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655A -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655A
KR20200145655A KR1020200026476A KR20200026476A KR20200145655A KR 20200145655 A KR20200145655 A KR 20200145655A KR 1020200026476 A KR1020200026476 A KR 1020200026476A KR 20200026476 A KR20200026476 A KR 20200026476A KR 20200145655 A KR20200145655 A KR 2020014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building
pum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준
Original Assignee
박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준 filed Critical 박한준
Priority to KR102020002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5655A/ko
Publication of KR2020014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8Combined units with different devices; Arrangement of different devi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2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별도의 추가 설비 없이 스텐레스 재질의 가정용 저소음 펌프를 건물의 옥외 수도 계량기에 설치함으로써, 추가 설비, 녹물 및 소음으로 인한 하자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이 확보된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은 상수도; 상기 상수도와 연결되어 건물로 공급되는 용수를 계측하는 수도 계량기; 상기 수도 계량기에 의해 계측된 용수가 건물의 개개의 실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상향식 배관; 상기 수도 계량기에 설치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상수도와 상기 수도 계량기와 상기 상향식 배관이 완공된 다음 급수 압력이 기준치보다 미달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도 계량기의 배관에 직접 설치되어, 상기 상향식 배관으로 이동하는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BUILDING WATER SUPPLY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HARACTERIZED IN THAT A PUMP IS INSTALLED AND BURIED IN AN OUTDOOR CENTRAL WATER METER TO RAISE WATER SUPPLY PRESSURE}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설비 없이 스텐레스 재질의 가정용 저소음 펌프를 건물의 옥외 수도 계량기에 설치함으로써, 추가 설비, 녹물 및 소음으로 인한 하자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이 확보된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공이 완료된 빌라, 오피스텔 등과 같은 건물이 수압이 약하면, 즉, 물줄기가 약해 입주민이 설거지, 샤워, 등의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면, 입주민의 불만과 지속적인 시정 건의 등에 의해, 건물주는 적지 않은 스트레스와 법률적 도의적으로 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시공 방식으로서, 건물 위의 저장조에서 하향하여 복수의 실로 분기되는 관로의 말단에 설치되는 계량기(개별 계량기; 옥내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하여, 이와 매칭되는 개별 실의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하향식 펌프 시공 방식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하향식 시공 방식은 개별 실의 급수 압력을 승압시킬 수 있는 것은 별론, 이에 의해, 승압된 개별 실과 연결된 다른 실의 급수 압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짐으로써, 다른 입주민에 의해 또 따른 민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펌프의 소음이 입주민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다른 종래의 시공 방식으로서, 건물의 1층이나 지하에 설치되어 상수도에서 상향하여 건물 위의 저장조로 이동하거나 직접 복수의 실로 분기되는 관로 초입에 설치되는 계량기(중앙 계량기; 옥외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하여, 건물 전체나 이와 매칭되는 개별 층이나 호의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상향식 펌프 시공 방식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향식 시공 방식은 수도 계량기 상에 펌프 외에 별도의 설비(별도의 커다란 물통 등)가 필요하고, 시공 방식이 복잡하며, 이에 따라, 동파에 취약한 문제가 있고, 펌프의 소음이 외부로 새어 나가 입주민이 선호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상향식 시공 방식에서는 철 재질의 부식성 재질로 유로가 형성된 공업용 펌프를 가정용 건물에 사용함으로써, 입주민을 위한 생활 상수가 녹물로 변질되어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추가 설비 없이 스텐레스 재질의 가정용 저소음 펌프를 건물의 옥외 수도 계량기에 설치함으로써, 추가 설비, 녹물 및 소음으로 인한 하자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이 확보된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은 상수도; 상기 상수도와 연결되어 건물로 공급되는 용수를 계측하는 수도 계량기; 상기 수도 계량기에 