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523A -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523A
KR20200138523A KR1020190063954A KR20190063954A KR20200138523A KR 20200138523 A KR20200138523 A KR 20200138523A KR 1020190063954 A KR1020190063954 A KR 1020190063954A KR 20190063954 A KR20190063954 A KR 20190063954A KR 20200138523 A KR20200138523 A KR 2020013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hamber
air
pinwheel
flow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427B1 (ko
Inventor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이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빈 filed Critical 이수빈
Priority to KR102019006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4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8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entrifugal separation, e.g. using vort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24F2003/163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8Rad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류나 와류를 발생시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 시켜 효율 높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밀이 유지되는 한정된 공간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입구(110) 및 출구(120)가 형성되며, 내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재(130)가 마련된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 내의 입구(110) 측에 마련되어 공기의 흐름에 따라 무동력으로 회전하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치 이하인 경우 동력으로 강제 회전시켜 하류에서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바람개비(210)를 포함하는 비정상류부(200)와; 상기 챔버(100) 내의 출구(120) 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100) 내의 공기를 출구(120) 밖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고정압 송풍팬(310)을 포함하는 정상류부(300)로 구성되어, 지하철 역사나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대한 공조 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미세먼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ing precursor of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류나 와류를 발생시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 시켜 효율 높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써, 지하철 역사나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대한 공조 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미세먼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미세먼지의 폐해로부터 건강을 고려하는 단계로 진화됨에 따라 환기에 대한 의식수준이 유럽수준으로 높아지면서 다양한 형태로 공기질을 높이기 위한 공조장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국내외적으로 미세먼지의 심각성이 다양한 언론 매체를 통하여 강조되고 있어, 향후 유럽기준 F7급의 미세먼지 처리용 필터에 대한 시장규모가 폭발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단지 공조장치 내에 비교적 여과 성능이 떨어지는 G4 등급의 필터만을 부착하는 수준으로, 겨우 법적 요구 조건만을 충족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공장에 적용되는 정도의 낮은 수준으로 유럽 권장 기준보다 3단계나 하향된 기준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건강과 연계하여 인식할 경우 F7급 미세먼지 처리 필터를 요구할 것은 자명하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나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실내에 신선한 외기를 급기하는 동시에 오염된 내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하여 공조설비가 마련된다.
도 1은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종래의 공조설비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2는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종래의 공조설비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종래의 공조설비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상으로 연결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급기구(1) 및 배기구(2)가 마련되어 있으며, 통상 하나의 대용량 송풍팬(10)을 이용하여 각 층별로 급기나 배기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조절하기 어려워 항상 대용량의 송풍팬(10)을 가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소음이 크고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최근 들어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 오염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외기는 다량의 미세먼지를 포함하고 있어, 이와 같이 미세먼지를 포함한 외기를 여과 없이 단순히 지하 구조물 내에 급기하거나, 일반적인 필터로 여과시켜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미세먼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공기를 급기할 수 없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난류나 와류를 발생시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 시켜 효율 높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지하철 역사나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대한 공조 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미세먼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밀이 유지되는 한정된 공간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내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재가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입구 측에 마련되어 공기의 흐름에 따라 무동력으로 회전하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치 이하인 경우 동력으로 강제 회전시켜 하류에서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바람개비를 포함하는 비정상류부와; 상기 챔버 내의 출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출구 밖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고정압 송풍팬을 포함하는 정상류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비정상류부는, 상기 바람개비의 하류에 위치하여 단면 형상을 통해 배면에서 와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게다가, 상기 비정상류부는, 상기 챔버의 입구에 마련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음극 대전체와, 상기 바람개비를 중심으로 테두리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내측면과 함께 와류 공간을 형성하는 와류 형성 에어 배플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상류부는, 상기 여과부재의 하류 측에 위치하여 중앙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테이퍼진 집중 에어 배플과, 상기 집중 에어 배플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인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비정상류부와 상기 정상류부에는 압력, 이산화탄소 농도, Nox 농도, 라돈 농도, 미세먼지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재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정상류부의 