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494A -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494A
KR20200144494A KR1020200072703A KR20200072703A KR20200144494A KR 20200144494 A KR20200144494 A KR 20200144494A KR 1020200072703 A KR1020200072703 A KR 1020200072703A KR 20200072703 A KR20200072703 A KR 20200072703A KR 20200144494 A KR20200144494 A KR 2020014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ension
knitting machine
flat knitting
t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871B1 (ko
Inventor
요시유키 고무라
마사키 미나미
아키히로 우에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6804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245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14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9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troll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2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실에 가하는 장력을 전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톱 텐션장치에 대하여, 장력의 설정을 자동화한다.
(구성) 실에 가하는 장력을 전기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조정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횡편기에 설치되어 있는 톱 텐션장치를 설정한다. 실별로 원하는 장력을 실에 가하기 위한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하고, 톱 텐션장치로부터 실의 캐리어까지의 급사루트의 요소에 따라 입력값을 보정함으로써 설정값으로 하고, 설정값을 횡편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조정부재에 적용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A SETUP METHOD OF TOP TENSION DEVICES ON A FLAT KNITTING MACHINE AND A SETUP SYSTEM}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서의 톱 텐션장치(top tension裝置)의 설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상부의 설치대에 톱 텐션장치(상부의 텐션장치)가 다수 설치되고, 얀 패키지(yarn package)로부터의 실(yarn)에 장력(張力)을 가하여 사이드 텐션(side tension), 적극적 실 이송장치(positive yarn feeding device) 등에 공급하거나 혹은 캐리어(carrier)에 직접 실을 공급한다(특허문헌1을 참조). 톱 텐션장치는 1대의 횡편기에 예를 들면 20대 정도 설치되어, 횡편기를 다수 구비하는 편성공장에서는 톱 텐션장치는 상당한 대수(臺數)가 된다.
톱 텐션장치에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스크, 롤러 등을 설치하여, 실에 장력을 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에 의하여 실을 협지(挾持)하고, 디스크로부터 실에 가하는 압력을 제어하면,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롤러를 모터로 구동하고, 롤러에 가하는 토크를 제어하더라도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크의 압력, 롤러의 토크 등을 일정하게 하더라도, 실이 변경되면 가해지는 장력도 변화된다.
톱 텐션장치가 가해야 할 장력은, 실의 캐리어까지의 급사경로(給絲經路)에 의하여 변화된다. 그리고 급사경로는 톱 텐션장치별로 다르다. 여기에서 다수의 톱 텐션장치에 대하여 1대씩 장력을 설정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8-003844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실에 가하는 장력을 전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톱 텐션장치에 대하여 장력의 설정을 자동화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횡편기에 설치되고 또한 실에 가하는 장력을 전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재를 구비하는 톱 텐션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장력을 실에 가하기 위한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실별로 측정하는 측정스텝과,
