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097A -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분쇄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분쇄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097A
KR20200145097A KR1020190073596A KR20190073596A KR20200145097A KR 20200145097 A KR20200145097 A KR 20200145097A KR 1020190073596 A KR1020190073596 A KR 1020190073596A KR 20190073596 A KR20190073596 A KR 20190073596A KR 20200145097 A KR20200145097 A KR 20200145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plunger
piston
refill cartridg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철 안
용일 문
성호 정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7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5097A/ko
Priority to US17/272,745 priority patent/US11294303B2/en
Priority to PCT/US2019/065700 priority patent/WO2020256772A1/en
Publication of KR2020014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토너 리필 카트리지는, 길이방향의 제1단부에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 배출부가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2단부에 인접한 상사 위치로부터 상기 제1단부에 인접한 하사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어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밀어내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상사 위치에 로킹시키는 잠금 부재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제거에 연동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제1단부에 인접한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단부에 인접한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는 분쇄 부재와, 상기 분쇄 부재에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분쇄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Toner refill cartridge with pulverization member activated by elastic force}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현상 카트리지는 토너를 수용하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카트리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탈거되며, 새로운 현상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토너 리필 키트(토너 리필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에 새로운 토너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현상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분쇄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분쇄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런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X1-X1' 단면도이다.
도 10은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현상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와, 본체(1)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의 현상 카트리지(2)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에는 도어(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3)는 본체(1)의 일부를 개폐한다. 도 1에는 본체(1)의 상부를 개방하는 도어(3)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본체(1)의 측부 또는 전부를 개방하는 도어가 채용될 수도 있다. 도어(3)를 열고, 현상 카트리지(2)를 본체(1)에/로부터 장착/탈거할 수 있다.
감광드럼(2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3)는 감광드럼(2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3)에는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23)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22)는 토너를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현상제로서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의 경우, 현상롤러(22)는 회전되는 슬리브와, 슬리브의 내측에 고정적으로(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는 감광드럼(21)으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마그넷의 자기력에 의하여 캐리어가 현상롤러(22)의 외주에 부착되고, 토너는 정전력에 의하여 캐리어에 부착되어 현상롤러(22)의 외주에는 캐리어와 토너로 된 자기 브러쉬가 형성된다. 현상롤러(22)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2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된다.
현상제로서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의 경우, 현상롤러(22)는 감광드럼(21)에 접촉될 수 있으며, 감광드럼(21)으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는 일성분 접촉현상방식이 채용된다. 현상롤러(22)는 도전성 금속 코어(미도시)의 외주에 탄성층(미도시)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현상롤러(22)에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면 현상닙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공급롤러(24)는 토너를 현상롤러(22)에 부착시킨다. 공급롤러(24)에 토너를 현상롤러(22)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25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규제부재(25)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현상롤러(22)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참조부호 26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26)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이하에서,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폐토너로 지칭한다.
광주사기(4)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주사한다. 광주사기(4)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2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5)는 감광드럼(21)과 대향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5)에는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5)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5)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6)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인쇄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2)는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가 설치된 현상부(210)와, 감광드럼(2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용되는 폐토너 챔버(220)와, 현상부(210)와 연결되고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부(230)를 구비한다. 토너 수용부(230)에 토너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현상 카트리지(2)는 토너 수용부(230)와 연결된 토너 충전부(10)를 구비한다. 토너 충전부(10)는 후술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와 현상 카트리지(2)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현상부(210)와, 폐토너 챔버(220)와, 토너 수용부(230)와, 토너 충전부(10)를 구비하는 일체형 현상 카트리지이다.
감광드럼(21)의 외주의 일부분은 현상 카트리지(2)의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 감광드럼(21)의 노출된 부분에 전사롤러(5)가 접촉되어 전사닙을 형성한다. 현상부(21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22) 쪽으로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운반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운반부재는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폐토너 챔버(220)는 현상부(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폐토너 챔버(220)는 현상부(2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광 통로(250)를 형성시킨다. 클리닝 부재(26)에 의하여 감광드럼(2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 챔버(220)에 수용된다.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하나 이상의 폐토너 이송부재(221)(222)(223)에 의하여 폐토너 챔버(220)의 내부로 이송된다. 폐토너 이송부재의 형태와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폐토너 챔버(220)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폐토너를 폐토너 챔버(220) 내부에 분산시킬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폐토너 이송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토너 수용부(230)는 토너 충전부(10)와 연결되어 토너를 수용한다. 토너 수용부(230)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부(234)에 의하여 현상부(210)와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부(234)는 폐토너 챔버(2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현상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토너 공급부(234)는 광주사기(4)에 의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주사되는 노광 광(L)과 간섭되지 않도록 노광 광(L)의 유효 폭의 외측에 위치된다.
