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997A -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997A
KR20200140997A KR1020197033984A KR20197033984A KR20200140997A KR 20200140997 A KR20200140997 A KR 20200140997A KR 1020197033984 A KR1020197033984 A KR 1020197033984A KR 20197033984 A KR20197033984 A KR 20197033984A KR 20200140997 A KR20200140997 A KR 2020014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array
antenna structure
array elements
convers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857B1 (ko
Inventor
창칭 커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4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in accordance with variation of frequency of radiated wa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18Space- fed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8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ntenna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 및 적어도 2개의 어레이 요소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송전 포트에 연결되는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는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연결된 각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을 변환시켜 미리 설정된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며, 상기 송전 대상은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연결된 적어도 2개 어레이 요소 중 어느 하나이다.

Description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910493481.7이고 출원일자가 2019년 06월 06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5세대 이동 통신망에 대한 연구 개발은 본격화되고 있으며, 그 전송 속도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4세대 이동 통신망의 수백 배에 달하여 전자 기기의 통신 속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5세대 이동 통신망의 급속한 발전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의 안테나 구조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통신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전자 기기에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를 설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련 기술의 부족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어레이 요소;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 및
적어도 2개의 어레이 요소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송전 포트에 연결되는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는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연결된 각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을 변환시켜 미리 설정된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며, 상기 송전 대상은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연결된 적어도 2개 어레이 요소 중 어느 하나인 안테나 구조를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모두 연결된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하는 단일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는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송전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 요소에 대응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각각의 송전 포트는 모두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는 각 송전 포트에 대응되는 송전 대상을 변환한다.
선택 가능하게, 인접한 어레이 요소 사이의 간격 거리는 상기 안테나 구조가 기설정 동작 주파수에 있을 때의 파장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는 기설정 범위 내에 배열되고, 상기 기설정 범위는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의 배열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상기 안테나 구조가 기설정 동작 주파수에 있을 때의 2개의 파장을 반경으로 하는 범위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는 원형, 사각형, 십자형 및 일자형으로 배열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안테나 구조는 5G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구성 방법은,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서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송전 포트와 상기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구성 장치는,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서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송전 포트와 상기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조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임의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될 경우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의 변환 작용을 통해, 각각의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을 변화시켜, 상이한 상태에서 상이한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고, 안테나 어레이의 커버리지 범위를 확대하며, 관련 기술에서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어레이 요소가 고정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 어레이의 구성 방식이 보다 유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속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다만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통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를 나타내는 모듈 블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안테나 구조를 나타내는 모듈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안테나 구조를 나타내는 모듈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안테나 구조를 나타내는 모듈 블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안테나 구조를 나타내는 모듈 블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 어레이 구성을 위한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이의 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이 언급될 때,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면, 이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문맥상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사용되는 단수 형식의 "한 가지", "상기" 및 "해당"도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또는 복수의 관련된 나열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가리키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설명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는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조건에서, 제1 정보를 제2 정보로 지칭할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2 정보를 제1 정보로 지칭할 수도 있다. 