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036A -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036A
KR20200139036A KR1020190065592A KR20190065592A KR20200139036A KR 20200139036 A KR20200139036 A KR 20200139036A KR 1020190065592 A KR1020190065592 A KR 1020190065592A KR 20190065592 A KR20190065592 A KR 20190065592A KR 20200139036 A KR20200139036 A KR 20200139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rib
seating space
fastening devic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광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036A/ko
Publication of KR2020013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입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11)와 연통되게 내부에 안착공간(12)을 가지는 베이스(10)와, 상기 입구부(11)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공간(12)에 안착되는 체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11)와 안착공간(12)은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안착공간(12)의 바닥인 안착면(12')에 안착되어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체결구(20)에 상대물이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구의 헤드부에 리브수용홈 및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베이스의 안착면에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이탈방지리브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가 상기 베이스에 삽입된 경로를 통해서 다시 빠지지 않고 고정상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결장치{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장치에 삽입되는 볼트 또는 너트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 전기부품이 많이 사용되면서, 자동차의 내부에 다양한 전장블럭이 내장되고 있다. 이러한 블럭은 자동차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부의 각 부분으로 분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블럭의 내부에는 전장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버스바를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사용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블럭에 형성된 체결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도 1은 종래의 체결장치(1)에 체결구(20)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체결구(20)는 베이스(10)의 안착공간(12)에 안착되어 버스바와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차량용 블럭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12)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입구부(11)를 통해서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면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안착공간(1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안내리브(14)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12)으로 안내된다. 상기 체결구(20)는 헤드부(23)가 상기 안내리브(14)에 걸려서 상기 체결구(20)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안내리브(14)에 형성된 고정돌기(14')에 상기 체결구(20)의 걸림단(22)이 걸어져서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었던 경로를 통해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베이스(10)에 안착되며, 복수의 버스바들을 연결시키거나 외부 단자와 차량용 블럭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를 연결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체결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입구부(11)를 통해 삽입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상기 안내리브(14)에 형성된 고정돌기(14') 이외에 추가적인 고정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베이스(10)에 조립된 상태의 차량용 블럭이 다른 업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10)의 안착공간(12)에서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입구부(11)를 통해서 이탈된 상태의 차량용 블럭이 도착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구가 베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고정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으로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와 연통되게 내부에 안착공간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입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와 안착공간은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인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체결구에 상대물이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상대물과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의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안착공간을 향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리브는 상기 안착공간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일면을 지지한다.
상기 체결구의 헤드부에는 상기 안착면에 상기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게 상기 헤드부를 가로지르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루브 형태의 리브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수용홈의 내측에는 상기 헤드부의 표면과 같은 평면을 이루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리브와 간섭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헤드부의 외면을 향하되, 상기 걸림단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들림경사면과, 상기 들림경사면이 형성된 맞은편에 상기 리브수용홈의 바닥면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면을 포함한다.
상기 리브수용홈 내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이탈방지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안착공간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입구부를 향해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안내리브에는 상기 안착공간을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과 간섭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는 상기 안착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입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공간을 향해서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구의 헤드부에 리브수용홈 및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베이스의 안착면에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이탈방지리브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가 상기 베이스에 삽입된 경로를 통해서 다시 빠지지 않고 고정상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구의 헤드부에는 리브수용홈과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헤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구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체결구가 베이스의 안착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체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체결장치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주요특징부A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I-I'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특징부A의 단면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체결구의 헤드부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체결장치의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체결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체결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0)에는 체결구(20)가 조립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체결구(20)가 안착될 수 있으면 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차량 내 프레임 간의 조립 또는 차량용 블럭 내 복수의 버스바 조립 등 체결구(20)가 조립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면 된다. 다만, 상기 베이스(10)는 소정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10)에는 입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입구부(11)와 일체로 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11)를 통해서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어 상기 안착공간(12)에 안착된다.
상기 입구부(11)와 안착공간(12)은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20)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체결구(20)에 상대물이 결합된다.
상기 입구부(11)는 상기 베이스(10)의 외부와 안착공간(12)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상기 입구부(11)는 상기 안착공간(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입구부(1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공간(12)을 향해서 안내경사면(11')이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11)의 폭이 넓게 형성된 것과 상기 안내경사면(11')은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안착공간(12)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안착공간(12)은 안착면(12')을 가진다. 상기 안착면(12')은 상기 안착공간(1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면(12')은 뒤에서 설명될 상기 체결구(20)의 헤드부(23)를 지지한다.
