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363A -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363A
KR20200142363A KR1020190069529A KR20190069529A KR20200142363A KR 20200142363 A KR20200142363 A KR 20200142363A KR 1020190069529 A KR1020190069529 A KR 1020190069529A KR 20190069529 A KR20190069529 A KR 20190069529A KR 20200142363 A KR20200142363 A KR 2020014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eld
trade
impor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042B1 (ko
Inventor
장현진
Original Assignee
장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진 filed Critical 장현진
Priority to KR1020190069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0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역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출입 경로에 따른 무역서류를 전자문서로 생성과 관리하여 단말기 및 통신장치와 연동되는 네트워크망에서 수출입 물류를 처리하고 확인 가능하며 사전 정보가 제한적인 비숙련자도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무역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및 방법{Trade Management and Ma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글로벌 수출입 물류 및 전자동 무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출입 물류 과정에서 선적서류 및 무역실무 절차에 대한 사전 정보가 제한적인 경우에도 무역 전반에 대한 비용 및 절차의 예측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무역 관계가 체결되고 글로벌 수출입 물류가 성사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통한 맞춤형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수출입 물류 및 전자동 무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대부분의 산업에서 정보는 중요한 가치이며 공정하고 효율적인 수출입 물류 시장이 되기 위해서는 모든 참여자가 평등하게 상품, 서비스, 가격, 기타 중요한 변수와 같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물류업계는 현재 전통적으로 극단적인 정보 비대칭이 형성되어 특정 참여자군이 다른 참여자군보다 더 우월한 접근권을 갖는다. 또한, 국제물류주선업체는 물건을 효과적으로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무역전문가 중심의 지식서비스 산업으로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한 이후에도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던 분야이다. 그 이유는 몇몇의 물류기업들은 운송, 제반시설(창고) 등을 보유하는데 발생하는 고정비 때문에 그동안 상당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이런 고정비는 경쟁업체들에게 진입 장벽이 된다.
상품과 수출입 물류의 운송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고 프로세스 메뉴얼화하면 제3의 물류유관업체 간의 관계를 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무역절차를 제공하고 물류와 운송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쇄적으로 막혀있는 수출입 물류 산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시스템으로, 무역계약 및 절차, 선적서류 등의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하여 극히 제한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수출/수입의 기회를 보장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정상 해외영업부 및 무역사무 담당자를 채용하기 곤란한 중소기업을 위해 사전 정보가 부족한 비숙련자도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전자동 무역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출입 진행단계별로 필요한 절차 및 정보에 따라 분석, 분류된 데이터를 수집, 추출하여 무역절차를 간소화하여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사항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역 중개 시스템 및 무역 중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은, 수출입 기업 시스템으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견적 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견적 의뢰를 국제물류주선업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견적이 매칭되는 경우 선적 서류 입력을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적 서류를 생성 및 검증하는 단계로서, 상기 선적 서류는 포장 명세서(packing list) 및 물품 명세서(commercial invoice)를 포함하는, 생성 및 검증 단계; 상기 생성된 선적 서류에 포함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배송 중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무역 중개에 대한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요청 구분 필드, 운송 구분 필드, 화물 타입 필드, 출발지 필드, 목적지 필드, 인코텀즈 필드, 화물 값 필드, 영물 화물명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필수항목 필드 및 선택항목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필수항목 필드는 무역상대회사명/회사주소/연락처 필드, 참조회사 필드, 픽업일/픽업장소/픽업담당자 필드, 물품가격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항목 필드는 신용장 번호/작성일자 필드, 신용장 개설은행 필드, 인보이스 