의해 계측된 용수가 건물의 개개의 실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상향식 배관; 상기 수도 계량기에 설치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상수도와 상기 수도 계량기와 상기 상향식 배관이 완공된 다음 급수 압력이 기준치보다 미달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도 계량기의 배관에 직접 설치되어, 상기 상향식 배관으로 이동하는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유로와, 상기 유로의 용수를 원심력으로 승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임펠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도 계량기는 계량함; 상기 계량함을 커버하는 캡; 상기 계량함에 배치되며, 상기 상수도와 연결되는 유입 배관; 상기 계량함에 배치되며, 상기 상향식 배관과 연결되는 급수 배관; 상기 유입 배관과 상기 급수 배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계측하는 계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계량함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캡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급수 배관과 연결되어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급수 배관을 분해하여 링크를 추가로 설치하고, 공급 튜브와 배출 튜브가 상기 펌프와 상기 링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급수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링크에서 상기 공급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의 관경은 상기 배출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의 관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은 상기 펌프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 튜브와 상기 배출 튜브에 삽입되는 전열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 튜브와 상기 배출 튜브는 상기 펌프에 의한 상기 발전기의 자가 발전에 의한 전력으로 상기 전열선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건물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은 상수도와 연결되어 건물로 공급되는 용수를 계측하는 수도 계량기와 상기 수도 계량기에 의해 계측된 급수가 건물의 개개의 실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상향식 배관을 포함하는 급수 시스템에서, 펌프를 설치하여 건물 급수를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개개의 실에서 급수 압력이 기준치에 미달되는 실과 연결되는 상기 상향식 배관과 매칭되는 상기 수도 계량기를 오픈하는 단계; 상기 수도 계량기의 급수 배관을 분해하는 단계; 상기 급수 배관에 펌프를 설치하고 결합하는 단계; 상기 펌프를 건물의 중앙 전기 설비에 연결하여 작동하는 단계; 상기 펌프의 작동 후에 건물의 개개의 실의 수압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옥외 수도 계량기의 배관에 별도의 추가 설비 없이 단일의 펌프만을 설치함으로써, 시공 편의성이 확보된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펌프의 유로가 내부식성이 확보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녹물에 의한 하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저소음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입주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의 수도 계량기를 나타낸 사시도(도 2의 (1))와 부분 분해 사시도(도 2의 (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에서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급수 시스템(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의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의 수도 계량기를 나타낸 사시도(도 2의 (1))와 부분 분해 사시도(도 2의 (2))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에서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은 상수도(100), 펌프(200), 수도 계량기(300), 상향식 배관(400) 및 중앙 전기 설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은 상수도(100)와 수도 계량기(300)와 상향식 배관(400)이 완공된 다음, 펌프(200)를 수도 계량기(300)의 배관에 직접 설치하여, 건물 전체, 해당 수도 계량기(300)와 연결되어 있는 층 및 복수의 실 모두의 급수 압력을 승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도 계량기(300)는 옥외의 상수도(100)와 옥내의 상향식 배관(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도 계량기(300; 중앙 계량기; 옥외 계량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의 수도 계량기(300)는 복수의 실로 분기되는 관로의 말단에 설치되는 계량기(개별 계량기; 옥내 계량기)와 구분될 수 있다.
상수도(100)는 보건위생, 생활용수 공급 및 소화(宵火)가 주요 목적인 계통적인 급수설비로 국가에 의해 관리되는 수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수도(100)의 물은 수도 계량기(300)에 의해 계측되고, 상향식 배관(400)을 통해 건물의 개개의 실로 공급될 수 있다.
펌프(200)는 수도 계량기(300)의 배관에 직접 설치되어, 상향식 배관(400)으로 이동하는 급수 압력을 승압시킬 수 있다.
