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687A - 인체공학적 기능성 안경테 - Google Patents

인체공학적 기능성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687A
KR20200144687A KR1020190072659A KR20190072659A KR20200144687A KR 20200144687 A KR20200144687 A KR 20200144687A KR 1020190072659 A KR1020190072659 A KR 1020190072659A KR 20190072659 A KR20190072659 A KR 20190072659A KR 20200144687 A KR20200144687 A KR 20200144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supported
parts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협
Original Assignee
이진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협 filed Critical 이진협
Priority to KR102019007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687A/ko
Publication of KR2020014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테는 한쌍의 고정부들 및 지지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들은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안경 렌즈들 각각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약 9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고정부들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렌즈가 사용자의 눈에 마주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귀에 의해 지지된다. 이럴 경우, 각 지지부는 수평 위치가 각 고정부의 단부보다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인체공학적 기능성 안경테{Ergonomic Functional Glasses Frame}
본 발명은 기능성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동양인의 두상 구조에 적합하게 설계된 기능성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인류 생활에 있어서 일부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실제 인체에 한 부분으로 간주될 만큼 매우 중요한 필수품이다.
하지만, 이러한 안경은 실제 서양에서 개발되어 국내로 유입된 상품으로, 실제 서양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일부에서 동양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구체적으로, 서양인은 두상이 앞뒤로 긴 골격이 동양인보다 긴 "장두형"으로서 상대적으로 귀위 위치가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양인보다 낮게 위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사람은 걸을 때 통상 정면을 보는 것이 아니고, 약 5m 전방 앞의 땅을 보고 걷기 때문에, 안경은 상기의 경우에 안경 렌즈와 안구의 빛통과각을 약 90도 유지하기 위하여 약 9 내지 15 정도의 경사각을 주도록 기본 설계되고 있다. 이에, 상기 눈의 위치에 따른 안경테의 각도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0075(명칭; 각도조절 장치가 있는 안경테)에 일부 유사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반면, 동양인은 후두부가 납작하며 두상이 압뒤가 서양인보다 짧은 "단두형"으로서 상대적으로 귀위 위치가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서양인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상황에서, 동양인은 상기에서와 같이 안경의 경사각을 서양인과 동일하게 약 9 내지 15도로 설계하게 되면, 실제 적용되는 경사각은 약 20도 이상 넘게 되어 실생활에서 전반적으로 불필요한 불편함을 느끼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양인의 두상 구조에 적합한 기능성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특징에 따른 안경테는 한쌍의 고정부들 및 지지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들은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안경 렌즈들 각각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약 9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고정부들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렌즈가 사용자의 눈에 마주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귀에 의해 지지된다. 이럴 경우, 각 지지부는 수평 위치가 각 고정부의 단부보다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수평 위치가 상기 고정부의 단부보다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가 3 내지 7㎜ 높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단부와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 사이에 단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차부는 연속적인 곡선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고정부의 단부와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 사이에서 이들 각각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단부보다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도록 이들 각각 사이에 연결되는 높이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른 안경테는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안경 렌즈들 각각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약 9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들, 상기 고정부들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렌즈가 사용자의 눈에 마주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들 및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서 이들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코에 지지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안경 렌즈의 중심점과 연결된 수평 기준선보다 아래에서 상기 고정부들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수평 기준선보다 8 내지 12㎜ 아래에서 상기 고정부들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안경 렌즈들 각각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약 9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들 및 상기 고정부들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렌즈가 사용자의 눈에 마주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들을 포함하는 안경테에 있어서, 각 지지부를 그 수평 위치가 각 고정부의 단부보다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은 구조를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귀의 위치가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서양인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는 동양인에게 상기의 약 9 내지 15도의 경사진 각도가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양인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를 착용할 경우 상기의 약 9 내지 15도의 경사진 각도가 높아짐에 따른 착용 불편감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적인 시야각을 확보하여 시력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안경테를 실질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를 실질적으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에서 제1 지지부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에서 제1 지지부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에서 제1 지지부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에서 제2 지지부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안경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안경테를 실질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를 실질적으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는 한쌍의 고정부(100)들, 제1 지지부(200)들 및 제2 지지부(300)들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들은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안경 렌즈(20)들 각각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약 9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00)는 사용자(10)가 상기 안경 렌즈(20)을 통해 안정적인 시력이 확보되도록 상기 안경 렌즈(20)의 테두리를 감싼 구조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들이 상기 안경 렌즈(20)들을 상기 약 9 내지 1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하고 있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10)는 통상 걸을 때 정면을 보는 것이 아니고, 약 5m 전방 앞의 땅을 보고 걷기 때문에 상기 안경 렌즈(20)들과 눈(14)의 빛통과각을 약 90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경 렌즈(20)들의 각도를 약 9도 미만으로 할 경우에는 상기 각도가 너무 작아서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난시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각도가 약 15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각도가 너무 커서 사용자의 초점이 기존 초점이 되는 위치와 어긋나서 사물이 왜곡되어 보이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지지부(200)들은 상기 고정부(100)들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렌즈(20)이 사용자(10)의 눈(14)에 마주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귀(12)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와 반대되는 단부에 상기 귀(12)를 일부 또는 전체 감싸도록 라운드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수평 위치가 각 고정부(100)의 단부보다 상기 귀(12)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수평 위치가 상기 고정부(100)의 단부보다 상기 귀(12)에 지지되는 부위가 약 3㎜ 미만 또는 약 7㎜를 초과하는 높이차(a)를 가질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가 동양인의 특징인 서양인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는 포괄적인 귀(12)의 높이를 보정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상기 높이차(a)는 약 3 내지 7㎜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높이차(a)는 약 5㎜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단부와 상기 귀(12)에 지지되는 부위 사이에 단차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차부(210)는 대략 직각 형태로 꺾임 구조를 가지며, 디자인적 외관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꺾임 부위를 라운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300)들은 상기 고정부(100)들 사이에서 이들에 장착되어 사용자(10)의 코(16)에 지지된다. 이에, 사용자(10)는 상기 제2 지지부(300)들이 상기 코(16)에 지지되는 상태를 통해 상기 고정부(100)들에 의해 고정된 안경 렌즈(20)들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상기 안경 렌즈(20)들 각각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약 9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되는 상기 한쌍의 고정부(100)들 및 상기 고정부(100)들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렌즈(20)이 사용자(10)의 눈(14)에 마주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귀(12)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 지지부(200)들을 포함하는 안경테(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200)를 그 수평 위치가 상기 고정부(100)의 단부보다 상기 귀(12)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은 구조를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귀(12)의 위치가 눈(14)의 위치를 기준으로 서양인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는 동양인에게 상기의 약 9 내지 15도의 경사진 각도가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양인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를 착용할 경우 상기의 약 9 내지 15도의 경사진 각도가 높아짐에 따른 착용 불편감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적인 시야각을 확보하여 시력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높이차(a)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이에 중복되는 상기 제1 지지부(200)들 또는 제2 지지부(300)들의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에서 제1 지지부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에서 제1 지지부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에서 제1 지지부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경테에서 제2 지지부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단부와 상기 귀(12)에 지지되는 부위 사이에 연속적인 곡선 구조로 상기 높이차(a)를 자연스럽게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외관상 상기 높이차(a)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디자인적 특징을 통해 상기 안경테(100)의 외관 디자인이 상기의 높이차(a)로 인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단부와 상기 귀(12)에 지지되는 부위 사이에서 이들 각각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220)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차(a)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부(220)는 스크류 구조, 기어 구조 또는 텔레스코프 구조 등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절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차(a)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220)를 통하면, 상기 높이차(a)를 그 범위에서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안경테(100)를 착용한 사용자(10)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기 높이차(a)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단부보다 상기 귀(12)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도록 이들 각각 사이에 연결되는 높이 유지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차(a)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유지부(230)를 이용하면, 상기 제1 지지부(200)가 휘어짐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수평하게 제작된 이후에도 언제든지 상기 높이차(a)를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부(300)는 상기 안경 렌즈(20)의 중심점과 연결된 수평 기준선보다 아래에서 제2 높이차(b)를 가지면서 상기 고정부(100)들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안경 렌즈(20)을 고정하는 고정부(100)는 상기 제2 높이차(b)를 갖는 상기 제2 지지부(300)에 의해 위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도 2에 높이차(a)를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높이차(b)는 상기 높이차(a)가 약 3 내지 7㎜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약 8 내지 1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높이차(b)는 약 10㎜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사용자 20 : 안경 렌즈
100 ; 고정부 200 : 제1 지지부
300 : 제2 지지부 1000 : 안경테

