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795A -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 Google Patents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795A
KR20200145795A KR1020200171062A KR20200171062A KR20200145795A KR 20200145795 A KR20200145795 A KR 20200145795A KR 1020200171062 A KR1020200171062 A KR 1020200171062A KR 20200171062 A KR20200171062 A KR 20200171062A KR 20200145795 A KR20200145795 A KR 20200145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lifting beam
height
support devic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137B1 (ko
Inventor
김학경
Original Assignee
김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27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24258B1/ko
Application filed by 김학경 filed Critical 김학경
Priority to KR102020017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13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에 관한 것으로, 하단이 개방된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유닛과, 회전 유닛의 위치에서 고정 프레임의 외부에 결합되며, 회전 유닛에 기어 결합되어 회전 유닛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과 ,회전 유닛을 관통하여 회전 유닛에 나선 결합된 스크류와, 스크류의 수평회전을 허용하고 회전유닛의 하부에서 스크류에 걸림 위치되는 제1승강빔 및, 제1승강빔의 걸림 위치 하부에서 스크류에 나선 결합된 제2승강빔을 포함하며, 스크류는 회전 유닛의 회전에 의해 제1높이와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 사이에서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과 함께 직선 승강하고, 제2높이에서 회전 유닛과 함께 회전하여 제2승강빔을 직선 하강시킨다.

Description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CAMPING CAR AND SUPPORTING DEVICE FOR CAMPING C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캠핑카의 적재함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면의 높이 등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설치 환경에 따라 대응이 용이한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는 침대와 주방 등의 생활도구가 구비된 차량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장소의 구애 받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숙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캠핑카 중에는, 차량과 캠핑 트레일러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와, 차량 뒤에 캠핑 트레일러를 따로 매달아 사용하는 형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캠핑카는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캠핑 트레일러의 외부에 별도의 지지장치를 적용한 형태도 있는데, 이는 차량을 원하는 장소에 위치시킨 후 지지장치를 일정 길이로 신장시켜 지면에 안착시키는 구조 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캠핑카는 지지장치의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웠고, 지지장치가 정해진 길이로만 조절되므로 지면의 상태에 따른 지지위치 조절이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적재함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17508호(2005년 12월 14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각종 여가시설이 내설된 입체형 적재함이 차량과일체형으로 구비된 캠핑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카 설치시 고정 프레임에 다단으로 수납된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을 돌출시켜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캠핑카의 적재함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면의 높이 등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설치 환경에 따라 대응이 용이한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선 결합 방식으로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유압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적재함의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는, 하단이 개방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 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유닛에 나선 결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수평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회전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스크류에 걸림 위치되는 제1승강빔 및, 상기 제1승강빔의 걸림 위치 하부에서 상기 스크류에 나선 결합된 제2승강빔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에 의해 제1높이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 사이에서 상기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과 함께 직선 승강하고, 상기 제2높이에서 상기 회전 유닛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승강빔을 직선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는 상부 걸림단을 가지며, 상기 상부 걸림단은 상기 스크류가 제2높이로 하강시 상기 회전유닛의 상단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는 제1높이에서 상기 회전유닛과 함께 수평 회전되어 상기 제2승강빔을 직선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승강빔의 상단은 상기 스크류의 제1높이에서 상기 회전유닛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는 상기 회전유닛이 나선 결합되는 상부 구간과 상기 제2승강빔이 나선 결합되는 하부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구간과 상기 하부 구간은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승강빔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걸림 위치되는 제1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승강빔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나선 결합되는 제2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에는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의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가 대응 삽입되도록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승강빔의 하단은 상기 스크류가 최대 상승위치로 상승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제1승강빔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수평하게 회전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회전유닛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은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동 기어와 대응되게 맞물림 회전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내주면이 수평 방향을 따라 다각을 이루도록 6각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승강빔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6각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승강빔은 상기 제1승강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6각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캠핑카 설치시 고정 프레임에 다단으로 수납된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을 돌출시켜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캠핑카의 적재함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면의 높이 등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설치 환경에 따라 대응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나선 결합 방식으로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유압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적재함의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의 스크류가 최대 하강위치로 하강 위치되고,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이 고정 프레임의 하부로 연장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의 스크류가 최대 하강위치에서 수평 회전되고, 제2승강빔이 제1승강빔의 하부로 연장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가 캠핑카의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의 스크류가 제2높이로 하강 위치되고,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이 고정 프레임의 하부로 연장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의 스크류가 제2높이에서 수평 회전되고, 제2승강빔이 제1승강빔의 하부로 연장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가 캠핑카의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100)는 고정 프레임(110)과, 회전유닛(120)과, 스크류(130)와,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 및, 구동유닛(160)을 포함한다.