송풍팬은 열과 행을 이루어 다수개가 배치되어, 다수개의 송풍팬 중 일부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난류나 와류를 발생시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 시켜 효율 높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지하철 역사나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대한 공조 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미세먼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종래의 공조설비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2는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종래의 공조설비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대한 일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4는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5는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베인 및 와류 형성 에어 배플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있어서 송풍팬의 배열을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송풍팬 중 일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대한 일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며, 도 4는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도 5는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베인 및 와류 형성 에어 배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있어서 송풍팬의 배열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송풍팬 중 일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는 난류나 와류를 발생시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 시켜 효율 높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지하철 역사나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대한 공조 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미세먼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밀이 유지되는 한정된 공간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입구(110) 및 출구(120)가 형성되며, 내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재(130)가 마련된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 내의 입구(110) 측에 마련되어 공기의 흐름에 따라 무동력으로 회전하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치 이하인 경우 동력으로 강제 회전시켜 하류에서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바람개비(210)를 포함하는 비정상류부(200)와; 상기 챔버(100) 내의 출구(120) 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100) 내의 공기를 출구(120) 밖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고정압 송풍팬(310)을 포함하는 정상류부(30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는 기본적으로 한정된 공간인 챔버(100)를 포함하며, 이러한 챔버(100) 내에 여과부재(130)를 기준으로 양분되어 비정상류부(200) 및 정상류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챔버(100)는 도 3과 같이 기밀이 유지되는 한정된 공간으로서, 별도의 구조물이어도 좋고, 지하 구조물 내에 존재하는 격리된 공간이어도 좋을 것이다.
이러한 챔버(100)는 통상 육면체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상기 챔버(100)의 어느 일측에 입구(110)가 형성되며, 이 입구(110)가 형성된 반대편에 서로 마주보도록 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챔버(100)는 입구(110) 및 출구(120)를 제외하고 기밀이 유지될 것이다.
이에 따라, 도 3에 있어서는 도면상 우측의 상기 입구(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챔버(100) 내로 들어올 수 있으며, 도면상 좌측의 상기 출구(120)를 통해 챔버(100) 밖으로 공기가 빠져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챔버(100)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110)가 출구(120)에 비해 약간 작거나 거의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며, 대략 동일한 높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챔버(100)의 대략 중간에는 도 3과 같이 내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재(130)가 마련된다.
상기 여과부재(130)는 예를 들어 프리필터로서, 특히 물 세척이나 진공 세척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성능 저하가 거의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여과부재(130)는 주름진 형태로 제작되어 내부 청소 시에 이동이 용이하되 신축성이 높고 특히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다는 이점을 지닌다.
따라서 상기 챔버(100)의 내부는 상기 여과부재(130)를 기준으로 도면상 좌우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재(130)를 기준으로 하여 입구(110) 측의 공간에는 비정상류부(200)가 마련되고, 상기 여과부재(130)를 기준으로 하여 출구(120) 측의 공간에는 정상류부(300)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지하철 역사 등의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 수직하게 마련되는 급기구(1) 또는 배기구(2) 인근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급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고자 할 때에는 도 4 및 도 5의 좌측에 도시한 챔버(100)와 같이 입구(110)가 지하 구조물의 급기구(1)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미세먼지가 제거된 신선한 공기는 출구(120)로부터 지하 구조물 내의 승강장, 대합실, 역무실 등으로 보내져 ISO 16890 필터기준 ePM1 등급의 플리머필터를 내장한 디퓨저 등을 통해 급기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반대로, 지하 구조물의 배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대기 중에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도 4 및 도 5의 우측에 도시한 챔버(100)와 같이 출구(120)가 지하 구조물의 배기구(2)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를 여과한 공기를 지하 구조물로부터 대기 중에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비정상류(unsteady flow)부(200)는 도 3과 같이 챔버(100)의 입구(110)로부터 여과부재(13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개비(21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바람개비(210)는 비정상류부(200)에 있어서 입구(110)의 바로 내측에 위치하며, 이러한 바람개비(210)는 소정 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챔버(100) 내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람개비(210)는 유선형 프로펠러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동시에,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구동모터(21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챔버(100) 내의 공기 흐름에 따라 무동력으로 스스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술한 여과부재(130)에 미세먼지가 누적되어 챔버(100) 내부의 정압이 저하됨으로써, 상기 바람개비(210)가 스스로 회전이 불가능하여 점차 회전속도가 감소되는 경우, 즉, 상기 바람개비(210)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211)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력으로 강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람개비(210)가 무동력에서 동력으로 전환되는 회전속도는 상기 바람개비(210) 후류에서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을 정도의 회전속도가 될 것이다.