문맥에 따라,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어 "만약"은 "..일 때" 또는 "..일 경우"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라고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를 나타내는 모듈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구조(100)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1),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 및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100)는 9개의 어레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8개의 어레이 요소 또는 10개의 어레이 요소 등 다른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도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는 상기 9개의 어레이 요소 중 적어도 2개의 어레이 요소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는 안테나 구조(100)에 포함되는 9개의 어레이 요소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에 포함되는 6개의 송전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는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에서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에 연결된 각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을 변환시키며, 상기 송전 대상은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어레이 요소 중 어느 한 어레이 요소이며, 이로써, 송전 포트와 어레이 요소 사이의 도통 관계를 조정하여 복수의 상이한 어레이 요소를 얻어 미리 설정된 상이한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어레이 요소(1)에 포함된 각각의 어레이 요소에 대해 알파벳 번호를 매기며,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1)는 어레이 요소 A, B, C, D, E, F, G, H, I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는 Port 1, Port 2, Port 3, Port 4, Port 5 및Port 6으로 구성된 6개의 송전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상태에서,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의 변환에 의해, 어레이 요소 A와 Port 1, 어레이 요소 B와 Port 2, 어레이 요소 C와 Port 3, 어레이 요소 D와 Port 4, 어레이 요소 E와 Port 5, 어레이 요소 F와 Port 6이 각각 도통될 수 있고, 이로써 어레이 요소 A, B, C, D, E, F로 구성된 제1 안테나 어레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상태에서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의 변환에 의해, 어레이 요소 A와 Port 1, 어레이 요소 B와 Port 2, 어레이 요소 C와 Port 3, 어레이 요소 D와 Port 4, 어레이 요소 E와 Port 5, 어레이 요소 G와 Port 6이 각각 도통될 수 있고, 이로써 어레이 요소 A, B, C, D, E, G로 구성된 제2 안테나 어레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의 변환 작용을 통해 각각의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을 변화시켜, 상이한 상태에서 상이한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고 안테나 어레이 커버리지 범위를 확대하며, 관련 기술에서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되는 어레이 요소의 고정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 어레이의 어레이 구성 방식이 보다 유연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에 포함되는 6개의 송전 포트에서 5개의 송전 포트는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와 연결될 수 있고, 안테나 구조(100)에 포함되는 9개의 어레이 요소의 8개의 어레이 요소와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가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의 어레이 요소와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의 나머지 하나의 송전 포트 사이는 직접 연결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두 가지 상태에서 송전 포트와 어레이 요소 사이의 대응관계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물론 송전 포트와 어레이 요소 사이의 다른 대응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3 안테나 어레이 또는 제4 안테나 어레이 등을 구성하며며, 여기서는 이에 대해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는 증폭기, 필터 및 주파수 변환기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여전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 구조(100)는 단일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일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는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송전 포트는 모두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에 연결되어 안테나 구조(100) 내부에 탑재된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의 개수를 감소시켜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 구조(100)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복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는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송전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 요소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100)는 제1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1) 및 제2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1)는 송전 포트 Port 1 및 Port 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2)는 송전 포트 Port 3 및 Port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송전 포트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 대응될 수 있고, 송전 포트 Port 1은 어레이 요소 A 및 어레이 요소 B에 대응되며, 송전 포트 Port 2는 어레이 요소 F 및 어레이 요소 G에 대응되고, 송전 포트 Port 1 및 Port 2는 모두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에 연결되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을 통해 제1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1)의 송전 대상을 변환시킬 수 있고, 즉,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을 통해 송전 포트 Port 1과 어레이 요소 A를 도통시킬 수 있거나 송전 포트 Port 1과 어레이 요소 B를 도통시킬 수 있으며, 즉,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를 통해 송전 포트 Port 2와 어레이 요소 F를 도통시키거나 송전 포트 Port 2와 어레이 요소 G를 도통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2)는 도 2의 우측 상방의 점선 테두리 내의 어레이 요소 C, D, E, H, I에 대응되고, 송전 포트 Port 3은 어레이 요소 C, 어레이 요소 D 및 어레이 요소 E에 대응되며, 송전 포트 Port 4는 어레이 요소 H 및 어레이 요소 I에 대응되고, 송전 포트 Port 3 및 Port 4는 모두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에 연결되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를 통해 