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758A -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758A
KR20200143758A KR1020190071204A KR20190071204A KR20200143758A KR 20200143758 A KR20200143758 A KR 20200143758A KR 1020190071204 A KR1020190071204 A KR 1020190071204A KR 20190071204 A KR20190071204 A KR 20190071204A KR 20200143758 A KR20200143758 A KR 2020014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unit
jaw module
laparoscopic surgery
rece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810B9 (ko
KR102316810B1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07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8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810B1/ko
Publication of KR10231681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81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수용 부재(11); 수용 부재(11)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121)에 고정되는 나이프 샤프트(122); 가이드 부재(121)에 결합되는 조절 샤프트(13); 조절 샤프트(13)에 의하여 작동되는 조(jaw) 모듈(16); 조절 샤프트(13)를 작동시켜 조 모듈(16)의 개폐를 조절하는 핸들 유닛(15); 및 나이프 샤프트(122)가 조 모듈(16)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핸들 컷 유닛(17)을 포함하고, 조 모듈(16)의 끝 부분은 수용 부재(1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휘어진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High Frequency Wave Type of a Cutting Device for a Laparoscopic Surgery}
본 특허출원은 산업통산자원부의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사업으로 진행되는 ‘주변조직 열 손상을 50 ℃ 이하로 5 ㎜급 혈관 결찰을 10초 이내로 수행하는 분자공진형 복강경 수술기’의 개발을 위한 연구 결과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 개발에 협조를 해주신 관련 기관에 감사를 드립니다.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복강경 수술 부위의 일부를 고정하여 고주파 인가에 따른 열에 의하여 지혈을 하면서 절단을 하는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혈관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부위의 일부가 절삭이 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초음파 절삭기 또는 고주파 절삭기와 같은 수술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삭기는 수술 부위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면서 절삭 부위가 최소로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국제공개번호 WO 2011/097469는 5 ㎜ 포트의 투관 침을 통한 복강경 수술에 알맞은 전기 수술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1502412는 인체와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큰 마찰력으로 인체 조직 집게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겸자 구조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복강경 수술을 위한 고주파 절삭기는 시술 편의성을 가지면서 안정적으로 고주파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절삭 부위가 최소로 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WO 2011/097469(아에스클랍 아게, 2011.08.11. 공개) 복강경 고주파 수술 장치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10-1502412(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03.24. 공고) 복강경 수술용 겸자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안정되면서 시술 부위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전기적으로 안정성을 가진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수용 부재; 수용 부재(11)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에 고정되는 나이프 샤프트;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는 조절 샤프트; 조절 샤프트에 의하여 작동되는 조(jaw) 모듈; 조절 샤프트를 작동시켜 조 모듈의 개폐를 조절하는 핸들 유닛; 및 나이프 샤프트가 조 모듈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핸들 컷 유닛을 포함하고, 조 모듈의 끝 부분은 수용 부재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휘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 모듈은 제1 조 유닛 및 제1 조 유닛에 한쪽 끝이 결합되는 제2 조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제1, 2 조 유닛의 끝 부분에 유도 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나이프 샤프트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는 안정 샤프트; 및 안정 샤프트에 결합되는 절단 샤프트로 이루어지고, 절단 샤프트의 끝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경사진 부위를 가지는 커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는 전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시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절삭기는 절삭 조가 절삭 부위를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면서 수술 과정에서 시술 부위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절삭기에 적용되는 절삭 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절삭기에 적용되는 나이프 샤프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수용 부재(11); 수용 부재(11)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121)에 고정되는 나이프 샤프트(122); 가이드 부재(121)에 결합되는 조절 샤프트(13); 조절 샤프트(13)에 의하여 작동되는 조(jaw) 모듈(16); 조절 샤프트(13)를 작동시켜 조 모듈(16)의 개폐를 조절하는 핸들 유닛(15); 및 나이프 샤프트(122)가 조 모듈(16)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핸들 컷 유닛(17)을 포함하고, 조 모듈(16)의 끝 부분은 수용 부재(1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휘어진다.