토너 수용부(230)에는 토너를 토너 공급부(234)를 통하여 현상부(210)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너 공급부재(231)(232)(233)가 설치될 수 있다. 토너 공급 부재의 형태와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토너 수용부(230)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토너를 현상부(210)로 공급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부(230)에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토너 공급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토너 공급부재(233)는 토너를 주주사 방향으로 운반하여, 토너 공급부(234)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3)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2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기(4)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공급롤러(24)는 토너를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규제부재(25)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22)에는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22)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되어 감광드럼(2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71)에 의하여 적재수단(7)으로부터 인출된 인쇄매체(P)는 이송롤러(72)에 의하여 전사롤러(5)와 감광드럼(2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5)에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인쇄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6)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인쇄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73)에 의하여 배출된다. 인쇄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26)에 의하여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는 토너 수용부(230)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2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며, 본체(1)에 착탈 가능하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2)는 토너를 재충전할 수 있는 토너 충전부(10)를 구비한다. 토너 충전부(10)는 현상 카트리지(2)와 일체로 형성되어 현상 카트리지(2)와 함께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 카트리지(2)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를 현상 카트리지(2)에 재충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토너 리필 카트리지(9)는 내부에 토너가 수용되며 토너 배출부(94)를 구비하는 몸체(91)와, 몸체(91)에 길이방향(A)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토너를 몸체(91)로 외부로 밀어내는 플런저(plunger)(93)를 구비하는 주사기형(syringe) 토너 리필 카트리지일 수 있다. 토너 배출부(94)는 몸체(91)의 선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몸체(91)의 선단부에는 토너 배출부(9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 셔터(도 4: 95)가 마련될 수 있다. 주사기형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서, 플런저(93)는 초기에는 상사 위치(도 1: Q1)에 위치될 수 있다. 토너 수용부(230)에 토너를 충전하기 위하여 플런저(93)는 하사 위치(도 1: Q2)로 이동될 수 있다.
본체(1)에는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의 외부로부터 토너 충전부(1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연통부(8)가 마련된다. 연통부(8)는 본체(1)의 전면부(1-2)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전면부(1-2)는 사용자와 대향되므로, 사용자가 연통부(8)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연통부(8)를 통한 토너 재충전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연통부(8)는 본체(1)의 상면(1-1)에 마련될 수 있다. 토너 충전부(10)는 연통부(8)의 하부에 위치된다. 연통부(8)와 토너 충전부(10)는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토너 리필 카트리지(9)는 본체(1)의 상방으로부터 연통부(8)를 통하여 토너 충전부(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본체(1)의 상방으로부터 연통부(8)에 삽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리필 카트리지(9)가 토너 충전부(10)와 연결될 수 있다. 토너 리필 카트리지(9)가 토너 충전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플런저(93)를 길이방향(A)으로 누르면, 몸체(91)에 수용된 토너가 토너 배출부(94)를 통하여 배출되어 토너 충전부(10)를 통하여 현상 카트리지(2)의 토너 수용부(230)로 공급될 수 있다. 토너 리필 카트리지(9)는 토너 재충전 후에는 연통부(8)로부터 탈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토너 충전부(10)를 통하여 토너 수용부(230)에 토너를 재충전할 수 있으므로, 현상 카트리지(2)의 교체 시기를 감광드럼(21)의 수명이 다하는 때까지 연장할 수 있어, 장당 인쇄비의 절감이 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의 재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토너 리필 카트리지(9)가 장기간 방치되면, 몸체(91) 내부의 토너가 다져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토너의 유동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플런저(93)를 누르더라 토너가 토너 배출부(94)로 잘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가 장착되어 리필 작업이 수행되면, 정해진 양의 토너가 현상 카트리지(2)에 충전되었다고 인식한다. 그런데, 토너의 다져짐(packing)이 제대로 해소되지 않으면, 정해진 양보다 적은 양의 토너가 현상 카트리지(2)에 충전될 수 있다.
