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943A - 베어링 해체 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해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943A
KR20200143943A KR1020190071648A KR20190071648A KR20200143943A KR 20200143943 A KR20200143943 A KR 20200143943A KR 1020190071648 A KR1020190071648 A KR 1020190071648A KR 20190071648 A KR20190071648 A KR 20190071648A KR 20200143943 A KR20200143943 A KR 2020014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earing
clamp
mov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179B1 (ko
Inventor
최명종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17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5For detach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는 베어링을 잡아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프, 클램프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레일부, 클램프 및 레일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개구부에 설치되어 베어링을 타격하는 타격 부재를 포함하고, 레일부는 고정 레일,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클램프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 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베어링 해체 장치{BEARING DISMANT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을 분리하여 베어링을 해체하기 위한 장치이다.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되는 일반 규격품 베어링을 검증하기 위하여 필수 특성의 항목 중 베어링의 화학적 성분 분석을 필요로 한다.
베어링을 외륜과 내륜 그리고 구슬 또는 롤러로 각각 해체하여 각 측정 부위를 성분 분석이 용이한 크기로 시편 채취를 인력으로 하는데 시간이 상당히 걸려 발전소로의 적기 공급에 애로점이 발생한다.
인력을 통한 시편 채취 중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안전 사고와 해체 중 베어링의 파손 및 결함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오염으로 인한 정확한 시험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측정 품질 저하로 인한 신뢰도 문제 및 생산성 저하로 인한 비용 상승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안전하고 용이하게 베어링을 해체할 수 있는 베어링 해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는 베어링을 고정하는 클램프, 클램프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 클램프 및 레일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개구부에 설치되어 베어링을 타격하는 타격 부재를 포함하고, 레일부는 고정 레일,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클램프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는 베어링을 감싸도록 굽어지며 일측이 개방된 본체, 본체를 관통하여 베어링을 가압하도록 결합되는 조임 볼트를 포함하고, 이동 레일은 클램프의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은 이동 레일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이동 레일이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 및 이동 레일에 체결되어 이동 레일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나비 볼트를 더 포함하고, 나비 볼트는 고정 레일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이동 레일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지면에 수직하며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 레일부, 수직 레일부 사이를 연결하며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평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레일부는 수평 레일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 레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클램프는 클램프와 이동 레일 사이에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베어링의 구슬의 위치를 제한하는 케이지가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를 이용하면, 안전하고 용이하게 베어링을 해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베어링 해체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 전지용 전극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베어링 해체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1000)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에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 고정부(100), 그리고 타격부재(2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베어링 고정부(100)가 설치된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로, 작업용 개구부(2)를 가질 수 있다. 작업용 개구부(2)에는 타격부재(300)가 설치된다.
베어링 고정부(100)는 베어링(20)을 직접적으로 잡아 베어링(2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베어링(20)을 잡는 복수의 클램프(110) 및 레일부(120, 121)를 포함한다.
베어링(20)은 구슬(ball)을 포함하는 구름베어링(rolling bearing)으로, 지름이 다른 내륜(3)과 외륜(5), 내륜(3)과 외륜(5)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구슬(7), 내륜(3)과 외륜(5) 사이에 위치하는 구슬(7)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케이지(리테이너)(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에서는 케이지가 해체된 상태로, 베어링의 내륜(3)과 외륜(5)을 분리하여 해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에 베어링이 고정될 때, 케이지가 해체되어 내부 구슬(7)은 하부로 이동하여 모이게 된다.
클램프(110)는 굽어져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예를 들어 C, ㄷ, U 형상을 가지는 본체(101), 본체(101)의 개방된 영역에 삽입되는 베어링(20)을 가압하는 조임볼트(102)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중심부(11), 중심부(11)의 양쪽 단부에 절곡된 형태로 연결된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를 포함한다.
중심부(11)의 길이에 따라서 개방된 영역의 폭(W)이 달라질 수 있으며, 삽입되는 베어링(20)의 두께(T)에 따라서 중심부(11)의 길이는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의 길이는 내륜(3) 타격시 내륜(3)과 외륜(5)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가 베어링(20)의 내륜(3)과 중첩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지지부(12)의 가장자리에는 제1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체결공(14)의 내벽에는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조임볼트(102)는 막대형으로 체결공(14)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조임볼트(102)의 일단이 베어링(20)을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조임볼트(102)의 타단은 조임볼트(102)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임볼트(102)는 베어링(20)에 직접 접촉하여 가압하는 것으로, 베어링(20)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수록 균일하면서도 최대의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임볼트(102)의 일단에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가압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가압판(15)이 연결될 수 있다.
