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610A - 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 Google Patents

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610A
KR20200142610A KR1020190069053A KR20190069053A KR20200142610A KR 20200142610 A KR20200142610 A KR 20200142610A KR 1020190069053 A KR1020190069053 A KR 1020190069053A KR 20190069053 A KR20190069053 A KR 20190069053A KR 20200142610 A KR20200142610 A KR 20200142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ust
water intake
end wall
intake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8075B1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부산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광역시 filed Critical 부산광역시
Priority to KR102019006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075B1/en
Publication of KR2020014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6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0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creen apparatus for preventing green algae for an intake tower, which can improve economic feasibility and compatibility of equipment and easily control a submergence depth by buoyancy. To this end, the screen apparatus for preventing green algae for an intake tower includes: a plurality of lifting support piles which are arranged on an outer side of the intake tower where raw water is take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of which a lower end portion is uprightly fixed to a soil section of the bottom of a water source in which the raw water is received; and an alga prevention wall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lifting support piles to guide lifting by buoyancy, surrounding the intake tower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to be spaced apart therefrom so that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and a side of the water intake into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s selectively closed, extended to a predetermined submergence length, and having a hollow buoyancy adjusting space in a border side.

Description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본 발명은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비 경제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고, 부력에 의한 침수깊이의 조절이 용이한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st bed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ust bed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in which equipment economics and compatibility are improved, and the depth of immersion by buoyancy is easily adjusted.

일반적으로, 취수탑은 하천이나 호소 또는 저수지 등에 설치되어 상수원에서 원수을 취수하여 수로에 공급하는 장치이며, 상기 취수탑에는 측면에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취수구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취수탑은 저면 일측이 정수처리장으로 향하는 파이프와 연결되어 연통된다. 이에, 상기 취수탑을 통해 취수된 원수는 상기 파이프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파이프와 연결된 취수펌프에 의해 상측으로 끌어올려져 상기 정수처리장을 통과하며 정수된 후 배수될 수 있다. In general, a water intake tower is a device installed in a river, lake, or reservoir to take in raw water from a water source and supply it to a waterway, and the water intake tower is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At this time, the water intake tower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a pipe whose bottom surface is directed to the water treatment plant. Accordingly, the raw water colle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tower is moved along the pipe, is pulled upward by a water intake pump connected to the pipe, passed through the water treatment plant, and then purified and then discharged.

여기서, 상기 취수구로 상기 원수를 끌어들일 때, 조류나 각종 부유물질 등이 상기 취수구를 따라 원수와 함께 유입되어 취수되는 상기 원수의 수질을 저하시키고, 상기 취수구를 막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ere, when the raw water is drawn into the intake port, algae or various suspended substances are introduced along with the raw water along the intake port to reduce the water quality of the intake port and block the intake port.

특히, 주로 여름철에 영양염류 과다, 따뜻한 온도, 많은 빛, 느린 유속의 4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녹색을 띠는 녹조류 및 남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여 물 색깔이 녹색이나 청남색으로 변하는 녹조현상이 발생한다. In particular, a green algae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color changes to green or blue-blue due to the complex action of four factors: excessive nutrients, warm temperature, a lot of light, and a slow flow rate during the summer season, and green algae and blue-green algae multiply in large quantities. This happens.

이때, 녹조현상은 유속이 느린 저수지나 하천 하류의 상수원 취수 구역에서 자주 발생하므로 원수 취수시 수면에 떠다니는 조류가 물의 흐름을 따라 상기 취수구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류의 유입으로 상수원수가 오염되거나 상기 취수구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취수된 물속의 조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정수처리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녹조 빈발 상수원의 취수탑의 외주를 따라 녹조 차단막을 설치하였다.At this time, the green algae phenomenon often occurs in a reservoir with a slow flow rate or in a water intake area downstream of a river, so that when raw water is ingested, alga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may flow into the intake port along the flow of water. Accordingly, the inflow of the algae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water source water is contaminated or the intake port is clogged, and the water treatment cost may increas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algae in the collected water. Thus,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a green algae blocking film was install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intake tower of the green algae frequent water source.

즉, 종래에는 주로 수표면에 분포하는 특성이 있는 녹조류 및 남조류 발생에 대비하여 녹조 발생시 상기 취수탑 주변에 상기 녹조 차단막을 설치 및 운영하고, 조류 농도가 낮은 하부의 원수를 취수하도록 유도하였다. 상세히, 녹조 현상이 발생하였거나 수질오염사고에 의해 수면에 오염물질이 떠있는 경우 원수 상부에 상기 녹조 차단막을 배치하여 수심 5 ~ 6m에 이르는 깊은 물을 취수하도록 유도하여 오염물 및 조류의 유입을 최소화하였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green algae and blue-green algae, which have characteristics mainly distributed on the water surface, the green algae blocking film was installed and operated around the water intake tower when green algae occurs, and the raw water in the lower part of the algae concentration was low. In detail, when a green algae phenomenon occurs or contaminants ar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due to a water pollution accident, the green algae blocking film is placed on the top of the raw water to induce the intake of deep water up to a depth of 5 to 6 m to minimize the inflow of pollutants and algae. .

상세히, 종래의 녹조 차단막은 상기 취수탑의 외주 일정범위로 하측에 방지막이 일체로 형성된 플로트부를 수면에 띄워서 취수탑 외주로 경계 테두리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로트부를 고정와이어와 연결체인으로 수중 바닥에 설치된 콘크리트블록에 각각 연결 설치하는 구조를 가진다.In detail, the conventional green algae blocking film is a concrete block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with a fixed wire and a connection chain by floating a float part integrally formed with a prevention film on the water surface in a certain rang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intake tower to form a boundary border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intake tower. It has a structure to connect and install each.

그러나, 종래의 녹조 차단막은 상기 플로트부를 고정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불가피하게 수중에 잠수하여 수중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수중 안치 작업이 매우 어려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이 낮고, 인력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green algae blocking film, in order to fix the float part, the operator inevitably has to dive underwater and perform underwater work, and it is very difficult to place the concrete block underwater, which may lead to safety accidents. There was a problem with low, manpower consumption.

또한, 상기 녹조 차단막은 항상 관리자가 하천이나 호소, 또는 저수지의 수위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취수수질에 적합하도록 상기 방지막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선택취수가 불편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green algae blocking film has a problem that the convenience of work is deteriorated due to inconvenient selection of water intake because the administrator must always observe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lake, or reservoir in real time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prevention film to suit the water intake quality. .

더욱이, 상기 녹조 차단막은 수위변화에 따른 승하강시 관리자가 일일이 수중에 잠수하여 상기 플로트부와 상기 콘크리트블록 사이의 고정와이어와 연결체인의 길이를 수작업으로 조절해주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Moreover, the green algae blocking membrane has a problem that a lot of work time is consumed because the manager must manually adjust the length of the fixing wire and the connecting chain between the float part and the concrete block by manually submerging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due to a change in water level. .