고온, 고습 환경에서 다져진 토너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충분히 흔들지 않으면 토너 유동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토너의 다져짐을 해소하기 위해 몸체(91) 내부에 중량체를 넣을 수 있다. 사용자가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흔들 때에 중량체가 몸체(91)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토너의 다져짐이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충분히 흔들지 않거나, 아예 흔들지 않는 경우에는 토너의 다져짐이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너 리필 카트리지(9)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분쇄 부재(97)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토너 리필 카트리지(9)는, 몸체(91), 플런저(93), 잠금 부재(96), 분쇄 부재(97), 및 탄성 부재(98)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91)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한다. 몸체(91)의 길이방향(A)의 제1단부(911)에는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 배출부(94)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몸체(91)는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부(92)와, 토너 수용부(92)의 길이 방향(A)의 일단부, 즉 제1단부(911)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토너 배출부(94)를 구비할 수 있다.
플런저(93)는 길이방향(A)으로 제1단부(911)의 반대쪽인 몸체(91)의 제2단부(912)에 인접한 상사 위치(Q1)로부터 제1단부(911)에 인접한 하사 위치(Q2)로 이동가능하게 몸체(91) 내부에 삽입되어 토너를 토너 배출부(94)를 통하여 외부로 밀어낸다. 예를 들어, 플런저(93)는 길이방향(A)으로 상사 위치(Q1)로부터 하사 위치(Q2)로 이동가능하게 토너 수용부(92)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플런저(93)는 길이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며 중공부(933)를 구비하는 피스톤(931)과, 피스톤(931)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피스톤(931)이 상사 위치(Q1)로부터 하사 위치(Q2)로 이동될 때에 토너를 토너 배출부(94)로 미는 패킹 부재(932)를 구비할 수 있다. 패킹 부재(932)는 토너 수용부(92)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 부재(96)는 플런저(93)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런저(93)를 상사 위치(Q1)에 로킹시킨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96)는 피스톤(931)에 마련된 잠금구(93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962)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피스톤(931)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9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93)가 상사 위치(Q1)에 위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A)으로 눌리면, 손잡이(961)가 몸체(91)의 제2단부(912)에 걸린다. 따라서, 플런저(93)가 길이방향(A)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사 위치(Q1)에 유지될 수 있다.
분쇄 부재(97)는 몸체(91)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971)를 구비하며, 잠금 부재(96)의 제거에 연동하여 날개부(971)가 제1단부(911)에 인접한 제1위치로부터 제2단부(912)에 인접한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플런저(93)에 설치된다. 탄성 부재(98)는 분쇄 부재(97)에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예를 들어, 패킹 부재(932)에는 피스톤(931)의 중공부(933)와 연통된 관통공(935)이 마련될 수 있다. 분쇄 부재(97)는 승강 지지대(972)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는 관통공(935)을 통하여 중공부(933) 내부로 삽입된다. 승강 지지대(972)의 타단부는 몸체(91)의 내부, 즉 토너 수용부(92)에 삽입된다. 승강 지지대(972)의 타단부에는 날개부(971)가 마련된다. 날개부(971)는 승강 지지대(972)의 타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날개부(971)가 도시되어 있으나, 날개부(971)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98)는 중공부(933)의 내부에 위치된다.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에는 고정판(973)이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98)는 예를 들어, 고정판(973)과 피스톤(931)의 일단부 사이에 지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931)의 일단부에는 고정판(973)과 대향하여 탄성 부재(98)를 지지하는 지지판(936)이 마련될 수 있다.
피스톤(931)의 일단부에는 승강 지지대(972)가 중공부(93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935)과 정렬되고 중공부(933) 내부로 연장된 연장부(937)가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937)에는 토너가 중공부(933)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실링부재(99)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99)는 예를 들어 연장부(937)의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를 관통공(935) 및 연장부(937)를 통하여 중공부(933) 내부로 삽입한다. 피스톤(931)의 타단부로부터 중공부(933)에 지지판(936), 탄성 부재(98), 및 고정판(973)을 차례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고정판(973)을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에 고정한다. 예를 들어, 고정판(973)은 스크류(974)에 의하여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판(973)을 눌러 탄성 부재(98)를 압축한 상태에서 잠금 부재(96)의 삽입 돌기(962)를 피스톤(931)에 마련된 잠금구(934)에 삽입한다. 그러면, 고정판(973)이 삽입 돌기(962)에 걸리고, 분쇄 부재(97)는 제1위치에 로킹된다. 이와 같이, 잠금 부재(96)는 플런저(93)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쇄 부재(97)를 제1위치에 로킹시킨다. 그런 다음, 덮개(937)를 피스톤(931)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중공부(933)를 막는다. 이에 의하여 플런저(93)와 분쇄 부재(97)의 조립체가 구현된다.
