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081A - 골절기구 - Google Patents

골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081A
KR20200139081A KR1020197036650A KR20197036650A KR20200139081A KR 20200139081 A KR20200139081 A KR 20200139081A KR 1020197036650 A KR1020197036650 A KR 1020197036650A KR 20197036650 A KR20197036650 A KR 20197036650A KR 20200139081 A KR20200139081 A KR 2020013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blade
file
ti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102B1 (ko
Inventor
나오후미 미야타니
가즈키 모리자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타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타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타니
Publication of KR2020013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1Guides therefor for corrective osteot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61B17/157Cutting tib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9Surgical rasps, files, planes, or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 A61B2017/565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for surgical correction of axial deviation, e.g. hallux valgus or genu valg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한번의 절제로 원하는 형상의 뼈를 제거하기 위하여 뼈의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골절기구(1)에 있어서, 소정의 예각으로 교차하는 상면판(12) 및 하면판(13)을 구비하는 쐐기형의 날 본체(10)로서, 상면판(12)과 하면판(13)이 교차하는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선단 톱날(11)과, 상면판(12)과 하면판(13)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된 줄(15)을 구비하고, 뼈에 접촉시킨 날 본체(10)를 폭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선단 톱날(11)에 접촉하는 뼈를 절단함과 아울러, 줄(15)에 접촉하는 뼈를 면연삭하여, 뼈를 쐐기형으로 절제하는 날 본체(10)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골절기구
본 발명은, 뼈를 절단하기 위한 골절기구(骨切器具)에 관한 것이다.
변형성 무릎관절증의 치료법으로서, 인공관절 치환술(人工關節 置換術)이나 고위 경골 골절술(高位 脛骨 骨切術)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에 사용되는 수술기구로서는, 하기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4에 개시된 절단기구나 안내 가이드, 고정치구 등이 제공되고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6095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55597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240695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7―46783호 공보
그런데 고위 경골 골절술에 있어서, 경골의 외측으로부터 뼈를 쐐기모양으로 절제하고, 뼈의 외측을 단축시켜서 교정하는 클로즈드 웨지법(closed wedge法)에서는, 뼈를 소정의 선단각도의 쐐기형으로 절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에는 골절 날을 사용하여 뼈를 소정의 각도로 두번 절단함으로써 쐐기형으로 잘라내고 있다.
그러나 골절 날을 정확한 절단위치 및 절단각도로 컨트롤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의사의 역량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위 경골 골절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환자에 대해서도, 의사의 역량부족에 의하여 고위 경골 골절술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번의 절제로 원하는 형상의 뼈를 제거할 수 있는 골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골절기구는, 뼈의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골절기구에 있어서, 소정의 예각으로 교차하는 상면판 및 하면판을 구비하는 쐐기형의 날 본체로서, 상기 상면판과 상기 하면판이 교차하는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선단 톱날과, 상기 상면판과 상기 하면판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된 줄을 구비하고, 상기 뼈에 접촉시킨 상기 날 본체를 폭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단 톱날에 접촉하는 상기 뼈를 절단함과 아울러, 상기 줄에 접촉하는 상기 뼈를 면연삭하여, 상기 뼈를 쐐기형으로 절제하는 날 본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골절기구에 의하면, 선단 톱날로 전방의 뼈를 절단하면서 줄로 면연삭함으로써, 한번의 절삭으로 뼈를 쐐기형으로 절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골절기구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골절기구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골절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날 본체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날 본체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날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날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4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골절기구(骨切器具)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골절기구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골절기구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골절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날 본체(blade body)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날 본체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날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날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4의 일부 확대도이다.
골절기구(1)는, 고속전동진동기구(1만 회전/분)인 뼈톱용 핸드피스(6)에 세트하여 사용되는 기구이다. 골절기구(1)는, 날 본체(10)와, 핸드피스(6)에 고정되는 고정용 접속 플레이트(30)를 구비하고 있다. 날 본체(10)와 고정용 접속 플레이트(30)는, 고정나사(35)에 의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날 본체(10)는, 상면판(12)과 하면판(13)이 선단에 있어서 소정의 예각(銳角)으로 교차하는 중공(中空)의 쐐기형상(3각기둥 형상)이고,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선단 톱날(11)과, 상면에 형성된 상면 줄(15)과, 상면 줄(15)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면 톱날(2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단 톱날(11)과 상면 줄(15)을 구비하는 날 본체(10)에 의하면, 선단 톱날(11)에 의하여 선단측에 위치하는 뼈를 절단하면서, 상면 줄(15)에 의하여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에 위치하는 뼈를 면연삭(面硏削)할 수 있어, 한번의 절단으로, 뼈로부터 쐐기형의 부분을 절제(切除)할 수 있다.