또한, 상기 녹조 차단막을 원수 상에서 부유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나무, 에어튜브, 스티로폼, 또는 내부에 공기가 들어차 있는 박스 구조물과 같이 일반적인 공지의 부력을 갖는 별도의 부력 부재가 요구되므로 장비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keep the green algae blocking film in a floating state in the raw water, a separate buoyancy member having a general known buoyancy such as wood, air tube, styrofoam, or a box structure containing air is required, so equipment economics are reduced. There was a problem.

더욱이, 상기 부력 부재가 갑작스러운 유속 변동 및 수위 변화 등에 의해 상기 녹조 차단막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취수탑의 취수구로 빨려들어가 입구를 막게 되어 취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when the buoyancy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green algae blocking membrane due to a sudden change in flow velocity and water level, etc., it is sucked into the intake port of the water intake tower and blocks the entrance, thereby reducing water intake stability.

그리고, 상기 녹조 차단막의 수평방향 유동이 구속되고, 상기 취수탑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취수탑에는 상기 녹조 차단막을 연결 지지하는 로프 또는 체인 등의 연결수단이 구비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녹조 차단막 설치시 상기 취수탑과의 연결 작업이 요구되고 설치 편의성이 저하되었다.In addition, the water intake towe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rope or a chain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green algae blocking film so that the flow of the green algae blocking fil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nstrained and moves upwardly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water intake tower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when the green algae blocking film is installed, a connection work with the water intake tower is required, and installation convenience is reduced.

또한, 각 취수탑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의 길이 및 연결 위치가 변화하므로 상기 연결수단이 여러 취수탑에 호환 사용되기 어려워 장치의 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and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connection means change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each water intake tower, the connection means is difficult to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various water intake towers, so that the applicability of the device is deteriorat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120016호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1200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비 경제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고, 부력에 의한 침수깊이의 조절이 용이한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in which economical efficiency and compatibility of equipment are improved, and the depth of immersion by buoyancy can be easily adjust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가 취수되는 취수탑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원수가 수용되는 상수원 저면의 토사구간에 하단부가 직립 고정되는 복수개의 승강지지파일; 및 복수개의 상기 승강지지파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부력에 의한 승강이 안내되되, 상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취수구의 측방향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상기 취수탑을 이격 배치된 상태로 감싸고 기설정된 침수길이로 연장되되 테두리측의 내부에 중공형의 부력조절공간이 형성된 녹조차단벽을 포함하는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lifting support piles which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side of a water intake tower in which raw water is taken in, and the lower end is fixed upright in the soil section of the bottom of the water source where raw water is received; And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lifting support piles to guide the lifting by buoyancy, bu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s selectively shielded. It provides a rust bed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that extends to a length and includes a rust end wall in which a hollow buoyancy control space is formed inside the rim side.

여기서, 상기 녹조차단벽은 상단부가 수면 위측으로 부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부력조절공간 내부의 저수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어 침수깊이가 변화되되, 상기 기설정된 침수길이는 상기 녹조차단벽의 하단부가 상기 취수구의 최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ust end wall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and is selectively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to change the immersion depth, but the preset immersion length is the lower end of the rust end wal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et to be disposed below the lowermost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녹조차단벽에는 내측 차단막과, 상기 내측 차단막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 차단막이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내측 차단막과 상기 외측 차단막의 하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사이에 상기 부력조절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rust end wall is provided with an inner blocking film and an outer blocking film spaced radially outwardly of the inner blocking film to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inner blocking film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blocking film are integrally connected to control the buoyancy between It is desirable that a space is formed.

이때, 상기 녹조차단벽은 내면과 상기 취수탑 사이에 상기 원수가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취수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취수탑으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ust end wall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intake tow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pacing distance so that an intake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intake por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take tower.

한편, 상기 녹조차단벽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조류의 농도를 감지하는 조류감지센서와, 상기 승강지지파일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류감지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신호통신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bird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ust wall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algae, and a bird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support file to receive measurement data from the bird detection sensor and detect when it is detected above a preset concentra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ig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erver system.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녹조차단벽은 하단부가 침수되어 조류가 광합성을 위해 취수탑 인근 수면에 대량 증식되어 집중 형성된 띠 모양의 녹조층으로부터 취수구의 측방향을 차폐함에 따라 상기 취수구로의 녹조 유입이 최소화되고 취수된 원수의 수질이 개선되므로 정수 비용이 절감되어 수처리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First, as the lower end of the rust barrier is submerged, the algae proliferate on the water surface near the intake tower for photosynthesis and block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intake port from the concentrated band-shaped algae layer, thereby minimizing the inflow of green algae into the intake port, and As the water quality of water is improved, water purification costs are reduced, and water treatment economics can be remarkably improved.

둘째, 기존의 취수탑에 구비시 외측에 승강지지파일을 설치하고 상기 승강지지파일 내측으로 상기 녹조차단벽을 삽입하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기설치된 상기 취수탑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여 장치의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Second, when installed in the existing water intake tower, installation is completed simply by installing the lifting support pile on the outside and inserting the rust end wall inside the lifting support pile, so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previously installed water intake tower, so the compatibility of the device is remarkable. It can be improved.

셋째, 상기 녹조차단벽은 물을 공급 및 토출시키는 펌핑수단과 연결된 부력조절공간 내부의 저수량에 따라 부력이 변화되어 침수깊이가 조절되므로 부력 조절이 용이하며, 여름철 녹조 발생 및 겨울철 수위 저하 등의 계절적 요인에 따라 유동적으로 침수깊이를 조절하여 취수되는 원수의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ird, the rust barrier is easy to adjust the buoyancy because the buoyanc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connected to the pumping mean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water, so that the depth of flooding is controlled, and it is easy to adjust the buoyancy. The water quality of the raw water to be taken can be maintained satisfactorily by fluidly controlling the depth of immersion according to facto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투영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가 녹조 발생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투영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가 녹조 비발생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투영단면예시도.
1 is a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of a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n a green algae occurs.
4 is an exemplary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n no algae occu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for a ru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투영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가 녹조 발생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투영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가 녹조 비발생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투영단면예시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projection view of a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sid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projection view of a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st bed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n a green algae occurs,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rust bed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applied at the time of occurrence.

한편, 본 발명은 양질의 원수(1)를 안정되게 취수하기 위해 주로 하천이나 호소, 저수지 등의 상수원에 설치되는 취수탑(200)에 적용된다. 이때, 상기 취수탑(200)은 하단부가 상기 상수원 저면에 매립 설치되고 하면 일측이 파이프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연통된다. 이에, 상기 취수탑(200) 내부로 취수된 원수는 상기 파이프를 따라 상기 취수탑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연결된 취수펌프에 의해 끌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취수펌프에 의해 상측으로 끌어올려진 원수는 상기 정수처리시설로 연결되는 수도관을 따라 이동되어 수처리 공정에 의해 정수된 후 배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pplied to the water intake tower 200 installed in a water source such as a river, lake, or reservoir in order to stably intake high-quality raw water (1). At this time, the water intake tower 200 has a lower end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water source, and one side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d with one end of the pipe. Thus, the raw water taken into the water intake tower 200 flows out of the water intake tower along the pipe, and is drawn up by a water intake pump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e. In addition, the raw water drawn upward by the water intake pump is moved along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to be purified by a water treatment process and then discharged.

