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869A -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9869A KR20200139869A KR1020190066005A KR20190066005A KR20200139869A KR 20200139869 A KR20200139869 A KR 20200139869A KR 1020190066005 A KR1020190066005 A KR 1020190066005A KR 20190066005 A KR20190066005 A KR 20190066005A KR 20200139869 A KR20200139869 A KR 20200139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polymer
- composite membrane
- ion exchange
- nozz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87—After-trea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01M8/106—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rous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perforated or wave-shap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9—Electrospin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J23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J2371/12—Polyphenylene ox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Fuel Cell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동시 전기방사하여 수득한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킴으로써,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 복합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또는 수처리용 이온교환막으로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동시 전기방사하여 수득한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킴으로써,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 복합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또는 수처리용 이온교환막으로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온교환막은 수용액 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연료전지, 전기투석, 산과 염기 회수를 위한 물 분해 전기투석, 산세 폐액으로부터 산 및 금속화학종을 회수하기 위한 확산투석, 초순수 공정 등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선진국에서는 고성능 이온교환막이 개발됨에 따라 그 응용범위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온교환막은 높은 선택성을 가져야 하며, 용매 및 비이온 용질의 낮은 투과성, 선택된 투과이온의 확산에 대한 낮은 저항,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온교환막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무기물을 첨가하여 하이브리드 복합막을 제조하는 방법, 촉매 혼합물을 가열 압착하는 핫프레스법, 경화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이브리드 복합막 제조 방법은 막의 스웰링 현상이 계속된다면 막의 무기물과 고분자막 간의 틈이 생기게 되어 제대로 된 이온교환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촉매 혼합물을 가열 압착하는 핫프레스법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촉매층이 녹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경화제를 첨가하는 방법 역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경화제가 녹게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여전히 내구성이 높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이온교환막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현재 연료전지막, 전극막 등에 사용되고 있는 상용화 이온교환막은 술폰화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듀퐁(Du Pont)사에서 제조한 NafionTM(이하 '나피온'이라 칭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술폰화 된 폴리스티렌은 건조하게 되면 취성의 증가로 부서지게 되어 박막화나 복합막 등의 형태로 성형이 어렵게 되며 전극으로 가공 시에 기계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폴리스티렌의 술폰화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 또는 막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때에는 막의 저항이 증가하여 막의 이온교환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이온교환막으로서의 성능을 기대할 수 없고, 시스템 제작시 부피가 증가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나피온은 불소계 물질로서 높은 도전성과 화학적 안정성 등으로 인해 이온교환막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포함되어 있는 불소화합물로 인해 가격이 매우 고가이며, 고온에서의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나피온 등과 같은 고가의 이온교환막은 실제 배터리 구동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배터리 제조 가격을 높이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나피온과 같은 퍼플루오로술폰산 이온교환막의 단가는 약 100 만원/m2으로 높기 때문에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원가가 저렴한 비불소 이온교환막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SPAES(sulfonated poly aryleneether sulfone), SPEEK(sulfonated poly etherether ketone), PBI(Polybenzimidazole), SPSf(sulfonated polysulfone), 기타 합성고분자 등 탄화수소 계열의 고분자들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다.
비불소계 고분자 물질들은 다양한 관능기의 도입, 고분자 사슬의 배치, 분자량의 조절 등 다양한 인자들을 조절하여 새로운 물질들이 개발되어 그 가능성을 테스트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물질들은 우수한 전기적 성능에 비해 낮은 화학적/물리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실제 응용이 되는 부분에 있어 제한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고분자 물질의 성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들은 낮은 이온 선택성을 보이며 내구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동시 전기방사하여 수득한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킴으로써,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 복합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또는 수처리용 이온교환막으로 응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동시 전기방사하여 수득한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킴으로써,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 복합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또는 수처리용 이온교환막으로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나노섬유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막으로서, 상기 나노섬유는 외부에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지체용 제2 고분자가 형성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을 제공한다.
상기 이온교환기는 4급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일 수 있고; 상기 제1 고분자 및 제2 고분자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에틸렌(PE), 폴리벤조비스옥사졸(PB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벤지미다졸(PBI), 폴리이미드(PI)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다.