톱 텐션장치로부터 실의 캐리어까지의 급사루트의 요소에 따라, 상기 입력값을 보정함으로써 조정부재에 대한 설정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설정값을 횡편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조정부재에 적용하는 설정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 입력에 의하여 실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횡편기에 설치되어 있는 톱 텐션장치를 설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실별로 원하는 장력을 실에 가하기 위한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횡편기의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횡편기의 컨트롤러는, 톱 텐션장치로부터 실의 캐리어까지의 급사루트의 요소에 따라, 상기 입력값을 보정함으로써 조정부재에 대한 설정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설정값을 조정부재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적으로 실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톱 텐션장치에 대하여, 사용하는 실을 변경하였을 때에 장력의 설정을 자동화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톱 텐션장치가 다수 있는 경우에 특히 효율적이다. 또 종류가 동일한 실은 동일한 실로 하여도 좋지만, 온도·습도·제조로트 등에 따라 동일한 종류의 실이더라도 성질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온도, 습도, 제조로트 등이 변화되면,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재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설정스텝에서는, 톱 텐션장치로부터 실을 급사하고 또한 캐리어의 상류측에 있는 급사처(給絲處)의 종류, 급사루트에서 실이 통과하는 애자(얀 가이드)의 수 및 급사루트에서의 실의 구부러지는 방법 등의 급사루트의 요소에 따라 상기 입력값을 보정한다. 톱 텐션장치가 가해야 할 장력은 급사루트에 의하여 변화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면, 입력값을 급사루트의 요소에 따라 보정하여 설정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값을 복수의 급사속도별로 측정하고, 횡편기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톱 텐션장치로부터의 실의 급사속도에 따라 설정값을 편성 중에 보정하는 속도보정스텝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급사속도에 따라 적절한 장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편성하는 편성포의 치수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정스텝에서는, 조정부재와 장력센서를 통하여 인입부재에 실을 공급하고, 조정부재에 의하여 실에 장력을 가하고, 인입부재에 의하여 실을 인입함과 아울러, 장력센서에 의하여 측정한 실의 장력이 원하는 값이 될 때의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한다. 여기에서 전용 측정기로서 이러한 구성의 것을 사용하면, 횡편기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값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하는 동안에 편성기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전용 측정기를 사용하지 않고 톱 텐션장치와 사이드 텐션, 적극적 실 이송장치 등의 사이에 장력센서를 설치하고, 횡편기의 캐리어의 하류측에 인입부재를 설치하여 측정하면, 횡편기 상에서 실제로 편성하지 않고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급사루트의 요소별 보정량을 구하여 가산하지만, 급사루트 전체에 대한 보정값을 측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보정도 급사루트의 요소에 따른 보정이다. 예를 들면 실의 인입속도와 톱 텐션장치의 출구 부근에서의 장력을 일정하게 하고, 급사루트별로 조정부재에 대한 필요한 입력값을 측정하고, 기준이 되는 톱 텐션장치에서의 입력값과의 차이를 급사루트별 보정값으로서 기억한다. 실이 변하더라도 급사루트별 보정값은 예를 들면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톱 텐션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측정스텝의 모식도이다.
도3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톱 텐션장치의 입력값의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편기에서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실시예에서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도5에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은 톱 텐션장치(top tension裝置)(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4는 1쌍의 받침대로서, 실(yarn)(10)을 협지(挾持)하여 압력을 가한다. 6은 구동부로서, 받침대(4)를 구동함으로써 압력을 조정하고, 7은 구동부에 대한 전기적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포트이다. 받침대(4)∼포트(7)의 전체를 조정부재(8)라고 부른다. 받침대(4)의 대신에, 실(10)을 롤러(roller)에 접촉시켜서 제동(制動)하여 롤러의 제동토크(制動torque)를 조정하여도 좋으며, 장력조정의 기구는 임의이다. 또 11은 실을 가이드하는 애자(碍子)이다. 또 톱 텐션장치(2)에 장력센서(12)를 설치하면, 도2에 나타내는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의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단 모든 톱 텐션장치(2)에 장력센서(12)를 설치하면 본 발명의 의미가 없고, 장력센서를 설치하는 경우에 일부의 톱 텐션장치(2)에만 설치한다. 톱 텐션장치(2)를 사용하여 횡편기(橫編機)(20) 상에서 측정하는 경우에, 측정에 사용된 급사루트(給絲route)의 각 요소에 대응하는 보정량을 뺀 후에, 톱 텐션장치(2)별 급사루트의 요소에 따른 보정을 한다.
