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916A -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916A
KR20200139916A KR1020190066413A KR20190066413A KR20200139916A KR 20200139916 A KR20200139916 A KR 20200139916A KR 1020190066413 A KR1020190066413 A KR 1020190066413A KR 20190066413 A KR20190066413 A KR 20190066413A KR 20200139916 A KR20200139916 A KR 20200139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layer
mineral
drug composition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조
양준경
Original Assignee
광영문화사 유한회사
양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영문화사 유한회사, 양준경 filed Critical 광영문화사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916A/ko
Publication of KR2020013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은 건조시켜 미분쇄한 생약재인 냉초, 창출, 생지황, 당귀를 각각 동량(1:1:1:1:1, 중량비)으로 혼합한 혼합 생약재 600g에 용매로서 물을 20ℓ 가하여 교반하고, 추출온도 90∼100℃에서 12∼24시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여과하여 추출된 패치제 조성물로 피막이 형성된 약제조성층을 형성하는 약제조성층 형성단계(S10)와, 베이스 밀착포로서 섬유질의 닥과 목재 펄프를 혼합비율 2:1로 혼합한 닥펄프 지료액 25중량%에 300메시의 미분쇄한 광물질인 옥분 15중량%, 흑운모분 15중량%, 황토앙금분 35중량%를 혼합하고, 표면제로서 10중량%의 송진을 넣고 미세기공이 생기도록 압착 초지한 외피를 상기 약제조성층 상면에 인쇄하는 광물질 인쇄층 형성단계(S20)와, 상기 약제조성층 하면에 박리되는 이형지를 적층하는 이형지 형성단계(S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Patch manufacturing method with printed with mineral matter}
본 발명은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약제로서 냉초, 창출, 생지황, 당귀에 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 패치제 조성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점착성 물질로 피막이 형성되게 약제 조성층을 형성하고 약제조성층에 광물질이 혼합된 외피를 인쇄하여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 알러지 등 부작용이 없으며 허리, 관절, 목 등의 환부에 바르거나 붙이게 되면 천연물 유래의 생약에 의한 약리효과와 인체에 매우 유익한 기능성 물질의 치료효과와, 소염 진통작용으로 신경통이나 근육통 등의 진통완화 및 치료와 예방에 우수한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허리, 관절, 목 등의 근육통이나 타박상, 요통, 관절통,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스 등의 진통 완화 및 치료를 목적으로 진통제, 소염제, 관절염 치료제 등이 포함된 제제로서 투여형태에 따라 경구용 내복제나 광범위하고 다양한 형태의 비경구용 외복제로서 파스, 연고류, 겔류, 에어졸, 로션, 물파스 등으로 구분되는 비경구용 경피 투여제가 있다.
상기한 비경구용 치료제(소염진통제)중에서 연고, 젤, 에어졸, 로션 타입은 붙이는 제품에 비해 지속성이 떨어지고 땀이나 물에 잘 지워지며 유효 성분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자주 발라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붙이는 파스를 선호하고 있다.
상기한 비경구용 경피 투여제중에서 환부에 붙이는 파스는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있는 부직포 등의 시트상 외피에 진통소염효과를 가지는 성분으로 엘-멘톨, 살리신산글리콜, 고추엑스, 나바 등의 약제와 점착제를 도포하여 환부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아픈 부위에 자극을 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통증을 잊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침이나 전기적 치료기, 뜸, 부항 등과는 달리 전혀 인체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단순히 붙이는 시술이므로서 인체에 부작용 및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피부 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자주 일으키고 냉찜질(얼음찜질) 이나 온찜질등의 단순 기능만을 수행하므로서 물리치료와 같은 얼음 찜질이나 핫팩을 사용한 진통효과의 근육회복효과만이 있고 약물전달에 의한 근본적인 치료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오히려 퇴행성 관절염이나 노인성 관절염,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건염, 어깨, 손목, 팔목, 무릎, 등뼈 주위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 등의 만성적인 관절염이나 염증에 파스만 사용하는 것은 병을 키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파스(패체제)는 주성분이 멘톨, 살리실산 메칠, 캄파 등 소염 진통제로서 대개 치료제라기보다는 일시적으로 진통과 부기를 가라앉히고 인체 스스로 자연치유가 되도록 도와주는 보조 치료제의 역할을 하며 통증 부위에 붙여 ‘후끈후끈’한 열기를 주어 통증을 잊게 하거나 ‘싸’ 하는 청량감을 주어 통증을 잊게 하는 쿨링 효과, 즉, 아픈 부위에 자극을 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통증을 잊게 하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파스의 주성분으로서 멘톨성분은 국소를 자극해 지각을 둔하게 하는 진통효과가 있고 살균, 방부, 청량감을 주고 살리실산 메칠은 통증을 일으키는 조직에서 말초부위에 작용해 통증완화작용을 하며 캄파는 국소 자극 작용으로 청량감, .치몰은 방부작용을, 초산토코페롤은 말초혈액순환 개선을, 캡사이신은 열자극과 국소진통작용이 있다.
