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925A - 미장 장치 - Google Patents

미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925A
KR20200143925A KR1020190071617A KR20190071617A KR20200143925A KR 20200143925 A KR20200143925 A KR 20200143925A KR 1020190071617 A KR1020190071617 A KR 1020190071617A KR 20190071617 A KR20190071617 A KR 20190071617A KR 20200143925 A KR20200143925 A KR 2020014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unit
plastering
control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867B1 (ko
Inventor
이철구
Original Assignee
이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구 filed Critical 이철구
Priority to KR102019007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8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 B01F15/00538
    • B01F15/02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01F7/0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applied to the surface,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 B05C11/1021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미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는 믹서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미장 장치로서, 상기 작업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호스부, 상기 호스부와 체결되며,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작업관부; 및 상기 작업관부와 체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장 장치{PLAS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미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공사에서 벽이나 천장, 바닥 따위에 흙이나 회분, 시멘트 따위를 바르는 것을 미장이라고 한다.
이러한 미장을 하는 방식은 크게 작업자가 미장 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바르는 방식, 스프레이 방식 및 스퀴즈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작업자가 미장 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대상체에 바르는 방식은 흙손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벽, 천정, 바닥에 시멘트나 모르타르를 직접 바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소규모의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며, 사람이 직접 바를 수 있어 복잡한 구조물에 적합하다.
스프레이 방식은 스프레이 기계를 써서 시멘트나 모르타르를 벽면에 분사하여 붙이는 방식이다. 스프레이 방식은 건조시킨 모래와 시멘트를 섞은 것을 펌프로 이송하여 노즐 끝에서 물과 함께 분사하는 타입 및 이미 모르타르로 만들어진 재료를 직접 분사하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스프레이 방식은 작업 효율이 좋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퀴즈 방식은 시멘트나 모르타르를 일정 압력으로 짜내듯이 분사시켜 벽면에 붙이는 방식이다. 스퀴즈 방식은 스프레이 방식과 달리 벽면에 고압으로 분사하지 않아 재료가 벽면에 분사된 후 벽면과의 충돌로 인해 다시 튕겨져 나가는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스퀴즈 방식은 스프레이 방식과 유사하게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람이 직접하는 방식은 공간 구조에 따라 불편한 자세로 오래 작업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이 크며, 작업 효율이 좋지 못해 대형 공사를 하는 경우 인건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프레이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바운드 현상과 불균일한 도포로 미장 불량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스퀴즈 방식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직접 장치를 들고 작업을 해야되는 데 첫 번째 방식과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신체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사정 하에서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면서, 미장 효율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미장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들에 대한 방안들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신체 부담을 최소화한 미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재료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고품질의 미장 작업을 수행하는 미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는 믹서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미장 장치로서, 상기 작업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호스부, 상기 호스부와 체결되며,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작업관부; 및 상기 작업관부와 체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믹서 및 상기 작업부를 제어하는 몸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작업부를 제어하는 작업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전원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는 구동 모터, 재료가 투입되는 재료 투입구, 상기 재료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재료를 섞는 블레이드 및 상기 호퍼와 상기 펌프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를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제어부는 상기 작업관부 상기 절곡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작업관부와 체결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로부터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분배 파티션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두께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두께 조절 유닛은 상기 확장부와 상기 두께 조절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고정 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축과 체결된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산부 및 상기 산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에 저장된 재료가 상기 헤드부를 통해 토출되면, 도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면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마루부와 상대적으로 얇은 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에 진공을 제공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구체적인 수단들은 명세서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미장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신체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미장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켜 대형 공사를 적은 인력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미장면을 형성하여 고품질의 미장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l 부분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l 부분 배치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배치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구성(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을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의 "아래"로 기술된 구성은 다른 구성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구성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구성은 시점에 따라 다른 구성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은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는 몸체부(100) 및 작업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부(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00)는 몸체 제어부(110), 전원부(120), 지지 프레임(130), 믹서(140) 및 펌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제어부(110)는 미장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믹서(140), 전원부(120), 펌프(150) 등에 해당하는 구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 제어부(110)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위치 박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 박스(111)는 믹서(140)나 펌프(150) 및/또는 작업부(200)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 제어부(110)는 전원부(120)와 연결되어 전원부(120)를 On/Off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제어부(110)는 믹서(140)의 구동 모터(141)를 On/Off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제어부(110)는 게이트 밸브(145)를 제어하여 게이트(144)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한, 몸체 제어부(110)는 펌프(150)를 제어하여 재료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헤드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30)에서 