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901A -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2901A KR20200142901A KR1020190070394A KR20190070394A KR20200142901A KR 20200142901 A KR20200142901 A KR 20200142901A KR 1020190070394 A KR1020190070394 A KR 1020190070394A KR 20190070394 A KR20190070394 A KR 20190070394A KR 20200142901 A KR20200142901 A KR 202001429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ttendance
- window
- student
- information
- butt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223 couns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1275944 Misgurnus anguillicaud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해 출결기로 사용 가능하게 구축된 것으로서, 특히 학생번호가 터치 입력되었을 때 해당 학생의 출결사항이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정확하게 안내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결, 수납 사항 등의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와 관리자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해 출결기로 사용 가능하게 구축된 것으로서, 특히 학생번호가 터치 입력되었을 때 해당 학생의 출결사항이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정확하게 안내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결, 수납 사항 등의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와 관리자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결기는 출입구 주변에 고정설치되어 학생들의 신원을 확인하고 출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 각각의 학생마다 발급된 RFID 태그가 출결기에 태킹되었을 때, 각 학생의 신분을 확인하고 출결여부를 체크하거나 혹은 영상카메라나 지문인식 혹은 홍체인식 등의 수단을 통해 학생의 신분을 확인하고 출결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출결기는 버튼부 또는 NFC, 지문센서, 카메라 등과 같은 인식수단과, 상기 인식수단을 통해 확보된 정보를 토대로 학생의 신분을 확인하는 처리수단, 그리고 외부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수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잡한 구조로 출입구 주변에 시공되면서,
통상적으로 구축비용이 많이 투입되어 다수의 인원을 관리해야만 하는 대학교 강의실이나 혹은 대형 사설학원의 강의실 등을 위주로 설치되었다.
즉, 소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태권도 학원이나 피아노 학원 등과 같은 시설에는,
고가의 출결기 설치없이 관리자가 수기로 각 학생의 출결상황을 체크하였고, 이를 토대로 별도로 관리가 이루어져 왔던 것이다.
즉, 각각의 학생들이 학원에 등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관리자가 학부모에게 출결상황을 알려 주지 않는 이상 확인할 수 없었고,
특히 관리자는 수기로 작성된 출석부를 토대로 출결상황을 확인하고 학원비 등의 수납사항 등을 주먹구구식으로 체크해 왔으며, 학부모와 학원 관리자간의 소통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축되어 소규모 학원시설에 특화된 출결기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각 학생의 출결사항이 학부모의 사용자 단말로 자동으로 안내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출결기를 통해 관리자가 출결사항 뿐만 아니라 이와 연결된 수납 사항 등을 비롯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결기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때 학부모와 관리자간의 소통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터치입력 가능한 스마트단말에,
숫자버튼과 입력창을 구현하고 상기 숫자버튼이 눌려져 각각의 학생별로 할당된 식별번호가 입력창에 입력되었을 때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가 뷰잉되는 정보창을 오픈하는 한편 해당 학생의 출석여부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출결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스마트단말은 일측이 개구되어있고 타측은 통공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함체의 내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부 밖으로 스마트단말의 화면창이 노출되게 고정설치한 상태로,
상기 함체가 출입구 주변에 고정설치되는 출결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출결기와 함께,
휴대인터네망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 학생의 신원정보와 출결여부 및 수납상황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접속시 출결상황이나 수납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자단말과 사용자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관리자단말에 의해 등록된 공지사항이나 소식 등이 관리서버에 의해 사용자단말로 전달되면서 학부모와 관리자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나 올바른 학원 생활을 이끌어 내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해 출결기로 사용 가능하게 되면서, 태권도 도장이나 피아노 학원과 같이 1:1 혹은 1:소수로 레슨이 이루어지는 소규모 시설의 학원에 특화된 출결기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학생번호가 터치 입력될 때 해당 학생의 출결사항이 등록된 학부모의 사용자 단말로 정확하게 안내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출결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토대로 관리자가 출결사항이나 수납사항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 의해 사용자와 관리자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또는 레슨상태 그리고 전반적인 학원생활 모습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결기의 사시도와 배면사시도.
도3은 도1의 분해사시도
도4와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결기의 장착상태도와 사용상태도.
도6은 출결기의 작동화면.