[화학식 2]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B는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각각의 방사노즐을 통하여 동시 전기방사하여 나노웹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이중노즐을 통한 전기방사시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을 이중노즐의 외부노즐에서 방사시키고,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이중노즐의 내부노즐에서 방사시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로 형성된 나노웹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방사는 전압이 20 내지 30 kV이고,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30 cm이며, 방사 유속은 0.1 내지 2.5 ml/h이며, 방사 온도는 20 내지 80 ℃이며, 방사 습도는 0.1 내지 70 %인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이고, 상기 지지체용 제2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이며, 상기 전기방사는 전압이 23 내지 27 kV이고,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15 cm이며, 방사 유속은 0.8 내지 1.2 ml/h이며, 방사 온도는 40 내지 55 ℃이며, 방사 습도는 1 내지 40 %인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1a]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4급 암모늄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동시 전기방사하여 수득한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킴으로써,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 복합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또는 수처리용 이온교환막으로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a) 실시예 1로부터 각각의 방사노즐을 통하여 동시 전기방사시 형성되는 나노웹 및 (b) 실시예 2로부터 이중노즐을 통한 전기방사시 형성되는 나노웹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a) 실시예 1 및 (b)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의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a) 비교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이온교환막에 대하여, 이온교환기의 당량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및 (b) 실시예 2a 내지 2c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지지체용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4(A-PPO_0.50 eq)로부터 제조된 이온교환막과, 실시예 2a(A-PPO_0.50 eq + PES), 실시예 2b(A-PPO_0.50 eq + PSf) 및 실시예 2c(A-PPO_0.50 eq + PVdF)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지지체용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a) 실시예 1 및 (b)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의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a) 비교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이온교환막에 대하여, 이온교환기의 당량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및 (b) 실시예 2a 내지 2c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지지체용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4(A-PPO_0.50 eq)로부터 제조된 이온교환막과, 실시예 2a(A-PPO_0.50 eq + PES), 실시예 2b(A-PPO_0.50 eq + PSf) 및 실시예 2c(A-PPO_0.50 eq + PVdF)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지지체용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나노섬유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막으로서, 상기 나노섬유는 외부에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지체용 제2 고분자가 형성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을 제공한다.
종래 이온교환막은 일반적으로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온교환기의 도입량을 높일수록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동시 전기방사하여 수득한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킴으로써, 기계적 물성 및 이온전도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이온교환 복합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이온교환기는 4급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일 수 있고; 상기 제1 고분자 및 제2 고분자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에틸렌(PE), 폴리벤조비스옥사졸(PB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벤지미다졸(PBI), 폴리이미드(PI)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다.
[화학식 2]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B는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4급 암모늄염일 수 있고,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B는 술폰산기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술폰(PES) 또는 폴리술폰(PSf)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PVdF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각각의 방사노즐을 통하여 동시 전기방사하여 나노웹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각각 다른 두 개의 방사노즐을 통하여 동시 전기방사함으로써,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나노웹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나노웹을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막의 형태로 압축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복합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나노웹을 핫-프레스로 압축시키는 조건으로는 100 내지 300 ℃, 구체적으로는 130 내지 250 ℃, 더욱 구체적으로는 140 내지 160 ℃, 1,000 내지 5,0000 psi, 구체적으로는 2,000 내지 4,000 psi, 더욱 구체적으로는 2,800 내지 3,200 psi의 고온·고압으로 어닐링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복합막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와 압력 조건은 사용되는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부근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이중노즐을 통한 전기방사시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을 이중노즐의 외부노즐에서 방사시키고,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이중노즐의 내부노즐에서 방사시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로 형성된 나노웹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이중노즐을 통한 전기방사시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은 이중노즐의 외부노즐에서, 상기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은 이중노즐의 내부노즐에서 방사되도록 하여 동시 전기방사함을써, 외부에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지체용 제2 고분자가 형성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나노웹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나노웹을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막의 형태로 압축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복합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나노웹을 핫-프레스로 압축시키는 조건으로는 100 내지 300 ℃, 구체적으로는 130 내지 250 ℃, 더욱 구체적으로는 140 내지 160 ℃, 1,000 내지 5,0000 psi, 구체적으로는 2,000 내지 4,000 psi, 더욱 구체적으로는 2,800 내지 3,200 psi의 고온·고압으로 어닐링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복합막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와 압력 조건은 사용되는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부근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기는 4급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일 수 있고; 상기 제1 고분자 및 제2 고분자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에틸렌(PE), 폴리벤조비스옥사졸(PB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벤지미다졸(PBI), 폴리이미드(PI)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다.
