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029A - 캐리어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029A
KR20200145029A KR1020190073400A KR20190073400A KR20200145029A KR 20200145029 A KR20200145029 A KR 20200145029A KR 1020190073400 A KR1020190073400 A KR 1020190073400A KR 20190073400 A KR20190073400 A KR 20190073400A KR 20200145029 A KR20200145029 A KR 2020014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hook
clamping device
lock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069B1 (ko
Inventor
오아름
Original Assignee
오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아름 filed Critical 오아름
Priority to KR102019007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0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45C13/1084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of the latch-and-c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캐리어의 외면에 구비되며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 제2캐리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후크부재가 구속되는 제1위치와 후크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록킹부재, 록킹부재가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베이스부재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조작부재,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둘레를 따라 캠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전하며 록킹부재를 선택적으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캐리어의 합체 및 분리 과정을 간소화하고, 구조를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클램핑 장치{APPARATUS FOR CLAMPING FOR 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행 등 장기간 체류를 위한 짐을 운반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진다.
그런데, 운반하고자 하는 짐의 양이 하나의 캐리어가 수용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경우에는, 복수개의 캐리어를 양손에 파지하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운반하고자 하는 짐의 양에 따라 복수개의 캐리어가 사용될 때, 복수개의 캐리어를 한 손으로 이동 및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캐리어를 하나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개의 캐리어를 하나로 합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합체 및 분리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하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고,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클램핑 장치는, 제1캐리어의 외면에 구비되며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 제2캐리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후크부재가 구속되는 제1위치와 후크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록킹부재, 록킹부재가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베이스부재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조작부재,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둘레를 따라 캠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전하며 록킹부재를 선택적으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한다.
이는, 복수개의 캐리어의 합체 및 분리 과정을 간소화하면서, 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운반하고자 하는 짐의 양이 하나의 캐리어가 수용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경우에는, 복수개의 캐리어를 양손에 파지하고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복수개의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합체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개의 캐리어를 한 손으로 이동 및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회전조작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해 록킹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후크부재를 구속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클램핑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 및 두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록킹부재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다 함은, 록킹부재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직선 이동하거나 곡선 이동(또는 회전 이동)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록킹부재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또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후크부재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단부에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되, 제1위치에서 헤드부는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고, 록킹부재는 헤드부를 구속한다.
바람직하게, 록킹부재는 후크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또한, 캐리어 클램핑 장치는 록킹부재가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로서는 판스프링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로서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탄성부재의 배치 및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조작부재는 제2캐리어의 외면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직선이동부재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은 전환부재를 매개로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부재의 일단은 회전조작부재에 연결되고, 전환부재의 다른 일단은 직선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록킹부재에는 가이드롤러가 결합되고, 가이드롤러는 캠프로파일을 따라 이동하며 록킹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캠프로파일은, 산부 및 산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캐리어의 외면에 구비되는 후크부재의 돌출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후크부재에 의한 결속(록킹부재와 후크부재의 구속)을 보장하면서, 후크부재에 의한 걸림 및 간섭을 억제하고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제1캐리어와 제2캐리어를 합체하기 위해서는 후크부재가 제1캐리어의 외면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제1캐리어만을 단독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캐리어의 외면에 돌출된 후크부재에 의해 걸림 및 간섭이 발생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며, 제1캐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후크부재의 돌출 정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말해서, 캐리어들 간의 결합시에는 후크부재가 돌출되게 배치되고, 캐리어를 분리하여 단독적으로 사용할 시에는 후크부재의 돌출 정도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후크부재에 의한 걸림 및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돌출된 후크부재에 의한 디자인 특성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크 어셈블리는, 제1캐리어에 장착되며, 후크부재가 제1캐리어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위치와 제1캐리어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후크 어셈블리는, 후크부재가 돌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후크 어셈블리는, 돌출위치 및 밀착위치에서 후크부재를 수용부재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후크부재의 돌출위치 및 밀착위치가 구속부재에 의해 구속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후크부재의 돌출위치 및 밀착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구속부재는, 미리 정의된 절곡점(knuckle point)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하게 몸체부에 결합되는 탄성절곡부, 및 탄성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수용부재에는 돌출위치에서 고정핀이 고정되는 제1고정홀, 및 밀착위치에서 고정핀이 고정되는 제2고정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크 어셈블리는, 구속부재에 의한 후크부재의 구속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언록킹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록킹부재는 절곡점을 기준으로 탄성절곡부를 푸시 가능하게 헤드부에 결합되고, 언록킹부재에는 탄성절곡부의 접힘을 안내하는 접힘안내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접힘안내홀은 절곡점이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언록킹부재가 탄성절곡부를 푸시하면, 탄성절곡부가 접힘안내홀을 따라 접혀지며 고정핀이 제1고정홀 또는 제2고정홀에서 인출된다.
