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144A - Methods for coupling pipes - Google Patents
Methods for coupling pip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0144A KR20200140144A KR1020190067007A KR20190067007A KR20200140144A KR 20200140144 A KR20200140144 A KR 20200140144A KR 1020190067007 A KR1020190067007 A KR 1020190067007A KR 20190067007 A KR20190067007 A KR 20190067007A KR 20200140144 A KR20200140144 A KR 202001401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joint
- pipe
- ring
- pipe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 F16L27/101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방법은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관 연결 부분의 유로 단면적 감소가 없으며, 특히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The pi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ffective watertight connection is possibl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re is no reduction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of the pipe connection part,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composite pipe.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 연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관 연결 부분의 유로 단면적 감소가 없으며, 특히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한 관 연결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an effective watertight connectio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no reduction in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pe connection portion, particularly to a pipe connection method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composite pipe.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관과 같은 고내식성 금속관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고가(高價)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벤딩 등의 성형에 한계가 있어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많고 직관으로만 제조할 수 밖에 없다. In general, metal pipes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stainless steel pipes, have many advantages, but because expensive materials such as stainless steel must be use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forming such as bending. It can only be manufactured.
그리고, 직관으로 제조된 금속관은 운반 등을 위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는데, 현장 시공시 금속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에 많은 부품과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관은 지반에 매설된 경우에 토양에 의한 부식, 전기적 부식 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a metal pipe manufactured as a straight pipe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for transportation, etc.,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parts, labor, and work time are required to connect the metal pipes to each other during field construc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tal pipe is not free from corrosion by soil and electrical corrosion when buried in the ground.
한편, 수지관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누수가 발생되기도 하고 압력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sin pipe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light weight, good workability, and low pri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part is separated by contraction and expansion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s, causing leakage and weak pressure.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금속수지 복합관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a ~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수지 복합관(1)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외부면에 접착층(4)과 수지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관이다.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metal resin composite pipe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been registered as Korean Patent No. 1166886. 1A to 1B, the metal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하다. 수지층(3)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두께 보다 훨씬 두꺼운 두께로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을 감싸는데,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합관(1)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토양에 대한 내부식성도 우수하며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thin
아울러, 복합관(1)은 직관으로 제조된 후 환형으로 권취될 수 있고, 환형으로 권취된 복합관(1)은 직관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단면 손상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공장에서 긴 길이로 제조한 후 환형으로 귄취하여 공사 현장까지 운반하고, 환형 권취된 복합관(1)을 공사 현장에서 직관으로 환원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이, 복합관(1)은 기존의 다른 관들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한편, 기존의 다른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59414호, 제16400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연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관 연결 부분에서 유로 단면적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device for connecting another conventional composite pip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s. 159414 and 164003. However, the connection device disclosed in the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durability is poo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n the pipe connection portion is reduc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관 연결 부분의 유로 단면적 감소가 없으며, 복합관의 연결에 특히 적합한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ective watertight connectio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no reduction in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a pipe connection, and a connection method particularly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composite pi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방법은, (a) 양쪽 관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이후에, 조인트(130)를 압착하여 관의 단부와 조인트(130) 및 슬리브(11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i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inserting the ends of both pipes between the
조인트(130)의 끝단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고, 상기 (b) 단계의 압착에 의해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관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The O-
상기 (a) 단계 이전에, 양쪽 관의 단부를 각각 확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확관된 관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각각 삽입한다. Prior to the step (a), it may further include expanding the ends of both pipes, respectively. And, the step (a) inserts the end of the expanded pipe betwe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선단에는 상기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고, 조인트(130)의 후단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에는 요홈(137)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요홈(137)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 돌출부(117)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7)는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돌출부(117)가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고, 치부(131a)는 관의 외주면 예를 들어, 수지층(3)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조인트(130)의 선단은 제1 안착부(133)와 제2 안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33)는 금속링(131)이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안착부(134)는 오링(132)이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제1 안착부(133)와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슬리브(110)쪽으로 이동하여 금속링(131)이 관 외주면에 압입될 수 있다. The front end of the
제1,2 안착부(133)(134) 사이에는 턱(135)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 안착부(133)가 제2 안착부(134)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되,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턱(135)이 없어지게 된다. 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져서 슬리브(110)의 벤딩이 자유롭다. 이 경우,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는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의 사이에는 제1 홈 라인(111)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는 수밀을 위한 오링(113)이 설치된다. At both ends of the
상기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하거나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하거나 금속링(131)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The O-
한편, 상기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2 홈라인(114)이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될 수 있다.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관은 복합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관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착층(4); 및, 접착층(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지층(3);을 포함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is a composite pipe. The composite pipe, a thin plate stainless steel metal pipe (2); An
그리고,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금속링(131)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방법은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관 연결 부분의 유로 단면적 감소가 없으며, 복합관의 연결에 특히 적합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The pip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effective watertight connection is possibl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re is no reduction in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pe connection part,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composite pipe.
