-04 2021-10-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节能信号发送的方法、节能信号接收的方法、基站及终端
CN110557809B (zh) * 2018-06-04 2021-06-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接收机配置信息的确定方法、终端及网络设备
MX2020013998A (es) * 2018-06-27 2021-05-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para la transmisión de señal, aparato de red y aparato terminal.
WO2020008635A1 (ja) * 2018-07-06 2020-01-0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510274B2 (en) * 2018-07-27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Proactive wake-up beam management for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operation
CN110859013B (zh) * 2018-08-22 2022-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控制方法和装置
CN109196935B (zh) * 2018-08-31 2021-08-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载波激活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11178616B2 (en) * 2018-09-04 2021-11-16 Atmosic Technologies Inc. Staged wireless device wake-up
CN110896558A (zh) * 2018-09-12 2020-03-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工作模式切换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1564166B2 (en) * 2018-11-12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resource randomization and sharing
CN111200763B (zh) * 2018-11-20 2021-11-26 力同科技股份有限公司 窄带通讯数据发送方法、接收方法及对讲机、存储介质
CN109644425B (zh) * 2018-11-30 2022-01-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寻呼信令的方法及装置
US20200221384A1 (en) * 2019-01-04 2020-07-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wake-up signaling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US11178618B2 (en) * 2019-01-10 2021-11-16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power parameter values in discontinuous reception
CN111436103B (zh) * 2019-02-02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节能模式的切换方法、节能模式的配置方法及通信设备
SG11202108784UA (en) * 2019-02-13 2021-09-2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using power saving signaling pattern
EP3959930A1 (en) 2019-04-25 2022-03-02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Control device having a secondary radio for waking up a primary radio
EP3987883A1 (en) * 2019-06-18 2022-04-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ation of active-time pdcch monitoring using short discontinuous reception (drx)
WO2021004697A1 (en) * 2019-07-10 2021-0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voiding false detection associated with wake-up signal
US11224046B2 (en) * 2019-11-28 2022-01-11 Ali Atefi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13259898B (zh) * 2020-02-13 2022-06-1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不连续接收的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WO2022152412A1 (en) * 2021-01-14 2022-07-21 Nokia Technologies Oy Positioning time gap scheduling for non-terrestrial communication
US11665645B2 (en) * 2021-03-25 2023-05-30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peripheral wakeup radio interface configuration
US11907039B2 (en) 2021-03-25 2024-02-20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location wakeup radio interface synchronized communications
US11737026B2 (en) 2021-03-25 2023-08-22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peripheral wakeup radio interface synchronized communications
US11943712B2 (en) 2021-03-25 2024-03-26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peripheral group wakeup radio interface synchronized communications
EP4376514A1 (en) * 2021-07-23 2024-05-2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aging monitoring method, paging monitor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3164903A1 (en) * 2022-03-03 2023-09-07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e power saving
CN117204053A (zh) * 2022-03-18 2023-1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通信设备
WO2023225873A1 (zh) * 2022-05-24 2023-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3240421A1 (zh) * 2022-06-13 2023-1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监听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4015894A1 (en) * 2022-07-14 2024-01-18 Intel Corporation Transmission triggering using a separate low-power wake-up receiver
WO2024035449A1 (en) * 2022-08-09 2024-02-15 Zeku Technology (Shanghai) Corp., Ltd. Apparatus and method of a low-power listening mode
WO2024069908A1 (ja) * 2022-09-29 2024-04-0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基地局、及び通信方法
WO2024096794A1 (en) * 2022-11-01 2024-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wireless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handling a wake-up receiv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9239A1 (en) * 2011-08-10 2013-02-14 Yung-Sen Li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low power consumption
KR20130016328A (ko) * 2010-04-07 2013-02-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유휴 상태에서 무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페이지 전달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30064151A1 (en) * 2011-09-13 2013-03-14 Apple Inc. Adaptive receive diversity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wireless device
