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257A -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257A
KR20200145257A KR1020190074017A KR20190074017A KR20200145257A KR 20200145257 A KR20200145257 A KR 20200145257A KR 1020190074017 A KR1020190074017 A KR 1020190074017A KR 20190074017 A KR20190074017 A KR 20190074017A KR 20200145257 A KR20200145257 A KR 20200145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target
point
analysis
path profile
transmiss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776B1 (ko
Inventor
이은형
이형주
최행근
박재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7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7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은, 송신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의 영역을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분석 대상 영역을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하는 단계; 송신점과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송신점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송신점과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지점에 대응하는 수치 표고 모형(DEM)으로부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여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TH PROFILE}
본 발명은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 전계 강도 커버리지 분석의 속도 향상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삼각화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파분석 시스템의 방사형 분석은 구 좌표계(즉, 경위도 좌표계)를 사용하여 1도 간격의 방위각에 대하여 일정 간격의 해발고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360도를 회전, 모든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한 후 각 지점의 전계 강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분석을 수행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방사형 분석 방식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방사형 분석 방식의 경우 원점(송신점)으로부터 원거리인 경우 분석대상 지점을 무시하는 현상을 발생시켜 누락 지점(1)이 존재하여 분석결과의 신뢰성 저하를 일으키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석 각도를 작게 하면 근거리에서 다량의 중복 분석(2)이 발생하여 분석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사형 분석은 원점을 기준으로 방위각과 거리에 대한 수신점의 상대 위치를 찾아야 하므로 복잡한 연산 처리 과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기존의 방사형 분석은 분석을 위한 설정값에 따라 다른 결과가 계산되며 결과 값이 균일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7547호 (2015년 2월 17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 좌표계 연산에 의한 속도 저하를 방지하며 원거리 분석지점이 무시되는 단점을 제거하고 균일한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연산을 응용, 여러 개의 분석대상 지점에 적용하는 병렬화를 통해 기존의 방사형 전계 강도에 분석에 비해 분석 속도를 단축할 수 있는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바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path profile)을 생성하는 방법은, 송신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의 영역을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을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상기 송신점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응하는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점을 원점으로 하여 서로 직교하는 제 1 축과 제 2 축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고, 상기 빗변과 상기 제 1 축 사이의 각을 내각(internal angle)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은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분되고, 상기 사분면 각각에 대해, 상기 사분면의 각각에 할당된 별개의 처리장치에 의해, 상기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간격은 30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점은 전파 방사를 시작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전계 강도가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반경은 10k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는 정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사각형의 한 변은 30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path profile)을 생성하는 장치는,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분석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는, 송신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의 영역을 상기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을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하고, 상기 송신점과 상기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상기 송신점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송신점과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며, 상기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수치 표고 모형으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전계 강도를 분석하는 전계 강도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프로파일과 상기 전계 강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간격은 30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송신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의 영역을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을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상기 송신점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응하는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석 대상 지점까지의 해발고 추출 과정에서 복잡한 연산을 배제하고 직각 삼각형 및 직각 좌표계, 삼각함수를 사용하여 분석대상 지점의 누락 방지 및 최적의 균일한 분석을 통한 분석속도 향상과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석을 영역(4분면)별로 나누어 병렬처리를 수행하므로 분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방사형 분석 방식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송신점과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분석 대상 영역을 영역(사분면)별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별개의 처리장치에 의해 프로파일 생성을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 생성 장치(100)의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송신점과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 생성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02), 프로파일 생성부(104), 전계 강도 분석부(106), 및 표시부(108)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 프로파일(path profile)이란 송신점과 수신점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선을 일정 간격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지점의 해발고를 읽어 들여, 송신점으로부터의 가로, 세로 방향으로의 지점에 대한 해발고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송신점과 수신점 사이의 경로(path)에 대한 해발고 변화(profile)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로 중간에 산악에 의한 장애점이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2)에는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고자 하는 분석 대상 영역에 대한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치 표고 모형(DEM)이라는 것은 높이의 기준으로부터 측정한 z값을 사용하여 x, y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지형에 대한 높이 값을 수치지도 형식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하는 수치 표고 모형(DEM)이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2)에는 분석 대상 영역을 포함한 국내 또는 국외 전지역에 대한 수치 표고 모형(DEM)이 저장될 수 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방위각과 복잡한 연산을 통해 분석 대상 지점의 위치를 찾아야 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송신점(A)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의 빗변 길이를 갖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상술하면, 먼저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송신점(A)으로부터 기설정된 분석 반경 내의 영역을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송신점(A)은 전파 방사를 시작하는 지점을 의미하며, 기지국이 위치되는 지점일 수 있다. 분석 반경은 예를 들어 10k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분석 대상 영역을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할 수 있다. 