고주파 절삭기는 수술 과정에서 수술 부위 주위의 혈관, 조직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부위를 절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고주파 절삭기의 조 모듈(16)에 한 쌍의 전극이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전극으로 고주파 발생기에 의하여 발생된 고주파가 전송될 수 있다. 조 모듈(16)에 절단이 되는 혈관과 같은 인체 부위가 고정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으로 전송된 고주파는 열로 변화되어 인체 부위를 응고시킬 수 있다. 이후 응고가 된 인체 부위가 지혈이 된 상태에서 응고가 될 수 있다. 고주파 절삭기는 다양한 종류의 복강경 수술에 적용될 수 있고, 적용 부위에 따라 다양한 고주파 에너지가 한 쌍의 전극으로 전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수용 부재(11)는 속이 빈 원형 단면을 가지는 선형 파이프 형상이 될 수 있고, 내부에 선형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부재(11)는 내부에 작동을 위한 구성이 배치되도록 하면서 작동 핸드 모듈과 조 모듈(16)을 연결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용 부재(11)의 내부에 가이드 부재(121)가 배치되고, 가이드 부재(121)에 의하여 조절 샤프트(13)가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21)는 절연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형 단면을 가진 파이프 형상이 될 수 있고, 내부에 조절 샤프트(1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21)의 둘레 면에 고주파를 조 모듈(16)로 전송하는 전송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 부재(11)의 내부에 나이프 샤프트(122)가 배치될 수 있고, 나이프 샤프트(122)는 가이드 부재(121)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둘레 면에 배치되거나,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용 부재(11)의 한쪽 끝에 조 모듈(16)이 결합되고, 수용 부재(11)의 다른 끝은 작동 핸드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조 모듈(16)에 의하여 절삭 또는 절단이 되어야 하는 혈관과 같은 신체 부위가 고정될 수 있고, 조 모듈(16)의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고정된 인체 부위가 응고될 수 있다. 그리고 응고 부위는 조 모듈(16)의 내부에 이동되는 나이프 샤프트(122)에 의하여 절삭이 될 수 있다. 조 모듈(16)은 절삭 부위의 고정 또는 분리를 위하여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조절 샤프트(13)의 이동에 따라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나이프 샤프트(122)는 수용 부재(11)의 내부에서 앞뒤로 이동되면서 조 모듈(16)의 내부로 이동되거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이프 샤프트(122)의 이동 또는 조절 샤프트(13)의 이동은 작동 핸들 모듈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작동 핸들 모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서브 케이스(H1, H2); 한 쌍의 서브 케이스(H1, H2)에 의하여 형성되는 케이스의 앞쪽 부분에 결합되는 휠 유닛(14); 케이스에 결합되어 조절 샤프트(13)의 작동을 조절하는 핸들 유닛(15); 및 케이스에 결합되어 나이프 샤프트(122)의 이동을 조절하는 핸들 컷 유닛(17)을 포함할 수 있다. 휠 유닛(14)에 수용 부재(11)의 한쪽 끝이 결합되고, 휠 유닛(14)은 고정 덮개(141)에 의하여 앞쪽 부분이 개폐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수용 부재(11)에 수용된 조절 샤프트(13)의 끝 부분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조절 탄성 유닛(142)이 결합될 수 있다. 조절 샤프트(13)의 한쪽 끝이 핸들 유닛(15)에 결합될 수 있고, 핸들 유닛(15)의 작동에 의하여 조절 샤프트(13)가 예를 들어 뒤쪽으로 또는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조 모듈(16)을 개폐시킬 수 있다. 핸들 유닛(15)에 의한 조절 샤프트(13)의 작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핸들 유닛(15)의 작동에 의하여 조 모듈(16)이 인체 부위를 고정시키면 인가 스위치(18)에 의하여 고주파가 인가되어 고정된 인체 부위가 응고가 되고, 핸들 컷 유닛(17)에 의하여 나이프 샤프트(122)가 이동될 수 있다. 나이프 샤프트(122)의 한쪽 끝은 핸들 컷 유닛(17)에 연결될 수 있고, 핸들 컷 유닛(17)의 작동에 의하여 나이프 샤프트(122)의 끝 부분에 형성된 커터가 조 모듈(16)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응고 부위를 절단 또는 절삭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컷 유닛(17)의 작동을 중단하면 탄성력에 의하여 핸들 컷 유닛(17)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면서 나이프샤프트(122)가 뒤쪽으로 이동되어 커터가 조 모듈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부재(11)를 휠 유닛(14)에 결합시키거나, 나이프 샤프트(122) 또는 조절 샤프트(13)의 작동 또는 결합을 위한 탄성 가이드(111), 탄성 수단(111, 172) 또는 와셔 모듈(W)과 같은 다양한 기계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발생된 고주파를 유도하는 전기 유입 유닛(17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기는 고주파 절삭기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고주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고주파는 전기 유입 유닛을 통하여 고주파 절삭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조 모듈(16)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 유닛(15)의 아래쪽에 캡 스위치(173)가 형성되어 핸들 유닛(15)의 작동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캡 스위치(173)는 핸들 유닛(15)과 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핸들 유닛(15)에 정해진 작동 위치에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유닛(15)을 케이스 방향으로 당기면 조 모듈(16)이 닫힐 수 있고, 나이프 샤프트(122)에 의하여 절삭이 완료될 때까지 핸들 유닛(15)이 당겨진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잇다. 