넘버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에 있어서, 상품군 별 무역 절차 진행을 위한 단계별 필요 서류 정보, 서류 샘플 정보 및 주관 기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은, 상품군이 식품수입군인 경우, 견적 요청 단계, 화물 픽업 전 단계, 선적 직후 단계, 최초 정밀 검사 단계 및 수입 통관 단계 각각에 대해, 필요 서류 정보, 서류 샘플 정보 및 주관 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은, 상기 견적 요청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영문 화물명 정보, 박스별 중량/크기/갯수 정보, 제품 사진 또는 카다로그 정보, 또는 HS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은, 상기 화물 픽업전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사업자 등록증 정보, 식품영업신고증 샘플 정보, 제조 공정도 정보, 성분표 정보, 해외제조업 등록 샘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은, 상기 선적 직 후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포장 명세서 정보, 물품 내역서 정보, B/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은, 상기 최초 정밀 검사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제조회사 정보, 재질 증명서 정보, 한글표시사항 샘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은, 상기 수입 통관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관부가세납부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벌 수출입 물류 및 전자동 무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출입 경로에 따른 무역서류를 전자문서로 생성과 관리하여 단말기 및 통신장치와 연동되는 네트워크망에서 수출입 물류를 처리하고 확인 가능하며 사전 정보가 제한적인 비숙련자도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전자동 무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출입 진행단계별로 필요한 절차 및 정보에 따라 분석, 분류된 데이터를 수집, 추출하여 전자문서로 교환하여 체계화된 중개시스템을 통해 국제물류주선업체와 수출입 기업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역서류를 송수신 가능하며 화물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중개시스템을 기반으로 수출입 기업은 제3자와의 전자문서가 공유되어 무역 절차 및 소통채널이 단일화됨으로써 상대 국가의 바이어와의 업무처리 절차를 간소화하고 절차에 들이는 시간과 해외물류비, 서비스, 전문성 등의 조건이 적절한 국제물류주선업체 및 포장업체, 창고업체 등 물류유관업체를 검색하는 사전적 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국제물류수선업체는 영업망을 넓힐 수 있으며 적절한 시장가격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수출입 물류 시스템의 연결망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의 무역 중개 프로세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물류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무역서류 시스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공에 따른 각 단계별 무역 절차 프로세스의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의 UI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시스템의 무역 중개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시스템의 장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 예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만을 나타내기보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세부 사항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세부 사항을 모두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각각 따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실시예 또는 모든 실시예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용어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들에서 선택되지만,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택되며 그 의미는 필요에 따라 다음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어의 단순한 명칭이나 의미가 아닌 용어의 의도된 의미에 근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는 무역 중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통신망을 통해 수출입 기업 단말 및 국제물류주선업체 단말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중개 시스템은 수출입 기업 단말과 국제물류주선업 단말로부터 화물정보, 요청사항 등의 정보를 중개하고,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역 중개 시스템은 글로벌 무역 자동화 시스템, 글로벌 수출입 물류 시스템,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자동화 시스템, 물류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수출입 물류 시스템의 연결망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1000)은, 국내의 무역망과 해외의 무역 망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국내의 무역망에는 수출입 기업(1100), 국제 물류 주선 업체(1200) 및 물류유관업체(1300)가 포함될 수 있다. 해외 무역망에는 수출입 기업(1400), 국제물류주선업체(1500), 및 물류유관업체(16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개 시스템(1000)은, 국내의 수출입 기업(1100), 국제물류주선업체(1200), 및 물류유관업체(1300)와 해외의 수출입 기업(1400), 국제물류주선업체(1500), 및 물류유관업체(1600) 간의 무역을 중개할 수 있으며, 특히 무역 중개에 필요한 서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의 무역 중개 프로세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단계(S2010)에서, 중개 시스템은 견적 의뢰서를 수신한다. 