날 본체(10)의 선단 가장자리는 선단측으로 볼록한 원호모양이고, 선단 톱날(11)도 원호모양이다. 날 본체(10)가 그 폭방향, 즉 선단 톱날(11)의 연장방향으로 고속진동하면, 선단 톱날(11)이 접촉하는 부분의 뼈가 절단된다.
상면 줄(15)은, 상면판(12) 위에 정렬하여 설치된 다수의 줄날(16)로 구성되어 있어, 날 본체(10)가 폭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상면 줄(15)의 표면에 접촉되는 상방의 뼈를 면연삭한다.
상면 줄(15)은, 좌우방향(폭방향)으로 2개의 영역으로 2분할되어 있고, 가까운쪽에서 보아서 우측 반(도6에 있어서 상측 반)에 위치하는 제1줄부(17)와, 가까운쪽에서 보아서 좌측 반(도6에 있어서 하측 반)에 위치하는 제2줄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제1줄부(17)와 제2줄부(18)에서는, 경계부분을 제외하고 줄날(16)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제1줄부(17)에서는, 줄날(16)의 날 표면(16a)이 가까운쪽에서 보아서 좌측(폭방향 내측), 날 이면(16b)이 우측(폭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줄부(18)에서는, 줄날(16)의 날 표면(16a)이 가까운쪽에서 보아서 우측(폭방향 내측), 날 이면(16b)이 좌측(폭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계부분에서는, 줄날(16)의 방향은 교대로 반대로 되어 있다.
줄날(16)은, 주로 날 표면(16a)과 날 이면(16b)이 교차하는 예각의 모퉁이부가 날 이면(16b)측에서 뼈와 접촉할 때에 뼈를 절삭한다. 따라서 날 본체(10)가 가까운쪽에서 보아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주로 제1줄부(17)에 의하여 뼈를 연삭하고, 날 본체(10)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주로 제2줄부(18)에 의하여 뼈를 연삭한다.
이와 같이 상면 줄(15)을, 줄날(16)이 역방향으로 설치된 제1줄부(17)와 제2줄부(18)로 구성함으로써, 좌우 어느 쪽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도 상방의 뼈를 확실하게 연삭할 수 있다.
제1줄부(17)와 제2줄부(18)는, 한가운데 부근에서 좌우로 2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폭방향에 있어서 줄날(16)의 방향을 교대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하여 나누어도 좋다. 또한 줄날(16)의 방향을 랜덤하게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면판(12)에 있어서 선단 톱날(11)과 상면 줄(15)의 사이에는, 줄날(16)이 형성되지 않은, 즉 연삭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완충대(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뼈의 구조는, 표면측에 딱딱한 뼈인 피질골(皮質骨)이 위치하고 있고, 내측에 부드러운 뼈인 해면골(海綿骨)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선단 톱날(11)이 딱딱한 피질골을 절삭하고 있는 사이에, 상면 줄(15)도 동시에 피질골에 접촉되면 딱딱한 피질골을 면연삭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상면 줄(15)과 피질골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날 본체(10)가 폭방향으로 원활하게 진동할 수 없게 되어, 선단 톱날(11)에 의한 절삭에 방해가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질골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선단 톱날(11)과 상면 줄(15)의 사이에 길이가 2mm인 완충체(21)를 설치함으로써, 선단 톱날(11)이 딱딱한 피질골을 절삭하고 있는 사이에는, 상면 줄(15)이 피질골을 연삭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선단 톱날(11)에 의한 원활한 피질골의 절삭을 실현하고 있다.
또 완충대(21)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지만, 선단 톱날(11)에 의하여 양호하게 피질골을 절삭하기 위해서는, 피질골의 두께를 고려하여 완충대(21)의 길이는 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면판(12)은 하면판(13)에 대하여 소정의 선단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15°)로 경사져 있지만, 완충체(21)에서는, 상면판(12)은 하면판(13)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상면 톱날(20)의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완충체(21)와 상면 줄(15)의 경계부분인 상면 줄(15)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상면 톱날(20)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 톱날(20)은 선단 톱날(11)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원호모양이 아니라 직선모양이다.
