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739A - 건조한 눈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한 눈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739A
KR20200139739A KR1020207031273A KR20207031273A KR20200139739A KR 20200139739 A KR20200139739 A KR 20200139739A KR 1020207031273 A KR1020207031273 A KR 1020207031273A KR 20207031273 A KR20207031273 A KR 20207031273A KR 20200139739 A KR20200139739 A KR 2020013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eyelid
fiber bundle
disposa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1817B1 (ko
Inventor
헤르난 알트만
Original Assignee
루메니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메니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루메니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섬유 다발의 말단부에 부착할 수 있는 일회용/탈착식 팁으로서, 광 에너지를 섬유 다발에서 눈꺼풀로 전달하고 생체 적합성 재료로 만든 접촉면을 포함하여 눈꺼풀과 접촉할 수 있는 팁과,
추가로 원위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애드온 장치로서, 일회용/탈착식 팁은 원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고, 근위 단부는 마이봄샘 압착 치료 장치의 광 가이드와의 광학 및/또는 에너지 커플링을 위해 설계된 광 커플러에 연결되는 애드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한 눈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 출원은 2018 년 3 월 29 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62/649,786 과 2018 년 5 월 3 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62/666,162 및 2018 년 8 월 13 일 제출된 일련번호 62/718,134와 관련이 있으며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의 모든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회용/탈착식 팁과 마이봄샘을 치료하고 가열하는 에너지 원을 이용하여 안구 건조증을 치료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에너지 원은 광원, 무선 주파수 (RF) 소스 및/또는 초음파 (미국) 또는 기타 소스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눈꺼풀 가장자리의 만성 염증인 안검염이다. 왜냐하면, 마이봄샘에 만성적으로 염증이 생기면 분비물이 너무 적거나 전혀 생성되지 않아 눈물막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이는 종종 박테리아 및 피부 진드기와 같은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만성 안검염의 치료는 단순하지 않다.
예를 들어, 강한 펄스 광선(IPL) 광선 요법 또는 기타 치료는 오래 지속되는 효과가 있으며, 박테리아 및 피부 진드기는 성공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PL 은 안구 건조증의 염증성 원인을 치료하고 눈꺼풀의 샘을 자극하며 치유를 가속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펄스 광선 치료법이다. LED 또는 레이저 광과 같은 다른 광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광원의 사용은 열을 생성하고 광변조를 유발하여 마이봄샘의 영역을 가열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른 열 발생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번호 9,333,370 및 10,085,814는 안구 건조증 치료에 관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된다.
치료 과정에서, 광선의 여러 펄스들이 환자의 눈꺼풀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각막에 직접 광이 들어가는 것과 (탈모를 방지하기 위해) 속눈썹이 에너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또한, 각막 및 기타 안구 표면을 직접 가열하지 않아야 한다.
MGD (마이봄샘 기능장애 또는 증발성 안구건조증)의 치료에서 마이봄샘 압착(MGX)은 일반적으로 마이봄의 분비를 강제하기 위해 IPL 에너지, LED 에너지 또는 기타 에너지의 사용을 통해 가열된 후 샘이 압착되는 치료적 접근법이다. 전형적으로, 눈꺼풀과 공막 사이에 놓인 면봉을 손가락으로 바깥쪽에서 눈꺼풀을 눌러서 달성된다. 때로는, MGX를 위해 전용 집게 또는 패들이 사용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목적은 위에서 논의된 문제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섬유 다발의 (원위) 단부에 부착 가능한 일회용/탈착식 팁(DT)에 관한 것으로, 광 에너지를 섬유 다발에서 눈꺼풀로 전달하고 눈꺼풀에 접촉을 허용하는 생체 적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일회용/탈착식 팁은 광 에너지를 섬유 다발로부터 눈꺼풀의 후방 표면으로 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일회용/탈착식 팁은 바람직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의 구부러지거나 휘어진 구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일회용/탈착식 팁은 광섬유 다발에 대해 아래로 구부러진 주걱 원위 팁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회용/탈착식 팁은 광 또는 고온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속눈썹, 모낭 또는 눈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일회용/탈착식 팁의 불투명 또는 반사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회용/탈착식 팁은 바람직하게는 섬유 다발에 대해 아래쪽으로 구부러지고 그 사이의 눈꺼풀을 둘러싸거나 잡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형성하는 원위 팁 및 근위 팁을 포함한다.