펌프(20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유로와, 유로의 용수를 원심력으로 승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임펠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인레스 재질은 내부식성이 좋아, 가정용 용수에 녹물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펌프(200)로서, 입주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저소음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 왈로스(Walrus) 사의 HQ200, HQ400, HQ800 및 800H 모델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시공비를 아끼기 위해서, 유로가 철 재질로 이루어진 공업용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 가정용 용수에 녹물이 발생하며 소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수도 계량기(300)는 캡(310), 계량함(320), 유입 배관(330), 급수 배관(340), 계측기(350) 및 조절 밸브(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도 계량기(300)는 건물의 대지, 1층/지하 기계실 등에 설치되어, 상수도(100)에서의 용수의 유입량을 계측하기 위한 중앙 계량기(옥외 계량기)로서, 동파 및 손상 방지 등을 위해, 건물의 대지, 1층/지하 기계실 등에 매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캡(310)은 계량함(320)을 커버하는 덮개일 수 있으며, 계량함(320)은 유입 배관(330), 급수 배관(340), 계측기(350) 및 조절 밸브(360)를 수용하는 함일 수 있다. 한편, 수도 계량기(300)가 매립된 경우, 캡(310)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계량함(320)은 대부분 매립되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유입 배관(330)은 대부분 계량함(3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수도(10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 배관(340)은 대부분 계량함(3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향식 배관(400)과 연결될 수 있다.
계측기(350)는 유입 배관(330)과 급수 배관(3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계측하는 미터기일 수 있으며, 조절 밸브(360)는 급수 배관(340)에 배치되어 건물로 공급되는 용수의 급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수도(100)의 용수는 유입 배관(330)을 지나, 계측기(350)에 의해 계측되고, 급수 배관(340)에서 조절 밸브(360)에 의해 급수 압력이 조절되어, 상향식 배관(400)을 통해 건물의 개개의 실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조절 밸브(360)를 통해 급수 압력을 최대로 조절하여도, 급수 압력이 기준치(설계 조건)에 미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급수 압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에서는 수도 계량기(300)의 배관에 펌프(200)를 직접 설치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펌프(200)는 계량함(3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캡(310)에 의해 커버되며(펌프의 안전한 보호 및 동파 방지), 급수 배관(340)과 연결되어 급수 압력을 승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예로, 펌프(200)는 급수 배관(340)을 분해하여 링크(370-1)를 추가로 설치하고, 공급 튜브(미도시)와 배출 튜브(미도시)로 펌프(200)와 링크(370-1)를 연결함으로써, 급수 배관(34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용수는 링크(370-1)에서 공급 튜브를 통해 펌프(200)로 공급되어 승압된 다음 배출 튜브를 통해 다시 링크(370-1)로 배출되며, 링크(370-1)의 승압된 용수가 조절 밸브(360)에 의해 조절되어 급수 배관(340)을 통해 상향식 배관(400)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에서는 간단한 시공 방법으로, 별도의 설비 없이 펌프(200)만을 설치하여, 건물 급수를 승압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계량함(320)의 외부에 펌프(2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계량함(320)의 내부 구조나, 계량함(320) 내부에 이미 구비된 장치들로 인하여 펌프(200)가 배치될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200)는 계량함(320)의 외부의 특정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링크(370-1)에서 공급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의 관경은 배출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의 관경보다 클 수 있다(이와 달리, 공급 튜브의 관경/관면적을 배출 튜브의 관경/관면적보다 크게할 수도 있음). 즉, 링크(370-1)에서 공급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높아지므로 베르누이의 법칙에 의해서 속도는 작아지지만 압력은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펌프(200)에 승압된 용수가 공급되어 펌프(2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펌프에 물을 대기 위한), 충분한 압력의 용수를 공급하여 펌프(200)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의 또 따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펌프(20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발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에는 전열선이 연결되어 공급 튜브와 배출 튜브에 내장될 수 있다. 펌프(200)는 계량함(320)에서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급 튜브와 배출 튜브가 동파에 취약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에서는 공급 튜브와 배출 튜브가 펌프(200)에 의한 발전기의 자가 발전에 의한 전력으로 전열선에 의해 가열되어 동파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은 공급 튜브 및 배출 튜브 내부의 수온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 튜브 및 배출 튜브 내부의 수온이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은 전열선을 이용하여 공급 튜브 및 배출 튜브를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은 펌프(200)의 동작과, 이에 따른 배출 튜브의 수압 및 물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은 펌프(200)의 동작에 따라 예상되는 범위를 벗어나는 수압 및 물의 속도가 측정되는 경우, 배출 튜브 내에서 물이 얼어붙어 배출 튜브의 관경이 좁아진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녹임으로써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 튜브를 가열할 수 있다.