견적 의뢰서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자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중개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견적의뢰서에 필요한 정보를 필드로서 제공할 수 있다. 견적 의뢰서 수신을 위해 수출/수입 기업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필드들은, 요청구분, 운송구분, 화물타입, 출발지, 목적지, 인코텀즈, 화물의 값, 영문화물명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구분 필드는 수출/수입의 구분을 나타낸다. 운송구분 필드는 해상/항공의 운송 방법을 나타낸다. 화물타입 필드는 컨테이너, LCL(AIR)를 지시한다. 출발지 필드는 화물의 출발지를 나타내며, 픽업지로 대체될 수 있다. 목적지 필드는 화물의 목적지를 나타내며, 배송지로 대체될 수도 있다. 목적지는 배송지로 대체 가능하므로 PORT TO PORT 또는 DOOR TO DOOR 조건을 수반할 수 있다. 인코텀즈는 국제무역규칙인 INCOTERMS 2010을 기준으로 한다. 인코텀즈는 수출시에는 EXW, FOB, CIF, CFR, DAP, DAPP를, 수입시에는 EXW, FOM, FCA를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화물의 값은 컨테이너의 경우, 컨테이너의 사이즈와 타입(DRY, REEFER, OPEN TOP CONTAINER 등), 개수를 나타내고, LCL(AIR)의 경우 박스별 크기, 박스별 중량, 박스별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2단계(S2020)에서, 중개 시스템은 견적의뢰 푸쉬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푸쉬알림은 국제물류주선업체에게 인터페이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중개 시스템은 상술한 1단계(S2010)에서 제공된 필드에 전산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외 물류비를 작성/제시할 수 있다. 푸쉬 알림 인터페이스는 필수 항목 필드와 선택 항목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수 항목 필드는 국내 발생 비용 및 항목, 해외 발생 비용 및 항목, 견적 만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항목 필드는 정규적 입출항 스케줄 및 선박/항공 소요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3단계(S2030)에서, 중개 시스템은 견적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할 수 있다. 3단계(S2030)는 수출/수입 기업에게 인터페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견적 작성이 완료되면 중개 시스템은 견적관리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수출/수입 기업은 지난 견적 의뢰건을 호출하여 픽업/선적을 진행하거나 동일 조건으로 재차 견적을 요청할 수도 있다. 견적서는 유효기간이 만류된 이후에도 보관될 수 있고, 보관 기간동안 권한이 있는 자는 자유룝게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출입 물류에 사용할 수 있다.
4단계(S2040)에서, 중개 시스템은 전산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산 입력 인터페이스는 수출입 기업 및 국제물류주선업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중개 시스템은 1단계에서 입력된 견적 의뢰에 대한 견적 관리 번호를 호출할 수 있다. 전산입력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있다. 필수 항목 필드로서, 무역상대회사명, 회사주소, 연락처, 참조회사, 픽업일, 픽업 장소, 픽업 담당자, 물품 가격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 항목 필드로서, 신용장 번호, 작성 일자, 신용장 개설 은행, 인보이스 넘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경매방식으로 매칭된 국제물류주선업체는 선박명, 항차, 출항/도착 예정일 필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5단계(S2050)에서, 중개 시스템은 선적 서류를 생성, 검증 및 승인할 수 있다. 선적서류 생성/검증/승인은 물류 기본서류인 포장명세서(Packing List)와 물품 명세서(Commercial Invoice)를 호출하여 자동 생성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1단계 및 4단계에서 생성된 포장 명세서 및 물품 명세서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출입 기업은 데이터를 검증 및 수정하고, 선적서류가 될 최종 서류를 승인 및 제출할 수 있다.
6단계(S2060)에서, 중개 시스템은 전자가공 컴퓨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가공 컴퓨팅은 수출/수입 기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중개 시스템은 5단계에서 검증된 포장 명세서 및 물품 명세서를 기준으로 선하 증권(Bill of Loading) 번호를 생성하여 화물을 관리할 수 있다. 선하 증권 번호(B/L(Bill of Loading) No.), 선적/입항 날짜, PO NO(Purchase Order), 상대 국가 회사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해 데이터가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7단계(S2070)에서, 중개 시스템은 알고리즘에 따른 진행/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알고리즘에 기초한 진행/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수출입 계약에 따른 절차를 송출받을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1단계의 수출/수입, 인코텀즈, 영문화물명에 의해 B/L, 수출면허, 적하보험, 기타 무역서류(FTA CO, MSDS, 제조공정도 등) 등의 필요 서류를 분류 및 분석한다.
8단계(S2080)에서, 중개 시스템은 프로세스 로드맵을 자동지정한다. 중개 시스템은 7단계에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분류/분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출입 업자에게 수출입 절차에 따른 프로세스 로드맵을 자동 지정한다.
