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924A -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924A
KR20200144924A KR1020190073180A KR20190073180A KR20200144924A KR 20200144924 A KR20200144924 A KR 20200144924A KR 1020190073180 A KR1020190073180 A KR 1020190073180A KR 20190073180 A KR20190073180 A KR 20190073180A KR 20200144924 A KR20200144924 A KR 2020014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part
support
test block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준
박복귀
Original Assignee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924A/ko
Publication of KR2020014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시트 백 충돌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Crash test device of seat b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부,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험블럭을 MC나일론으로 형성하여 시험블럭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시험블럭의 제작비용을 낮추어 충돌시험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충돌시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평가할 때에는 그 동력 성능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중요한 요소가되므로 자동차를 생산함에 있어서 자동차의 성능이나 내구성 및 안전도 등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 자동차 제조사들과 부품 공급사들은 자동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연구 및 실험을 하고, 이러한 평가 결과는 자동차 설계에 반영하여 자동차 개발이 이루어진다. 결국, 시험차량(대차)에 대한 다양한 충돌시험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충돌시험은 많은 시간과 인원 및 예산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 공급사들은 최초로 신차나 부품을 개발하거나 부품을 개량할 때에 개발된 자동차나 부품 또는 개량된 부품의 안전도를 체크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성 시험을 하게 되는데, 이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합당한지 여부에 따라 완성도를 검사하게 된다.
자동차의 안전성은 인간의 생명에 직접 연관되어 차량의 완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이와 같은 차량의 안전도에 가장 엄격한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성 시험에는, 시트 백의 안전성 시험, 시험용 더미의 내구시험, 에어백 작동시험, 도어 잠금장치 변형시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시험들은 최대한 실차조건에 가깝게 하여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실제 차체에 각 구성부품들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슬래드형 충격 시험장치를 통하여 그 시험이 이루어진다.
특히, 안정성 시험 중에 시트백의 안전성 시험은 승객실(대부분 후방 좌석)의 하방측의 화물칸에 실린 화물이, 차량 충격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자동차 시트 백에 부딪힐 때 시트백(seat back)이 충분한 강도로 충격을 견디는가를 시험하는 시트 백 충돌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트백의 후방에 시험블럭을 위치시킨 뒤 시트백에 시험블럭이 충돌되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시험블럭은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되는 시험을 다수 반복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받게 되는 충격량을 견디지 못하고 손상됨에 따라 충돌시험에 시험블럭을 사용할 수 있는 횟수에 제한이 생기게 되어 시험블럭을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비시험시간이 증대되고, 반복된 시험수행에 따른 추가적인 충돌시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시험블럭은 이미 내구성이 현저하게 낮은 시험블럭을 이용하여 충돌시험을 진행하게 되면, 충돌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파편이 튀는 등 고속 시험 중 시험을 수행하는 수행자 및 이를 참관하는 참관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 시험블럭은 파손된 시험블럭을 이용하여 충돌시험을 진행하게 되면 정해진 시험조건을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하여 자동차 충돌시험결과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002850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399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352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13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부,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험블럭을 MC나일론으로 형성하여 시험블럭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반복된 충돌시험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하고, 시험블럭의 자체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한 시험블럭의 교체비용을 절감하여 종국적으로 충돌시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충돌부의 자유낙하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에 따라 상기 충돌부가 대차부에 충돌되는 것을 통해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와이어부의 