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786A - 의복에 유체 재료의 적용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의복에 유체 재료의 적용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786A
KR20200140786A KR1020207007757A KR20207007757A KR20200140786A KR 20200140786 A KR20200140786 A KR 20200140786A KR 1020207007757 A KR1020207007757 A KR 1020207007757A KR 20207007757 A KR20207007757 A KR 20207007757A KR 20200140786 A KR20200140786 A KR 20200140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along
line
groove
flui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니스 호울브룩
사운 카너
Original Assignee
수퍼크리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퍼크리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퍼크리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4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10Means for maintaining the crea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6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two different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the sam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wice, to the sam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96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a rigid removable cartridge having no active dispensing means, i.e. the cartridge requiring cooperation with means of the handtool to expel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 내부에 주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의복(18)의 주름 선(8) 상에 유체 수지 재료(15)의 하나 이상의 선의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수지는 전형적으로 카트리지가 주름 선(8)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카트리지(10)로부터 전형적으로 적용된다. 장치(1)는 유체 수지 재료(15)의 선의 정확한 위치를 허용하기 위해 장치(1) 내에 형성된 요홈(4)을 따라 주름 선(8)을 따라 의복(18)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요홈(4)은 지지 장치(1)의 하나 이상의 몸체(2)의 면을 따라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요홈(4)은 장치(1)가 사용을 위해 장착되고 하나 이상의 몸체(2)가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38, 42)을 통하여 접촉하며 또는 하나 이상의 몸체(2)에 연결되는 표면(46)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이격된 거리(26)에 배열되는 2개 이상의 몸체(2, 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복에 유체 재료의 적용을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유체 재료, 전형적으로 수지 유사 재료를 의복에 적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더욱 구체적으로 유체 재료가 경화될 때 유체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더 긴 시간 동안에 의복에 주름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의복 내의 주름 선을 따라 유체 재료의 비교적 얇은 선 또는 리본의 적용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장치의 제공은 공지되어 있고 상당한 기간 동안 사용되어왔다. 통상적으로, 카트리지의 캐비티 내에 보유되는 수지 재료의 리저버가 제공되고 카트리지는 슬롯 및 개구를 갖는 분배 노즐을 가지며, 이를 통해 일정량의 유체 재료가 점진적으로 분배되어 주름 선을 따라 리본 재료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 선을 따라 카트리지와 의복 사이의 상대적 이동은 유체 재료의 리본이 그 사이에 분배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는 의복에 대해 이동되고, 의복 및 주름 선은 그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주름이 배치되어 수지가 의복의 내부 표면에 적용되어 주름 선의 내부 표면을 따라 구현되는 지지 표면 상에 배열되고 이에 따라 유체 재료가 V 또는 갈매기 날개 형태의 주름의 기저에 적용되고 이에 따라 주름의 형태가 유지되고 의복 내에 주름이 유지된다.
의복 및 지지 표면은 전형적으로 카트리지 용기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높이에 제공되며, 이어서 사용자는 주름 선을 따라 카트리지를 안내 및 이동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는 전형적으로 이와 함께 형성되거나 장착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수단은 하나 이상의 핀의 형태이며, 이는 카트리지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카트리지를 위한 장착 수단에 제공될 수 있고 핀은 일반적으로 공통 축을 따라 위치되고 유체 재료의 적용에 앞서 주름 선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위치 및 이동될 수 있다.
리저버 내의 유체 재료는 슬롯을 통하여 수지를 가압하기 위해 압력 하에서 분배 노즐을 향하여 이동하고, 일 실시예에서, 이는 단부를 대향하는 카트리지의 단부로부터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카트리지 내의 피스톤의 제공에 의해 구현되고, 이 단부에서 노즐은 분배 슬롯을 통하여 유체 재료의 유동을 야기하고 캐비티를 따라 이동하도록 노즐과 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제공된다.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해, 가압된 기류가 카트리지에 연결되어 카트리지로 들어갈 때 가압된 공기가 피스톤을 이동시키고 따라서 유체 재료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가압 공기 공급의 제어는 사용자가 풋 페달을 조작할 때 가압 공기가 카트리지로 공급되도록 공압 제어 수단에 연결된 풋 페달을 통해 달성된다. 대안으로, 출원인의 계류중인 출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작동 가능한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카트리지에 제공되거나 카트리지에 인접하여 공기 공급의 손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지지 장치는 통상적으로 바닥 또는 테이블과 같은 지지부와 접촉하는 풋이 있는 기저, 기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 및 기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평면에 배열되고 레그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암을 포함하는 스탠드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암은 전형적으로 내부에 배열된 의복의 레그 부분이 암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자유 단부 상으로 배열되는 레그 부분의 내부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하는 자유 단부르르 가지며, 암은 레그 부분 내에 배열되고 수지가 적용되는 주름 선이 암을 따라 형성된 요홈을 따라서 배열된다.