다음으로, 조립체를 몸체(91)에 결합한다. 날개부(971)가 몸체(91)의 내부, 다시 말하면 토너 수용부(92)에 삽입된다. 패킹 부재(932)는 토너 수용부(92)에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96)가 몸체(91)의 제2단부(912)에 걸려서 플런저(93)는 상사 위치(Q1)에 로킹되며, 분쇄 부재(97)는 제1위치에 로킹된다.
도 7은 분쇄 부재(97)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런저(93)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토너 리필 카트리지(9)에 의한 토너 리필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잠금 부재(96)가 플런저(93)에 결합되어 있으며, 플런저(93)는 상사 위치(Q1)에, 분쇄 부재(97)는 제1위치에 로킹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플런저(93)를 누르더라도 잠금 부재(96)가 몸체(91)의 제2단부(912)에 걸리므로 플런저(93)가 하사 위치(Q2)로 이동될 수 없다.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본체(1)의 연통부(8)에 삽입하기 전에, 또는 삽입한 후에 잠금 부재(96)를 플런저(93)로부터 제거한다. 손잡이(961)를 당겨 삽입 돌기(962)를 잠금구(934)로부터 빼낸다. 그러면, 고정판(973)이 잠금 부재(96)의 삽입 돌기(962)로부터 해제되고, 압축 상태의 탄성 부재(98)가 인장되면서 탄성 부재(98)가 고정판(973)을 길이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민다. 날개부(971)는 제1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이동된다. 제2위치는 예를 들어, 날개부(971)가 패킹 부재(932)에 접촉된 위치일 수 있다. 탄성 부재(98)의 탄성력에 의하여 날개부(971)는 제2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날개부(971)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날개부(971)는 토너 수용부(92) 내부에 채워진 토너 사이를 통과하면서 토너의 다져짐을 해소시킨다. 이에 의하여 몸체(91) 내부에 충전된 토너의 유동성이 증가될 수 있다.
잠금 부재(96)가 플런저(93)로부터 제거되었으므로, 플런저(93)의 잠금이 해제되어 플런저(93)는 하사 위치(Q2)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93)를 눌러서 토너를 현상 카트리지(2)에 충전할 수 있다. 토너의 다져짐이 해소되었으므로, 플런저(93)는 용이하게 하사 위치(Q2)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후 몸체(91) 내부에 잔류되는 토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분쇄 부재(97)를 채용함으로써, 몸체(91)에 수용된 토너의 다져짐을 해소하여 충전 후 몸체(91) 내부에 잔류되는 토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토너 리필에 의하여 충전되는 토너의 양이 일정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잔량 게이지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부재(96)를 플런저(93)로부터 제거하여 플런저(93)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분쇄 부재(97)를 채용함으로써, 토너의 다져짐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런저(93)를 누를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탄성 부재(98)가 중공부(933) 내부에 위치되므로 탄성 부재(98)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분쇄 부재(97)가 전체적으로 플런저(93) 내부 및 몸체(91) 내부에 수용되므로, 토너의 다져짐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토너와 접촉된 분쇄 부재(9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누출 또는 토너에 의한 토너 리필 카트리지(9)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1)의 오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실링 부재(99)를 채용함으로써 토너 누출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플런저(93)의 중공부(933)를 덮는 덮개(937)를 채용하여 토너 누출 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96)가 플런저(93)를 상사 위치(Q1)에 로킹시키는 기능과 분쇄 부재(97)를 제1위치에 로킹시키는 기능을 겸하고 있으나, 잠금 부재(96)은 분쇄 부재(97)를 제1위치에 로킹시키는 기능만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잠금 부재(96)를 제거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토너의 다져짐이 해소될 수 있으므로, 토너 리필 카트리지(9)를 수 회 흔드는 등의 다져짐 해소 동작에 비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플런저(93)를 상사 위치(Q1)에 로킹시키는 별도의 잠금 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X1-X1'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날개부(971)는 몸체(91)의 제2단부(912)와 대향되는 상단부(971a)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단면 감소부(971b)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쇄 부재(97)가 토너를 헤치면서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날개부(971)의 상단부(971a)는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날개부(971)는 상단부(971a)가 패킹 부재(932)에 접촉될 때까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971)의 상단부(971a)에 토너가 쌓이면 날개부(971)의 상단부(971a)와 패킹 부재(932) 사이에 토너가 끼어서 날개부(971)가 패킹 부재(932)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플런저(93)는 날개부(971)가 몸체(91)의 제1단부(911)에 닿을 때까지 하사 위치(Q2)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는데, 날개부(971)가 패킹 부재(932)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 플런저(93)가 하사 위치(Q2)까지 완전히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971)의 상단부(971a)는 라운드 형상이므로 토너가 상단부(971a)로부터 미끄러지므로 상단부(971a)에 토너가 쌓일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93)가 하사 위치(Q2)까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971)는 도 9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감소부(971b)의 반대쪽에 폭이 일정한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도 9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점차 감소하는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날개부(971)의 단면 형상은 원형, 장축이 몸체(91)의 제1, 제2단부(911)(912)를 향하는 타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10은 토너 리필 카트리지(9a)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토너 리필 카트리지(9a)는 탄성 부재로서 탄력 밴드(98a)를 채용한 점에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토너 리필 카트리지(9)와 차이가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력 밴드(98a)는 피스톤(931)의 타단부(938), 즉 패킹 부재(932)가 설치된 일단부의 반대쪽 단부와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972a), 즉 날개부(971)의 반대쪽 단부에 걸린다. 