그 결과, 상기 바람개비(210)는 무동력으로 또는 경우에 따라 동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하류에서는 난류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람개비(210)의 설치 높이는 대략 상기 챔버(100)의 입구(110) 높이에 상응하면 좋을 것이며, 상기 바람개비(210)의 표면에는 광촉매로 코팅되어 있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광촉매는 광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특히 상기 바람개비(210)의 회전에 의해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를 산화 분해하는 기능이 향상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환경 오염원을 제거하고 항균, 탈취하는 등의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광촉매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에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비정상류부(200)의 바람개비(2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바람개비(210) 주변 및 후류에서는 난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는 그 입자가 조대화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개비(210)를 포함한 비정상류부(200)에서는 난류를 발생시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조대화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는 상술한 여과부재(130)에서 모두 여과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재(130)에 의해 걸러져 바닥으로 쌓이는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는 관리자에 의해 주기적으로 물 세척이나 진공 세척으로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챔버(100)의 입구(1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비정상류부(200) 및 여과부재(130)를 통과한 후, 정상류부(300)로 유입되며, 이때, 상기 여과부재(130)는 공기 통과 면적이 넓기 때문에 미세먼지에 의한 막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정압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상류(steady flow)부(300)는 도 3과 같이 여과부재(130)로부터 출구(1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송풍팬(310)이 기본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정상류부(300)에 마련되는 송풍팬(310)은 하나의 대용량 팬보다는 소용량 고정압으로 가급적 다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송풍팬(310)은 자동 제어되거나, 수동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개별 또는 전체로 온이나 오프로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농도, 라돈 농도, NOx 농도, 미세먼지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재(201, 301)와 연계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송풍량을 증감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송풍팬(310)은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상기 챔버(100)의 출구(120) 인근에 마련될 수 있으나,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120)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 결과, 상기 송풍팬(310)의 동작에 따라 챔버(100) 내부의 공기는 출구(120)를 통해 강제 배출되며, 이때, 상기 챔버(100) 내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챔버(100)의 입구(110)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챔버(100) 내에서는 지속적인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가 여과되어 챔버(100)의 출구(120)로 강제 배출되는 공기는 지하 구조물 내의 다양한 장소로 공급되어 디퓨저를 통해 급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는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에 난류를 발생시켜 입자를 조대화시킴으로써, 입자가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손쉽게 여과시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기타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정상류부(200)에서 와류를 추가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류부(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람개비(210)의 하류에 위치하여 단면 형상을 통해 배면에서 와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가이드 베인(2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가이드 베인(220)은 그 배면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평판이나 구부러진 판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어, 단순히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깔때기 형상이어도 좋고, 이와 다르게 상기 가이드 베인(220)은 상기 입구(110)를 향하여 오목하고 상기 출구(120)를 향하여 볼록하게 원호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인(220)의 형상은 상기 입구(110)를 향하여 볼록하고 상기 출구(120)를 향하여 오목하도록 대략 원호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베인(220)의 배면에서는 와류가 효과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개비(210) 및 가이드 베인(220)을 포함한 비정상류부(200)에서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에 난류는 물론 와류를 발생시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조대화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는 상술한 여과부재(130)에서 보다 효율 높게 여과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에 있어서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 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추가로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류부(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0)의 입구(110)에 마련되는 자외선 램프(230)와, 상기 자외선 램프(230)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음극 대전체(240)와, 상기 바람개비(210)를 중심으로 테두리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100)의 