캡 스위치(173)는 이와 같이 핸들 유닛(15)이 정해진 작동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들 유닛(15)을 당긴 후 핸들 유닛(15)으로부터 손이 분리되어도 핸들 유닛(15)이 정해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절삭이 완료된 이후 핸들 유닛(15)을 다시 당기면 캡 스위치(173)가 해제되면서 조 모듈(16)이 열릴 수 있다. 캡 스위치(173)는 다양한 작동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주파 절삭기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부품 또는 소자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절삭기에 적용되는 절삭 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 모듈(16)은 제1 조 유닛(21) 및 제1 조 유닛(21)에 한쪽 끝이 결합되는 제2 조 유닛(23)으로 이루어지고, 제1, 2 조 유닛(21, 23)의 끝 부분에 유도 부분(214, 234)가 형성된다. 조 모듈(16)에 의하여 수술 부위에서 절삭이 되어야 하는 부분이 고정될 수 있고, 조 모듈(16)은 개폐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조 모듈(16)은 한쪽 끝이 서로 결합되는 제1, 2 서브 조(21, 23)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2 서브 조(21, 23)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다른 끝 부분이 분리 또는 접근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1 서브 조(21)는 한쪽 면이 열린 사각 단면의 터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조 몸체(211); 제1 조 몸체(211)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연장되고, 연장 방향을 따라 점차로 폭이 좁아지는 제1 고정 부위(212); 제1 조 몸체(211)에 연장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 유도 홀(213); 및 제1 고정 부위(212)의 끝 부분에 형성된 유도 부분(2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서브 조(23)는 제1 조 몸체(211)에 결합되는 제2 조 몸체(213); 제2 조 몸체(213)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제1 고정 부위(2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2 고정 부위(232); 제2 조 몸체(2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회전 유도 홀(233); 및 제1 유도 부분(214)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제2 유도 부분(2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서브 조(21)와 제2 서브 조(23)는 회전 유도 홀(213, 233)의 연장 방향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2 서브 조(21, 23)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2 접촉 부재도 또한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2 고정 부위(212, 232)의 내부에 제1, 2 접촉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2 접촉 부재는 각각 제1,2 고정 부위(212, 232)를 따라 연장되는 제1, 2 접촉 부분(221, 241); 제1, 2 접촉 부분(221, 241)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2 분리 벽(222, 242); 및 제1, 2 접촉 부분(221, 242)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2 선형 유도 홀(223, 2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 회전 유도 홀(213, 233)에 결합되는 유도 핀(도시되지 않음)의 이동에 따라 제1 서브 조(21)가 제2 서브 조(23)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제1, 2 고정 부위(212, 232)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한 쌍의 전극은 각각 제1,2 고정 부위(212, 232)의 내부 바닥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2 선형 유도 홀(223, 243)을 통하여 방출되는 열에 의하여 인체 부위가 응고될 수 있고, 제1, 2 유도 부분(214, 234)을 통항 응고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 또는 이와 유사한 응고 부산물이 배출될 수 있다. 제1, 2 유도 부분(232, 234)는 각각 서로 분리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는 분리 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분리 가지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하여 열 또는 응고 부산물이 배출될 수 있다. 