일회용/탈착식 팁은 의료 기기 또는 라이트 가이드에 고정된 팁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고정 팁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애드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회용/제거 가능한 팁은 원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반면, 근위 단부는 Lumenis M22 핸드 피스 또는 기타 IPL 장치와 같은 광원과의 광학 및/또는 에너지 커플링되도록 설계되는 광 커플러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는 일회용/탈착식 팁의 시스템 및 애드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일회용 팁을 사용하여 환자의 눈꺼풀을 IPL / Light로 치료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마이봄샘 압착(MGX)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검염 또는 마이봄샘 기능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보호 콘택트 렌즈의 사용을 통해 열 분리를 제공함으로써 각막 및/또는 건조한 눈에 대한 치료 과정에서 사용되는 광 및/또는 열원으로부터 각막 및 기타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치료 전에 삽입되는 보호 콘택트렌즈의 사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팁을 진공 소스에 연결하여 팁이 눈꺼풀에 "붙도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와 아래에 설명한 팁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의 진공 소스에 연결되고 환자의 후방 또는 전방 눈꺼풀 근처에 말단 흡입 끝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을 팁의 부드러운 재질 내에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소스는 애드온 장치 또는 IPL/광 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
장치 및/또는 방법의 일부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림 1은 둥글고 부드러운 모양의 일회용 팁을 도시한다.
그림 2a는 오목한 모양의 일회용 팁을 도시한다.
그림 2b는 오목한 모양을 가진 다른 일회용 팁을 도시한다.
그림 3a는 눈꺼풀 클램프가 있는 일회용 팁을 도시한다.
그림 3b는 가벼운 가이드가 있는 일회용 팁을 도시한다.
그림 3c는 텔레스코프로 움직이는 눈꺼풀 클램프가 있는 일회용 팁을 도시한다.
도 3d는 눈꺼풀 클램프가 슬레지로 이동된 일회용 팁을 도시한다.
그림 4는 광 에너지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그림 5는 환자의 눈 보호를 위한 삽입물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원위 및 근위와 같은 해부학적 위치 용어는 달리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서, 환자가 아닌 설명된 장치에 대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장치의 원위 단부는 장치의 근위 단부보다 환자에게 더 가까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일회용 또는 탈착식 팁(DT)(1)는 눈꺼풀(5)에 광 에너지 (바람직하게는 IPL 또는 레이저)의 전달은 허용하도록, 실리콘과 같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일회용/탈착식 팁(1)은 청결/멸균 상태, 즉 포장 (예를 들면, 각 눈에 하나씩)으로 제공되어 모든 환자에게 위생 치료를 허용할 수 있다.