격자는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각각의 격자에 대응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30m 일 수도 있으나, 격자의 모양과 크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송신점(A)과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B)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가정한 다음, 송신점(A)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2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분석 간격은 예를 들어 30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석 간격이 30m 이라고 가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대상 지점(20)은 송신점(A)으로부터 30m, 60m, 90m, 120m, 150m 등이 될 수 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송신점(A)과 각각의 분석 대상 지점(20)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점을 원점으로 가정하여 서로 직교하는 제 1 축(402)과 제 2 축(404)을 설정하고, 송신점(A)과 분석 대상 지점(20)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고, 빗변과 제 1 축 사이의 각을 하나의 내각(internal angle)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송신점 위치에 대한 정보, 직각 삼각형의 사이각(i), 빗변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지점에 대응하는 수치 표고 모형(DEM)으로부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분석 조건에 따라, 송신점 위치에 대한 정보, 직각 삼각형의 빗변과 밑변 사이의 사이각(i), 빗변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조건에 따라, 분석각이 송신점에 대해 제 2 축(404)으로부터 30도 떨어진 지점이라고 가정해 보면, 송신점(A)과 제 1 축(402) 사이의 각(i)인 60도를 직각 삼각형의 두 개의 내각 중 하나의 내각으로 하면서 빗변의 길이(즉, 송신점으로부터 분석 대상 지점까지의 거리)가 30m, 60m, 90m, 120m, 150m 인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직각 삼각형을 직각좌표계 및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수치 표고 모형(DEM)에 대응시켜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방위각과 거리에 대한 상대 위치를 찾아야 하는 복잡한 연산 처리를 필요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은 신속하게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분석 대상 영역에서의 격자(B) 이외의 나머지 격자에 대해서도 상술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누락 지점 없이 분석 대상 영역 전체에 대한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분석 대상 영역을 영역(사분면)별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별개의 처리장치에 의해 경로 프로파일 생성을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분석 대상 영역을 제 1 축(502)과 제 2 축(502)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분하고, 사분면 각각에 대해, 사분면의 각각에 할당된 별개의 처리장치에 의해, 분석 대상 지점을 결정하고,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고,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상술한 구성을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분면(506)은 처리장치 1에 할당되고, 제 1 사분면(507)은 처리장치 2에 할당되고, 제 3 사분면(508)은 처리장치 3에 할당되고, 제 4 사분면(510)은 처리장치 4에 할당되어, 병렬 처리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CPU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분석을 영역(4분면)별로 나누어 병렬처리를 수행하므로 분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전계 강도 분석부(106)는 프로파일 생성부(104)에 의해 생성된 경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전계 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전계 강도는 경로 프로파일과 ITU-R에서 제공하는 전파전파 모델 계산수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예컨대, 경로 중간에 장애물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자유공간 손실이라고 하며(ITU-R P.525), 경로 중간에 장애물이 있는 상태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회절손실 (ITU-R P.526) 이라고 하는데, 경로 프로파일에 따른 자유공간 손실 및 회절 손실 등을 고려하여 전계 강도를 분석할 수도 있다. 경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전계 강도를 분석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108)는 프로파일 생성부(104)에 의해 생성된 경로 프로파일과 전계 강도 분석부(106)에 의해 분석된 전계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노면 프로파일 생성 장치(100)의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2)는 송신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의 영역을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610). 송신점(A)은 전파 방사를 시작하는 지점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기지국이 위치되는 지점일 수 있다. 분석 반경은 예를 들어 10k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2)는 설정된 분석 대상 영역을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할 수 있다(S630). 격자는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격자에 대응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예를 들어 30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2)는 송신점(A)과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B)을 연결하는 선을 송신점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S650). 분석 간격은 예를 들어 30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2)는 송신점과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S670). 이 경우, 송신점을 원점으로 가정하여 서로 직교하는 제 1 축(402)과 제 2 축(404)을 설정하고, 송신점(A) 분석 대상 지점(20)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고, 빗변과 제 1 축 사이의 각을 내각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2)는 구성된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수치 표고 모형(DEM)으로부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여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690).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분석 조건에 따라, 송신점 위치에 대한 정보, 직각 삼각형의 사이각(i), 빗변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조건에 따라 격자의 중심점(B)이 제 2 축(404)으로부터 30도 떨어진 지점이라고 가정해 보면, 송신점(A)과 제 1 축(402) 사이의 각인 60도를 하나의 내각으로 하면서 빗변의 길이(즉, 송신점으로부터 분석 대상 지점까지의 거리)가 30m, 60m, 90m, 120m, 150m 인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는, 송신점(A), 사이각(i), 빗변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는 직각 삼각형을 직각좌표계 및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수치 표고 모형(DEM)을 대응시킴으로써, 복잡한 연산 없이도 신속하게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흐름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계 강도 분석부(106)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에 의해 생성된 경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전계 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8)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104)에 의해 생성된 경로 프로파일과 전계 강도 분석부(106)에 의해 분석된 전계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는 구 좌표계 연산에 의한 속도 저하를 방지하며 원거리 분석지점이 무시되는 단점을 제거하고 균일한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는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연산을 응용, 여러 개의 분석대상 지점에 적용하는 병렬화를 통해 기존의 방사형 전계 강도에 분석에 비해 분석 속도를 단축할 수 있는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경로 프로파일 생성 장치
102: 데이터베이스부
104: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
106: 전계 강도 분석부
108: 표시부

Claims (14)

  1. 경로 프로파일(path profile)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송신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의 영역을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을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상기 송신점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응하는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점을 원점으로 하여 서로 직교하는 제 1 축과 제 2 축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고, 상기 빗변과 상기 제 1 축 사이의 각을 내각(internal angle)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은 상기 제 1 축과 상기 제 2 축에 의해 사분면으로 구분되고,
    상기 사분면 각각에 대해, 상기 사분면의 각각에 할당된 별개의 처리장치에 의해, 상기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가 병렬적으로 수행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간격은 30m 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점은 전파 방사를 시작하는 지점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전계 강도가 분석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반경은 10km 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는 정사각형 형태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사각형의 한 변은 30m 인
    경로 프로파일 생성 방법.