도 1a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복합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복합관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 및, 단부가 확관된 관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a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a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a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b는 도 13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a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b는 도 14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a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b는 도 15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a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b는 도 16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b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a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b는 도 18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a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b는 도 19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a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b는 도 20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a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b는 도 21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b는 도 22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b는 도 23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4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b는 도 24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5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5b는 도 25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tube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Figure 1b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cross-section of the composite pipe of Figure 1a.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ipe whose end is enlarged.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2a.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2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2a.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3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2a.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ure 4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2a.
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ure 5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2a.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ure 6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7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7a.
Figure 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8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7a.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9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10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7a.
Figure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0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1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7a.
Figure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1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2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1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2a.
1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 13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1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 12A.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 14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1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2a.
Figure 1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5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1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2a.
Figure 1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ure 16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1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ure 17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1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 17A.
Figure 1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8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1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 17A.
19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 19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20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7a.
Figure 20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20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Figure 2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Figure 17a.
Figure 2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ure 21a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2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ure 22a connecting both pipes.
2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 23A connects both pipes.
2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 24a connecting both pipes;
2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Figure 25a connecting both pipe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의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다른 관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복합관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합관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의 등록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connect the composite pipe of Korean Patent No. 1166886, but may be used for other pipe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compound tube. However, 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at is applied to the composite pi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Korean Patent No. 1166886 are all included in this specification.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합관(1)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외부면에 접착층(4)과 수지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관으로서, 확관에 의해서 직경이 늘어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출원인은 복합관(1)의 이러한 특성을 발견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As described in [Technology behind the Invention], the
한편, 아래의 각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Meanwhile, in each of the drawings belo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 및, 단부가 확관된 관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상기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c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nd a pipe whose ends are enlarg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and 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connecting both pipes.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1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슬리브(110)는 관 형상을 갖는다.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는 연결하고자 하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다. 슬리브(110)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삽입되되, 조인트(130)가 압착되었을 때 복합관(1)과 견고하게 밀착되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다. The
슬리브(110)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10)는 압착시,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확관된 복합관(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변형될 수 있다.
슬리브(110)는 그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지므로 벤딩이 자유롭고 이에 따라, 양쪽 복합관(1)이 어긋나도록 위치한 경우 또는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우 등에도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할 수 있다. Since the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130)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조인트(130)와 슬리브(110) 사이에 확관된 복합관(1)이 삽입된다. 이 때,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의 외주면에 결합된 구성은 복합관(1)이 조인트(130)와 슬리브(110) 사이로 삽입될 때 복합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조인트(130)의 후단은 용접 등으로 슬리브(1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joint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조인트(130)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The joint 130 may be made of metal, and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조인트(130)의 끝단(선단)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된다. 오링(132)은 조인트(130)와 복합관(1) 사이를 수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금속링(131)은 조인트(130)를 복합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An O-
바람직하게, 조인트(130)의 선단에는 제1,2 안착부(133)(134)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 안착부(133)에는 금속링(131)이 설치되며 제2 안착부(134)에는 오링(132)이 설치된다. Preferably, the first and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고, 압착시 치부(131a)는 복합관(1)의 외주면(수지층)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복합관(1) 내부에 고압이 작용하거나 복합관(1)에 인발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복합관(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치부(131a)는 수직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면은 슬리브(110)의 중앙쪽을 향하고 상기 경사면은 슬리브(110)의 끝단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치부(131a)가 복합관(1)의 외주면(수지층)에 효과적으로 압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1,2 안착부(133)(134) 사이에는 턱(135)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 안착부(133)가 제2 안착부(134)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되,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턱(135)이 없어지며 이에 따라 치부(131a)가 보다 더 깊이 상기 외주면(수지층)에 압입될 수 있다. In order to effectively press-fit the
그러면, 관 연결 장치(100)를 이용하여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n, a method of connecting both
먼저, 복합관(1)의 단부를 확관하되,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확관한다. 상기 확관은 통상적인 확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end of the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합관(1)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외부면에 접착층(4)과 수지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관으로서, 확관에 의해서 직경이 늘어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출원인은 복합관(1)의 이러한 특성을 발견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As described in [Technology behind the Invention], the
이어서, 확관된 복합관(1)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삽입하고, 조인트(130)의 선단을 압착한다.Subsequently, the end of the expanded
상기 압착으로 인해 치부(131a)가 복합관(1)의 외부면(수지층)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이에 따라 복합관(1)과 슬리브(110)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분리되지 않는다. 아울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고 이 확관된 단부에 슬리브(110)가 삽입되므로 관 연결 부분에서 복합관(1)의 유로 단면적이 감소하지 않는다. Due to the compression, the
한편, 도 3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Meanwhile,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pipe connecting device connects both expanded pipes.