과정 중에, 일회용/탈착식 팁 패키징이 열리고 일회용/탈착식 팁은 섬유다발(2)의 원위 단부(4)위에 장착된다. 장착은 접착제, 힘 끼워 맞춤(섬유다발(2)의 측면과 섬유다발(2)을 감싸는 DT의 고리 모양 부분 사이의 마찰) 또는 형태 맞춤(예를 들면, 나사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섬유다발(2), 특히 광섬유 케이블이라고도 알려진 광학적 섬유 케이블은 전기 케이블과 유사한 어셈블리이지만, 복합파장광(IPL) 또는 LED와 같은 다른 광원의 광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포함하며 섬유다발 (2)은 반사성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는 보호 튜브(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다음의 몇몇 실시예에서, 반투명 재료는 예를 들어 재료를 도핑하거나 착색함으로써 일회용/탈착식 팁(1)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재료 중 하나가 실리콘이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면, 광 에너지의 일부가 일회용/탈착식 팁(1)에 흡수되어 가열되고, 눈꺼풀과 같은 환자의 조직 주변으로 열을 전달한다. 일부 응용 분야에서 열은 마이봄샘 기능장애에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안구 건조 증상 일부를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미도시)에 따르면, 일회용/탈착식 팁는 사용 중에 팁 자체 및/또는 환자의 눈꺼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이 장려되지 않거나 다른 수단에 의해 달성되는 경우, 가능한 한 많은 광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투명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치료 과정은 제 1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눈꺼풀(5)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요소 또는 광원으로 가열된다. 제 2 단계에서 눈꺼풀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가열되거나 눈꺼풀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눈꺼풀 바깥쪽이 접촉되고 눈꺼풀(5)에 압력이 가해져, 이제 눈꺼풀 뒤쪽에 위치한 면봉처럼 눈꺼풀은 팁과 피스 사이에 고정되거나 정지된다. 하나의 대안에 따르면, 가열은 두 번째 단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 따르면, 눈꺼풀에 가열 및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동시에 또는 간헐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섬유다발 (2)로부터 광 전달을 허용하고 환자의 피부/조직으로의 전달, 예를 들어 눈꺼풀 (5) 또는 심지어 눈과의 안전한 접촉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면 실리콘과 같은 생체 적합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일회용/탈착식 팁(1)의 광 투과 부품 또는 환자를 향하는 접촉 영역의 표면과 같이 환자와 접촉하는 부품에 적용된다. 일회용/탈착식 팁(1)의 다른 부품은 다른 유형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은 환자에게 보다 편안한 치료 경험을 제공하는 설계를 도시한다. 광선(3)은 섬유다발(2)을 통해 섬유다발(2)의 원위 단부(4)로 전송된 다음 일회용 팁(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일회용/탈착식 팁(1)는 접촉면을 통해 관선(3)의 열을 환자의 눈꺼풀로 전달한다. 둥글고 부드러운 팁(11)은 팁(11)과 눈꺼풀(5)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위한 편안한 인터페이스를 허용한다. 소프트 팁(11)은 또한 도 2a,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일 수 있어서, 눈꺼풀에 접촉할 때 재료의 부드러움이 힘을 분배하고 결과적으로 눈꺼풀에 대한 압력을 분배한다.
도 2a는 단순한 표면 접촉보다 눈꺼풀(5)의 자연 곡률에 더 잘 부합할 수 있는 오목한 모양의 일회용/탈착식 팁(1)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광원에서 광과 열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용/탈착식 팁(1)과 눈꺼풀(5) 사이에 진공을 생성하여 일회용/탈착식 팁(1)을 눈꺼풀에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진공 컵의 원리와 유사)
도 2b는 MGX를 위한 일회용/탈착식 팁(1)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도 2a의 일회용/탈착식 팁(1)의 향상된 버전을 도시한다. 섬유다발(2)은 튜브(21) 또는 샤프트의 루멘(22)내에 위치한다. 튜브(21)는 섬유다발(2)을 둘러싼다. 튜브의 일단은 섬유다발의 원위 단부와 정렬되어 있는 반면, 튜브의 타단은 섬유다발이 더 근위로 진행하는 개방된 단부를 갖는다. 튜브(21)를 축방향/병진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미도시)이 원위 팁에 근접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일회용/탈착식 팁(1)은 외부 튜브(21)에 부착되어 중앙 섬유 다발(2)도 덮는다. 따라서, 일회용/탈착식 팁(1)은 캡과 같이 근위 방향으로 튜브(21)와 중첩될 수 있다. 일회용/탈착식 팁(1)과 튜브(21) 사이의 부착 (예를 들어, 힘 끼워 맞춤)은 일회용/탈착식 팁(1) 내에서의 움직임, 특히 루멘(22) 내부의 섬유다발(2)을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도되는 전단력을 허용하는 강도를 갖는다.