이때, 상기 취수탑(200)은 수심이 일정깊이 이상 되는 지점에 설치하여 측면에 설치된 취수구(200a)를 통해 상기 원수(1)를 취수한다. 여기서, 상기 취수구(200a)는 취수되는 상기 원수(1)가 상기 취수탑(200)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를 의미하며, 상기 취수탑(200)의 측면에 상기 취수탑(20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상기 취수구(200a)는 상기 취수탑에서 각기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다른 수심의 상기 원수(1)를 취수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intake tower 200 is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water dep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depth, and collects the raw water 1 through an intake port 200a installed on the side. Here, the intake port 200a means an inle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1 to be taken in flows into the intake tower 200, and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take tower 200 at the side of the intake tower 200 It is equipped with. In addition, one or more of the water intake ports 200a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water intake tower to receive the raw water 1 having a different depth.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상수원에서 조류의 대량 증식에 의해 수면으로부터 녹조층(3)이 형성된 높이 내에 설치된 상기 취수구(200a)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evice provided to cover the water intake port 200a installed within the height at which the green algae layer 3 is formed from the water surface by the mass proliferation of algae in the water source.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100)는 승강지지파일(10) 및 녹조차단벽(2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rust floor screen apparatus 100 for a water intake t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ion support pile 10 and a rust end wall 20.

상세히,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원수(1)가 취수되는 상기 취수탑(20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은 상기 원수(1)가 수용되는 하천이나 호소, 댐, 또는 저수지 등의 상수원 저면의 토사구간(2)에 하단부가 매립되어 직립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lifting support piles 10 are provided in plural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utside the water intake tower 200 where the raw water 1 is intake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support pile 10 is embedded in the soil section 2 of the bottom of a water source such as a river or lake, a dam, or a reservoir in which the raw water 1 is accommodated and fixed upright.

한편,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은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상수원 저면에 별도의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이 상기 고정부재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상기 고정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의 하단부가 매립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Meanwhile, the elevation support pile 1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fixing member on the bottom of the water source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supported, so that the elevation support pile 1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to be fixedly coupled.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n example th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support file 10 is installed so as to be embedded and fixed without having the separate fixing member.

이에 따라, 고정을 위한 상기 고정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장비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하단부를 상기 토사구간(2)에 매립시키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is not required, equipment economics can be improved, and installation is completed simply by embedding the lower end in the soil section 2, so that the convenience of work can be improved.

그리고, 각각의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은 상기 취수탑(200)의 외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같은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 지지파일은 3개 내지 4개로 구비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lifting support pile 10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elevating support piles are provided in three to four, and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승강지지파일(10) 내측으로 삽입되어 일부가 상기 상수원의 수면 위에 부유된다. 그리고,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을 따라 승강이 안내되어 상하로만 이동되도록 외주가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의 내측과 밀착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rust end wall 20 is inserted into the elevation support pile 10 so that a part of it is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source. In addition, the rust end wall 20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elevation support pile 10 so that the elevation is guided along the elevation support pile 10 and moves only up and down.

이때, 밀착 배치된다 함은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상기 승강지지파일(10)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이 구속되되, 상기 승강지지파일(10) 내측으로의 삽입이 간섭되지 않도록 미세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means that the rust end wall 20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lifting support file 10, but at a fine interval so that insertion into the inside of the lifting support file 10 is not interfered.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in the sense that they are arranged oppositely.

여기서,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승강지지파일(10)에 의해 삽입이 유도되어 배치 위치가 고정되므로 상기 취수탑(20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취수탑(200)과 연결 고정하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승강지지파일(10) 및 상기 녹조차단벽(20) 설치시 상기 취수탑(200)에 영향을 주지 않아 외부에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이 설치되면 하나의 상기 녹조차단벽(20)이 다른 취수탑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호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rust end wall 20 is provided independently from the water intake tower 200 because insertion is guided by the lifting support pile 10 and the placement position is fixed, a separate connection and fixation with the water intake tower 200 No connecting member is required. Therefore, when the lifting support pile 10 and the rust even end wall 20 are installed, it does not affect the water intake tower 200, so that when the lifting support pile 10 is installed outside, one of the rust even end wall 20 Since it can be applied to other water intake towers, the compatibility of the devi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그리고,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승강지지파일(10) 내측 중심부에 배치되는 상기 취수탑(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하측이 개구된다. 여기서, 상하측이 개구된다 함은 상기 취수탑(200)을 감싸도록 외곽테두리를 제외한 중심부가 관통된 링 또는 도넛 형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ust end wall 20 are opened up and down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lifting support pile 10.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is a ring or a donut shape through which the central part excluding the outer border is penetrated to surround the water intake tower 200.

한편, 상기 링 또는 도넛 형상은 원형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중심부가 개구되되 상기 외곽테두리가 남겨진 다양한 형상을 포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3개 내지 4개의 상기 승강지지파일(10)에 의해 유동이 구속될 수 있으며,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각 면과 밀착 배치되는 4개의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ring or donut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and may cover various shapes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opened but the outer edge is left. For example, when the rust end wall 2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the flow may be restricted by three to four lifting support piles 10, and when provided in a quadrangular shape, the flow can be constrained. Elevating support files 10 may be provided.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원형으로 구비되되, 4개의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이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사방을 구속하도록 배치된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rust end wall 2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four lifting support piles 10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n example that are arranged to constrain all directions of the rust end wall 20 .

또한,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원수(1)가 유입되는 취수구(200a)의 측방향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기설정된 침수길이(h1)로 연장되되, 상기 외곽테두리의 내부에 중공형의 부력조절공간(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ust end wall 20 extends to a preset immersion length h1 to selectively cover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intake port 200a into which the raw water 1 flows, and has a hollow shape inside the outer bord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formed.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외곽테두리는 내측 차단막(22)과 외측 차단막(23)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차단막(22)과 상기 외측 차단막(23) 사이에 상기 부력조절공간(21)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referring to FIG. 2, the outer edge of the rust end wall 20 includes an inner blocking layer 22 and an outer blocking layer 23, and between the inner blocking layer 22 and the outer blocking layer 23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formed.