예를 들어, 근육통이나 타박상, 요통, 관절통, 신경통 등의 보조치료제로서 쿨파스는 냉찜질용으로 피부의 열을 내려주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혈관을 수축시켜 지혈 작용을 하고 이에 따라 염증반응이 지연되므로 타박상의 경우 48시간 이내 골절 초기에 쿨파스를 붙이면 효과적이며, 핫파스는 뜨거운 찜질용으로 피부 및 혈관 림프관을 확장시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을 촉진하므로서 신경의 감수성을 낮춰 통증을 덜어주고 만성적인 관절염이나 신경통의 회복을 도와주는 효과는 있으나 염증작용을 가속시키므로 염증성 질환에는 피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파스 사용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오남용의 피해가 많게 된다.
또한, 내복제는 특정 약물을 경구투여하는 것으로서, 관절염 등에 적용하여 파스에 비하여 치료효과는 좋으나 심각한 위장장애를 일으키게 되므로 중증 환자만이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단순한 피부자극이나 찜질효과뿐 아니라 관절염 치료를 목적으로 한 외용 소염진통제로, 즉 약물이 일정한 속도로 피부를 통해 직접 혈액으로 투과되도록 제조해서 그 약효를 장시간 유지하는 약물전달체계(DDS :Drug Delivery System)를 이용한 패치제로서 찜질에 의한 진통효과에 약물을 장기간 조금씩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약물치료효과가 부가된 소위 약물 얼음 찜질, 약물 온찜질 기능을 수행하는 패치제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패치제는 피부에 부착시 피부를 투과하여 약이 혈액속으로 들어가 약효를 발휘하는 것으로서 단순 기능의 파스와는 달리 진통효과와 소염효과도 뛰어나나 유효성분이 천연물 유래의 생약 성분이 아닌 유기화합물이며 특정 기능만을 수래하게 되므로서 복합 요인에 의한 관절염, 류마티스와 같은 퇴행성 변화의 증상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여 치료효과가 미미하며 성분이 한정되어 단순 염증반응 억제 기능만을 수행하므로서 골조직의 약화에 따라 초래되는 골다공증이나 관절질환의 골조직을 근본적으로 보호하는데는 효과가 미흡하며 또한, 약물 흡수율이 좋지 않거나 흡수율이 좋다 하더라도 파스 등 투여 수단에 문제가 있어서 땀이 잘 빠져 나가지 못하고 부착력이 좋지 못하므로 성분간의 기능성 효과 등 복합 작용에 의한 약리 효과를 충분히 볼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관절염, 류마티스 등에 사용하는 등 종래의 화학요법적 약제는 발진, 발작, 피부염 등 알레르기 증상 등이 일어나서 약제의 장기간 사용을 방해하는 부작용이 있어서 약제를 장기간 투여할 필요가 있는 환자에게는 부작용이 적은 약재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한방 생약제가 요통과 경부통, 견통 등에 대해 진통, 진양, 수렴, 소염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황백 연조엑스, 산치자 연조엑스, 산초 연조엑스 등 의 한방 약제를 접착 물질과 혼합하여 환부에 붙이는 방식의 한방파스 등 최근에는 널리 알려지고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생약재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5651호(공고일자 :2001.07.10) "파스조성물"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미세 분말상태의 바이오세라믹 40∼60%, 미세 분말상태의 키토산 10∼20%, 미세 분말상태의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30∼40%를 배합하여 180℃∼220℃의 고열로 용융하여 성형된 파스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111호(공고일자 :2001.01.15) "참숯 원적외선 파스"는 참숯과 세라믹(옥, 게르마늄, 맥반석, 페라이트) 미분체원료, 젤라틴(gelatin)등을 층별 도포하여 환부에 부착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피하조직에 들어가 면역체계를 강화하여 치료효과를 도모하는 