MGX를 치료하기 위해 튜브(21) 또는 일회용/탈착식 팁(1)을 눈꺼풀(5)에서 부드럽게 당기거나 동시에 섬유다발(2)을 눈꺼풀(5) 쪽으로 밀어낸다. 섬유다발(2)이 오목한 접촉 표면의 중심을 향해 가압되어 오목한 접촉 표면의 반경의 변화를 야기하고, 반면 오목한 접촉 표면의 외부 부분은 일회용/탈착식 팁(1)의 바깥 부분에 연결되는 튜브에 의해 당겨진다.
이에 따라, 일회용/탈착식 팁(1)과 눈꺼풀(5) 사이의 진공으로 인한 외측 힘(24)에 의해 눈꺼풀의 외부 표면(일회용/탈착식 팁(1)의 외부 영역(23)이 위치한 곳)이 당겨지고, 내측 힘(26)에 의해 섬유 다발(2)과 정렬된 눈꺼풀의 중앙 영역(25)이 밀어진다.
그 결과, 눈꺼풀(5)의 제 1 영역(중앙영역(25))은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1 영역에 매우 가까운 제 2 영역 (외곽 영역(23))은 타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눈꺼풀(5)에 전단력이 발생해 압착 효과가 발생하여 MGX가 발생한다.
유리하게는, 조립하기 쉬운 일회용/탈착식 팁(1)이 제공되며, IPL 처리에 추가하여 MGX 처리가 가능하다.
도 3a는 일회용/탈착식 팁(1)의 다른 실시예로서, 눈꺼풀(5)의 양쪽에 배치된 일회용/탈착식 팁(1)을 갖는 눈꺼풀(5)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일회용/탈착식 팁(1)은 클램프의 내부 (근위) (32) 및 외부 (원위) 팁(31) 모두를 포함한다. 간격(34)은 팁(31, 32)을 분리하고 팁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가변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치료를 위해, 일회용/탈착식 팁(1)의 외부 팁(31)(원위)은 눈꺼풀(5)과 공막(33) 사이에 위치한다. 눈꺼풀(5)은 양 팁(31, 32) 사이에 배치되고 MGX에 적합한 압착력을 생선하도록 팁(31, 32)사이의 거리가 감소된다. 팁 사이의 거리 감소는 슬라이딩 또는 다른 메커니즘(도 3C 및 3D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논의됨)으로 달성될 수 있다. 팁 (31 및 32)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는 슬라이딩 또는 기타 동작은 수동일 수 있거나, 수동 제어 또는 적절한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모터 또는 기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자동화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장치는 팁 (31, 32) 사이에 클램핑 된 눈꺼풀에 가해지는 힘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통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 실시예는 전단력 (정렬되지 않은 평행한 두 개의 반대 힘) 대신에 압착력 (정렬된 2 개의 반대 힘)을 사용하는 MGX의 보다 전형적인 전달 방법을 허용한다. 두 실시예 모두 추가로 광/열처리를 허용한다. MGX와 광/열 치료의 조합은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3b는 속눈썹 (36)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표적 기관 (마이봄샘 (35))으로의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을 목표로 도 3a의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또는 심지어 향상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위 팁 (31) 및 근위 팁 (32)이 클램프를 형성하는 일회용/탈착식 팁(1)에서, 근위 팁 (32)은 불투명할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시 속눈썹 영역의 눈꺼풀에 닿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불투명 플라스틱 (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속눈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회용/탈착식 팁(1)의 외부 표면 (환자의 눈꺼풀을 향하지 않음), 특히 일회용/탈착식 팁(1)의 원위 단부는 반사층 (38)으로 코팅 될 수 있다. 반사층 (38)은 눈꺼풀의 후방 표면에 도달하는 광/열을 증폭시킬 수 있는 광/열을 팁으로 다시 반사함으로써 광/열이 팁의 원위 단부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광/열 에너지는 마이봄샘 (35) 근처의 눈꺼풀 (5)의 후방 표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반사층 (38)으로 인한 이 설계의 추가적인 장점은 환자의 눈에 광이 번쩍이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의 편안함과 안전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각막과 같은 환자의 눈 보호를 위한 애드온 장치는 그림 5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치료 과정은 이전/제 1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눈꺼풀 (5)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 (도시되지 않음) 또는 광 장치 자체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부분은 이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마이봄샘 (36)을 마주하는 말단 팁(31)의 근위 부근에 있다. 