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909A - 플로팅 링 실 - Google Patents

플로팅 링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909A
KR20200140909A KR1020207033277A KR20207033277A KR20200140909A KR 20200140909 A KR20200140909 A KR 20200140909A KR 1020207033277 A KR1020207033277 A KR 1020207033277A KR 20207033277 A KR20207033277 A KR 20207033277A KR 20200140909 A KR20200140909 A KR 20200140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ing
floating ring
ring seal
region
integr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025B1 (ko
Inventor
로버트 임하우저
Original Assignee
이글버그만 저머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글버그만 저머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이글버그만 저머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14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1Free-space packings with floating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부품을 밀봉하기 위한 플로팅 링 실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회전 부품은, 방사상 내부를 향하는 제 1 스로틀링 표면(21), 방사상 내부를 향하는 제 2 스로틀링 표면(22), 그리고 일체형 바디(20)의 내주에 있는 제 1 원주 방향 그루브(23)를 포함하고, 제 1 그루브(23)는 플로팅 링 실의 축 방향(X-X)에서 제 1 스로틀링 영역(21)과 제 2 스로틀링 영역(22)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플로팅 링 실
본 발명은, 상당히 감소된 중량 및 단순화된 설계를 갖는 회전 부품(rotating component), 특히 회전 샤프트(rotating shaft) 상에서 밀봉을 위한 플로팅 링 실(floating ring seal)에 관한 것이다.
플로팅 링 실은 다양한 구성으로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 링 실은 고속 펌프에서 펌프 샤프트(pump shaft)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플로팅 링 실은 샤프트 상에 플로팅 배치(floating arrangement)가 되어 있어, 특히 샤프트의 방사상 굴절(deflection)과 같은, 방사상의 적절한 굴절 편향을 따르게 한다. 플로팅 링 실의 문제점은, 상대적으로 강한 누출이 발생하는 플로팅 링 실과 회전 부품 사이의 영구적인 간격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여러 개의 플로팅 링 실은 일반적으로 직렬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는 상당한 구조적 노력을 초래하고, 특히 밀봉할 부품의 축 방향으로 큰 설치 공간이 필요하여 펌프 등의 총 설치 길이가 증가하므로, 이러한 것은 펌프 제조업체는 가능한 한 피하고 싶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저렴한 설계로 밀봉의 임의의 축 방향 전체 길이를 특히 줄일 수 있는 회전 구성 요소에 밀봉하기 위한 플로팅 링 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링 실을 포함하는 부품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플로팅 링 실 및 청구항 9의 특징을 갖는 부품 배치에 의해 진행될 것이다. 각각의 하위 청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준다.
보다 쉬운 조립/분해에 더하여, 회전 부품을 밀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링 실은 상당한 중량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팅 링 실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제 1 및 제 2 스로틀링 영역(throttling area)을 포함하는 일체형 바디(one-piece body)를 포함한다. 스로틀링 영역은 바디의 내부 원주에 있는 제 1 원주 홈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그루브는 제 1 및 제 2 스로틀링 영역 사이에 존재한다. 두 개의 스로틀링 영역을 포함하는 일체형 플로팅 링 실의 설계는 각각 회전 부품을 향하고 회전 부품과 두 개의 스로틀링 영역 사이에 스로틀링 갭(throttling gap)을 가지며, 두 개의 개별적인 선행기술의 플로팅 링 실에 비해 상당한 무게 이점을 제공한다. 두 개의 개별 플로팅 링 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링 실의 총 질량은 약 40%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로팅 링 실의 축 방향으로의 제 1 스로틀링 영역의 폭은, 플로팅 링 실의 축 방향으로의 스로틀링 영역의 제 2폭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이것은 제 2 스로틀링 영역의 스로틀링 효과를 증가시켜, 플로팅 링 실의 전체적인 누출을 줄인다.