토출되는 재료의 양을 제어하거나, 헤드부(230)의 두께 조절 유닛(231)을 제어하여 도포되는 재료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 박스(111)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 박스(111) 화면을 터치하여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몸체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작업 제어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이라 함은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서로 신호를 제공하고 제공받을 수 있는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제어부(110)와 작업 제어부(24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양자는 각자가 수행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 제어부(110)에서 명령하는 기능 중 하나인 믹서(140)의 On/Off 기능을 작업 제어부(240)도 명령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작업 제어부(240)에서 몸체 제어부(110)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몸체 제어부(110)에서 작업 제어부(240)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 제어부(110)와 작업 제어부(24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20)는 전기가 필요한 구성, 예컨대, 믹서(140), 펌프(150) 등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12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미장 장치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전기구동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120)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부(120)는 자체적으로 연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해내는 엔진 구동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120)는 연료(예컨대, 휘발유, 등유, 경유 등)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지지 프레임(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0)은 후술하는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130)은 합금,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장 장치는 지지 프레임(130)과 연결된 프레임 손잡이(13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손잡이(131)는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프레임 손잡이(131)를 잡고 지지 프레임(13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 제어부(110)는 프레임 손잡이(131)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몸체 제어부(110)를 이용하여 미장 장치를 제어하면서 프레임 손잡이(131)를 잡고 미장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장 장치는 지지 프레임(130)과 연결된 프레임 바퀴(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퀴(132)는 지지 프레임(130)의 제1 부분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4개의 프레임 바퀴(132)가 지지 프레임(130)의 하면,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4개의 프레임 바퀴(132)는 중력 방향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네 개의 프레임 바퀴(132)가 회전하는 경우, 지지 프레임(130)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 지지 프레임(130)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4개의 프레임 바퀴(132)는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몸체 제어부(110) 및/또는 작업 제어부(240)가 명령을 내리면, 몸체부(100)가 전진/후진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0) 상에는 믹서(140)가 배치될 수 있다. 믹서(140)는 재료를 고르게 섞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재료는 예컨대, 시멘트(Cement), 모르타르(Mortar)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재료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믹서(1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믹서(140)는 구동 모터(141), 재료 투입구(142), 호퍼(143), 게이트(144), 게이트 밸브(145) 및 블레이드(14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41)는 전원부(120)에서 에너지를 전달받아 이를 운동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동 모터(141)는 후술하는 블레이드(147)와 연결되어 블레이드(14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재료 투입구(142)는 호퍼(14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재료 투입구(142)는 뚜껑이 포함될 수 있다. 재료 투입구(142)가 열리면, 호퍼(143) 내에 재료를 투입할 수 있으며, 재료 투입구(142)가 닫히면 호퍼(143)는 밀폐될 수 있다.
호퍼(143)는 내부에 저장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저장 공간을 통해 호퍼(143)는 재료 투입구(142)를 통해 들어온 재료를 저장할 수 있다.
호퍼(143) 내부에는 블레이드(147)가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47)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47)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날개를 포함하거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47)는 중력 방향과 나란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회전축의 연장 방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47)의 회전축은 중력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호퍼(143)의 하단에는 게이트(144)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144)는 호퍼(143) 내에서 섞인 재료가 출입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즉, 호퍼(143) 속에서 혼합된 재료는 게이트(144)를 통해 펌프(150)로 이동할 수 있다. 게이트(144)는 게이트 밸브(14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게이트 밸브(145)를 잠그면, 게이트(144)는 호퍼(143)를 닫아, 호퍼(143)와 펌프(150)간의 재료 이동을 막으며, 게이트 밸브(146)를 열면, 게이트(144)는 호퍼(143)를 열어, 재료가 호퍼(143)에서 펌프(15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부(200)는 몸체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부(200)는 호스부(210), 작업관부(220) 및 헤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부(210)는 몸체부(100)의 펌프(15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부(210)의 일측은 펌프(150)와 연결되어, 펌프(150)가 제공하는 재료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호스부(210)는 재료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호스부(210)는 유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호스부(210)는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성질을 가져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호스부(210)의 유연함을 통해 헤드부(230)를 필요한 장소로 편하게 이동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호스부(210)의 타측은 작업관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작업관부(220)는 원통형의 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부(210)와 달리 작업관부(220)는 단단한(Rigid)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관부(220)는 모양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관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221)는 작업자가 서서 작업관부(220)를 손으로 잡은 채로 바닥 등에 미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몸을 구부리거나 웅크린 채로 작업하지 않고 서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제어부(240)는 절곡부(221)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작업관부(220)의 일측은 호스부(210)와 체결되며, 타측은 헤드부(230)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부(210)를 통과한 재료는 작업관부(220)의 내측 공간을 통해 헤드부(23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작업관부(220)의 일측에는 작업 제어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작업 제어부(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 제어부(240)는 전원부(120)를 On/Off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제어부(240)는 믹서(140)의 구동 모터(141)를 On/Off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제어부(240)는 게이트 밸브(145)를 제어하여 게이트(144)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한, 작업 제어부(240)는 펌프(150)를 제어하여 재료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제어부(240)는 후술하는 헤드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30)에서 토출되는 재료의 양을 제어하거나, 헤드부(230)의 두께 조절 유닛(231)을 제어하여 도포되는 재료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헤드부(2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l 부분 배치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헤드부(230)는 관부(232), 확장부(233), 분배 파티션(234), 두께 조절 유닛(231) 및 토출구(235)를 포함할 수 있다.