피스톤(931)의 타단부(938)에는 탄력 밴드(98a)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938a)가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972a)에 고정판(973)이 결합되고, 고정판(973)에 탄력 밴드(98a)가 걸리는 걸림턱(973a)이 마련될 수 있다. 탄력 밴드(98a)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채용될 수 있다. 분쇄 부재(97)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탄력 밴드(98a)는 인장 상태가 되며, 분쇄 부재(97)에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잠금 부재(96)를 플런저(93)로부터 제거하면, 탄력 밴드(98a)가 수축된다. 따라서, 탄력 밴드(98a)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분쇄 부재(97)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은 토너 리필 카트리지(9b)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토너 리필 카트리지(9b)는 탄성 부재로서 탄력 밴드(98a)를 채용하고, 탄력 밴드(98a)가 걸치는 걸림턱(937a)를 덮개(937)에 마련한 점에서 도 10에 도시된 토너 리필 카트리지(9a)와 차이가 있다. 도 4 내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탄력 밴드(98a)는 피스톤(931)의 타단부(938), 즉 패킹 부재(932)가 설치된 일단부의 반대쪽 단부와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972a), 즉 날개부(971)의 반대쪽 단부에 걸린다. 피스톤(931)의 타단부(938)를 덮는 덮개(937)에는 탄력 밴드(98a)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937a)가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지지대(972)의 일단부(972a)에 고정판(973)이 결합되고, 고정판(973)에 탄력 밴드(98a)가 걸리는 걸림턱(973a)이 마련될 수 있다. 탄력 밴드(98a)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채용될 수 있다. 분쇄 부재(97)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탄력 밴드(98a)는 인장 상태가 되며, 분쇄 부재(97)에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잠금 부재(96)를 플런저(93)로부터 제거하면, 탄력 밴드(98a)가 수축된다. 따라서, 탄력 밴드(98a)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분쇄 부재(97)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며, 길이방향의 제1단부에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 배출부가 마련된 몸체;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단부의 반대쪽인 상기 몸체의 제2단부에 인접한 상사 위치로부터 상기 제1단부에 인접한 하사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어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밀어내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상사 위치에 로킹시키는 잠금 부재;
    상기 몸체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제거에 연동하여 상기 날개부가 상기 제1단부에 인접한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단부에 인접한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는 분쇄 부재;
    상기 분쇄 부재에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단부와 대향되는 상단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단면 감소부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상기 제2단부와 대향되는 상단부는 라운드 형상인 토너 리필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분쇄 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 로킹시키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중공부를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상사 위치로부터 상기 하사 위치로 이동될 때에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부로 밀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타단부에 상기 날개부가 마련된 승강 지지대와, 상기 승강 지지대의 일단부에 마련된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지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고정판에 걸리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는 상기 승강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과 정렬되고 상기 중공부 내부로 연장된 연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토너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실링 부재가 마련된 토너 리필 가트리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를 막은 덮개;를 포함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승강 지지대의 타단부에 나사에 의하여 결합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중공부를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상사 위치로부터 상기 하사 위치로 이동될 때에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부로 밀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타단부에 상기 날개부가 마련된 승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승강 지지대에 걸리는 탄력 밴드를 포함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11.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토너 배출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사 위치로부터 하사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토너 수용부에 삽입되어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밀어내는 플런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승강 지지대와 상기 승강 지지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가 상기 토너 배출부에 인접한 제1위치와 상기 날개부가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 인접한 제2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는 분쇄 부재;