도7은 출결기를 통해 출석결과를 안내받은 사용자단말의 사용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결시스템의 블럭도.
도9 내지 도13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구성도.
도14 내지 도16은 관리자단말의 화면 구성도.
도3은 도1의 분해사시도
도4와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결기의 장착상태도와 사용상태도.
도6은 출결기의 작동화면.
도7은 출결기를 통해 출석결과를 안내받은 사용자단말의 사용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결시스템의 블럭도.
도9 내지 도13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구성도.
도14 내지 도16은 관리자단말의 화면 구성도.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결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3은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4와 도5는 장착상태 및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6은 출결기의 작동화면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7은 학부모의 사용자단말로 출석결과를 안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결기(1)는 터치입력 가능한 스마트단말(10)에,
숫자버튼(13)과 입력창(12)을 구현하고 상기 숫자버튼이 눌려져 각각의 학생별로 할당된 식별번호가 입력창에 입력되었을 때,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가 뷰잉되는 정보창(14)을 오픈하는 한편, 해당 학생의 출석여부를 기록하는 출결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단말(10)이 일측은 개구되어있고 타측은 통공된 개구부(22)를 형성하고 있는 함체(20)의 내공간(21) 안쪽으로 내입되어 고정수단(30)에 의해 상기 개구부(22) 밖으로 스마트단말(10)의 화면창(11)이 노출되게 설치된 상태로,
출입구 주변에 고정설치되면서, 태권도 도장이나 피아노 학원과 같이 1:1 혹은 1:소수로 레슨이 이루어지는 학원에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함체(20)는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는 타측면을 경사면(23)으로 형성하면서 상면(24)보다 하면(25)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하고,
상기 상면(24)의 일측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지면서 하나 이상의 걸림홈(26a)을 형성하고 있는 테두리면(26)을 형성하는 한편, 이에 대응하는 하면(25)의 일측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벽면에 밀착되는 돌출면(27)을 형성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결기(1)가 테두리면(26)의 걸림홈(26a)에 의해 벽면에 걸림되어 졌을 때, 경사면(23)에 의해 무게중심이 벽면 쪽으로 이동되어지게 구성하여,
불규칙한 벽면과 상기 돌출면(27)이 긴밀하게 밀착되어진 상태에 놓여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시공되게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함체(20)의 내공간(21)에는 스마트단말(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30)은 경사면(23)의 이면에 밀착되는 고정면(32)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내입되면서 상기 스마트단말(10)의 후단을 일부 가려주는 받침면(33)을 형성하고 있는 한 쌍의 고정대(31)가,
상기 개구부(22)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서 체결수단(34)에 의해 서로 마주보게 조립되어, 내측에 위치한 스마트단말(10)이 경사면(23)에 밀착되면서 화면창(11)이 상기 개구부(22) 밖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스마트단말(10)은 터치 입력 가능한 단말기로서, 대표적으로 IOS 혹은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혹은 노트북 등이 있으며, 특히 출결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해당 스마트단말을 출결기 전용으로 사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마트단말(10)은 내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것일 수도 있지만,
출결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블럭화모듈에 의해 백그라운드에 실행되고 있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블럭화시켜 불필요한 동작을 취하지 않게 구성하는 한편 히든모듈에 의해 푸쉬메시지나 갑작스런 통화전화 등에 반응하여 동작하지 않게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스마트단말은 각각의 학생별로 할당된 식별번호와 신원정보와 출결상황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된 식별번호를 토대로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를 로드하기 위한 인식모듈과,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확인된 해당 학생의 출결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처리모듈과, 상기 정보처리모듈을 통해 해당 학생의 출결상태를 안내한 후 화면창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피드백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화모듈을 통해 출결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후 개구부 밖으로 화면창(11)을 노출시켰을 때에는,