제2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2)의 송전 대상을 변환시킬 수 있고, 즉,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를 통해 송전 포트 Port 3과 어레이 요소 C를 도통시키거나 송전 포트 Port 3과 어레이 요소 D를 도통시키거나 송전 포트 Port 3과 어레이 요소 E를 도통시킬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를 통해 송전 포트 Port 4와 어레이 요소 H를 도통시키거나 송전 포트 Port 4와 어레이 요소 I를 도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1) 및 제2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2)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안테나 구조(100)는 물론 3개 및 3개 이상의 개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1) 및 제2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2)와 어레이 요소 사이의 대응관계도 예시적 설명일 뿐, 물론 다른 대응관계가 더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에 연결된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의 송전 포트도 하나의 어레이 요소에 대응될 수 있고, 이로써,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를 통해 각 송전 포트에 대응되는 어레이 요소의 작동 상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제1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21)에 포함되는 송전 포트 Port 1을 예로 들어, 상기 송전 포트 Port 1이 어레이 요소 1에만 대응되면, 어레이 A가 작동 상태로 변환되도록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를 통해 송전 포트 Port 1과 어레이 요소 A를 도통시킬 수 있고, 어레이 요소 A가 비작동 상태로 변환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를 통해 송전 포트 Port 1과 어레이 요소 A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인접한 어레이 요소 사이의 간격 거리는 상기 안테나 구조(100)가 기설정 동작 주파수에 있을 때의 파장보다 크지 않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구조(100)가 기설정 작동 주파수의 밀리미터파를 전송할 수 있다면, 어레이 요소 H와 어레이 요소 I 사이의 간격 거리 D는 상기 안테나 구조가 기설정 작동 주파수의 파장보다 작거나 같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 거리는 기설정 작동 주파수의 밀리미터파의 절반 파장 또는 1/3 파장에 해당되는 간격 거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간격 거리 D는 어레이 요소 H의 중심과 어레이 요소 I의 중심 사이의 거리일 수 있고 상기 안테나 구조(100)가 5G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기설정 작동 주파수는 26 GHz ~ 49 GHz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간격 거리 D는 26 GHz ~ 49 GHz 범위의 어느 한 작동 주파수의 밀리미터파의 파장일 수 있다. 물론, 여기서는 안테나 구조(100)가 밀리미터파를 전송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 구조(100)는 다른 주파수 내에있는 전자기파를 전송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의 배열은 기설정 범위 내에 있고, 상기 기설정 범위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의 배열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가 기설정 동작 주파수에 있을 때의 2개의 파장의 범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설정 범위는 도면에서 점선 원으로 표시된 범위이고 상기 기설정 범위에 위치한 각각의 어레이 요소는 모두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3)에 연결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복수의 어레이 요소는 비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도 1, 도 2에 도시된 십자형, 또는 도 3에 도시된 사각형, 또는 도 4에 도시된 일자형 또는 도 5에 도시된 원형 등과 같은 규칙적인 형상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안테나 구조(100)는 전자 기기의 통신 성능을 강화하도록 5G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안테나 구조(100)로 구성된 전자 기기는 휴대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핸드 헬드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전자 기기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전자 기기는 스마트 홈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 수단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안테나 구조에 따른 어레이 구성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어레이 구성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1에서,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서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현재의 통신 필요에 따라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어레이 요소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어레이 요소의 폭 및 위상, 또는 필요한 안테나 어레이의 방향도 및 위상 차이에 따라 어레이 구성을 위한 어레이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송전 포트와 상기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는 다중 폴(Multi Pole) 다중 쓰로(Multi Throw) 스위치 또는 단일 폴 다중 쓰로 스위치를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각각의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을 변환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이 변화된 후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어레이 구성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레이 구성 장치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를 나타내는 어레이 구성 장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결정 모듈(701) 및 조정 모듈(702)을 포함하며, 여기서,
결정 모듈(701)은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서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결정하고,
조정 모듈(702)은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송전 포트와 상기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한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관하여, 각 모듈이 동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관련된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장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므로 관련된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부분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며, 여기서, 분리 부재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나타내는 부재는 물리적인 유닛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하나의 위치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모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없이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응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장치를 더 제공하며, 여기서,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서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송전 포트와 상기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한다.