상면 톱날(20)은, 상면 줄(15)을 구성하는 줄날(16)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하는 복수의 줄날(16)로 구성되어 있고, 최선단 줄날(16)의 선단측 날 측면(16c)과 날 표면(16a)이 교차하는 예각의 모퉁이부가 주로 뼈를 절삭한다.
이와 같이 상면 줄(15)의 선단에 상면 톱날(20)을 설치함으로써, 상면 줄(15)에 의한 면연삭에 앞서, 상면 톱날(20)에 의하여 상면 줄(15)이 접촉하는 부분이 절삭되기 때문에, 상면 줄(15)에 의한 면연삭을 보다 원활하고 민첩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날 본체(10)의 상면판(12), 하면판(13), 좌우 양측의 측면판(14)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골절기구(1)는 핸드피스(6)에 의하여 진동되기 때문에, 매우 경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날 본체(10)에 다수의 작은 구멍(22)을 형성함으로써 날 본체(10)의 경량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선단 톱날(11), 상면 줄(15) 및 상면 톱날(20)에 의하여 깎여진 뼈의 부스러기인 절분(切粉)은, 이 작은 구멍(22)을 통하여 중공인 날 본체(10)의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날 본체(10)의 후단측(가까운쪽)의 측면판(14)에는, 큰 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날 본체(10)의 하면은 크게 개구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고정용 접속 플레이트(30)의 삽입부(32)는 날 본체(10)의 하면의 장변방향 길이의 반 정도이기 때문에, 날 본체(10)의 하면은 선단측이 크게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날 본체(10)의 내부 중공으로 안내된 절분은, 후단의 측면판(14)의 개구(24)나 하면의 개구로부터 외부로 꺼내지기 때문에, 수술 중의 세정에 의한 절분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고정용 접속 플레이트(30)는, 날 본체(10)의 하면판(13)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삽입부(32)와, 핸드피스(6)에 고정되는 조인트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골절기구(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계속하여 골절기구(1)의 사용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골절기구(1)는, 조인트부(33)를 핸드피스(6)의 접속부에 고정하여 사용되며, 핸드피스(6)의 구동에 의하여 날 본체(10)가 폭방향으로 고속으로 진동한다.
고속진동상태인 날 본체(10)의 선단을 뼈에 접촉시키면, 선단 톱날(11)이 접촉하는 뼈를 절단한다. 이 상태로부터 날 본체(10)를 뼈의 내부로 더 전진시키면, 선단 톱날(11)이 뼈를 절단하면서 안쪽으로 나아가고, 계속하여 상면 톱날(20)과 함께 상면 줄(15)이 뼈와 접촉한다.
이때에 선단 톱날(11)은, 완충대(21)의 길이만큼 뼈의 내부로 나아가 있어, 통상 뼈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딱딱한 피질골을 통과하여 부드러운 내부의 해면골에 도달하고 있다.
뼈와 접촉한 상면 톱날(20)은, 날 본체(10)가 안쪽으로 나아감에 따라 피질골을 절단하면서 안쪽으로 나아간다. 계속하여 상면 줄(15)이 전방으로 비스듬한 상방에 위치하는 뼈에 면으로 접촉하고, 날 본체(10)가 안쪽으로 나아감에 따라, 접촉하는 뼈(피질골 및 해면골)를 진행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면으로 연삭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날 본체(10)가 안쪽으로 나아감에 따라, 선단 톱날(11)의 전방에서 접하는 뼈를 절단하면서, 상면판(12)에 형성된 상면 줄(15)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뼈를 면으로 깎기 때문에, 한번의 절삭으로 뼈를 쐐기형으로 절제할 수 있다.