즉, 상기 취수탑(200)은 두 겹의 차단막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내측 차단막(22)은 상기 취수탑(200)과 가까운 위치의 차단막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외측 차단막(23)은 상기 내측 차단막(2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측 차단막(22)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차단막(22)과 상기 외측 차단막(23)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intake tower 200 is wrapped by two layers of blocking film, and the inner blocking film 22 refers to a blocking film located close to the water intake tower 200. In addition, the outer blocking layer 23 is spaced radially outwardly from the inner blocking layer 22 and is disposed to surround the inner blocking layer 22. Accordingly, the inner blocking layer 22 and the outer blocking layer 23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이때, 상기 내측 차단막(22)과 상기 외측 차단막(23)은 하단부(24)가 일체로 연결되어 외부 공간과 구획된다. 이에, 상기 내측 차단막(22)과 상기 외측 차단막(23) 사이에는 하단부(24)가 밀폐된 상기 부력조절공간(21)이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inner blocking film 22 and the outer blocking film 23 have a lower end 2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space. Accordingly,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n which the lower end 24 is sealed is formed between the inner blocking film 22 and the outer blocking film 23.

여기서, 상기 부력조절공간(21)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의 저수량에 따라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침수되는 깊이가 변화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a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depth at which the rust wall 20 is submer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may vary. I can.

한편,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의 저수량이 증가하며 침수되면 상단부는 수면 위측으로 부양되되, 하단부(24)는 상기 원수(1)가 취수되는 상기 취수탑(200)의 취수구(200a)를 커버하도록 기설정된 침수길이(h1)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기설정된 침수길이(h1)는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최대로 침수될 때, 수면으로부터 침수된 최대깊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ust end wall 20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and when it is submerged, the upper end is raised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lower end 24 is the raw water (1). ) Is formed to extend to a predetermined immersion length h1 to cover the water intake port 200a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from which water is take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t immersion length h1 i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epth submerged from the water surface when the rust end wall 20 is maximally submerged.

즉,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최대로 침수되어 상기 기설정된 침수길이(h1)에 대응되도록 하단부(24)가 연장되되, 일부가 수면 위로 부유되어 노출되도록 기설정된 부유길이(h2)를 갖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부유길이(h2)는 상기 상수원을 흐르는 원수(1)가 급작스러운 유속 변동이나 파랑 등에 의해 상기 녹조차단벽(20) 외측에서 상단부를 넘어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수면 위에 노출된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rust end wall 20 is maximally submerged and the lower end 24 is exten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eset submerged length h1, but has a preset floating length h2 so that a part is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and exposed.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length including the upper end. Here, the preset floating length (h2) is the length exposed above the water surface so that the raw water 1 flowing through the water source does not flow from the outside of the rust end wall 20 to the inside beyond the upper end due to sudden flow velocity fluctuations or waves.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as.

이에 따라, 상기 부력조절공간(21)에 저수되는 저수량은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상기 기설정된 침수길이(h1)에 대응되는 깊이로 침수되었을 때 최대 저수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설정된 침수길이(h1) 이상의 깊이로 침수되지 않도록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의 최대 저수량이 제한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has a maximum amount of water when the rust end wall 20 is submerg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reset submerged length h1. That is, the maximum amount of water stored inside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may be limited so as not to be submerged to a depth greater than the preset submersion length h1.

한편, 상기 부력조절공간(21)에 저수되는 저수량이 작업자의 작업 실수 등으로 상기 최대 저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지지파일(10)에 상기 녹조차단벽(20)의 하측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은 상기 기설정된 침수길이(h1)에 대응되는 깊이에 형성되어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상기 기설정된 침수길이(h1) 이상의 깊이로 침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exceeds the maximum amount of water due to a worker's work error, etc., the green algae are stored in the elevation support pile 10 to prevent flooding of the rust end wall 20. It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jaw that restrict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locking wall 20. In this case, the locking jaws may be formed at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reset immersion length h1 to prevent the rust end wall 20 from being submerged to a dep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immersion length h1.

여기서,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에 저수되는 저수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침수깊이가 조절되므로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며 내면과 대향배치된 상기 취수구(200a)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Here, since the depth of immersion is adjust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the rust end wall 20 rises and desc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ifting support pile 10 and is arranged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ver the intake port (200a).

상세히,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의 저수량이 적어 상기 녹조차단벽(20)의 하단부(24)가 상기 취수구(200a)의 최상단부(200b)보다 상측에 배치되면 상기 취수구(200a)가 개방된다. In detail, w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small, and the lower end 24 of the rust end wall 20 is disposed above the uppermost end 200b of the water intake port 200a, the intake port 200a is opened. do.

또한, 상기 저수량을 증가시켜 상기 부력조절공간(21)의 하단부(24)가 상기 취수구(200a)의 최하단부(200c)보다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취수구(200a)는 측방향이 상기 녹조차단벽(20)에 의해 커버되어 상기 녹조차단벽(20) 외측으로부터 구획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녹조차단벽(20) 외측의 원수(1)는 상기 녹조차단벽(20)에 의해 직선 흐름이 차단되어 상기 취수구(200a)로 흘러들어가지 못하고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외주 둘레를 따라 흐르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lower end portion 24 of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disposed below the lowermost end portion 200c of the water intake port 200a by increasing the storage amount, the intake port 200a has a side direction of the rust end wall 20 ) And is partitioned from the outside of the rust end wall 20. Accordingly, the raw water 1 outside the rust end wall 20 is blocked by the rust end wall 20 and does not flow into the intake port 200a,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ust end wall 20 It flows along the perimeter.

이때, 상기 취수구(200a)가 상기 녹조차단벽(20)에 의해 커버된다는 말은 완전히 밀폐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취수구(200a)와 상기 녹조차단벽(20) 내측 사이의 공간이 상기 녹조차단벽(20) 외측 공간과 분리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word that the intake port 200a is covered by the rust end wall 20 is not completely sealed, but the space between the intake port 200a and the inner side of the rust end wall 20 is )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pace.

즉,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취수탑(200)의 외주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간격(w1)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이격간격(w1)이란 상기 취수구(200a)와 상기 녹조차단벽(20)의 내면 사이에 상기 원수(1)가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되어 취수되는 취수유로(f)가 형성되도록 이격된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rust end wall 2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at a predetermined spacing distance w1.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spacing (w1) means the intake passage (f) through which the raw water (1) flows into the intake port (200a) between the intake port (200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ust end wall (20).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as spaced apart to form.

한편, 상기 녹조차단벽(20)과 상기 취수탑(200)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경우 상기 간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흐르는 상기 원수(1)의 양이 적으므로 상기 취수구(200a)를 통과하는 취수량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취수유로(f)를 흐르는 상기 원수(1)가 기설정된 취수량에 대응되는 유량을 갖도록 상기 취수유로(f)의 단면적을 고려하여 상기 기설정된 이격간격(w1)에 따라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ust end wall 20 and the water intake tower 200 is small, the amount of the raw water 1 flowing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space is small, so the amount of water intake passing through the water intake port 200a is reduced. Can be. Therefore, the rust-even end wall 20 has a predetermined spacing interval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ake passage (f) so that the raw water (1) flowing through the intake passage (f) has a flow rate corresponding to a preset amount of water intake (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according to w1).

