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360A - 벌브홀더조립체 - Google Patents

벌브홀더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360A
KR20200142360A KR1020190069523A KR20190069523A KR20200142360A KR 20200142360 A KR20200142360 A KR 20200142360A KR 1020190069523 A KR1020190069523 A KR 1020190069523A KR 20190069523 A KR20190069523 A KR 20190069523A KR 20200142360 A KR20200142360 A KR 20200142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guide finger
housing
insertion guide
hold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360A/ko
Publication of KR2020014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홀더조립체이다. 하우징(20)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20)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삽입공간(22)이 있다. 상기 삽입공간(22)에는 벌브(40)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삽입공간(22) 선단을 형성하는 측벽(24)에는 삽입안내핑거(26)가 외팔보 형상으로 있다. 상기 삽입안내핑거(26)는 벌브(40)가 지나치게 삽입될 때 벌브(40)의 일측에 밀착되는 눌림면(27)을 가진다. 상기 눌림면(27)이 벌브(40)에 의해 눌러지면 삽입안내핑거(26)가 탄성변형되고, 작업자가 벌브(40)에 가하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벌브(40)를 삽입공간(22)의 외부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터미널(30)의 결합돌기(37)가 벌브(40)의 접촉몸체(43)에 형성된 안착홈(47)에 안착되어 터미널(30)과 벌브(40) 사이의 기계적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벌브홀더조립체{Bulb holder assembly}
본 발명은 벌브홀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내에 있는 터미널에 벌브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미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벌브가 빛을 발생하도록 하는 벌브홀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벌브홀더조립체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내는 벌브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벌브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터미널이 설치되어 벌브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벌브조립체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하는데, 자동차의 미등을 포함한 각종 등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벌브홀더조립체에는 벌브가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착탈될 수 있는데, 작업자가 상기 벌브를 하우징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게 하여 터미널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벌브를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부로 벌브가 덜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과 벌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터미널과 벌브사이의 기계적 결합도 일어나지 않아 일반적으로는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벌브가 하우징에서 탈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벌브가 터미널과 결합될 때, 상기 벌브에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터미널에 있는 결합돌기가 안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벌브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지나치게 삽입되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착홈을 벗어나게 되어 벌브와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안하게 된다. 이 경우 벌브와 터미널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지면서 발열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화재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695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벌브홀더조립체에서 하우징 내에 벌브가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브를 하우징에 삽입하였을 때 하우징의 삽입공간의 정위치에 벌브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단으로 개방된 삽입공간을 가지고 상기 삽입공간의 선단을 측벽이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벌브의 접촉몸체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벌브가 지나치게 삽입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벌브의 외면을 지지하여 벌브가 삽입공간 외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삽입안내핑거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안내핑거는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안내핑거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벌브의 외면과 접촉되는 눌림면이 형성되어 상기 벌브의 지나친 삽입시에 상기 벌브에 의해 눌림면이 눌러져 삽입안내핑거가 탄성변형된다.
상기 눌림면은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눌림면이 형성된 삽입안내핑거의 하부쪽에는 지지경사면이 삽입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경사면은 양측에 있는 삽입안내핑거의 것이 삽입안내핑거의 기저부로 가면서 점차 가까워진다.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삽입안내핑거의 연장방향으로 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핑거는 2개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측벽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베이스의 폭방향 양측에 외팔보 형상의 접촉스프링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프링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벌브의 접촉몸체에 형성된 양측의 안착홈에 안착된다.