Claims (6)

  1.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안경 렌즈들 각각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9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들; 및
    상기 고정부들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렌즈가 사용자의 눈에 마주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들을 포함하고,
    각 지지부는 수평 위치가 각 고정부의 단부보다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는 수평 위치가 상기 고정부의 단부보다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가 3 내지 7㎜ 높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단부와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 사이에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경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연속적인 곡선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경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고정부의 단부와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 사이에서 이들 각각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경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단부보다 상기 귀에 지지되는 부위가 높도록 이들 각각 사이에 연결되는 높이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경테.
  6.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안경 렌즈들 각각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9 내지 15도의 사이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들;
    상기 고정부들의 양 단부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안경 렌즈가 사용자의 눈에 마주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들; 및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서 이들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코에 지지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안경 렌즈의 중심점과 연결된 수평 기준선보다 아래에서 상기 고정부들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수평 기준선보다 8 내지 12㎜ 아래에서 상기 고정부들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경테.
KR1020190072659A 2019-06-19 2019-06-19 인체공학적 기능성 안경테 KR20200144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59A KR20200144687A (ko) 2019-06-19 2019-06-19 인체공학적 기능성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59A KR20200144687A (ko) 2019-06-19 2019-06-19 인체공학적 기능성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87A true KR20200144687A (ko) 2020-12-30

Family

ID=7408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659A KR20200144687A (ko) 2019-06-19 2019-06-19 인체공학적 기능성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6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3384B (zh) 图像观察用眼镜
US9753287B2 (en) Spectacle with invisible optics
JP2014513328A (ja) 調節自在なアイウェア
KR20150142675A (ko) 코받침 조립체 및 대응 안경테
US20180239165A1 (en) Custom fit nose pads for spectacle frames
JP5199511B1 (ja) 眼鏡
US5229796A (en) Attachable eyeglasses
KR101093870B1 (ko) 시력 보정용 고글
KR10194321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JP2011512557A (ja) 望遠眼鏡
US8876282B2 (en) Eyewear system
GB2458514A (en) Removable spectacles counterbalance with universal attachment.
KR20180032276A (ko) 범용 보조안경
KR20200122109A (ko) 안경다리의 귀걸이 각도조절장치
KR20200144687A (ko) 인체공학적 기능성 안경테
KR2004816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04850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101819068B1 (ko) 초점 가변 안경
CN106444074A (zh) 一种用于屈光矫正的可调节眼镜
CN207396904U (zh) 一种防蓝光降度数眼镜
IES61000B2 (en) Self supporting spectacle structure with no frontal connection between the suspension device and lenses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CN214846107U (zh) 便捷眼镜
CN212160251U (zh) 调节眼镜
KR102629394B1 (ko) 수차저감구조를 포함하는 도수클립 안경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