따라서, 상기 취수구(200a)가 상기 녹조차단벽(20)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 상기 취수유로(f)는 상기 녹조차단벽(20)의 하측을 흐르는 상기 원수(1)가 상기 취수구(200a)와 상기 녹조차단벽(20) 사이 공간으로 상승하며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되는 경로를 갖는다.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intake port 200a is covered by the rust end wall 20, the water intake passage f flows the raw water 1 flowing under the rust end wall 20 to the water intake port 200a ) Ris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rust end wall 20 and has a path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200a.

이때,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승강지지파일(10)에 의해 배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바람, 유수 또는 파랑 등에 의한 수평방향 유동이 방지되어 상기 녹조차단벽(20)의 내주면과 상기 취수탑(200) 외주면 사이에 상기 기설정된 이격간격(w1)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수(1)가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되며 안정적으로 취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ust end wall 20 is prevented from horizontal flow due to wind, running water, or waves as the position of the rust end wall 20 is fixed by the lifting support pile 10,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st end wall 20 and the water intake tower (200) The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w1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ccordingly, the raw water 1 is introduced into the intake port 200a at a constant flow rate, and water can be stably taken in.

한편,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재질은 제한하지 않으나 수면에 부유 가능하되, 상기 원수(1)가 측면으로 통과되지 않도록 밀폐된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ust barrier 2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or polyvinyl chloride (PVC) material. At this time, although the material of the rust end wall 20 is not limited, it is possible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w water 1 is provided with a sealed material so that it does not pass to the side.

그리고,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승강 이동이 부력에 의해 조절되도록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내부에 저수된 물을 토출시키는 펌핑수단(미도시)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umping means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or discharging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rust wall 20 is controlled by buoyancy. desirable.

여기서, 상기 펌핑수단은 물을 흡입하는 흡입라인과 물을 토출시키는 토출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라인을 통해 상기 원수(1)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라인을 따라 상기 원수(1)를 토출시킬 수 있다. Here, the pumping means may include a suction line for sucking water and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water, and discharges the raw water 1 along the discharge line by sucking the raw water 1 through the suction line. I can make it.

이때, 상기 흡입라인 및 상기 토출라인은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내부로 상기 원수(1)가 공급되거나 내부의 상기 원수(1)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연결된다는 말은 상기 부력조절공간(21)에 상기 원수(1)를 공급하는 경우와 상기 원수(1)를 토출시키는 경우 상기 흡입라인 및 상기 토출라인이 상호 반대로 연결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uction line and the discharge line ar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so that the raw water 1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r the raw water 1 insid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it is understood that the word selectively connected means that the suction line and the discharge line are connected opposite to each other when the raw water 1 is supplied to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and when the raw water 1 is discharged. This is desirable.

상세히, 상기 부력조절공간(21)에 상기 원수(1)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펌핑수단의 흡입라인은 상기 상수원의 원수(1)를 흡입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토출라인은 상기 부력조절공간(21)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펌핑수단 내부로 흡입된 상기 원수(1)는 상기 토출라인을 통해 상기 부력조절공간(21)으로 토출되며 상기 부력조절공간(21)에 저수된다. 이때, 상기 부력조절공간(21)에 저수되는 상기 원수(1)의 양이 증가하여 상기 녹조차단벽(20)의 부력이 감소하므로 하측으로 이동되며 침수깊이가 증가된다. In detail, when supplying the raw water 1 to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the suction line of the pumping means is connected to suck the raw water 1 of the water source, and the discharge line is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Accordingly, the raw water 1 sucked into the pumping means is discharged to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through the discharge line and is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At this time, since the amount of the raw water 1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ncreases, the buoyancy of the rust end wall 20 decreases, so it moves downward and the depth of immersion increases.

한편, 상기 부력조절공간(21)에 저수된 상기 원수(1)를 토출시키는 경우, 상기 펌핑수단의 흡입라인은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와 연결되고 상기 토출라인은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의 원수(1)가 상기 흡입라인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녹조차단벽(20)은 무게가 감소하여 부력이 증가되므로 상측으로 이동되며 수면 위로 부유되어 노출되는 높이가 증가된다. Meanwhile, when the raw water 1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discharged, the suction line of the pump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and the discharge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raw water 1 inside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sucked by the suction lin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line. At this time, since the weight of the rust end wall 20 decreases and the buoyancy is increased, it is moved upward and the height at which it is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is increased.

여기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원수(1)의 공급 및 토출 방향에 따라 상기 흡입라인 및 상기 토출라인의 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모터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기존의 상기 흡입라인이 상기 토출라인으로 작용되고, 기존의 상기 토출라인이 상기 흡입라인으로 작용하여 하나의 연결라인으로 상기 원수(1)를 공급 및 토출시킬 수 있다. Here, the pumping means may be driven b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without chang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ction line and the discharge line according to the supply and discharge directions of the raw water 1. That is, b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the existing suction line acts as the discharge line, and the existing discharge line acts as the suction line to supply and discharge the raw water 1 through one connection line. I can.

그리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력조절공간(21)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밸브 조절을 통해 구동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어 상기 부력조절공간(21)의 저수량 조절시에만 연결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umping mean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support file 10 and provid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and may be driven through valve control, or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to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t may be connected and driven only when the water storage quantity is adjusted.

이와 같이,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원수(1)의 저수량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침수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승강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여 운영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by simply chang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raw water 1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by the pumping means, the depth of immersion of the rust end wall 20 can be adjusted. Because it is easy, operation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단부가 커버되되 일측에 상기 부력조절공간(21)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펌핑수단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부력조절공간(2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상단부는 별도의 커버부재로 커버될 수도 있고, 상기 내측 차단막(22) 및 상기 외측 차단막(23)의 상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커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ust end wall 20 is covered with an upper end,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pumping means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May be.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rust end wall 20 may be covered with a separate cover member, or the upper ends of the inner blocking film 22 and the outer blocking film 23 may be integrally connected and covered.

이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부력조절공간(21)은 외부공간으로부터 차단되므로 강우시 내부로 빗물이 들어가거나 파랑 등에 의해 외부 원수(1)가 유입되어 저수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핑수단에 의한 원수(1) 공급 이외의 물이 유입되어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의 저수량이 변화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녹조차단벽(20)의 기설정된 침수깊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except for the por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blocked from the external space, rainwater enters the interior during a rainfall or the external raw water 1 is introduced by waves, preventing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Can be. In other words, since water other than the supply of raw water (1) by the pumping means is prevented from chang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prevented, the predetermined depth of immersion of the rust end wall (20) is stably maintained. Can be.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100)는 녹조 현상의 발생을 고려하여 구동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3 to 4, the screen apparatus 100 for a green plant for a water intake tower may be driven in consideration of occurrence of a green algae phenomenon.