주름 선이 제 위치에 있을 때, 주름 선은 요홈 및 지지 암에 의해 동일하게 유지되고, 유체 재료의 리본이 주름 선을 따라 카트리지로부터 적용될 수 있다. 암이 레그로부터 일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됨에 따라, 암에 대한 레그 및 위치 수단은 비교적 강할 필요가 있고 필요한 위치에서 암을 유지시키며, 이와 같이 최종 사용자에 의해 장치가 제조 및 공급하기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부피가 커진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의 형태의 장치가 상당한 양의 공간을 차지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환경에서 선호되지 않을 수 있고 및/또는 비교적 소규모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사용 및 완성된 의복에 대한 잠재적 이점은 완전히 상업적으로 이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복의 주름 선에 수지를 도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의 목적은 지지 장치를 비교적 한정된 공간에서 적응가능하고 보다 용이하게 수용 및 사용가능하게 하여 장치의 실제 사용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주름 선을 갖는 의복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주름 선을 따라 유체 재료가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몸체의 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요홈은 장치가 사용을 위해 장착되는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배열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몸체는 하나 이상의 몸체의 일부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을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요홈과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는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는 2개 이상의 몸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각각의 종방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들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보유 부재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유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마주보는 단부는 의복이 상기 몸체에 도입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자유 단부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몸체는 이를 따라 배열된 하나 이상의 요홈을 가지며, 몸체는 요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열되고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이격된 거리에서 의복에 유체 재료의 선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은 몸체의 제1 단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제2 세트의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은 상기 몸체의 마주보는 단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세트의 접촉 부분, 몸체의 하측 및 장치가 장착되는 표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전형적으로, 요홈이 형성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면들이 장치가 사용을 위해 상기 면 상에 배열될 때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몸체는 상기 몸체 상의 하나 이상의 요홈을 따라 배열된 의복의 주름 선을 따라 의복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세트의 접촉 부분은 몸체 상으로 및 몸체로부터 의복의 용이한 배치 및/또는 제거를 허용하고 및/또는 사용 시에 몸체가 뒤집어 질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의복 및 몸체는 주름 선을 따라 유체 재료의 리본의 적용들 간에 몸체의 종방향 축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의복의 제1 주름 선은 요홈을 따라 배열되고 유체 재료는 상기 제1 주름 선을 따라 적용되며, 완료 시에 몸체와 의복 사이의 움직임은 상기 요홈 또는 제2 요홈을 따라 의복의 추가 주름 선이 배열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유체 재료의 리본이 제2 주름 선을 따라 적용된다.
이는, 예를 들어, 바지 다리의 2개의 주름 라인이 제1 주름 라인을 따르는 유체 재료의 적용과 제2 주름을 따른 유체 재료의 적용 사이에서 몸체에서 바지 다리를 완전히 제거할 필요 없이 수지를 적용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의복 처리 속도가 증가하여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복은 유체 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요홈 내에 배열되는 특정 주름 선을 변경하도록 몸체에 대해 회전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몸체는 몸체의 제1 측면을 따라 제공된 요홈 및 몸체의 추가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2 요홈을 포함하고, 몸체와 의복은 유체 재료의 선을 적용하기 위해 주름 선과 요홈을 배치하도록 함께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일련의 접촉 부분은 제1 방향으로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풋 및 제2 방향으로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풋을 포함하고, 상기 풋은 저장 위치에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이용가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실질적으로 180° 오프셋설정된다.