상응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메모리,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이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여 실행된다.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서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송전 포트와 상기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 어레이 구성을 나타내는 장치(800)의 구조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8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800)는 프로세싱 컴포넌트(802), 메모리(804), 전원 컴포넌트(8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 오디오 컴포넌트(8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컴포넌트(814) 및 통신 컴포넌트(816)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컴포넌트(802)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된 동작과 같은 장치(8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802)는,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료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하여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외에, 프로세싱 컴포넌트(80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802)와 다른 컴포넌트 사이의 인터랙션을 진행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컴포넌트(802)는, 멀티미디어 모듈(808)과 프로세싱 컴포넌트(802) 사이의 인터랙션을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800)의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는 장치(8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명령어,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컴포넌트(806)는 장치(80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컴포넌트(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800)를 위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할당과 관련된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상기 장치(8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패널에서의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드에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800)가 촬영 모드 또는 영상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일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식 광학 렌즈 시스템 또는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장치(800)가 통화 모드, 녹음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8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802)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Click Wheel),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다양한 측면의 상태 평가를 장치(800)에 제공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814)는 장치의 온/오프 상태,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컴포넌트는 장치(8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이고, 센서 컴포넌트(814)는 장치(800) 또는 장치(800)의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800) 사이의 접촉 여부, 장치(800)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80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물리적 접촉 없이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8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816)는 장치(800)와 다른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장치(800)는 WiFi, 2G 또는 3G, 4G LTE, 5G NR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8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8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는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다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8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티절 신호 프로세서 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장치(8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804)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명세서를 고려하여 개시된 발명을 실시한 후, 개시된 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된 상식 또는 관용 기술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의 서술 및 도면에서 도시된 정밀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화를 진행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의 변환 작용을 통해, 각각의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을 변화시켜, 상이한 상태에서 상이한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고, 안테나 어레이의 커버리지 범위를 확대하며, 관련 기술에서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가 포함하는 어레이 요소가 고정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테나 어레이의 구성 방식이 보다 유연하다.

Claims (12)

  1. 안테나 구조로서,
    복수의 어레이 요소;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 및
    적어도 2개의 어레이 요소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송전 포트에 연결되는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는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연결된 각 송전 포트의 송전 대상을 변환시켜 미리 설정된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며, 상기 송전 대상은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연결된 적어도 2개 어레이 요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모두 연결된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하는 단일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는 복수의 송전 포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송전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 요소에 대응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각각의 송전 포트는 모두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는 각 송전 포트에 대응되는 송전 대상을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어레이 요소 사이의 간격 거리는 상기 안테나 구조가 기설정 동작 주파수에 있을 때의 파장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는 기설정 범위 내에 배열되고, 상기 기설정 범위는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의 배열 중심을 원점으로 하고 상기 안테나 구조가 기설정 동작 주파수에 있을 때의 2개의 파장을 반경으로 하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는 원형, 사각형, 십자형 및 일자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5G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
  8. 전자 기기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안테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으로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구성 방법은,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서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송전 포트와 상기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10.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장치로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복수의 어레이 요소,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 및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구성 장치는,
    상기 복수의 어레이 요소에서 어레이 구성에 필요한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및
    상기 무선 주파수 컴포넌트의 송전 포트와 상기 임의의 개수의 어레이 요소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상기 무선 주파수 변환 스위치를 조정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장치.