  10. 경로 프로파일(path profile)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분석 대상 영역에 대한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 프로파일 생성부는,
    송신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의 영역을 상기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을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하고,
    상기 송신점과 상기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상기 송신점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송신점과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며,
    상기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수치 표고 모형으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한 전계 강도를 분석하는 전계 강도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프로파일과 상기 전계 강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경로 프로파일 생성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간격은 30m 인
    경로 프로파일 생성 장치.
  14.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송신점으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의 영역을 분석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을 복수개의 격자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복수개의 격자 중 하나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을 상기 송신점으로부터 일정한 분석 간격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지점들 각각을 분석 대상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점과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직각 삼각형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여 상기 분석 대상 지점에 대응하는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상기 분석 대상 지점의 해발고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KR1020190074017A 2019-06-21 2019-06-21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1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017A KR102314776B1 (ko) 2019-06-21 2019-06-21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017A KR102314776B1 (ko) 2019-06-21 2019-06-21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257A true KR20200145257A (ko) 2020-12-30
KR102314776B1 KR102314776B1 (ko) 2021-10-19

Family

ID=7408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017A KR102314776B1 (ko) 2019-06-21 2019-06-21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7605A (zh) * 2021-01-15 2021-04-16 航天科工智能运筹与信息安全研究院(武汉)有限公司 面向行业应用的城市信息多级网格的构建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37B1 (ko) * 2004-12-14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선형 데이터의 실시간 3차원 변환 방법 및 장치,그리고 이를 이용한 2차원 선형 데이터의 실시간 3차원시각화 방법 및 장치
KR20140044658A (ko) * 2012-10-05 2014-04-15 티앤비전파기술 주식회사 전파의 전파 경로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140110727A (ko) * 2013-03-07 2014-09-17 (주)씨엠월드 전파분석장치 및 그 전파분석방법
KR20150017547A (ko) 2013-08-07 2015-02-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신설 위치 선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37B1 (ko) * 2004-12-14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선형 데이터의 실시간 3차원 변환 방법 및 장치,그리고 이를 이용한 2차원 선형 데이터의 실시간 3차원시각화 방법 및 장치
KR20140044658A (ko) * 2012-10-05 2014-04-15 티앤비전파기술 주식회사 전파의 전파 경로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140110727A (ko) * 2013-03-07 2014-09-17 (주)씨엠월드 전파분석장치 및 그 전파분석방법
KR20150017547A (ko) 2013-08-07 2015-02-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신설 위치 선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7605A (zh) * 2021-01-15 2021-04-16 航天科工智能运筹与信息安全研究院(武汉)有限公司 面向行业应用的城市信息多级网格的构建方法和装置
CN112667605B (zh) * 2021-01-15 2023-07-28 航天科工智能运筹与信息安全研究院(武汉)有限公司 面向行业应用的城市信息多级网格的构建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776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959B1 (ko)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사이의 매칭 관계를 확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014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autonomous vehicle
US201800810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filtering point cloud data
CN103473955B (zh) 一种基于图论和谱聚类算法的终端扇区划分方法
EP35058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oint cloud data acquisition trajector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EP3454303A1 (en) Filling method and device for invalid region of terrain elevation model data
CN106918819A (zh) 一种激光雷达点云数据障碍检测算法
CN107833279B (zh) 一种基于dem的地形坡度分析方法
CN105372506A (zh) 一种用于区域电磁环境计算的变尺度栅格化方法及系统
JP2021060776A (ja) 空中線抽出システム及び空中線抽出方法
CN102340806A (zh) 一种确定天线方向角的方法和设备
KR20200145257A (ko) 경로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99101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terminal location
JP5451457B2 (ja) 3次元モデル生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25425B1 (ko) 레이더 관측자료 격자화 장치 및 방법
CN112630798B (zh) 用于估计地面的方法和装置
CN104112293A (zh) 一种用于隧道环境的射线追踪加速算法
CN115002671B (zh) 一种蓝牙定位的系统及方法
CN105744533B (zh) 一种邻区确定方法、装置及系统
CN111426329B (zh) 一种道路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5643585A (zh) 一种移动网络信号覆盖盲区计算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07170820A (ja) 三次元変位計測方法
CN114449566A (zh) 射线路径损耗确定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8668309A (zh) 一种干扰源的定位方法、装置及设备
KR20160010721A (ko) 정점과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산출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