전형적으로,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들 풋은 제1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측면에서 요홈이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풋은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 측면 내에 제2 요홈이 형성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분은 테이블 상부의 형태로 표면과 함께 위치된다. 더욱 전형적으로, 각각의 세0트의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은 테이블 상부와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련의 접촉 부분이 벽이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테이블 상부와 같은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는 브래킷의 형태인 표면과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몸체를 포함하고 몸체는 리테이닝 부재에 의해 이격된 거리로 함께 위치하고 유지된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몸체는 그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가지며, 몸체는 요홈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위치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몸체들 사이에, 따라서 상기 요홈들 사이에 간격이 제공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몸체에 인접한 상기 유지 부재로부터 상기 몸체의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 형태에서, 장치는 제1 요홈에 대해 배치된 유체 재료의 리본 및 제2 요홈에 대해 배치된 유체 재료의 제2 리본과 동시에 2개의 카트리지로부터 수지의 적용을 허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재료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로부터 적용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각각 유체 재료가 위치되는 리저버에 연결된 분배 노즐을 가지며 작동 시에 노즐을 향하여 유체 재료를 이동시키는 리저버 내에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구동은 풋 페달 또는 수 조작 구동 수단에 의해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구동 수단은 의복에 대해 카트리지를 이동하기 전, 동안 및/또는 후에 또는 의복이 카트리지에 대해 이동될 때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스위치의 형태로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작동 수단의 사용자 조작은 공기 펌프와 같은 가압 유체 공급원을 카트리지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식적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카트리지 사용의 두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실시예의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장치의 구성 요소가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구성 요소는 지지 표면 또는 테이블(1)을 포함하며, 지지 표면 또는 테이블(1)은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요홈(4)을 갖는다. 요홈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V자형 또는 갈매기형(6)일 수 있으며, 사용 중에 의복(18)의 주름 선(8)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주름 선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9) 및 측벽(11, 13)을 가지며, 이는 테이블의 선 A-A를 따라 그리고 주름 선(8)의 기저(9)를 따라 및 이 내로 수지 재료가 그 후에 경화될 때 주름의 형상을 보유하도록 유체 수지 재료(15)가 적용되는 단면이다.
유체 수지 재료는 카트리지(10)로부터 분배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도 2에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는 몸체(12)를 가지며, 상기 몸체 내에 리저버(14)가 형성되고 상기 리저버 내에 유체 수지 재료(15)가 제공되고 유체 수지 재료가 분배 구멍(17)을 갖는 분배 노즐(18)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몸체의 내부를 따라 선형 이동하도록 제공된 피스톤(16)의 형태의 이동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분배 구멍을 통하여 유체 수지 재료(15)가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도록 유동하고 의복 주름 선 상에 또는 이를 따라 적용되며 전형적으로 동시에 카트리지는 주름 선을 따라 이동하여 유체 수지 재료의 선 또는 리본을 형성한다. 피스톤이 피스톤의 하나의 측면(27)에 대해 캐비티 내로 유입되는 공기 펌프(35)와 같은 소스로부터 가압된 공기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함에 따라 유체 수지 재료는 캐비티 내에 배열된 피스톤(16)의 영향 하에서 구멍(17)을 통하여 카트리지로부터 이동하고, 유체 수지 재료(15)는 피스톤의 다른 측면(29)에 배열되고 상기 측면의 단부에 분배 구멍(17)이 제공된다. 따라서, 주름 선을 따라 카트리지의 움직임과 함께 가압된 공기의 적절한 압력은 유체 수지 재료(15)가 구멍(17)으로부터 주름 선으로 필요한 양으로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주름 선을 따른 카트리지 이동은 카트리지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카트리지와 함께 위치된 가이드 수단(20)에 의해 안내되고, 가이드 수단은 카트리지를 유도하는 지지부(1) 상의 요홈(4) 및 카트리지가 이동함에 따라 구멍(17) 이전에 의복 내의 주름 선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유체 수지 재료의 적용이 주름 선의 기저(9)를 따라 수행된다.
도 3a는 설명된 바와 같은 유형의 카트리지(10)의 제1 사용 구성을 도시하고 주름 수용 요홈(4)을 갖는 지지부(2)가 재차 도시되어 있다. 의복(18)의 주름 선(8)이 도시되고, 주름 선(8)이 몸체(2)에 형성된 요홈(4)을 따라 배열되도록 의복이 몸체(2) 상에 배치된다. 이어서 카트리지(10)는 화살표(22)로 표시된 방향으로 주름 선(8)을 따라 이동하고 유체 재료 리본(15)이 주름 선과 정렬되도록 배치 된 카트리지의 분배 노즐(19)로부터 유체 재료(15)의 리본이 분배되고, 이에 따라 의복 내의 주름의 요구된 강화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선(8)의 기저를 따라 배열된다.