또한 날 본체(10)는, 소정의 선단각도로 상면판(12)과 하면판(13)이 교차하고 있어, 뼈의 절제되는 부분은, 날 본체(10)의 쐐기형상과 대략 동일한 쐐기형상이 된다. 클로즈드 웨지법(closed wedge法)에 의하여 고위 경골 골절술(高位 脛骨 骨切術)에서는, 고정밀도로 원하는 쐐기형상으로 뼈를 제거할 필요가 있어, 절제부분의 선단각도가 어긋나 있으면 치료에 악영향을 준다. 또한 제거부분의 선단이 예각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뼈의 접합 자체가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날 본체(10)를 사용하여 1회 절삭하는 것만으로, 고정밀도로 원하는 쐐기형상으로 정확하게 뼈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시간을 단축하여 환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의사의 역량에 좌우되지 않아서, 고위 경골 골절술의 경험이 미천한 의사이더라도 양호한 수술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골절기구(1)를 제공할 때에는, 선단각도(상면판(12)과 하면판(13)의 교차각)가 다른 날 본체(10)를 복수 세트로 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위 경골 골절술에서는, 환자에 따라 뼈를 경사지게 하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뼈로부터 절제하는 쐐기형 부분의 선단각도도 다르다. 따라서 한번의 절제로 원하는 쐐기형 부분을 절제하기 위해서는, 절제하는 부분과 대략 동일한 선단각도를 갖는 날 본체(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선단각도가 6°, 10°, 12°, 15°인 날 본체(10)와, 1개의 고정용 접속 플레이트(30)를 세트로 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에 따라 날 본체(10)를 교환하여 고정용 접속 플레이트(30)에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골절기구(1)를 보다 많은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골절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형상이나 사이즈, 소재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줄을 날 본체의 상면에만 설치하였지만, 하면에만 설치하여도 좋고, 상면과 하면의 쌍방에 설치하여도 좋고, 상면과 하면 중 어느 일방에 줄을 설치함으로써, 한번의 절삭으로 쐐기형상의 절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날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면연삭을 실시하는 면연삭부재로서, 날 표면 및 날 이면을 갖는 다수의 줄날로 구성된 줄을 채용하였지만, 면연삭부재는 이러한 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면연삭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줄의 줄날로서는, 단면형상이 반원, 삼각형, 마름모꼴, 사각형의 날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날을 채용할 수 있고, 또한 면연삭부재로서 줄 이외의 숫돌, 사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골절기구는, 고위 경골 골절술에 한정되지 않으며, 뼈를 쐐기형으로 절제하는 수술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 골절기구
10 : 날 본체
11 : 선단 톱날
12 : 상면판
13 : 하면판
14 : 측면판
15 : 상면 줄
16 : 줄날
16a : 날 표면
16b : 날 이면
16c : 선단측 날 측면
17 : 제1줄부
18 : 제2줄부
20 : 상면 톱날
21 : 완충대
22 : 작은 구멍
24 : 개구
30 : 고정용 접속 플레이트
32 : 삽입부
33 : 조인트부
35 : 고정나사
6 : 핸드피스

Claims (5)

  1. 뼈의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골절기구(骨切器具)에 있어서,
    소정의 예각(銳角)으로 교차하는 상면판 및 하면판을 구비하는 쐐기형의 날 본체(blade body)로서,
    상기 상면판과 상기 하면판이 교차하는 선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선단 톱날과,
    상기 상면판과 상기 하면판 중 적어도 일방(一方)의 표면에 형성된 줄(file)을
    구비하고,
    상기 뼈에 접촉시킨 상기 날 본체를 폭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단 톱날에 접촉하는 상기 뼈를 절단함과 아울러, 상기 줄에 접촉하는 상기 뼈를 면연삭(面硏削)하여, 상기 뼈를 쐐기형으로 절제하는 날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이 형성된 면에 있어서, 상기 톱날과 상기 줄의 사이에 1mm 이상의 날이 존재하지 않는 완충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은, 상기 상면판의 표면에만 형성된 상면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줄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면 톱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톱날은, 상기 상면 줄을 구성하는 줄날에 의하여 겸용(兼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구.