또한, 후크부재는 수용부재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고정홀은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고정홀은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후크 어셈블리는, 수용부재에 대한 후크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는, 수용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홀, 및 몸체부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홀은, 수용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가이드 레일홀, 및 제1가이드 레일홀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용부재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가이드 레일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분야에 따르면, 클램핑 장치는, 제1피대상체의 외면에 구비되며,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 제2피대상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후크부재가 구속되는 제1위치와 상기 후크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조작부재; 상기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둘레를 따라 캠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록킹부재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피대상체 및 제2피대상체라 함은, 통상의 가방(캐리어)뿐만 아니라 상호 조립(결합)될 수 있는 여타 다른 대상체(예를 들어, 박스, 용기 등)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하나로 조립하여 사용 및 조작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캐리어를 하나로 합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합체 및 분리 과정을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를 간소화하고, 장치를 소형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고,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가 적용된 캐리어의 조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부재의 록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부재의 록킹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 어셈블리의 후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구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 어셈블리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가 적용된 캐리어의 조립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부재의 록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부재의 록킹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는, 제1캐리어(20)의 외면에 구비되며 후크부재(1210)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1200), 제2캐리어(10)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1110), 후크부재(1210)가 구속되는 제1위치와 후크부재(1210)와 구속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부재(1110)에 결합되는 록킹부재(1120), 록킹부재(1120)가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30), 베이스부재(1110)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조작부재(1140), 회전조작부재(114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1150), 및 둘레를 따라 캠프로파일(1162)이 형성되며 직선이동부재(1150)의 직선 이동에 의해 베이스부재(1110)에 대해 회전하며 록킹부재(1120)를 선택적으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116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캐리어(20)와 제2캐리어(10) 중 어느 하나는 메인 캐리어(기본 캐리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캐리어(20)와 제2캐리어(10) 중 다른 하나는 메인 캐리어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보조 캐리어의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캐리어(20)와 제2캐리어(10)는 서로 분리하여 각각 단독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캐리어(10)의 사이즈, 제1 및 제2캐리어(10)의 개수 및 결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캐리어(10)의 사이즈 및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제2캐리어(10)를 메인 캐리어로 사용하고, 제1캐리어(20)와 제3캐리어(30)를 보조 캐리어로 사용하되, 제1캐리어(20)(및/또는 제3캐리어)에 후크부재(200)가 마련되고, 제2캐리어(10)에 록킹부재(100)가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캐리어에 록킹부재를 마련하고, 제2캐리어에 후크부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크 어셈블리(1200)는 제1캐리어(20)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후크부재(1210)를 포함한다.
후크부재(1210)는 록킹부재(1120)에 걸림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부재(121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후크부재(1210)는, 몸체부(1212), 및 몸체부(1212)의 단부에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1214)(예를 들어,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헤드부)를 포함하되, 헤드부(1214)는 록킹부재(1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으며, 헤드부(1214)의 선단에는 록킹부재(1120)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안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110)는 제2캐리어(10)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베이스부재(1110)의 형태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1110)에는 후크부재(1210)의 헤드부(1214)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1112)가 형성된다.
록킹부재(1120)는 후크부재(1210)가 구속되는 제1위치와 후크부재(1210)와의 구속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부재(1110)에 결합된다.