견인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연결된 대차부가 베리어부에 충돌되는 것을 통해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충돌시의 충격 및 충격파를 발생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대차부에 충돌을 통해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시험블럭을 탈착할 수 있는 탈착수단을 통해 상기 시험불럭이 낙하되어 상기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스윙부의 진자운동을 통해 상기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커버부,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험블럭을 MC나일론으로 형성하여 시험블럭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되는 시험을 다수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시험에 시험블럭을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증대하여 시험블럭 교체시간을 줄여 비시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불량인 시험블럭으로 시험을 진행하여 시험결과가 좋지 못하여 다시 시험을 반복하게 되는 시험NG(no good)를 예방하여 시험횟수를 줄이고, 시험블럭 자체의 제작비용절감을 통해 종국적으로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시험블럭의 강성을 향상시켜 충돌시험 과정 중에 시험블럭의 파손을 방지하여, 충돌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파편이 튀는 등 고속 시험 중 시험을 수행하는 수행자 및 이를 참관하는 참관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정해진 시험조건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파손되지 않은 상태의 시험블럭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자동차 충돌시험결과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의 법규 합격기준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대차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시험블럭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시험블럭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의 법규 합격기준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대차부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시험블럭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의 시험블럭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을 의미하며, "수직방향"이란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수직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8에서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수직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8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와 관련된 기준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시트백의 상부에는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또한, 자동차용 시트는 프론트시트와 리어시트로 구분되며, 프론트시트에는 주로 분리식이 채용되고 있는 반면, 리어시트에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이 주로 채용된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더불어 여가시간 활용을 위한 자동차의 용도가 다양해 지고 있으며. 다양해진 자동차의 용도에 맞춰 다양한 기능들이 자동차 개발자에게 요구되고 있다. 완전 수평으로 조절이 가능한 풀 플랫 리클라이너(full flat recliner), 좌우회전이 가능한 턴 테이블(turn table), 전후 이동이 가능한 롱 슬라이드(long slide), 등을 기대는 시트백만을 접은 후 시트전체를 세울 수 있는 더블 폴딩(double folding)등과 같이 다기능 시트가 장착되어 시트 배열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보다 넓고 유용하게 실내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MPV(multi-purpose vehicle), SUV(sports utility vehicle)의 수요는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SUV 차량등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열의 시트가 설치되어 여러 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도 하며, 리어시트의 후방에 별도의 적재물의 적재공간을 두어 레저에 필요한 여러 짐들을 실을 수 있도록 되어 넓은 실내공간에 많은 적재물을 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리어시트 후방에 적재물을 보관하는 적재공간이 마련된 SUV 차량등에서는 차량의 전방 충돌시 후방에 적재된 적재물이 전방으로 쏠리면서 리어시트를 가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리어시트에 앉아있는 승객이 부상을 입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즉, 차량의 전방 충돌상황에서 후방에 있던 적재물이 전방의 리어시트를 큰 힘으로 가격하면서 시트에 앉아있는 승객의 흉부 및 목 부위에 상해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유럽에서는 후방에 있던 적재물이 전방의 리어시트를 큰 힘으로 가격하면서 시트에 앉아있는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트의 적절한 강성(stiffness)과 강도(strength)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법규 시험항목으로 제정하여, 시험시 차량의 감속도(deceleration)와 시트의 헤드레스트(head rest), 백(back)의 최대변위량(macimum displacement)을 규제하고 있다. 상술한 법규 시험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맨 뒷자석 또는 트렁크 내에 적재된 적재물이 전방으로 밀려 리어시트를 가격할 경우를 대비한 법규로서 시험블록의 형상, 시험블록의 위치선정, 시험방법, 합격기준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합격 기준은 감속도의 파형과 헤드레스트의 최대 변위량 및 시트백의 최대 변위량의 허용 범위를 준수해야 한다. 