상기 접촉스프링의 선단에는 안내편이 각각 형성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안내편은 선단으로 갈수록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삽입안내핑거가 벌브가 하우징의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삽입안내핑거가 하우징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된 벌브의 경사면을 안내하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벌브를 하우징의 외부쪽으로 밀어서 벌브에 형성된 안착홈에 터미널의 결합돌기가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벌브가 하우징의 삽입공간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더라도 삽입안내핑거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의 외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므로 벌브가 하우징에 과도하게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삽입안내핑거의 복원력에 의해 벌브가 하우징의 외부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터미널의 삽입돌기가 벌브의 안착홈에 안착되면서 벌브의 위치를 잡아주므로, 벌브가 하우징 내의 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 장착되는 벌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벌브가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벌브와 터미널 사이의 결합 상태를 보인 계단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벌브가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벌브홀더조립체(10)는 하우징(20)과 터미널(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게 삽입공간(22)이 형성된다. 항기 하우징(20)의 삽입공간(22) 선단은 측벽(24)에 의해 외부와 구획된다. 상기 측벽(24)에는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슬릿(25)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25)은 상기 하우징(20)의 선단에 해당되는 측벽(24)이 어느 정도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릿(25)은 본 실시례에서는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2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으면 되고,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좋다.
상기 측벽(24)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하우징(20)에는 삽입안내핑거(26)가 있다. 상기 삽입안내핑거(26)는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삽입안내핑거(26)는 하나만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삽입안내핑거(26)는 상기 측벽(24)과 분리된 외팔보 형상으로, 자유단부가 상기 하우징(20)의 선단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안내핑거(26)는 상기 측벽(24)과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측벽(24)과는 별개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삽입안내핑거(26)는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40)의 삽입정도에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삽입안내핑거(26)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공간(22) 내부를 향하는 면에 눌림면(27)이 형성된다. 상기 눌림면(27)은 본 실시례에서는 양측의 삽입안내핑거(26)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눌림면(27)은 상기 삽입공간(22)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눌림면(27)은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40)의 외면 일측에 대응되는 것으로 벌브(40)가 과도하게 삽입될 때에는 벌브(40)에 의해 눌러져서 삽입안내핑거(26)가 하우징(20) 외부쪽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삽입안내핑거(26)에는 상기 눌림면(27)을 지나서 기저부 쪽으로 역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경사면(28)이 있다. 상기 지지경사면(28)도 상기 삽입안내핑거(26)의 삽입공간(22) 내부에 해당되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경사면(28)도 상기 삽입공간(22)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경사면(28)의 위치는 상기 눌림면(27)보다는 삽입공간(22)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안내핑거(26)는 기저부로 갈수록 양측의 삽입안내핑거(26) 사이의 거리가 가깝게 된다.
상기 터미널(3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터미널(30)은 상기 하우징(20)의 삽입공간(22) 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30)의 선단에는 벌브(40)와의 기계적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촉부(32)가 있고, 후단에는 와이어와 결합되는 바렐부(34)가 있다. 상기 접촉부(32)에는 베이스(35)를 중심으로 베이스(35)의 길이방향 양단에 접촉스프링(36)이 서로 마주보게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스프링(36)은 대략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선단쪽에는 서로 마주보게 결합돌기(37)가 절곡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양측의 결합돌기(37)의 형상이 조금 달리 형성되었는데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37)는 접촉스프링(36)의 탄성변형에 의해 벌브(40)의 삽입시에 벌브(40)의 접촉몸체(43)에 있는 안내홈(47)에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30)의 접촉스프링(36) 선단에는 안내편(38)이 양측의 접촉스프링(36)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양측의 접촉스프링(36)의 안내편(38)들은 선단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이는 벌브(40)의 접촉몸체(43)가 접촉스프링(36) 사이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5'는 터미널(30)을 하우징(20)에 고정하기 위한 랜스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터미널(30)이 2개가 한쌍으로 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삽입공간(22)에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30)은 2개가 각각의 접촉스프링(36)이 있는 쪽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례의 벌브홀더조립체(10)에 사용되는 벌브(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벌브(40)는 발광몸체(41)와 접촉몸체(43)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몸체(41)는 내부에 빛을 내는 구성이 있어서 외부로 빛을 제공한다. 