관부(232)는 작업관부(22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부(232)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부(232)의 직경과 작업관부(220)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부(232)와 작업관부(220)는 별도의 커플링 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관부(232)가 작업관부(220)에 삽입되거나, 작업관부(220)가 관부(232)에 삽입됨으로써 체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확장부(233)는 관부(23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될 수 있다. 재료를 넓은 영역에 도포하기 위해 확장부(233)의 폭은 관부(23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재료의 효율적인 도포를 위해 확장부(233)는 사다리꼴이나 부채꼴 모양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부(230)의 외측에는 바퀴(270)가 배치될 수 있다. 바퀴(270)는 작업면과 헤드부(23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헤드부(230)가 작업면 위를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확장부(233)의 내측에는 분배 파티션(234)이 배치될 수 있다. 분배 파티션(234)은 관부(232)를 통해 제공되는 재료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재료가 균일하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배 파티션(23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확장부(233)의 내부 공간은 분배 파티션(23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분배 파티션(234)의 연장 방향은 각 분배 파티션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배 파티션(234)은 관부(232)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배 파티션(2341)과 관부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기울어져 연장되는 분배 파티션(2342)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233)의 일단에는 두께 조절 유닛(23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두께 조절 유닛(231)은 고정부(2311)와 롤러부(2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참조-)
고정부(2311)는 고정 유닛(2313)과 이동축(231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2313)는 확장부(233)와 두께 조절 유닛(231)을 체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 유닛(2313)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축(231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이동축(2314)의 길이 방향은 확장부(233)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이동축(2314)의 양측은 고정 유닛(2313)과 이동가능하도록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축(2314)은 고정 유닛(2313)을 따라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축(2314)이 위로 올라가는 경우, 토출구(235)를 통해 토출되는 재료의 양이 늘어나며, 이에 따라 도포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동축(2315)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토출구(235)를 통해 토촐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재료의 도포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이동축(2314)에는 롤러부(2312)가 체결될 수 있다. 롤러부(2312)는 복수의 롤러(231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2318)는 이동축(2314)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2318)는 산부(2316)와 경사부(231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부(2316) 양측에 경사진 경사부(2317)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롤러(2318)가 복수개 배치되면, 산부(2316)와 토출구(235) 사이의 공간은 경사부(2317)와 토출구(235) 사이의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된다. 이에 따라 롤러(2318)가 회전하는 동안, 재료가 토출구(235)를 통해 도포되면, 도포면에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산부(2316)와 토출구(235) 사이에서 토출된 재료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고, 경사부(2317)와 토출구(235) 사이에서 토출된 재료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게 된다. 즉, 재료 도포면에는 마루부와 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료 도포면에 마루부와 골부가 형성되는 경우, 도포면 위에 다른 건축 부재(예컨대, 벽돌 등)를 합착하는 작업 시 압력이 분산되어 건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도포면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l 부분 배치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재료가 토출구(235)를 통해 도포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부(232)를 통과한 재료는 분배 파티션(234)에서 서로 분배되어 퍼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배 파티션(234)을 거친 재료는 두께 조절 유닛(231)을 거쳐 토출구(235)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2318)가 회전하는 동안 재료가 토출되면, 도포면(240) 상에는 골부(241)와 마루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포면에 골부(241)와 마루부(242)가 형성되는 것에 따른 효과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의 부분 배치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미장 장치는 헤드부(230)에 진동을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250)는 헤드부(230)에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250)에 의해 형성된 진동은 재료의 도포면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도포면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250)가 제공하는 진동의 강도 및 주기는 작업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몸체부
200: 작업부
230: 헤드부
220: 작업관부
210: 호스부
140: 믹서
110: 몸체 제어부
150: 펌프
130: 지지 프레임
240: 작업 제어부

Claims (11)

  1. 믹서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미장 장치로서,
    상기 작업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호스부;
    상기 호스부와 체결되며,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작업관부; 및
    상기 작업관부와 체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미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믹서 및 상기 작업부를 제어하는 몸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작업부를 제어하는 작업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전원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미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구동 모터, 재료가 투입되는 재료 투입구, 상기 재료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재료를 섞는 블레이드 및 상기 호퍼와 상기 펌프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를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를 더 포함하는 미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제어부는 상기 작업관부 상기 절곡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미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작업관부와 체결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로부터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분배 파티션이 배치되는 미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두께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두께 조절 유닛은 상기 확장부와 상기 두께 조절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과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고정 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을 포함하는 미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과 체결된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미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산부 및 상기 산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미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에 저장된 재료가 상기 헤드부를 통해 토출되면, 도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면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마루부와 상대적으로 얇은 골부를 포함하는 미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에 진공을 제공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미장 장치.