이때, 상기 녹조 현상은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하천이나 호소 또는 저수지에서 남조류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대량 증식하게 되면 물의 색깔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남조류는 20 ~ 30℃의 고온에서 최대로 성장하여 주로 여름철에 상기 녹조 현상이 나타나며,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햇빛이 잘 드는 표층에서 과도하게 성장하며 표면에 띠 형태의 녹조층(3)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een algae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color of water changes to dark green when blue-green algae grow excessively in a river, lake, or reservoir used as a water source and multiply. In addition, the blue-green algae grows to the maximum at a high temperature of 20 to 30°C, and the green algae phenomenon occurs mainly in summer, and because of photosynthesis, the blue-green algae grows excessively on the sunny surface and forms a band-shaped green algae layer (3) on the surface. Can be formed.

상세히, 여름철에 수심이 깊고 흐름이 정체되는 하천 또는 호수에서 물의 밀도 차에 의해 수층이 분리되면서 물이 수직 이동되지 않는 성층현상이 발생되어 수면의 온도가 더 올라가며 남조류가 성장하기 좋은 여건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남조류가 대량 증식하며 수면으로부터 약 3 ~ 4m 두께의 상기 녹조층(3)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in a river or lake where the water depth is deep and the flow is stagnant in summer, the water layer is separated due to the difference in water density, resulting in a stratific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does not move vert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rface is further increased, and a favorable condition for the growth of blue-green algae is formed. . Accordingly, the blue-green algae proliferate in large quantities, and the green algae layer 3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 to 4 m from the water surface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녹조층(3)이 형성된 높이에 설치된 상기 취수구(200a)를 커버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녹조층(3)을 형성하고 있는 조류가 물의 수평 흐름을 따라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되는 조류만을 차단하는 것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수질오염사고 등에 의해 수면을 흐르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ust end wall 20 is disposed to cover the water intake port 200a installed at a height where the rust algae layer 3 is forme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ust end wall 20 is a device that blocks the flow of water to prevent the algae forming the green algae layer 3 from flowing into the water intake port 200a alo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On the other hand, the rust barrier 20 is not limited to blocking only algae flowing into the water intake port 200a, and includes blocking various pollutants flowing through the water surface due to a water pollution accident.

상세히,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펌핑수단을 통해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 저수량을 증가시켜 상기 녹조층(3)으로부터 상기 취수구(200a)를 차단시키도록 하단부(24)가 상기 취수구(200a)의 최하단부(200c)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침수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 저수량이 증가하면 공기가 유입되는 부력 공간은 감소하고, 저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부력이 감소되며 가라앉는 침수깊이가 증가된다. In detail, the rust end wall 20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inside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through the pumping means to block the water intake port 200a from the green algae layer 3, so that the lower part 24 is the water intake port. The depth of immersion may be adjusted to be disposed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portion 200c of 200a. That is, w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ncreases, the buoyancy space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decreases, the buoyancy decreases by the load of the stored water, and the sinking depth increases.

이에 따라, 상기 수면으로부터 상기 녹조차단벽(20) 하단부(24)까지의 수층을 흐르는 물은 상기 녹조차단벽(20)에 부딪히며 직선 이동이 차단되고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외주를 따라 흘러가게 된다.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layer from the water surface to the lower end of the rust end wall 20 hits the rust end wall 20 and is blocked from linear movement and flow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ust end wall 20. Will go.

한편, 상기 녹조차단벽(20) 하측의 물은 수평방향 유로를 따라 상기 취수탑(200) 측으로 흘러와 녹조차단벽(20) 내면과 상기 취수탑(200) 외면 사이에서 상측으로 상승하여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되는 취수유로(f)를 따라 취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below the rust end wall 20 flows toward the water intake tower 200 along a horizontal flow path, rises upwar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ust end wall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so that the water intake port 200a It can be collected along the water intake passage (f) flowing into ).

여기서,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상기 녹조층(3)으로부터 상기 취수구(200a)를 안정적으로 커버하도록 약 3 ~ 4m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녹조층(3)보다도 하측으로 침수됨이 바람직하므로 약 5m 정도의 침수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약 5 ~ 6m에 이르는 깊은 물이 상기 취수유로(f)를 따라 취수될 수 있으므로 조류나 기타 오염물질이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취수구(200a)의 높이나 녹조층(3)의 두께를 고려하여 이보다 길거나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green algae end wall 20 is preferably submerged below the green algae layer 3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3 to 4 m so as to stably cover the intake port 200a from the green algae layer 3 It can be formed with an immersion depth of about 5m. Accordingly, since deep water of about 5 to 6 m can be taken along the intake passage f, algae or other pollutants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200a. Of course, the rust end wall 20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or shorter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200a or the thickness of the green algae layer 3.

그리고, 상기 녹조차단벽(20)의 하단부(24) 외면의 일측에는 조류의 농도를 감지하는 조류감지센서(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승강지지파일(10) 중 하나의 상단부에는 상기 조류감지센서(31)로부터 전송받는 측정 데이터에 따라 취수탑 관리자의 서버 시스템(33)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신호통신부(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bird detection sensor 31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algae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24 of the rust-even end wall 20. In addition, a signal communication unit 32 that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server system 33 of the water intake tower manage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from the bird detection sensor 31 at the upper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lifting support files 10 It may be further provided.

이때, 상기 조류감지센서(31)와 상기 신호통신부(32)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통신부(32)는 상기 서버 시스템(33)과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가 송수신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ird detection sensor 31 and the signal communication unit 32 may b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and the signal communication unit 32 preferably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system 33. .

상세히, 상기 조류감지센서(31)는 상기 녹조차단벽(20) 하단부(24)에 설치되되 상기 하단부(24)측의 조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류는 여름철 녹조 현상을 발생시키는 남조류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algae detection sensor 31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24 of the rust end wall 20 and can detect the algae concentration at the lower end 24 side. Here, the alga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blue-green algae that causes green algae in summer.

이때, 상기 조류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침수깊이 이상으로 녹조층(3)이 형성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신호통신부(32)는 상기 조류감지센서(3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취수탑(200) 관리자의 서버 시스템(33)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In this case, when the algae concentration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concentr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green algae layer 3 is formed above the immersion depth of the rust end wall 20. Accordingly, the signal communication unit 32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bird detection sensor 31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server system 33 of the manager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그리고, 상기 취수탑(200) 관리자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펌핑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원수(1)를 흡입하여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로 공급시킴에 따라 상기 녹조차단벽(20)이 하측으로 더 침수되도록 침수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he manager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drives the pumping means to suck the raw water 1 and supply the raw water 1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The depth of immersion can be adjusted to further submerge downward.

한편, 상기 신호통신부(3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펌핑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펌핑수단의 흡입 또는 토출방향과 개폐 전원을 제어하도록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및 외측의 원수(1)와 흡입 및 토출라인이 항시 연결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ignal communication unit 32, and to be connected to the pumping unit to control the suction or discharge direction of the pumping unit and open/close power. 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pumping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ust end wall 20 so that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and the raw water 1 outside and the suction and discharge lines are always connected.