도 1은 헤드레스트의 최대 변위량 및 백의 최대 변위량의 허용 범위를 나타낸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최대 변위량은 SRP(seat reference point) 전방 150mm 이내여야 하고, 백의 최대 변위량은 SRP전방 100mm 이내를 만족해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는 충돌부(3)가 자유낙하여 충돌부(3)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에 따라 충돌부(3)가 대차부(2)에 충돌되는 것을 통해 시험블럭(100)이 시트백(8)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은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가 결합되는 시험블럭(110)의 복수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시험블럭(100)을 이용한 시험시 시험블럭(100)자체의 모서리에 의해 시트백에 가해지는 충격량의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험블럭(100)의 수평방향 길이(L1), 수직방향 길이(L2), 및 폭방향 길이(L3)는 각각 300mm로 형성되어 최ㅣ적의 시험을 수행하고 상술한 법규를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된다. MC나일론(Mono Cast Nylon)이란 일반 Nylon-6에 비하여 중합법과 성형법이 상이하나 카프로락탐에 화학적 성분을 촉매로 하여 제조된 결정체의 고분자로서 기계적 강도와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금속대체용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금속과 같은 강성을 지닌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커버부, 지지부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험블럭을 MC나일론으로 형성하여 시험블럭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되는 시험을 다수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시험에 시험블럭을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증대하여 시험블럭 교체시간을 줄여 비시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량인 시험블럭으로 시험을 진행하여 시험결과가 좋지 못하여 다시 시험을 반복하게 되는 시험NG(no good)를 예방하여 시험횟수를 줄이고, 시험블럭 자체의 제작비용절감을 통해 종국적으로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험블럭의 강성을 향상시켜 충돌시험 과정 중에 시험블럭의 파손을 방지하여, 충돌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파편이 튀는 등 고속 시험 중 시험을 수행하는 수행자 및 이를 참관하는 참관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시험블럭(100)의 상부(즉, 도 8 에서 수직방향 위쪽)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111)와 제1 커버부(111)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시험블럭(100)의 하부(즉, 도 8 에서 수직방향 아래쪽)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112)를 포함한다.
지지부(120)는 커버부(110)의 수평방향 양측에 커버부(110)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11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121) 및 제2 지지부(122)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121)는 제1 커버부(111)의 수평방향 일측 및 제2 커버부(112)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 사이에 설치되며, 제2 지지부(122)는 제1 지지부(121)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제1 커버부(111)의 수평방향 타측 및 제2 커버부(112)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제1 커버부(111)의 수평방향 일측 및 제2 커버부(112)의 수평방향 일측이란 도 8에서 제1 지지부(121)와 연결되는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의 측면을 의미하고, 제1 커버부(111)의 수평방향 타측 및 제2 커버부(112)의 수평방향 타측이란 도 8에서 제2 지지부(122)와 연결되는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의 측면을 의미한다.
제1 지지부(121) 및 제2 지지부(122)는 각각 본체부(123)와 테두리부(124)를 포함하고, 본체부(123)는 제1 지지부(121) 및 제2 지지부(122)의 외형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테두리부(124)는 본체부(123)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12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버부(110) 또는 베이스부(130)와 연결된다.
베이스부(130)는 커버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커버부(110)와 직교하면서 커버부(11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부(120)와 연결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30)는 제1 베이스부(131)와 제2 베이스부(132)를 포함하고, 제1 베이스부(131)는 제1 커버부(111)의 폭방향 일측 및 제2 커버부(112)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베이스부(132)는 제1 베이스부(131)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제1 커버부(111)의 폭방향 타측 및 제2 커버부(112)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제1 커버부(111)의 폭방향 일측 및 제2 커버부(112)의 폭방향 일측이란 도 8에서 제1 베이스부(131)와 연결되는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의 측면을 의미하고, 제1 커버부(111)의 폭방향 타측 및 제2 커버부(112)의 폭방향 타측이란 도 8에서 제2 베이스부(132)와 연결되는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의 측면을 의미한다.