먼저, 고정 프레임(110)은 캠핑카(10)의 적재함(11)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개방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110)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제1가이드홈(111)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가이드홈(111)은 고정 프레임(110)의 하부로 수직하게 개방된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110)은 측면이 다각(6각 등)형으로 각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가이드홈(111)의 내주면도 다각(6각 등)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가이드홈(111)은, 후술 될 제1승강빔(140)의 측면과 대응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제1가이드홈(111)과 제1승강빔(140)이 각진 형태로 밀착되므로, 제1승강빔(140)이 수평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 프레임(110)의 폭 방향에는 캠핑카(10)의 적재함(11)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브라켓(112)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프레임(111)은 일정 강도를 갖도록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고정 프레임(111)의 길이를 캠핑카(10)나 적재함(11)의 사이즈,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와 재질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12)은, 체결부제(미도시) 등에 의해 캠핑카(10)의 적재함(11)에 고정될 수 있는데, 고정 브라켓(112)에는 체결부재(미도시)를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브라켓(112)은 도 4에처럼 체결부재를 이용해 적재함(11)의 후면이나 측면에 수직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나, 고정 브라켓(112)의 설치 위치 및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회전유닛(120)은, 고정 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유닛(120)은 제1가이드홈(111)의 내부에서 수직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유닛(120)은 도 1 내지 3에서처럼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기어(121) 및, 회전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한 쌍의 베어링(12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종동 기어(121)는, 수직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종동 기어(121)의 측면을 따라 다수의 나사산(좌측 또는 우측 방향 45도 각도 등)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동 기어(121)는, 후술 될 구동 기어(161)의 나사산과 맞물림 결합되는 것으로, 구동 기어(161)의 회전력에 의해 수평회전 된다.
베어링(122)은, 종동 기어(1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베어링(122)은 후술 될 스크류(130)의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수평하게 회전 지지한다.
여기서, 베어링(122)의 내부에는 후술 될 스크류(13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의 내주면이 스크류(13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스크류(130)는, 제1가이드홈(111)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스크류(130)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수직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정역 방향으로 수평하게 회전된다.
여기서, 스크류(130)는 종동 기어(121)와 베어링(122)의 수직 회전중심(C1)에 수직하게 관통 결합되며, 스크류(130)의 측면이 종동 기어(121)의 내주면과 나선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크류(130)가 종동 기어(121)와 나선 결합되므로, 종동 기어(121)가 회전하지 않을 때 스크류(130)는 하강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130)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종동 기어(121)의 내주면에는 스크류(130)의 나사산과 대응되게 맞물림 회전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스크류(130)의 상단에는 상부 걸림단이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상부 걸림단은 스크류(130)가 제2높이(C)로 하강 위치시 회전유닛(12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스크류(130)는 종동 기어(121)가 나선 결합되는 상부 영역과, 후술 될 제2승강빔(150)이 나선 결합되는 하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130)의 상부 영역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나선을 이루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130)의 하부 영역에는 상부 영역의 나사산과 반대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동 기어(121)는 스크류(130)의 상부 영역에 결합될 수 있고, 후술 될 제2승강빔(150)이 스크류(13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130)는, 종동 기어(121)의 정역 방향 회전에 의해 직선 승강되어, 후술 될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을 직선 승강구간(A)까지 함께 승강시킨다.