여기서, 록킹부재(112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다 함은, 록킹부재(112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직선 이동하거나 곡선 이동(또는 회전 이동)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록킹부재(1120)는 베이스부재(1110) 상에서 좌우 방향(도 3 기준)을 따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또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재(1110)에는 록킹부재(112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직선 이동 가이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록킹부재(1120)는 후크부재(1210)의 헤드부(1214)를 양측에서 구속할 수 있도록 헤드부(1214)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 하나의 록킹부재에 의해 후크부재가 구속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회전조작부재(1140)를 기준으로 회전조작부재(114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의 록킹부재(1120)가 마련되고, 좌우 한 쌍의 록킹부재(11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회전조작부재(1140) 의해 연동되는 캠부재(1160)(좌측 상부 캠부재, 좌측 하부 캠부재, 우측 상부 캠부재, 우측 하부 캠부재)가 각각 마련되되, 각 캠부재(1160)는 회전조작부재(114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동시에 연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1130)는 록킹부재(1120)가 제1위치(후크부재(1210)를 구속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록킹부재(1120)에 외력(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록킹부재(1120)는 탄성부재(11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록킹부재(1120)가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함은, 록킹부재(1120)에 외력(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을 시, 탄성부재(1130)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부재(1120)가 제1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탄성부재(1130)는 록킹부재(11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록킹부재(1120)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130)로서는 록킹부재(1120)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한 다양한 스프링 또는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1130)로서는 호 형상의 판스프링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130)로서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탄성부재(1130)의 배치 및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과 같은 여타 다른 스프링 또는 탄성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조작부재(1140)는 베이스부재(1110)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조작부재(114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베이스부재(1110)에 결합되며, 회전조작부재(1140)의 단부에는 손잡이(미도시) 또는 그립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조작부재(1140)는 제2캐리어(10)의 외면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일 예로, 연결부재는 제2캐리어(10)의 상면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직선이동부재(1150)는 회전조작부재(1140)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부재(1110) 상에서 직선 이동(예를 들어, 록킹부재(1120)의 이동 방향을 따른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직선이동부재(115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조작부재(114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조작부재(1140)의 회전은 전환부재(1142)를 매개로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부재(1142)의 일단은 회전조작부재(1140)에 연결되고, 전환부재(1142)의 다른 일단(또는 전환부재(1142)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연결부위)은 직선이동부재(1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환부재(1142)를 매개로 회전조작부재(1140)의 회전이 직선이동부재(1150)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어 조합(랙기어 및 피니언 기어) 또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을 직선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선이동부재(1150)의 직선 이동에 의해 베이스부재(1110)에 대해 회전하며 록킹부재(1120)를 선택적으로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며, 그 둘레면에는 반경 방향(베이스부재(1110)에 대한 캠부재(116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는 캠프로파일(1162)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캠부재(1160)는 베이스부재(1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직선이동부재(1150)의 일단은 캠부재(1160)의 회전 중심(베이스부재(1110)에 대한 캠부재(116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편심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직선이동부재(1150)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캠부재(1160)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록킹부재(1120)에는 가이드롤러(1122)가 결합되고, 가이드롤러(1122)는 캠프로파일(1162)을 따라 이동하며 록킹부재(1120)를 이동(제1위치→제2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록킹부재(1120)의 일단 및 다른 일단에 각각 가이드롤러(1122)가 마련되고, 각 가이드롤러(1122)가 별도의 캠부재(1160)에 의해 이동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캠프로파일(1162)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캠프로파일(1162)은, 산부(1162a) 및 산부(1162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골부(1162b)를 포함하는 대략 "V" 형상의 캠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산부(1162a)라 함은, 베이스부재(1110)에 대한 캠부재(116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골부(1162b)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캠면으로 이해될 수 있고, 골부(1162b)는 산부(1162a)에 비해 회전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캠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캠부재(1160)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록킹부재(1120)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캠부재(116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록킹부재(1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산부(1162a) 및 골부(116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1캐리어(20)의 후크부재(1210)가 베이스부재(1110)에 형성된 수용부(1112)에 수용되고, 록킹부재(1120)가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제1캐리어(20)와 제2캐리어(10)가 합체된 상태가 구속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1캐리어(20)의 후크부재(1210)는 록킹부재(1120)를 제2위치로 탄성적으로 밀어내며 수용부(1112)에 수용될 수 있고, 후크부재(1210)가 수용부(1112)에 수용된 후에는, 록킹부재(1120)가 탄성부재(11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후크부재(1210)가 록킹부재(1120)에 구속된다.