  11.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9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명령어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2. 전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될 경우 제9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97033984A 2019-06-06 2019-10-15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326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493481.7A CN112054313A (zh) 2019-06-06 2019-06-06 天线结构和电子设备、天线结构的组阵方法和装置
CN201910493481.7 2019-06-06
PCT/CN2019/111307 WO2020244118A1 (zh) 2019-06-06 2019-10-15 天线结构和电子设备、天线结构的组阵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997A true KR20200140997A (ko) 2020-12-17
KR102326857B1 KR102326857B1 (ko) 2021-11-17

Family

ID=6883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984A KR102326857B1 (ko) 2019-06-06 2019-10-15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64591B2 (ko)
EP (1) EP3748773B1 (ko)
JP (1) JP7039620B2 (ko)
KR (1) KR102326857B1 (ko)
CN (1) CN112054313A (ko)
RU (1) RU2741831C1 (ko)
WO (1) WO202024411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918B1 (ko) * 2001-10-19 2009-11-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KR20150044726A (ko) * 2013-10-17 2015-04-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고주파 신호 경로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9278C2 (sv) 1997-05-07 1999-01-11 Ericsson Telefon Ab L M Radioantenn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samtidig alstring av bred lob och smal peklob
JPH11231040A (ja) 1998-02-12 1999-08-27 Toyota Motor Corp レーダ装置
JP2000258524A (ja) 1999-03-08 2000-09-22 Toyota Motor Corp レーダ装置
US20030022693A1 (en) * 2001-07-26 2003-01-30 Marios Gerogiokas System and method for beam on demand
CN100399719C (zh) 2005-02-03 2008-07-02 芯通科技(成都)有限公司 智能天线阵的校准方法和具有校准功能的射频收发信机
KR100842087B1 (ko) * 2006-12-28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 시스템
GB0701090D0 (en) * 2007-01-19 2007-02-28 Plasma Antennas Ltd A selectable beam antenna
CN201191650Y (zh) 2008-06-12 2009-02-04 哈尔滨工业大学 方向图可预设的射频识别系统阅读器天线
EP2345176A1 (en) 2008-10-09 2011-07-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ntenna arrangement for multi-stream communication in a mimo channel
US9070969B2 (en) * 2010-07-06 2015-06-30 Apple Inc. Tunable antenna systems
CN102496787B (zh) 2011-12-04 2014-02-26 北京航空航天大学 集成频域滤波的宽带方向图可重构天线系统
CN102646874B (zh) * 2012-04-20 2015-04-08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单刀多掷开关的四维天线阵
CN103856226B (zh) 2012-12-04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lan智能天线系统和数据传输方法
CN103439686B (zh) 2013-07-25 2015-08-19 上海交通大学 单通道无线电测向系统
US9912071B2 (en) 2014-01-08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Quasi-yagi-type antenna
WO2015142723A1 (en) * 2014-03-17 2015-09-24 Ubiquiti Networks, Inc. Array antennas hav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beams
CN103874076B (zh) 2014-03-26 2019-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
CN203982394U (zh) * 2014-05-30 2014-12-03 深圳市远望谷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铁路车号自动识别系统的天线切换装置
CN105098362B (zh) * 2015-07-03 2018-05-11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波束天线馈电网络以及多波束天线阵列
CN105390825A (zh) 2015-11-28 2016-03-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天线装置和移动终端
US20170195004A1 (en) 2016-01-06 2017-07-06 Le Holdings (Beijing) Co., Ltd. Antenna apparatus applied to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5870588A (zh) 2016-01-06 2016-08-17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应用于移动终端的天线装置及移动终端
US9929886B2 (en) * 2016-06-06 2018-03-27 Intel Corporation Phased array antenna cell with adaptive quad polarization
US10411341B2 (en) 2016-07-28 2019-09-10 Behrooz Rezvani Indoor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N206040972U (zh) * 2016-08-29 2017-03-22 苏州市吴通天线有限公司 一种5g毫米波共形多波束天线系统
CN106410413B (zh) * 2016-09-05 2019-11-05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轨道角动量无线通信模式的四维天线阵
CN106961019A (zh) * 2016-10-18 2017-07-18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多时间调制频率的四维天线阵边带抑制方法
US10199722B2 (en) * 2016-11-03 2019-02-05 Raytheon Company Systems and techniques for radome-antenna configuration
WO2018088745A1 (en) 2016-11-11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forming antenna assembly including metal structure
CN106332318B (zh) 2016-11-23 2020-12-01 深圳铂睿智恒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射频架构