그루브(groove)가 사이에 배치 된 두 개의 스로틀링 영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치의 또 다른 큰 장점은 제 1 스로틀링 영역을 가로질러 제 2 스로틀링 영역을 향해 흐르는 누설 유동(leakage flow)이 그루브에서 느려져서, 이후 제 2 스로틀링 영역에서 누출이 크게 감소한다. 여기서, 누설 유동은 특히 역류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제 1 스로틀링 영역의 제 1 폭보다 작거나 같거나 및/또는 제 2 스로틀링 영역의 제 2 폭보다 작거나 같은 그루브 폭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체형 바디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제 3 스로틀링 영역을 더 포함한다. 제 3 스로틀링 영역은 제 2 스로틀링 영역에 직렬로 배치된다. 추가로, 제 2 원주 방향 그루브는 바디 내주상의 제 2 및 제 3 스로틀링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일체형 바디는 바람직하게는 제 4 스로틀링 영역을 포함한다. 일체형 바디의 내주상의 제 3 및 제 4 스로틀링 영역 사이에 제 3 원주 방향 그루브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플로팅 링 실은 4개의 스로틀링 영역과 3개의 원주 방향 그루브를 포함한다.
탄소 플로팅 링 실이 특히 바람직하다. 플로팅 링 실의 일체형 디자인으로 인해 특히 탄소 플로팅 링 실과 같이 제조 과정에서 상당한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로팅 링 실은 실링 링 캐리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링 링 캐리어는 일체형 플로팅 링 실을 유지하는 별도의 부품이다. 실링 링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스로틀링 영역에 대향하는 일체형 바디의 측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로팅 링 실은 또한 일체형 바디 또는 실링 링 캐리어를 가지는 일체형 바디를 느슨하게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recess)를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 특히 티타늄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부품, 특히 샤프트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링 실을 포함하는 부품 배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샤프트는 펌프 샤프트 또는 컴프레서 샤프트(compressor shaft)가 바람직하다.
부품 배치는 플로팅 링 실의 일체형 바디의 제 1 스로틀링 영역과 회전 구성 요소 사이의 제 1 스로틀링 영역 및 일체형 바디의 제 2 스로틀링 영역과 회전 부품 사이의 제 2 스로틀링 영역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로틀링 영역 및 회전 부품의 표면은 제 1 스로틀링 갭 및/또는 제 2 스로틀링 갭의 갭 높이가 축 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제 1 스로틀링 갭의 갭 높이는 제 2 스로틀링 갭의 갭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부품 배치는 펌프나 압축기 또는 터빈이 바람직하다. 부품 배치는 매우 빠른 속도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과 같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플로팅 링 실을 포함하는 부품 배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 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링 실을 포함하는 부품 배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링 실을 포함하는 부품 배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링 실을 포함하는 부품 배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플로팅 링 실(floating ring seal, 2)을 포함하는 부품 배치(component arrangement, 1)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로팅 링 실(2)은 일체형 바디(one-piece body, 20) 및 실링 링 커리어(sealing ring carrier, 6)를 포함한다. 실링 링 커리어(6)는 일체형 바디(2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체형 바디(20)는 제 1 스로틀링 영역(first throttling area, 21) 및 제 2 스로틀링 영역(second throttling area, 22)을 포함한다. 제 1 스로틀링 영역(21)은 일체형 바디(20)의 반경 방향 내향 영역에 위치한다. 제 2 스로틀링 영역(22) 또한 일체형 바디(20)의 반경 방향 내향 영역에 위치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로팅 링 실(2)은 샤프트(shaft, 3)상의 대기 영역(atmosphere region, 11)으로부터 제품 영역(product region, 10)을 밀봉한다. 제 1 스로틀링 갭(first throttling gap, 8)은 제 1 스로틀링 영역(21)과 샤프트(3)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스로틀링 갭(second throttling gap, 9)은 제 2 스로틀링 영역(22)과 샤프트(3)의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루브(first groove, 23)는 플로팅 링 실(2)의 축 방향(Axial direction, X-X)으로 제 1 스로틀링 영역(21)과 제 2 스로틀링 영역(22) 사이에 배치된다. 그루브(23)는 일체형 바디(20)의 내주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축 방향(X-X)에서 제 1 스로틀링 영역(21)의 제 1 폭(first width, B1)은 제 2 스로틀링 영역(22)의 제 2 폭(second width, B2)보다 작다. 또한, 축 방향(X-X)의 그루브(23)의 폭(N1)은 제 1 폭(B1)과 제 2 폭(B2)보다 작다.