반면,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조작부재(1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도 5 기준)하면, 전환부재(11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전환부재(1142)에 연결된 직선이동부재(1150)가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직선이동부재(1150)가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캠부재(1160)는 회전 중심(베이스부재(1110)에 대한 캠부재(116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캠부재(1160)의 회전에 대응하여 록킹부재(1120)에 결합된 가이드롤러(1122)는 캠부재(1160)의 캠프로파일(1162)을 따라 이동하며 록킹부재(1120)를 이동(제1위치→제2위치)시킴으로써, 후크부재(1210)와 록킹부재(112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후크부재(1210)와 록킹부재(1120)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후크부재(1210)를 수용부(1112)에서부터 빼내어 제1캐리어(20)와 제2캐리어(10)를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조작부재(1140)의 회전 조작이 해제되면, 록킹부재(1120)는 탄성부재(113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1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 어셈블리의 후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구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클램핑 장치로서, 후크 어셈블리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캐리어(20)의 외면에 구비되는 후크부재(1210)가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캐리어의 외면에 구비되는 후크부재의 돌출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후크부재(1210)에 의한 결속(록킹부재와 후크부재의 구속)을 보장하면서, 후크부재(1210)에 의한 걸림 및 간섭을 억제하고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제1캐리어(20)와 제2캐리어(10)를 합체하기 위해서는 후크부재(1210)가 제1캐리어(20)의 외면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제1캐리어(20)만을 단독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캐리어(20)의 외면에 돌출된 후크부재(1210)에 의해 걸림 및 간섭이 발생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며, 제1캐리어(20)의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후크부재(1210)의 돌출 정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말해서, 캐리어들 간의 결합시에는 후크부재(1210)가 돌출되게 배치되고, 캐리어를 분리하여 단독적으로 사용할 시에는 후크부재(1210)의 돌출 정도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후크부재(1210)에 의한 걸림 및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돌출된 후크부재(1210)에 의한 디자인 특성 저하를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후크 어셈블리(1200)는, 제1캐리어(20)에 장착되며, 후크부재(1210)가 제1캐리어(2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위치와 제1캐리어(20)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재(1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크부재(1210)의 돌출위치라 함은, 후크부재(1210)가 록킹부재(1120)에 의해 록킹 가능할 정도로 제1캐리어(2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돌출된 상태로 정의된다. 또한, 후크부재(1210)의 밀착위치라 함은, 후크부재(1210)의 헤드부(1214)가 제1캐리어(20)의 외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정의된다.
또한, 후크 어셈블리(1200)는, 후크부재(1210)가 돌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23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스프링부재(1230)로서는 후크부재(1210)와 수용부재(12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스프링부재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후크 어셈블리(1200)는, 돌출위치 및 밀착위치에서 후크부재(1210)를 수용부재(1220)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재(12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후크부재(1210)의 돌출위치 및 밀착위치가 구속부재(1240)에 의해 구속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후크부재(1210)의 돌출위치 및 밀착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속부재(1240)는 후크부재(1210)의 돌출위치 및 밀착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구속부재(1240)는, 미리 정의된 절곡점(knuckle point)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하게 몸체부(1212)에 결합되는 탄성절곡부(1242), 및 탄성절곡부(1242)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핀(1244)을 포함한다. 아울러, 구속부재(1240)는 고정핀(1244)이 몸체부(12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몸체부(1212)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절곡부(1242)는 금속 재질의 띠형 플레이트를 "V"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절곡부(1242)의 양단에는 고정핀(124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고정핀(1244)의 단부는 수용부재(1220)의 내면과 접촉을 최소화(예를 들어, 점접촉)할 수 있는 원형 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재(1220)에는, 돌출위치에서 고정핀(1244)이 고정되는 제1고정홀(1222), 및 밀착위치에서 고정핀(1244)이 고정되는 제2고정홀(1224)이 형성된다.
제1고정홀(1222)과 제2고정홀(1224)은 고정핀(1244)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핀(1244)이 제1고정홀(1222)(또는 제2고정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용부재(1220)에 대한 후크부재(1210)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후크 어셈블리(1200)는, 구속부재(1240)에 의한 후크부재(1210)의 구속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언록킹부재(1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속부재(1240)에 의한 후크부재(1210)의 구속상태라 함은, 고정핀(1244)이 제1고정홀(1222) 또는 제2고정홀(1224)에 삽입된 상태로 정의된다.
일 예로, 언록킹부재(1250)는 탄성절곡부(1242)의 절곡점을 기준으로 탄성절곡부(1242)의 양단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푸시될 수 있도록 헤드부(1214)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언록킹부재(1250)에는 탄성절곡부(1242)의 접힘을 안내하는 접힘안내홀(1252)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힘안내홀(1252)은 절곡점이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탄성절곡부(1242)의 중앙부(절곡점 부위)가 접힘안내홀(1252)에 수용된 상태에서, 언록킹부재(1250)가 탄성절곡부(1242)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절곡부(1242)를 푸시함에 따라, 탄성절곡부(1242)가 접힘안내홀(1252)을 따라 안내되며 접혀짐과 동시에 고정핀(1244)이 제1고정홀(1222)(또는 제2고정홀)에서 인출된다.