[화학식 2]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B는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4급 암모늄염일 수 있고,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B는 술폰산기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술폰(PES) 또는 폴리술폰(PSf)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PVdF일 수 있다.
상기 전기방사는 전압이 20 내지 30 kV, 구체적으로는 22 내지 28 kV, 더욱 구체적으로는 23 내지 27 kV이고,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30 cm, 구체적으로는 8 내지 20 cm,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5 cm이며, 방사 유속은 0.1 내지 2.5 ml/h,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2.0 ml/h, 더욱 구체적으로는 0.8 내지 1.2 ml/h이며, 방사 온도는 20 내지 80 ℃,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70 ℃, 더욱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5 ℃이며, 방사 습도는 0.1 내지 70 %,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55 %,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내지 40 %인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방사 조건으로 형성된 복합막은 상기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벗어난 조건으로 제조된 복합막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하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 등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이중노즐을 통한 전기방사에 의하여 복합막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이온교환기 및 고분자에 대하여 전기방사 조건을 달리하여 복합막을 제조하고,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1000 회 비틀림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1H NMR 분광분석 및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하여 코어쉘 나노섬유의 쉘부에 존재하는 고분자(이온교환기가 도입된 고분자)의 유실 여부 및 복합막의 외부 표면 거칠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른 종류의 이온교환기 및 고분자와 다른 수치 범위에서와는 달리, (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ⅱ) 지지체용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ⅲ) 전기방사 시 전압은 23 내지 27 kV, (ⅳ) 전기방사 시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15 cm, (ⅴ) 전기방사 시 방사 유속은 0.8 내지 1.2 ml/h, (ⅵ) 전기방사 시 방사 온도는 40 내지 55 ℃, (ⅶ) 전기방사 시 방사 습도는 1 내지 40 %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였을 때, 1000 회 비틀림 강도 측정 후에도 복합막이 전혀 파괴되지 않고, 코어쉘 나노섬유의 쉘부에 존재하는 고분자의 유실이 전혀 관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합막의 외부 표면 거칠기 변화 및 결점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다만, 상기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1000 회 비틀림 강도 측정에 따른 파괴가 일어나 외부 표면에 상당한 결점 및 거칠기 변화가 관측되었을 뿐만 아니라, 코어쉘 나노섬유의 쉘부에 존재하는 고분자의 유실이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a]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4급 암모늄염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및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복합막의 제조(1)
하기 화학식 1a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공중합체 용액 및 PVdF 용액을 각각 다른 두 개의 방사노즐을 통하여 동시 전기방사함으로써,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나노웹을 수득한 후, 상기 나노웹을 핫-프레스로 150 ℃, 3,000 psi의 고온·고압으로 어닐링시킴으로써 막의 형태로 압축시켜 최종적으로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전기방사는 전압이 23 내지 27 kV이고,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15 cm이며, 방사 유속은 0.8 내지 1.2 ml/h이며, 방사 온도는 40 내지 55 ℃이며, 방사 습도는 1 내지 40 %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화학식 1a]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4급 암모늄염이다.
실시예 2: 복합막의 제조(2)
이중노즐을 통한 전기방사시 하기 화학식 1a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공중합체 용액을 이중노즐의 외부노즐에서, 지지체용 고분자 용액을 이중노즐의 내부노즐에서 방사되도록 하여 동시 전기방사함으로써, 외부에는 화학식 1a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공중합체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지체용 고분자가 형성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나노웹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나노웹을 핫-프레스로 150 ℃, 3,000 psi의 고온·고압으로 어닐링시킴으로써 막의 형태로 압축시켜 최종적으로 복합막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지지체용 고분자를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술폰(PSf)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로 사용하여 각각 실시예 2a, 2b 및 2c로 하였고,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에서 4급 암모늄의 당량은 0.50 eg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전기방사는 전압이 23 내지 27 kV이고,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15 cm이며, 방사 유속은 0.8 내지 1.2 ml/h이며, 방사 온도는 40 내지 55 ℃이며, 방사 습도는 1 내지 40 %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화학식 1a]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4급 암모늄염이다.