해당 화면창(11)에 0에서부터 9까지의 숫자버튼(13)과, 입력된 숫자버튼의 숫자를 보여주는 입력창(12)과, 신원확인을 요청하는 확인버튼을 형성하고,
각각의 학생별로 할당된 식별번호가 입력된 후 확인버튼이 눌려졌을 때에는 인식모듈을 통해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를 뷰잉할 수 있는 정보창(14)을 오픈하여 주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오픈된 정보창(14)에는 등록된 해당 학생의 안면 사진과, 이름 등의 신원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확인버튼이 눌려졌을 때에는 출석결과를 알리는 결과창(15)이 오픈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결과창(15)에는 해당 학생의 출결상태와, 이름 그리고 등원한 시간 등을 표출하여 주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피드백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숫자버튼과 입력창을 형성하고 있는 화면창(11)이 노출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출결기(1)는 실시 예에 따라 각각의 학생별로 안면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1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정보창(14)이 오픈되어졌을 때, 영상 카메라를 통해 확인된 신원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만,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알리는 결과창(15)이 오픈되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출결기(1)는 실시 예에 따라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랑 장치(50)와 유/무선연결되어,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알리는 결과창(15)이 오픈되면서 도어락 장치(50)가 해제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결기(1)는 각 학생의 이름, 사진,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신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알리는 결과창(15)이 오픈되어졌을 때, 자동으로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등록된 학부모의 사용자 단말(40)로 알려 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결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9내지 도 9j는 관리서버를 통해 서비스 되는 화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내지 10d는 사용자단말의 화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1 내지 11b는 관리자단말의 화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터치입력 가능한 스마트단말에, 상기 출결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함체의 내공간에 설치된 상태로, 출입구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출결기(100)와 함께,
원거리에서 상기 출결기와 휴대인터네망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학생의 신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상기 출결어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서포트하는 관리서버(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출결기(100)는 도1의 출결기(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결과창이 오픈되어졌을 때에는, 접속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보고받을 수 있는 학부모의 사용자 단말(1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각 학생의 출결상황이나 수납현황들을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1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110)는 각 학생의 신원정보와 출결상황과 수납상태를 비롯하여 관리자가 등록한 가정통신문 정보와 학원정보와 소식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출결기(100)의 출결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단말(120)과 관리자단말(130)의 접속어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서포트하고, 관리자단말(130)에 의해 등록된 학원정보나 소식 또는 가정통신문 등이 학부모의 사용자단말(120)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9a는 관리서버 접속시 서비스되는 전체 항목을 보여주는 화면 구성도이고, 도 9a는 원생관리메뉴 상의 원생리스트 항목을 선택시 표출되는 화면 구성도이고, 도 9b는 출결관리메뉴 상의 학급별출결항목 선택시 표출되는 화면 구성도이고, 도 9c는 수납관리메뉴 상의 납부처리항목 선택시 표출되는 화면 구성도이고, 도 9d는 상담관리메뉴 상의 상담내역 항목 선택시 표출되는 화면 구성도이고, 도 9e 내지 도 9g는 스마트앱메뉴 상의 가정통신문항목 또는 소식항목 또는 일정항목을 선택시 표출되는 화면 구성도이고, 도 9h는 메시지관리메뉴 상의 푸쉬전송이력항목 선택시 표출되는 화면 구성도이고, 도 9i와 도 9j는 환경설정메뉴 상의 사용자권리항목과 학원설정항목 선택시 표출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는 원생관리(111), 출결관리(112), 수납관리(113), 상담관리(114), 스마트앱(115), 메시지관리(116), 등의 서비스 메뉴를 제고항고, 실시 예에 따라 환경설정(117)과 체력관리, 성적관리 서비스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생관리 메뉴(111)는 원생리스트 항목과, 원생통계 항목과, 포인트 적립 내역 항목으로 구성되고, 실시 예에 따라 학원 특성에 따라 승단 심사관리 항목과, 원생레벨이력 항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원생리스트 항목은 검색창 또는 검색버튼을 토대로 원생들의 정보를 리스트화여 보여주는 전체리스트 테이블을 기준으로, 특정 원생을 선택하였을 때 해당 원생의 이름, 생년월일, 학생번호, 전화번호, 가입정보, 수납현황, 특이상황, 등으로 구성된 원생정보 테이블과, 보호자의 이름, 연락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있는 상세정보 테이블로 구성된다. 