또한, 후크부재(1210)는 수용부재(1220)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고정홀(1222)은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고정홀(1224)은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을 기준으로, 제1고정홀(1222)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홀(1224)은 정면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을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후크 어셈블리(1200)는, 수용부재(1220)에 대한 후크부재(1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225)는 수용부재(1220)에 대한 후크부재(12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1225)는, 수용부재(122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홀(1226), 및 몸체부(1212)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홀(1226)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1216)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홀(1226)은, 수용부재(1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가이드 레일홀(1226a), 및 제1가이드 레일홀(1226a)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용부재(1220)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가이드 레일홀(1226b)을 포함하여, 대략 "L"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핀(1216)이 제1가이드 레일홀(1226a)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는 수용부재(1220)의 축선 방향(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크부재(1210)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고, 가이드핀(1216)이 제2가이드 레일홀(1226b)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는 수용부재(1220)의 원주 방향(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른 후크부재(1210)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후크 어셈블리(1200)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캐리어(20)와 제2캐리어(10)를 합체하여 사용할 시에는, 도 9와 같이, 돌출위치에 배치된 후크부재(1210)가 제2캐리어(10)에 마련되는 록킹부재(1120)에 구속된다.
이때, 구속부재(1240)의 고정핀(1244)은 제1고정홀(1222)에 구속되고, 후크부재(1210)는 스프링부재(123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므로, 후크부재(1210)가 돌출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제1캐리어(20)만을 단독적으로 사용할 시에는 후크부재(1210)를 밀착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먼저, 도 10과 같이, 언록킹부재(1250)를 푸시하면, 언록킹부재(1250)가 탄성절곡부(1242)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절곡부(1242)를 푸시하게 되고, 탄성절곡부(1242)가 접힘안내홀(1252)을 따라 안내되며 접혀짐과 동시에 고정핀(1244)이 제1고정홀(1222)에서 인출된다.
참고로, 고정핀(1244)이 제1고정홀(1222)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수용부재(1220)에 대한 후크부재(1210)의 회전이 허용되지만, 가이드핀(1216)이 제1가이드 레일홀(1226a)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용부재(1220)에 대한 후크부재(1210)의 직선 이동(스프링부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다음, 도 11과 같이, 후크부재(12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핀(1216)이 제2가이드 레일홀(1226b)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후크부재(1210)의 회전은 제1가이드 레일홀(1226a)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1216)에 의해 90도로 제한되고, 후크부재(1210)가 90도 회전함에 따라 구속부재(1240)의 고정핀(1244)이 제2고정홀(1224)에 진입 가능한 경로 상에 배치(고정핀과 제2고정홀이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도 12와 같이, 언록킹부재(1250)를 푸시함에 따라, 스프링부재(1230)가 압축되면서 후크부재(1210)가 수용부재(1220)의 내측으로 진입(밀착위치)되고, 구속부재(1240)의 고정핀(1244)은 제2고정홀(1224)에 삽입된다. 구속부재(1240)의 고정핀(1244)이 제2고정홀(1224)에 구속된 상태에서는, 후크부재(1210)가 밀착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다시 언록킹부재(1250)를 푸시하면, 구속부재(1240)의 고정핀(1244)이 제2고정홀(1224)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스프링부재(1230)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부재(1210)가 돌출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후크부재(1210)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구속부재(1240)의 고정핀(1244)을 제1고정홀(12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2캐리어
20 : 제1캐리어
1110 : 베이스부재
1112 : 수용부
1120 : 록킹부재
1122 : 가이드롤러
1130 : 탄성부재
1140 : 회전조작부재
1142 : 전환부재
1150 : 직선이동부재
1160 : 캠부재
1162 : 캠프로파일
1162a : 산부
1162b : 골부
1200 : 후크 어셈블리
1210 : 후크부재
1212 : 몸체부
1214 : 헤드부
1216 : 가이드핀
1220 : 수용부재
1222 : 제1고정홀
1224 : 제2고정홀
1225 : 가이드부
1226 : 가이드 레일홀
1226a : 제1가이드 레일홀
1226b : 제2가이드 레일홀
1240 : 구속부재
1242 : 탄성절곡부
1244 : 고정핀
1250 : 언록킹부재
1252 : 접힘안내홀
1230 : 스프링부재

Claims (12)

  1. 제1캐리어의 외면에 구비되며,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
    제2캐리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후크부재가 구속되는 제1위치와 상기 후크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캐리어의 외면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조작부재;
    상기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일단은 상기 회전조작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을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부재; 및
    둘레를 따라 캠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록킹부재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
    를 포함하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캠프로파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프로파일은 산부 및 상기 산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산부에 접촉되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골부에 접촉되면,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헤드부를 구속하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1캐리어에 장착되며,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제1캐리어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돌출되는 돌출위치와 상기 제1캐리어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위치 및 상기 밀착위치에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수용부재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미리 정의된 절곡점(knuckle point)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탄성절곡부; 및
    상기 탄성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에는, 상기 돌출위치에서 상기 고정핀이 고정되는 제1고정홀, 및 상기 밀착위치에서 상기 고정핀이 고정되는 제2고정홀이 형성된 캐리어 클램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에 의한 상기 후크부재의 구속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언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재는 상기 절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탄성절곡부를 푸시 가능하게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언록킹부재에는 상기 탄성절곡부의 접힘을 안내하는 접힘안내홀이 형성되되,
    상기 접힘안내홀은 상기 절곡점이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언록킹부재가 상기 탄성절곡부를 푸시하면, 상기 탄성절곡부가 상기 접힘안내홀을 따라 접혀지며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고정홀 또는 상기 제2고정홀에서 인출되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수용부재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고정홀은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홀은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된 캐리어 클램핑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에 대한 상기 후크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부재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레일홀;
    상기 제1가이드 레일홀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가이드 레일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
    을 포함하는 캐리어 클램핑 장치.