상향식 배관(400)은 수도 계량기(300)에서 계측되고 승압된 용수가 건물의 개개의 실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승압된 용수는 상향식 배관(400)을 통해 직접 건물의 개개의 실로 직수식으로 공급될 수 있으나(도 1 참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 전기 설비(500)는 펌프(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설비일 수 있다. 일 예로, 펌프(200)는 건물의 분전함, 배전함(500-1) 등에서 별도로 인출된 인출선(500-2)을 통해, 중앙 전기 설비(500)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인출선(500-2)은 이중 주름관 형태로 마련되어, 케이블 전선이 내장된 구조로서, 계량함(320)의 펌프(200)까지 브라켓에 의해 기둥 등에 고정하고 건물 바닥에 매립된 상태로 깔끔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1000)을 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1)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건물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1)은 상수도(100)와 연결되어 건물로 공급되는 용수를 계측하는 수도 계량기(300)와 수도 계량기(300)에 의해 계측된 용수가 건물의 개개의 실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상향식 배관(400)을 포함하는 급수 시스템(1000)에서, 펌프(200)를 설치하여 건물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일 수 있다.
건물의 개개의 실에서 급수 압력이 기준치에 미달되는 실과 연결되는 상향식 배관(400)과 매칭되는 수도 계량기(300)를 오픈하는 단계(S10)는, 건물의 개개의 실의 급수 압력을 측정하여 문제되는 실을 선별한 다음, 복수의 상향식 배관 중 문제되는 실과 연결되는 상향식 배관(400)에 매치되는 수도 계량기(300)를 선택하여 오픈하는 단계일 수 있다.
수도 계량기(300)의 급수 배관(340)을 분해하는 단계(S20)는, 일 예로, 링크(370-1)를 설치하기 위해서, 급수 배관(340)을 계측기(350)로부터 분해하는 단계일 수 있다.
급수 배관(340)에 펌프(200)를 설치하고 결합하는 단계(S30)는, 분해된 급수 배관에 일 예로, 링크(370-1) 등을 설치하고 링크(370-1)를 통해 펌프(200; 가압 펌프)를 급수 배관(340)과 연결한 다음, 펌프(200)와 연결된 급수 배관(340)을 계측기(350)와 연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펌프(200)를 건물의 중앙 전기 설비(500)에 연결하여 작동하는 단계(S40)는, 펌프(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하는 단계일 수 있다.
펌프(200)의 작동 후에 건물의 개개의 실의 수압을 체크하는 단계(S50)는, 펌프(200)가 작동된 다음 문제되는 실의 급수 압력이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체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상수도;
    상기 상수도와 연결되어 건물로 공급되는 용수를 계측하는 수도 계량기;
    상기 수도 계량기에 의해 계측된 용수가 건물의 개개의 실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상향식 배관; 및
    상기 수도 계량기에 설치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상수도와 상기 수도 계량기와 상기 상향식 배관이 완공된 다음 급수 압력이 기준치보다 미달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도 계량기의 배관에 직접 설치되어, 상기 상향식 배관으로 이동하는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유로와, 상기 유로의 용수를 원심력으로 승압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임펠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 계량기는,
    계량함;
    상기 계량함을 커버하는 캡;
    상기 계량함에 배치되며, 상기 상수도와 연결되는 유입 배관;
    상기 계량함에 배치되며, 상기 상향식 배관과 연결되는 급수 배관; 및
    상기 유입 배관과 상기 급수 배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량을 계측하는 계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계량함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캡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급수 배관과 연결되어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급수 배관을 분해하여 링크를 추가로 설치하고, 공급 튜브와 배출 튜브가 상기 펌프와 상기 링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급수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링크에서 상기 공급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의 관경은 상기 배출 튜브와 연결되는 부분의 관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은 상기 펌프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발전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 튜브와 상기 배출 튜브에 삽입되는 전열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 튜브와 상기 배출 튜브는 상기 펌프에 의한 상기 발전기의 자가 발전에 의한 전력으로 상기 전열선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급수 승압 시스템.