관 연결 장치(100a)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1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 홈 라인(111)이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오링(113)이 수밀을 위해 제1 홈 라인(111)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약간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한다. The
오링(113)과 금속링(131)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과 오링(11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거나(즉, 금속링(131)이 오링(113)을 압착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도 5a ~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113)이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O-
도 6a는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pipe connecting device connects both expanded pipes.
관 연결 장치(100d)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100a)와 비교하여, 제2 홈라인(114)이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경우,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The
[제2 실시예][Second Example]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connecting both pipes expanded.
관 연결 장치(200)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1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 주름관(119)이 없다는 차이가 있다. The
슬리브(110)는 관 형상을 갖는데, 그 양쪽 단부가 연결하고자 하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고, 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인트(130)의 선단이 압착됨으로써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복합관(1)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The
한편, 도 8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상기 관 연결 장치(200a)가 확관된 양쪽 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200a)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2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 사이에 제1 홈 라인(111)이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 오링(113)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약간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한다. Meanwhile, 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오링(113)과 금속링(131)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과 오링(11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거나(즉, 금속링(131)이 오링(113)을 압착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도 10a ~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113)이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O-
도 11a는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b는 상기 관 연결 장치(200d)가 확관된 양쪽 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1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and FIG.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관 연결 장치(200d)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200a)와 비교하여, 제2 홈라인(114)이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경우,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In the
[제3 실시예][Third Example]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pipe connecting device connects both expanded pipes.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3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슬리브(110)는 관 형상을 갖는데, 그 양쪽 단부가 연결하고자 하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다. 슬리브(110)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삽입되되, 조인트(130)가 압착되었을 때 복합관(1)과 견고하게 밀착되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다. The
슬리브(110)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10)는 조인트(130)가 압착될 때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확관된 복합관(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변형될 수 있다.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는 돌출부(117)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17)는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전기저항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조인트(130)와 슬리브(110) 사이에 확관된 복합관(1)이 삽입되는데, 돌출부(117)는 복합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A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130)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인트(130) 중앙 부분의 내부면이 돌출부(117)와 결합된다. 제1,2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었지만 관 연결장치(300)는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와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The joint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도 13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b는 상기 관 연결 장치(300a)가 확관된 양쪽 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300a)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3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 사이에 제1 홈 라인(111)이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 오링(113)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약간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한다. 1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and FIG. 1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오링(113)과 금속링(131)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 ~ 1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과 오링(11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거나(즉, 금속링(131)이 오링(113)을 압착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도 15a ~ 1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113)이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O-
한편, 도 16a ~ 16b는 제2 홈라인(114)이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S. 16A to 16B show that the
[제4 실시예][Fourth Example]
도 1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7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pipe connecting device connects both expanded pipes.
상기 관 연결장치(400)는, 상술한 관 연결장치(3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에 돌출부(117)가 없고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에 요홈(137)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부면에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복합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되는데,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구성은 복합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한다. 그리고, 요홈(137)과 슬리브(110) 외부면의 결합은 전기저항용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 18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8b는 상기 관 연결 장치(400a)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400a)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4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 사이에 제1 홈 라인(111)이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 오링(113)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약간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한다. 1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and FIG. 18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오링(113)과 금속링(131)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a ~ 1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과 오링(11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거나(즉, 금속링(131)이 오링(113)을 압착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도 20a ~ 2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113)이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O-
한편, 도 21a ~ 21b는 제2 홈라인(114)이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S. 21A to 21B show that the
[제5~8 실시예][Examples 5 to 8]
도 22a ~ 25b는 확관되지 아니한 복합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장치를 보여준다. 22a to 25b show a pip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composite pipe that has not been expanded.