도2는,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의 측정을 나타낸다. 얀 패키지(yarn package)(16) 등의 얀 소스(yarn source)로부터, 실(10)을 조정부재(9)와 장력센서(12)를 통하여 인입부재(引入部材)(14)에 공급한다. 조정부재(9)는 예를 들면 톱 텐션장치(2)의 조정부재(8)와 동일한 것이거나 혹은 그 고정밀도 버젼 등 조정부재(8)와 동종(同種)의 것이다. 12는 장력센서(張力sensor)로서, 실(10)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한다. 인입부재(14)에서는, 예를 들면 1쌍의 롤러에 의하여 실을 협지하고, 롤러를 구동하여 실을 인입한다. 조정부재(9), 장력센서(12) 및 인입부재(14)가 전용의 측정수단의 예이다. 또 톱 텐션장치(2)(도1)에 장력센서(12)를 추가한 것이,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 겸용의 측정수단의 예이다. 인입부재(14)에 의하여 실을 인입하는 속도별로, 장력센서(12)에 의하여 측정한 장력이 원하는 값이 되기 위한 조정부재(9)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수단(9b)에 의하여 측정하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한다. 이 결과, 도3에 나타내는 테이블(26)의 데이터가 얻어진다. 테이블은 실(10)의 인입속도별로 있고, 각 인입속도에 대하여 원하는 장력별 입력값이 바람직하게는 복수 기재되어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도1의 구동부(8)에도, 포트(7)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하여 기억하는 측정수단을 설치한다. 또 실의 인입속도별로 테이블(26)을 작성하는 것은 아니며, 실(10)을 미속(微速)으로 인입하면서, 원하는 장력이 얻어질 때의 조정부재(9)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하여도 좋다.
도4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편기(20)에서의 톱 텐션장치(2)의 설정을 나타낸다. 30은 예를 들면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 32는 니들베드(30)의 바늘을 조작하는 캐리지(carriage)이다. 34는 니들베드(30)의 상부의 설치대로서, 톱 텐션장치(2)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얀 패키지를 지지한다. 니들베드(30)의 양 측방에, 예를 들면 적극적 실 이송장치(40)와 사이드 텐션(42)이 있고, 톱 텐션장치(2)는 얀 패키지로부터 실을 인출하고, 장력을 가하여 적극적 실 이송장치(40) 혹은 사이드 텐션(42)에 급사(給絲)한다. 그리고 적극적 실 이송장치(40) 및 사이드 텐션(42)으로부터 실을 캐리어(44)에 급사하고, 캐리어(44)로부터 니들베드(30)의 바늘에 급사한다. 급사루트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애자가 배치되어 실의 방향을 바꾸고, 애자에 의하여 실에 마찰이 가해진다.
횡편기(20)는 컨트롤러(controller)(22)를 구비하고, 24는 컨트롤러(22)의 본체, 25는 캐리지(32)의 컨트롤러, 26∼28은 테이블이다. 테이블(26)은 도3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사용하는 실(yarn)별로 테이블(26)을 작성한다. 테이블(27)은, 톱 텐션장치(2)별로 캐리어(44)까지의 급사루트의 요소를 기억한다. 또 급사루트의 요소의 데이터는, 편성 데이터로부터 생성하여도 좋고, 유저가 컨트롤러(22)로부터 입력하여도 좋다.
테이블(28)은, 급사루트의 요소별 보정량을 기억하고, 예를 들면 급사루트의 애자별 장력의 가산량, 캐리어(44)와 톱 텐션장치(2)의 중간에 있는 급사처(給絲處)의 종류에 의한 보정량, 급사루트의 도중에서의 실의 구부림 각(bending angle)에 따른 보정량 등을 기억한다.