상기 안착면(12')에는 상기 안착공간(12)을 향해서 이탈방지리브(13)가 돌출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3)는 상기 안착공간(1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3)는 여러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구(20)의 삽입방향 및 상기 안착공간(12)의 폭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3)에는 뒤에서 설명될 상기 체결구(20)의 헤드부(23)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5)가 걸어져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입구부(11)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3)의 단면형상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리브(13)의 단면형상은 상기 입구부(11) 쪽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공간(12)의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안내리브(14)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체결구(20)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안착공간(1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입구부(11)를 향해서 길게 연장되는 안내리브(14)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14)는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안착공간(12)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안내리브(14)는 상기 체결구(20)와 간섭되어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체결구(20)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안내리브(14)에는 상기 안착공간(12)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고정돌기(14')가 돌출된다. 상기 고정돌기(14')는 상기 체결구(20)와 간섭되어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입구부(11) 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돌기(14') 역시 상기 이탈방지리브(13)와 마찬가지로, 상기 입구부(11) 쪽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4')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0)는 체결부(21), 걸림단(22) 및 헤드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20)는 볼트 또는 너트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구(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형상을 가지면, 상기 체결부(21)가 원기둥형상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체결구(20)가 너트형상(미도시)을 가지면, 상기 체결부(21)는 상기 걸림단(22)과 헤드부(23)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로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21)는 버스바 또는 터미널 등 상대물과 결합된다.
상기 걸림단(22)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이다. 상기 걸림단(22)은 상기 한 쌍의 안내리브(14)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안내리브(14)에 형성된 고정돌기(14')와 간섭하여 고정된다.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걸림단(22)과 일체로 헤드부(23)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23)는 상기 걸림단(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헤드부(23)의 형상에 따라서 볼트 또는 너트의 명칭이 달라진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체결구(20)의 헤드부(23) 형상이 사각형이므로 사각볼트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헤드부(23)는 일면이 상기 안착면(12')에 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23)의 외면에는 리브수용홈(24)이 상기 헤드부(23)를 가로지르도록 그루브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수용홈(24)은 상기 이탈방지리브(13)의 위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수용홈(24)은 상기 이탈방지리브(13)가 가지는 폭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는 상기 이탈방지리브(13)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수용홈(24)은 상기 체결구(20)를 상기 안착공간(12)으로 안내하는 일종의 가이드이다. 상기 리브수용홈(24)은 상기 체결구(20)의 헤드부(23)가 상기 이탈방지리브(13)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안착공간(12)에 안착되게 안내한다. 상기 리브수용홈(24)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례와 같이, 상기 체결구(20)의 헤드부(23)가 사각형상을 가지면, 상기 리브수용홈(24)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수용홈(24)은 상기 헤드부(23)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리브수용홈(24)이 서로 평행하게 여러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체결구(20)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베이스(10)의 안착공간(12)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리브수용홈(24)의 내측에는 이탈방지돌기(25)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5)는 상기 리브수용홈(24)의 내측에서부터 상기 헤드부(23)의 표면과 같은 평면을 이루도록 돌출된다.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안착공간(12)에 안착되면 상기 이탈방지돌기(25)와 이탈방지리브(13)가 서로 걸어지고,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안착공간(12)에 고정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5)는 하나의 리브수용홈(24)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5)에는 상기 헤드부(23)의 외면을 향해서 들림경사면(25a)이 형성된다. 상기 들림경사면(25a)은 상기 걸림단(22)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이탈방지돌기(25)가 상기 이탈방지리브(13)를 타고 넘어가기 용이해진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5)에는 상기 들림경사면(25a)이 형성된 맞은편에 이탈방지면(25b)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면(25b)은 상기 이탈방지돌기(25)와 상기 리브수용홈(24)의 바닥면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면(25b)이 상기 이탈방지리브(13)에 걸어져서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입구부(11) 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리브수용홈(24) 내에 상기 이탈방지돌기(25)가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25)는 상기 이탈방지면(25b)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체결구(20)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베이스(10)의 안착공간(12)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체결구(20)와 베이스(10)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리브(1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0)의 삽입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모습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탈방지리브(13)는 상기 안착면(12')에 다양한 배치 및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체결구(20)를 상기 헤드부(23) 위에 상기 걸림단(22)이 위치한 형상이 되도록 배치한다. 작업자가 상기 체결구(20)를 상기 입구부(11)로 밀어 넣으면,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입구부(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내경사면(11')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안착공간(12)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걸림단(22)은 상기 한 쌍의 안내리브(1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부(23)는 상기 안착면(12')과 안내리브(14)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23)에 형성된 상기 리브수용홈(24)의 내측으로 상기 제1이탈방지리브(13a)가 진입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안착공간(12)의 내측으로 더욱 삽입된다.