구체적으로, 도 22a ~ 22b의 관 연결장치(500)는, 관 연결 장치(200)와 비교하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지 아니한 상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Specifically, the
그리고, 도 23a ~ 23b의 관 연결장치(600)는, 관 연결 장치(300)와 비교하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지 아니한 상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도 24a ~ 24b의 관 연결장치(700)는, 관 연결 장치(400)와 비교하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지 아니한 상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나아가, 도 25a ~ 25b의 관 연결장치(800)는, 관 연결 장치(100)와 비교하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지 아니한 상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Further, the
1 : 복합관 2 :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
3 : 수지층 4 : 접착층
110 : 슬리브 111 : 제1 홈라인
112 : 제1 돌기라인 113 : 오링
114 : 제2 홈라인 115 : 제2 돌기라인
116 : 오링 117 : 돌출부
119 : 주름관 130 : 조인트
131 : 금속관 131a : 치부(齒部)
132 : 오링 133 : 제1 안착부
134 : 제2 안착부 135 : 턱
137 : 요홈
100, 100a, 100b, 100c, 100d, 200, 200a, 200b, 200c, 200d, 300, 300a, 300b, 300c, 300d, 400, 400a, 400b, 400c, 400d, 500, 600, 700, 800 : 관 연결장치1: composite pipe 2: thin plate stainless steel pipe
3: resin layer 4: adhesive layer
110: sleeve 111: first home line
112: first protrusion line 113: O-ring
114: second home line 115: second protruding line
116: O-ring 117: protrusion
119: corrugated pipe 130: joint
131:
132: O-ring 133: first seating portion
134: second seating portion 135: chin
137: groove
100, 100a, 100b, 100c, 100d, 200, 200a, 200b, 200c, 200d, 300, 300a, 300b, 300c, 300d, 400, 400a, 400b, 400c, 400d, 500, 600, 700, 800: pipe connection Device
Claims (13)
(a) 양쪽 관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이후에, 조인트(130)를 압착하여 관의 단부와 조인트(130) 및 슬리브(11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조인트(130)의 끝단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고, 상기 (b) 단계의 압착에 의해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In the method of connecting both pipes using a pipe connection device,
(a) inserting the ends of both pipes between the sleeve 110 and the joint 130, respectively; And,
(b) after the step (a), compressing the joint 130 to combine the end of the tube with the joint 130 and the sleeve 110; Including,
The O-ring 132 and the metal ring 131 are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joint 130, and the O-ring 132 and the metal ring 131 ar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y the compression in step (b).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 close contact.
상기 (a) 단계 이전에, 양쪽 관의 단부를 각각 확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확관된 관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각각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the step (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panding the ends of both pipes, respectively,
The step (a) is a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serting the ends of the expanded pipe between the sleeve (110) and the joint (130), respectively.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선단에는 상기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고, 조인트(130)의 후단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joint 130 i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110, the O-ring 132 and the metal ring 131 ar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joint 130, and the rear end of the joint 130 is a sleeve 11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pipe in the step (a) is limited by coupling the rear end of the joint 130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eeve 110.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에는 요홈(137)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e joint 13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110, but the sleeve 110 is inserted into the joint 130, and a groove 137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joint 130 And the groove 137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eeve 110,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pipe in the step (a) is limited by the groove 137 being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eeve 110.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 돌출부(117)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돌출부(117)가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돌출부(117)가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e joint 13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110, but the sleeve 110 is inserted into the joint 130, and the protrusion 117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leeve 110 And the protrusion 117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int 130,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pipe in the step (a) is limited by the protrusion 117 being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oint 130.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고, 치부(131a)는 관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tooth portion 131a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tal ring 131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tooth portion 131a is press-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to be fixed.
조인트(130)의 선단은 제1 안착부(133)와 제2 안착부(134)를 포함하며,
제1 안착부(133)는 금속링(131)이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안착부(134)는 오링(132)이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제1 안착부(133)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슬리브(110)쪽으로 이동하여 금속링(131)이 관 외주면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ront end of the joint 130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133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134,
The first seating portion 133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metal ring 131 is seated,
The second seating portion 134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O-ring 132 is seated, and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133,
The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33 and 134 are moved toward the sleeve 110 by the compression, and the metal ring 131 is press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제1,2 안착부(133)(134) 사이에는 턱(135)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 안착부(133)가 제2 안착부(134)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되,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턱(135)이 없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 jaw 13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33 and 134, and accordingly, the first seating portion 133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second seating portion 134, and is removed by the compression. The method of connecting a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1,2 seating parts 133 and 134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jaws 135 are removed.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져서 슬리브(110)의 벤딩이 자유롭고,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entral part of the sleeve 110 is made of a corrugated pipe 119, so that the sleeve 110 is free to bend,
The joint 130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110, but the rear end of the joint 13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110, and the combined portion includes the sleeve 110 and the joint 130 )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acts as a stopper when inserted between.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는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의 사이에는 제1 홈 라인(111)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는 수밀을 위한 오링(113)이 설치되고,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하거나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하거나 금속링(131)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t both ends of the sleeve 110, two first protruding lines 112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irst groove line 111 is formed between the two first protruding lines 112. It is continuously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O-ring 113 for watertightness is installed in the first groove line 111,
O-ring 113 is a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sleeve 110 than the metal ring 131,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leeve 110, or locat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metal ring 131.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2 홈라인(114)이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되고,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groove line 114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sleeve 110 than the first groove line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lines 115 are circumferenti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roove line 114 Is formed, and the second groove line 114 is provided with an O-ring 116,
A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joint 130 and the sleeve 110 are determined so that the metal ring 131 compress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ove lines 111 and 114.