내측면과 함께 와류 공간을 형성하는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상류부(300)는, 상기 여과부재(130)의 하류 측에 위치하여 중앙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테이퍼진 집중 에어 배플(320)과, 상기 집중 에어 배플(320)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인 필터(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상기 비정상류부(200)에는 챔버(100)의 입구(110)와 여과부재(130) 사이에는 자외선 램프(230), 음극 대전체(240), 그리고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자외선(UV) 램프(230)는 전원 공급에 따라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램프로서, 상기 챔버(100)의 입구(110)로 들어오는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짧은 시간 내에 대부분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외선 램프(230)는 입구(110)의 전체 단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도록 다수의 행을 이루거나 혹은 다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앞서 설명한 바람개비(210)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촉매로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자외선 램프(230)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기 바람개비(210)에 코팅되어 있는 광촉매가 보다 활발하게 반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음극 대전체(240)는 상기 자외선 램프(230)의 사이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대전체로서 (-)전하를 띠도록 대전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음극 대전체(24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가 (-)전하를 띠도록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가이드 베인(220)은 양극, 즉 (+)전하로 대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도 7에 있어서 ⓒ부분에서는 상기 가이드 베인(220)의 오목한 배면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동시에, (-)전하를 띠고 있는 미세먼지가 (+)전하로 대전되어 있는 가이드 베인(220)의 오목한 배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입구(110)를 통해 챔버(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도 7에 표시한 ⓐ부분에서 자외선 램프(230)에 의해 살균 소독되는 동시에 (-)전하로 대전된 후, (+)전하의 가이드 베인(220)에 효과적으로 흡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은 상술한 바람개비(210)를 중심으로 테두리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0)의 내면과 함께 와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가이드 베인(220)의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은 기본적으로 상기 챔버(100) 내부를 상하로 연결하며 서로 소정 간극을 유지하는 2겹의 수직면(251, 252)과, 상기 두 수직면(251, 252)으로부터 입구(110) 측을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면(253)과, 상기 연장면(253)으로부터 양측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테이퍼면(254)과, 상기 두 수직면(251, 252)과 평행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면(255)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술한 바람개비(210) 및 가이드 베인(220)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 및 유속 변화에 의해 도 7에 있어서 ⓑ부분에서 상기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 내로 들어가게 되어 와류를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보다 조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두 수직면(251, 252) 중 상류측에 위치하는 수직면(251)에는 비교적 큰 직경의 여과공(251a)이 다수 형성되며, 하류측에 위치하는 수직면(252)에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여과공(252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 내로 들어온 공기는 와류를 형성하여 미세먼지나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 시킨 후, 두 여과공(251a, 252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을 빠져나가게 된다.
즉, 큰 직경의 여과공(251a)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비교적 큰 입자의 미세먼지를 걸러낸 후, 작은 직경의 여과공(252a)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작은 입자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게 된다.
다음으로, 정상류부(300)에는 도 7과 같이 추가적으로 집중 에어 배플(320) 및 메인 필터(330)가 마련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정상류부(300)에 있어서 챔버(100)의 전체 단면적에 비해 출구(120)나 송풍팬(310)의 단면적이 좁기 때문에, 집중 에어 배플(320)은 상기 여과부재(130)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팬(310)을 향하여 모아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집중 에어 배플(320)은 상기 여과부재(130)의 하류 측에 위치하여 중앙을 향하여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중 에어 배플(320)의 끝단 내에 상술한 송풍팬(310)의 입구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내부 단면적이 축소된 집중 에어 배플(320)의 중앙에는 상기 집중 에어 배플(320)을 가로질러 메인 필터(330)가 배치된다.