레일부는 복수로 설치되며, 지면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 레일부(120),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 레일부(121)가 베어링을 둘러싸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수직 레일부(120) 및 수평 레일부(121)는 각각 고정 레일(103)과 이동 레일(104)을 포함하고, 각각의 고정 레일(103)에 이동 레일(104)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레일(104)이 고정 레일(10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고정 레일(103)은 이동 레일(104)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이동시에 이동 레일(104)이 고정 레일(10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 레일(103)의 가장자리는 이동 레일(104)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절곡될 수 있다. 즉, 고정 레일(103)은 바닥부(16), 바닥부(16)의 양쪽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이동 레일(104)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공간(S)을 형성하는 측부(17)를 포함한다. 측부(17)는 이동 레일(104)의 가장자리와 중첩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바닥부(16)에는 이동 레일(104)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관통형의 장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 레일(104)은 고정 레일(103)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직 레일부(120)의 이동 레일(104)은 중심부(11)의 배면에 연결될 수 있고, 수평 레일부(121)의 이동 레일(104)은 수직 레일부(12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수평 레일부(121)의 이동 레일(104)은 수직 레일부(120)의 고정 레일(103)의 측부에 연결(도시하지 않음)될 수 있다.
이동 레일(104)에는 나비 볼트(105)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공(19)이 형성될 수 있다. 나비 볼트(105)는 장공(18)을 관통해서 체결공(19)에 체결되고 이동 레일(104)은 고정 레일(103)에 고정된다.
수평 레일부(121)의 고정 레일(103)은 타격시 발생하는 충격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수평 레일부(121)의 고정 레일 단부는 케이스(20)의 내벽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수직 레일부(120)가 수평 레일부(121)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서, 수직 레일부(120)에는 유압 장치(140)가 연결될 수 있다. 유압 장치(140)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에 따라서 수직 레일부(120)는 수평 레일부(121)를 따라서 이동된다.
유압 장치(140)는 수직 레일부(120)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레일부(120)를 이동 시키므로, 이동 후에도 수직 레일부(120)가 이동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한 수직 레일부(1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내륜 타격으로 인한 충격에 의해서 유압 장치(140)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나비 볼트(105)와 같은 별도의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수직 레일부(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와 같이 베어링(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베어링 해체 장치(1000)를 이용하면, 베어링(20)의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후술하는 타격부재(200)가 정확하게 내륜을 타격할 수 있도록 베어링(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타격부재(200)는 베어링 고정부(100)에 고정된 베어링(20)의 내륜(3)과 외륜(5)을 분리하기 위해서, 내륜(3)을 타격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 실린더 또는 유압 타격 장치일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는 실린더, 실린더 내에 수용되며 유압에 의해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격부재(200)는 케이스(10)의 개구부(2)를 관통하여 케이스(10)에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함으로써 타격력을 발생시키고, 피스톤이 케이스(10)의 내부를 향해서 전진하면서 내륜(3)을 타격한다.
타격부재(200)가 내륜(3)의 상부를 타격하면 내륜(3)과 외륜(5)이 분리된다. 이때, 타격에 의해서 내륜(3)과 외륜(5) 사이가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이들 사이에 위치하던 구슬(7)이 충격에 의해서 튕겨져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0) 내에서 타격이 이루어지므로, 타격에 의한 충격으로 구슬이 튕겨져 나오더라도, 구슬이 케이스(10) 내에 위치하고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아 작업자가 구슬에 의해서 다치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일부(120, 121)를 이용하여 베어링(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확하게 타격지점을 타격하여 용이하게 내륜과 외륜을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베어링 해체 장치는 대부분 도 1 내지 3의 베어링 해체 장치(1000)와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해체 장치(1002)는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 고정부, 그리고 타격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케이스 내부 공간에 베어링 고정부(100)가 설치되며, 베어링 고정부(100)는 베어링(20)을 직접적으로 잡아 베어링(2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베어링(20)을 잡는 복수의 클램프(110) 및 레일부(1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3에서는 수직 레일부(120)와 연결되는 클램프(110)만 도시하였으나,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수평 레일부(121)와 연결되는 보조 클램프(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보조 클램프(111)를 설치하면, 더욱 견고하게 베어링(20)을 잡아 줄 수 있다.