    상기 분쇄 부재에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플런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쇄 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 로킹시키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중공부를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상사 위치로부터 상기 하사 위치로 이동될 때에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부로 밀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된 관통공을 구비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지지대의 일단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 지지대의 타단부에 상기 날개부가 마련된 토너 리필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패킹 부재와 대향되는 상단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단면 감소부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플런저를 상기 상사 위치에 로킹시키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KR1020190073596A 2019-06-20 2019-06-20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분쇄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KR20200145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596A KR20200145097A (ko) 2019-06-20 2019-06-20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분쇄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US17/272,745 US11294303B2 (en) 2019-06-20 2019-12-11 Toner refill cartridge with pulverization member activated by elastic force
PCT/US2019/065700 WO2020256772A1 (en) 2019-06-20 2019-12-11 Toner refill cartridge with pulverization member activated by elastic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596A KR20200145097A (ko) 2019-06-20 2019-06-20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분쇄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97A true KR20200145097A (ko) 2020-12-30

Family

ID=7404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596A KR20200145097A (ko) 2019-06-20 2019-06-20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분쇄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94303B2 (ko)
KR (1) KR20200145097A (ko)
WO (1) WO20202567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19U (ko)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맨홀 뚜껑 개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352A1 (en) * 2021-02-26 2022-09-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fill apparatus including interlock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0820A (en) 1992-04-22 1996-04-23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ink refill of a reservoir in a print cartridge
JP2000019826A (ja) 1998-07-02 2000-01-21 Canon Inc トナーの充填方法および装置ユニット
US6484764B1 (en) 2001-12-19 2002-11-26 Xerox Corporation Filling apparatus having an even-filling nozzle
US6862420B1 (en) 2003-09-26 2005-03-01 Xerox Corporation Toner container cartridge and refilling apparatus
KR101076035B1 (ko) 2005-02-01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KR100633142B1 (ko) 2005-06-29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충전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현상제 충전시스템
JP6028334B2 (ja) 2012-01-23 2016-11-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用篩装置、現像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方法
JP5857783B2 (ja) 2012-02-17 2016-02-10 株式会社リコー ノズル、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導出方法
CN107643663A (zh) 2017-11-06 2018-01-30 北海市天硌打印耗材有限公司 硒鼓易加粉直插式墨粉瓶
US11803133B2 (en) * 2018-08-30 2023-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refill devices
KR20200025329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주사기형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플런저 로킹 구조
KR20200025354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확장 가능한 플런저를 갖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KR20200025331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셔터 구조
KR20200025347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카트리지와 토너 충전부와의 인터페이스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19U (ko)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맨홀 뚜껑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94303B2 (en) 2022-04-05
WO2020256772A1 (en) 2020-12-24
US20210318641A1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9754B2 (en) Structure for selectively locking toner inlet shutter of toner refill portion
US11126113B2 (en) Structure for releasing internal pressure in development cartridge when refilling toner
US11209753B2 (en) Toner refill cartridge with extendable plunger
KR20200145097A (ko)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분쇄 부재를 구비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KR102390146B1 (ko) 본체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전하는 구조
US11294301B2 (en) Detecting toner injection amount of toner refill cartridge
CN112313584B (zh) 注射器型调色剂再填充盒中的柱塞锁定结构
KR20210035573A (ko) 토너 자동 주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KR20200025347A (ko) 토너 리필 카트리지와 토너 충전부와의 인터페이스 구조
US11281125B2 (en) Toner refill cartridg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toner discharging part from being blocked by weight part
CN112055690B (zh) 用于调色剂再填充盒的挡板结构
US11397390B2 (en) Toner refill cartridge with a spiral portion to move a plunger
US11199791B2 (en) Structure to selectively expose grip portion of toner cart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