상기 메인 필터(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재(130)에서 미세먼지를 1차적으로 제거한 공기에 대하여 도 7에 있어서 ⓔ부분에서는 2차적으로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메인 필터(330)는 상술한 여과부재(130)에 비해 보다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는 높은 등급의 필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메인 필터(330)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다시 한 번 여과된 공기는 도 7에 있어서 ⓕ부분에서 송풍팬(310)에 의해 챔버(100)의 출구(120) 밖으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상류부(300)의 송풍팬(310)은 열과 행을 이루어 다수개가 배치되어, 다수개의 송풍팬(310) 중 일부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에 있어서는 하나의 대용량 송풍팬이 적용되고 있어, 요구되는 공기조화 용량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용량 송풍팬을 구동시킬 수밖에 없어 소음이 크고 에너지 소비가 컸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상류부(300) 내에 도 9와 같이 다수의 소용량 고정압 송풍팬(310)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행과 열을 이루어 다수 배치함에 따라, 요구되는 공기조화 용량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송풍팬(310)만을 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는 가로 4개와 세로 3개의 총 12개의 송풍팬(310)이 배열된 것을 예시하였으며, 도 10에는 이들 송풍팬(310) 중 좌측 세로 1열의 송풍팬(310)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 즉 전체 송풍팬(310)의 가동률을 100%라 한다면 대략 75%의 가동률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적절한 송풍팬(310)의 개수를 동작시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 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도면부호 311은 송풍팬(310)에 내장된 분할 방화 댐퍼로써, 송풍팬(310)의 가동에 따라 풍량에 의해 스스로 개방되고, 상기 송풍팬(310)의 정지에 따라 자중에 의해 스스로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 등에 화재나 연기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여과부재(130)에는 입자가 조대화된 미세먼지가 다량 누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류부(200)와 상기 정상류부(300)에는 각각 센서부재(201, 30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센서부재(201, 301)는 기본적으로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여과부재(130)를 사이에 둔 두 센서부재(201, 301)에서 검출한 압력값에 차이가 작을 경우, 상기 여과부재(130)에 누적된 이물질이 적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두 센서부재(201, 301)에서 검출한 압력값에 차이가 큰 경우, 상기 여과부재(130)에 누적된 이물질이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센서부재(201, 301)의 압력값 차이를 통해 여과부재(130)에 누적된 미세먼지의 양을 원격으로 인지하여, 상기 여과부재(130)에 대한 청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뿐 아니라, 상기 센서부재(201, 301)는 압력 이외에도, 이산화탄소 농도, Nox 농도, 라돈 농도, 미세먼지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통해, 여과부재(130)를 통과하기 이전인 비정상류부(200)에서의 각 검출값과 여과부재(130)를 통과한 후인 정상류부(300)에서의 각 검출값을 비교하여 관리자에게 인지시키거나, 혹은 다양한 제어를 위한 기초 변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센서부재(201, 301)를 IoT(Internet of Things), 즉 사물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상기 센서부재(201, 301)에 유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부재(130)에 대한 청소가 필요한지에 대한 여부는 물론 이산화탄소 농도, Nox 농도, 라돈 농도, 미세먼지 농도 등 다양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인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는 우선 도 4 및 도 5와 같이 지하철 역사와 같은 지하 구조물에 설치되며, 송풍팬(310)의 가동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행과 열로 배치된 송풍팬(310)들 중 공기조화에 요구되는 개수의 송풍팬(310)만을 가동시킴에 따라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송풍팬(310)의 가동에 따라 챔버(100) 내에는 부압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지하 구조물의 급기구(1)를 통해 외기가 챔버(100)의 입구(110) 내로 유입된다.
챔버(100)에 있어서는 우선 도 7에 표시한 ⓐ부분에서 공기는 자외선 램프(230)에 의해 살균 소독되는 동시에 음극 대전체(240)는 미세먼지를 (-)전하로 대전시키게 된다.
이후, 도 7의 ⓑ부분에서는 바람개비(210) 및 가이드 베인(220)의 영향으로 인해 난류 및 와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미세먼지 전구체는 그 입자가 조대화 되는 동시에, 일부의 공기가 와류 형성 에어 배플(250)로 유입되면서 와류가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추가적으로 조대화 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바람개비(210)는 평상 시 무동력으로 회전하여 난류를 발생시키지만, 경우에 따라 스스로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211)의 동력으로 회전하여 후류에서 난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부분에서는 가이드 베인(220)의 오목한 배면에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전하로 대전되어 있는 가이드 베인(220)은 (-)전하를 띠고 있는 미세먼지가 그 배면에 흡착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정상류부(200)에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에 난류 및 와류를 발생시켜 조대화된 미세먼지는 ⓓ부분에서 여과부재(130)에 의해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정상류부(200)를 통과한 공기는 이후, 정상류부(300) 내에서 집중 에어 배플(320)에 의해 단면적이 축소되어 ⓔ부분에서 메인 필터(330)에 의해 2차적으로 미세먼지를 여과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부분에서 송풍팬(310)을 통해 챔버(100)의 출구(120)로 강제 배출됨으로써, 지하 구조물 내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플리머 디퓨저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비정상류부(200) 및 상기 정상류부(300) 내에 센서부재(201, 301)를 각각 마련하여 여과부재(130)에 대한 청소 여부는 물론, 이산화탄소 농도, Nox 농도, 라돈 농도, 미세먼지 농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가 유무선으로 손쉽게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는 난류나 와류를 발생시켜 미세먼지 전구체의 입자를 조대화 시켜 효율 높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지하철 역사나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대한 공조 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미세먼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급기구 2 : 배기구
100 : 챔버 110 : 입구
120 : 출구 130 : 여과부재
200 : 비정상류부 201, 301 : 센서부재
210 : 바람개비 211 : 구동모터