제1 베이스부(131) 및 제2 베이스부(132)는 각각 바디부(133)와 연장부(134)를 포함하고, 바디부(133)는 제1 베이스부(131) 및 제2 베이스부(132)의 외형을 형성하고, 연장부(134)는 바디부(133)의 수직방향 양측에 바디부(133)의 수평방향을 따라 바디부(13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버부(110)와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는 와이어부(4)의 견인에 의해 와이어부(4)에 연결된 대차부(2)가 베리어부(5)에 충돌되는 것을 통해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은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가 결합되는 시험블럭(110)의 복수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시험블럭(100)을 이용한 시험시 시험블럭(100)자체의 모서리에 의해 시트백에 가해지는 충격량의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험블럭(100)의 수평방향 길이(L1), 수직방향 길이(L2), 및 폭방향 길이(L3)는 각각 300mm로 형성되어 최적의 시험을 수행하고 상술한 법규를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된다. MC나일론(Mono Cast Nylon)이란 일반 Nylon-6에 비하여 중합법과 성형법이 상이하나 카프로락탐에 화학적 성분을 촉매로 하여 제조된 결정체의 고분자로서 기계적 강도와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금속대체용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금속과 같은 강성을 지닌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커버부, 지지부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험블럭을 MC나일론으로 형성하여 시험블럭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되는 시험을 다수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시험에 시험블럭을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증대하여 시험블럭 교체시간을 줄여 비시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량인 시험블럭으로 시험을 진행하여 시험결과가 좋지 못하여 다시 시험을 반복하게 되는 시험NG(no good)를 예방하여 시험횟수를 줄이고, 시험블럭 자체의 제작비용절감을 통해 종국적으로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험블럭의 강성을 향상시켜 충돌시험 과정 중에 시험블럭의 파손을 방지하여, 충돌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파편이 튀는 등 고속 시험 중 시험을 수행하는 수행자 및 이를 참관하는 참관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는 돌시의 충격 및 충격파를 발생하는 액추에이터(7)의 작동에 따른 대차부(2)에 충돌을 통해 시험블럭(100)이 시트백(8)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8)의 충돌시험이 수행된다. 즉, 자동차의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는 충돌시험장비 위에 대차부(2)를 올려두고, 시트백(8) 후미에 시험블럭(100)을 위치시켜, 시험블럭(100)을 시트백(8)에 발사함으로써 시험블럭(100)을 시트백(8)에 충돌시키고, 이로 인한 시트백(8)의 휘어짐이나 파손, 변형 정도 등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차의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는 레일(2) 상에서 구르는 대차부(3) 위에 실제의 차량과 흡사한 각종 내장재 및 시트백(8)를 갖춘 차체모형이 고정되어 있고, 그 차체모형의 내부에 설치된 시트백(8)에 인체모형을 앉힌 상태에서 실제 충돌시의 충격 및 충격파를 발생하는 액추에이터(7)가 대차부(2)의 전방측에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7)가 충격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실제 차량이 충돌할 때와 유사한 상황에서 충격 시간에 따른 충격량을 얻어낼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은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가 결합되는 시험블럭(110)의 복수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시험블럭(100)을 이용한 시험시 시험블럭(100)자체의 모서리에 의해 시트백에 가해지는 충격량의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험블럭(100)의 수평방향 길이(L1), 수직방향 길이(L2), 및 폭방향 길이(L3)는 각각 300mm로 형성되어 최ㅣ적의 시험을 수행하고 상술한 법규를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된다. MC나일론(Mono Cast Nylon)이란 일반 Nylon-6에 비하여 중합법과 성형법이 상이하나 카프로락탐에 화학적 성분을 촉매로 하여 제조된 결정체의 고분자로서 기계적 강도와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금속대체용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금속과 같은 강성을 지닌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커버부, 지지부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험블럭을 MC나일론으로 형성하여 시험블럭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되는 시험을 다수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시험에 시험블럭을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증대하여 시험블럭 교체시간을 줄여 비시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량인 시험블럭으로 시험을 진행하여 시험결과가 좋지 못하여 다시 시험을 반복하게 되는 시험NG(no good)를 예방하여 시험횟수를 줄이고, 시험블럭 자체의 제작비용절감을 통해 종국적으로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험블럭의 강성을 향상시켜 충돌시험 과정 중에 시험블럭의 파손을 방지하여, 충돌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파편이 튀는 등 고속 시험 중 시험을 수행하는 수행자 및 이를 참관하는 참관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는 시험블럭(100)을 탈착할 수 있는 탈착수단(6)을 통해 시험불럭(100)이 낙하되어 시험블럭(100)이 시트백(8)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은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가 결합되는 시험블럭(110)의 