캐리어의 상류측에 있는 급사처로서, 도4에서는 적극적 실 이송장치(40)와 사이드 텐션(42)을 나타낸다. 적극적 실 이송장치(40)는 1쌍의 롤러의 사이로부터 실을 송출하고, 롤러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길이의 실을 송출한다. 사이드 텐션(42)은, 실에 장력을 가함과 아울러 실의 버퍼(buffer)가 된다. 그리고 적극적 실 이송장치(40)와 사이드 텐션(42)에서는, 톱 텐션장치(2)측으로부터 가해야 할 실의 장력의 적정값이 서로 다르다. 적극적 실 이송장치(40)도 사이드 텐션(42)도 사용하지 않고, 톱 텐션장치(2)로부터 실(10)을 직접 캐리어(44)에 급사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직접 급사에 따르는 보정량을 테이블(28)에 기억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지만, 톱 텐션장치(2)와 캐리어(44)의 사이에는 애자가 복수 있고, 애자에 의하여 실은 구부러진다. 애자가 있으면 실에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애자별 장력의 가산량을 테이블(28)에 기억한다. 또 애자에 의하여 실이 구부러지면 장력이 상승한다. 애자에서의 실의 구부림 각의 범위를 180°∼90°로 생각하고, 실의 구부림 각에 따른 장력의 가산량(예를 들면 9단계로, 90°에 접근함에 따라 10°마다 0.4g 늘어나다)을 기억한다. 또 굵은 실은, 애자 등에서의 장력손실이 늘어나기 때문에, 실의 굵기에 따른 보정량(예를 들면 굵기가 0.2mm 미만, 0.2mm 이상 0.8mm 이하, 0.8mm 초과의 3단계로 보정)을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지 속도, 푸쉬니팅(push knitting)인가 풀니팅(pull knitting)인가의 종류, 소비 루프길이 등의 편성정보에 의거하여 본체(24)는 톱 텐션장치(2)로부터 실을 급사하는 속도를 산출한다. 본체(24)는, 사용 중인 톱 텐션장치(2)별로 이하의 처리를 실시한다. 테이블(27)로부터 급사루트 내의 요소를 읽어내고, 급사처가 적극적 실 이송장치(40)인가 사이드 텐션(42)인가에 따라 테이블(28)을 참조하여 기본이 되는 장력을 구한다. 또 테이블(28)을 참조하여, 각 요소별 장력에 대한 보정량을 구하고 가산하여 기본이 되는 장력을 구한다. 이어서 급사속도에 따른 테이블(26)을 참조하고, 원하는 장력에 대한 톱 텐션장치(2)의 설정값을 읽어내어, 톱 텐션장치(2)의 조정부재(8)를 설정한다.
실시예에서의 설정 알고리즘(設定 algorithm)을 도5에 나타낸다. 준비로서, 급사루트의 요소별 보정량을 정하고, 테이블(28)에 기억하여 둔다. 편물(編物)의 생산에서는 사용하는 실은 예를 들면 시즌(season)별로 변하여, 한 시즌 내에서도 새로운 종류의 실을 다수 사용한다. 여기에서 1종류의 실에 대하여, 테이블(26)에 필요한 데이터를 1회 취득하고, 이것을 각 횡편기(20)의 테이블(26)에 이식(移植)한다. 스텝S1에서, 급사속도별로 원하는 장력을 실에 가하기 위한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하여 기억한다. 이때에 온도·습도 등에 의하여 실의 성질이 변화되어, 적합한 입력값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하는 환경과 횡편기(20)의 설치환경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조로트(製造lot)에 따라 실의 성질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필요하면 제조로트가 변하였을 때에 테이블(26)의 데이터를 다시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S2에서, 톱 텐션장치(2)별로 급사루트를 테이블(27)에 기억시킨다. 스텝S1, S2의 실행순서는 임의이다. 스텝S3에서, 테이블(28)에 기억된 보정량과 테이블(27)에 기억된 급사루트를 참조하여, 개별의 톱 텐션장치(2)의 조정부재(8)에 대한 설정값을 구한다. 또 편성 중에 스텝S3을 반복하여 실행할 필요는 없고, 급사속도에 따른 변화분을 본체(24) 혹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테이블에 기억하고, 급사속도에 따른 변화분만 설정값을 변경하여도 좋다.
스텝S3에서의 상세한 처리를 스텝S3a∼S3d에 나타낸다. 스텝S3a에서는, 테이블(27)로부터 급사루트의 요소를 읽어낸다. 급사루트 중의 요소에는, 애자와 거기에서의 실의 구부림 각, 적극적 실 이송장치인가 사이드 텐션인가 등의 톱 텐션장치로부터의 최초의 급사처의 종류 및 푸쉬니팅인가 풀니팅인가의 편성의 방향 등이 있다. 스텝S3b에서는, 급사루트 중의 요소별 보정량을 테이블(28)로부터 읽어내어 가산하여, 합계의 보정량으로 한다. 스텝S3c에서는, 실(yarn)별로 작성된 테이블(26) 중의 급사속도에 따른 서브 테이블(sub table)을 참조하여, 원하는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설정값을 읽어낸다. 예를 들면 도3에서는, 테이블(26)은 급사속도에 따라 3매의 서브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읽어낸 설정값을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S3d에서, 스텝S3c에서 읽어낸 설정값에, 스텝S3b에서 구한 합계의 보정량을 가산하여, 톱 텐션장치에 대한 설정값으로 한다.