참숯 원적외선 파스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알레르기, 피부염 등의 주작용을 유발하거나 유효성분이 기능성 물질 또는 단순 한약재로 구성되어 그 용도가 타박상 등의 찜질효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565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11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정한 조성비의 복합 생약제로서 골조직 보호 등 고유한 약리작용을 가지는 냉초, 창출, 생지황, 당귀에 용매로서 물을 첨가하여 다단계의 가열, 여과과정을 거쳐 열수 추출한 패치제 조성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점착성 물질로 피막이 형성되게 약제조성층을 형성하고, 약제조성층에 광물질이 혼합된 한지원료에 기능성 물질을 미세기공이 생기도록 혼합 초지한 외피를 인쇄하여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 알러지 등 부작용이 없으며, 허리, 관절, 목 등의 환부에 바르거나 붙이게 되면 천연물 유래의 생약에 의한 약리효과와 인체에 매우 유익한 기능성 물질의 치료효과 등 기능성의 복합 시너지 상승 효과에 의한 소염 진통작용으로 신경통이나 근육통 등의 진통완화 및 치료와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구현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은 건조시켜 미분쇄한 생약재인 냉초, 창출, 생지황, 당귀를 각각 동량(1:1:1:1:1, 중량비)으로 혼합한 혼합 생약재 600g에 용매로서 물을 20ℓ 가하여 교반하고, 추출온도 90∼100℃에서 12∼24시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여과하여 추출된 패치제 조성물로 피막이 형성된 약제조성층을 형성하는 약제조성층 형성단계; 베이스 밀착포로서 섬유질의 닥과 목재 펄프를 혼합비율 2:1로 혼합한 닥펄프 지료액 25중량%에 300메시의 미분쇄한 광물질인 옥분 15중량%, 흑운모분 15중량%, 황토앙금분 35중량%를 혼합하고, 표면제로서 10중량%의 송진을 넣고 미세기공이 생기도록 압착 초지한 외피를 상기 약제조성층 상면에 인쇄하는 광물질 인쇄층 형성단계; 및 상기 약제조성층 하면에 박리되는 이형지를 적층하는 이형지 형성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은 적정한 조성비의 복합 생약제로서 골조직 보호 등 고유한 약리작용을 가지는 냉초, 창출, 생지황, 당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조성층에 한지원료에 광물질 등을 혼합하고 미세기공이 생기도록 혼합 초지된 외피를 인쇄하여 파스를 형성하므로서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 알러지 등 부작용이 없으며 허리, 관절, 목 등의 환부에 바르거나 붙이게 되면 천연물 유래의 생약에 의한 약리효과와 인체에 매우 유익한 기능성 물질의 온열 치료효과 등 상호 보완되는 기능성의 복합 시너지 상승 효과에 의한 소염 진통작용으로 신경통이나 근육통 등의 진통완화 및 치료와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서 한방 복합 성분으로 근육통, 관절통, 요통 등에 효과가 크게 되므로 만성통증을 호소하는 노인층과 중장년층 등 통증환자에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은 건조시켜 미분쇄한 생약재인 냉초, 창출, 생지황, 당귀를 각각 동량(1:1:1:1:1, 중량비)으로 혼합한 혼합 생약재 600g에 용매로서 물을 20ℓ 가하여 교반하고, 추출온도 90∼100℃에서 12∼24시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여과하여 추출된 패치제 조성물로 피막이 형성된 약제조성층을 형성하는 약제조성층 형성단계(S10)와, 베이스 밀착포로서 섬유질의 닥과 목재 펄프를 혼합비율 2:1로 혼합한 닥펄프 지료액 25중량%에 300메시의 미분쇄한 광물질인 옥분 15중량%, 흑운모분 15중량%, 황토앙금분 35중량%를 혼합하고, 표면제로서 10중량%의 송진을 넣고 미세기공이 생기도록 압착 초지한 외피를 상기 약제조성층 상면에 인쇄하는 광물질 인쇄층 형성단계(S20)와, 상기 약제조성층 하면에 박리되는 이형지를 적층하는 이형지 형성단계(S30)로 구성된다.