더불어 원생통계 항목은 년과 월을 기준으로 신규, 재학, 휴원 퇴원한 원생의 인원수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통계 테이블과, 상기 통계 테이블을 토대로 만들어지는 그래프 영역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포인트 적립내역 항목은 각각의 학원생들 별로 등원 및 칭찬하기 등으로 적립되는 내역으로 구성된 포인트 적립내역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실시 에에 따라서는 반(예, 초등, 유치, 중등부...)과, 등록한 사람, 그리고 포인트 점수와, 등록일수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출력관리 메뉴(112)는 학급별출결 상태와 개인별출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학급별출결항목은 정렬창과 검색버튼을 토대로 반, 부, 학교, 학년, 이름, 상태, 부모, 등원, 하원으로 구성된 테이블을 형성하여, 전체 출결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불어 개인별출결항목은 반 이름, 원생 이름, 학년, 전화번호, 등원, 상태로 구성된 테이블을 형성하여, 각 원생의 출결과 함께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해당 원생의 이름이나 상태를 클릭하였을 때 칼렌더가 오픈되면서 해당 원생의 월별 출결 상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수납관리 메뉴(113)는 납부처리항목과, 수납통계항목으로 구성되고, 실시 예에 따라 수납항목설정항목과, 온라인결제이력, 단말기결제이력 항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납부처리항목은 정렬창과 검색창을 토대로 학생번호, 재원, 이름, 반면, 부모, 수납항목, 납부할 금액, 수납액, 수납상태, 납부알림, 미납액, 결제방법, 기준일, 수납일로 구성된 납부처리 테이블을 형성하여 수납관리할 수 있게 구성되고, 특히 특정 학생의 납부알림 항목을 체크하였을 때에는 해당 원생의 부모에게 SMS 문자 또는 푸쉬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불어 수납통계항목은 반, 부, 이름, 수납항목, 1~12월과 계로 구성된 수납통계 테이블을 형성하여, 학원 전체의 수납처리 현황과 통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담관리 메뉴(114)는 상담내역항목과 상담통계항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담관리항목은 검색창을 토대로 로드된 특정 학원생의 학생번호, 이름, 상담시간, 반, 부, 상당방법(예, 통화, 면담, 이메일 등등), 상담제목(예, 수업태도, 건강, 등등)으로 구성된 상담내역 테이블을 형성하고, 해당 내용은 상담등록 버튼을 눌러 오픈된 상담등록을 통해 기록된 정보를 토대로 리스트화되어 보여지게 구성된다. 더불어 상담통계항목은 월별로 면담한 건수가 기록되어 있는 상담통계 테이블을 형성하고, 해당 상담통계 테이블을 통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를 형성한다.
또한, 스마트앱메뉴(115)는 가정통신문, 소식, 일정, 앨범, 교육게시판, 동영상게시판 항목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정통신문 항목은 검색버튼과 작성버튼을 토대로 작성자의 이름, 작성일, 확인횟수, 제목으로 구성된 가정통신문 테이블 형성하여, 운영 중인 학원에서 학부모에게 보낸 전체 가정통신문을 확인할 수 있고, 작성버튼 동작시 오픈된 끌쓰기 창을 통해 특정 수신자에게 보낼 내용을 기록하거나 특정 파일을 첨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불어 소식항목은 검색버튼과 글쓰기 버튼을 통해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로 구성된 소식 테이블을 형성하여, 학원 소식 등을 접속한 학부모나 학원생들이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한다. 이때 관련내용은 글쓰기 버튼 동작시 오픈된 글쓰기 창을 통해 공지사항이나 소식 등을 기록하고 특정 파일을 첨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불어 일정항목은 검색버튼과 등록버튼을 토대로 일시, 제목, 내용, 작성자, 작성일로 구성된 일정 테이블을 형성하여, 학원의 전체 일정을 접속한 학부모나 학원생 또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고, 달력보기 버튼이 눌려졌을 때에는 다수개의 칸으로 구획된 칼렌더를 형성하고 각각의 날짜에 전체 일정을 기록하여 한눈에 일정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더불어 앨범 항목은 검색버튼과 글쓰기 버튼을 토대로 제목과 작성자 그리고 작성일자로 구성된 앨범 테이블을 형성하여, 학원에서 특별한 행사를 진행하였을 때 촬영된 사진과 내용 등을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글쓰기 버튼이 눌려졌을 때에는 제목 및 관련 이벤트 내용을 작성하고 관련 사진을 첨부하여 접속한 학부모나 학원생들이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더불어 교육게시판 항목은 검색버튼과 글쓰기 버튼을 토대로 제목, 작성자, 작성일자, 조회수로 구성된 게시판 테이블을 형성하여, 작성자가 올린 강의 자료나 링크 형식으로 등록된 동영상 등을 접속한 학부모나 학원생들이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한다.