반면, 스크류(130)를 제2높이(C)로 하강 위치시 스크류(130)의 상단에 형성 상부 걸림단이 회전유닛(12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정 위치에서 수평 회전되어, 후술 될 제2승강빔(150)을 단독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류(130)의 측면에는 후술 될 제1승강빔(140)을 수평회전 가능하게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걸림홈(131) 또는 걸림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130)의 측면에 걸림홈(131)을 형성시키는 경우, 걸림홈(131)을 스크류(130)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130)는, 도 2에서처럼 회전유닛(120)의 정역 방향 회전에 의해 직선 승강구간(A) 내에서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을 함께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스크류(130)는 도 3에서처럼 제2높이(C)에서 상단의 상부 걸림단이 회전유닛(120)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수평 회전되어 제2승강빔(15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반면, 스크류(130)는 제1높이(B)에서 후술 될 제1승강빔(140)이 회전유닛(12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수평 회전되어 제2승강빔(15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1승강빔(140)은, 제1가이드홈(111)의 내부에서 스크류(130)와 함께 직선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으로, 제1승강빔(140)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승강빔(140)의 내부에는 제2가이드홈(141)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2가이드홈(141)은 제1승강빔(140)의 하부로 수직하게 개방된다.
그리고, 제1승강빔(140)은 측면이 다각(6각 등)형으로 각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2가이드홈(141)의 내주면도 다각(6각 등)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가이드홈(141)은, 후술 될 제2승강빔(150)의 측면과 대응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제2가이드홈(141)과 제2승강빔(150)이 각진 형태로 밀착되므로, 제2승강빔(150)이 수평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제1승강빔(140)의 상단에는 스크류(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제1연결구(141)가 수평회전 가능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제1연결구(142)는, 스크류(130)의 일부분에 걸림 위치되는데, 제1연결구(142)의 내주면에는 스크류(130)의 걸림홈(131) 또는 걸림돌기가 대응 삽입되도록 걸림돌기(143) 또는 걸림홈이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구(142)의 내주면에 걸림홈을 형성시키는 경우, 걸림홈을 제1연결구(142)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130)의 걸림홈(131)에 제1연결구(142)의 걸림돌기(143)가 암수로 삽입되어 걸림 위치므로, 스크류(130)가 제1연결구(142)의 내부에서 수평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1연결구(142)의 걸림돌기(143)가 스크류(130)의 걸림홈(131)에 걸림 위치되므로, 제1연결구(142)가 자체 하중에 의해 낙하하지 않는다.
제2승강빔(150)은, 제1승강빔(140)의 내부에서 직선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고, 스크류(13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나선 결합되는 것으로, 제2승강빔(150)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승강빔(150)의 내부에는 스크류(130)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측면이 다각(6각 등)형으로 각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승강빔(150)은 전술한 제2가이드홈(141)의 내주면과 대응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제2가이드홈(141)과 제2승강빔(150)의 외주면이 각진 형태로 밀착되므로, 제2승강빔(150)이 수평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승강빔(150)의 상단에는 스크류(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제2연결구(151)가 수평회전 가능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승강빔(150)의 하단은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제2승강빔(150)의 하단은 제1승강빔(14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승강빔(150)의 상단에는 스크류(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제2연결구(151)가 대응되게 나선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구(151)는, 스크류(130)의 하부 구간에 나선 결합되는데, 제2연결구(151)가 스크류(130)와 나선 결합되므로, 종동 기어(121)가 회전하지 않을 때 제2연결구(151)는 하강하지 않고 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승강빔(150)의 하단은 스크류(130)가 최대 상승위치로 상승시 고정 프레임(110)과 제1승강빔(140)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 위치될 수 있다.