광물질 인쇄층 형성단계(S20)는서 형성되는 외피는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베이스 기재로서 섬유질의 닥에 목재 펄프를 혼합비율 2:1로 혼가한 닥펄프 지료액 25중량%(중량비)에 광물질들인 300메시의 미분쇄한 옥분(玉粉) 15중량%, 흑운모분 15중량%, 황토앙금분 35중량%를 혼합한 혼합지료를 형성하고, 표면제로서 전체혼합재료의 10중량%의 송진을 넣고 초지기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초지하여 결합된 압착 초지인 외피를 형성하고, 외피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약제조성층 상면에 인쇄한다.
한지원료로서 천연의 닥펄프는 인피섬유의 강인한 섬유질로서 점성이 높고 결속성이 강하여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광물질인 황토, 옥, 흑운모분을 잘 포섭한다.
상기한 밀착포로서 외피에 첨가되는 표면재로서 송진은 한지와 펄프의 결속성을 증대시켜 형태적 안정성이 좋게하고 또한, 파스를 피부에 부착 사용하였을때 점착성을 우수하게 함으로써 장시간 패취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투피되며, 외피에는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성이 좋고 원적외선 방사 면적과 이온 발생 면적이 극대화 되므로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찜질용 패치제 조성물층의 한약재 유효성분을 지속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는 인피섬유의 강인한 섬유질과 황토의 점성에 의한 질기고 부드러운 질감, 점성과 결속성의 결합에 의한 형태적 안정의 내구성이 있으며 옥분 게르마늄이 함유된 흑운모의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피부 혈행개선과 신진대사촉진로 피부를 활성화시키며 황토의 수분 및 지방질 흡착작용, 미네랄 성분에 의한 부드러운 속살 재생효과로 별도의 영양성분을 첨가하지 않고도 그 기능효과가 극대화된다.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시키고 항균, 방균, 항곰팡이 및 유해가스 흡착작용을 하며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흑운모에 포함된 게르마늄은 면역기능 강화제로써 인체의 T-임파구를 증가시켜 인체를 보호해 주며 각종 질병을 자연 치유케 하는 치유의 한계를 극복하는 물질로서 항종양작용, 진통작용, 지방질 대사작용을 하며, 노인성 골다공증, 고혈압, 간염, 관절염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옥분도 인체에 유익한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어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신경통과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유효 활성 성분으로서 한방 약재로인 냉초(冷草)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 산지의 습기 있는 곳에서 서식하며, 뿌리를 말린 생약의 냉초(冷草)는 대하증·각기·류머티즘·관절염·건위·거담·편두통·수종·이뇨·통경·중풍·변비에 유효하다.
창출은 국화과에 속한 삽주라는 식물의 뿌리로서 맛은 약간 방향성(박하처럼 화한 느낌)이 있으며 쓴맛이고 성질은 따뜻한 편으로서 그 효능은 燥濕健脾(조습건비), 去風濕(거풍습), 즉 우리몸의 습기(부종이나 아니면 체액이 못흐르는 것)을 없애준다고 한의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허리가 아프거나 다리, 무릎이 붓는 경우(관절염 등)에 사용하고 위장을 보호하는 보약 기능의 백출과 비교되는 소화제나 관절통증약으로 쓰인다.
삽주의 뿌리로서 창출에는 약 1.5%의 정유와 카로틴, 이눌린, 고무질, 알카로이드 반응이 있으며 조선 삽주의 뿌리인 창출의 정유 주성분은 아트락틸로딘이고 아세틸아트락틸로디놀, 아트락틸로디놀, 엘레몰이 소량 들어 있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한 창출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창출의 뿌리 줄기를 건조시켜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고 물을 용매로 다단계의 정제과정을 거쳐 열수 추출함에 있어서 용매에 넣어서 추출하는 시간은 길수록 회수되는 추출량도 많아지며, 이렇게 고순도로 정제 추출된 창출은 염증인자의 활성 억제효과를 가지게 되며 경구 또는 비경구적 투여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리효과를 가지는 창출은 옛 동의문헌의 서술자료와 그림을 보면 조선 삽주의 뿌리가 창출에 보다 해당된다 할 수 있으며, 그 성질은 창출은 달고 맵고 따뜻하여 진정작용, 조혈작용, 오줌내기작용이 있으며, 동의치료에서는 실증에 의한 콩팥기능장애로 오줌이 적을 때, 위장염, 붓기, 어지러움증과 온몸이 아플 때 오줌내기, 땀내기약 등으로 동의처방에 배합하는 매우 중요한 동약임으로써 민간에서는 설사와 토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데와 소화불량증, 당뇨병, 기침 및 통풍치료에 종종 사용하고 있다.