  12. 제1피대상체의 외면에 구비되며,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
    제2피대상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후크부재가 구속되는 제1위치와 상기 후크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조작부재;
    상기 회전조작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둘레를 따라 캠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록킹부재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
    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KR1020190073400A 2019-06-20 2019-06-20 캐리어 클램핑 장치 KR10220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00A KR102203069B1 (ko) 2019-06-20 2019-06-20 캐리어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00A KR102203069B1 (ko) 2019-06-20 2019-06-20 캐리어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29A true KR20200145029A (ko) 2020-12-30
KR102203069B1 KR102203069B1 (ko) 2021-01-14

Family

ID=7408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00A KR102203069B1 (ko) 2019-06-20 2019-06-20 캐리어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32954A1 (en) * 2022-01-26 2023-07-27 Grown-Up Licenses Limited Stack and lock system for storage product and storage contai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3433B2 (ja) * 2004-12-28 2008-04-0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2010067328A (ja) * 2008-09-12 2010-03-25 Kenwood Corp ディスク装置のクランプ構造
US9027722B1 (en) * 2013-03-15 2015-05-12 William J. Parker Movable container system
US20150136553A1 (en) * 2012-07-09 2015-05-21 Royalty Bugaboo Gmbh Luggage item, a luggage item system, a luggage item adaptor
KR20180002357U (ko) * 2017-01-25 2018-08-02 첸-추안 유 트렁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3433B2 (ja) * 2004-12-28 2008-04-0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2010067328A (ja) * 2008-09-12 2010-03-25 Kenwood Corp ディスク装置のクランプ構造
US20150136553A1 (en) * 2012-07-09 2015-05-21 Royalty Bugaboo Gmbh Luggage item, a luggage item system, a luggage item adaptor
US9027722B1 (en) * 2013-03-15 2015-05-12 William J. Parker Movable container system
KR20180002357U (ko) * 2017-01-25 2018-08-02 첸-추안 유 트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069B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504B1 (ko) 캐리어 클램핑 장치
KR102228984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2203069B1 (ko) 캐리어 클램핑 장치
US9752356B2 (en) Lock release apparatus and lock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0500056C (zh) 座椅斜靠装置
CN209488782U (zh) 一种耳机充电盒
US8078237B2 (en) Mobile phone holder with lateral connections, especially for a mechanical vehicle
US20080109995A1 (en) Opening-closing device
CN104544847B (zh) 带有具有细长臂的悬臂式轮子托架的行李箱
KR20070061424A (ko) 서류 등의 철하는 도구
TW202100059A (zh) 搬運具用的操作把手裝置的連繫機構
GB2335107A (en) Phone cradle with means to retain phone
EP3009584A1 (en) Locking device
US6032334A (en) Handle apparatus
KR100860560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JP2002029304A (ja) 車両用物品保持装置
US7950949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US20090160205A1 (en) Cross bar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KR100960077B1 (ko) 신축길이의 정밀도가 향상된 핸들부를 구비한 가방
KR100950500B1 (ko)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100811048B1 (ko) 액츄에이터
US20030019991A1 (en) Cup holder arrangement
KR20110066562A (ko)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JP2005059833A (ja) ホルダ
CN219661255U (zh) 一种密集柜的摇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