비교예 1 내지 4: 이온교환막의 제조
하기 화학식 1a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공중합체 용액을 전기방사함으로써, 나노섬유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의 나노웹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나노웹을 핫-프레스로 150 ℃, 3,000 psi의 고온·고압으로 어닐링시킴으로써 막의 형태로 압축시켜 최종적으로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에서 4급 암모늄의 당량이 0.25 eq, 0.30 eq, 0.40 eq 및 0.50 eq인 것을 사용하여 각각 비교예 1 내지 4로 하였다.
이때 상기 전기방사는 전압이 23 내지 27 kV이고,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15 cm이며, 방사 유속은 0.8 내지 1.2 ml/h이며, 방사 온도는 40 내지 55 ℃이며, 방사 습도는 1 내지 40 %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화학식 1a]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4급 암모늄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a) 실시예 1 및 (b)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의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이미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방사를 통하여 다공성의 복합막이 성공적으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a) 비교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이온교환막에 대하여, 이온교환기의 당량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및 (b) 실시예 2a 내지 2c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지지체용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온교환기가 많이 포함될수록 기계적 강도인 인장강도가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모든 복합막은 지지체용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4(A-PPO_0.50 eq)로부터 제조된 이온교환막과, 실시예 2a(A-PPO_0.50 eq + PES), 실시예 2b(A-PPO_0.50 eq + PSf) 및 실시예 2c(A-PPO_0.50 eq + PVdF)로부터 제조된 복합막에 대하여, 지지체용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온교환기를 많이 포함할수록 화학적 안정성이 떨어지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막은 지지체용 고분자를 포함하여,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강알칼리성의 가혹한 조건에서 분리막을 유지한 후 이온전도도 안정성으로 화학적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복합막 형태로 제조되기 전(비교예)에는 이온전도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에 비하여 지지체용 고분자를 사용한 이후, 복합막 형태(실시예)의 경우 1,000 시간 화학적 안정성 시험 이후에도 이온전도도 유지가 잘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복합막을 제조하여, 종래 지지체 고분자에 함침이 용이하지 않아 복합막으로 제조가 어려웠던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나노섬유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막.
-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막으로서,
상기 나노섬유는 외부에는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지체용 제2 고분자가 형성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기는 4급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고;
상기 제1 고분자 및 제2 고분자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에틸렌(PE), 폴리벤조비스옥사졸(PB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벤지미다졸(PBI), 폴리이미드(PI)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
[화학식 1]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다.
[화학식 2]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B는 암모늄염, 1 내지 3급 아민, 4급 포스포니움기, 3급 술폰니움기, 이미다졸리움기, 피페리디늄기, 모폴리니움기, 피리디늄기 및 피롤리디늄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음이온 교환기이거나, 술폰산기, 포스포닉기, 포스피닉기, 카르복실기, 아소닉기 및 셀리노닉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교환기이다.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복합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복합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a)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 및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각각의 방사노즐을 통하여 동시 전기방사하여 나노웹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 - (A) 이중노즐을 통한 전기방사시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 용액을 이중노즐의 외부노즐에서 방사시키고, 지지체용 제2 고분자 용액을 이중노즐의 내부노즐에서 방사시켜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로 형성된 나노웹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나노웹을 막의 형태로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는 전압이 20 내지 30 kV이고,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5 내지 30 cm이며,
방사 유속은 0.1 내지 2.5 ml/h이며,
방사 온도는 20 내지 80 ℃이며,
방사 습도는 0.1 내지 70 %인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기가 도입된 제1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이고,
상기 지지체용 제2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이며,
상기 전기방사는 전압이 23 내지 27 kV이고,
노즐과 코렉터 사이의 거리는 10 내지 15 cm이며,
방사 유속은 0.8 내지 1.2 ml/h이며,
방사 온도는 40 내지 55 ℃이며,
방사 습도는 1 내지 40 %인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막의 제조방법.