급사속도는 편성 중에 종종 변경된다. 이 경우에 스텝S3a∼S3d를 재실행하여도 좋다. 그러나 스텝S3c만을 다시 실행하고, 변경 전의 급사속도로부터의 설정값의 변화분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변화분을 변경 전의 설정값에 가산하면, 새로운 급사속도에 대한 설정값이 얻어진다. 편성 중에 푸쉬니팅인가 풀니팅인가의 편성의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테이블(28)로부터 편성의 방향의 변경에 따른 보정량의 변화분을 구하고, 이것을 방향의 변경 전의 설정값에 가산하여, 변경 후의 설정값으로 한다.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톱 텐션장치(2)에 대하여 새로운 종류의 실을 사용할 때에, 테이블(26)의 데이터를 1회 취득하면 좋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또 모든 톱 텐션장치(2)에 장력센서(12)를 설치하면, 본 발명을 실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다수의 장력센서가 필요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외에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모든 톱 텐션장치(2)를, 사용하는 실별로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44)가 다르게 되더라도, 편성포의 스티치 사이즈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 횡편기(20)가 다르게 되더라도, 스티치 사이즈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급사속도뿐만 아니라, 편성 시작, 단부(端部)의 스티치(stitch)의 편성, 푸쉬니팅인가 풀니팅인가 등에 따라 장력의 설정값을 보정하면, 보다 고품위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편성정보에 의거하는 피드 포워드 제어(feed forward 制御)로서 실시하기 때문에, 피드백 제어(feedback 制御)와 같은 지연이 발생하지 않아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톱 텐션장치(2)의 조정부재(8)에 대한 설정값을 일정하게 하지 않고 캐리어(44)에 따라 변경하면, 스티치 사이즈를 적극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2 : 톱 텐션장치
4 : 받침대
6 : 구동부
7 : 입력포트
8, 9 : 조정부재
11 : 애자
10 : 실
12 : 장력센서
14 : 인입부재
16 : 얀 패키지
20 : 횡편기
22 : 컨트롤러
24 : 본체
25 : 캐리지 컨트롤러
26∼28 : 테이블
30 : 니들베드
32 : 캐리지
34 : 설치대
40 : 적극적 실 이송장치
42 : 사이드 텐션
44 : 캐리어

Claims (5)

  1. 횡편기(橫編機)에 설치되고 또한 실(yarn)에 가하는 장력(張力)을 전기적(電氣的)으로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재를 구비하는 톱 텐션장치(top tension裝置)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장력을 실에 가하기 위한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실별로 측정하는 측정스텝과,
    톱 텐션장치로부터 실의 캐리어(carrier)까지의 급사루트(給絲route)의 요소에 따라, 상기 입력값을 보정함으로써 조정부재에 대한 설정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설정값을 횡편기의 컨트롤러(controller)로부터 조정부재에 적용하는 설정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스텝에서는, 톱 텐션장치로부터 실을 급사하고 또한 캐리어의 상류측에 있는 급사처(給絲處)의 종류, 급사루트에서 실이 통과하는 애자(碍子)의 수 및 급사루트에서의 실의 구부러지는 방법에 따라, 상기 입력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값을 복수의 급사속도별로 측정하고, 횡편기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톱 텐션장치로부터의 실의 급사속도에 따라, 설정값을 편성 중에 보정하는 속도보정스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스텝에서는, 조정부재와 장력센서를 통하여 인입부재에 실을 공급하고, 조정부재에 의하여 실에 장력을 가하고, 인입부재에 의하여 실을 인입함과 아울러, 장력센서에 의하여 측정한 실의 장력이 원하는 값이 될 때의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5. 전기적 입력에 의하여 실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횡편기에 설치되어 있는 톱 텐션장치를 설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실(yarn)별로 원하는 장력을 실에 가하기 위한 조정부재에 대한 입력값을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횡편기의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횡편기의 컨트롤러는, 톱 텐션장치로부터 실의 캐리어까지의 급사루트의 요소에 따라, 상기 입력값을 보정함으로써 조정부재에 대한 설정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설정값을 조정부재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시스템.