제 1 스로틀링 갭(8)에서 제 1 갭 높이는 축 방향(X-X)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 2 스로틀링 갭(9)도 축 방향에 대해 일정하다. 제 1 스로틀링 갭(8)과 제 2 스로틀링 갭(9)의 갭 높이는 제 2 스로틀링 갭(9)에서의 제 2 갭 높이가 제 1 스로틀링 갭(8)에서의 제 1 갭 높이와 동일한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팅 링 실(2)은 하우징(housing, 4)의 오목부(recess, 5)에 위치한다. 하우징(4)은 샤프트(3)의 축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다중 부품 설계를 갖는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로팅 링 실(2)은 플로팅 방식으로 오목부(5)에 배치된다. 이것은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샤프트(3)의 반경 방향 편향의 경우에 플로팅 링 실(2)이 샤프트 이동을 따를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반경 방향 샤프트 이동은 샤프트(3)와 일체형 바디(20) 사이의 짧은 접촉을 유발할 수 있다.
플로팅 링 실(2) 또한 하우징(4)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7)을 포함한다. 잠금 메커니즘(7)은 헤드(head, 71)가 있는 볼트(bolt, 7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볼트(70)는 실링 링 커리어(6)에 위치한다. 헤드(71)는 축 방향(X-X)으로 돌출하고, 오목부(5)의 측면 노치(lateral notch, 50)에 위치한다. 측면 노치(50)에서, 플로팅 링 실(2)이 상기 샤프트의 반경 방향 굴절에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헤드(71)에 반경 방향 틈새(radical clearance)가 제공된다. 이것은 이중 화살표 A로 표시된다.
플로팅 링 실(2)이 상기 반경 방향 굴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축 방향(X-X)으로 돌출하는 돌출부(projection, 40)가 하우징(4) 상에 형성된다. 이것은 오목부(5)에서 플로팅 링 실이 안전하게 안내를 하도록 허용한다. 돌출부(40)는 또한 매체가 플로팅 링 실(2) 뒤의 경로를 통해 스로틀링 갭(8, 9)을 우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40)는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원주가 되게끔 제공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이전에 사용된 두 개의 개별 플로팅 링 실은 플로팅 링 실(2)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약 40%까지의 상당한 중량 감소가 가능하다. 더욱이, 플로팅 링 실(2)의 일체형 디자인은 플로팅 링 실(2)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훨씬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7)이 여전히 실링 링 커리어(6)에 독점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플로팅 링 실의 일체형 바디(20)는 잠금 메커니즘을 수용하기 위해 연화된 오목부(weakening recess), 그루브 등을 통합하지 않고 설계할 수 있다. 이것은 일체형 바디(20)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키고 일체형 바디(20)의 서비스 수명을 상당히 연장시킨다.
작동 중에, 일부 누출은 제 1 스로틀링 갭(8)을 통해 발생하지만, 원주 방향 그루브(23)의 제공은 그루브(23)의 영역에서 누출 유속을 상당히 느리게 한다. 따라서, 제 2 스로틀링 갭(9)을 통해 대기 영역(11)으로 향하는 또 다른 누출은 다시 크게 감소하거나 필요한 경우 완전히 피할 수 있다.
그루브(23)의 깊이는 그루브(23)의 영역에서 제 1 스로틀링 갭(8)을 통해 그루브(23)에 도달한 누출의 적어도 부분적인 복귀 흐름(return flow, C)이 발생하는 걸 선택한다. 이것은 또한 플로팅 링 실을 통한 누출의 유속을 줄이고 제 2 스로틀링 갭(9)을 통한 추가 누출을 최소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품 배치(1)을 도시하며, 동일하거나 작동 상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품 배치(1)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개별 플로팅 링 실(2)을 포함한다. 플로팅 링 실(2)의 기본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로팅 링 실(2)은 샤프트(3)상에 서로 거울 반전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총 4개의 스로틀링 갭이 제품 영역(10)에서 대기 방향(atmosphere region, 11)으로 제공된다. 더욱이,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 그루브(groove, 41)가 제 1 및 제 2 플로팅 링 실(2) 사이의 영역에서 하우징(4)에 제공된다. 이 원주 방향 그루브(41)에서, 제 1 플로팅 링 실(2)로부터 공급되는 누출이 축적되고 복귀 흐름(C)을 형성하며, 제 2 플로팅 링 실을 통해 대기 영역(11)으로 발생하는 누출을 더욱 감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부품 배치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플로팅 링 실(2)은 제 1 및 제 2 스로틀링 영역(21, 22) 사이에 제공된 제 1 그루브(23) 및 이들 사이에 제공된 제 2 그루브(second groove, 26)를 포함하는 제 3 스로틀링 영역(third throttling area, 25)을 포함한다.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 1 그루브(23) 및 제 2 그루브(26)는 완전히 원주형이 되도록 디자인한다. 이는 3개의 스로틀링 영역(22, 23, 25)을 포함하는 일체형 바디(20)를 제공하여, 제품 영역(10)에서 대기 영역(11)으로의 누출을 더욱 감소시킨다.