이 지점을 정확히 가열하는 것은 반사층 (38)에 의한 에너지 반사의 결과이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눈꺼풀을 클램핑함으로써, 면봉과 같은 추가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일반적인 사람의 눈꺼풀 두께는 3-4mm이며, 속눈썹 (36)은 바깥 쪽 (사람의 머리와 관련)에 있고 마이봄샘(35)은 안쪽에 위치하며 눈꺼풀 5 시상 단면의 400-600 μm를 차지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팁 (31, 32)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어야 한다.
도 3c는 이전 실시예의 다른 향상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MGX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가능성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텔레스코핑 요소(40)는 근위 팁(32)이 눈을 향해 또는 눈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방향 (41)으로 텔레스코프할 수 있으며, 일회용/탈착식 팁(1)의 원위 팁 (31)과 근위 팁 (32)을 연결한다. 원통형 튜브 (39)는 근위 팁 (32) 또는 섬유 다발 (2)의 원위 측에 장착된다. 치료 중에, 원통형 튜브 (39)는 두 개의 팁 (31, 32)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텔레스코핑 요소 (4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눈꺼풀 (5)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눈꺼풀 (5)을 클램핑하고 MGX를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텔레스코핑 요소(40)가 고정될 수 있고, 원통형 튜브 (39)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43)으로 이동하여 튜브 (39)가 눈꺼풀 (5)과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눈꺼풀이 말단 팁(31)과 튜브(39) 사이에 클램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d는 텔레스코핑 요소(40) 대신에 섬유다발(2)의 원위 단부에 장착된 근위 팁(32)이 방향(42)에서 눈꺼풀(5)을 향하고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는 유사한 배열을 도시한다. 이는 도 3c와 관련하여 설명된 슬라이딩 요소 또는 슬라이딩 요소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원위 팁 (31)과 연결된 부품은 눈꺼풀 (5)을 향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근위 팁 (32)과 연결된 부품 위로 미끄러진다. 단부 요소 (29)는 도 1, 2a 및 2b의 팁(1)과 유사할 수 있으며, 근위 팁 (32)의 원위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d에서 섬유 다발 (2)이 도시되어 있지만, 광원/열원이 근위 단부 (32) 자체에 장착되어 섬유 다발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로, 도 3d는 원위 팁 (31) 상에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가열/광 요소 (27)를 도시한다. 가열/광 요소(27)는, 섬유다발(2)로부터의 광원/열원으로부터의 광/열과 함께 눈꺼풀(5) 및 포함된 마이봄샘을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마이봄샘이 눈꺼풀의 양쪽에서 가열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팁(31 및 32) 사이의 눈꺼풀을 캡쳐하는 배치는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원위 팁931)에 의해 환자의 눈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환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Lumenis M22 IPL과 같은 이용 가능한 MGD 치료 장치 (51)의 치료 단부가 치료 영역에 가까이에서 더 쉽게 취급되고 조작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광학 광 가이드 또는 광 가이드 인터페이스 (53)를 통해 핸드 피스 (52)에 부착될 수 있는 애드온 장치를 포함한다. 그것은 섬유를 통해 광 에너지 전달을 허용하고, 그리고 눈의 궤도 (위 및 아래 눈꺼풀 5) 주위의 섬유 (2)의 말단부 (4)로부터 광 에너지 방출을 허용한다.