또한, 메시지관리 메뉴(116)는 이력관리와 푸쉬 전송이력 항목으로 구성된다, 이때 이력관리항목은 년도별 검색버튼을 토대로 기간과 전송건수 및 남은 무료 문자 건 수를 보여주는 SMS 항목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을 형성하여, 서비스 이용시 메시지 전송 이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불어 푸쉬 전송이력항목은 정렬창과 검색버튼을 토대로 종류(수납, 출결 등등), 푸시타입(등원, 결석), 발신시간, 전송기간, 수신확인, 받는사람, 메시지 내용으로 구성된 푸쉬 전송 이력 테이블를 형성하여, 전체 푸쉬 메시지 전송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환경설정 메뉴(117)는 각각의 학원별로 운영되는 형태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학원 관리자 역시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관리자 별로 학원 사정에 맞게 운영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관리, 학원정보, 반/부관리, 학원설정 등으로 구성되고, 실시 예에에 따라 단과관리 레벨관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관리항목은 관리자의 권한을 부여하는 한편 각각의 관리자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검색버튼과 등록버튼을 토대로 관리자의 ID와, 이름, 직책, 부여된 권한과 전화번호로 구성된 사용자관리 테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등록버튼이 눌려졌을 때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추가 계정을 생성하고, 관리자 권한을 부여하거나 취소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불어 학원정보항목은 학원아이디, 원장이름, 학원명, 전화번호, 주소, 학원소개 글로 구성된 학원정보 테이블을 형성하고, 추가로 학원 운영시 사용될 계좌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서비스될 사진 등을 업로드할 수 있게 구성된다. 더불어 반/부관리항목은 각각의 학원들이 원생들을 위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되는 반과 부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반버튼을 통해 오픈된 등록창에 기입된 정보를 토대로 반 이름과 인원 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반관리 테이블을 형성한다.
더불어 학원설정항목은 설정창을 오픈하여 보내는 사람의 전화번호와 대상자 그리고 등록된 메시지를 선택하여 수납일이나 생일에 관련 메시지를 자동 발송하도록 구성된 자동발송설정버튼과, 문구창을 오픈하여 수납관리항목의 납부알림시 자동 발송되는 메시지 내용을 편집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납부알림문구보기버튼과, 출결알림창을 오픈하여 출결알림시 자동 발송될 메시지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등록하기 위해 구성된 출결알림메시지문구버튼과, 포인트창 오픈시 원생에게 부여되는 포인트 점수를 설정 등록할 수 있게 구성된 포인트설정화면보기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단말(120)은 학부모 또는 학생이 소지한 단말기로써,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타블릿, 등이 있으며, 접속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도9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결/일정버튼(121a)과, 소식버튼(121b)과, 앨범버튼(121c)과, 가정통신문버튼(121d)과, 학원정보버튼(121e)과, 체력정보버튼(121f)과, 설정버튼(121g)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창(121)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창(121)의 출결/일정버튼(121a)이 눌려졌을 때에는 스케줄 달력이 오픈되면서 각 날자별로 출석여부가 기록된 출결/일정창(122)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창(121)의 소식버튼(121b)이 눌려졌을 때에는 오늘 등원한 해당 학생의 출결알림이나 공지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소식창(123)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창(121)의 앨범버튼(121c)이 눌려졌을 때에는 행사중에 촬영된 사진이나 학원 활동 중에 촬영된 해당 학생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앨범창(124)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창(121)의 가정통신문버튼(121d)이 눌려졌을 때에는 관리자가 각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원에서 진행하는 행사나 알림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가정통신문창(125)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창(121)의 체력정보버튼(121f)이 눌려졌을 때에는 성장 중인 해당 학생의 신체정보와 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체력정보창(126)이 오픈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단말은 실시 예에 따라 관리서버에 의해 올려진 교육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학원비를 결제(카드결제)하거나, 성적 그리고 레벨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단말은 자녀가 여러명이고, 각각의 자녀가 상기 관리서버에 등록된 서로 다른 학원(예, 피아노 학원, 태권도 학원 등등)에 다닐 지라도, 관리서버에 의해 통합관리되면서, 하나의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자녀의 출결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접속어플리케이션은 관리자 또는 학부모로 나누어지고, 관리자 또는 학부모에 따라 메인창 오픈시 표출되는 버튼이나 창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관리자단말(130)은 학원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써,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타블릿, 