요홈(6)는 지지부(1)의 종방향 축(33)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3b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보유된 종방향 축 및 이격된 거리(26)에서 장착 수단(24)에 의해 위치된 2개의 카트리지(10, 10')가 제공된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카트리지(10, 10')로부터 분배된 유체 수지 재료(15, 15')의 리본이 의복(18)의 각각의 주름 선(8, 8')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된다. 거리(26)는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사용자가 특정 사용 및/또는 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 위치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가장 전형적으로, 2개의 주름 선(8, 8')은 한 쌍의 바지와 같은 의복의 각 다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3b에 따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유체 재료(15, 15')의 2개의 리본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펌프(35)와 같은 가압된 공기 공급원의 작동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름 선을 따라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동일한 손에 의해 작동가능한 공기 또는 전기 스위치와 같은 사용자 작동가능 제어 수단을 통해 제어되고, 일 실시예에서 이는 사용자 작동가능한 제어 수단을 장착 수단(24)의 일부로서 그리고 가능하면 장착 수단의 이동가능 파지부분(25)의 일부로서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그립핑 부분은 또한 사용자 작동가능 제어 수단의 스위치를 작동시켰다.
도 3a 및 도 3b의 배열 모두에서, 내부에 형성된 요홈(4)이 지지부(1)에 제공되고, 이 위에 의복이 배열되며, 이는 유체 수지 재료가 분배됨에 따라 카트리지가 이동하고 압축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1)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 요홈 선(4, 4')을 갖는 제1 및 제2 몸체(2, 2')가 제공되고 그 사이에 요홈 선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동일한 평면에 배열된다. 몸체(2, 2')는 도 4a-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또는 도 7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일 수 있는 보유 부재(28, 28')에 의해 이격된 관계로 유지된다. 보유 부재는 몸체(2, 2')를 고정된 관계로 유지하기 위해 볼트(29) 및 위치 수단(31)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유지 부재(28, 28')는 지지 장치(2)의 제1 단부(30)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는 서로 고정될 때 몸체들 사이의 간격(32)을 형성하며, 이는 지지 장치의 대향 단부(34)를 향해 보유 부재(28, 28')로부터 균일하게 연장된다. 몸체(2, 2')는 단부(34)에 자유 단부를 가지며, 이에 의해 의복 부분이 단부(34)로부터 각각의 몸체(2, 2')를 따라 및 이에 걸쳐 배치되고 이를 따라 지지 장치의 단부(3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동하는 암을 형성하며, 유체 수지 재료가 적용될 각각의 주름이 각각의 몸체(2, 2')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 요홈(4, 4')에 위치되고 적어도 이를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지지 장치의 각각의 단부(30, 34)에는 제1 및 제2 세트의 지지 부분이 제공된다. 제1 세트(36)는 제1 크기의 제1 및 제2 풋(38, 38') 및 이 실시예에서 더 작은 크기의 제2 풋 부분(40, 40')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서 주로 의복의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40, 40')은 도면에 도시되고 장치가 사용될 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에 상반되게 위치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상부 또는 플로어(46)와 같이 지지 기저(460로부터 몸체(2, 2')가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저장의 목적이고 공간 절약을 위해 테이블이 사용되지 않을 때 지지부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단부(34)에서, 풋(38, 38')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고 몸체(2, 2')의 하측(48)과 풋(38, 38' 및 42, 42')과 테이블 상부인 지지 기저(46) 사이에 간격(44)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풋(42, 42')을 포함하는 제2 세트의 지지 부분이 제공된다.
도 4a에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몸체(2)들 중 하나의 몸체를 따라 위치된 의복(18)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의복의 주름 선은 몸체의 요홈(4)을 따라 위치된다. 의복(18)의 나머지 부분은 지지 표면(46) 상으로 떨어지고, 따라서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여 카트리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수지 재료를 증착하도록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의복(18)은 우선 화살표(66) 방향으로 접촉 풋(42)를 상승시킴으로써 몸체에 도입되고, 의복의 개방 단부는 몸체(2) 상으로 슬라이딩되고 의복이 요홈을 따라 제 위치에 배열될 때까지 화살표(5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따라 이동한다. 그 뒤, 의복은 몸체의 요홈(4) 내로 의복의 주름 선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몸체 종방향 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이는 유체 수지 재료의 적용을 위해 정확히 위치된다.