섬유 다발 (2)의 근위 단부는 광 커플러 또는 인터페이스 (54)에 부착되며, 이는 광 가이드 (53) 표면적의 더 나은 커버리지를 위해 각각의 개별 광섬유가 퍼지게 하여 더 나은 광학 및 에너지 커플링을 허용한다. 이 부품은 정확성 및 요구되는 고품질/고가의 재료의 필요성 때문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섬유 다발 (2)의 원위 단부 (4)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인터페이스 (핸들 어댑터 (55)와 같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공학적 핸들 (56)이 부착되어, MGD 치료 장치 (51)의 핸드 피스 (52)를 수동으로 잡고 조작할 필요없이 섬유 다발 (2)의 원위 단부 (4)를 눈 주위의 작은 영역에 편안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핸들(56)이 없으면, 조작자는 환자를 치료하는 동안 다발 (2)의 원위 단부 (4)를 펜처럼 잡을 수 있다. 원위 단부(4)가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원위 단부 (4)가 스레드처리되는 하니스 또는 상대적으로 뻣뻣한 튜브일 수 있는 보강 요소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원위 단부 (4)가 구부러지고 눈 주위의 원하지 않는 영역으로 광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없이 원위 단부 (4)가 치료될 눈꺼풀(5) 위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사용된 섬유 다발 (2)은 또한 파장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DG 치료 장치 (51)에 의해 방출된 원래의 플루엔스를 눈꺼풀 (5) 치료를 위한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에너지 댐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애드온 장치는 MDG 치료 장치 (51)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다른 플루엔스의 조정 가능성 또는 가변성을 허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공한다.
사용 사례에 따라 애드온 장치 또는 광섬유 다발 2는 일회용이거나 재사용 가능할 수 있다. 섬유 다발 (2)은 멸균 패키지로 배포될 수 있다. 번들 인터페이스 (54, 55) 또는 일회용/탈착식 팁 스위치와 같은 애드온 장치의 일부는 살균 또는 청소 후에 성능이 저하되어 애드온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일회용 아이템이 실수로 이중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섬유 다발(2)은 ~ 5mm 직경의 처리 영역 (다발 단부 4)을 달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케이싱이 있는 20-50 개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 다발 (2) 자체의 원위 단부 (4)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다양한 이전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리콘과 같은 부드럽고 생체 적합성 물질의 일회용/탈착식 팁(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단단한 말단부 (4)를 일회용/탈착식 팁(1)(소프트 캡)으로 덮음으로써, 일회용/탈착식 팁(1)은 환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하거나 조직에 해를 끼치지 않고 환자의 눈꺼풀 (5)에 접촉할 수도 있다.
핸들 (56)은 IPL 펄스를 트리거하기위한 작동 버튼 (58) 및/또는 클램프 메커니즘을 제어하기위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에 예를 들면, MDG 치료 장치에 대한 전기적 연결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IPL 펄스 생성은 핸드 피스 (52) 또는 애드온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풋 스위치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자형 원위 팁 (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섬유 다발 (2)의 원위 단부 (4) 또는 인체 공학적 핸들 (56)의 원위 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원위 팁 (31)은 상부 및/또는 하부 눈꺼풀 (5)이 치료되는 동안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꺼풀 뒤에 삽입되는 차폐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실시예는 다음을 허용한다.
1. 현재의 M22 IPL 핸드 피스 (52)와 같은 대형 광 가이드 (53)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속눈썹 (36) 또는 각막의 의도하지 않은 노출을 피하면서, 위 또는 아래 눈꺼풀 (5)을 포함하는 눈 주변 구조에 대한 더 나은 접근.