220 : 가이드 베인 230 : 자외선 램프
240 : 음극 대전체 250 : 와류 형성 에어 배플
251, 252 : 수직면 251a, 252a : 여과공
253 : 연장면 254 : 테이퍼면
255 : 플랜지면 300 : 정상류부
310 : 송풍팬 311 : 댐퍼
320 : 집중 에어 배플 330 : 메인 필터

Claims (5)

  1. 기밀이 유지되는 한정된 공간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며, 내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재가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입구 측에 마련되어 공기의 흐름에 따라 무동력으로 회전하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치 이하인 경우 동력으로 강제 회전시켜 하류에서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바람개비를 포함하는 비정상류부와;
    상기 챔버 내의 출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출구 밖으로 강제 배출시키는 고정압 송풍팬을 포함하는 정상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류부는, 상기 바람개비의 하류에 위치하여 단면 형상을 통해 배면에서 와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류부는, 상기 챔버의 입구에 마련되는 자외선 램프와, 상기 자외선 램프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음극 대전체와, 상기 바람개비를 중심으로 테두리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내측면과 함께 와류 공간을 형성하는 와류 형성 에어 배플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상류부는, 상기 여과부재의 하류 측에 위치하여 중앙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테이퍼진 집중 에어 배플과, 상기 집중 에어 배플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메인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류부와 상기 정상류부에는 압력, 이산화탄소 농도, Nox 농도, 라돈 농도, 미세먼지 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재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류부의 송풍팬은 열과 행을 이루어 다수개가 배치되어, 다수개의 송풍팬 중 일부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KR1020190063954A 2019-05-30 2019-05-30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KR10219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54A KR102190427B1 (ko) 2019-05-30 2019-05-30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54A KR102190427B1 (ko) 2019-05-30 2019-05-30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523A true KR20200138523A (ko) 2020-12-10
KR102190427B1 KR102190427B1 (ko) 2020-12-14

Family

ID=7377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954A KR102190427B1 (ko) 2019-05-30 2019-05-30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757A (ko) * 2021-07-26 2023-02-03 주식회사 늘디딤 미세먼지제거와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938A (ko) * 2003-05-30 2004-12-08 김송이 무동력 겸용 모터배기팬 및 이를 이용한 고층아파트 주방배기시스템과 그 운전방법
KR100503258B1 (ko) * 2001-11-22 2005-07-25 신용주 실내공기의 살균 정화기
KR20170094676A (ko) * 2016-02-11 2017-08-21 주식회사 에이런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90041823A (ko) * 2017-10-13 2019-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 구조의 팬을 이용한 에어로졸 입자 확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258B1 (ko) * 2001-11-22 2005-07-25 신용주 실내공기의 살균 정화기
KR20040102938A (ko) * 2003-05-30 2004-12-08 김송이 무동력 겸용 모터배기팬 및 이를 이용한 고층아파트 주방배기시스템과 그 운전방법
KR20170094676A (ko) * 2016-02-11 2017-08-21 주식회사 에이런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90041823A (ko) * 2017-10-13 2019-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 구조의 팬을 이용한 에어로졸 입자 확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757A (ko) * 2021-07-26 2023-02-03 주식회사 늘디딤 미세먼지제거와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427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4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air purification
CN102748817B (zh) 一种高效多功能模块化室内空气净化装置
CN105980029A (zh) 空气净化装置及方法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KR20200056092A (ko)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CN111322694B (zh) 与空调联动的杀菌消毒设备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
KR102033486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및 연기 배출 시스템
CN107559950A (zh) 一种密闭环境富氧内循环净化设备
CN108692389A (zh) 空气处理设备及空气处理系统
WO2014011063A1 (en) An air treatment unit and a system of air treatment units
KR102190427B1 (ko) 미세먼지 전구체 저감장치
CN109073250B (zh) 风道和空气处理设备
US11719455B2 (en) Method for intelligently preventing and handling indoor air pollution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CN212409007U (zh) 一种多级光催化水洗的空气净化器
KR102006594B1 (ko)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CN205860213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WO2018148940A1 (zh) 静电除尘装置和空气处理设备
US20230235914A1 (en) Air purifier for preventing air pollution
CN108458425B (zh) 空气处理设备
CN206693880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门
WO2015135488A1 (zh) 空气净化装置
KR100669026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206156B1 (ko) 벽체 설치용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