선단이 대략 반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촉몸체(43)는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접촉몸체(43)는 상기 발광몸체(42)로 외부의 전원을 전달받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몸체(41)에는 상기 접촉몸체(43)와 인접한 위치에 연동면(45)이 있다. 상기 연동면(45)은 상기 삽입안내핑거(26)와 연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동면(45)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접촉몸체(4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연동면(45)은 본 실시례에서는 발광몸체(41)의 표면과는 다른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삽입안내핑거(26)와 연동될 수 있다면 상기 연동면(45)의 형상은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접촉몸체(43)에는 상기 터미널(30)의 접촉스프링(36)에 있는 결합돌기(37)가 안착되는 안착홈(47)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착홈(47)이 상기 접촉몸체(43)의 양측 표면에 형성되는데, 일측 표면에 형성된 안착홈(46)은 구획리브(48)에 의해 구획되어 2개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나누어진 안착홈(46)에는 각각 다른 터미널(30)의 결합돌기(37)가 위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20)에 벌브(40)가 장착되면, 상기 접촉몸체(43)의 안착홈(47)에 상기 터미널(30)에 있는 결합돌기(37)가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는 터미널(30)에 상기 벌브(40)가 고정되어 벌브(40)가 하우징(20)의 삽입공간(2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접촉몸체(43)에는 상기 구획리브(48)에 의해 구획된 위치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극이 있는데, 도면에서는 편의상 도시하지 않고 있다. 상기 접촉몸체(43)에 터미널(30)의 접촉스프링(36)이 접촉되고 상기 결합돌기(37)가 상기 안착홈(47)에 안착되면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촉면적이 가장 넓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벌브(40)가 하우징(20)에 장착되어 터미널(30)을 통해 외부 전원이 벌브(40)로 공급되면 벌브가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기 삽입안내핑거(26)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상태는 상기 벌브(40)가 삽입공간(22)에 정확하게 들어가서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돌기(37)가 벌브(40)의 안착홈(47)에 들어간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삽입안내핑거(26)가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홈(47)에 결합돌기(37)가 들어간 상태는 도 6에 보이고 있다. 도 6은 하우징(20)과 벌브(40)의 단면 위치가 다르게 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계단단면도 형태를 사용했다. 즉 하우징(20)에서는 삽입안내핑거(26)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절단했고, 벌브(40)에서는 안착홈(47)이 있는 부분을 기준으로 절단했다. 도 5의 상태에 대응되는 도 6의 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돌기(37)가 상기 벌브(40)의 안착홈(47)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벌브(40)의 접촉몸체(43)가 상기 하우징(20)의 삽입공간(22)에 삽입되어 터미널(30)의 접촉스프링(36) 사이로 들어가는데, 이는 상기 접촉스프링(36)의 선단에 있는 안내편(38)에 의해 안내된다. 즉, 상기 안내편(38)에 상기 접촉몸체(43)가 안내되면서 상기 접촉스프링(36) 사이가 벌어져, 접촉스프링(36) 사이로 접촉몸체(43)가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스프링(36) 사이로 접촉몸체(43)가 들어간 상태로 벌브(40)가 계속하여 이동하면 상기 결합돌기(37)는 접촉몸체(43)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안착홈(47)을 만나게 되면 상기 접촉스프링(36)의 탄성변형 상태가 일부 복원되면서 결합돌기(37)가 안착홈(47)에 안착된다.
한편, 작업자가 벌브(40)를 상기 삽입공간(22)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 5의 상태보다 상기 벌브(40)를 삽입공간(22)으로 더 밀어넣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벌브(40)의 발광몸체(41)에 있는 연동면(45)이 상기 삽입안내핑거(26)의 눌림면(27)에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벌브(40)에 작업자에 의해 힘이 더 가해지면 벌브(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간(22)의 내부로 더 들어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안내핑거(26)는 상기 벌브(40)의 발광몸체(41)에 의해 밀려서 하우징(20)의 측벽(24) 외면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게 탄성변형된다. 상기 삽입안내핑거(26)의 탄성변형은 상기 눌림면(27)에 벌브(40)의 발광몸체(41) 보다 정확하게는 연동면(45)이 밀착되면서 일어난다.
도 7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벌브(4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벌브(40)의 발광몸체(41)를 통해 전달되던 작업자의 힘이 더 이상 상기 삽입안내핑거(26)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삽입안내핑거(26)는 원형으로 복원되려고 하고, 이와 같은 삽입안내핑거(26)의 복원동작은 상기 벌브(40)를 삽입공간(22) 외부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삽입안내핑거(26)가 원형으로 복원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되고, 이 위치로 벌브(4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벌브(40)의 안착홈(47)에는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돌기(37)에 위치된다.