즉, 조류의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신호통신부(32)가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핑수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외측의 원수(1)와 연결된 흡입라인과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측과 연결된 토출라인을 개방하여 상기 원수(1)가 이동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algae concentration is detected above a preset concentration, the signal communication unit 32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pplies power to the pumping means and opens a suction line connected to the outer raw water 1 and a discharge line connected to an inner side of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so that the raw water 1 can be moved. .

여기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전원이 제어되고 및 상기 원수(1)의 흡입 및 토출방향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취수탑(200) 관리자가 수동으로 상기 펌핑수단을 구동시키지 않고 실시간으로 조작될 수 있다. Here, the pumping means is powered by the driv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uction and discharge directions of the raw water 1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anager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does not manually drive the pumping means in real time. Can be manipulated.

또한, 상기 조류감지센서(31)는 조류가 빛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여 방출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형광측정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농도는 녹조 현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측정되는 남조류 세포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lgae detection sensor 31 may be provided with a fluorescence meter or the like that measure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the algae absorbing energy from light. In addition, the preset concentration may be set based on the number of blue-green algae cells measu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algae phenomenon has occurred.

그리고, 환경부는 상수원의 보호를 위해 관심, 경계, 조류대발생의 3단계 조류경보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상기 관심 단계로 판단시 상기 취수구(200a)에 조류 차단장치 설치를 규정하고 있다. 이에, 상기 기설정된 농도는 상기 관심 단계에 해당하는 상기 남조류의 세포수 기준을 적용하여 1,000 세포/ml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perates a three-stage tide alarm system of interest, alertness, and algae generation to protect the water supply source,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level of interest, the installation of an algae blocking device in the intake port 200a is prescribed. Accordingly, the preset concentration may be set to correspond to 1,000 cells/ml by applying the standard for the number of cells of the blue-green algae corresponding to the step of interest.

더욱이, 상기 조류감지센서(31)는 특히 초여름에 장마기간 강우가 유입되어 영양염류가 과다유입되고 고온의 조건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취수탑(200) 인근에 조류가 대량 증식하여 상기 녹조층(3)을 형성하는 것을 즉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녹조층(3)으로부터 상기 취수구(200a)를 커버하여 상기 원수(1)와 함께 조류가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의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lgae detection sensor 31, especially in the early summer in the rainy season inflow of nutrients excessive inflow of nutrients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are formed, so that a large amount of algae proliferate near the water intake tower 200, and the green algae layer 3 Can be detected immediately. Therefore, by covering the intake port 200a from the green algae layer 3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t is possible to quickly block the flow of algae together with the raw water 1 into the intake port 200a, thereby improving the speed of driving. Can be.

한편, 상기 조류감지센서(31)는 수위감지센서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승강지지파일(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원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 다른 높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lgae detection sensor 31 may be replaced with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support pile 10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ource,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상세히, 여름철 강우시 상기 상수원의 수위가 급격하게 높아지면 상기 녹조차단벽(20)의 하단부(24)가 상기 취수구(200a)의 최하단부(200c)보다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취수구(200a)를 커버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통신부(32)는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수신받은 수위 측정 데이터가 상기 상수원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상기 취수탑(200) 관리자의 서버 시스템(33)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취수탑(300) 관리자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침수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ource rapidly increases during a summer rainfall, the lower end 24 of the rust end wall 20 is moved upward from the lowermost end 200c of the water intake 200a to cover the water intake 200a. It may not be possible. At this time, the signal communication unit 32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server system 33 of the manager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when the water level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ource is above a predetermined level. In addition, the manager of the water intake tower 300 may adjust the depth of submersion of the rust end wall 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이에 따라, 상기 취수구(200a)로 표면의 남조류나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취수탑(200) 관리자는 상기 부력조절공간(21)의 저수량을 증가시켜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침수깊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nager of the water intake tower 200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so as to prevent the inflow of blue-green algae or contaminants on the surface into the water intake port 200a to increase the depth of flooding of the rust end wall 20 Can be adjusted quickly.

한편, 겨울철과 같이 상기 녹조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상수원의 수위가 낮은 갈수기에는 상측의 상기 원수(1)의 취수가 요구되므로 상기 녹조차단벽(2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취수구(200a)가 개방되도록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y season when the green algae does not occur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ource is low, such as in winter, the water intake of the raw water 1 from the upper side is required, so the rust end wall 20 is moved upward so that the water intake port 200a is It is preferably adjusted to be open.

상세히,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에 저수된 물을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외부로 토출시키면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증가된다. 즉,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의 부력공간이 증가하여 부력이 증가되므로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침수되는 깊이는 감소하고 수면 위로 부양되는 간격이 증가된다. In detail,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pumping means, the spac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s increased. That is, since the buoyancy space inside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increases and the buoyancy increases, the depth of submersion decreases as the rust end wall 20 rises and descends, and the interval to be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increases.

이에, 상기 녹조차단벽(20)의 하단부(24)가 상기 취수구(200a)의 최상단부(200b)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취수구(200a)의 측방향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취수구(200a) 높이를 흐르는 원수(1)는 상기 상수원의 수평방향 유로를 따라 그대로 상기 취수구(200a)로 유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wer end 24 of the rust end wall 20 is disposed above the uppermost end 200b of the water intake port 200a, so that the side direction of the intake port 200a is opened. Accordingly, the raw water 1 flowing through the height of the water intake port 200a may flow into the intake port 200a as it is along the horizontal flow path of the water source.

이때, 상기 녹조차단벽(20)은 하단부(24)가 반드시 상기 취수구(200a)의 최상단부(200b)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부유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취수구(200a)의 상단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rust end wall 20 is not floated so that the lower end 24 is necessarily disposed above the uppermost end 200b of the intake port 200a, and may be disposed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intake port 200a. May be.

이와 같이, 상기 녹조차단벽(20)이 상기 취수탑(200)을 감싸고 상기 취수구(200a)를 선택적으로 커버함에 따라 상기 원수(1)의 유로를 변경시켜 상기 녹조차단벽(20) 외부의 녹조 또는 오염물이 상기 녹조차단벽(20)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침수깊이를 조절하여 오염되지 않은 상기 원수(1)가 선택적으로 취수될 수 있으므로 녹조 유입이 최소화되고, 취수되는 상기 원수(1)의 수질이 개선되어 정수 비용이 절약됨에 따라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this way, as the rust end wall 20 surrounds the water intake tower 200 and selectively covers the water intake port 200a, the flow path of the raw water 1 is changed, Even contaminants may be block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ust barrier 20. Accordingly, since the uncontaminated raw water 1 can be selectively taken by adjusting the depth of immersion of the rust end wall 20, the inflow of green algae is minimized, and the water quality of the raw water 1 to be taken in is improved. Economics can improve as costs are saved.