1 부품 배치(component arrangement)
2 플로팅 링 실(floating ring seal)
3 샤프트(shaft)
4 하우징(housing)
5 오목부(recess)
6 실링 링 커리어(sealing ring carrier)
7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8 제 1 스로틀링 갭(first throttling gap)
9 제 2 스로틀링 갭(second throttling gap)
10 제품 영역(product region)
11 대기 영역(atmosphere region)
20 일체형 바디(one-piece body)
21 제 1 스로틀링 영역(first throttling area)
22 제 2 스로틀링 영역(second throttling area)
23 제 1 그루브(first groove)
24 돌출부(projection)
25 제 3 스로틀링 영역(third throttling area)
26 제 2 그루브(second groove)
40 돌출부(projection)
41 그루브(groove)
50 측면 노치(lateral notch)
70 볼트(bolt)
71 헤드(head)
A 이중 화살표(double arrow)
B1 제 1 폭(first width)
B2 제 2 폭(second width)
C 복귀 흐름(return flow)
N1 제 1 그루브(23)의 그루브 폭
X-X 축 방향(Axial direction)

Claims (11)

  1. 방사상 안쪽으로 향하는 제 1 스로틀링 영역(21),
    방사상 안쪽으로 향하는 제 2 스로틀링 영역(22), 및
    일체형 바디(20) 내부 원주상의 제 1 원주 방향 그루브(23)를 포함하는 일체형 바디(20)를 포함하는, 회전 부품 상의 밀봉을 위한 플로팅 링 실로서,
    제 1 그루브(23)는, 플로팅 링 실의 축 방향(X-X)으로 제 1 스로틀링 영역(21)과 제 2 스로틀링 영역(22)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부품 상의 밀봉을 위한 플로팅 링 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로틀링 영역(21)의 제 1 폭(B1)은 상기 제 2 스로틀링 영역(22)의 제 2 폭(B2)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링 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루브(23)는, 상기 제 1 폭(B1)보다 작거나 같고, 제 2 폭(B2)보다 작거나 같은 그루브 폭(N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링 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바디(20)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제 3 스로틀링 영역(25)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 2 그루브(26)는 플로팅 링 실의 축 방향(X-X)에서 상기 제 3 스로틀링 영역(25)과 제 2 스로틀링 영역(2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링 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바디(20)는 탄소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링 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바디(20)를 운반하는 실링 링 캐리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링 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링 캐리어는 상기 스로틀링 영역들(21, 22)에 반대되는 상기 일체형 바디(20)의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링 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로팅 방식으로 상기 일체형 바디(20)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5)를 포함하는 하우징(4)을 추가로 포함하는 플로팅 링 실.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 이상의 플로팅 링 실(2) 및 회전 부품(3)을 포함하는 부품 배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로틀링 영역(21)과 상기 회전 부품(3)의 표면 사이의 제 1 스로틀 갭(8)의 제 1 갭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고/되거나, 제 2 스로틀링 영역(22)과 상기 회전 부품(3)의 표면 사이의 제 2 스로틀링 갭의 제 2 갭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배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갭 높이는 상기 제 2 갭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배치.