수지 재료가 적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면, 적용될 유체 수지 재료의 선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의복이 몸체로부터 미끄러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의복이 유체 수지 재료의 선의 적용을 위해 요홈 내의 추가 주름 선을 배치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44) 내에 배열되도록 몸체(2) 주위에서 종방향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4e는 예를 들어 도 4a 및 4d에서 고정 풋(42)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형태의 지지 부분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풋(50, 50')은 풋이 몸체 부분(2, 2')으로부터 하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각각 피벗 위치(52, 52') 주위에서 피벗회전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부분(54)에 대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상반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피벗 위치(52, 52') 주위에서 90° 또는 180° 회전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몸체는 뒤집힐 수 있거나 또는 몸체 상으로 및 이로부터 의복의 향상된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하여 56으로 도시된 위치로 90° 이동할 수 있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일 단부에서 브래킷(58)의 형태인 제1 지지 부분 및 마주보는 단부에 지지 부분(60, 60')을 포함하고 각각의 요홈(4, 4')을 포함한 몸체(2, 2')을 갖는 지지 장치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경우, 몸체(2')만이 제 위치에 도시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 2')가 브래킷(58)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하다. 브래킷은 벽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상부(46) 상에 위치될 수 있는 플레이트(62)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장치는 도 5a 및 5c에 도시된 배열에서, 도 3b에 도시된 유형의 이중 카트리지(10, 10') 배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도 3a에 도시된 유형의 단일 카트리지 적용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도 5b에 도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테이블 상부(46)의 형태로 표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요홈(4)이 제공되는 마주보는 표면을 갖는 지지 부분(64)이 제공된 단일 부재인 몸체(2)가 제공된다.
따라서, 각각의 실시예에서, 이는 목재, 알루미늄 또는 트레스파(trespa)로 알려진 재료일 수 있는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장치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 상부의 형태인 지지부는 또는 의복(18)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기능을 하여, 의복이 주름 선(8)이 요홈(4) 내에 배열될 때 몸체로부터의 자체 중량 하에서 아래로 자체적으로 매달리지 않는다.
또한, 몸체에 대한 의복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은 의복의 상이한 주름 선이 몸체 내의 측정 요홈과 접촉하도록 허용하여 하나 초과의 유체 재료의 리본이 몸체로부터 의복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는 상이한 주름 선이 몸체 내의 상이한 요홈을 따라 배열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몸체 및 의복이 회전하도록 허용하는 상이한 측면 상에서 제1 및 제2 요홈 선이 제공될 수 있고, 의복을 몸체로부터 전체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각각의 주름 선을 따라 유체 재료의 복수의 리본이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3)

  1. 하나 이상의 주름 선을 갖는 의복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주름 선을 따라 유체 재료가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몸체의 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을 갖는 하나 이상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요홈은 장치가 사용을 위해 장착되는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배열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몸체는 하나 이상의 몸체의 일부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을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요홈과 접촉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장치는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는 2개 이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각각의 종방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몸체들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보유 부재가 제공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보유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마주보는 단부는 의복이 상기 몸체에 도입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자유 단부인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몸체는 이를 따라 배열된 하나 이상의 요홈을 가지며, 몸체는 요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열되고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이격된 거리에서 의복에 유체 재료의 선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은 몸체의 제1 단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제2 세트의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은 상기 몸체의 마주보는 단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접촉 부분, 몸체의 하측 및 장치가 장착되는 표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홈이 형성되는 장치의 하나 이상의 면들이 장치가 사용을 위해 상기 면 상에 배열될 때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몸체는 상기 몸체 상의 하나 이상의 요홈을 따라 배열된 의복의 주름 선을 따라 의복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세트의 접촉 부분은 몸체 상으로 및 몸체로부터 의복의 용이한 배치 및/또는 제거를 허용하고 및/또는 사용 시에 몸체가 뒤집어 질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복 및 몸체는 주름 선을 따라 유체 재료의 리본의 적용들 간에 몸체의 종방향 축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의복의 제1 주름 선은 요홈을 따라 배열되고 유체 재료는 상기 제1 주름 선을 따라 적용되며, 완료 시에 몸체와 의복 사이의 움직임은 상기 요홈 또는 제2 요홈을 따라 의복의 추가 주름 선이 배열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유체 재료의 리본이 제2 주름 선을 따라 적용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유체 재료의 선은 몸체로부터 의복을 전체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의복의 각각의 주름 선을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복은 몸체 상에 형성된 요홈 상에 배열된 특정 주름 선을 선택하기 위해 몸체에 대해 회전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몸체는 몸체의 제1 측면을 따라 제공된 요홈 및 몸체의 추가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2 요홈을 포함하고, 몸체와 의복은 유체 재료의 선을 적용하기 위해 주름 선과 요홈을 배치하도록 함께 회전하는 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일련의 접촉 부분은 제1 방향으로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풋 및 제2 방향으로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풋을 포함하고, 상기 풋은 저장 위치에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실질적으로 180° 오프셋설정되는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위치에서 장치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몸체는 종방향 축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종방향 축에 따라 지지 표면 상에 배열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8항의 일련의 접촉 부분의 풋만이 저장 위치에 장치를 보유하기 위해 지지 표면과 접촉하는 장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련의 접촉 부분이 벽이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테이블 상부와 같은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는 브래킷의 형태인 표면과 결합되는 장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홈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갈매기형 날개의 형태로 형성되는 장치.