[화학식 1a]
상기 x는 반복단위 내 몰분율(%)로서, 상기 x는 1 내지 99의 정수이고,
상기 A는 4급 암모늄염이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005A KR102338150B1 (ko) | 2019-06-04 | 2019-06-04 |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6005A KR102338150B1 (ko) | 2019-06-04 | 2019-06-04 |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9869A true KR20200139869A (ko) | 2020-12-15 |
KR102338150B1 KR102338150B1 (ko) | 2021-12-13 |
KR102338150B9 KR102338150B9 (ko) | 2022-04-11 |
Family
ID=7378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6005A KR102338150B1 (ko) | 2019-06-04 | 2019-06-04 |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815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94179A (zh) * | 2021-11-25 | 2022-02-25 | 重庆交通大学绿色航空技术研究院 | 纳米纤维聚偏氟乙烯基复合固态电解质及制备方法和应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68976A (ko) * | 2007-12-24 | 2009-06-2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방사를 이용한 코어 쉘 캡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KR20110128749A (ko) * | 2010-05-24 | 2011-11-30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금속 나노입자로 코팅된 코어-쉘 구조의 고분자 나노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
KR20140085885A (ko) * | 2012-12-28 | 2014-07-0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
KR20160101715A (ko) | 2016-08-11 | 2016-08-25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이온교환막을 구비한 탈염용 복합전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염 장치 |
KR20180109586A (ko) | 2017-03-28 | 2018-10-08 | 코웨이 주식회사 | 비대칭 구조의 바이폴라 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
-
2019
- 2019-06-04 KR KR1020190066005A patent/KR1023381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68976A (ko) * | 2007-12-24 | 2009-06-2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방사를 이용한 코어 쉘 캡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KR20110128749A (ko) * | 2010-05-24 | 2011-11-30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금속 나노입자로 코팅된 코어-쉘 구조의 고분자 나노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
KR20140085885A (ko) * | 2012-12-28 | 2014-07-0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
KR20160101715A (ko) | 2016-08-11 | 2016-08-25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이온교환막을 구비한 탈염용 복합전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탈염 장치 |
KR20180109586A (ko) | 2017-03-28 | 2018-10-08 | 코웨이 주식회사 | 비대칭 구조의 바이폴라 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Energy Environ. Sci., 2017, 10, 1435* * |
J. Mater. Chem. A, 2016, 4, 132-141* * |
Molecules 2019, 24, 834*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94179A (zh) * | 2021-11-25 | 2022-02-25 | 重庆交通大学绿色航空技术研究院 | 纳米纤维聚偏氟乙烯基复合固态电解质及制备方法和应用 |
CN114094179B (zh) * | 2021-11-25 | 2024-03-08 | 重庆交通大学绿色航空技术研究院 | 纳米纤维聚偏氟乙烯基复合固态电解质及制备方法和应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8150B1 (ko) | 2021-12-13 |
KR102338150B9 (ko) | 2022-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18959B2 (en) | Anion exchange polymer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incorporating same | |
US11011756B2 (en) | Nanofiber-based bipolar membranes, fabricating methods and applications of same | |
Chen et al. | Internal cross-linked anion exchange membranes with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for electrodialysis | |
Gloukhovski et al. | Understanding methods o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e-filling polymer composite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s: a beginner’s guide | |
KR102061633B1 (ko) | 폴리페닐렌옥사이드 기반의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막 | |
US8008404B2 (en) | Composite membrane | |
KR100833056B1 (ko) | 연료전지용 강화-복합 전해질막 | |
Lim et al. | Advances in membrane and stack design of redox flow batteries (RFBs) for medium-and large-scale energy storage | |
CN102002168A (zh) | 具有层状形貌的离子交换膜及其制造方法 | |
US11103864B2 (en) | Multilayered ion exchange membranes | |
US11674009B2 (en) | Composite i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of making same | |
KR20180003925A (ko) | 다공성 기재를 포함하는 강화-복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131857A (ko) | 상전환법 및 롤-프레스 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 다공성 막 및 이를 구비한 레독스 흐름전지 | |
KR102255170B1 (ko) | 이온교환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JP2006032135A (ja) | 固体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電解質膜、およびこれを備える燃料電池 | |
KR102260082B1 (ko) | 음이온교환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2338150B1 (ko) |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2367411B1 (ko) | 강화복합 전해질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956169B1 (ko) | 자기-가습성 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 |
Zuo et al. | Advancing ion selective membranes with micropore ion channels in the interaction confinement regime | |
KR102260086B1 (ko) | 복합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 | |
US11652228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s and electrolyte membrane manufactured by the same | |
Vijayakumar et al. | Recent advances in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 | |
CN112864436A (zh) | 一种纤维增强阴离子交换膜及制备和应用 | |
Altalhi | Advanced Redox Flow Technolo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