2. 전용 경량 인체 공학적 핸들을 통한 사용 편의성 56. 이것은 현재의 IPL 핸드 피스 (52)가 에너지 및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제안된 핸들의 56 유일한 기능은 섬유의 말단부 (4)를 잡고 눈꺼풀 (5) 위 또는 아래에 직접 접촉하게 하는 것이다 (즉, 인체 공학적/유용성 기능만 충족한다.)
3. 멸균, 일회용 디자인.
4. Rosacea의 치료를 위해 현재 핸드 피스(52)의 사용을 허용하고, tragus에서 tragus로 전달되는 현재 MGD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듈식 솔루션. 대부분의 MGD 환자는 또한 Rosacea를 앓고 있으므로 MGD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이 적응증을 치료할 필요가 있다.
5. 섬유 다발(2)을 에너지 댐퍼로 설계하여 눈꺼풀 5 주변의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플루엔스 감소 (현재 M22 IPL은 전달된 플루엔스에 대한 하한이 있으며, 특정 경우에 이는 MGD에 대해 너무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
6. IPL 핸드 피스 (52)에 내장된 고역 통과 필터 외에도 도핑된 섬유를 저역 통과 필터로 사용하여 치료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광 스펙트럼 선택.
이제 도 5로 돌아 가면, 도 5는 팁 (31)과 눈 (6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추가 요소 (59)를 도시한다. 요소 (59)의 목적은 과도한 광 또는 광원 (또는 다른) 소스에 의해 생성된 열로 인해 눈 (60)에 손상을 일으키는 임의의 도광/열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것이다. 요소 또는 차폐부 (59)는 의사가 안구 건조증 치료를 위해 눈 위에 놓을 수 있는 광학적 변화 능력이 없는 소프트 타입 콘택트 렌즈와 같은 콘택트 렌즈의 형태일 수 있다. 차폐부 (59)는 생체 적합성 염료 또는 잉크로 착색될 수 있고 눈꺼풀을 가열하도록 선택된 광원에 의해 생성된 광의 파장에 대해 완전히 불투명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렌즈는 크기와 눈의 범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제공되는 치료에 따라 각막, 반공막 또는 공막일 수 있다. 요소는 완전히 불투명 할 수도 있고 광을 반사하는 재료 및/또는 열 절연 특성을 제공하는 재료로 만들어져 치료되는 눈이 손상을 줄 수 있는 과도한 열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폐물은 또한 각 처리 후에 폐기할 수 있는 일회용이거나 멸균 및 재사용 할 수 있는 디자인일 수 있다.
1 일회용/탈착식 팁 (DT)
2 섬유다발
3 IPL (강한 펄스 광)/광선
4 섬유다발의 말단
5 눈꺼풀
11 둥글고 부드러운 팁
12 보호 튜브
21 튜브
22 루멘
23 외부 영역
24 외측 힘
25 중앙 영역
26 내측 힘
27 가열요소
29 끝 요소
31 외부 (원위) 팁
32 내부 (근위) 팁
33 공막
34 교차 간격
35 마이봄샘
36 속눈썹
37 불투명 플라스틱
38 반사층
39 원통형 튜브
40 텔레스코프
41 확장 / 축소 방향
42 이동 방향
43 이동 방향
51 MGD 치료 장치
52 핸드 피스
53 광가이드
54 광 커플러
55 핸들 어댑터
56 핸들
57 근위 끝
58 작동 버튼
59 차폐부
60 눈

Claims (21)

  1. 일회용/탈착식 팁으로서,
    - 섬유 다발의 말단부에 부착 가능하고;
    - 광 에너지를 상기 섬유 다발에서 눈꺼풀로 전송하도록 허용하고; 그리고
    - 눈꺼풀과 접촉하도록 허용하는 생체 적합성 물질로 만들어진 접촉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실리콘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실리콘과 같이 도핑되거나 착색된 물질과 같은 불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깨끗한/멸균 상태로 포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둥근 모양의 부드러운 팁은 상기 팁과 상기 환자의 눈꺼풀 사이의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오목한 모양이며, 진공 컵처럼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상기 섬유 다발을 감싸고 있는 튜브 또는 축에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다발이 상기 튜브 또는 상기 축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오목한 모양의 접촉면의 반경이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그 사이에 눈꺼풀을 둘러싸거나 잡는 클램프를 형성하는 근위 팁과 원위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10. 제 9 항에 있어서,
    눈꺼풀을 짜낼 수 있도록, 상기 근위 팁과 상기 원위 팁 사이의 거리는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팁은 불투명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또는 상기 원위 팁의 외부면은 반사 코팅/층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텔레스코프나 슬레지 메카닉이 상기 근위 팁과 상기 원위 팁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14. 애드온 장치로서,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가지는 섬유다발;
    상기 원위 단부에 부착 가능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팁; 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단부는, IPL 장치 또는 기타 광원의 광가이드와 광학 및/또는 에너지 커플링을 위해 설계된 광 커플러에 연결되는, 애드온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원위 단부 부근 섬유 다발은 핸들이 장착될 수 있는 핸들 어댑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다발은 파장 선택을 위한 필터 및/또는 댐핑을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온 장치의 일부는 세척 또는 살균시 성능이 저하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장치.