복수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시험블럭(100)을 이용한 시험시 시험블럭(100)자체의 모서리에 의해 시트백에 가해지는 충격량의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험블럭(100)의 수평방향 길이(L1), 수직방향 길이(L2), 및 폭방향 길이(L3)는 각각 300mm로 형성되어 최ㅣ적의 시험을 수행하고 상술한 법규를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된다. MC나일론(Mono Cast Nylon)이란 일반 Nylon-6에 비하여 중합법과 성형법이 상이하나 카프로락탐에 화학적 성분을 촉매로 하여 제조된 결정체의 고분자로서 기계적 강도와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금속대체용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금속과 같은 강성을 지닌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커버부, 지지부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험블럭을 MC나일론으로 형성하여 시험블럭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되는 시험을 다수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시험에 시험블럭을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증대하여 시험블럭 교체시간을 줄여 비시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량인 시험블럭으로 시험을 진행하여 시험결과가 좋지 못하여 다시 시험을 반복하게 되는 시험NG(no good)를 예방하여 시험횟수를 줄이고, 시험블럭 자체의 제작비용절감을 통해 종국적으로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험블럭의 강성을 향상시켜 충돌시험 과정 중에 시험블럭의 파손을 방지하여, 충돌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파편이 튀는 등 고속 시험 중 시험을 수행하는 수행자 및 이를 참관하는 참관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는 스윙부(10)의 진자운동을 통해 시험블럭(100)이 시트백(8)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은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가 결합되는 시험블럭(110)의 복수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시험블럭(100)을 이용한 시험시 시험블럭(100)자체의 모서리에 의해 시트백에 가해지는 충격량의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험블럭(100)의 수평방향 길이(L1), 수직방향 길이(L2), 및 폭방향 길이(L3)는 각각 300mm로 형성되어 최ㅣ적의 시험을 수행하고 상술한 법규를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10), 지지부(120) 및 베이스부(130)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된다. MC나일론(Mono Cast Nylon)이란 일반 Nylon-6에 비하여 중합법과 성형법이 상이하나 카프로락탐에 화학적 성분을 촉매로 하여 제조된 결정체의 고분자로서 기계적 강도와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금속대체용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금속과 같은 강성을 지닌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는 커버부, 지지부 및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시험블럭을 MC나일론으로 형성하여 시험블럭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되는 시험을 다수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시험에 시험블럭을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증대하여 시험블럭 교체시간을 줄여 비시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량인 시험블럭으로 시험을 진행하여 시험결과가 좋지 못하여 다시 시험을 반복하게 되는 시험NG(no good)를 예방하여 시험횟수를 줄이고, 시험블럭 자체의 제작비용절감을 통해 종국적으로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험블럭의 강성을 향상시켜 충돌시험 과정 중에 시험블럭의 파손을 방지하여, 충돌과정에서 시험블럭이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파편이 튀는 등 고속 시험 중 시험을 수행하는 수행자 및 이를 참관하는 참관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1)의 시험블럭(100)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1 :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 : 대차부,
3 : 충돌부, 4 : 와이어부,
5 : 베리어부, 6 : 탈착수단,
7 : 엑추에이터, 8 : 시트백,
9 : 레일, 10 : 스윙부,
100 : 시험블럭, 110 : 커버부,
111 : 제1 커버부, 112 : 제2 커버부,
120 : 지지부, 121 : 제1 지지부,
122 : 제2 지지부, 123 : 본체부,
124 : 테두리부, 130 : 베이스부,
131 : 제1 베이스부, 132 : 제2 베이스부,
133 : 바디부, 134 : 연장부,

Claims (30)

  1. 충돌부의 자유낙하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에 따라 상기 충돌부가 대차부에 충돌되는 것을 통해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7. 와이어부의 견인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에 연결된 대차부가 베리어부에 충돌되는 것을 통해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3. 충돌시의 충격 및 충격파를 발생하는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대차부에 충돌을 통해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19. 시험블럭을 탈착할 수 있는 탈착수단을 통해 상기 시험불럭이 낙하되어 상기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5. 