노트북, PC 등이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접속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도14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버튼(131a)과, 소식버튼(131b)과, 앨범버튼(131c)과, 가정통신문버튼(131d)과, 원생/부모관리버튼(131e)과, 원생사진등록버튼(131f)과, 출결관리버튼(131g)과, 학원정보버튼(131h)과, 설정버튼(131i)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창(131)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창(131)의 원생/부모관리버튼(131e)이 눌려졌을 때에는 학생 또는 학부모를 검색할 수 있는 창과 함께 이의 검색결과가 이름 납부결과 순으로 리스화되어 보여지는 원생/부모관리창(132)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창(131)의 원생사진등록버튼(131f)이 눌려졌을 때에는 학생번호 또는 이름을 토대로 검색할 창과 함께 해당 학생의 안면을 촬영한 사진을 등록할 수 있는 원생사진등록창(132)이 오픈되고, 상기 메인창(131)의 출결관리버튼(131g)이 눌려졌을 때에는 반별로 각 학생들의 등원한 사실과 하원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출결관리창(134)이 오픈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토대로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출결기 10:스마트단말
11:화면창 12:입력창
13:숫자버튼 14:정보창
15:결과창 20:함체
21:내공간 22:개구부
23:경사면 23a:개구홀
24:상면
25:하면 26:테두리면
26a:걸림홈 27:돌출면
27a:조립홀 30:고정수단
31:고정대 32:고정면
32a:나사홀 33:받침면
34:체결수단 40:사용자단말
50:도어락
100:출결기 110:관리서버
120:사용자단말 121:메인창
121a:출결/일정버튼 121b:소식버튼
121c:앨범버튼 121d:가정통신문버튼
121e:학원정보버튼 121f:체력정보버튼
121g:설정버튼 122:출결/일정창
123:소식창 124:앨범창
125:가정통신문창
126:체력정보창 130:관리자단말
131:메인창 131a:일정버튼
131b:소식버튼 131c:앨범버튼
131d:가정통신문버튼 131e:원생/부모관리버튼
131f:원생사진등록버튼 131g:출결관리버튼
131h:학원정보버튼 131i:설정버튼
132:원생/부모관리창 133:원생사진등록창
134:출결관리창
11:화면창 12:입력창
13:숫자버튼 14:정보창
15:결과창 20:함체
21:내공간 22:개구부
23:경사면 23a:개구홀
24:상면
25:하면 26:테두리면
26a:걸림홈 27:돌출면
27a:조립홀 30:고정수단
31:고정대 32:고정면
32a:나사홀 33:받침면
34:체결수단 40:사용자단말
50:도어락
100:출결기 110:관리서버
120:사용자단말 121:메인창
121a:출결/일정버튼 121b:소식버튼
121c:앨범버튼 121d:가정통신문버튼
121e:학원정보버튼 121f:체력정보버튼
121g:설정버튼 122:출결/일정창
123:소식창 124:앨범창
125:가정통신문창
126:체력정보창 130:관리자단말
131:메인창 131a:일정버튼
131b:소식버튼 131c:앨범버튼
131d:가정통신문버튼 131e:원생/부모관리버튼
131f:원생사진등록버튼 131g:출결관리버튼
131h:학원정보버튼 131i:설정버튼
132:원생/부모관리창 133:원생사진등록창
134:출결관리창
Claims (11)
- 터치입력 가능한 스마트단말에,
숫자버튼과 입력창을 구현하고 상기 숫자버튼이 눌려져 각각의 학생별로 할당된 식별번호가 입력창에 입력되었을 때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가 뷰잉되는 정보창을 오픈하는 한편 해당 학생의 출석여부를 기록할 수 있게 구성된 출결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스마트단말은 일측이 개구되어있고 타측은 통공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함체의 내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부 밖으로 스마트단말의 화면창이 노출되게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함체가 출입구 주변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 스마트 출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타측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면서 상면보다 하면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하고 있고,
상기 상면의 일측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걸림홈을 형성하고 있는 테두리면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상기 하면의 일측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조립홀을 형성하고 있는 돌출면을 형성하고 있어,
출입구 주변의 벽면에 테두리면의 걸림홈에 의해 걸림되어 졌을 때 경사면에 의해 돌출면이 벽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면서 용이하게 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고정수단은 개구부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서,
경사면의 이면에 밀착되는 고정면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내입되면서 상기 스마트단말의 후단과 밀착되는 받침면을 형성하고 있는 한 쌍의 고정대가,
서로 마주보게 조립되어, 내측에 위치한 스마트단말의 화면창이 개구부 밖으로 노출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기는 정보창이 오픈되어진 후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알리는 결과창이 오픈되어졌을 때,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등록된 학부모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기는 각각의 학생별로 할당된 식별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창이 오픈되어졌을 때, 각각의 학생별로 안면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정보창의 신원정보와 영상 카메라를 통해 확인된 신원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만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알리는 결과창을 오픈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기는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와 유/무선연결되어,