구동유닛(160)은, 회전유닛(120)의 수직 회전중심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유닛(160)은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유닛(160)은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기어(161) 및,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62)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 기어(161)는, 수직 회전중심(C1)과 직교하는 수평 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피니언 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기어(161)의 수평 회전중심에는 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의 양단이 고정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161)의 측면에는 종동 기어(121)의 나사산과 대응되게 맞물림 회전되도록 나사산(좌측 또는 우측 방향 45도 각도 등)이 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모터(162)는, 구동 기어(161)의 수평 회전중심(C2)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구동 모터(162)의 구동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구동 기어(161)가 회전하고, 구동 기어(161)에 맞물린 종동 기어(121)가 회전하게 된다.
이후, 종동 기어(121)의 내주면에 나선 결합된 스크류(13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스크류(130)에 결합된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이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된다.
한편, 구동유닛(16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적용이 가능한데, 이 경우 구동유닛(160)은 구동 기어(161)만을 설치한 후, 사용자가 구동 기어(161)의 수평 회전중심에 연결된 레버 들을 회전시켜 구동 기어(161)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핑카용 지지장치(100)의 길이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구동 모터(162)의 회전을 통해 구동 기어(161)를 하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 기어(161)와 맞물린 종동 기어(121)가 하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류(130)를 제2높이(C)까지 직선 하강시키고, 스크류(130)의 하강에 의해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이 동시에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2높이(C)에서 스크류(13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걸림단이 회전유닛(12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후, 회전유닛(120)의 베어링(122)과 스크류(130)가 현 위치에서 함께 수평 회전되고, 제2승강빔(150)이 스크류(130)의 수평 회전에 의해 정해진 높이까지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2승강빔(150)이 제1승강빔(140)의 하단으로부터 더 길게 돌출되고, 제2승강빔(150)의 하단이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을 고정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시키고자 하는 경우, 구동 모터(162)의 회전을 통해 구동 기어(161)를 상승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 기어(161)와 맞물린 종동 기어(121)가 상승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류(130)를 제1높이(B)까지 직선 상승시키고, 스크류(130)의 상승에 의해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이 동시에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높이(B)에서 제1승강빔(140)의 상단 즉, 제1연결구(142)의 상단이 회전유닛(12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고, 회전유닛(120)과 스크류(130)가 현 위치에서 함께 수평 회전되며, 제2승강빔(150)이 스크류(130)의 수평 회전에 의해 정해진 높이까지 상승한다.
즉, 스크류(1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이 순차적으로 돌출되고, 원하는 길이로 신장시 현 상태에서 길이 조절을 중지시킴으로써, 지면의 조건에 따라 길이를 자유자제로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캠핑카(10) 설치시 고정 프레임(110)에 다단으로 수납된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40)을 돌출시켜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캠핑카(10)의 적재함(1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면의 높이 등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설치 환경에 따라 대응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나선 결합 방식으로 제1승강빔(140)과 제2승강빔(15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유압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적재함(11)의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캠핑카 11: 적재함
100: 캠핑카용 지지장치 110: 고정 프레임
111: 제1가이드홈 112: 고정 브라켓
120: 회전유닛 121: 종동 기어
122: 베어링 130: 스크류
131: 걸림홈 140: 제1승강빔
141: 제2가이드홈 142: 제1연결구
143: 걸림돌기 150: 제2승강빔
151: 제2연결구 160: 구동유닛
161: 구동 기어 162: 구동 모터
A: 직선 승강구간 B: 제1높이
C: 제2높이 C1: 수직 회전중심
C2: 수평 회전중심

Claims (13)

  1. 하단이 개방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유닛;
    상기 회전 유닛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유닛에 기어 결합되어 상기 회전 유닛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
    상기 회전 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유닛에 나선 결합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수평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회전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스크류에 걸림 위치되는 제1승강빔; 및
    상기 제1승강빔의 걸림 위치 하부에서 상기 스크류에 나선 결합된 제2승강빔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에 의해 제1높이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 사이에서 상기 제1승강빔과 제2승강빔과 함께 직선 승강하고, 상기 제2높이에서 상기 회전 유닛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승강빔을 직선 하강시키고,
    상기 스크류는 상부 걸림단을 가지며, 상기 상부 걸림단은 상기 스크류가 제2높이로 하강시 상기 회전유닛의 상단과 밀착되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부 걸림단을 가지며,
    상기 상부 걸림단은 상기 스크류가 제2높이로 하강시 상기 회전유닛의 상단과 밀착되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제1높이에서 상기 회전유닛과 함께 수평 회전되어 상기 제2승강빔을 직선 상승시키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빔의 상단은 상기 스크류의 제1높이에서 상기 회전유닛의 하단에 밀착되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회전유닛이 나선 결합되는 상부 구간과 상기 제2승강빔이 나선 결합되는 하부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구간과 상기 하부 구간은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가지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빔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걸림 위치되는 제1연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승강빔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나선 결합되는 제2연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에는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의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가 대응 삽입되도록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빔의 하단은 상기 스크류가 최대 상승위치로 상승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제1승강빔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는 상태로 수평하게 회전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동 기어와 대응되게 맞물림 회전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내주면이 수평 방향을 따라 다각을 이루도록 6각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제1승강빔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6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승강빔은 상기 제1승강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6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캠핑카용 지지장치.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의 캠핑카용 지지장치가 결합된 적재함.