KR1020190071617A 2019-06-17 2019-06-17 미장 장치 KR10220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17A KR102200867B1 (ko) 2019-06-17 2019-06-17 미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17A KR102200867B1 (ko) 2019-06-17 2019-06-17 미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25A true KR20200143925A (ko) 2020-12-28
KR102200867B1 KR102200867B1 (ko) 2021-01-11

Family

ID=7408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617A KR102200867B1 (ko) 2019-06-17 2019-06-17 미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949A (zh) * 2021-09-30 2023-04-0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板材涂胶装置、涂胶方法及铺贴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5147B (zh) * 2021-06-08 2022-02-0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适用于工业机器人的刷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511A (ja) * 1991-10-18 1993-04-27 Inax Corp モルタル塗布方法及びモルタル塗布装置
KR200386238Y1 (ko) * 2005-03-07 2005-06-08 김병훈 반자동 건설퍼티기계
KR100645297B1 (ko) * 2005-07-25 2006-11-14 박칠선 코팅 두께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코팅장치
KR101738297B1 (ko) * 2016-02-24 2017-05-22 박윤찬 시멘트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511A (ja) * 1991-10-18 1993-04-27 Inax Corp モルタル塗布方法及びモルタル塗布装置
KR200386238Y1 (ko) * 2005-03-07 2005-06-08 김병훈 반자동 건설퍼티기계
KR100645297B1 (ko) * 2005-07-25 2006-11-14 박칠선 코팅 두께의 미세조정이 가능한 코팅장치
KR101738297B1 (ko) * 2016-02-24 2017-05-22 박윤찬 시멘트 혼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949A (zh) * 2021-09-30 2023-04-0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板材涂胶装置、涂胶方法及铺贴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867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867B1 (ko) 미장 장치
US10640992B2 (en) Methods and devices relating to grouting
KR100768246B1 (ko) 섬유보강모르타르용 믹서 및 그 섬유보강모르타르용 믹서를이용한 섬유보강모르타르 시공방법
KR20190076848A (ko) 미장재료 도포장치
US20120279169A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floor
CN105435672B (zh) 全自动腻子粉搅拌装置和搅拌喷涂一体机
CN104818999A (zh) 混凝土喷射涂抹一体化隧道施工装置
WO2000054931A1 (en) Concrete finishing machine
US20070036898A1 (en) Apparatus for mixing and/or applying a cementitious product and related method
JP2958147B2 (ja) 低層住宅用モルタル混練吹付機
KR101322639B1 (ko) 경량콘크리트 바닥면 마감장치
CN109772621A (zh) 一种家装多用喷涂机器人
US2552763A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applying plaster
KR101549570B1 (ko) 이액형 노면표지용 도료 시공방법
US5660635A (en) Nozzle for a material delivery system
CN110748188B (zh) 挂网填浆装置
US1895608A (en) Plastering machine
CN215790777U (zh) 一种基于混凝土结合层的强度增强结构
JP7108805B1 (ja) 建築用材料調製供給機
JP2885956B2 (ja) 低層住宅等のモルタル外壁の構築方法
JP3131062U (ja) 飛散防止伸縮自在型ウレタン吹付けガン
US1737044A (en) Plastering machine
CN212562340U (zh) 一种用于工民建施的工喷涂抹灰装置
WO2003104584A1 (en) Self-moving automatic machine for plastering building walls
CN210738114U (zh) 一种建筑施工用砌墙铺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