9단계(S2090)에서, 중개 시스템은 안심결제를 진행한다. 안심결제는 에스크로 서비스를 기준으로 하며, 인코텀즈(INCOTERMS) 2010 또는 협약에 의해 선정일/배송일로 기준일이 변경될 수 있다.
10단계(S2100)에서, 중개 시스템은 배송 처리 및 DB화를 수행한다. 중개 시스템은 배송이 완료된 시점을 확인하여 DB화할 수 있다. 2차 진행시는 1차 진행시의 일부의 데이터(회원 데이터/무역상대국가 데이터/견적 데이터/수출입 데이터)를 호출하여 구간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입 물류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중개 시스템을 기준으로 나타낸 수출입 기업과 국제물류주선업의 관계도로서, 크게 견적 단계, 서류 관리 단계, 화물 운송 단계 및 결제 단계로 분류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중개 시스템은 수출입기업과 국제물류주선업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견적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중개 시스템은 견적 도우미를 제공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개 시스템은 견적의뢰서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출입기업에게 제공한다. 중개 시스템은 견적 의뢰서를 수신하여 이를 분류하여 국제물류주선업에 제공한다. 중개 시스템은 국제물류주선업이 산출한 견적을 수출입기업에게 전달한다. 중개 시스템은 견적 의뢰를 푸시 알림으로서 수출입기업에게 전달할 수 있다. 수출입기업은 견적을 수락하거나 해당 견적을 거절하고 다른 견적을 수신/대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류 관리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중개 시스템은 서류 작업/서류 관리를 수행하며, 이는 전자적으로 수행된다. 즉 중개 시스템은 견적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고, 선적 서류를 생성/검증/승인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수출입기업으로부터 서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서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적 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시스템은 생성된 선적 서류/선적 서류 데이터를 국제물류주선업에게 제공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국제물류주선업 측에서 확인하고 제출하는 서류를 수출입 기업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물운송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수출입 기업은 부킹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국제물류주선업 측에 부킹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출입 기업이 배송상태 확인을 전송하는 경우, 중개 시스템은 국제물류주선업을 통해 배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제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중개 시스템은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는 안심결제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국제물류주선업은 결제확인요청을 중개 시스템에게 전송하고, 중개 시스템은 결제 인터페이스를 수출입 기업에게 제공할 수 있다. 수출입 기업은 결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무역서류 시스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3는 도 2의 1단계(S2010)~7단계(S2070)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중개 시스템은 물류 기본 서류인 포장 명세서(Packing List) 및 물품 명세서(Commercial Invoice)를 자동 생성하고, 검증/수정, 승인/제출하여 선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에서 중개 시스템은 화물관리를 수행한다(S4010).
중개 시스템은 물류비 견적 데이터를 선택 및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4020).
중개 시스템은 포장 명세서 및 물품 명세서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S4030).
중개 시스템은 물품 명세서 생성에 있어서, 수출자 영문 주소/이메일&연락처/담당자 이름, 수입자 영문 주소/이메일&연락처/담당자 이름, NOTIFY(빈 칸 진행시 위와 같음), 각 아이템당 물품 가격, 쉬핑 마크(shipping mark), 수출자 서명 등록, 비고(선택 사항), 인보이스 넘버, 결제 조건, L/C 조항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자동 생성된 포장 리스트 또는 물품 명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임시 저장하고, 수정 및 등록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050).