  13. 청구항 12의 캠핑카용 지지장치가 결합된 적재함을 포함하는 캠핑카.
KR1020200171062A 2019-06-19 2020-12-09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KR10245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62A KR102457137B1 (ko) 2019-06-19 2020-12-09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92A KR102224258B1 (ko) 2019-06-19 2019-06-19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KR1020200171062A KR102457137B1 (ko) 2019-06-19 2020-12-09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92A Division KR102224258B1 (ko) 2019-06-19 2019-06-19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795A true KR20200145795A (ko) 2020-12-30
KR102457137B1 KR102457137B1 (ko) 2022-10-20

Family

ID=8380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062A KR102457137B1 (ko) 2019-06-19 2020-12-09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1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214Y1 (ko) * 2004-04-19 2004-07-14 김준기 캠핑용 컨테이너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101974639B1 (ko) * 2018-07-03 2019-05-02 (주)신우 프론티어 다단의 스크류에 의한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214Y1 (ko) * 2004-04-19 2004-07-14 김준기 캠핑용 컨테이너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101974639B1 (ko) * 2018-07-03 2019-05-02 (주)신우 프론티어 다단의 스크류에 의한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137B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258B1 (ko)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CN109555254A (zh) 一种智能化建筑房屋
KR20200145795A (ko) 캠핑카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캠핑카
KR101674200B1 (ko) 캠핑 트레일러용 리프트 장치
CN1619091A (zh) 机动车辆所用的带有简化的导轨联接的窗遮光帘
CN106430030A (zh) 一种具有超低安装距的升降立柱
CN106877234B (zh) 一种电力抢修用撑线结构
KR102075078B1 (ko) 캠퍼
US11039685B2 (en) Transmission assembly, power unit and lifting cabinet
CA3063378C (en) Transmission assembly, power unit and lifting cabinet
CN217735007U (zh) 一种动态变形移动房屋
US20220409459A1 (en) Transmission Device of Hospital Bed
CN209457149U (zh) 一种可升降的楼板
CN104414805B (zh) 升降系统
LT6508B (lt) Maitinimo šaltinio sąsajos įtaisas su šoko absorbcijos funkcija
CN210926861U (zh) 一种通信迁改用线路支撑装置
KR20210001553U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KR200481172Y1 (ko) 가변설치수단을 갖는 전동블라인드
LT6507B (lt) Triukšmo mažinimo elektros tiekimo sąsajos įtaisas
US7240938B1 (en) Slide mechanism with elevation adjustment
KR102068075B1 (ko) 자동차 시트용 룸바 서포트 유닛
CN217678488U (zh) 一种悬挂装置
CN107437767B (zh) 一种电力用撑线结构
CN211421928U (zh) 集装箱房屋可调支撑机构
CN2466553Y (zh) 轻便升降多功能电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