KR101772206B1 (ko) 2016-12-26 2017-08-2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위칭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빔형성 개수를 확장한 버틀러 매트릭스
WO2018142132A1 (en) * 2017-01-31 2018-08-09 Smart Antenna Technologies Ltd Beam-steering reconfigurable antenna arrays
CN108631070B (zh) * 2017-03-22 2021-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波束模式可控天线
GB201707214D0 (en) * 2017-05-05 2017-06-21 Smart Antenna Tech Ltd Beam switching using common and differential modes
CN107394393A (zh) 2017-06-22 2017-11-24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天线系统
EP3656061A1 (en) * 2017-07-17 2020-05-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antenna arrangement and method for beamforming
CN107404332A (zh) 2017-07-25 2017-11-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电路、天线装置及电子设备
US10686258B2 (en) 2017-09-18 2020-06-16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Hard-wired address for phased array antenna panels
US10784576B2 (en) 2017-10-13 2020-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True time delay beam former modu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937820B1 (ko) 2017-10-30 2019-01-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빔 배열 안테나 장치
US10681593B2 (en) 2017-11-30 2020-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ssion transfer for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CN207766262U (zh) 2018-01-24 2018-08-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支持载波聚合的移动终端
CN108493575B (zh) 2018-03-12 2020-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207992440U (zh) 2018-03-22 2018-10-19 苏州速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毫米波雷达广域远距离目标探测的装置
CN108988903B (zh) 2018-07-23 2020-09-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系统及电子设备
CN109004373A (zh) 2018-07-25 2018-12-14 南京濠暻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第五代移动通信的高集成度有源一体化天线模块
EP3599664B1 (en) 2018-07-27 2022-08-31 Xilinx, Inc. Antenna module and massive mimo antenna
CN109216944B (zh) * 2018-09-18 2021-04-16 重庆金美通信有限责任公司 一种小型多波束平板天线
CN109524797A (zh) * 2018-09-19 2019-03-26 浙江安路海联科技有限公司 一种相控阵圆形阵列天线系统
CN209948060U (zh) 2019-01-29 2020-01-14 佛山市迪安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5g双极化吸顶天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918B1 (ko) * 2001-10-19 2009-11-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KR20150044726A (ko) * 2013-10-17 2015-04-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고주파 신호 경로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8773B1 (en) 2024-02-07
JP7039620B2 (ja) 2022-03-22
RU2741831C1 (ru) 2021-01-29
US20200388914A1 (en) 2020-12-10
KR102326857B1 (ko) 2021-11-17
WO2020244118A1 (zh) 2020-12-10
US11664591B2 (en) 2023-05-30
JP2021521658A (ja) 2021-08-26
CN112054313A (zh) 2020-12-08
EP3748773A1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0330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JP6196398B2 (ja) タッチボタン及び指紋認証を実現する装置、方法、端末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30208589A1 (en) Srs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srs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es
JP6122558B2 (ja) 通信方法、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200274B1 (en) Antenna of mobile terminal
JP6556832B2 (ja)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の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32468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execution of operation instruction
CN104538741B (zh) 缝隙天线及具有导电边框的电子设备
EP3648534A1 (en) Antenna structure and signal recep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170142839A (ko) 단말기의 작업모드 확정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565374B1 (en) Region configuration methods and devices
EP3220479B1 (en) An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KR20170120707A (ko) 터치 스크린의 포인트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6229627B (zh) 一种天线组件和移动终端
US11309633B2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EP3273530B1 (en) Metal cover and electronic device
KR20210089203A (ko) 동기화 신호 블록의 구성 정보의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26857B1 (ko) 안테나 구조 및 전자 기기, 안테나 구조의 어레이 구성 방법 및 장치
US114962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transmission direction
CN110620289A (zh) 射频装置及终端设备
CN104902073B (zh) 一种手机操作方法及手机
EP3654667B1 (e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WO2013044445A1 (en) Intelligent video capture method and device
CN112952349B (zh) 天线装置及移动终端
US20220381897A1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