상기 관은 복합관이고,
상기 복합관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착층(4); 및,
접착층(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지층(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ube is a composite tube,
The composite pipe,
A thin stainless steel metal tube 2;
An adhesive layer 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n stainless steel metal tube 2; And,
Pipe connection method comprising a; resin layer (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4).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금속링(131)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The method of claim 12,
Pipe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ve 110, the joint 130 and the metal ring 131 are made of stainless ste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7007A KR102264914B1 (en) | 2019-06-05 | 2019-06-05 | Methods for coupling pip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7007A KR102264914B1 (en) | 2019-06-05 | 2019-06-05 | Methods for coupling pip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0144A true KR20200140144A (en) | 2020-12-15 |
KR102264914B1 KR102264914B1 (en) | 2021-06-11 |
Family
ID=7378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7007A KR102264914B1 (en) | 2019-06-05 | 2019-06-05 | Methods for coupling pip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491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6211A (en) * | 1999-02-13 | 2000-09-15 | 김칠현 | Jointing structure of press type pipe joint |
JP3180153U (en) * | 2012-09-24 | 2012-12-06 | 株式会社リガルジョイント | Pipe joint |
KR20140046616A (en) * | 2012-10-09 | 2014-04-21 | 정문호 | Pipe connector using separation preventive and enhanced sealing structure |
KR20170128761A (en) * | 2017-06-08 | 2017-11-23 |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 Improved flexible joint for sprinkl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0153B2 (en) * | 1991-12-04 | 2001-06-25 | 株式会社平和 | Pachinko machine control unit |
-
2019
- 2019-06-05 KR KR1020190067007A patent/KR10226491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6211A (en) * | 1999-02-13 | 2000-09-15 | 김칠현 | Jointing structure of press type pipe joint |
JP3180153U (en) * | 2012-09-24 | 2012-12-06 | 株式会社リガルジョイント | Pipe joint |
KR20140046616A (en) * | 2012-10-09 | 2014-04-21 | 정문호 | Pipe connector using separation preventive and enhanced sealing structure |
KR20170128761A (en) * | 2017-06-08 | 2017-11-23 |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 Improved flexible joint for sprink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4914B1 (en) | 2021-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23246B (en) | Mechanical coupling for mechanical and structural tubing | |
US8925978B2 (en) | Coupling and joint for fixedly and sealingly secur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 |
CA2157020C (en) | Ki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for fluid-conducting elements | |
US20100133804A1 (en) | Method of replacing pipe couplings | |
GB2206660A (en) | Pipe joint | |
KR102359426B1 (en) | Apparatus for coupling pipes | |
CN101178139A (en) | Pipe connecting system | |
CN103827567A (en) | Method for making T-branch joints for pipes | |
KR102372761B1 (en) | Pipe connection part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264914B1 (en) | Methods for coupling pipes | |
US10767795B2 (en) |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itting for attaching flexible tube to rigid tube | |
US1097599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welded-lap joints for steel pipeline | |
JP6242680B2 (en) | Pipe fitting | |
CA2692286A1 (en) | Connections for expandable tubulars | |
KR102277149B1 (en) | Connection of double corrugated steel pipe with rotatable flange and double corrugated steel pipe with same | |
KR200206336Y1 (en) | Device for connecting tubes | |
JPH1130377A (en) | Soft synthetic resin pipe joint | |
KR10115827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ransition fitting | |
JP2005076880A (en) | New pipe element joint structure in pipe-in-pipe process | |
KR20000017352U (en) | Pipe connectors | |
KR200143307Y1 (en) | Connecting pipe of elbow type piping | |
JP3081457U (en) | Water supply piping structure | |
JP2006132756A (en) | Branch pipe joi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0253937Y1 (en) | seamed pipe for synthetic resin pipe | |
JP2006002898A (en) | Pipe connection method and pipe connec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5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0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