제1, 2 서브 조(21, 23)가 닫히면서 절삭 부위가 고정되고, 한 쌍의 전극으로 전송된 고주파에 의하여 절삭 부위가 응고되면 나이프 샤프트가 제1, 2 서브 조(21, 23)의 사이로 유도되어 제1, 2 선형 유도 홀(223, 243)을 따라 유도되어 이동되면서 응고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절삭기에 적용되는 나이프 샤프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나이프 샤프트(122)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는 안정 샤프트(36); 및 안정 샤프트(36)에 결합되는 절단 샤프트(35)로 이루어지고, 절단 샤프트(35)의 끝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경사진 부위를 가지는 커터(351)가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121)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형 단면을 가지는 선형 부재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가이드 부재(12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조절 샤프트 또는 나이프 샤프트(122)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21)는 원형 단면의 유도 홀(32)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가이드 몸체(31); 가이드 몸체(31)의 내부에 형성된 안정 유닛(321); 가이드 몸체(31)의 둘레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 홈(33a, 33b, 34)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 유닛(321)은 신축성 패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유도 홀(32)의 둘레 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정 유닛(321)이 서로 마주보도록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다수 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위치에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2 유도 홈(33a, 33b)에 예를 들어 고주파의 유도를 위한 전송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고, 제3 유도 홈(34)에 나이프 샤프트(122)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나이프 샤프트(122)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의 중간 부분은 휠 유닛에 위치하는 나이프 샤프트 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오른쪽은 조 모듈에 위치하는 나이프 샤프트를 도시한 것이다. 나이프 샤프트(122)의 한쪽 부분에 스토퍼(37)가 배치될 수 있고, 스토퍼(37)로부터 나이프 샤프트(122)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안정 샤프트(36)가 연장될 수 있다. 연장 샤프트(36)는 사각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352)에 의하여 전달 샤프트(35)와 연결될 수 있다. 절단 샤프트(35)는 연결 부분(352)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가지는 선형 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절단 샤프트(35)의 끝 부분에 사다리꼴 형상의 커터(351)가 배치될 수 있다. 커터(351)는 연결 부분(352)와 동일한 폭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사다리꼴의 바깥쪽 측면은 안쪽 측면에 비하여 작은 경사를 가지면서 큰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단 샤프트(35)의 구조 및 커터(351)의 구조에 의하여 절단 샤프트(35)가 위에서 설명된 선형 유도 홀을 따라 안정적으로 유도되면서 응고 부위가 효율적으로 절단되도록 한다.
나이프 샤프트(122)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는 전기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시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절삭기는 절삭 조가 절삭 부위를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면서 수술 과정에서 시술 부위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수용 부재 13: 조절 샤프트
14: 휠 유닛 15: 핸들 유닛
16: 조 모듈 17: 핸들 컷 유닛
18: 인가 스위치 21, 23: 조 유닛
22, 24: 서브 조
35: 절단 샤프트 36: 안정 샤프트
121: 가이드 부재 122: 나이프 샤트프
141: 고정 덮개 142: 조절 탄성 유닛
171; 전기 유입 유닛 173: 캡 스위치
211: 조 몸체 212; 고정 부위
213: 유도 홀 351: 커터

Claims (3)

  1.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수용 부재(11);
    수용 부재(11)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121)에 고정되는 나이프 샤프트(122);
    가이드 부재(121)에 결합되는 조절 샤프트(13);
    조절 샤프트(13)에 의하여 작동되는 조(jaw) 모듈(16);
    조절 샤프트(13)를 작동시켜 조 모듈(16)의 개폐를 조절하는 핸들 유닛(15); 및
    나이프 샤프트(122)가 조 모듈(16)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도록 조절하는 핸들 컷 유닛(17)을 포함하고,