중개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데이터 검수를 수행할 수도 있다(S406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가공에 따른 각 단계별 무역 절차 프로세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특히, 도 1의 <8단계>를 구체화한 예시 화면이다. 각 수출입 물류 단계별 필요서류 및 서류샘플, 관련 기관이 안내되며, 각 단계는 화물 픽업 전/후, 선적 전/후, 세관 검사 또는 수입 통관 등으로 분류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중개 시스템은 상품군 별 무역절차 프로세스화로서, 각 단계별 필요서류, 서류 샘플, 기관 안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로서, 지난해보다 9% 성장한 상품군이다 통관 절차 난이도가 높은 '식품수입'군에 대해 도 5와 같은 단계 별 서류를 추가로 정리, 안내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대상 화물이 '식품 수입'군인 경우, 견적 요청 단계에서, 중개 시스템은 영문 화물명, 박스별 중량, 크기, 갯수, 제품 사진 또는 카다로그, HS 코드와 같은 정보를 안내하거나 이러한 정보 제공을 안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화물 픽업 전 단계에서,, 중개 시스템은 사업자 등록증, 식품 영업 신고증, 제고공정도, 성분표, 해외제조업등록과 같은 정보를 안내하거나 이러한 정보 제공을 안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식품영업신고증 및 해외제조업등록 관련해서는 샘플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선적 직후 단계에서, 중개 시스템은 포장 명세서(PL), 물품내역서(C/I), B/L과 같은 정보를 안내하거나 이러한 정보 제공을 안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초 정밀 검사 단계에서, 중개 시스템은 제조회사 정보, 재질 증명서, 한글표시사항과 같은 정보를 안내하거나 이러한 정보 제공을 안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입 통관 단계에서, 중개 시스템은 관부가세납부를 위한 정보를 안내하거나, 이러한 정보 제공을 안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 시스템의 UI를 나타낸다.
도 6은 선적서류 자동화 시스템, 도 7은 화물 관리 시스템, 도 8은 맞춤형 수출입 컨설팅(챗봇 상담), 도 9는 해외바이어 매칭 서비스에 대한 각각의 UI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만, UI는 정보의 구성, 디자인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로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개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수출입 기업 단말 및 국제물류주선업체 단말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은 유선, 무선을 포함하는 현존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수출입 기업 단말과 국제물류주선업 단말로부터 화물정보, 요청사항 등을 중개하고,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분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출입 기업은 해당 화물의 해외 운송 물류비를 중개 시스템에 요청하면, 국제물류주선업체의 단말로부터 견적이 중개 시스템에 전달되고, 수출입 기업의 승인을 받은 국제물류주선업체 단말과 매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출입 기업 단말과 국제물류주선업 단말에는 본 발명의 중개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화물 정보, 선적 서류 생성, 관리, 입출력 및 송수신이 가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블록을 통해 맞춤형 수출입 물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시스템 구조로, 사용자가 미숙련자인 경우 무역 전반에 관련된 원-스톱(one-stop) 즉 화물 픽업 부터 해외 현지 배송까지의 절차를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메뉴얼대로 실행하면 수출입 물류를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숙련자인 경우에도, 전통적인 물류산업계에서 이루어진 불필요한 선적서류 하드카피나 중복 작업으로 발생된 낭비를 제거하고 업무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수출입 기업 정보 및 국제물류주선업 단말 정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도면들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단계가 병렬적으로 실행되는 등,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각 단계의 실행은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일부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복수의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송수신 단말은, 컴퓨터, 노트북, 랩탑, 핸드폰 등 통신 가능하고 데이터/정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임의의 전자 장비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시스템의 무역 중개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의 순서도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무역 중개 시스템의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임의의 단계들이 도 10의 방법을 통해 채용될 수 있다.
무역 중개 시스템은, 견적 의뢰를 수신한다(S10010). 상술한 바와 같이, 무역 중개 시스템은 수출입 기업 시스템/단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견적 의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요청 구분 필드, 운송 구분 필드, 화물 타입 필드, 출발지 필드, 목적지 필드, 인코텀즈 필드, 화물 값 필드, 영물 화물명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역 중개 시스템은, 견적 의뢰를 전달한다(S10020). 상술한 바와 같이, 무역 중개 시스템은 수신된 견적 의뢰를 국제물류주선업 시스템/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무역 중개 시스템은, 선적 서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0030). 무역 중개 시스템은 견적이 매칭되는 경우 성적 서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필수항목 필드 및 선택항목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필수항목 필드는 무역상대회사명/회사주소/연락처 필드, 참조회사 필드, 픽업일/픽업장소/픽업담당자 필드, 물품가격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항목 필드는 신용장 번호/작성일자 필드, 신용장 개설은행 필드, 인보이스 넘버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역 중개 시스템은, 선적 서류 생성 및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10040). 상술한 바와 같이, 선적 서류는 포장 명세서(packing list) 및 물품 명세서(commercial invoice)를 포함한다.