스윙부의 진자운동을 통해 상기 시험블럭이 시트백에 충돌함에 따라 자동차용 시트백의 충돌시험이 수행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커버부와 직교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MC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시험블럭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시험블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수평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일측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마주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 및 상기 제2 커버부의 폭방향 타측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각각,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수직방향 양측에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상기 시험블럭의 복수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블럭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험블럭의 수평방향 길이, 수직방향 길이, 및 폭방향 길이는 각각 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KR1020190073180A 2019-06-19 2019-06-19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KR20200144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180A KR20200144924A (ko) 2019-06-19 2019-06-19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180A KR20200144924A (ko) 2019-06-19 2019-06-19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24A true KR20200144924A (ko) 2020-12-30

Family

ID=7408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180A KR20200144924A (ko) 2019-06-19 2019-06-19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9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6524A (zh) * 2021-12-01 2022-03-11 中机认检(青岛)汽车检测服务有限公司 一种厢式货车货箱栏板的急减速抗撞性能检测设备
CN114166524B (zh) * 2021-12-01 2024-05-31 中机认检(青岛)汽车检测服务有限公司 一种厢式货车货箱栏板的急减速抗撞性能检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05A (ko) 1995-11-22 1997-06-24 김태구 자동차용 충격시험장치
KR20020035259A (ko) 2000-11-06 2002-05-11 이계안 자동차 시트 충격 시험장치
KR20060003998A (ko) 2004-07-06 2006-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자 방식의 자동차 충돌 성능 시험 장치
KR101911383B1 (ko) 2016-12-29 2018-10-2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05A (ko) 1995-11-22 1997-06-24 김태구 자동차용 충격시험장치
KR20020035259A (ko) 2000-11-06 2002-05-11 이계안 자동차 시트 충격 시험장치
KR20060003998A (ko) 2004-07-06 2006-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자 방식의 자동차 충돌 성능 시험 장치
KR101911383B1 (ko) 2016-12-29 2018-10-24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6524A (zh) * 2021-12-01 2022-03-11 中机认检(青岛)汽车检测服务有限公司 一种厢式货车货箱栏板的急减速抗撞性能检测设备
CN114166524B (zh) * 2021-12-01 2024-05-31 中机认检(青岛)汽车检测服务有限公司 一种厢式货车货箱栏板的急减速抗撞性能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135B2 (en) Seat assembly having an impact load transfer structure
CN102897072B (zh) 转接装置,汽车座椅,汽车以及相关方法
US20090096244A1 (en) Sea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with such a seat arrangement
CA2239825A1 (en) Safety seat
US7762149B2 (en) Passenger discriminating apparatus employing two load sensors
US10569676B1 (en) Fixed seat dampener
KR20200144924A (ko) 자동차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US20120274120A1 (en) Webbing adjuster for a seat belt assembly
WO2020261267A1 (en) An anchoring rails mechanism for securing a passenger box reversibly insertable to pickup trucks bed, kit and methods thereof
CN109219554A (zh) 用于重型货车的纵向构件
KR101979310B1 (ko) 측면충돌시험 후석 기준 충족을 위한 자동차 도어트림의 예비 시험방법
Prasad et al. NHTSA’s rear seat safety research
Belingardi et al. Coach passenger injury risk during rollover: Influence of the seat and the restraint system
Mueller et al. Comparison of vehicle structure and occupant responses in driver‐and passenger‐side IIHS small overlap frontal crash tests
Bi et al. Research on the test and assessment method for roof crush resistance
Viano Effectiveness of high-retention seats in preventing fatality: Initial results and trends
White et al. Seat Performance in Rear Impacts: Seatback Deflection and Energy Dissipation
CN208277896U (zh) 后排座椅防下潜结构及汽车
KR20050034269A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보강구조
EP3831648B1 (en) Passenger seat assembly for a double cabin light commercial vehicle
Saczalski et al. Belt Integrated Vehicular Seat Rear Impact Studies
KR20050034268A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보강구조
Elias et al. Large school bus safety restraint evaluation-phase II
Parenteau et al. Effect of ATD Size, Vehicle Interior and Restraint Misuse on Second-Row Occupant Kinematics in Frontal Sled Tests
CN115292822A (zh) 一种防止头部碰撞汽车内部凸出物的测试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