상기 결합돌기(37)가 상기 안착홈(47)에 위치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30)에 상기 벌브(40)의 접촉몸체(43)가 걸어지게 되어 벌브(40)는 기계적으로 하우징(20)에 걸어져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지지경사면(28)은 상기 벌브(40)가 과도하게 삽입될 때, 삽입안내핑거(26)가 탄성변형된 후에 추가로 더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벌브(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벌브홀더조립체 20: 하우징
22: 삽입공간 24: 측벽
25: 슬릿 26: 삽입안내핑거
27: 눌림면 28: 지지경사면
30: 터미널 32: 접촉부
34: 바렐부 35: 베이스
36: 접촉스프링 37: 결합돌기
38: 안내편 40: 벌브
41: 발광몸체 43: 접촉몸체
45: 연동면 47: 안착홈
48: 구획리브

Claims (10)

  1. 선단으로 개방된 삽입공간을 가지고 상기 삽입공간의 선단을 측벽이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벌브의 접촉몸체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벌브가 지나치게 삽입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벌브의 외면을 지지하여 벌브가 삽입공간 외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삽입안내핑거를 포함하는 벌브홀더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핑거는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벌브홀더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핑거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벌브의 외면과 접촉되는 눌림면이 형성되어 상기 벌브의 지나친 삽입시에 상기 벌브에 의해 눌림면이 눌러져 삽입안내핑거가 탄성변형되는 벌브홀더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면은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지는 벌브홀더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면이 형성된 삽입안내핑거의 하부쪽에는 지지경사면이 삽입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지는 벌브홀더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경사면은 양측에 있는 삽입안내핑거의 것이 삽입안내핑거의 기저부로 가면서 점차 가까워지는 벌브홀더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상기 삽입안내핑거의 연장방향으로 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벌브홀더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핑거는 2개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측벽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는 벌브홀더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는 베이스의 폭방향 양측에 외팔보 형상의 접촉스프링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스프링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벌브의 접촉몸체에 형성된 양측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벌브홀더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스프링의 선단에는 안내편이 각각 형성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안내편은 선단으로 갈수록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되는 벌브홀더조립체.

KR1020190069523A 2019-06-12 2019-06-12 벌브홀더조립체 KR20200142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23A KR20200142360A (ko) 2019-06-12 2019-06-12 벌브홀더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23A KR20200142360A (ko) 2019-06-12 2019-06-12 벌브홀더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360A true KR20200142360A (ko) 2020-12-22

Family

ID=7408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523A KR20200142360A (ko) 2019-06-12 2019-06-12 벌브홀더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3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583B1 (ko) 2016-05-20 2017-08-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583B1 (ko) 2016-05-20 2017-08-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789B1 (ko) 다접점 커넥터
WO2016132697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20210351533A1 (en) Female terminal
US20180005776A1 (en) Terminal connecting mechanism and switch
US10461442B2 (en) Pressure contact terminal for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wire
CN108397713B (zh) 照明单元
US9331403B2 (en) Bulb socket and lighting device
JP2020004513A (ja) 電気コネクタ
KR20200142360A (ko) 벌브홀더조립체
KR101769583B1 (ko)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홀더
JP4611849B2 (ja) 端子台
WO2021145195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0722133A (ja) ランプソケット
WO2013111580A1 (en) Bulb socket and lighting system
KR20100070843A (ko) 커넥터어셈블리
JP2017120735A (ja) 車輌用灯具
JP4665491B2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150100163A (ko) 벌브홀더
JP2007234275A (ja) 車両用プッシュスイッチ
WO2014129277A1 (ja) 室内照明灯
US9362651B2 (en) Locking structure of terminal fitting and bulb socket
JP2019145463A (ja) コネクタ
KR200463649Y1 (ko) 벌브홀더조립체
JP2004095563A (ja) コネクタ
JP3684753B2 (ja) 蛍光ランプソケ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