KR20140072923A (ko) * 2011-11-01 2014-06-1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을 위한 세미 비-drx 모드
US20140220926A1 (en) * 2011-10-13 2014-08-07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terminal and warning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443B1 (en) * 1999-05-28 2003-05-06 Nokia Corporation Antenna sharing switching circuitry for multi-transceiver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20030040315A1 (en) * 2001-08-20 2003-02-27 Farideh Khaleghi Reduced state transition delay and signaling overhead for mobile station state transitions
GB2385745B (en) * 2002-02-21 2004-06-09 Motorola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arriers
US6944427B2 (en) * 2003-01-31 2005-09-13 Motorola, Inc. Reduced crossmodulation operation of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JP4352931B2 (ja) 2004-02-26 2009-10-2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lan端末およびその省電力方法、およびlanシステム
US7711377B2 (en) * 2004-06-10 2010-05-0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35202B2 (en) * 2006-11-20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pilots on secondary channels for improved acquisition and handoff in cellular communication
EP1959615B1 (en) 2007-02-14 2010-0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from DRX timing de-synchronization in LTE-active
US8285346B2 (en) * 2007-05-23 2012-10-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a user equipment
US8711745B2 (en) * 2007-09-14 2014-04-2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control start time
US9247501B2 (en) * 2008-01-17 2016-01-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a radio recei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936708B2 (en) * 2008-02-26 2011-05-0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network selection and handover
US8787440B2 (en) * 2008-07-25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receive data values
US8798029B2 (en) 2008-08-06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Ultra wideband assisted initial acquisition
JP2010118855A (ja) * 2008-11-12 2010-05-27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WO2010120692A1 (en) * 2009-04-13 2010-10-21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US8989069B2 (en) * 2010-03-03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enhancements
EP2583498A2 (en) * 2010-06-18 2013-04-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Home nodeb (hnb) mobility in a cell forward access channel (cell_fach) state
CA2803976A1 (en) * 2010-06-28 2012-01-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DE102010027019A1 (de) 2010-07-08 2012-01-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mpfängeranordnung zum drahtlosen Empfang von Daten
US8923208B2 (en) * 2010-08-05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WO2012038117A1 (en) 2010-09-20 2012-03-29 Nokia Siemens Networks Oy Discontinuous reception across transmissions o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8504889B2 (en) * 2010-11-12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leep clock error recovery scheme
TW201603506A (zh) * 2011-01-10 2016-01-16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肌器對機器或行動輔助佈署中呼叫方法及裝置
JP5190568B2 (ja) 2011-02-23 2013-04-24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無線基地局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US9204392B2 (en) * 2011-04-04 2015-12-01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terminal
US8738074B2 (en) * 2011-05-13 2014-05-2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obile communications radio receiver for multiple network operation
US8761701B2 (en) * 2011-07-13 2014-06-24 Apple Inc. Selective receive diversity in a mobile wireless device
US8626110B2 (en) 2011-08-23 2014-01-07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ircuit arrangement and receiver including the circuit arrangement
US9402264B2 (en) * 2011-09-30 2016-07-26 Intel Corporation Methods to transport internet traffic over multiple wireless networks simultaneously
SG190483A1 (en) * 2011-12-01 2013-06-28 Addvalue Technologies Ltd A communication device and network, and method of communication
US9344995B2 (en) * 2011-12-17 2016-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pag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9066261B2 (en) 2012-01-10 2015-06-2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measurements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US9084287B2 (en) * 2012-02-08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Dual domain camping with a single radio UE
WO2013166690A1 (en) * 2012-05-10 2013-11-14 Renesas Mobile Corporation Enhancement of in-device interference
US9681382B2 (en) * 2012-05-11 2017-06-13 Intel Corporation Radio coexistence in wireless networks
EP2696634B1 (en) 2012-08-07 2018-01-31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perating on a virtual carrier