  18. 환자 눈꺼풀의 IPL/광치료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애드온 장치; 및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팁; 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섬유 다발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는, 시스템.
  19. 안검염 또는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치료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팁을 사용하여 환자의 눈꺼풀을 IPL/광으로 치료하는 단계;
    마이봄샘 압착(MGX)을 수행하기 위하여 환자의 눈꺼풀을 짜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검염 또는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치료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눈꺼풀은 먼저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환자의 눈꺼풀 온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할 때까지 가열된 다음, MGX가 실행되는, 안검염 치료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가열하는 단계, IPL/광을 제공하는 단계 및 눈꺼풀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동시 또는 간헐적으로 실행되는, 안검염 치료방법.
KR1020207031273A 2018-03-29 2019-03-28 건조한 눈의 처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71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9786P 2018-03-29 2018-03-29
US62/649,786 2018-03-29
US201862666162P 2018-05-03 2018-05-03
US62/666,162 2018-05-03
US201862718134P 2018-08-13 2018-08-13
US62/718,134 2018-08-13
PCT/IL2019/050370 WO2019186571A1 (en) 2018-03-29 2019-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dry ey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739A true KR20200139739A (ko) 2020-12-14
KR102671817B1 KR102671817B1 (ko) 2024-05-31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12243A (zh) 2023-06-06
EP3773371A1 (en) 2021-02-17
US20190299016A1 (en) 2019-10-03
EP3773371A4 (en) 2022-01-05
WO2019186571A1 (en) 2019-10-03
US11285334B2 (en) 2022-03-29
CN111971004A (zh) 2020-11-20
CN111971004B (zh) 2023-04-18
US20220280799A1 (en) 2022-09-08
IL277201A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1004B (zh) 用于干眼症治疗的设备和方法
US5275593A (en) Ophthalmic surgery probe assembly
US202103693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light in ocular and periocular areas
JP6272889B2 (ja) 調節可能な照光開口を備えた照光式硝子体切除カッター
KR20120105552A (ko) 휴대용 의료 기기의 작동을 위한 핸드피스 손가락 스위치
US1195103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eyelids
JP2013519492A (ja) 可撓性を有する複数のファイバの手術プローブ
CA2325896A1 (en) Device for treating tissue volumes
US10842587B2 (en)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therapeutic ultrasound to treat spine and orthopedic diseases, injuries and deformities
KR102671817B1 (ko) 건조한 눈의 처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049483A (zh) 用于血管外科的激光手术器械
US20220118281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dry eyes
JP2024503342A (ja) ドライアイ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1540949B2 (en) Dry eye treatment system with disposable tip and corneal shield
AU2021412498A9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dry eyes
WO2022053980A1 (en) Dry eye treatment system with disposable tip and corneal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