지황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근경으로서 신선한 근경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 생지황을 황주(黃酒)에 넣고 찌고 햇볕에 말린 것을 9번 거듭한 것을 숙지황이라고도 하며, 지황중에서 "생지황"은 맛과 성질은 달고 쓰며, 차가우며 그 효능은 열을 내리고, 피를 맑게하고, 진액을 만들어주는 것으로서 임상응용 및 용법은 열이 몸의 속부위인 영혈로 들어간 것, 진음이 손상되어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을 느끼는 것, 혀가 심하게 붉으면서 건조한 것, 피가 섞인 기침, 피를 토하는 증상, 코피가 나는 증상, 소변이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또한, 몸이 쇠약하여 나타나는 발열, 목이 붓고 아픈 증상, 당뇨병 등에 사용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서 생지황은 약의 성분이 매우 차면서 달고 쓴맛이 나는 한약재로 화와 열을 내리며 땀을 적게 나게 하고, 열로 인하여 코피나거나 피를 토하거나 할 때 지혈작용, 열로 인한 피부의 반점이 생겼을 때 반점을 없애 주며 자궁의 하혈이 있을 때 어혈을 없애주고 부기를 빼거나 불면증을 치료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데도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황 추출물은 조골세포를 증식시키고 파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어 부작용 없이 골다공증을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효과적임이 등록특허 제10-0374937호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개시되어 있다.
당귀는 미나리과 다년초로 산지에 서식하는 승검초의 뿌리로서, 줄기는 큰 뿌리에서 나와 1m 정도 자라며 잎은 우상복옆이다 여름에 백색의작은 꽃이 피고 향기가 특이하며서 강한 특징이 있으며 달고 맵고 쓴 성질이 있으며, 보혈제로 대표적이며 조혈기관을 활발하게 하여 빈혈과 재생불량성 빈혈,산후 출혈, 외상출혈에 현저한 효과가 있고 심장 허혈성으로 인한 가슴두근거림, 건망, 불면, 정신불안증에 보혈, 진정효과를 얻어 치유시키고 부인들의 생리 장애와 타박상, 어혈, 내출혈로 인한 동통도 다스리고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또한, 산후복통, 변비, 빈혈, 두통, 혈액장애에 유효한 것으로 특히 피를 맑게한다.
당귀는 참당귀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사용하며 단독 또는 다른 생약들과 같이 적절한 배합비로 혼합한 복합생약으로서 관절염 등의 처방에 사용하여 연골파괴에 관여하는 인자를 조절하여 연골파괴를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의 약리 효능은 동의보감을 비롯한 각종 한방 문헌이나 연구에 의해서 자세히 소개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약효를 갖는 냉초, 창출, 생지황, 당귀의 추출물이 독과 부작용이 없고 관절염 등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지는 한방 조성물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렇게 제조한 조성물이 근육통이나 타박상, 요통, 관절통, 신경통의 통증완화는 물론 관절염이나 골다공증 등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조성물로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패치제 조성물은 치료효과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각각의 생약재 추출물을 선택적이고 적절하게 가감하여 엑스제, 액제, 산제, 환제, 정제, 캅셀제 및 패취제 등으로도 제조할 수 있으며 기존 화학요법적 치료제를 대체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패치제 조성물인 약제조성층에 환부에 붙이는 파스(패치제)의 베이스 기재로서 광물질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외피를 인쇄하여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과 결합 건강 파스를 형성하므로서 환부에 부착함에 있어서 기공이 형성되어 통기성이 좋으며 원적외선 방사 면적과 이온 발생 면적이 극대화 되어 인체에 유익한 각각의 기능성 물질이 피하조직에 들어가 면역체계를 강화하여 치료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방의 부황, 뜸, 고약 등의 시술 기능을 합친 것과 기능이 동일시 되며 진통소염 기능은 물론 혈액순환 촉진과 물론 신진대사 개선으로 아픈 부분의 통증경감과 질병을 예방하며 몸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시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과 광물질의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및 시판되는 패치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스와의 효능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서 근육통, 타박상, 관절통을 앓고 있는 환자 20명의 환부에 3일 동안 각각 부착 투여하고 찜질효과 및 효능의 지속성, 부착력(밀착성)을 평가항목(효과 없음 1점-보통 3점-매우 만족5점)으로 정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파스 시판 파스
찜질효과 5.2 3.9
지속성 5.5 3.4
부착성 4.8 4.2