학생의 출석결과를 알리는 결과창이 오픈되었을 때에만 도어락 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스마트 출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은 출결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백그라운드에 실행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블럭화시키는 블럭화모듈과, 푸쉬메시지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차단하여 주는 히든모듈과, 상기 출렬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오픈된 화면창에, 0에서부터 9까지의 숫자버튼과, 입력된 숫자버튼의 숫자를 보여주는 입력창과, 신원확인을 요청하는 확인버튼을 형성하여, 터치 입력된 각 식별번호를 토대로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를 로드하기 위한 인식모듈과,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로드된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를 오픈된 정보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정보창의 확인버튼이 눌려졌을 때에는 해당 학생의 출결상태와 이름 그리고 등원한 시간을 알리는 결과창을 오픈하여 주는 정보처리모듈과, 상기 정보처리모듈을 통해 오픈된 결과창이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숫자버튼과 입력창을 형성하고 있는 화면창이 노출되게 복귀시키는 피드백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결기. - 터치입력 가능한 스마트단말에, 숫자버튼과 입력창을 구현하고 상기 숫자버튼이 눌려져 각각의 학생별로 할당된 식별번호가 입력창에 입력되었을 때 해당 학생의 신원정보가 뷰잉되는 정보창을 오픈하는 한편 해당 학생의 출석여부를 기록하는 출결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스마트단말은 일측이 개구되어있고 타측은 통공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함체의 내공간 안쪽으로 내입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부 밖으로 스마트단말의 화면창이 노출되게 고정설치된 상태로, 상기 함체가 출입구 주변에 고정설치되는 출결기와,
상기 출결기와 휴대인터네망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각 학생의 신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상기 출결어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서포트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결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결기가 정보창을 오픈한 후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알리는 결과창을 오픈하였을 때, 해당 학생의 출석결과를 보고받는 사용자 단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출결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출결사황과 수납현황들을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출결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가정통신물 발송시 해당 학생의 학부모가 소지한 사용자단말로 발송되어 관리자와 학부모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출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394A KR102340367B1 (ko) | 2019-06-14 | 2019-06-14 |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394A KR102340367B1 (ko) | 2019-06-14 | 2019-06-14 |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2901A true KR20200142901A (ko) | 2020-12-23 |
KR102340367B1 KR102340367B1 (ko) | 2021-12-17 |
Family
ID=7408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0394A KR102340367B1 (ko) | 2019-06-14 | 2019-06-14 |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0367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1724A (ko) * | 2007-05-14 | 2009-01-09 | 주식회사 유진로봇 | 로봇을 이용한 유아교육 기관의 출결관리 시스템 |
KR20120106326A (ko) | 2011-03-18 | 2012-09-26 | 슈어엠주식회사 | 카메라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30094092A (ko) | 2012-02-15 | 2013-08-23 | 주식회사 로텍스 |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적 학생 출결 체크 및 관리 시스템 |
KR101408193B1 (ko) | 2012-08-10 | 2014-06-1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
KR20150022460A (ko) * | 2013-08-23 | 2015-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
KR20150124202A (ko) | 2014-04-28 | 2015-11-05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폰 기반의 영상 인식을 이용한 출결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1713484B1 (ko) | 2015-05-21 | 2017-03-22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 출결관리 서버, 시스템 및 강의실 좌석배치도 생성 방법 |
KR20170085679A (ko) * | 2016-01-15 | 2017-07-25 | (주)코아메소드 | 스마트 학교 시스템, 스마트 학교 시스템을 위한 서버 및 스마트 학교 내의 사용자 위치 결정 방법 |