무역 중개 시스템은, 배송 중개를 수행할 수 있다(S10050). 상술한 바와 같이 무역 중개 시스템은 부킹 요청을 수신하여 전송하고, 배송 상태 확인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등 배송 중개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무역 중개 시스템은 무역 중개에 대한 비용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10060). 상술한 바와 같이 무역 중개 시스템은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결제 서비스는 안심 결제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방법은 상품군 별 무역 절차 진행을 위한 단계별 필요 서류 정보, 서류 샘플 정보 및 주관 기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와 같이, 상품군이 식품수입군인 경우, 무역 중개 시스템은, 견적 요청 단계, 화물 픽업 전 단계, 선적 직후 단계, 최초 정밀 검사 단계 및 수입 통관 단계 각각에 대해, 필요 서류 정보, 서류 샘플 정보 및 주관 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요청 단계에 대해, 무역 중개 시스템은 영문 화물명 정보, 박스별 중량/크기/갯수 정보, 제품 사진 또는 카다로그 정보, 또는 HS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물 픽업전 단계에 대해, 무역 중개 시스템은, 사업자 등록증 정보, 식품영업신고증 샘플 정보, 제조 공정도 정보, 성분표 정보, 해외제조업 등록 샘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적 직 후 단계에 대해, 무역 중개 시스템은, 포장 명세서 정보, 물품 내역서 정보, B/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초 정밀 검사 단계에 대해, 무역 중개 시스템은, 제조회사 정보, 재질 증명서 정보, 한글표시사항 샘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입 통관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관부가세납부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역 중개 시스템의 장치 블록도를 나타낸다.
메모리(11010)는 프로세서(110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02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1010)는 프로세서(1102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020)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020)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101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통칭한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11010)는 상술한 무역 중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20)는 메모리(11010)과 연결되어 상술한 무역 중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1000)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가 메모리(1101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2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30)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를 구동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칩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11030)는 시스템의 외부 기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칩셋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30)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인터넷, HTTP, 유선, 3G, 4G(LTE), 5G, WIFI, 블루투스, NFC, 직비(zigbee)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각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하위 통신 소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로서, 무역 중개 시스템/디바이스(11000)는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임의의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무역 중개 디바이스(11000) 또는 무역 중개 디바이스의 프로세서(11020)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무역 중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00: 무역 중개 시스템/디바이스
11010: 메모리
11020: 프로세서
11030: 통신부

Claims (10)

  1. 무역 중개 시스템의 무역 중개 방법에 있어서,
    수출입 기업 시스템으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견적 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견적 의뢰를 국제물류주선업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견적이 매칭되는 경우 선적 서류 입력을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적 서류를 생성 및 검증하는 단계로서, 상기 선적 서류는 포장 명세서(packing list) 및 물품 명세서(commercial invoice)를 포함하는, 생성 및 검증 단계;
    상기 생성된 선적 서류에 포함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배송 중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무역 중개에 대한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역 중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요청 구분 필드, 운송 구분 필드, 화물 타입 필드, 출발지 필드, 목적지 필드, 인코텀즈 필드, 화물 값 필드, 영물 화물명 필드 중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포함하는, 무역 중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필수항목 필드 및 선택항목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필수항목 필드는 무역상대회사명/회사주소/연락처 필드, 참조회사 필드, 픽업일/픽업장소/픽업담당자 필드, 물품가격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항목 필드는 신용장 번호/작성일자 필드, 신용장 개설은행 필드, 인보이스 넘버 필드를 포함하는, 무역 중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품군 별 무역 절차 진행을 위한 단계별 필요 서류 정보, 서류 샘플 정보 및 주관 기관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중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품군이 식품수입군인 경우, 견적 요청 단계, 화물 픽업 전 단계, 선적 직후 단계, 최초 정밀 검사 단계 및 수입 통관 단계 각각에 대해, 필요 서류 정보, 서류 샘플 정보 및 주관 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무역 중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 요청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영문 화물명 정보, 박스별 중량/크기/갯수 정보, 제품 사진 또는 카다로그 정보, 또는 HS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역 중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픽업전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사업자 등록증 정보, 식품영업신고증 샘플 정보, 제조 공정도 정보, 성분표 정보, 해외제조업 등록 샘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역 중개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 직 후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포장 명세서 정보, 물품 내역서 정보, B/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역 중개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정밀 검사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제조회사 정보, 재질 증명서 정보, 한글표시사항 샘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역 중개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 통관 단계에 대해, 상기 무역 중개 시스템은, 관부가세납부 정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역 중개 방법.