  7. 상수도와 연결되어 건물로 공급되는 용수를 계측하는 수도 계량기와 상기 수도 계량기에 의해 계측된 급수가 건물의 개개의 실로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상향식 배관을 포함하는 급수 시스템에서, 펌프를 설치하여 건물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개개의 실에서 급수 압력이 기준치에 미달되는 실과 연결되는 상기 상향식 배관과 매칭되는 상기 수도 계량기를 오픈하는 단계;
    상기 수도 계량기의 급수 배관을 분해하는 단계;
    상기 급수 배관에 펌프를 설치하고 결합하는 단계;
    상기 펌프를 건물의 중앙 전기 설비에 연결하여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의 작동 후에 건물의 개개의 실의 수압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기 위한 시공 방법.
KR1020200026476A 2020-03-03 2020-03-03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KR20200145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76A KR20200145655A (ko) 2020-03-03 2020-03-03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76A KR20200145655A (ko) 2020-03-03 2020-03-03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554A Division KR102086760B1 (ko) 2019-06-20 2019-06-20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55A true KR20200145655A (ko) 2020-12-30

Family

ID=7408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476A KR20200145655A (ko) 2020-03-03 2020-03-03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56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7223B2 (en) Home flood prevention appliance system
US11022124B2 (en) Whole home water appliance system
CN111771112B (zh) 建筑供水的被动泄漏检测
US20110073189A1 (en) Water shut off with flow sensor emergency shut down
JP6832652B2 (ja) 漏水検知システム
EP3710759B1 (en) Integrated leak detection system for water heaters
US20170009432A1 (en) Wireless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Pressure in a Building
KR101954317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KR20200145655A (ko)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KR102086760B1 (ko) 옥외의 수도 계량기에 펌프를 설치 및 매설하여 급수 압력을 승압시키는 건물 급수 시스템과 이의 시공 방법
US9927142B2 (en) Plug and play modular comfort device and interface template adapted to said plug and play modular comfort device
KR100643084B1 (ko)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6193176A (zh) 一种机电安装工程施工方法
KR20130026139A (ko) 배수관의 동파방지장치
CN209280041U (zh) 一种排水管网专用水文观测井
CN219732156U (zh) 一种消防稳压供水系统
KR200413499Y1 (ko) 누수 감지형 급수 급탕용 분배기 함
SE505644C2 (sv) Anordning för att förhindra vattenskador beroende på läckor i ledningssystemckor i ledningssystemet i byggnader
KR102142964B1 (ko) 공동주택의 세대별 난방방식 교체를 위한 시공방법
KR20190107470A (ko) 냉,온수 배관의 동파 방지장치
KR100644923B1 (ko) 누수 감지형 급수 급탕용 분배기 함
WO2018104756A1 (en) Measurement and water supply control system
RU2188359C1 (ru) Квартирная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FI91791B (fi) Menetelmä käyttövesi- ja/tai vesilämmitysputkistojen asentamiseksi rakennukseen sekä kytkentä- ja jakoyksikkö menetelmän toteuttamiseksi
BC Learning Task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