KR1020197036650A 2018-04-03 2019-03-11 골절기구 KR102616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1621A JP6975458B2 (ja) 2018-04-03 2018-04-03 骨切り器具
JPJP-P-2018-071621 2018-04-03
PCT/JP2019/009589 WO2019193929A1 (ja) 2018-04-03 2019-03-11 骨切り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81A true KR20200139081A (ko) 2020-12-11
KR102616102B1 KR102616102B1 (ko) 2023-12-19

Family

ID=6810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50A KR102616102B1 (ko) 2018-04-03 2019-03-11 골절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75458B2 (ko)
KR (1) KR102616102B1 (ko)
CN (1) CN110799139A (ko)
WO (1) WO201919392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5597A (ja) 2010-09-13 2012-03-22 Ryutaku Kaneyama 人工膝関節置換手術時に使用される骨切除治具
JP2013240695A (ja) 2006-06-12 2013-12-05 Smith & Nephew Inc 脛骨切除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JP2015016095A (ja) 2013-07-10 2015-01-29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骨切り用手術器械
US20150057759A1 (en) * 2013-08-20 2015-02-26 New York University Medial tibial plateau realignment procedure for medial osteoarthritis of the knee
JP2017046783A (ja) 2015-08-31 2017-03-09 HOYA Technosurgical株式会社 開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1357B1 (en) * 1997-02-12 2002-10-08 Oratec Interventions, Inc. Electrode for electrosurgical ablation of tissue
US6008433A (en) * 1998-04-23 1999-12-28 Stone; Kevin R. Osteotomy wedge device, kit and methods for realignment of a varus angulated knee
US6905290B1 (en) * 2003-09-22 2005-06-14 Andrew Casciato, Jr. Hand rasp with groove blade and adjustable guide for scoring construction material
US8142460B2 (en) * 2005-04-15 2012-03-27 Integra Lifesciences (Ireland) Ltd. Bone abrading ultrasonic horns
US8939981B1 (en) * 2009-03-30 2015-01-27 Keith Richard Anderson Surgical saw blade for wedge osteotomies
US8888784B1 (en) * 2012-08-29 2014-11-18 Christopher B. Murphy Dual bladed surgical saw and method of use
WO2014147099A1 (en) * 2013-03-18 2014-09-25 Claes Antoon Surgical device for proper orientation during osteotomy
CN204233180U (zh) * 2014-09-27 2015-04-01 张清波 一种骨科锉刀
CN105167819A (zh) * 2015-09-25 2015-12-23 海南省万宁市人民医院 髌骨成形锉
CN106821462A (zh) * 2015-12-03 2017-06-13 重庆中邦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骨科手术刀
CN207055522U (zh) * 2017-02-25 2018-03-02 刘光平 一种骨科手术刀锯
JP6431641B1 (ja) * 2018-08-22 2018-11-28 株式会社ミヤタニ 骨切り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0695A (ja) 2006-06-12 2013-12-05 Smith & Nephew Inc 脛骨切除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JP2012055597A (ja) 2010-09-13 2012-03-22 Ryutaku Kaneyama 人工膝関節置換手術時に使用される骨切除治具
JP2015016095A (ja) 2013-07-10 2015-01-29 オリンパステルモバイオマテリアル株式会社 骨切り用手術器械
US20150057759A1 (en) * 2013-08-20 2015-02-26 New York University Medial tibial plateau realignment procedure for medial osteoarthritis of the knee
JP2017046783A (ja) 2015-08-31 2017-03-09 HOYA Technosurgical株式会社 開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99139A (zh) 2020-02-14
JP6975458B2 (ja) 2021-12-01
WO2019193929A1 (ja) 2019-10-10
JP2019180541A (ja) 2019-10-24
KR102616102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5663B2 (en) Surgical saw blade for wedge osteotomies
EP1729649B1 (en) Bone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JP6431641B1 (ja) 骨切り器具
US9421028B2 (en) Ultrasonic osteotome
US20070073303A1 (en) Bone-cutting circular saw
ATE362733T1 (de) Chirurgische ultraschallklinge zum schneiden und koagulieren
JP6099021B2 (ja) ソノトロード
WO2006017066A3 (en) Surgical sagittal saw and method of using same
JP6263204B2 (ja) 医療用工具システム
US11857199B2 (en) Surgical saw system including a reciprocating saw blade cartridge
De Castro et al. Self-irrigating piezoelectric device in orbital surgery
WO2020240889A1 (ja) 骨切除器具
US20080312658A1 (en) Bone-shaping tools
JP6281759B2 (ja) 骨切り用手術器械
KR20200139081A (ko) 골절기구
JP6980658B2 (ja) 骨切り用手術器械
US20230190304A1 (en) Medical cutting devices having a working blade body with static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200446835Y1 (ko) 치과시술용 절삭 팁
Kim et al. The application of an ultrasonic bone aspirator for septoturbinoplasty
WO2017106093A1 (en) Surgical sagittal saw blade with stop teeth that are interleaved with the blade cutting teeth
PL225293B1 (pl) Narzędzie medyczne do usuwania chrząstki stawowej
Tsao SAW TECHNIQUE
CN208822873U (zh) 一种胫骨高位截骨术截骨定位器
JP2020192314A (ja) 骨切除器具
KR20230170983A (ko) 콘드로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