KR1020190069529A 2019-06-12 2019-06-12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230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29A KR102304042B1 (ko) 2019-06-12 2019-06-12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29A KR102304042B1 (ko) 2019-06-12 2019-06-12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363A true KR20200142363A (ko) 2020-12-22
KR102304042B1 KR102304042B1 (ko) 2021-09-17

Family

ID=7408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529A KR102304042B1 (ko) 2019-06-12 2019-06-12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986B1 (ko) * 2021-09-13 2021-12-20 (주)재운코퍼레이션 국제 물류 포워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6777570A (zh) * 2023-08-21 2023-09-19 深圳市旺城行电子有限公司 一种线上贸易订单物流监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416A (ko) 2021-10-26 2023-05-03 에스에이치랩(주) 무역관리컴퓨터, 무역관리시스템 및 무역관리방법
KR102652352B1 (ko) 2024-01-17 2024-03-28 비컨글로벌 주식회사 해상운송을 위한 스케줄 조회 및 매칭 자동화 솔루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47A (ko) * 2000-12-29 2001-11-07 이영섭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출입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관리 시스템
KR20020069590A (ko) * 2001-02-26 2002-09-05 글로팩스코리아(주) 수출입 물류중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47A (ko) * 2000-12-29 2001-11-07 이영섭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출입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관리 시스템
KR20020069590A (ko) * 2001-02-26 2002-09-05 글로팩스코리아(주) 수출입 물류중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986B1 (ko) * 2021-09-13 2021-12-20 (주)재운코퍼레이션 국제 물류 포워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6777570A (zh) * 2023-08-21 2023-09-19 深圳市旺城行电子有限公司 一种线上贸易订单物流监测系统
CN116777570B (zh) * 2023-08-21 2023-11-03 深圳市旺城行电子有限公司 一种线上贸易订单物流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042B1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2363A (ko) 무역 관리 및 매칭 시스템 및 방법
Mehmann et al. Process reengineering by using the 4PL approach: A case study on transportation processing in the agricultural bulk logistics sector
KR101883694B1 (ko) 수출입통관 및 정산 자동화 시스템
WO2008045947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payment strategies
US20160098803A1 (en) Title document rules engine method and apparatus
US20230053048A1 (en)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goods with precise handling requirements
Sedevich-Fons Accounting and quality management: the accounts payable function under ISO 9000
KR20010095347A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출입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관리 시스템
Janssen et al. Evaluating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intermediary
Ya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 adjustments to information technology (IT) in trade facilitation: the South Korean experience
US202203276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delivery of accounting and corporate planning services
Zhang Electronic technology and simplification of customs regulations and procedures in air cargo trade.
KR101292101B1 (ko) 전문가를 통한 온라인 여신 중개를 위한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usi et al. Modeling an effective e-procurement system for Ghana’s healthcare sector: A critical review and proposal
Nga Who are the beneficiaries and stakeholders of blockchain commercialization in the shipping industry?
CN117992460B (zh) 单据关联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van Zyl Supply chain knowledge management adoption increases overall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Dumas et al. Essential process modeling
Kassim et al. Malaysian government transformation towards effective supply chain management: the case of IT-based trade facilitation
ESCAP et al. Business process analysis guide to simplify trade procedures
ESCAP Understanding every step of cross-border e-commerce: exporting food products from Chile to China
Datta Evaluation of supply chain process in mobile financial service bKash
Sebastian Study of digitalizing the containerized shipment export process in Sri Lanka
Gusso Optimization of administrative processes in beer export: a case study
Pratama et al. Flow Management Process of Exporting Commodities in Bengkalis Regency as an Effort to Enhance the Local Econ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