한편, 수직 레일부(120)에 연결된 클램프(110)는 수직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하므로, 지면에서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치가 조정된다. 베어링(20)의 이동에 의해서,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 레일부(121)와 베어링(20) 사이의 간격,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 레일부(121)와 베어링(20)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클램프(111)의 연결부(31)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1)는 볼트 및 너트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부(31)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가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3: 내륜 5: 외륜
7: 구슬 18: 장공
19: 체결공 105: 나비 볼트
110: 클램프 111: 보조 클램프
120: 수직 레일부 121: 수평 레일부

Claims (8)

  1. 베어링을 고정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
    상기 클램프 및 레일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을 타격하는 타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베어링 해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베어링을 감싸도록 굽어지며 일측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을 가압하도록 결합되는 조임 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클램프의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베어링 해체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레일은 상기 이동 레일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이동 레일이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베어링 해체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레일 및 상기 이동 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 레일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나비 볼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비 볼트는 상기 고정 레일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 레일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베어링 해체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레일부는
    지면에 수직하며 상기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 레일부,
    상기 수직 레일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평 레일부
    를 포함하는 베어링 해체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수직 레일부는 상기 수평 레일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레일부에 결합되는 베어링 해체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수평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와 상기 이동 레일 사이에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베어링 해체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의 구슬의 위치를 제한하는 케이지가 제거된 상태인 베어링 해체 장치.
KR1020190071648A 2019-06-17 2019-06-17 베어링의 링 분리 장치 KR10227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48A KR102279179B1 (ko) 2019-06-17 2019-06-17 베어링의 링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48A KR102279179B1 (ko) 2019-06-17 2019-06-17 베어링의 링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43A true KR20200143943A (ko) 2020-12-28
KR102279179B1 KR102279179B1 (ko) 2021-07-19

Family

ID=7408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648A KR102279179B1 (ko) 2019-06-17 2019-06-17 베어링의 링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934A (zh) * 2020-12-31 2021-04-30 广德中隆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的尼龙保持架拆卸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899A (ko) * 2009-05-29 2010-12-08 서울메트로 전동차축 인너레이스 해체장치
KR101286046B1 (ko) * 2012-11-29 2013-07-23 이종주 어퍼브라켓 베어링 압입장치
KR101736695B1 (ko) * 2016-11-03 2017-05-16 장준영 베어링 조립분해장치
KR101965826B1 (ko) * 2017-09-29 2019-04-04 장준영 베어링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899A (ko) * 2009-05-29 2010-12-08 서울메트로 전동차축 인너레이스 해체장치
KR101286046B1 (ko) * 2012-11-29 2013-07-23 이종주 어퍼브라켓 베어링 압입장치
KR101736695B1 (ko) * 2016-11-03 2017-05-16 장준영 베어링 조립분해장치
KR101965826B1 (ko) * 2017-09-29 2019-04-04 장준영 베어링 조립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934A (zh) * 2020-12-31 2021-04-30 广德中隆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的尼龙保持架拆卸装置
CN112727934B (zh) * 2020-12-31 2024-04-16 广德中隆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的尼龙保持架拆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179B1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05803U (zh) 发动机曲轴后油封总成压装装置
CN102641853A (zh) 自动测量分选机
KR20200143943A (ko) 베어링 해체 장치
CN214668125U (zh) 一种用于汽车座椅骨架的焊缝强度检测装置
AU2016428734A1 (en) Process method for withdrawing and recovering mechanical constant-resistance single prop
CN205785630U (zh) 一种压缩机马达定子的压合力测试装置
CN210099350U (zh) 机车构架组对工装
CN216594580U (zh) 一种杆件性能测试设备
CN211122268U (zh) 一种摆锤压溃吸能测试实验平台
CN209992287U (zh) 检测注塑件产品性能装置
CN108237258B (zh) 一种下料装置及剪料机
KR101277941B1 (ko) 시편 처리장치
CN210513980U (zh) 一种高铁轨道钢材硬度检测装置
WO2021082616A1 (zh) 一种刚度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219842265U (zh) 一种钢结构工程用焊缝检测装置
CN111766140A (zh) 一种单搭接连接结构面外弯曲变形限制试验装置
CN116840076A (zh) 一种侧向冲击试验装置
CN220019142U (zh) 一种道路施工混凝土样块质量检测装置
CN219532720U (zh) 一种碎石冲击试验固定夹具
CN218297787U (zh) 一种道路抗压均匀性检测仪
CN218212468U (zh) 一种坝体的强度检测机构
CN114770130B (zh) 风电螺栓制造过程中钻中心孔压字的设备
CN220019259U (zh) 一种新材回弹性检测装置
CN211856467U (zh) 一种锻件用自动化探伤装置
CN220380905U (zh) 一种混凝土强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