KR1020200072703A 2019-06-18 2020-06-16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KR102393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2504 2019-06-18
JPJP-P-2019-112504 2019-06-18
JP2020068044A JP7462459B2 (ja) 2019-06-18 2020-04-06 横編機の天バネ装置の設定方法及び設定システム
JPJP-P-2020-068044 2020-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494A true KR20200144494A (ko) 2020-12-29
KR102393871B1 KR102393871B1 (ko) 2022-05-02

Family

ID=7110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703A KR102393871B1 (ko) 2019-06-18 2020-06-16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754078A1 (ko)
KR (1) KR102393871B1 (ko)
CN (1) CN11209521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44A (ja) 1994-06-17 1996-01-09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テンション装置
KR20050026022A (ko) * 2002-07-30 2005-03-14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얀 공급 방법 및 시스템
JP2018512516A (ja) * 2015-03-12 2018-05-17 ビティエッセエッレ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ソチ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少なくとも1本の糸の繊維機械への供給を、繊維機械の作業工程の関数として取り扱い、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0467B2 (en) * 2008-03-07 2012-01-03 Shima Seiki Mfg.,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knitting fabric using elastic yarns
JP2011241489A (ja) * 2010-05-14 2011-12-01 Shima Seiki Mfg Ltd 編糸の弛み取り装置
JP2012117176A (ja) * 2010-12-02 2012-06-21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糸用ブレー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44A (ja) 1994-06-17 1996-01-09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テンション装置
KR20050026022A (ko) * 2002-07-30 2005-03-14 메밍게르-이에르오 게엠베하 얀 공급 방법 및 시스템
US20060184267A1 (en) * 2002-07-30 2006-08-17 Memminger-Iro Gmbh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threads
JP2018512516A (ja) * 2015-03-12 2018-05-17 ビティエッセエッレ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ソチ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少なくとも1本の糸の繊維機械への供給を、繊維機械の作業工程の関数として取り扱い、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4078A1 (en) 2020-12-23
KR102393871B1 (ko) 2022-05-02
CN112095217A (zh) 2020-12-18
CN112095217B (zh)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73445A5 (ko)
EP1492911B1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an elastomeric yarn to a textile machine
TW200624613A (en) Yarn quality assurance method and yarn processing machine
JPH11314840A (ja) 給糸装置及び給糸方法
EP3401428B1 (en) Yarn feeding device for elastic yarn for flat knitting machine
US7475570B2 (en) Textile machine with yarn feeding control
JP5963393B2 (ja) 横編機
KR20050024505A (ko) 횡편기의 급사장치
EP2573026A1 (en) Thread supply system
KR20200144494A (ko) 횡편기의 톱 텐션장치의 설정방법 및 설정시스템
CN109518352B (zh) 用于对经编机进行准备的方法和经编机
US6959566B2 (en) Textile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327877A1 (en) Tension-controlling method for a yarn unwinding from a storage yarn feeder to a textile machine
US201100100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itting fabric using elastic yarms
JP7462459B2 (ja) 横編機の天バネ装置の設定方法及び設定システム
US96313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fluencing the position of knots between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when sewing with a sewing machine
US8249739B2 (en) Yarn feeding device and yarn feeding method for knitting machine
JPH06272141A (ja) 編み地制御装置
EP2573027B1 (en) A calibrating method for controlled-tension yarn feeders in weaving lines
JP5698491B2 (ja) 横編機での糸長制御装置と制御方法
JP2005264350A (ja) 自動横編み機
JPH0742052A (ja) 度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