KR1020207033277A 2018-04-19 2019-03-25 플로팅 링 실 KR102471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5960.8 2018-04-19
DE102018205960.8A DE102018205960A1 (de) 2018-04-19 2018-04-19 Schwimmringdichtung
PCT/EP2019/057438 WO2019201559A1 (de) 2018-04-19 2019-03-25 Schwimmringd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909A true KR20200140909A (ko) 2020-12-16
KR102471025B1 KR102471025B1 (ko) 2022-11-25

Family

ID=6591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277A KR102471025B1 (ko) 2018-04-19 2019-03-25 플로팅 링 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72529A1 (ko)
EP (1) EP3781850A1 (ko)
JP (1) JP2021521393A (ko)
KR (1) KR102471025B1 (ko)
CN (1) CN111989513A (ko)
DE (1) DE102018205960A1 (ko)
RU (1) RU2761526C1 (ko)
WO (1) WO20192015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7329A (en) * 1955-05-13 1959-12-15 City Nat Bank And Trust Compan Rotary seal
US20090194950A1 (en) * 2002-06-21 2009-08-06 Orlowski David C Pressure Balanced Shaft Sea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38226A1 (ru) * 1979-09-26 1981-06-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компрессор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плотнение вала
JPH0444941Y2 (ko) * 1986-03-13 1992-10-22
DE3737344A1 (de) * 1986-11-14 1988-05-26 Bbc Brown Boveri & Cie Wellendichtung fuer gasgefuellte elektrische maschinen
SU1573282A1 (ru) * 1988-08-11 1990-06-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461 Плавающее уплотнение вала
US5014999A (en) * 1989-03-06 1991-05-14 Car-Graph, Inc. Pressure enhanced self aligning seal
US5322298A (en) * 1992-06-09 1994-06-21 Dresser-Rand Company Shaft seal
RU2105216C1 (ru) * 1996-11-21 1998-02-20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Цветков Плавающее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кольцо щелевого уплотнения
US6431553B1 (en) * 2000-08-28 2002-08-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adially pressure balanced floating seal system
US20060033287A1 (en) * 2004-08-11 2006-02-16 Giuseppe Rago Controlled gap carbon seal
US7419164B2 (en) * 2006-08-15 2008-09-02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liant plate seals for turbomachinery
CN107850220A (zh) * 2015-07-10 2018-03-27 株式会社荏原制作所 非接触环状密封件及具备该密封件的旋转机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7329A (en) * 1955-05-13 1959-12-15 City Nat Bank And Trust Compan Rotary seal
US20090194950A1 (en) * 2002-06-21 2009-08-06 Orlowski David C Pressure Balanced Shaft Sea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1393A (ja) 2021-08-26
EP3781850A1 (de) 2021-02-24
KR102471025B1 (ko) 2022-11-25
US20210172529A1 (en) 2021-06-10
CN111989513A (zh) 2020-11-24
DE102018205960A1 (de) 2019-10-24
RU2761526C1 (ru) 2021-12-09
WO2019201559A1 (de)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48A (en) Centrifugal seal.
JP5279450B2 (ja) 複数の部分より成るパッキンリング
US9909440B2 (en) Interlocking hole pattern seal
US5048978A (en) Squeeze film damper seal
US9494165B2 (en) Turbo engine with improved compensating piston gasket
US5518256A (en) Floating-ring seal
US20140232069A1 (en) Mechanical seal with a balance shift mechanism
JPH0465266B2 (ko)
JP2020530542A5 (ko)
US8096774B2 (en) Turbocharger
US5188375A (en) Squeeze film damper piston ring seal
KR20200140909A (ko) 플로팅 링 실
US11287043B2 (en) High clearance seal assembly
WO2016024409A1 (ja) 遠心回転機械
EP2305957B1 (en) Improved staggered seal assembly
KR20200139828A (ko) 플로팅 링 실
JPH04272581A (ja) 非接触形シール装置
KR101898830B1 (ko) 축 시일 기구
US20210033192A1 (en) Axially preloaded packing ring sets
CN101113677A (zh) 吸气迷宫式密封件
JP5364426B2 (ja) ターボ機械
WO2024084184A1 (en) Sliding ring seal assembly
JP2002317793A (ja) ポンプの可動インナーリング
JPS5996499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