KR1020207007757A 2018-04-06 2019-04-05 의복에 유체 재료의 적용을 위한 장치 KR20200140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805761.2A GB201805761D0 (en) 2018-04-06 2018-04-06 Improvements to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a fluid material to a garment
GB1805761.2 2018-04-06
PCT/GB2019/050999 WO2019193360A1 (en) 2018-04-06 2019-04-05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a fluid material to a gar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786A true KR20200140786A (ko) 2020-12-16

Family

ID=6220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757A KR20200140786A (ko) 2018-04-06 2019-04-05 의복에 유체 재료의 적용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45085A1 (ko)
JP (1) JP7469222B2 (ko)
KR (1) KR20200140786A (ko)
CN (1) CN111093412A (ko)
CA (1) CA3070204A1 (ko)
GB (2) GB201805761D0 (ko)
WO (1) WO2019193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00257D0 (en) * 2019-01-08 2019-02-27 Supercrease Ltd Improvements to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resin along a crease l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80192A (en) * 1977-05-25 1980-11-26 Iws Nominee Co Ltd Dry creasing
US5013378A (en) * 1989-11-30 1991-05-07 Farah Incorporated Pleated trouser crease-forming method and machine improvements therefor
US5211755A (en) * 1991-08-19 1993-05-18 Hangley Ii James P Apparatus for applying a creasing agent to a formed crease in a textile article
US6929161B2 (en) * 1999-06-02 2005-08-16 Clantex Limited Cartridges for dispensing fluent material
GB9912776D0 (en) * 1999-06-02 1999-08-04 Clantex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artridges for dispensingf fluent material
US8844736B1 (en) * 2012-08-09 2014-09-30 James Hangley Method and stand apparatus for permanent creasing of articles of clothing including shirt sleeves, pants, and linen dress p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74500A (en) 2019-12-11
CA3070204A1 (en) 2019-10-10
JP7469222B2 (ja) 2024-04-16
CN111093412A (zh) 2020-05-01
GB201904815D0 (en) 2019-05-22
US20210145085A1 (en) 2021-05-20
WO2019193360A1 (en) 2019-10-10
GB201805761D0 (en) 2018-05-23
JP2021523986A (ja) 2021-09-09
GB2574500B (en)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48741B (zh) 用于为衣物的褶皱涂布材料的装置
US20210007430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A Fluid Material To A Garment
KR20200140786A (ko) 의복에 유체 재료의 적용을 위한 장치
EP3650201A1 (en) 3d printing device
CH634618A5 (it) Apparecchiatura per applicare un elastico ad anello su un indumento tubolare.
FI73183B (fi) Foerpackningsanordning.
US3145518A (en) Carton closing and sealing machine
US4191793A (en) Method of forming a durable crease
US803293A (en) Machine for making confectionery.
GB2582204A (en) Improvements to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resin along one or more crease lines
US584669A (en) Decorating-machine
US2653431A (en) Bag baling machine
US350943A (en) richardson
CN216581353U (zh) 鞋子包装纸折叠装置
CN214727344U (zh) 一种可调节的包装装潢印刷品印刷装置
US3466851A (en) Sleeve loading apparatus
CN213436851U (zh) 一种具有角度限制折弯装置
US853048A (en) Paste-applying machine.
US1299640A (en) Box-holding clamp.
US3675913A (en) Pivotable mandrel
US1039143A (en) Molding-machine.
CN114013744A (zh) 鞋子包装纸折叠装置
JPH05261329A (ja) グリスの自動塗布装置
US3279426A (en) Casing-in machine
US86575A (en)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