US9585091B2 (en) 2012-08-17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JP6122500B2 (ja) * 2012-09-26 2017-04-2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TEを同時に受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1xINSRLTEデバイス
US9241307B2 (en) 2012-10-24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ultra low power signal with scheduled power save modes
US9191890B2 (en) * 2012-10-24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operations on wireless networks
US9544848B2 (en) 2012-10-2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short paging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787355B2 (en) 2012-10-26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ing hybrid signals
US9191891B2 (en) 2012-11-02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up signa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s for WLAN
EP2755429A1 (en) 2013-01-10 2014-07-16 Fujitsu Limited Mobility and connection management of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US9351250B2 (en) 2013-01-3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JP5881178B2 (ja) 2013-03-12 2016-03-09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の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50624A1 (en) * 2013-04-12 2016-02-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frame number synchronization
US9877352B2 (en) 2013-04-15 2018-01-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lication of a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ycle
WO2014171786A1 (ko) * 2013-04-19 2014-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통신 시스템이 연동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시스템과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78595B2 (en) * 2013-06-24 2017-02-21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scanning of wireless channels
US10051575B2 (en) * 2014-07-01 2018-08-14 Blackberry Limited Adaptively determining a wakeup period
US10356839B2 (en) 2014-11-0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a second receiv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328A (ko) * 2010-04-07 2013-02-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유휴 상태에서 무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페이지 전달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130039239A1 (en) * 2011-08-10 2013-02-14 Yung-Sen Li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20130064151A1 (en) * 2011-09-13 2013-03-14 Apple Inc. Adaptive receive diversity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wireless device
US20140220926A1 (en) * 2011-10-13 2014-08-07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terminal and warning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KR20140072923A (ko) * 2011-11-01 2014-06-1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을 위한 세미 비-drx 모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5376A1 (en) * 2018-07-16 2021-11-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of Scheduling for Low Power Consumption
WO2020256196A1 (ko) * 2019-06-21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20200145829A (ko) * 2019-06-21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Endc를 지원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US11595903B2 (en) 2019-06-21 2023-02-28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ENDC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R (new radio) dual connectivity) and a control method of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3726A (zh) 2017-08-29
KR102099502B1 (ko) 2020-04-09
KR102279555B1 (ko) 2021-07-19
HUE047650T2 (hu) 2020-05-28
JP6577029B2 (ja) 2019-09-18
JP2019198124A (ja) 2019-11-14
JP6771628B2 (ja) 2020-10-21
US20190320493A1 (en) 2019-10-17
EP3216308B1 (en) 2019-12-18
WO2016073087A1 (en) 2016-05-12
CN107113726B (zh) 2020-04-28
US10827556B2 (en) 2020-11-03
ES2779306T3 (es) 2020-08-14
KR20190105676A (ko) 2019-09-17
US20160128128A1 (en) 2016-05-05
US10356839B2 (en) 2019-07-16
CN110636596A (zh) 2019-12-31
EP3216308A1 (en) 2017-09-13
JP2017537516A (ja) 2017-12-14
EP3634082A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7556B2 (en) Low power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a second receiver
CN110622579B (zh) 通信设备中的唤醒信号(wus)和唤醒接收机(wur)
CN109923915B (zh) 用于接收下行链路信号的方法和用户设备
JP6408128B2 (ja) 拡張アイドル間欠受信のためのアイドルモード向上
JP6258291B2 (ja) セル再選択を高速化するための動的測定レート
CN106576339B (zh) 用于高效支持长期演进上行链路上的可变比特率语音话务的方法和装置
KR101760918B1 (ko) 밀집한 네트워크 동작들에서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43459B2 (en) Long term evolution (LTE)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for single-radio hybrid tune away devices
US10484999B2 (en) Triggers for user equipment transmissions to support uplink based mobility
US1107644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llisions between CDRX and paging operations
US11930452B2 (en) Techniques for improving power consumption state lat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