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안착공간(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단(22)은 상기 고정돌기(14')에 간섭되며, 상기 헤드부(23)의 이탈방지돌기(25)는 상기 제1,제2이탈방지리브(13a,13b)와 간섭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걸림단(22)은 상기 고정돌기(14')를 상기 헤드부(23)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안착공간(12) 내로 진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단(22)은 원반형상이고, 상기 고정돌기(14')는 반원형상을 가지므로 비교적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상기 걸림단(22)은 상기 고정돌기(14')를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돌기(25)는 상대적으로 상기 입구부(11)와 가까운 상기 제1이탈방지리브(13a)에 먼저 간섭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5)의 들림경사면(25a)은 상기 걸림단(22)을 향해서 경사지므로 이탈방지돌기(25)가 상기 제1이탈방지리브(13a)를 타고 올라갔다가, 상기 체결구(20)가 상기 안착공간(12) 내로 계속해서 진입되면서 상기 이탈방지돌기(25)는 상기 제1이탈방지리브(13a)를 완전히 넘어가진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5)가 상기 제1이탈방지리브(13a)를 타고 넘어가면, 상기 리브수용홈(24)은 상기 제1이탈방지리브(13a)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25)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2이탈방지리브(13b)를 상기 제1이탈방지리브(13a)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타고 넘어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돌기(25)가 상기 제2이탈방지리브(13b)를 넘어가면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안착공간(12)에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안내리브(14)에 의해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체결구(20)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걸림단(22)은 상기 고정돌기(1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헤드부(23)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돌기(25)의 이탈방지면(25b)이 상기 이탈방지리브(13)에 걸어지므로 상기 체결구(20)는 상기 체결구(20)의 삽입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체결장치 10 : 베이스
11 : 입구부 11' : 안내경사면
12 : 안착공간 12' : 안착면
13 : 이탈방지리브 13a : 제1이탈방지리브
13b : 제2이탈방지리브 14 : 안내리브
14' : 고정돌기 20 : 체결구
21 : 체결부 22 : 걸림단
23 : 헤드부 24 : 리브수용홈
25 : 이탈방지돌기 25a : 들림경사면
25b : 이탈방지면

Claims (9)

  1. 일측으로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와 연통되게 내부에 안착공간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입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와 안착공간은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안착공간의 바닥인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체결구에 상대물이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상대물과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의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체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안착공간을 향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리브는 상기 안착공간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일면을 지지하는 체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헤드부에는 상기 안착면에 상기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게 상기 헤드부를 가로지르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루브 형태의 리브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수용홈의 내측에는 상기 헤드부의 표면과 같은 평면을 이루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리브와 간섭되는 체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헤드부의 외면을 향하되, 상기 걸림단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들림경사면과,
    상기 들림경사면이 형성된 맞은편에 상기 리브수용홈의 바닥면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면을 포함하는 체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수용홈 내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이탈방지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체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안착공간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입구부를 향해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리브가 형성되는 체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내리브에는 상기 안착공간을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과 간섭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체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안착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입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공간을 향해서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체결장치.
KR1020190065592A 2019-06-03 2019-06-03 체결장치 KR20200139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92A KR20200139036A (ko) 2019-06-03 2019-06-03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92A KR20200139036A (ko) 2019-06-03 2019-06-03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036A true KR20200139036A (ko) 2020-12-11

Family

ID=7378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592A KR20200139036A (ko) 2019-06-03 2019-06-03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90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4158B2 (ja) 電気コネクタ取付け用枠体及び電気コネクタ接続装置
KR100550296B1 (ko) 정션박스
JPH0637581Y2 (ja) コネクタにおける端子金具の係止機構
GB227059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ouble-lock contacts and bolt securing arrangement
KR20200139036A (ko) 체결장치
US20040192108A1 (en) Contact stabilization by means of a primary latch reinforcement component
KR100804262B1 (ko)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WO2016203588A1 (ja) コネクタ
CN108767779B (zh) 电气接线箱
US5489219A (en) Self-retaining board lock
JP2007104815A (ja) 箱体固定構造
JP3681586B2 (ja) 電気接続箱のバッテリーへの組付け構造
KR20180135733A (ko) 체결장치
JP2006271130A (ja) 電気接続箱
KR20090004141U (ko) 박스의 대전류단자용 너트설치구조
JPH10326635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KR20220065502A (ko)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록
US6190200B1 (en) Lamp holder base and attachment method
US5567182A (en) Ultra multiple connector
KR102429531B1 (ko) 메일 커넥터
JP2001186630A (ja) 電気接続箱
JP3364872B2 (ja) 端子保護カバー
JP7400004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をプラグ本体に固定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プリント回路基板をプラグ本体に固定する方法
US9263816B1 (en) Retention member for use with an electrical junction box
US5080612A (en) Electrical app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