JP6257384B2 (ja) * | 2014-03-06 | 2018-01-10 | 株式会社イトーキ | 会議室などの部屋入口に設置される端末ホルダー |
-
2019
- 2019-06-14 KR KR1020190070394A patent/KR1023403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1724A (ko) * | 2007-05-14 | 2009-01-09 | 주식회사 유진로봇 | 로봇을 이용한 유아교육 기관의 출결관리 시스템 |
KR20120106326A (ko) | 2011-03-18 | 2012-09-26 | 슈어엠주식회사 | 카메라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30094092A (ko) | 2012-02-15 | 2013-08-23 | 주식회사 로텍스 |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적 학생 출결 체크 및 관리 시스템 |
KR101408193B1 (ko) | 2012-08-10 | 2014-06-16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와이파이를 활용한 자동 출결관리 방법 |
KR20150022460A (ko) * | 2013-08-23 | 2015-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사용 제한 방법 |
JP6257384B2 (ja) * | 2014-03-06 | 2018-01-10 | 株式会社イトーキ | 会議室などの部屋入口に設置される端末ホルダー |
KR20150124202A (ko) | 2014-04-28 | 2015-11-05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폰 기반의 영상 인식을 이용한 출결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1713484B1 (ko) | 2015-05-21 | 2017-03-22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 출결관리 서버, 시스템 및 강의실 좌석배치도 생성 방법 |
KR20170085679A (ko) * | 2016-01-15 | 2017-07-25 | (주)코아메소드 | 스마트 학교 시스템, 스마트 학교 시스템을 위한 서버 및 스마트 학교 내의 사용자 위치 결정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0367B1 (ko) | 2021-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elwyn et al. | Left to their own devices: The everyday realities of one-to-one classrooms | |
US883230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event participation | |
US2014035863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event participation | |
US9002944B2 (en) | Virtual badge, device and method | |
US9525657B2 (en) | System for automatic blogging and social group interactions | |
US20180098206A1 (en) | System for managing organizational emergencies and coordinating emergency responses | |
KR101246264B1 (ko) | 학습 커뮤니티간의 지식 및 자료 거래 방법 | |
US2013015944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able communications | |
Mills | M-Libraries: Information use on the move | |
CN106507688A (zh) | 用于电影界专业人士的全球交流平台 | |
US2019027461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Interacting, and Updating of Guardian Actions Within a School System | |
Bertot et al. | Public libraries and the Internet: Roles,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 |
Atkinson et al.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tudy room reservation system: Lessons from a pilot program using google calendar | |
US2019027461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Interacting, and Updating of Student, Guardian, Teacher, and Administrator Interactions Within a School System | |
KR20160109893A (ko) | 익명으로 이용하는 채팅 서비스, 메시지 전달 서비스 또는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Stillman et al. | Is it Web 2.0 or is it better information and knowledge that we need? | |
KR102340367B1 (ko) | 스마트 출결기 및 이를 이용한 출결시스템. | |
US2019027461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Reporting, Interacting, and Updating of Student Actions Within a School System | |
KR20020084571A (ko) | 스마트카드 및 지문인식기등을 이용한 학원 및 학교의자녀 학사정보 자동 전송 시스템 | |
JP3215649U (ja) | 保育所・認定こども園・幼稚園用の登降管理装置 | |
KR101917214B1 (ko)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동을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 마이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정보 제공 방법 | |
EP3389264A1 (en) | Apartment building network system | |
Kysh |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management of the enterprise. | |
KR20130089812A (ko) | 앱과 웹서버를 이용한 유치원 및 학원관리 서비스시스템 | |
Zada et al. | Public perceptions and user experience study on the use and adoption of a mobile internet e-Voting smartphone app within the Australian contex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