상기 표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물질의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는 대조군에 비하여 한방 생약 복합 성분 및 기능성 시트로 된 외피의 복합 상승 시너지 효과로 근육통, 타박상, 관절통의 환부에 부착시 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건조시켜 미분쇄한 생약재인 냉초, 창출, 생지황, 당귀를 각각 동량(1:1:1:1:1, 중량비)으로 혼합한 혼합 생약재 600g에 용매로서 물을 20ℓ 가하여 교반하고, 추출온도 90∼100℃에서 12∼24시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여과하여 추출된 패치제 조성물로 피막이 형성된 약제조성층을 형성하는 약제조성층 형성단계(S10);
    베이스 밀착포로서 섬유질의 닥과 목재 펄프를 혼합비율 2:1로 혼합한 닥펄프 지료액 25중량%에 300메시의 미분쇄한 광물질인 옥분 15중량%, 흑운모분 15중량%, 황토앙금분 35중량%를 혼합하고, 표면제로서 10중량%의 송진을 넣고 미세기공이 생기도록 압착 초지한 외피를 상기 약제조성층 상면에 인쇄하는 광물질 인쇄층 형성단계(S20); 및
    상기 약제조성층 하면에 박리되는 이형지를 적층하는 이형지 형성단계(S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
KR1020190066413A 2019-06-05 2019-06-05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 KR20200139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13A KR20200139916A (ko) 2019-06-05 2019-06-05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13A KR20200139916A (ko) 2019-06-05 2019-06-05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916A true KR20200139916A (ko) 2020-12-15

Family

ID=7378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13A KR20200139916A (ko) 2019-06-05 2019-06-05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99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8480A (zh) * 2022-04-26 2022-08-05 安徽金马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膏药贴加工前处理设备
KR20230137526A (ko) 2022-03-21 2023-10-05 미온바이오 주식회사 인간 및 반려동물용 이온파스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및 그 제조물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111Y1 (ko) 2000-07-22 2001-01-15 김은원 참숯 원적외선 파스
KR100345651B1 (ko) 1998-05-08 2002-11-05 정덕진 파스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651B1 (ko) 1998-05-08 2002-11-05 정덕진 파스조성물
KR200209111Y1 (ko) 2000-07-22 2001-01-15 김은원 참숯 원적외선 파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526A (ko) 2022-03-21 2023-10-05 미온바이오 주식회사 인간 및 반려동물용 이온파스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및 그 제조물품
CN114848480A (zh) * 2022-04-26 2022-08-05 安徽金马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膏药贴加工前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9928B (zh) 治疗痛经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288644A (zh) 一种治疗脾虚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00139916A (ko) 광물질 인쇄층이 형성된 파스 제조방법
CN103316146A (zh) 一种麻醉用中药制剂
KR10056465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찜질용 패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찜질 파스
CN104825914A (zh) 一种辅助治疗乳腺癌症的中药制剂
CN101204552A (zh) 一种治疗乳腺癌和宫颈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455795B (zh) 一种治疗自汗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376820A (zh) 一种用于驱胃寒、保护胃黏膜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983695A (zh) 一种治疗半身不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20021314A (ko) 생약 패취제
CN101757595A (zh) 一种治疗妊娠呕吐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561270B (zh) 一种外敷止痛中草药及其制备方法
CN103751547A (zh) 一种降血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518579B (zh) 一种稳压疏通药及制备工艺
CN103961615A (zh) 一种治疗手足皲裂的中药组合物及其制剂
CN102949544A (zh) 专治偏瘫病人手足肿胀的中药组合物
CN102579727A (zh) 一种穴贴膏药
CN101199737A (zh) 治疗咳喘的纳米级外用贴剂
CN1233335C (zh) 治疗皮肤瘙痒症的外用药水及生产方法
CN1049594C (zh) 骨质增生橡胶膏
CN113876694A (zh) 一种用于痹症的膏药及其制备方法
CN105233162A (zh) 一种治疗慢性胆囊炎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及其药物
CN105434900A (zh) 一种用于驱风活血、散寒止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432366A (zh) 一种通经活血的外用药膏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