    조 모듈(16)의 끝 부분은 수용 부재(1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 모듈(16)은 제1 조 유닛(21) 및 제1 조 유닛(21)에 한쪽 끝이 결합되는 제2 조 유닛(23)으로 이루어지고, 제1, 2 조 유닛(21, 23)의 끝 부분에 유도 부분(214, 2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나이프 샤프트(122)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는 안정 샤프트(36); 및 안정 샤프트(36)에 결합되는 절단 샤프트(35)로 이루어지고, 절단 샤프트(35)의 끝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경사진 부위를 가지는 커터(3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KR1020190071204A 2019-06-17 2019-06-17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KR10231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04A KR102316810B1 (ko) 2019-06-17 2019-06-17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04A KR102316810B1 (ko) 2019-06-17 2019-06-17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758A true KR20200143758A (ko) 2020-12-28
KR102316810B1 KR102316810B1 (ko) 2021-10-25
KR102316810B9 KR102316810B9 (ko) 2022-09-30

Family

ID=7408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204A KR102316810B1 (ko) 2019-06-17 2019-06-17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03A (ko) 2021-06-24 2023-01-02 김철중 손조절식 수술 전극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144A (ko) * 1999-09-03 2002-06-21 콘메드 코퍼레이션 전기수술의 응고 및 절단 기기
WO2011097469A2 (en) 2010-02-04 2011-08-11 Aragon Surgical, Inc. Laparoscopic radiofrequency surgical device
JP2013103129A (ja) * 2011-11-10 2013-05-30 Covidien Lp 外科手術用鉗子
KR101502412B1 (ko) 2014-01-07 2015-03-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용 겸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9605A (ko) * 2013-08-07 2016-04-11 코비디엔 엘피 양극성 수술 도구
KR20170017069A (ko) * 2015-08-05 2017-02-15 (주)에이치엔써지컬 절삭 효율 개선 구조의 의료용 초음파 애플라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144A (ko) * 1999-09-03 2002-06-21 콘메드 코퍼레이션 전기수술의 응고 및 절단 기기
WO2011097469A2 (en) 2010-02-04 2011-08-11 Aragon Surgical, Inc. Laparoscopic radiofrequency surgical device
JP2013103129A (ja) * 2011-11-10 2013-05-30 Covidien Lp 外科手術用鉗子
KR20160039605A (ko) * 2013-08-07 2016-04-11 코비디엔 엘피 양극성 수술 도구
KR101502412B1 (ko) 2014-01-07 2015-03-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용 겸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7069A (ko) * 2015-08-05 2017-02-15 (주)에이치엔써지컬 절삭 효율 개선 구조의 의료용 초음파 애플라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03A (ko) 2021-06-24 2023-01-02 김철중 손조절식 수술 전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810B9 (ko) 2022-09-30
KR102316810B1 (ko)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5605A1 (en) Ultrasonic surgical blade for use with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s
EP2583633B1 (en) Ultrasonic device for cutting and coagulating
EP2524663B1 (en) Electrosurgical system with jaws and with means for imparting mechanical perturbations to a jaw
JP6133671B2 (ja) 外科用鉗子
JP6077199B2 (ja) 双極電極構成において電流密度を発生させる最適配置
US5755717A (en) Electrosurgical clamping device with improved coagulation feedback
EP2663250B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BR112016013817B1 (pt) Aparelho para operar em tecido
KR20050023291A (ko) 조직의 응고를 위한 초음파 장치 및 방법
EP1030612A1 (en) Laparoscopic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WO2004108001A1 (ja) 医療用処置具及びこれを備えた医療用処置装置
CN103417294A (zh) 电外科器械
US6231578B1 (en) Ultrasonic snare for excising tissue
US20040054387A1 (en)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US8444642B2 (en) Laparoscopic nephrectomy device
KR20200143758A (ko) 복강경 수술용 고주파 절삭기
WO2002005699A3 (en) Coagulator and spinal disk surgery
IL293454A (en) Tool, generator and electrosurgical apparatus
JP6211228B2 (ja) 医療機器
US10166040B2 (en) Organ resection tool
JP2023549008A (ja) 電気外科用切除ツール
WO2020256149A1 (ja) 医療用処置具及び電磁波医療システム
JPS63610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