더욱이, 상기 녹조차단벽(20)은 침수깊이를 증가시켜 여름철의 녹조 발생에 대비가 가능함과 더불어 수위 저하시에는 표면측 상기 원수(1)를 취수 가능하도록 침수깊이를 감소시켜 겨울철의 수위 저하 현상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절 변화에 따라 상기 부력조절공간(21) 내부의 저수량에 따른 부력 변화에 의해 상기 녹조차단벽(20)의 침수깊이가 유동적으로 조절 가능하므로 장치의 적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ust-even end wall 20 increases the depth of submers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the occurrence of green algae in summer, and when the water level decreases, the depth of submersion decreases so that the raw water 1 on the surface side can be ingested, thereby reducing the water level in winter. It can also respond. In this way, the applic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because the depth of immersion of the rust end wall 20 can be flexibly adjusted by a change in buoyancy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21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includ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components, but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1: 원수 3: 녹조층
10: 승강지지파일 20: 녹조차단벽
21: 부력조절공간 31: 조류감지센서
200: 취수탑 200a: 취수구
f: 취수유로 h1: 기설정된 침수길이
h2: 기설정된 부유길이 w1: 기설정된 이격간격
100: rust bed screen device for intake tower
1: raw water 3: green algae layer
10: elevating support pile 20: rust end wall
21: buoyancy control space 31: bird detection sensor
200: intake tower 200a: intake port
f: water intake path h1: preset water length
h2: preset floating length w1: preset spacing

Claims (5)

원수가 취수되는 취수탑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원수가 수용되는 상수원 저면의 토사구간에 하단부가 직립 고정되는 복수개의 승강지지파일; 및
복수개의 상기 승강지지파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부력에 의한 승강이 안내되되, 상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취수구의 측방향은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상기 취수탑을 이격 배치된 상태로 감싸고 기설정된 침수길이로 연장되되 테두리측의 내부에 중공형의 부력조절공간이 형성된 녹조차단벽을 포함하는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A plurality of elevating support pile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side of the water intake tower where raw water is taken in, the lower end of which the lower end is fixed upright in the soil section of the bottom of the water source where raw water is received; And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lifting support files to guide the lifting by buoyancy, bu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water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s selectively shielded. A rust bed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that extends to the rim side and includes a rust end wall with a hollow buoyancy control space formed in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조차단벽은 상단부가 수면 위측으로 부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부력조절공간 내부의 저수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어 침수깊이가 변화되되,
상기 기설정된 침수길이는 상기 녹조차단벽의 하단부가 상기 취수구의 최하단부보다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ust-even end wall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and is selectively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in the buoyancy control space to change the depth of immersion,
The predetermined immersion length is set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rust end wall is disposed below the lowermost end of the water intak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조차단벽에는 내측 차단막과, 상기 내측 차단막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외측 차단막이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내측 차단막과 상기 외측 차단막의 하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사이에 상기 부력조절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ust end wall is provided with an inner blocking film and an outer blocking film spaced radially outwardly of the inner blocking film to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 rust bed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blocking film and the outer blocking film are integrally connected to form the buoyancy control space therebetw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조차단벽은 내면과 상기 취수탑 사이에 상기 원수가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취수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취수탑으로부터 기설정된 이격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ust bed screen device for a water intake t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ust end wall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intake tower in correspondence with a predetermined spacing interval so that an intake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water intak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water intake to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조차단벽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조류의 농도를 감지하는 조류감지센서와,
상기 승강지지파일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류감지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신호통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lgae detection sensor tha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ust wall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algae,
A signal communication uni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support file to receive measurement data from the algae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server system when detected above a preset concentration. Device.
KR1020190069053A 2019-06-12 2019-06-12 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KR1022580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53A KR102258075B1 (en) 2019-06-12 2019-06-12 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53A KR102258075B1 (en) 2019-06-12 2019-06-12 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610A true KR20200142610A (en) 2020-12-23
KR102258075B1 KR102258075B1 (en) 2021-05-31

Family

ID=7408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053A KR102258075B1 (en) 2019-06-12 2019-06-12 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07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016A (en) 2004-06-18 2005-12-22 김성식 The silt protector used in intake tower
KR100667614B1 (en) * 2006-10-18 2007-01-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 Institution structure of silt protector of intake tower for tap piped water
KR20130012824A (en) * 2011-07-26 2013-02-05 허종형 Silt protector of intake tower
KR101524167B1 (en) * 2014-03-20 2015-06-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loating mambrane and filterl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44980A (en) * 2015-10-16 2017-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ystem for removing and monitoring green tid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016A (en) 2004-06-18 2005-12-22 김성식 The silt protector used in intake tower
KR100667614B1 (en) * 2006-10-18 2007-01-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 Institution structure of silt protector of intake tower for tap piped water
KR20130012824A (en) * 2011-07-26 2013-02-05 허종형 Silt protector of intake tower
KR101524167B1 (en) * 2014-03-20 2015-06-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loating mambrane and filterl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44980A (en) * 2015-10-16 2017-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ystem for removing and monitoring green tid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075B1 (en)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1169B (en) Inflation and exhaust type buoy lifting shellfish culture raft frame
JP2009250780A (en) Water quality measurement system and water improving system
ZA200701502B (en) Improved submersible farm
RU2760773C2 (en) Fish hatchery and method for air supply and water circulation in fish hatchery
KR101106876B1 (en) Silt Protection Installation for Prevention of Water Pollution
CN110714510A (en) Water intaking pump station with adjustable water intaking height
KR101619176B1 (en) Fixed buoyancy type automatic water collection devices
KR102258075B1 (en) screen apparatus of blocking green algae for intake tower
CN213095562U (en) Lifting net cage
CN110902798B (en) Oxygen-charging type in-situ water quality improving device and method for riverway water environment restoration
JPH1098973A (en) Marine plankton culture unit
CN214648947U (en) Underwater detec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buoyancy
CN113622377B (en) Intelligent control siphon drainage and flexible stilling basin system for check dam
KR100622554B1 (en) lifting apparatus of the deep water in the sea which is not necessary of providing power
WO2013028076A1 (en) Device for dredging in water reservoirs
JP3859133B2 (en) Upper and lower layer water mixing 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is water purification device
CN112649243A (en)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water quality sampling system
KR100667614B1 (en) Institution structure of silt protector of intake tower for tap piped water
JPH07100494A (en) Remote lifting device for underwater diffuser pipe
KR20050077178A (en) Buoyancy rising floodgate and oil-water separated system of using it
KR101660930B1 (en) Screen for standardizing inner sea water temperature by preventing outer sea water from flowing into
JP3518747B2 (en) Float type selective water intake equipment
JP5865491B2 (en) Plant cooling facility with intake and drainage ponds
KR101098348B1 (en) Floating matter remove treatment apparatus of river and lake
JPH09250126A (en) Preventive method and device against proliferation of plankton in lak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